KR102596231B1 -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 Google Patents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231B1
KR102596231B1 KR1020217009625A KR20217009625A KR102596231B1 KR 102596231 B1 KR102596231 B1 KR 102596231B1 KR 1020217009625 A KR1020217009625 A KR 1020217009625A KR 20217009625 A KR20217009625 A KR 20217009625A KR 102596231 B1 KR102596231 B1 KR 102596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compartment
compartment
electric vehicle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0561A (ko
Inventor
퉁신 리우
Original Assignee
칭다오 유나이티드 뉴 에너지 오토모바일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1749550.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176493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1261901.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228839A/zh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유나이티드 뉴 에너지 오토모바일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칭다오 유나이티드 뉴 에너지 오토모바일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50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6Supplying batteries to, or removing batteries from,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55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 B60K2001/0461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from th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55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 B60K2001/0477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from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55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 B60K2001/0483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from the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55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 B60K2001/0494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with arrangements f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는 차체(17), 섀시(19), 전력 구동 시스템, 운전실(16)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전력 구동 시스템은 배터리 격실(8)을 포함하고, 배터리 격실(8)은 섀시(19)의 하부에 고정되고, 배터리 격실(8)은 직사각형 캐비티이며, 일단은 배터리 출입구(8.1)이고, 다른 일단의 내측에는 배터리 연결 소켓(14)이 설치되며, 직사각형 캐비티 내에는 배터리 자동 배출 및 도입 장치가 설치되며; 배터리 격실(8)의 배터리 출입구(8.1)는 전기 자동차의 전방, 후방 또는 측면을 향하며; 제어 시스템은 배터리 격실(8) 내에서 배터리 자동 배출 및 도입 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터리 격실은 그 내부의 배터리를 자동으로 배출하거나 배터리를 도입할 수 있고, 충전 장치의 배터리와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설치 및 분해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제조 기술 분야에 관련되며, 구체적으로 배터리 격실(battery compartment)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에 관련된다.
석유 자원의 고갈이 증가하고 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새로운 에너지 차량이 점점 더 사람들의 인기를 얻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연료 엔진 대신 전기 모터를 사용하며,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고, 모터로 구동되므로, 변속 박스가 필요 없으며,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보호, 편리한 작동 및 유지 보수, 안정적인 운행 및 저소음이라는 장점이 있다. 배터리는 전기 자동차의 필수 부품으로, 전기 자동차에 동력 에너지를 제공한다. 전기 자동차의 가장 중요한 기술적 문제는 배터리의 급속 충전이며, 현재의 배터리는 장거리 주행이 어렵거나, 빈번한 충전이 필요하다.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작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완료하는 방법은 전기 자동차의 신속한 발전을 방해하고 있는 난제이다.
현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전력이 낮을 때,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충전 파일(charging pile)이고, 다른 하나는 충전소이다.
충전 파일의 단점은 충전이 느리고 효율이 낮다는 점이다; 기존의 배터리 충전소의 경우, 전기 자동차가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배터리 충전소에 들어가면, 이미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를 전기 자동차에 교체하고, 교체된 배터리는 충전 장치로 이송하여 충전을 수행하므로, 전체 전력 교환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수동 지원이 필요하고, 인력을 소비하며, 자동화 제어 정도가 낮고, 전력 교환 속도가 느린 문제도 있다.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차체 내부에 장착되어 배터리를 직접 교체하기가 어려우며, 설사 교체가 가능하다 하더라도 배터리 설치 및 분해 과정이 번거로워, 신속한 교체를 원하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현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격실에는 배터리 자동 배출 및 도입 장치가 없기 때문에, 기존의 전기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통합 배터리 섀시를 사용한다. 통합 배터리 섀시는 매우 무거우며, 통합 배터리 섀시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장비와 더 넓은 장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배터리 격실이 그 내부의 배터리를 자동으로 배출하거나 배터리를 자동으로 도입할 수 있고, 배터리의 자동 연결을 구현할 수 있고, 충전 장치의 배터리와 자동으로 신속하게 교체할 있는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이, 이 분야에서 해결해야 할 기술적 문제이다.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는 차체, 섀시, 전력 구동 시스템, 운전실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구동 시스템은 배터리 격실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격실은 상기 섀시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배터리 격실은 직사각형 캐비티이며, 일단은 배터리 출입구이고, 다른 일단의 내측에는 배터리 연결 소켓이 설치되고, 상기 직사각형 캐비티 내에는 배터리 자동 배출 및 도입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격실의 배터리 출입구는 전기 자동차의 전방, 후방 또는 측면을 향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 격실 내에서 배터리 자동 배출 및 도입 장치가 동작하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 방안에 대한 개선으로: 상기 배터리 자동 배출 및 도입 장치는 상기 직사각형 캐비티의 바닥면에 설치된 롤러, 모터, 모터 컨트롤러 및 동기식 전동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모터 컨트롤러를 통해 모터가 동기식 전동 벨트를 구동하여 롤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배터리 격실 내의 배터리를 밀어 내거나 상기 배터리 격실로 도입시킨다.
