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394B1 -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394B1
KR102594394B1 KR1020230107557A KR20230107557A KR102594394B1 KR 102594394 B1 KR102594394 B1 KR 102594394B1 KR 1020230107557 A KR1020230107557 A KR 1020230107557A KR 20230107557 A KR20230107557 A KR 20230107557A KR 102594394 B1 KR102594394 B1 KR 102594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nitor
rotating plate
lifting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수
Original Assignee
(주)청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도산업 filed Critical (주)청도산업
Priority to KR1020230107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47B21/007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liftable above the des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의 사용 과정에서 컴퓨터를 이용해 작업을 할 때 모니터의 화면부가 수직상태가 아닌 경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은 물론 그 경사 각도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의 눈과 모니터의 화면부 간의 시야각을 가장 편안한 상태가 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눈이 보호됨은 물론 이로 인해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승강판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회전판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판에 모니터를 고정하고, 상기 회전판은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갖도록 하며, 회전판에 고정된 모니터가 책상의 상판 위로 노출된 시점에서 상기 회전판이 일정 각도만큼 책상 후방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상기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책상의 상판 아래로 숨어 들어가도록 함과 함께 모니터를 사용할 때는 책상의 상판 위로 노출되도록 하면서도 노출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눈과 상기 모니터의 화면부 간 시야각도가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Monitor lifting device of desk}
본 발명은 컴퓨터의 주변기기인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는 책상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책상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모니터를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모니터를 상승시켜 상판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과 함께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고자 할 때는 모니터를 하강시켜 상판 내부에 숨어들어가도록 한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가정, 학교 등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책상(1)은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다리역할을 하면서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판(12)과, 상기 상판(11)과 측판(12)을 지지하면서 후면을 커버하는 후판(13)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일측 측판(12)의 안쪽으로 수납합(14)이 구비되는 사무가구로서, 특히 사무실이나 학교에서는 1인 1책상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책상(1)은 인터넷 시대에 들어서면서 부터 단순한 사무 또는 학습을 위한 구성품으로 사용하는 것을 넘어서 인터넷 게임을 즐기거나 온라인으로 사무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필수적인 사무가구인데,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컴퓨터 장치를 필요로 하고, 상기 컴퓨터 장치는 컴퓨터 본체(101)와 모니터(102) 그리고 키보드(103)로 통상 대표된다고 하겠다.
상기 컴퓨터 본체(2)는 책상(1)의 상판(11) 아래쪽인 일측 측판(12) 안쪽에 구비된 수납함(14)에 수납된 상태로 거치되고, 상기 모니터(102)는 상기 상판(11) 위에 거치되며, 키보드(4)는 상기 상판(11) 위에 거치되거나 아니면 상판(11)의 저면에 별도의 키보드 거치수단을 구비시켜 상기 키보드 거치수단에 거치되는데, 상기 컴퓨터 장치는 항상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는 책상 위에 거치된 모니터(102)가 업무 또는 학습을 방해하게 됨은 물론 상기 모니터(102)의 경우 상기 상판(11)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불편해 하기도 한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면서 부터는 책상에 모니터 승강장치를 적용시켜 사용자가 업무중이나 학습중에 모니터(102)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모니터(102)를 책상(1)의 상판(11) 위쪽으로 노출되게 상승시키고, 사용하지 않고자 할 때에는 상기 모니터(102)를 책상(1)의 상판(11) 아래로 숨어들어가게 하강시키고 있는데, 이 때 필요한 장치가 모니터 승강장치이고, 이러한 모니터 승강장치를 갖는 책상은 근래에 종래 기술로 공지된 바가 있다.
