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019B1 - 지엽 처리 장치, 집적 트레이, 및 지엽 집적 방법 - Google Patents

지엽 처리 장치, 집적 트레이, 및 지엽 집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019B1
KR102595019B1 KR1020217029029A KR20217029029A KR102595019B1 KR 102595019 B1 KR102595019 B1 KR 102595019B1 KR 1020217029029 A KR1020217029029 A KR 1020217029029A KR 20217029029 A KR20217029029 A KR 20217029029A KR 102595019 B1 KR102595019 B1 KR 102595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eaf
stacking
bundle
accum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4444A (ko
Inventor
요시히토 오사다
가즈야 후루마치
요우스케 미야시타
마코토 이와사키
노부히로 이다
히로타카 야마자키
레이 야마모토
다케아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2Auxiliary devices for receiving articles during removal of a completed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0Members rota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article movement, e.g. star-wheels formed by S-shap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72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moving a surface supporting the pile of articles on edge, e.g. by using belts or carriag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4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5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rota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and perpendicular to transport direction, e.g. st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5Means for moving support
    • B65H2405/354Means for moving support around an axis, e.g.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Abstract

스태커의 증설에 의한 장치의 대형화, 코스트 업, 나아가서는 날개 바퀴의 지엽 수납 스페이스 내에 있어서의 지엽끼리의 잼의 발생을 초래하지 않고, 선행하여 집적 완료된 지엽 다발이 취출 에어리어에 이재된 후에 매우 짧은 중단 시간을 거쳐 집적 처리를 재개한다. 날개 바퀴(10)와, 지엽 공급 반송 수단(30, 100)과, 날개 바퀴로부터 방출되어 온 지엽을 1매씩 적층 상태로 유지하는 집적 트레이(50)와, 취출 에어리어(80)를 구비하고, 집적 트레이는 지엽 집적 위치(P1)에 있을 때 방출되어 오는 지엽을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엽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 비집적 위치(P2)로 회전 이동되는 제1 집적부(51)와, 비집적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했을 때 지엽 집적 위치로 이동하여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엽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 비집적 위치로 회전 이동되는 제2 집적부(61)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집적부는, 비집적 위치에 있을 때 취출 에어리어 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지엽 처리 장치, 집적 트레이, 및 지엽 집적 방법
본 발명은 지폐 계수 장치 등의 지엽(紙葉) 처리 장치, 집적 트레이, 및 지엽 집적 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지폐 처리 장치의 일종으로서의 지폐 계수 장치는, 호퍼부에 집적된 지폐 다발로부터 1매씩 분리하면서 조출(繰出, 계속 내보냄)을 행하여 식별부로 반송하여, 권종, 진안() 등을 식별한 지폐를 계수하면서 날개 바퀴(bladed wheel)에 의해서 스태커(stacker, 집적고) 내로 이송함으로써 정렬 상태로 소정 매수씩 재집적시키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스태커 내에 소정 매수(지정 매수)에 도달할 때까지 재집적된 지폐 다발은 사람 손에 의해 취출되어 묶음 등의 처리가 실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폐 계수 장치에서는, 소정 매수가 스태커에 집적된 시점에서 계수 처리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집적한 지폐 다발이 스태커로부터 빼낼 때까지 계수 처리가 중단된 채로의 대기 상태가 되며, 재개(再開)하기 위해서는 집적 지폐 다발을 빼낼 필요가 있었다.
한편, 작업자는 스태커로부터 지폐 다발을 취출할 뿐만 아니라, 취출한 지폐 다발을 띠나 고무밴드로 묶거나, 다음에 계수할 지폐 다발을 준비하는 등의 번잡하고 시간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여러 가지 실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작업을 행하면서 그 사이에 지폐 다발의 취출을 행하기 때문에, 소정 매수의 계수와 집적을 완료한 직후에 스태커로부터 지폐 다발을 즉시 취출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어, 지폐 다발의 취출 타이밍이 늦어진다. 이 때문에 계수 장치의 대기 상태가 빈번하게 발생하거나,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어, 지폐의 계수, 묶음 작업 등의 효율이 큰 폭으로 저하되고 있었다. 특히, 대량의 지폐를 계수 처리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계수 작업을 정지하지 않고, 혹은 필요 최소한의 중단 시간으로 연속적으로 처리를 행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가 강함에도 불구하고 실현할 수 없었다.
이러한 대기 상태의 해소, 대기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복수의 스태커를 병설(倂設)하여, 한쪽의 스태커 내의 집적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하면 전환 수단에 의해서 후속의 지폐를 다른 쪽의 스태커으로 집적시키는 장치도 제안되어 있지만, 장치의 대형화나 고비용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호퍼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오는 지폐를 소정의 매수, 예를 들면 100매 단위로 끊어서 겹쳐 쌓는 기구를 구비한 시트 재료의 적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날개 바퀴의 날개 사이에 꽂아진 상태로 회전 이동해 오는 지폐를 스트리퍼에 의해서 날개 바퀴로부터 이탈시켜 집적 선반 상에 낙하시켜 집적하고, 집적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 스트리퍼를 날개 바퀴 상의 지폐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退避)시킨다. 집적 선반에 소정 매수가 집적된 후, 해당 집적 지폐 다발이 집적 선반으로부터 제거되기 이전에, 날개 바퀴와 집적 지폐와의 사이에 보조 집적 선반을 도입시킴으로써, 보조 집적 선반 상에 후속의 지폐를 연속하여 집적한다. 이것에 의하면, 소정 매수로 집적된 지폐 다발과, 후속의 지폐 다발을 분리시킴으로써 중단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는 다음의 문제가 있다.
우선, 근래의 지폐 계수 장치에는 처리 매수의 고속화, 예를 들면 15매/초 정도의 고속 처리가 요구되고 있지만, 특허 문헌 1에서는 소정 매수, 예를 들면 100매째의 지폐가 집적 선반 상에 집적을 완료한 후에 연속해 공급되어 오는 후속의 101매째의 지폐가 도달할 때까지의 매우 짧은 시간에 스트리퍼가 퇴피 동작되지 않으면 안 되어, 그 응답성에 문제가 있다. 스트리퍼에 대해서 그러한 고속 동작을 시키기 위한 기구를 실현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즉, 특허 문헌 1의 구성은 15매/초의 고속 처리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 스트리퍼가 퇴피하고 있는 동안은 서로 인접하는 각 날개 사이의 개개의 지폐 수납 스페이스 내로 차례로 지폐를 돌입시켜 복수 매를 겹친 상태로 모으게 되기 때문에, 개개의 지폐 수용 스페이스 내에 있어서 지폐끼리의 충돌(잼)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즉, 지폐 수용 스페이스에 한 매의 지폐만을 수용함으로써 잼 발생을 방지하면서 지폐의 고속 처리를 실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근래의 지폐 계수 장치에서는, 호퍼로부터 반송되는 지폐의 일련번호를 한 매마다 차례로 판독하고, 반송된 순서대로 기록, 활용하는 구조가 요구되지만, 날개 사이의 지폐 수용 스페이스 내에 복수 매의 지폐를 겹쳐서 보류시키면, 날개 사이부터 이탈시켜 집적할 때 반송된 순서대로 집적시킬 수 없다. 즉, 특허 문헌 1에서는 단위 집적 매수인 100매의 지폐 모두를 날개 바퀴의 각 지폐 수용 스페이스에 의해 유지 종료하고 나서 스트리퍼를 작동시켜 각 지폐 수용 스페이스 내의 지폐를 집적 선반 상에 이탈시키고 있다. 그러나, 날개 바퀴의 날개 사이에 형성되는 지폐 수용 스페이스의 수는 단위 집적 매수인 100에 못 미치기 때문에, 하나의 지폐 수용 스페이스에 복수 매의 지폐를 겹쳐서 보류시킬 필요가 있다. 만일, 지폐 수용 스페이스수가 20개라고 했을 경우, 날개 바퀴 외주의 지폐 공급 위치로 이동해 온 최초의 지폐 수용 스페이스에 1매째의 지폐를 수용하고, 다음의 지폐 수용 스페이스에 2매째의 지폐를 차례로 수용해 가면, 21매째의 지폐는 첫 번째의 수용 스페이스 내의 1매째의 지폐와 겹쳐서 수용하게 된다. 100매째의 지폐의 수용이 종료되면, 최종적으로는 모든 지폐 수용 스페이스 내에 5매의 지폐가 수용되게 되어, 이 단계에서 스트리퍼를 작동시키고 각 지폐 수용 스페이스 내의 지폐 다발을 차례로 집적 선반 상에 이탈시켜 집적하면, 지폐의 순서는 호퍼로부터 급송된 지폐의 순서와는 다른 상태가 된다. 즉, 최초의 지폐 수용 스페이스에 관해서는 첫 번째의 지폐 위에 21번째의 지폐, 41번째의 지폐, 61번째의 지폐, 81번째의 지폐가 차례로 적층된 순서가 된다. 이 때문에, 집적 선반의 집적 지폐의 순서도 이 대로가 된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의 장치 구성에서는, 호퍼로부터 반송되는 지폐의 일련번호를 한 매마다 차례로 판독하고, 반송된 순서대로 기록, 활용할 수 없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4390145호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대량의 지엽을 연속하여 계수, 집적 처리하는 경우에, 스태커의 증설에 의한 장치의 대형화, 코스트 업, 나아가서는 날개 바퀴의 지엽 수납 스페이스 내에 있어서의 지엽끼리의 잼의 발생을 초래하지 않고, 선행하여 집적 완료된 지엽 다발을 스태커 위로부터 빼내지 않고, 매우 짧은 중단 시간을 거쳐 집적 처리를 재개할 수 있는 지엽 처리 장치, 집적 트레이, 및 지엽 집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날개 바퀴로부터 방출되어 집적되는 지엽의 집적 순서를 호퍼부로부터 급송될 때와 같은 순서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지엽 처리 장치는 날개 바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 모양으로 돌출된 복수의 날개, 및 인접하는 상기 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받아들인 1매의 지엽을 유지하는 지엽 유지 공간을 구비하고, 회전할 때 상기 각 지엽 유지 공간 내에 각각 유지된 1매의 지엽을 소정의 집적 에어리어로 차례로 방출하는 날개 바퀴와, 회전하는 상기 날개 바퀴의 상기 각 지엽 유지 공간 내에 지엽을 1매씩 공급하는 지엽 공급 반송 수단과, 상기 집적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상기 각 지엽 유지 공간으로부터 방출되어 온 지엽을 1매씩 기립 상태로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집적한 지엽 다발을 이송하는 집적 트레이와, 상기 집적 트레이에 집적된 지엽 다발의 이송처로서, 상기 지엽 다발을 취출 가능한 상태로 수납하는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와, 구동 기구와,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지엽 처리 장치로서, 상기 집적 트레이는,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보다도 하방의 지엽 집적 위치에 있을 때 방출되어 오는 지엽을 기립 상태로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엽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보다도 상방의 비집적 위치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회전 이동되어 상기 지엽 다발을 배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제1 바닥판을 구비한 제1 집적부와, 상기 비집적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했을 때 상기 지엽 집적 위치로 이동하여 방출되어 오는 지엽을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엽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 상기 비집적 위치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회전 이동되어 상기 지엽 다발을 배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제2 바닥판을 구비한 제2 집적부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제1 집적부, 및 제2 집적부는, 각각이 상기 비집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집적 트레이는,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에 중간부를 일체화하여 상기 지엽 다발의 배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외경측 각 단 가장자리로부터 90도의 각도로 각각 돌출하고, 상기 지엽 다발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지엽 지지면을 구비한 상기 제1 바닥판 및 상기 제2 바닥판을 가진 회전 대칭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량의 지엽을 연속하여 계수 처리하고 나서 집적 처리하는 경우에, 선행하여 집적 완료된 지엽 다발을 스태커 위로부터 빼내지 않고, 매우 짧은 중단 시간을 거쳐 집적 처리를 재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엽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의 지폐 계수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내부 구성 설명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날개 바퀴와 그 구동 기구(날개 바퀴 구동 유닛(UN1))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의 (a), (b) 및 (c)는 집적 트레이, 및 그 구동 기구(집적 트레이 구동 유닛(UN2))를 나타내는 정면도, 일측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및 타측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 (b) 및 (c)는 도 2의 날개 바퀴 구동 유닛과 도 3의 집적 트레이 구동 유닛을 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일측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및 타측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스태커 유닛(날개 바퀴와 집적 트레이)에 배치되는 각종 센서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의 (a) 내지 (e)는 지폐 처리 장치에 의한 지폐 계수, 및 스택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의 (f) 내지 (j)는 도 6의 (e)에 이은 지폐 처리 장치에 의한 지폐 계수, 및 스택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폐 처리 장치에 의한 지폐 계수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태커 유닛을 복수 연결했을 경우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 내지 (e)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 및 동작 절차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 내지 (f)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 및 동작 절차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1-1:기본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지엽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의 지폐 계수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내부 구성 설명도이며, 도 2의 (a) 및 (b)는 날개 바퀴와 그 구동 기구(날개 바퀴 구동 유닛(UN1))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3의 (a), (b) 및 (c)는 집적 트레이, 및 그 구동 기구(집적 트레이 구동 유닛(UN2))를 나타내는 정면도, 일측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및 타측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며, 도 4의 (a), (b) 및 (c)는 도 2의 날개 바퀴 구동 유닛과 도 3의 집적 트레이 구동 유닛을 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일측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및 타측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또, 도 5는 스태커 유닛(날개 바퀴와 집적 트레이)에 배치되는 각종 센서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 및 이하의 모든 실시 형태에서는 지엽의 일례로서의 지폐에 대해 설명하지만, 지엽에는 지폐뿐만 아니라, 유가 증권, 금권(金券, cash voucher), 티켓 등등, 재질에 관계없이 시트 모양의 것을 넓게 포함하는 것이다.