상기 기술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으로: 상기 운전실 또는 차체에는 네트워크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고, 상기 차체 또는 운전실의 외측에는 전자 태그가 설치된다.
상기 기술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으로: 상기 배터리 격실 본체의 상면은 분리 가능한 상부 커버이며, 상기 직사각형 캐비티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가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는 케이싱, 케이싱 내의 배터리 셀 및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의 일단에는 커넥터 플러그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다른 일단에는 커넥터 소켓이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의 커넥터 플러그와 커넥터 소켓은 상기 케이싱 내의 회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직사각형 캐비티의 바닥면에는 각 상기 배터리에 대응하는 하나의 배터리 포지셔닝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기술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으로: 상기 배터리의 케이스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케이스 또는 배터리 셀에는 전자 라벨 및 네트워크 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측면 또는 상면에는 회전 휠이 설치된다.
상기 기술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으로: 상기 직사각형 캐비티의 가장 안쪽 끝에 위치한 배터리는 그 일단의 커넥터 플러그를 통해 상기 직사각형 캐비티 내측의 배터리 연결 소켓에 연결되고, 다른 배터리는 커넥터 플러그와 커넥터 소켓을 통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장점 및 긍정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격실 내의 배터리 자동 배출 및 도입 장치는 그 내부의 배터리를 자동으로 배출하거나 배터리를 도입할 수 있고, 배터리의 자동 연결을 구현하며, 충전 장치의 배터리와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2. 본 발명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격실 내의 배터리의 케이싱은 직육면체 형상이고, 케이스의 측면 또는 상면에는 회전 휠이 설치되어, 배터리가 배터리 격실을 보다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배터리 표면의 감모를 감소시킨다.
3. 본 발명 전기 자동차의 운전실 또는 차체에는 네트워크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고, 차체 또는 운전실의 외측에는 전자 태그가 설치되므로, 네트워크에 대한 공유 및 연결을 쉽게 식별하고 구현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도 근거리 무선 연결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격실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격실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격실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용 배터리 격실을 덮은 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용 배터리 격실을 덮지 않은 사시도이다.
도 6은 전기 자동차 용 배터리 격실에 배터리를 넣은 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에서 섀시와 배터리 격실 사이의 연결 구조의 개략도이다.
다음은 첨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의 실시예는, 차체(17), 섀시(19), 전력 구동 시스템, 운전실(16)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구동 시스템은 배터리 격실(8)을 포함하고, 배터리 격실(8)은 섀시(19)의 하부에 고정되고, 휠(18)은 섀시(19)에 설치된다. 상술한 배터리 격실(8)은 직사각형 캐비티이며, 일단은 배터리 출입구(8.1)이고, 다른 일단의 내측에는 배터리 연결 소켓(14)이 설치된다. 배터리 격실(8)의 직사각형 캐비티 내에는 배터리 자동 배출 및 도입 장치가 설치된다. 배터리 격실(8)의 배터리 출입구(8.1)는 전기 자동차의 전방, 후방 또는 측면을 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격실(8)의 배터리 출입구(8.1)가 전기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시스템은 배터리 격실 내에서 배터리 자동 배출 및 도입 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제어한다.
전술한 운전실(16) 또는 차체(17)에는 네트워크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고, 상기 차체(17) 또는 운전실(16)의 외측에는 전자 태그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작동 및 제어의 편의를 위해 운전실(16)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배터리 자동 배출 및 도입 장치는 배터리 격실(8)의 직사각형 캐비티의 바닥면에 설치된 롤러(13), 모터, 모터 컨트롤러(11) 및 동기식 전동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모터 컨트롤러(11)를 통해 모터가 동기식 전동 벨트를 구동하여 롤러(1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배터리 격실(8) 내의 배터리를 밀어 내거나 배터리 격실(8)로 도입시킨다. 모터(11)는 롤러 전동 기구를 통해 롤러(13)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배터리가 나오거나 배터리 격실(8)로 도입되도록 한다.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터리 격실(8)의 상면은 분리 가능한 상부 커버(9)이다.