상기 종래 공지된 기술 중에서 본 발명과 대비될 수 있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0795, 등록실용신안 20-0404252, 등록실용신안 20-0427467, 등록특허 10-1126667, 등록특허 10-1386561가 그것이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0795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책 또는 다른 도구들을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고 중앙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가 설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판의 양측 하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측판; 상기 상판과 상기 양 측판에 의해 형성되는 책상 내부의 공간을 그 전방으로부터 차폐하기 위해 상기 상판의 전방 및 양 측판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전방판; 상기 상판의 개구부를 통해 모니터를 돌출 및 복원시키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로 구성되는 승강장치; 및 상기 전방판의 내측에 고정되는 가역모터와, 상기 가역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홈이 구비된 구동로드와, 상기 구동로드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승강장치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와이어와, 상기 가역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구성되는 견인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책상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상판의 유용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의 전후방 폭(W)은 상기 모니터 와 그 모니터를 지지하는 스탠드의 상부변의 두께(T)보다 2cm 내지 5cm 크게 설정되고, 상기 모니터의 승강시 상기 모니터의 배면을 향하거나 접촉되는 후방변의 중앙부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모니터의 승하강시 상기 모니터와 상기 후방변간의 직접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고무롤러는 양단이 수용홈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구비되며 실제로 상기 모니터의 배면에 구름가능하게 접하는 원기둥형 고무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의 양측단에는 상기 덮개를 모니터를 향해서만 회동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개구부의 일측 전방에 고정되는 제1고정단과, 상기 제1고정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모니터를 향해서만 탄성력이 부가되도록 회절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전방 측단에 고정되는 제2고정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장치의 가이드 부재들 중 상기 가역모터측 가이드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와이어 를 이동가능하게지지 및 안내하기 위한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록실용신안 20-0404252는, 컴퓨터 모니터가 올려지는 평판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을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양측판과, 상기 양측판 사이에서 스크류 구동 장치에 의해 승하강되는 상기 컴퓨터 모니터를 적재하는 승강판과, 상기 상판의 상면 후측에 여닫이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판상의 컴퓨터 모니터가 밀어올려지는 컴퓨터 모니터 인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록실용신안 20-0427467은, 상판의 양측과 사용자 반대측에는 다리를 이루는 측판과 전면판이 각각 고정되어 이루어진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사용자 반대측 중앙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면적을 가진 커버가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탄력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의 하방에는 모니터를 승하강시키는 모니터 승강장치가 위치되고; 상기 상판의 모니터 수납위치 양측에는 바닥면이 라운드진 스피커수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스피커수용홈의 양측벽에는 저면이 상기 스피커수용홈의 바닥면 곡률과 동일하게 라운드진 형상의 스피커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판의 저면과 상기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안쪽면에는 각각 수직판과 수평부이 고정되어 컴퓨터본체가 수납되는 컴퓨터본체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모니터 수납위치 전방 일측에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면 일측벽을 통해 상기 컴퓨터본체의 각 포트와 신호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각 포트가 각각 노출되고 상부에는 뚜껑이 회전가능하게 덮여 이루어진 연결포트박스가 상기 상판과 수평이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 10-1126667은, 다리판재와 상판 및 키보드를 수용하는 키보드 서랍 , 그리고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부와 뒤판, 보조판이 구성되는 컴퓨터 책상에 모니터를 출몰시키기 위한 스크류를 웜기어와 감속기를 구비한 구동모터로 연동하고 연동되는 스크류에 승하강부재를 장착하여 이 승하강부재에 체결되는 모니터를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책상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책상 