지폐 계수 장치(1)는 날개 바퀴용 회전축(11), 날개 바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 모양, 또한 나선 모양(곡면 모양)으로 돌출된 복수의 날개(15), 및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받아들인 1매의 지폐를 출입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폐 유지 공간(17)을 구비하고, 화살표로 나타낸 지폐 수납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 지폐 유지 공간 내에 각각 유지된 1매의 지폐를 소정의 지폐 집적 에어리어로 차례로 방출하는 날개 바퀴(10)와, 회전하는 날개 바퀴의 각 지폐 유지 공간(17) 내에 외경 방향으로부터 지폐를 1매씩 공급하는 지폐 반송로(지폐 공급 반송 수단)(100)으로 지폐를 1매씩 공급하는 지폐 공급 수단(호퍼, 지폐 공급 반송 수단)(30)과, 지폐 집적 에어리어(SA)에 배치되어 각 지폐 유지 공간(17)으로부터 방출되어 온 지폐(B)를 1매씩 적층 상태로 집적, 유지함과 아울러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집적 트레이(회전식 스태커)(50)와, 집적 트레이(50)에 집적된 지폐 다발(BB)의 이송처로서, 지폐 다발을 외부로 취출 가능한 상태로 수납하는 집적 지폐 다발 취출 에어리어(취출 에어리어, 스태커)(80)와, 구동 기구 등의 각종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200)을 구비한다.
집적 트레이(50)는 날개 바퀴(10)와 대면하는 지폐 집적 위치(지폐 수납 자세)(P1)에 있을 때 각 지폐 유지 공간(17)으로부터 차례로 방출되어 오는 지폐를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폐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 날개 바퀴와 대면하지 않는 비집적 위치(P2)로 회전 이동되는 제1 집적부(51)와, 날개 바퀴와 대면하지 않는 비집적 위치(비집적 자세)(P2)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했을 때 지폐 집적 위치(P1)로 이행하여 방출되어 오는 지폐를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폐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 비집적 위치로 회전 이동되는 제2 집적부(61)를 적어도 구비한다. 제1 집적부 및 제2 집적부는, 각각이 비집적 위치(P2)에 있을 때 집적 지폐 다발 취출 에어리어(80) 내에 위치하고 있다(집적 지폐 다발 취출 에어리어(80)와 연통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집적 트레이(50)는 2개의 집적부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례이며, 후술하는 것처럼 집적부는 1개여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집적 지폐 다발 취출 에어리어(취출 에어리어, 스태커)(80)는, 제1 집적부(51), 및 제2 집적부(61)가 날개 바퀴(10)와 대면하지 않는 비집적 위치(P2)에 있을 때 각 집적부, 및 각 집적부 내의 지폐 다발을 수용하는 스페이스이며, 취출 에어리어 내의 지폐 다발은 작업자에 의해서 장치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 지폐 계수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폐 공급 수단(30)은 도시하지 않은 적층판 상에 적층된 계수 전의 대량의 지폐 다발(BBa)의 하면에 접하여 회전함으로써 최하면의 지폐를 조출(繰出)하는 조출 롤러(31)와, 조출된 지폐를 분리하면서 지폐 반송로(지폐 공급 반송 수단)(100)로 내보내는 중복 이송 방지용의 분리 롤러쌍(32)을 가진다. 분리 롤러쌍(32)은 급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하측의 피드 롤러(32a)와, 피드 롤러의 상측에 배치되어 피드 롤러와 닙(nip)하는 고마찰 재료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롤러(32b)로 구성된다.
지폐 공급 수단(30)과 날개 바퀴(10)와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벨트, 롤러 등의 반송 수단, 및 모터로 이루어지는 지폐 반송로(지폐 공급 반송 수단)(100)가 마련되어 있고, 지폐 반송로(100) 상에는 지폐의 진안, 권종을 판별하는 식별부(110)가 마련된다. 지폐 반송로의 날개 바퀴(10)의 직전 위치에는 제1 게이트(120)와, 제2 게이트(122)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각 게이트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구동 기구)에 의해 회동되고, 제어 수단(200)에 의해 제어되어 작동함으로써, 지폐의 반송처를 정규 반송로(100a), 분기 반송로(100b), 리젝트 반송로(100c)로 선택적으로 전환한다.
제1 게이트(120)는 후술하는 것처럼 다른 스태커 유닛(SU)을 연결했을 경우에 작동하여 그 다른 스태커 유닛으로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분기 반송로(100b)로 반송처를 전환하는 수단이다(도 9에서 후술). 제2 게이트(122)는 날개 바퀴(10)를 향하는 정규 반송로(100a)와 하방에 마련된 리젝트부(130)에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리젝트 반송로(100c) 중 어느 것으로 반송처를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어 수단(CPU, ROM, RAM)(200)은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신호,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 등에 기초하여 각 제어 대상을 제어한다.
날개 바퀴(10)는 그 구동 기구(20)와 함께 날개 바퀴 구동 유닛(UN1)을 구성하고 있다.
집적 트레이(50)는 그 구동 기구(70)와 함께 집적 트레이 구동 유닛(UN2)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날개 바퀴 구동 유닛(UN1)에 대해 도 2, 도 4에 의해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2개의 동일 형상의 날개 바퀴(10)가 소정의 축방향 간격을 두고 날개 바퀴용 회전축(11)에 각 축심이 고정되어 있고, 2개의 날개 바퀴의 각 날개(15) 사이에 형성되는 지폐 유지 공간(17)에 의해, 단변(短邊)을 반송 방향과 병행인 자세로 반송되어 오는 지폐의 장변(長邊)을 2지점 유지하면서 회전한다. 각 날개 바퀴(10)는 날개 바퀴용 회전축(11)과 일체화된 원반 모양의 베이스부(12)와, 베이스부의 외주로부터 방사 모양, 또한 나선 모양(만곡 모양)으로 돌출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날개(15)와,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받아들인 1매의 지폐를 출입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폐 유지 공간(17)을 구비하고 있다.
날개 바퀴 구동 기구(20)는 날개 바퀴 모터(21)와, 날개 바퀴 모터의 출력 기어(21a)와 서로 맞물리는 중간 기어(22)와, 날개 바퀴용 회전축(11)에 축심을 고정시킨 상태로 중간 기어(22)와 일체인 소 기어(22a)와 서로 맞물리는 종동(從動) 기어(23)를 개략 구비하고 있다. 날개 바퀴 모터(21)를 구동함으로써 날개 바퀴(10)는 화살표로 나타내는 지폐 수납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날개 바퀴 구동 유닛(UN1)과 집적 트레이 구동 유닛(UN2)을 조립할 때에는, 날개 바퀴용 회전축(11)을 덮도록 날개 바퀴 사이의 스페이스, 및 각 날개 바퀴의 외측의 스페이스는, 날개 바퀴 가이드(26)에 의해 덮인 상태로 되어 있다. 날개 바퀴 가이드의 상면(지폐 이탈용 스토퍼)(26a)은 2개의 날개 바퀴에 의해 유지되어 회전 이동해 오는 지폐(B)의 내경측의 장변에 간섭하는 위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지폐(B)가 상면(26a)에 접한 시점 이후에서는 지폐는 상면(26a)에 의해 밀려 올려진다. 이 밀어 올리는 힘은, 지폐 유지 공간(17)으로부터 지폐를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며, 각 지폐 유지 공간으로부터 이탈한 지폐는 날개 바퀴의 외경 방향에 위치하는 집적 에어리어(SA)로 차례로 방출된다. 이 때문에, 하나의 지폐 유지 공간 내에 후속의 지폐가 2매 이상 겹쳐 유지되는 경우는 없다. 또, 지폐 유지 공간 내의 지폐는 상면(26a)에 의해 확실히 이탈되기 때문에, 그 후 날개 바퀴가 회전하여 해당 지폐 유지 공간이 지폐 공급 위치(100A)에 도달한 시점에서는 지폐는 이미 유지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집적 트레이 구동 유닛(UN2)에 대해 도 3,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회전식 스태커로서의 집적 트레이(50)는, 날개 바퀴의 각 지폐 유지 공간(17)으로부터 이탈한 지폐가 방출되는 집적 에어리어(SA)에 배치되어 있고, 그 후방에는 집적 트레이에 집적된 지폐 다발(지엽 다발)(BB)의 이송처로서의 집적 지폐 다발 취출 에어리어(취출 에어리어)(80)가 배치되어 있다.