또한, 전술한 배터리 격실(8)의 직사각형 캐비티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배터리)가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는 케이싱(1), 케이싱(1) 내의 배터리 셀 및 회로를 포함하며, 케이싱(1)의 일단에는 커넥터 플러그(2)가 설치되고, 케이싱(1)의 다른 일단에는 커넥터 소켓(5)이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의 커넥터 플러그(2)와 커넥터 소켓(5)은 케이싱(1) 내의 회로에 의해 연결되고, 배터리 격실(8)의 직사각형 캐비티의 바닥면에는 각 배터리에 대응하는 배터리 포지셔닝 장치(12)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포지셔닝 장치(12)는 고정판(15) 및 고정판(15)에 장착된 웨지 블록(12)을 포함하며, 고정판(15)는 배터리 격실 본체(8)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롤러(13)의 축선과 평행하며, 또한 고정판(15)의 높이는 롤러(13)보다 낮다. 웨지 블록(12)의 수직 이동은 전자기 컴포넌트를 통해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배터리가 배터리 격실 본체(8)로부터 이동하면, 제어 시스템은 전자기 컴포넌트를 통해 웨지 블록(12)이 하강하도록 제어하고, 배터리가 배터리 격실 본체(8)의 사전 설정된 위치로 진입하면, 제어 시스템은 전자기 컴포넌트를 통해 웨지 블록(12)이 상승하도록 제어하여, 웨지 블록(12)의 상단이 롤러(13)의 높이보다 높도록 하고, 웨지 블록(12)의 수직 평면의 일측은 배터리의 일단에 대접되어, 배터리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전술한 배터리의 케이스(1)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케이스(1) 또는 배터리 셀에는 전자 라벨 및 네트워크 모듈이 설치된다. 배터리가 배터리 격실을 보다 원활하게 출입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케이스(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설계되고, 케이스(1)의 측면 또는 상면에는 회전 휠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회전 휠은 상면 회전 휠(3) 및 측면 회전 휠(7)을 포함한다. 케이싱(1)의 4개 모서리는 모두 모따기되고, 각각의 모따기 위치에는 회전 휠 프레임(6)이 설치되고, 회전 휠 프레임(6)에는 수직 회전축의 상면 회전 휠(3)과 수평 회전축의 측면 회전 휠(7)이 설치된다. 배터리가 배터리 격실(8) 내에서 이동할 때, 상부면 회전 휠(3)은 배터리 격실(8)의 상면과 접촉하고, 측면 회전 휠(7)는 배터리 격실(8)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배터리가 배터리 격실(8)에서 이동할 때, 배터리 표면의 마모가 감소되게 한다. 회전 휠 프레임(6)과 상면 회전 휠(3) 및 측면 회전 휠(7)의 일체형 구조는 설치 및 분해가 편리하고, 유지 보수 및 교체가 편리하다.