뒤판에 체결된 설치판에 탄성부재를 중첩하여 상하 고정부재를 체결볼트로 체결하고, 상기 상하 고정부재에 안내봉과 스크류를 구비하여 스크류회전으로 이송되는 승강부재를 장착시켜 구동모터와 연동구성하되, 상기 스크류는 하부 고정부재와 차단판을 관통시켜 웜기어 및 감속기어를 구비한 구동모터로 연동함과, 상기 승강부재에 가이드판과 장공을 뚫은 체결판을 체결시켜 모니터를 체결하되, 이 체결판에는 수직판과 출몰구멍에 교합되는 뚜껑판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등록특허 10-1386561은, 좌우 다리판재와 책상판, 키보드 서랍, 그리고 컴퓨터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부를 구비한 컴퓨터책상과, 상기 컴퓨터책상 뒤판에 체결되는 보조판에 체결된 상하부 브라켓에 승하강부재가 슬라이드 구성된 안내봉을 체결하고, 승하강부재에는 모니터체결판과 함께, 모니터를 장착시켜 구동모터로 승하강부재를 연동하여 모니터를 승하강 출몰되도록 한 컴퓨터책상의 모니터 출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브라켓에 체결된 안내봉에 슬라이드 구성된 승하강부재에 체결된 모니터체결판에 체결공을 뚫어 와이어권선드럼이 내측으로 위치되게 구동모터를 체결함과, 상기 상하부 브라켓에 하나의 와이어를 고정하되, 상기 와이어는 승하강부재의 이면부를 지나면서 상기 구동모터로 연동되는 와이어권선드럼에 복수로 권선시켜 와이어권선드럼의 회전으로 와이어가 풀림과 권선이 함께 이루어지고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으로 와이어권선드럼이 승하강 이동되어 구동모터를 체결한 모니터체결판과 모니터를 승하강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0795, 등록실용신안 20-0404252, 등록실용신안 20-0427467, 등록특허 10-1126667, 등록특허 10-1386561는 모두 책상에 모니터 승강장치가 적용되어 사용자가 업무중이나 학습중에 모니터(102)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모니터(102)를 책상(1)의 상판(11) 위쪽으로 노출되게 상승시키고, 사용하지 않고자 할 때에는 상기 모니터(102)를 책상(1)의 상판(11) 아래로 숨어들어가게 하강시키는 기본적인 효과는 있지만, 상기 모니터(102)를 책상(1)의 상판(11) 위쪽으로 노출되게 상승시킬 때 상기 모니터(102)가 상기 상판(11)의 표면과 직각을 이루게 되므로 실제 사용자가 사용과정에서는 사용자의 눈과 상기 모니터(102)의 화면부 간의 시각적 각도가 맞지 않아 눈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고. 이러한 문제가 지속될 경우 사용자의 시력저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일부 사용자들은 사용을 위해 모니터(102)를 책상(1)의 상판(11) 위로 노출되게 상승시킨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상기 모니터(102)를 젖혀서 사용자의 눈과 상기 모니터(102)의 화면부 각도가 시각적으로 맞도록 조정하고 있으나 이 또한 불편한 문제점은 그대로 이고, 특히 이때 사용되는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책상(1)의 상판(11) 위에 올려서 사용하도록 받침판이 있는 모니터가 아니고 화면부만 있는 모니터 이기 때문에 상기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복잡한 장치를 필요로 하였다.
그럼 상기한 종래 기술 중에서 본 발명 기술과 근접한 종래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대해 도 1 내지 4를 참조로 먼저 설명하기로 하면 다음과 같다.
책상(1)의 후판(12) 안쪽에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로서 고정된 고정판(2)과, 상기 고정판(2)의 상,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로서 고정된 상부 지지판(3) 및 하부 지지판(4)과, 상기 상부 지지판(3) 및 하부 지지판(4)의 가운데 부분에 수직상태로 상,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크류봉(5)과, 상기 상부 지지판(3) 및 하부 지지판(4)의 양측 부분에 수직상태로 상,하단이 고정된 일측 가이드봉(6) 및 타측 가이드봉(7)과, 상기 스크류봉(5)에 가운데 부분이 나사결합됨과 함께 일측 가이드봉(6) 및 타측 가이드봉(7)에 양측 부분이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봉(7)의 회전시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력을 갖는 승강편(8)과, 상기 스크류봉(5)의 하단과 결합된 상태로 하부 지지판(4)에 고정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상기 스크류봉(5)에 정,역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9)와, 상기 승강편(8)의 고정판(2) 반대쪽면에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로서 고정되어 승강편(8)의 승강시 함께 승강하는 승강판(10)으로 구성되고, 모니터(102)는 상기 승강판(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책상(1)의 상판(11)에는 상판 위와 아래를 연통시켜 주도록 관통공(15)이 형성되는데, 이는 승강판(10)에 결합된 모니터(102)가 상기 승강판(10)과 함께 승강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판(10)의 관통공(15) 형성부위에는 승강판(10)과 함께 승강되는 모니터(102)의 접촉에 의해 탄력회전되면서 상기 관통공(15)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판(도시는 생략함)이 회전가능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모니터 사용이 가능한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는, 컴퓨터의 구성요소인 모니터(102)를 승강판(10)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도 4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모니터(102)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서, 이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102)가 고정되어 있는 승강판(10)이 완전히 하강되어 있고, 상기 모니터(102)는 책상(1)의 상판(11) 아래로 숨어들어가 있게 된다.