집적 트레이(50)는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52)에 중간부가 일체화되어 지폐 다발의 배면(背面)을 지지하는 베이스판(54)과, 베이스판의 외경측 양단의 각 단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90도의 각도로 각각 역방향으로 돌출된 제1 바닥판(56), 제2 바닥판(57)을 가지는 회전 대칭 형상이다.
베이스판(54)은 그 제1 면(54a)과 제1 바닥판(56)과의 사이에서 제1 집적부(51)를 형성하고, 제1 바닥판(56)이 도시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지폐 집적 위치(지폐 수납 자세)(P1)에 있을 때 그 지폐 지지면(56a)에서, 제1 면(54a)에 일면을 접촉시킨 지폐 다발(BB)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6의 (d) 참조).
베이스판(54)은 그 제2 면(54b)과 제2 바닥판(57)과의 사이에서 제2 집적부(61)를 형성하고, 제2 바닥판(57)이 도 7의 (f)에 도시한 것처럼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지폐 집적 위치(지폐 수납 자세)(P1)에 있을 때 그 지폐 지지면(57a)에서, 제2 면(54b)에 일면을 접촉시킨 지폐 다발(BB)의 하단면을 지지한다.
각 바닥판(56, 57)의 내경(內徑)측 면인 지폐 지지면(56a, 57a)은 지폐 다발 단면(端面)을 지지하는데 적절한 면적의 플랫한 면으로 되어 있는 한편으로, 외경측 면(56b, 57b)은 회전시의 이동 반경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서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반경 r이 형성하는 원주를 따른 만곡면, 원호 모양 면으로 되어 있다.
집적 트레이(50)가 도 6의 (a)에 도시한 지폐 집적 위치(P1)에 있을 때에는 제1 집적부(51)가 날개 바퀴와 대면함으로써 날개 바퀴로부터 1매씩 방출되어 오는 지폐를 제1 바닥판(56) 상에 차례로 수취하여 세워진 상태(기립 상태)로 유지한다. 또, 집적 트레이(50)가 도 7의 (f)에 도시한 지폐 집적 위치(P1)에 있을 때에는 제2 집적부(61)가 날개 바퀴와 대면함으로써 날개 바퀴로부터 1매씩 방출되어 오는 지폐를 차례로 수취하여 제2 바닥판(57) 상에 세워진 상태(기립 상태)로 유지한다.
집적 트레이의 제1 집적부(51)가 날개 바퀴(10)와 대면한 지폐 집적 위치(P1)에 있을 때에는 제2 집적부(61)는 날개 바퀴(10)와 대면하지 않는 비집적 위치(P2)에 있고, 제2 집적부(61)가 날개 바퀴와 대면한 지폐 집적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집적부(51)가 날개 바퀴와 대면하지 않는 비집적 위치(P2)에 있다.
집적 트레이의 구동 기구(70)는,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집적 트레이용 모터(71)와, 집적 트레이용 모터의 출력 기어(71a)와 서로 맞물리는 중간 기어(72)와,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52)에 축심을 고정시킨 상태로 중간 기어(72)와 일체인 소 기어(72a)와 서로 맞물리는 종동 기어(73)를 개략 구비하고 있다. 집적 트레이용 모터(71)를 구동함으로써 집적 트레이(50)는 화살표로 나타내는 전환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예에서는 집적 트레이(50)는 제1 집적부(51)가 지폐 집적 위치(P1)에 있을 때 회전을 정지하고 지폐를 집적하고, 소정 매수의 집적 완료 후에 180도 회전하여 제2 집적부(61)를 지폐 집적 위치로 회전 이동시키고 나서 정지하고 후속의 지폐를 수취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또,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52)에는 홈 포지션 검지판(75)이 고정되어, 장치 본체 측에 고정된 포토 인터럽터(76)가 홈 포지션 검지판(75)의 원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한 슬릿(구멍)을 검지함으로써 집적 트레이의 홈 포지션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집적 트레이는 제1 집적부(51)가 집적 위치에 있을 때 제1 홈 포지션에 있고, 제2 집적부(61)가 집적 위치에 있을 때 재2 홈 포지션에 있다.
날개 바퀴 구동 유닛(UN1)과, 집적 트레이 구동 유닛(UN2)과, 취출 에어리어(80)와, 이것들을 지지하는 케이싱(85)은, 스태커 유닛(SU)을 구성하고 있다.
도 5는 스태커 유닛(SU)에 장비되는 지폐 검지용의 각종 센서를 나타내고 있다. 지폐 카운트 센서(CS)는 정규 반송로(100a)를 통과하는 지폐를 카운트하는 포토 인터럽터이며, 지폐 공급 위치(100A)로부터 날개 바퀴로 공급되는 지폐 매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제1 집적부(51), 및 제2 집적부(61)에 방출되어 적층되는 지폐 매수를 카운트하는 수단이다.
제1 지폐 유무 검지 센서(S1)(발광 소자(S1E), 수광 소자(S1R))는, 지폐 집적 에어리어(SA)에 위치할 때의 제1 집적부(51), 및 제2 집적부(61) 내의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포토 인터럽터이다. 제2 지폐 유무 검지 센서(S2)(발광 소자(S2E), 수광 소자(S2R))는 날개 바퀴에 의해 유지된 지폐의 유무, 및 날개 바퀴와 지폐 집적 에어리어(SA)와의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의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포토 인터럽터이다. 제3 지폐 유무 검지 센서(S3)(발광소자(S3E), 수광 소자(S3R))는 취출 에어리어(80) 내의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포토 인터럽터이다.
다음에, 도 6, 및 도 7에 기초하여 본 지폐 처리 장치에 의한 지폐 계수, 및 집적 동작(스택 동작, 집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도 6, 및 도 7에서는 지폐 공급 수단(30), 지폐 반송로(100), 식별부(110) 등의 도시를 생략한 스태커 유닛(SU)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는 도시하지 않은 지폐 공급 수단(30)으로부터 지폐 반송로(100)에 송출되어 제1 게이트(120), 및 제2 게이트(122)를 거쳐 정규 반송로(100a)로 이송되어 온 1매째의 지폐(B1)가 지폐 카운트 센서(CS)에 도달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제어 수단(200)은 날개 바퀴 모터(21)를 구동 개시시켜 날개 바퀴(10)를 화살표로 나타낸 지폐 수납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6의 (b)에 나타내는 것처럼 오른쪽 방향의 지폐 공급 위치(100A)로부터 날개 바퀴의 외주로 이송되어 온 지폐(B1, B2, B3,···)를 차례로 각 지폐 유지 공간(17)에 삽입시킨다. 이 때에, 지폐 카운트 센서(CS)가 통과하는 지폐 매수를 카운트한다.
하나의 지폐 유지 공간(17)에 삽입되어 유지된 1매째의 지폐(B1)의 내경측 장변(삽입 방향 선단(先端)측 장변)이 날개 바퀴의 회전에 따라서 날개 바퀴 가이드(26)의 상면(스토퍼)(26a)에 접하면 지폐(B1)는 그 이상 날개 바퀴의 회전에 추종하지 못하고, 지폐 유지 공간(17)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집적 에어리어(SA)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시점에서는 지폐 집적 에어리어(SA)에는 제1 집적부(51)가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방출되어 온 지폐(B1)는 제1 집적부를 구성하는 베이스판(54)의 제1 면(54a)과 제1 바닥판(56)의 지폐 지지면(56a)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후속의 지폐(B2, B3,··)도 마찬가지로 지폐(B1)의 전면(前面)에 차례로 적층된다(도 6의 (c)).
도 6의 (d)는 소정 매수, 본 예에서는 100매의 지폐(BB1)가 제1 집적부(51)에 집적을 완료한 시점을 나타내고 있고, 마지막 100매째의 지폐가 지폐 카운트 센서(CS)를 통과하여, 날개 바퀴의 지폐 유지 공간(17)을 거쳐 제1 집적부(51)에 집적된 후에 날개 바퀴(10)가 정지하고, 지폐 공급 수단(30)에 의한 지폐 공급, 지폐 반송로(100)에 의한 반송도 정지한다. 덧붙여, 이 시점에서, 후속의 101매째의 지폐는 지폐 공급 위치(100A)의 직전까지 와서 정지하고 있어도 되고, 지폐 공급 수단(30)에 의해 이미 송출되어 있는 102매째 이후의 후속의 지폐도 지폐 반송로(100) 내에서 정지하고 있어도 된다.
본 예와 같이 스태커 유닛(SU)이 단일인 경우, 그 이외의 스태커 유닛으로 지폐를 반송할 수 없기 때문에, 단일의 스태커 유닛(SU) 내에 있어서의 모든 지폐의 반송이 정지한다. 다만, 후술하는 것처럼 복수의 스태커 유닛을 연결했을 경우는 101매째 이후의 지폐를 다른 스태커 유닛에 연속하여 집적 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지폐 반송로를 정지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에, 도 6의 (e)는 집적 트레이 구동 기구(70)를 구동함으로써 집적 트레이(50)를 180도 회전시키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지폐 카운트 센서(CS)로부터의 카운트 신호에 의해 제어 수단(200)이 100매의 지폐 다발(BB1)이 제1 집적부(51)에 집적 완료한 것을 판정하고, 또한 제3 지폐 유무 검지 센서(S3)에 의해 집적 지폐 다발 취출 에어리어(80)에 다른 지폐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후에 집적 트레이를 180도 회전시킨다.
도 7의 (f)는 집적 트레이(50)가 도 6의 (d)에 도시한 지폐 집적 위치(P1)로부터 180도 회전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에서는 제2 집적부(61)(바닥판(57))가 지폐 집적 위치로 이동해 가고 있다. 이것과 동시에 제1 집적부(51)가 취출 에어리어(80) 측의 비집적 위치(P2)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집적부 내에 유지되어 있던 지폐 다발(BB1)은 취출 에어리어(80)로 이동하고 외부로 취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7의 (g)에서는, 제1, 및 제2 지폐 유무 검지 센서(S1, S2)에 의해 집적 에어리어(SA)에 지폐가 없는 것을 확인한 후에, 지폐 공급 수단(30)에 의한 인출과, 지폐 반송로(100)에 의한 지폐 반송을 재개하고, 지폐 카운트 센서(CS)가 지폐의 진입을 검지한 후에 날개 바퀴의 회전을 재개한다.
이와 같이 제어 수단(200)은, 지엽 집적 위치에 있는 제1 집적부(51)에 소정 매수의 지엽이 집적 완료되었을 때 지엽 공급 반송 수단(30, 100)에 의한 지엽 공급 반송 동작, 및 날개 바퀴에 의한 지엽 방출 동작을 정지하고, 집적 트레이가 소정 각도 회전하여 제2 집적부(61)가 지엽 집적 위치로 이행해 왔을 때 지엽 공급 반송 동작, 및 지엽 방출 동작을 재개한다.