배터리 격실 본체(8)의 직사각형 캐비티의 가장 안쪽 끝에 위치한 배터리는 그 일단의 커넥터 플러그(2)를 통해 배터리 연결 소켓(14)에 연결되고, 다른 배터리는 커넥터 플러그(2)와 커넥터 소켓(5)을 통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변경, 수정, 추가 또는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1: 케이싱, 2: 커넥터 플러그, 3: 상면 회전 휠 5: 커넥터 소켓, 6: 회전 휠 프레임, 7: 측면 회전 휠, 8: 배터리 격실, 8.1: 배터리 출입구, 9: 상부 커버, 11: 모터 콘트롤러, 12: 웨지 블록, 13: 롤러, 14: 배터리 연결 소켓, 15: 고정판, 16: 운전실, 17: 차체, 18: 휠, 19: 섀시

Claims (10)

  1. 차체, 섀시, 전력 구동 시스템, 운전실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전력 구동 시스템은 배터리 격실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격실은 상기 섀시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배터리 격실은 직사각형 캐비티이며, 일단은 배터리 출입구이고, 다른 일단의 내측에는 배터리 연결 소켓이 설치되고, 상기 직사각형 캐비티 내에는 배터리 자동 배출 및 도입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격실의 배터리 출입구는 전기 자동차의 전방, 후방 또는 측면을 향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 격실 내에서 배터리 자동 배출 및 도입 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 격실의 상면은 분리 가능한 상부 커버이며, 상기 직사각형 캐비티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가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는 케이스, 케이스 내의 배터리 셀 및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는 커넥터 플러그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다른 일단에는 커넥터 소켓이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의 커넥터 플러그와 커넥터 소켓은 상기 케이스 내의 회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직사각형 캐비티의 바닥면에는 각 상기 배터리에 대응하는 하나의 배터리 포지셔닝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포지셔닝 장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에 장착된 웨지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은 배터리 격실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직사각형 캐비티의 바닥면에 설치된 롤러의 축선과 평행하며, 또한 상기 고정판의 높이는 상기 롤러보다 낮으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전자기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웨지 블록의 수직 이동을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격실을 출입할 때,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자기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웨지 블록이 하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가 배터리 격실의 사전 설정된 위치로 진입하면,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자기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웨지 블록이 상승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웨지 블록의 상단이 상기 롤러의 높이보다 높도록 하고, 상기 웨지 블록의 수직 평면의 일측은 상기 배터리의 일단에 대접되어, 상기 배터리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자동 배출 및 도입 장치는 상기 직사각형 캐비티의 바닥면에 설치된 롤러, 모터, 모터 컨트롤러 및 동기식 전동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모터 컨트롤러를 통해 모터가 동기식 전동 벨트를 구동하여 롤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배터리 격실 내의 배터리를 밀어 내거나 상기 배터리 격실로 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 또는 차체에는 네트워크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고, 상기 차체 또는 운전실의 외측에는 전자 태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케이스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케이스 또는 배터리 셀에는 전자 라벨 및 네트워크 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측면 또는 상면에는 회전 휠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캐비티의 가장 안쪽 끝에 위치한 배터리는 그 일단의 커넥터 플러그를 통해 상기 직사각형 캐비티 내측의 배터리 연결 소켓에 연결되고, 다른 배터리는 커넥터 플러그와 커넥터 소켓을 통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7009625A 2018-10-26 2019-07-29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KR102596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261901.0 2018-10-26
CN201821749550.3U CN209176493U (zh) 2018-10-26 2018-10-26 一种具有电池仓的电动汽车
CN201811261901.0A CN109228839A (zh) 2018-10-26 2018-10-26 一种具有电池仓的电动汽车
CN201821749550.3 2018-10-26
PCT/CN2019/098225 WO2020082843A1 (zh) 2018-10-26 2019-07-29 一种具有电池仓的电动汽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561A KR20210050561A (ko) 2021-05-07
KR102596231B1 true KR102596231B1 (ko) 2023-10-30

Family

ID=7033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625A KR102596231B1 (ko) 2018-10-26 2019-07-29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65909B2 (ko)
EP (1) EP3871914B1 (ko)
JP (1) JP7177550B2 (ko)
KR (1) KR102596231B1 (ko)
WO (1) WO202008284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323A (ja) * 2002-09-04 2004-04-02 Still Gmbh ローラ軌道に配置されたバッテリブロックを備えた構内運搬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6839A (en) * 1978-07-20 1980-08-12 Unique Mobility Inc. Electrically powered motor vehicle
US4450400A (en) * 1981-12-04 1984-05-22 Gwyn Marion V Battery replac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US5360307A (en) * 1992-12-07 1994-11-01 Windsor Industries Battery transfer technique for vehicle
US5373910A (en) * 1993-04-08 1994-12-20 Nixon; Dale B. Method of operation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multiple replacement batteries
US5711648A (en) * 1994-01-06 1998-01-27 Unlimited Range Electric Car Systems Company Battery charging and transfer system
US5760569A (en) * 1997-02-26 1998-06-02 Chase, Jr.; Robert B. Replaceable battery module for electric vehicle
US6631775B1 (en) * 2000-07-06 2003-10-14 George T. Chaney Electric vehicle chassis with removable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battery module replacement
DE102005053305A1 (de) * 2005-11-09 2007-05-10 Linde Ag Flurförderzeug mit einer Batterietür und einer Vertikalstütze
US20090198372A1 (en) * 2008-02-05 2009-08-06 Unlimited Range Electric Car Systems Company Battery charging and transfer system for electrically powered vehicles
US8453773B2 (en) * 2008-06-27 2013-06-04 Proterra Inc Vehicle battery systems and methods
US8006793B2 (en) * 2008-09-19 2011-08-30 Better Place GmbH Electric vehicle battery system
SE536036C2 (sv) * 2010-06-21 2013-04-09 Sten Corfitsen Förfarande för att byta batteri i batteridrivna fordon.