상기 도 4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별도로 마련된 스위칭수단을 선택하면, 전원이 하부 지지판(4)에 고정된 모터(102)로 공급되므로 상기 모터가 정구동되고, 이 모터는 정구동력은 상부 지지판(3) 및 하부 지지판(4)에 그 상,하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크류봉(5)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스크류봉(5)이 일방향인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스크류봉(5)에는 승강편(8)이 나사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승강편(8)은 스크류봉(5)의 회전력을 받으면서 상승이동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편(8)이 상승이동력을 가지게 되면, 상기 상부 지지판(3) 및 하부 지지판(4)의 양측 부분에는 수직상태로 상,하단이 고정된 일측 가이드봉(6) 및 타측 가이드봉(7)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봉(5)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상기 승강편(8)은 그 일측이 일측 가이드봉(6)에 끼워짐과 함께 그 타측이 타측 가이드봉(7)에 끼워져 있음에 따라 상기 승강편(8)은 일측 및 타측 가이드봉(6)(7)에 안내되면서 상승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편(8)이 상승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승강편(8)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판(10)도 함께 상승이동하게 되고, 상기 승강판(10)의 상승 이동시에는 상기 승강판(10)에 고정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모니터(102)도 함께 상승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모터(9)의 정구동력에 의한 스크류봉(5)의 일방향 회전으로 인해 승강편(8)과 승강판(10) 그리고 모니터(102)가 상승 이동되는 어느 순간 책상(1)의 상판(11)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니터(102)는 관통공(15)을 빠져나가 도 4의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상(1)의 상판(11) 위쪽으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102)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모니터(102)의 상승 이동 과정에서 함께 상승 이동하는 승강편(8)은 상기 모니터(102)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을 정도면 정지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모터(9)의 정구동을 정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싱수단이 마련되어야 함은 충분히 이해 가능하다.
또한 책상(1)의 상판(11) 위쪽으로 노출된 모니터(102)를 사용하다가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102)를 상기 상판(11) 아래로 숨어들어가게 하여 상판(11)을 넓게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에는 사용자가 별도로 마련된 스위칭수단을 선택하여 모터(9)가 역구동에 의해 상기 모니터(102)가 하강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상기 모니터(102)의 하강에 따른 작용은 상기 상승에 따른 작용과 반대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니터(102)가 사용가능하도록 책상(1)의 상판(11) 위쪽으로 노출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모니터(102)의 화면부가 완전히 수직을 이루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모니터(102)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에서 눈의 투시각과 서로 맞지가 않아 눈의 피로도가 올라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079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0425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2746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2666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8656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승강판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회전판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판에 모니터를 고정하고, 상기 회전판은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갖도록 하며, 회전판에 고정된 모니터가 책상의 상판 위로 노출된 시점에서 상기 회전판이 일정 각도만큼 책상 후방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눈과 상기 모니터의 화면부의 시야각도가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는, 책상의 후판 안쪽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고정된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의 가운데 부분에 수직상태로 상,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크류봉과, 상기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의 양측 부분에 수직상태로 상,하단이 고정된 일측 가이드봉 및 타측 가이드봉과, 상기 스크류봉에 가운데 부분이 나사결합됨과 함께 일측 가이드봉 및 타측 가이드봉에 양측 부분이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봉의 회전시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력을 갖는 승강편과, 상기 스크류봉의 하단과 결합된 상태로 하부 지지판에 고정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상기 스크류봉에 정,역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승강편의 고정판 반대쪽면에 고정되어 승강편의 승강시 함께 승강하는 승강판과, 상기 책상의 상판에 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위와 아래를 연통시키는 관통공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의 