즉, 본 구성예에서는, 제1 집적부(51)로의 100매의 지폐의 집적이 완료되었을 때 지폐 공급 수단(30)에 의한 조출, 반송을 계속하는 것은 아니라, 집적이 완료되고 나서 집적 트레이(50)가 180도 회동하여 제1 집적부(51) 내의 지폐 다발이 취출 에어리어(80) 측으로 이동할 때까지 새로운 지폐의 조출, 반송은 재개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중단 시간은 1초 이내에 머무르기 때문에, 15매/초 정도의 고속 계수 처리가 요구되는 경우에도, 전체적인 처리 속도를 현저하게 지연시키는 일은 없다.
덧붙여, 도 7의 (g)에 있어서 제1, 및 제2 지폐 유무 검지 센서(S1, S2)에 의해 집적 에어리어(SA)에 지폐가 남아 있는 것이 검지되었을 경우는 에러로 한다.
도 7의 (h)는 날개 바퀴에 의한 지폐의 취입이 재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각 지폐 유지 공간(17) 내에 차례로 1매씩 지폐(B101, B102, B103,···)를 유지한다.
도 7의 (i)에서는, 도 6의 (c)와 마찬가지로 지폐 유지 공간(17)에 유지된 101매째의 지폐(B101)와 그 이후의 지폐(B102, B103,···)가 날개 바퀴의 회전에 따라서 날개 바퀴 가이드(26)의 상면(스토퍼)(26a)에 접함으로써 지폐 유지 공간으로부터 이탈하여 집적 에어리어(SA)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집적부(61)에 차례로 적층된다.
덧붙여, 제1 집적부(51)에 집적된 지폐 다발(BB1)이 취출 에어리어(80)로 이동해 간 이후, 즉 도 7의 (f)의 단계 이후, 언제라도 지폐 다발(BB1)을 취출할 수 있다.
도 7의 (j)에서는 200매째의 지폐(B200)가 지폐 카운트 센서(CS)를 통과하고 나서 제2 집적부(61)에 집적된 후, 날개 바퀴가 정지한다. BB2는 101매째 B101부터 200매째 B200까지의 100매로 이루어지는 지폐 다발을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는 도 6의 (d)의 상태와 동등하고, 도 6의 (e), 도 7의 (f)~(j)를 반복함으로써 연속한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즉, 제2 집적부(61)에 200매째의 지폐가 집적된 것이 판정된 시점에서 지폐 공급 수단(30), 지폐 반송로(100)에 의한 반송을 중단함과 아울러, 취출 에어리어(80)에 지폐 다발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집적 트레이(50)를 180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1 집적부(51)를 집적 에어리어(SA)로 복귀시킨 타이밍에서 지폐 공급 수단(30), 지폐 반송로(100)에 의한 조출, 반송을 재개함으로써, 201매째 이후의 지폐의 집적을 개시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8의 순서도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지폐 처리 장치에 의한 지폐 계수 절차(지폐 집적 방법)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계수 처리를 개시하기 위해서 스텝 S1에 있어서 지폐 공급 수단(30), 및 지폐 반송로(100)(지폐 공급 반송 수단)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계수 전의 지폐 다발(BBa)의 최하부로부터 1매씩 지폐를 취출하여 지폐 반송로(100)로 송출한다. 덧붙여, 이 시점에서 날개 바퀴 모터(21)를 구동하게 두어도 된다.
지폐 반송로(100)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지폐가 식별부(110)를 통과할 때 진안, 및 권종에 대한 판정을 받는다(스텝 S2, S3). 해당 지폐가 진짜가 아니거나, 혹은 계수 대상으로 하는 소정의 권종이 아닌 경우에는 제2 게이트(122)를 작동시켜 리젝트 반송로(100c)를 경유하여 리젝트부(130)로 반송한다(스텝 S4). 해당 지폐가 진짜이고, 또한 소정의 권종인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하여, 날개 바퀴 모터(21)를 구동한다. 덧붙여, 스텝 S1에 있어서 날개 바퀴 모터를 이미 구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당연 이 시점에서의 구동은 불필요하다.
그 다음에, 스텝 S6에 있어서 소정 매수, 본 예에서는 100매의 지폐가 지폐 카운트 센서(CS)를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통과 완료된 경우에는 지폐 공급 수단(30), 지폐 반송로(지폐 공급 반송 수단)(100), 및 날개 바퀴 모터를 정지한다(스텝 S7).
그 다음에, 스텝 S8에 있어서 지폐 유무 검지 센서(S1, S2, S3) 중 어느 것이 지폐를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어느 센서에 의한 검지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9에 있어서 집적 에어리어(SA)를 검지 대상으로 하는 지폐 유무 검지 센서(S1, S2)가 지폐를 검지하지 않고, 취출 에어리어(80)를 검지 대상으로 하는 지폐 유무 검지 센서(S3)만이 지폐를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지폐 유무 검지 센서(S3)만이 지폐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집적 에어리어(SA)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다음의 100매의 반송, 계수를 개시하기 위해서 스텝 S1로 이행한다. 또, 스텝 S9가 NO인 경우에는 스텝 S10에 있어서 모든 센서(S1, S2, S3)가 지폐를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모든 센서가 지폐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취출 에어리어(80)로부터의 지폐의 빼냄을 대기하고(스텝 S11), 지폐가 빼내졌을 경우(스텝 S12, YES)에는 스텝 S15로 진행하여 집적 트레이 모터(71)를 구동하여 집적 트레이(50)를 180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그때까지 집적 에어리어(SA)에 위치하고 있던 제1 집적부(51)(지폐 다발을 유지하고 있음)가 취출 에어리어(80) 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그때까지 취출 에어리어(80) 측에 위치하고 있던 제2 집적부(61)(지폐 다발의 유지 없음)가 집적 에어리어(SA)로 이동한다.
스텝 S10에 있어서 NO인 경우에는 스텝 S13에 있어서 집적 에어리어(SA) 측의 센서(S1, S2)만이 지폐를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NO인 경우에는 취출 에어리어(80) 측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스텝 S15로 이행하여 집적 트레이를 회전시킨다. 스텝 S13이 YES인 경우에는 취출 에어리어(80) 측에 지폐가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에러로 한다(스텝 S14).
스텝 S15에 있어서는, 정규 반송로(100a)에 마련한 포토 인터럽터(76)가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52)에 마련한 홈 포지션 검지판(75)을 검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집적 트레이(50)의 홈 포지션을 판정함으로써, 집적 트레이를 180도 회전시켰을 때 홈 포지션에 정지시킨다. 이 단계에서 계수 처리를 재개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스텝 S16에 있어서, 지폐 공급 수단(지폐 공급 반송 수단)(30), 지폐 반송로(지폐 공급 반송 수단)(100), 및 날개 바퀴 모터를 구동 재개함으로써 후속의 지폐 100매의 반송, 계수 처리를 재개한다.
스텝 S7에 있어서의 날개 바퀴 모터 등의 정지로부터 스텝 S16의 처리 재개까지는, 불과 1초 미만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 집적 방법(지엽 처리 방법)은, 지엽 집적 위치(P1)에 있는 제1 집적부(51)에 소정 매수의 지엽이 집적 완료되었을 때 지엽 공급 반송 수단에 의한 지엽 공급 동작, 및 날개 바퀴에 의한 지엽 방출 동작을 정지하고, 집적 트레이가 소정 각도 회전하여 제2 집적부(61)가 지엽 집적 위치로 이동해 갔을 때 지엽 공급 동작, 및 지엽 방출 동작을 재개하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지폐 처리 장치(1), 및 지엽 처리 장치(1)에 의한 지엽 집적 방법(지엽 처리 방법)에 의하면, 날개 바퀴의 하나의 유지 공간(17)에는 1매의 지폐만이 유지되고, 복수 매를 유지하는 일이 없으므로, 하나의 유지 공간 내에서 지폐가 충돌, 잼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 하나의 유지 공간 내에 1매씩 유지된 지폐가 유지 공간 내에 지폐를 공급하는 지폐 공급 위치(100A)에 주회(周回) 이동하기 전에 집적 에어리어(SA)에 차례로 방출되어 가기 때문에, 각 집적부(51, 61)에 집적되는 지폐의 적층 순서가 공급시의 순서와 항상 일치하고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지폐 공급 수단(30)으로부터 공급되는 지폐의 일련번호를 1매마다 차례로 판독하고, 반송된 순서대로 기록, 활용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에 적합이다.
또, 제1 집적부(51)에 소정 매수의 지폐가 집적 완료된 시점에서 집적 트레이(50)를 회전시켜 빈 상태에 있는 제2 집적부(61)를 집적 에어리어(SA)로 이행시킬 수 있으므로, 집적 에어리어(SA)에 집적 완료된 지폐 다발을 수동으로 취출하는 일 없이, 취출 에어리어 내의 지폐 다발과는 분리하여 후속 지폐를 계속하여 집적할 수 있다. 날개 바퀴로의 지폐 공급, 및 날개 바퀴로부터 집적 에어리어(SA)로의 지폐 방출을 정지시키는 것은 집적 트레이(50)를 회전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 약 1초 남짓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중단 시간이 짧아져, 대량의 지폐의 계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집적 트레이가 2개의 집적부(51, 61)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동시에 2개의 지폐 다발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취출 에어리어(80) 측에 기(旣)집적 지폐 다발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도 병행하여 집적 에어리어(SA) 측에서의 집적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다음의 계수를 개시시키기 위해서 기집적 지폐 다발을 즉시 취출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불리 불편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계수 작업 중에 작업자가 지폐 다발을 취출 에어리어(80)로부터 취출하여 묶는 등의 다른 작업을 행하기 위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2:변형예]
다음에, 도 9의 (a) 및 (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태커 유닛을 복수 연결했을 경우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덧붙여, 도 1 내지 도 4의 지폐 처리 장치의 기본 구성과 도 5의 스태커 유닛의 기본 구성을 함께 참조하고,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한 구성, 및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있어서 설명한 것처럼 지폐 처리 장치(1)의 지폐 반송로(100)는 정규 반송로(100a)의 상류 측에 정규 반송로와 변행하여 연장되는 분기 반송로(100b)를 구비하고 있다. 분기 반송로(100b)는 제1 게이트(120)에 의해 정규 반송로(100a)로 향하는 경로와는 분기되며, 날개 바퀴, 및 집적 트레이의 상방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도 9의 (a)에서는 지폐 처리 장치(1)에 상비되어 있는 제1 스태커 유닛(SU1)의 측면(취출 에어리어(80)의 외측)에 대해서 제2 스태커 유닛(SU2)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연결 기구의 상태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비스(vis) 고정 등에 의해 연결 가능하게 구성한다. 제1 스태커 유닛(SU1)과 제2 스태커 유닛(SU2)의 구성은 거의 같다. 도시와 같이 2개의 스태커 유닛을 연결했을 때 제1 스태커 유닛(SU1) 내부의 분기 반송로(100b)의 종단부에 마련한 배출부(100b')가 제2 스태커 유닛(SU2)의 분기 반송로(100b)의 시단부에 마련한 수용부(100b")와 연통하여 반송되어 온 지폐를 스무스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스태커 유닛(SU2)의 분기 반송로(100b)의 종단부에도 배출부(100b')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스태커 유닛을 연결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장치 구성에 의하면, 제1 스태커 유닛(SU1)의 집적 트레이(50)의 제1, 및 제2 집적부(51, 61)가 모두 집적 지폐에 의해 가득 찬 상태로 되어 있었다고 해도, 그때까지 정규 반송로(100a)를 개방하고 있던 제1 게이트(120)를 분기 반송로(100b)를 개방하도록 전환함으로써, 취출 에어리어(80) 내의 집적 지폐 다발을 취출하지 않고, 제2 스태커 유닛(SU2)을 이용하여 후속의 지폐의 계수, 집적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있어서는 묶음, 계수 등에 따라서 부수하는 사람 손에 의한 작업을 행하는 시간적 여유를 보다 길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리젝트부(130)는 제1 스태커 유닛(SU1)에만 마련하면 되고, 연결용의 제2 스태커 유닛(SU2) 이후의 스태커 유닛(SU3,···)에는 리젝트부(130)를 마련할 필요는 없다.