KR101220768B1 (ko) * 2010-12-28 2013-01-21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자동차용 언더 바디
SE537055C2 (sv) * 2012-04-18 2014-12-23 Sten Corfitsen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byte av batterier i batteridrivna fordon
US8973254B2 (en) * 2013-03-07 2015-03-10 Jasper Ev Tech, Llc System and method for rapid battery exchange in electric vehicles
KR20140136072A (ko) * 2013-05-16 2014-11-28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전기 차량
US9566954B2 (en) * 2014-03-10 2017-02-14 Max Moskowitz Vehicular accessory
US9688252B2 (en) * 2014-04-23 2017-06-27 Tesla, Inc. Battery swapping system and techniques
WO2016172605A1 (en) * 2015-04-22 2016-10-27 Ahrens Jaso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exchange
CN106476593A (zh) * 2016-08-22 2017-03-08 浙江比洛德传动技术有限公司 一种快捷更换充电电池的电动汽车
US10574365B2 (en) * 2016-10-14 2020-02-25 Tiveni Mergeco, Inc. Optical communications interface for battery modules of an energy storage system
CN108082142A (zh) * 2018-01-24 2018-05-29 西华大学 一种新型适用性好的电动汽车停车场系统
CN108556608B (zh) * 2018-03-30 2020-03-24 珠海骏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能量回收功能的便于电池更换的新能源汽车
CN108674391B (zh) * 2018-05-28 2021-03-16 云南西塔新工业科技有限公司 新能源电动汽车
CN109228839A (zh) * 2018-10-26 2019-01-18 青岛联合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具有电池仓的电动汽车
US11590858B2 (en) * 2019-04-25 2023-02-28 Gogo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formation in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323A (ja) * 2002-09-04 2004-04-02 Still Gmbh ローラ軌道に配置されたバッテリブロックを備えた構内運搬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561A (ko) 2021-05-07
EP3871914A1 (en) 2021-09-01
JP7177550B2 (ja) 2022-11-24
EP3871914B1 (en) 2024-01-24
US11865909B2 (en) 2024-01-09
EP3871914A4 (en) 2021-11-24
JP2022508480A (ja) 2022-01-19
WO2020082843A1 (zh) 2020-04-30
US20220009329A1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34118B (zh) 电动汽车的蓄电池组构造
US9145045B2 (en) Battery pack holding apparatus
JP5528772B2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防水ケース
CN206602384U (zh) 一种动力电池充电柜
WO2014184864A1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及び移動車両
CN109228839A (zh) 一种具有电池仓的电动汽车
JP2013115915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及び移動車両
CN210634533U (zh) 一种重型卡车电池更换站
CN103241113B (zh) 电动车辆超快速更换电源系统
KR102596231B1 (ko) 배터리 격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CN105098113A (zh) 用于保持牵引电池的电池单元的装置和方法
CN202034544U (zh) 一种具有锁车功能的电动汽车充电插座
CN210454479U (zh) 一种具有双模电池仓的电动汽车
CN210634534U (zh) 一种重型卡车电池单边更换站
CN109256507A (zh) 一种电动汽车用电池仓
CN209176493U (zh) 一种具有电池仓的电动汽车
CN214324976U (zh) 一种无人机停放装置及车辆
KR101865866B1 (ko) 전기 상용차의 적재함 내부 장착형 배터리팩
CN105398918A (zh) 一种在电梯移动过程中给电动汽车充电的装置
CN209266456U (zh) 一种电动汽车用电池仓
KR20220031159A (ko) 전기자동차 배터리 교체방법
CN113152961A (zh) 一种泊车系统
CN203496863U (zh) 电动车辆超快速更换电源系统
CN208006732U (zh) 一种节能环保电动汽车
CN112821000A (zh) 一种方便更换的新能源汽车共享动力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