상부로 경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모니터를 고정하면서 상기 승강판과 함께 승강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이 힌지점인 경첩 부분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동할 때 탄력을 갖도록 함과 함께 후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다시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회동판의 저면에 상단이 지지되도록 승강판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판이 탄성수단에 의해 힌지점인 경첩 부분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동될 때는 그 회동력을 어느 순간 제한하는 스토퍼 실린더와, 상기 회동판의 경첩 부분인 하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동판이 승강판과 함께 상승할 때는 상기 상부 지지판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면서 상기 회동판에 경첩 부분을 기준으로 후방으로의 회동력을 부여하다가 회동판이 승강판과 함께 하강할 때는 상기 상부 지지판에서 선택적으로 걸림 해제되면서 상기 회동판에 부여된 후방으로의 회동력이 해제되도록 하는 걸림편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하단에 전방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수평부을 갖는 "L'자형 회동판과, 상기 승강편에 전방쪽으로 돌출되게 고정된 연결대와, 상기 회동판의 수평부에 상단이 연결됨과 함께 연결대에는 하단이 연결되어 상기 수평부를 통해 회동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판에는 그 상단이 회동판의 수평부 저면을 지지하도록 스토퍼 실린더가 고정되어 상기 회동판이 탄성수단에 의해 힌지점인 경첩 부분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동될 때는 그 회동되는 어느 순간 상기 스토퍼 실린더가 회동력을 제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판에 형성된 걸림편 끝부분에는 조임 또는 풀림으로 인해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조정편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회동판이 상승할 때 상기 조정편 중 걸림편 윗부분의 높이차에 따라 상기 걸림편의 상기 상부 지지판 걸림시간이 달라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는, 책상의 사용 과정에서 컴퓨터를 이용해 작업을 할 때 모니터의 화면부가 수직상태가 아닌 경사 상태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 그 경사 각도도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어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의 눈과 모니터의 화면부 간의 시야각을 가장 편안한 상태로 조정하여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눈이 보호됨은 물론 그로 인한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모니터 승강장치를 갖는 책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종래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 4는 종래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를 나타낸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a)는 모니터가 책상의 상판 아래로 숨어들어간 상태도이고, (b)는 모니터가 책상의 상판 위로 올라온 상태도이며, (c)는 모니터가 책상의 상판 위로 올라온 후 후방으로 일정 각도 만큼 경사지게 젖혀진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장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의 구성에서, 종래 구성과 동일하거나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가급적 생략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위주로 중점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구성에서 고정판(2), 상부 지지판(3) 및 하부 지지판(4), 스크류봉(5), 일측 가이드봉(6) 및 타측 가이드봉(7), 승강편(8), 모터(9), 승강판(10), 책상(1)의 상판(11)에 형성된 관통공(15)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도면상에는 종래에서 부여한 번호를 그대로 기재하도록 하겠다.
이하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승강판(10)의 상부에는 경첩(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회동판(21)이 설치되는데, 상기 회동판(21)은 모니터(10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승강판(10)의 승강시 함께 승강한다.
상기 회동판(21)이 힌지점인 경첩(22) 부분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동할 때 탄력을 갖도록 함과 함께 후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다시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23)이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수단은 하단에 전방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수평부(23)를 갖는 "L'자형 회동판(21)과, 상기 승강편(8)에 전방쪽으로 돌출되게 고정된 연결대(24)와, 상기 회동판(21)의 수평부(23)에 상단이 연결됨과 함께 연결대(24)에는 하단이 연결되어 상기 수평부(23)를 통해 회동판(2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25)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판(10)이 경첩(22) 부분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25)이 늘어나 탄성력을 가지면서 연결대(24)를 통해 회동판(21)에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판(10)에는 그 상단이 회동판(21)의 수평부(23) 저면을 지지하도록 스토퍼 실린더(26)가 고정되어 상기 회동판(21)이 탄성수단에 의해 힌지점인 경첩(22) 부분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동될 때는 그 회동되는 어느 순간 상기 스토퍼 실린더(26)가 회동력을 제한하도록 한다.