제2 스태커 유닛(SU2)과 도 9의 (b)에 도시한 연결용의 다른 스태커 유닛(SU3, SU4)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시와 같이 몇 대라도 연결할 수 있다.
스태커 유닛 자체가 소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 대를 연결한다고 하더라도, 점유 면적은 그다지 넓어지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0의 (a) 내지 (e)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 및 동작 절차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덧붙여, 도 1 내지 도 4의 지폐 처리 장치의 기본 구성과 도 5의 스태커 유닛의 기본 구성을 함께 참조하고,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한 구성, 및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는 집적 트레이(50)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의 집적 트레이와 다르다.
즉,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는, 날개 바퀴(10)와, 지폐(지엽) 공급 수단(30)과, 집적 트레이(50)와, 집적 지폐(지엽) 취출 에어리어(80)와, 제어 수단(200)을 구비한다. 집적 트레이(50)는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하여 날개 바퀴와 대면하는 지폐 집적 위치(지폐 집적 자세)(P1)와, 날개 바퀴와 대면하지 않는 비집적 위치(비집적 자세)(P2)와의 사이에서 정역회동(정역회전)하는 단일의 집적부(63)를 구비한다. 단일의 집적부(63)는 지폐 집적 위치에 있을 때에는 방출되어 오는 지폐가 소정 매수에 도달할 때까지 지폐를 계속 집적하고, 소정 매수까지의 집적이 완료됐을 때 이후에 정회전하여 비집적 위치(P2)로 이동함으로써 집적부(63) 상의 집적 지폐 다발(BB)을 지폐 다발 취출 에어리어(80)로 배출한다. 집적 지폐 다발을 지폐 다발 취출 에어리어(80)로 배출한 후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지폐 집적 위치(P1)로 복귀하여 다음 지폐의 집적에 대비한다.
즉,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집적 트레이(50)에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52)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집적부(51, 61)를 마련하지 않고, 하나의 집적부(63)만을 마련하고 있다. 집적부(63)는 집적 위치에 있을 때 집적한 지폐 다발을, 집적 완료 후에는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하여 비집적 위치(P2)로 회전 이동하여 지폐 다발 취출 에어리어(80)로 배출한다. 배출 후는 역회전 이동함으로써 원래의 집적 위치로 복귀한다.
본 예에 따른 집적 트레이(50)는, 정면 형상이 대략 L자 모양을 이루고 있고,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52)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척인 암부(67)와, 암부(67)의 선단(선부(先部))으로부터 90도 굴곡되어 연장되는 지폐 재치판(68)을 구비하고 있다. 지폐 재치판(68)이 집적부(63)를 구성하고 있다.
집적 트레이는 도시하지 않은 집적 트레이용 모터(71)에 의해 구동되는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52)의 회동에 의해서 도 10의 (a)에 도시한 초기 상태(지폐 집적 위치(P1))와 도 10의 (c)에 도시한 비집적 위치(P2)와의 사이를 회동한다.
도 10의 (a)에 도시한 초기 상태에서는 지폐 재치판(68)은 지폐 집적 위치(P1)에 있어서 대략 수평인 자세를 유지하고 있어, 이 지폐 집적 위치에 있을 때 날개 바퀴(10)로부터 1매씩 방출되어 오는 지폐를 상면에 받아 집적시킨다(도 10의 (b)). 즉, 도 10의 (a)과 같이 집적부(63)가 지폐 집적 위치(P1)에 있을 때 도시하지 않은 지폐 공급 수단(30), 지폐 반송로(100), 날개 바퀴 모터(21), 및 집적 트레이용 모터(71)를 구동함으로써 날개 바퀴의 각 지폐 유지 공간(17)에 대해서 1매씩 지폐가 공급되어 유지된다. 지폐 유지 공간 내의 지폐는 날개 바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날개 바퀴 가이드(26)의 상면(26a)에 접함으로써 지폐 유지 공간 내로부터 배출되어 집적 에어리어(SA)로 방출되어, 지폐 집적 위치(P1)에 있는 집적부(63) 상에 차례로 세워진 상태로 집적된다. 소정 매수가 집적을 완료하면 집적 트레이(50)를 도 10의 (c)와 같이 상방으로 90도 회동시킴으로써 취출 에어리어(80)에 집적 지폐 다발(BB1)을 방출한다. 즉, 도 10의 (b)의 상태로부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52)이 상승 방향으로 90도 회동함으로써 지폐 재치판(68)은 대략 수직인 자세로 되어 유지되어 있던 집적 지폐 다발(BB1)을 취출 에어리어(80)(지폐 다발 유지면(83)) 상으로 방출한다(도 10의 (c)).
집적 지폐 다발을 취출 에어리어로 방출한 후에 집적 트레이용 모터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집적 트레이(50)를 원래의 지폐 집적 위치(P1)로 복귀시키고 다음 지폐의 집적을 대기한다(도 10의 (d)). 도 10의 (e)에 나타내는 것처럼 취출 에어리어(80) 상으로 방출된 집적 지폐 다발(BB1)이 남아 있는 상태여도, 지폐 집적 위치(P1)에 있는 집적부(63)에 의해 후속 지폐의 집적을 계속할 수 있다. BB2는 후속의 집적 지폐 다발을 나타낸다.
취출 에어리어(80) 상으로 방출된 집적 지폐 다발(BB1)이 취출된 것이 도시하지 않은 지폐 유무 검지 센서(S3)에 의해 검지된 후에는, 집적 트레이(50)를 90도 상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집적 지폐 다발(BB2)을 취출 에어리어(80)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집적 에어리어(SA)에는 지폐 재치판(68)(집적부(63)) 상에 기립 상태로 유지 되는 지폐 다발(BB1)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 지지부(82)가 배치되어 있고, 배면 지지부(82)의 상부 후방에는 취출 에어리어(80)를 구성하는 플랫한 지폐 다발 유지면(83)이 마련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날개 바퀴의 하나의 유지 공간(17)에 복수 매의 지폐가 유지되는 일이 없으므로 지폐끼리의 충돌, 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집적부에 집적되는 지폐의 적층 순서가 공급시의 순서와 항상 일치하고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지폐 공급 수단(30)으로부터 공급되는 지폐의 일련번호를 1매마다 차례로 판독하고, 반송된 순서대로 기록, 활용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에 적합이다.
또, 집적부(63)에 소정 매수의 지폐가 집적된 시점에서 집적 트레이(50)를 회전시켜 취출 에어리어(80)로 배출하고 나서 즉시 지폐 집적 위치(P1)로 복귀하므로, 집적 에어리어(SA)에 집적 완료된 지폐 다발을 수동으로 취출하는 일 없이, 취출 에어리어 상의 지폐 다발과는 분리하여 후속 지폐를 계속하여 집적할 수 있다. 날개 바퀴로의 지폐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은 집적 트레이(50)를 90도 회전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 약 0.5초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중단 시간이 짧아져, 대량의 지폐의 계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나의 집적부(63)에 의한 신속한 왕복 동작에 의해, 집적부(63)는 취출 에어리어(80) 측으로 집적 지폐 다발을 배출한 후에도 즉시 지폐 집적 위치로 복귀할 수 있으므로, 거의 끊임없이 집적 에어리어(SA) 측에서의 집적 재개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다음의 계수를 개시시키기 위해서 취출 에어리어로부터 기집적 지폐 다발을 즉시 취출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불리 불편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계수 작업 중에 작업자가 지폐 다발을 취출 에어리어(80)로부터 취출하여 묶는 등의 다른 작업을 행하기 위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계수, 집적을 위한 처리 절차는, 도 8의 순서도에 준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복수의 스태커 유닛(SC)을 접속하는 구성도 본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1의 (a) 내지 (f)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 및 동작 절차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덧붙여, 도 1 내지 도 4의 장치의 기본 구성과 도 5의 스태커 유닛의 기본 구성을 함께 참조하고,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한 구성, 및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는 집적 트레이(50)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의 집적 트레이와 다르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집적 트레이는 180도의 원주 방향 간격으로 배치된 2개의 집적부(51, 61)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예의 집적 트레이(50)는 120도의 원주 방향 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집적부(90, 91, 92)를 구비하고 있다. 3개의 집적부(90, 91, 92)는 집적 트레이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 순서대로 지폐 집적 위치(P1)로 주회(周回) 이동해 가도록 배치된다.
집적 트레이(50)는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52)으로부터 120도의 원주 방향 간격으로 방사 모양으로 돌출된 3개의 베이스판(95)과, 각 베이스판의 선단부(외경측 단 가장자리)에 대략 90도 굴곡되어 연결된 3개의 바닥판(96)을 구비하고 있다. 각 베이스판(95), 및 각 바닥판(96)의 조합이 각각 집적부(90, 91, 92)를 구성하고 있다.
도 11의 (a)과 같이 제1 집적부(90)가 지폐 집적 위치(P1)에 있을 때 도시하지 않은 지폐 공급 수단(30), 지폐 반송로(100), 날개 바퀴 모터(21), 및 집적 트레이용 모터(71)를 구동함으로써, 지폐 공급 위치(100A)로부터 날개 바퀴의 각 지폐 유지 공간(17)에 대해서 1매씩 지폐가 공급되어 유지된다. 지폐 유지 공간 내의 지폐는 날개 바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날개 바퀴 가이드(26)의 상면(26a)에 접함으로써 지폐 유지 공간 내로부터 배출되어 집적 에어리어(SA)로 방출되어, 지폐 집적 위치(P1)에 있는 제1 집적부(90) 상에 차례로 세워진 상태(기립 상태)로 집적된다. 제1 집적부(90) 상으로의 소정 매수의 집적을 완료하면 집적 트레이(50)를 도 11의 (c)와 같이 상방으로 120도 회동시켜 정지시킨다. 이 때, 그때까지 비집적 위치(P2)(취출 에어리어(80))에 있던 제2 집적부(91)가 지폐 집적 위치(P1)에 와서 정지한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은 절차로 날개 바퀴로부터 방출된 지폐가 제2 집적부(91) 상에 차례로 집적된다(도 11의 (d)). 제2 집적부(91) 상으로의 소정 매수의 지폐의 집적이 완료되면, 집적 트레이(50)를 도 11의 (e)와 같이 상방으로 120도 회동시켜 정지시킨다. 이 때, 그때까지 비집적 위치(P2)(취출 에어리어(80))에 있던 제3 집적부(92)가 지폐 집적 위치(P1)에 와서 정지한다.