상기 회동판(21)의 경첩(22) 부분인 후방 하단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걸림편(27)이 형성되어 회동판(21)이 승강판(10)과 함께 상승할 때는 상기 걸림편(27)이 상기 상부 지지판(3)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면서 상기 회동판(21)에 경첩(22) 부분을 기준으로 후방으로의 회동력을 부여하도록 하다가 회동판(21)이 승강판(10)과 함께 하강할 때는 상기 걸림편(27)이 상기 상부 지지판(3)에서 선택적으로 걸림 해제되면서 상기 회동판(21)에 부여된 후방으로의 회동력을 해제하도록 한다.
또한 회동판(21)에 형성된 걸림편(27) 끝부분에는 조임 또는 풀림으로 인해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조정편(28)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정편(28)의 걸림편(27) 윗부분 높이차에 따라 상기 걸림편(27)의 상기 상부 지지판(3) 접촉시간이 달라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 요부 구성에서 경첩(22), 스토퍼 실린더(26), 걸림편(27)은 그 갯수에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지만 동작의 원활성 및 안정성을 위해서는 한쌍으로 함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하는데, 종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는 종래 작용을 참고하면 충분히 이해가 가능하므로 가급적 생략하기로 하고, 요부 구성에 대한 작용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102)의 화면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모니터(102)가 회동판(21)에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로서 고정된다.
첨부된 도 7의 (a)는 모니터(102)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서, 상기 모니터(102)가 고정되어 있는 회동판(21)이 승강판(10)및 승강편(9)과 함께 하부로 이동되어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102)가 책상(1)의 상판(11) 아래로 숨어 들어가 있다.
상기 도 7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9)의 정구동력에 의해 스크류봉(5)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정회전하면 상기 승강판(10)과 함께 승강편(8)이 일측 가이드봉(6) 및 타측 가이드봉(7)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승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승강판(10)의 상부에는 경첩(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회동판(2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모니터(102)가 고정되어 있는 상기 회동판(21)도 상승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모니터(102)가 고정된 회동판(21)의 상승 이동은 종래에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별도의 센싱수단에 의해 제어되므로 적정한 상승 높이에서 정지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모니터(102)가 고정된 상기 회동판(21)이 상승 이동하는 어느 순간 상기 모니터(102)는 책상(1)의 상판(11)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5)을 빠져나가 상기 상판(1) 위로 노출되는데, 이때 회동판(21)의 경첩(22) 연결부분인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걸림편(2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림편(27)이 고정판(2)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지지판(3)에 도 7의 (b)와 같이 접촉되면서 걸림되고, 이 걸림되는 순간부터 상기 모터(9)의 제어신호에 의한 정구동력은 일정 시간만큼 더 구동된 후 정지되므로 상기 모터(9)가 더 구동되는 일정 시간동안 상기 승강편(8)과 승강판(9) 그리고 모니터(102)가 고정되어 있는 회동판(21)이 더 상승된다.