도 11의 (e)에 있어서 제1 집적부(90) 내의 집적 지폐 다발(BB1)은 취출 에어리어(80)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도 11의 (f)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1 집적부(90) 내의 집적 지폐 다발(BB1)을 취출하지 않은 상태여도, 지폐 집적 위치(P1)에 있는 제3 집적부(92) 상에 대해서 날개 바퀴로부터의 지폐를 집적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날개 바퀴의 하나의 유지 공간(17)에 복수의 지폐가 유지되는 일이 없으므로, 하나의 유지 공간 내에서 지폐가 충돌, 잼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 집적부에 집적되는 지폐의 적층 순서가 공급시의 순서와 항상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폐 공급 수단(30)으로부터 공급되는 지폐의 일련번호를 1매마다 차례로 판독하고, 반송된 순서대로 기록, 활용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에 적합이다.
또, 3개의 집적부(90, 91, 92) 중 한 집적부(90)에 소정 매수의 지폐가 집적된 시점에서 집적 트레이(50)를 120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집적부(90) 내의 집적 지폐 다발(BB1)을 보류 위치에서 유지하는 한편으로, 다음의 제2 집적부(91)를 지폐 집적 위치(P1)로 이동시켜 후속 지폐의 집적을 연속하여 실시한다. 제2 집적부(91) 상에서의 집적이 완료된 시점에서 집적 트레이(50)를 추가로 120도, 같은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3 집적부(92)를 지폐 집적 위치에 출현시킴과 동시에 집적 지폐 다발(BB1)을 유지한 제1 집적부(90)를 취출 에어리어(80) 내에 이행시킨다. 이 때문에, 취출 에어리어로부터의 집적 지폐 다발의 취출이 가능해지지만, 취출을 행하지 않은 상태여도 제3 집적부(92) 상으로의 후속 지폐의 집적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3개의 집적부가 연속하여 차례로 지폐 집적 위치(P1)로 이동해 가므로, 취출 에어리어로 이동해 온 집적 지폐 다발을 수동으로 취출하는 일 없이, 취출 에어리어 상의 지폐 다발과는 분리하여 후속 지폐를 계속하여 집적할 수 있다. 날개 바퀴로의 지폐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은 집적 트레이(50)를 120도 회전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 약 0.5초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중단 시간이 짧아져, 대량의 지폐의 계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개의 집적부(90, 91, 92)에 의한 신속하고, 또한 연속한 회전 동작에 의해, 각 집적부는 취출 에어리어(80) 측에 집적 지폐 다발을 배출한 후에도 즉시 지폐 집적 위치(P1)로 복귀할 수 있으므로, 끊김없이 집적 에어리어(SA) 측에서의 집적 재개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다음의 계수를 개시시키기 위해서 취출 에어리어로부터 기집적 지폐 다발을 즉시 취출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불리 불편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계수 작업 중에 작업자가 지폐 다발을 취출 에어리어(80)로부터 취출하여 묶는 등의 다른 작업을 행하기 위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계수, 집적을 위한 처리 절차는, 도 8의 순서도에 준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복수의 스태커 유닛(SC)을 접속하는 구성도 본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작용, 효과의 정리>
제1 본 발명에 따른 지엽 처리 장치(1)는 날개 바퀴용 회전축(11),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 모양으로 돌출된 복수의 날개(15), 및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받아들인 1매의 지엽을 출입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엽 유지 공간(17)을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 지엽 유지 공간 내에 각각 유지된 1매의 지엽을 소정의 집적 에어리어(SA)에 차례로 방출하는 날개 바퀴(10)와, 회전하는 날개 바퀴의 각 지엽 유지 공간 내에 지엽을 1매씩 공급하는 지엽 공급 반송 수단(30, 100)과, 집적 에어리어(SA)에 배치되어 각 지엽 유지 공간으로부터 방출되어 온 지엽을 1매씩 적층 상태로 유지함(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집적 트레이(50)와, 집적 트레이에 집적된 지엽 다발의 이송처로서, 지엽 다발을 외부로 취출 가능한 상태로 수납하는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80)와, 구동 기구(20, 70)와, 구동 기구, 그 외의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200)을 구비하고, 집적 트레이(50)는 날개 바퀴와 대면하는 지엽 집적 위치(지엽 수납 자세)(P1)에 있을 때 방출되어 오는 지엽을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엽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 날개 바퀴와 대면하지 않는 비집적 위치(P2)로 회전 이동되는 제1 집적부(집적부)(51, 90)와, 날개 바퀴와 대면하지 않는 비집적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했을 때 지엽 집적 위치로 이동하여 방출되어 오는 지엽을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엽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 비집적 위치로 회전 이동되는 제2 집적부(61, 91)를 적어도 구비하고, 제1 집적부, 및 제2 집적부는, 각각이 비집적 위치에 있을 때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80)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날개 바퀴로부터 1매씩 방출되어 오는 지엽을 집적하는 복수의 집적부를 구비한 집적 트레이(50)를 집적 에어리어(SA)에 배치하고, 집적 트레이를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어느 집적부를 차례로 지엽 집적 위치(P1)로 이동시켜 정지시킴으로써 각 집적부 상에 소정 매수의 지엽을 집적시킨다. 하나의 집적부로의 집적이 완료된 직후에 집적 트레이를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하나의 집적부를 지엽 집적 위치로부터 비집적 위치로 퇴피시킴과 아울러, 그때까지 비집적 위치에 있던 다른 집적부를 지엽 집적 위치로 이동시킨다. 지엽 집적 위치로 이동한 다른 집적부에 대해서는 즉시 지엽의 집적을 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처리의 중단 시간이 짧고, 먼저 집적된 지엽 다발과 그것에 이어서 집적된 다른 지엽 다발을 분리하여 집적할 수 있다.
집적 트레이가 회전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집적 트레이를 반회전시켜 집적 지엽 다발을 유지한 하나의 집적부를 비집적 위치로 퇴피시킴과 아울러, 지엽을 유지하고 있지 않은 다른 쪽의 집적부가 지엽 집적 위치로 이동하므로, 항상 집적을 계속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하나의 집적부가 유지한 집적 지엽 다발을 비집적 위치로 퇴피시킴으로써, 회전 대칭 반대 측에 있던 다른 집적부를 지엽 집적 위치로 이동시켜 후속의 지엽을 집적시키고 있는 동안(후속 지엽이 소정 매수에 도달하기 전)에, 하나의 집적부 상의 집적 지엽 다발을 빼내면, 연속하여 계수, 집적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대량의 지엽을 길게 중단을 하는 일 없이 집적하고 싶은 경우에는, 처음에 집적한 지엽 다발을 취출 에어리어로 이동시킨 후에, 이것을 취출하지 않고 계속하여 지엽 집적 위치에 후속의 지엽의 집적을 계속하면 된다.
취출 에어리어(80)로 소정 매수의 집적 지엽 다발이 이동한 후에도, 처리를 중단하는 시간을 짧게 하면서 후속의 지엽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지엽의 계수, 집적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저가 즉석에서 취출 에어리어(80)로부터 집적 지엽 다발을 빼내지 않아도 계수, 집적 처리를 계속할 수 있기 때문에 번잡함이 경감될 뿐만 아니라, 취출 에어리어 내의 집적 다발을 빼내는 한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근래의 지엽 계수 장치에 있어서는 처리 효율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고, 집적 지엽 다발의 빼냄 대기로 처리가 일시 중단하는 등의 대기 시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1개의 집적 트레이에 의해, 동시에 소정 매수의 지엽 다발을 2세트 집적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스태커 유닛을 구비할 필요도 없어, 장치의 대형화나 고비용화하는 일이 없다.
또, 날개 바퀴의 날개 사이에 잼 등의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안정되고 확실하게, 소정의 매수의 지엽 다발과, 그것에 잇따르는 지엽 다발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 지엽 공급 수단(30, 100)에 의해 공급, 반송된 순서대로 지엽을 집적 트레이 상에 집적시킬 수 있으므로, 지엽 급송시에 실시함으로써 얻은 일련번호의 판독 순서 정보와 집적 지엽 다발 내의 집적 순서를 같게 할 수 있다.
덧붙여, 제1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집적 트레이의 집적부가 2개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3개 이상인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 수단(200)은 지엽 집적 위치(P1)에 있는 제1 집적부(51, 90)에 소정 매수의 지엽이 집적 완료되었을 때 지엽 공급 수단(30, 100)에 의한 지엽 공급 동작, 및 날개 바퀴에 의한 지엽 방출 동작을 정지하고, 집적 트레이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제2 집적부(61, 91)를 지엽 집적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 지엽 공급 동작, 및 지엽 방출 동작을 재개한다.
상기 장치 구성에 더하여, 지엽 방출 동작 등의 정지와, 그 후의 지엽 방출 동작 등의 재개를 실시함으로써, 필요 최소한의 중단 시간을 두는 것만으로 계수, 집적 처리를 재개할 수 있다.
종래의 지엽 계수 장치는, 집적을 마치고 취출 위치로 배출된 지엽 다발을 취출하지 않는 한, 다음의 집적 작업을 계속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지엽 다발을 취출하지 않아도 집적 트레이가 회전하는데 필요로 하는 매우 짧은 시간을 대기하면 집적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제2의 본 발명에 따른 지엽 처리 장치에서는, 제어 수단(200)은 지엽 공급 수단(30, 100)으로부터 1매씩 공급되어 온 지엽을 하나의 지엽 유지 공간(17)에 1매만 유지시킴으로써, 지엽 유지 공간으로부터 방출되어 제1 집적부, 또는 제2 집적부에 집적되는 지엽을 지엽 공급 수단에 의한 공급 순서대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엽 유지 공간에 유지된 1매의 지엽은 360도 주회(周回)하는 도중에 반드시 집적 에어리어로 배출되고, 주회 후에 지엽 공급 위치(100A)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하나의 지엽 유지 공간 내에 복수 매의 지엽이 수용되지 않는다.
각 지엽 유지 공간(17) 내에는 급송되어 온 순서대로 지엽이 유지되고, 또한 유지된 지엽은 날개 바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급송되어 온 순서와 같은 순서로 집적 에어리어로 방출되어 집적되므로, 지엽 공급 수단에 의한 공급 순서대로 집적 트레이 상에 집적할 수 있다.
제3의 본 발명에 따른 지엽 처리 장치에서는, 집적 트레이(50)가 회전할 때의 소정 각도는, 180도, 또는 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집적 트레이를 회전 대칭 형상으로 함으로써 2개의 집적부를 배치했을 경우에는 180도의 회전에 의해 각 집적부의 위치 관계가 바뀐다. 또, 집적 트레이에 3개의 집적부를 배치했을 경우에는, 120도씩의 회전에 의해 각 집적부의 위치 관계가 바뀐다.
3개의 집적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2개의 집적부를 구비한 경우보다도, 하나의 지엽 처리 장치에 의한 집적 계속 시간을 더 장기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의 본 발명에 따른 지엽 처리 장치에서는, 날개 바퀴용 회전축(11),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 모양으로 돌출된 복수의 날개, 및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받아들인 1매의 지엽을 출입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엽 유지 공간(17)을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 지엽 유지 공간 내에 각각 유지된 1매의 지엽을 소정의 집적 에어리어로 차례로 방출하는 날개 바퀴(10)와, 회전하는 날개 바퀴의 각 지엽 유지 공간 내에 지엽을 1매씩 공급하는 지엽 공급 수단(30, 100)과, 집적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각 지엽 유지 공간으로부터 방출되어 온 지엽을 1매씩 적층 상태로 유지함과 아울러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집적 트레이(50)와, 집적 트레이에 집적된 지엽 다발의 이송처로서, 지엽 다발을 외부로 취출 가능한 상태로 수납하는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80)와, 구동 기구(20, 70)와, 각종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200)을 구비하고, 집적 트레이는 날개 바퀴와 대면하는 지엽 집적 위치에 있을 때 방출되어 오는 지엽을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엽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 날개 바퀴와 대면하지 않는 비집적 위치로 역회전 이동되는 집적부(63)를 구비하고, 집적부는 비집적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집적부 상의 집적 지엽 다발을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로 배출하고, 그 배출의 종료 후에 지엽 집적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의 발명에 따른 지엽 처리 장치는 도 10의 실시 형태에 대응하고 있고, 제1의 본 발명에 따른 지엽 처리 장치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제1 지엽 처리 장치와 다른 점은, 집적부를 1개만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단일의 집적부를 정회전, 역회전 동작시킴으로써 지엽 집적 위치(P1)와 비집적 위치(P2)와의 사이를 왕복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청구항 1에 따른 장치 구성과 동등한 계수, 집적 처리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또한 취출 에어리어에 집적 지엽을 방치한 상태로 후속의 지엽의 집적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집적부가 하나이며, 회동 각도 범위를 90도 정도로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집적 트레이를 정회전시키고 나서 역회전시켜 집적 위치로 복귀시킬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과 같이 집적 트레이를 360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을 택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200)은 지엽 집적 위치(P1)에 있는 집적부(63)에 소정 매수의 지엽이 집적 완료되었을 때 지엽 공급 반송 수단에 의한 지엽 공급 동작, 및 날개 바퀴에 의한 지엽 방출 동작을 정지하고, 집적부를 비집적 위치(P2)로 회전 이동시켜 집적부 상의 집적 지엽 다발을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80)로 배출시키고 나서 역회전시켜 지엽 집적 위치로 복귀시키고 나서, 지엽 공급 동작, 및 지엽 방출 동작을 재개시킨다.
지엽 방출 동작 등의 정지와, 그 후의 지엽 방출 동작 등의 재개를 실시함으로써, 필요 최소한의 중단 시간을 두는 것만으로 계수, 집적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제5의 본 발명에 따른 집적 트레이는,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 지엽 유지 공간(17) 내에 각각 유지된 1매의 지엽(B)을 소정의 집적 에어리어(SA)로 차례로 방출하는 날개 바퀴(10)와, 집적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각 지엽 유지 공간으로부터 방출되어 온 지엽을 1매씩 적층 상태로 유지함과 아울러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집적 트레이(50)를 구비한 지엽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집적 트레이로서, 날개 바퀴와 대면하는 지엽 집적 위치(P1)와 날개 바퀴와 대면하지 않는 비집적 위치(P2)와의 사이를 회전 이동하는 제1 집적부(51)와, 날개 바퀴와 대면하지 않는 비집적 위치와 날개 바퀴와 대면하는 지엽 집적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 이동하는 제2 집적부(61)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집적 트레이는 제1, 제3 실시 형태의 집적 트레이에 상당하고 있고, 지엽 처리 장치(1)에 조립했을 때 제1, 3의 각 발명에 상당하는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제6의 본 발명에 따른 집적 트레이는, 지엽 유지 공간(17)을 구비한 날개 바퀴(10)와, 집적 에어리어(SA)에 배치되고 각 지엽 유지 공간으로부터 방출되어 온 지엽을 1매씩 적층 상태로 유지함과 아울러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집적 트레이(50)를 구비한 지엽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집적 트레이로서, 날개 바퀴와 대면하는 지엽 집적 위치와 날개 바퀴와 대면하지 않는 비집적 위치와의 사이를 정역 회전 이동되는 집적부(6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집적 트레이는, 제2 실시 형태의 집적 트레이에 상당하고 있고, 지엽 처리 장치(1)에 조립했을 때 제4의 발명에 상당하는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제7의 본 발명에 따른 지엽 처리 장치에 의한 지엽 집적 방법은, 지엽 집적 위치(P1)에 있는 제1 집적부(51)에 소정 매수의 지엽이 집적 완료되었을 때 지엽 공급 반송 수단에 의한 지엽 공급 동작, 및 날개 바퀴에 의한 지엽 방출 동작을 정지하고, 집적 트레이(50)가 소정 각도 회전하여 제2 집적부(61)가 지엽 집적 위치로 이동해 왔을 때 지엽 공급 동작, 및 지엽 방출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지엽 집적 방법에 의하면, 지엽 방출 동작 등의 정지와, 그 후의 지엽 방출 동작 등의 재개를 실시함으로써, 필요 최소한의 중단 시간을 두는 것만으로 계수, 집적 처리를 재개할 수 있다.
종래의 지엽 계수 장치는, 계수, 집적을 마치고 취출 위치로 배출된 지엽 다발을 취출하지 않는 한, 다음의 집적 작업을 계속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 방법에서는, 지엽 다발을 취출하지 않아도 집적 트레이가 회전하는데 필요로 하는 매우 짧은 시간을 대기하면 집적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제8의 본 발명에 따른 지엽 처리 장치에 의한 지엽 처리 방법은, 지엽 집적 위치(P1)에 있는 집적부(63)에 소정 매수의 지엽이 집적 완료되었을 때 지엽 공급 반송 수단에 의한 지엽 공급 동작, 및 날개 바퀴에 의한 지엽 방출 동작을 정지하고, 집적부를 비집적 위치로 회전 이동시켜 집적부 상의 집적 지엽 다발을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80)로 배출시키고 나서 역회전시켜 지엽 집적 위치로 복귀시키고 나서, 지엽 공급 동작, 및 지엽 방출 동작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지엽 집적 방법에 의하면, 지엽 방출 동작 등의 정지와, 그 후의 지엽 방출 동작 등의 재개를 실시함으로써, 필요 최소한의 중단 시간을 두는 것만으로 계수, 집적 처리를 재개할 수 있다.
종래의 지엽 계수 장치는, 계수, 집적을 마치고 취출 위치로 배출된 지엽 다발을 취출하지 않는 한, 다음의 집적 작업을 계속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지엽 다발을 취출하지 않아도 집적 트레이가 회전하는데 필요로 하는 매우 짧은 시간을 대기하면 집적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1 … 지폐 처리 장치(지폐 계수 장치) 10 … 날개 바퀴
11 … 날개 바퀴용 회전축 12 … 베이스부
15 … 날개 17 … 지엽 유지 공간
20 … 날개 바퀴 구동 기구(구동 기구)
21 … 날개 바퀴 모터 21a … 출력 기어
22 … 중간 기어 23 … 종동 기어
26 … 날개 바퀴 가이드 26a … 상면(스토퍼)
SA … 집적 에어리어(스택 에어리어)
30 … 지폐 공급 수단(지폐 공급 반송 수단)
31 … 조출 롤러 32 … 분리 롤러쌍
32a … 피드 롤러 32b … 브레이크 롤러
50 … 집적 트레이 51 … 제1 집적부
52 …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 54 … 베이스판
54a … 제1 면 54b … 제2 면
56, 57 … 바닥판 56a … 지폐 지지면
56b … 외경측 면 57a … 지폐 지지면
61 … 제2 집적부 63 … 집적부
67 … 암부 68 … 지폐 재치판
70 … 집적 트레이 구동 기구(구동 기구)
71 … 집적 트레이용 모터 71a … 출력 기어
72 … 중간 기어 72a … 소 기어
73 … 종동 기어 75 … 홈 포지션 검지판
76 … 포토 인터럽터 80 … 취출 에어리어
82 … 배면 지지부 83 … 지폐 다발 유지면
85 … 케이싱 90, 91, 92 … 집적부
95 … 베이스판 96 … 바닥판
100 … 지폐 반송로(지폐 공급 반송 수단)
100A … 지폐 공급 위치 100a … 정규 반송로
100b` … 배출부 100b … 분기 반송로
100c … 리젝트 반송로 110 … 식별부
130 … 리젝트부

Claims (8)

  1. 날개 바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 모양으로 돌출된 복수의 날개, 및 인접하는 상기 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받아들인 1매의 지엽을 유지하는 지엽 유지 공간을 구비하고, 회전할 때 상기 각 지엽 유지 공간 내에 각각 유지된 1매의 지엽을 소정의 집적 에어리어로 차례로 방출하는 날개 바퀴와,
    회전하는 상기 날개 바퀴의 상기 각 지엽 유지 공간 내에 지엽을 1매씩 공급하는 지엽 공급 반송 수단과,
    상기 집적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상기 각 지엽 유지 공간으로부터 방출되어 온 지엽을 1매씩 기립 상태로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집적한 지엽 다발을 이송하는 집적 트레이와,
    상기 집적 트레이에 집적된 지엽 다발의 이송처로서, 상기 지엽 다발을 취출 가능한 상태로 수납하는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와,
    구동 기구와,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지엽 처리 장치로서,
    상기 집적 트레이는,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보다도 하방의 지엽 집적 위치에 있을 때 방출되어 오는 지엽을 기립 상태로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엽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보다도 상방의 비집적 위치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회전 이동되어 상기 지엽 다발을 배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제1 바닥판을 구비한 제1 집적부와, 상기 비집적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했을 때 상기 지엽 집적 위치로 이동하여 방출되어 오는 지엽을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엽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 상기 비집적 위치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회전 이동되어 상기 지엽 다발을 배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제2 바닥판을 구비한 제2 집적부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제1 집적부, 및 제2 집적부는, 각각이 상기 비집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집적 트레이는,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에 중간부를 일체화하여 상기 지엽 다발의 배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외경측 각 단 가장자리로부터 90도의 각도로 각각 돌출하고, 상기 지엽 다발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지엽 지지면을 구비한 상기 제1 바닥판 및 상기 제2 바닥판을 가진 회전 대칭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지엽 공급 반송 수단으로부터 1매씩 공급되어 온 지엽을 하나의 상기 지엽 유지 공간에 1매만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지엽 유지 공간으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제1 집적부, 또는 상기 제2 집적부에 집적되는 지엽을 상기 지엽 공급 반송 수단에 의한 공급 순서대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처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집적 트레이가 회전할 때의 상기 소정 각도는, 180도, 또는 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처리 장치.
  4. 날개 바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 모양으로 돌출된 복수의 날개, 및 인접하는 상기 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받아들인 1매의 지엽을 유지하는 지엽 유지 공간을 구비하고, 회전할 때 상기 각 지엽 유지 공간 내에 각각 유지된 1매의 지엽을 소정의 집적 에어리어로 차례로 방출하는 날개 바퀴와,
    회전하는 상기 날개 바퀴의 상기 각 지엽 유지 공간 내에 지엽을 1매씩 공급하는 지엽 공급 반송 수단과,
    상기 집적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지엽 집적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각 지엽 유지 공간으로부터 방출되어 온 지엽을 1매씩 기립 상태로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정역 회전하는 집적 트레이와,
    상기 지엽 집적 위치에 있는 상기 집적 트레이 상에 기립 상태로 유지되는 지엽 다발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 지지부와,
    상기 집적 트레이에 집적된 지엽 다발의 이송처로서, 상기 집적 에어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날개 바퀴와는 반대측인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지엽 다발을 외부로 취출 가능한 상태로 수납하는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와,
    각종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지엽 처리 장치로서,
    상기 집적 트레이는,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보다도 하방의 상기 지엽 집적 위치에 있을 때 방출되어 오는 지엽을 기립 상태로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엽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보다도 상방의 비집적 위치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단일의 집적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적부는, 상기 비집적 위치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90도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적부 상의 집적 지엽 다발을 상기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로 배출하고, 그 배출의 종료 후에 하방으로 90도 역회전하여 상기 지엽 집적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집적 트레이는,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선부(先部)로부터 90도 굴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집적부를 구성하는 지엽 재치판을 구비하며,
    상기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는, 상기 배면 지지부의 상부 후방에 배치된 지엽 다발 유지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처리 장치.
  5. 날개 바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 모양으로 돌출된 복수의 날개, 및 인접하는 상기 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받아들인 1매의 지엽을 유지하는 지엽 유지 공간을 구비하고, 회전할 때 상기 각 지엽 유지 공간 내에 각각 유지된 1매의 지엽을 소정의 집적 에어리어로 차례로 방출하는 날개 바퀴와, 상기 집적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상기 각 지엽 유지 공간으로부터 방출되어 온 지엽을 1매씩 기립 상태로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집적한 지엽 다발을 배출하는 집적 트레이를 구비한 지엽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집적 트레이로서,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보다도 하방의 지엽 집적 위치에 있을 때에 방출되어 오는 지엽을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엽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보다도 상방의 비집적 위치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회전 이동되어 상기 지엽 다발을 배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제1 바닥판을 구비한 제1 집적부와, 상기 비집적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지엽 집적 위치로 이동하여 방출되어 오는 지엽을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엽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비집적 위치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회전 이동되어 상기 지엽 다발을 배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제2 바닥판을 구비한 제2 집적부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집적 트레이는,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에 중간부를 일체화하여 상기 지엽 다발의 배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외경측의 각 단 가장자리로부터 90도의 각도로 각각 돌출하고, 상기 지엽 다발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지엽 지지면을 구비한 상기 제1 바닥판 및 상기 제2 바닥판을 구비한 회전 대칭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집적 트레이.
  6. 날개 바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 모양으로 돌출된 복수의 날개, 및 인접하는 상기 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받아들인 1매의 지엽을 유지하는 지엽 유지 공간을 구비하고, 회전할 때 상기 각 지엽 유지 공간 내에 각각 유지된 1매의 지엽을 소정의 집적 에어리어로 차례로 방출하는 날개 바퀴와, 상기 집적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지엽 집적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각 지엽 유지 공간으로부터 방출되어 온 지엽을 1매씩 기립 상태로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정역 회전하는 집적 트레이와, 상기 지엽 집적 위치에 있는 상기 집적 트레이 상에 기립 상태로 유지되는 지엽 다발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 지지부와, 상기 집적 트레이에 집적된 지엽 다발의 이송처로서, 상기 집적 에어리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날개 바퀴와는 반대측인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지엽 다발을 외부로 취출 가능한 상태로 수납하는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와, 상기 배면 지지부의 상부 후방에 배치된 지엽 다발 유지면을 구비한 지엽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집적 트레이로서,
    상기 집적 트레이는, 상기 날개 바퀴와 대면하는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보다도 하방의 상기 지엽 집적 위치에 있을 때에 방출되어 오는 지엽을 기립 상태로 집적함과 아울러, 집적 지엽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날개 바퀴와는 대면하지 않는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보다도 상방의 비집적 위치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단일의 집적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적부는, 상기 비집적 위치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90도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적부 상의 집적 지엽 다발을 상기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로 배출하고, 그 배출의 종료 후에 하방으로 90도 역회전하여 상기 지엽 집적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집적 트레이는, 상기 집적 트레이용 회전축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선부(先部)로부터 90도 굴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집적부를 구성하는 지엽 재치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집적 트레이.
  7. 청구항 1에 따른 지엽 처리 장치에 의한 지엽 집적 방법으로서,
    상기 지엽 집적 위치에 있는 상기 제1 집적부에 소정 매수의 지엽이 집적 완료되었을 때 상기 지엽 공급 반송 수단에 의한 지엽 공급 동작, 및 상기 날개 바퀴에 의한 지엽 방출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집적 트레이가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제2 집적부가 상기 지엽 집적 위치로 이동해 갔을 때 상기 지엽 공급 동작, 및 상기 지엽 방출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처리 장치에 의한 지엽 집적 방법.
  8. 청구항 4에 따른 지엽 처리 장치에 의한 지엽 집적 방법으로서,
    상기 지엽 집적 위치에 있는 상기 집적부에 소정 매수의 지엽이 집적 완료되었을 때 상기 지엽 공급 반송 수단에 의한 지엽 공급 동작, 및 상기 날개 바퀴에 의한 지엽 방출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집적부를 상기 비집적 위치로 회전 이동시켜 상기 집적부 상의 집적 지엽 다발을 상기 집적 지엽 다발 취출 에어리어로 배출시키고 나서 역회전시켜 상기 지엽 집적 위치로 복귀시키고 나서, 상기 지엽 공급 동작, 및 상기 지엽 방출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처리 장치에 의한 지엽 집적 방법.

KR1020217029029A 2019-04-18 2020-03-03 지엽 처리 장치, 집적 트레이, 및 지엽 집적 방법 KR102595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79154A JP6778782B2 (ja) 2019-04-18 2019-04-18 紙葉処理装置、集積トレイ、及び紙葉集積方法
JPJP-P-2019-079154 2019-04-18
PCT/JP2020/008939 WO2020213272A1 (ja) 2019-04-18 2020-03-03 紙葉処理装置、集積トレイ、及び紙葉集積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444A KR20210124444A (ko) 2021-10-14
KR102595019B1 true KR102595019B1 (ko) 2023-10-27

Family

ID=7283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029A KR102595019B1 (ko) 2019-04-18 2020-03-03 지엽 처리 장치, 집적 트레이, 및 지엽 집적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827470B2 (ko)
EP (1) EP3957584A4 (ko)
JP (1) JP6778782B2 (ko)
KR (1) KR102595019B1 (ko)
CN (1) CN113727927B (ko)
BR (1) BR112021014876A2 (ko)
MX (1) MX2021010178A (ko)
WO (1) WO202021327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44515A1 (en) * 2011-05-06 2014-02-13 Grg Banking Equipment Co., Ltd. Bundling apparatus for sheet-type medium
US20140190132A1 (en) * 2011-03-29 2014-07-10 Alessandro De Matteis Machine for producing stacks of folded sheets of paper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5547A (en) * 1932-05-11 1934-12-25 Irving Trust Co Delivery mechanism
GB628810A (en) * 1946-02-28 1949-09-06 Goss Printing Press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livery mechanism for use with printing or like machines
DE1079078B (de) * 1957-11-19 1960-04-07 Winkler Fallert & Co Maschf Paketausleger mit Auslegesternen zum Auslegen von gefalzten oder ungefalzten Papierbogen in Paketen
AU530927B2 (en) * 1978-11-03 1983-08-04 Carta Mundi Collator
JPS59182156A (ja) 1983-03-31 1984-10-16 Toshiba Corp 紙葉類回収装置
FR2569171B1 (fr) * 1984-08-20 1987-02-20 Sud Loire Atlantique Mecanique Dispositif pour empiler un nombre predetermine d'objets plats, tels que des enveloppes, circulant a grande vitesse
US5074433A (en) * 1989-12-04 1991-12-24 Technitrol, Inc. Document delivery and abort mechanism
IT1253271B (it) * 1991-10-09 1995-07-14 Rent Dispositivo di accumulo e conteggio di oggetti in materiale cartaceo
JP2003054820A (ja) * 2001-08-09 2003-02-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DE10234970B4 (de) 2002-07-31 2005-04-28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apeln von Blattgut
CN203921292U (zh) * 2014-05-04 2014-11-05 天津天辉机械有限公司 一种手帕纸自动理片码垛装置
JP2016113232A (ja) * 2014-12-11 2016-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0132A1 (en) * 2011-03-29 2014-07-10 Alessandro De Matteis Machine for producing stacks of folded sheets of paper and method therefor
US20140044515A1 (en) * 2011-05-06 2014-02-13 Grg Banking Equipment Co., Ltd. Bundling apparatus for sheet-typ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27927A (zh) 2021-11-30
BR112021014876A2 (pt) 2021-11-09
US11827470B2 (en) 2023-11-28
EP3957584A1 (en) 2022-02-23
CN113727927B (zh) 2023-09-15
MX2021010178A (es) 2021-09-21
US20220177253A1 (en) 2022-06-09
EP3957584A4 (en) 2023-06-28
JP6778782B2 (ja) 2020-11-04
KR20210124444A (ko) 2021-10-14
JP2020175989A (ja) 2020-10-29
WO2020213272A1 (ja)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4720B1 (en) Paper sheet processor
JP3861007B2 (ja)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JP2012073875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4240904A (ja) 紙幣入出金装置
RU237313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в стопки
KR102595019B1 (ko) 지엽 처리 장치, 집적 트레이, 및 지엽 집적 방법
JP6778784B1 (ja) 紙葉処理装置、集積トレイ装置、及び紙葉集積方法
RU22735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бумаг
JP5176041B2 (ja) 紙葉類給送機構、還流式紙幣収納装置、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H08198493A (ja) 紙葉類取扱い装置
JP3363041B2 (ja) 自動取引装置
JP4453438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4551675B2 (ja) 紙葉類処理装置
EP3851399B1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JP4663380B2 (ja) 小束紙幣処理機
JPS6224340B2 (ko)
CN114067486A (zh) 集积分离装置
JP2004010346A (ja) 紙葉類搬送装置、紙葉類収納ユニット、紙幣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JP3234156B2 (ja) 紙幣処理機
JP2020086654A (ja) 硬貨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6301093B2 (ja)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集積方法
JP2825246B2 (ja) 帳票取扱い装置
JPH06119524A (ja) 紙幣入出金装置
JPH0225556B2 (ko)
JP2003327340A (ja) 紙葉類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