상기 회동판(21)이 상승할 때 상기 회동판(21)은 걸림편(27)이 상부 지지판(3)에 걸림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회동판(21)의 상승 높이에 비례된 만큼 경첩(22)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도 7의 (c)와 같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버리므로 상기 회동판(21)에 고정되어 있는 모니터(102)가 수직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경사지게 되고(책상 상판의 상부면인 수평면에 대해 경사각도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눈과 상기 모니터(102)의 화면부 시야각도가 적정하게 조정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본적 작용 설명에서 회동판(21)에 형성된 걸림편(27)의 끝부분에는 조임 또는 풀림으로 인해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조정편(28)이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터(9)의 정구동력에 의한 회동판(21)의 상승 이동이 일정하다고 할 때 상기 조정편(28)을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조정편(28)의 걸림편(27) 윗부분 높이차가 얼마냐에 따라 상기 걸림편(27)의 상기 상부 지지판(3) 접촉시간이 빨라지거나 느려질 것인데, 만약 조정편(28)의 걸림편(27) 윗부분 높이가 높아졌다면 그 높아진 높이 만큼 상기 걸림편(27)의 상부 지지판(3) 걸림은 빨라져서 상기 회동판(21)의 회동은 그 만큼 일찍부터 시작됨에 따라 상기 회동판(21)은 경첩(22)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임의의 수직선에 대해 도면상 후방으로 더 큰 각도 만큼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판(21)에 고정되어 있는 모니터(102)의 회면부 각도 또한 임의의 수직선에 대해 후방으로 더 큰 각도를 가지게 되지만 이와는 달리 조정편(28)의 걸림편(27) 윗부분 높이가 낮아졌다면 그 낮아진 높이 만큼 상기 걸림편(27)의 상부 지지판(3) 걸림은 늦어져서 상기 회동판(21)의 회동은 그 만큼 늦게부터 시작됨에 따라 상기 회동판(21)은 경첩(22)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임의의 수직선에 대해 도면상 후방으로 더 작은 각도 만큼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판(21)에 고정되어 있는 모니터(102)의 회면부 각도 또한 임의의 수직선에 대해 후방으로 더 작은 각도를 가지게 될 것임은 충분히 이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눈과 모니터(102)의 화면부 경사 각도에 따른 시야각을 조정하여 사용자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책상 2 --- 고정판
3 --- 상부 지지판 4 --- 하부 지지판
5 --- 스크류봉 6 --- 일측 가이드봉
7 --- 타측 가이드봉 8 --- 승강편
9 --- 모터 10 --- 승강판
11 --- 상판 21 --- 회동판
22 --- 경첩 23 --- 수평부
24 --- 연결대 25 --- 스프링
26 --- 스토퍼 실린더 27 --- 걸림편
28 --- 조정편 102 --- 모니터

Claims (4)

  1. 책상의 후판 안쪽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고정된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의 가운데 부분에 수직상태로 상,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크류봉과, 상기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의 양측 부분에 수직상태로 상,하단이 고정된 일측 가이드봉 및 타측 가이드봉과, 상기 스크류봉에 가운데 부분이 나사결합됨과 함께 일측 가이드봉 및 타측 가이드봉에 양측 부분이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봉의 회전시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력을 갖는 승강편과, 상기 스크류봉의 하단과 결합된 상태로 하부 지지판에 고정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상기 스크류봉에 정,역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승강편의 고정판 반대쪽면에 고정되어 승강편의 승강시 함께 승강하는 승강판과, 상기 책상의 상판에 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위와 아래를 연통시키는 관통공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의 상부로 경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모니터를 고정하면서 상기 승강판과 함께 승강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이 힌지점인 경첩 부분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동할 때 탄력을 갖도록 함과 함께 후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다시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회동판의 저면에 상단이 지지되도록 승강판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판이 탄성수단에 의해 힌지점인 경첩 부분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동될 때는 그 회동력을 어느 순간 제한하는 스토퍼 실린더와,
    상기 회동판의 경첩 부분인 하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동판이 승강판과 함께 상승할 때는 상기 상부 지지판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면서 상기 회동판에 경첩 부분을 기준으로 후방으로의 회동력을 부여하다가 회동판이 승강판과 함께 하강할 때는 상기 상부 지지판에서 선택적으로 걸림 해제되면서 상기 회동판에 부여된 후방으로의 회동력이 해제되도록 하는 걸림편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하단에 전방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수평부을 갖는 "L"자형 회동판과,
    상기 승강편에 전방쪽으로 돌출되게 고정된 연결대와,
    상기 회동판의 수평부에 상단이 연결됨과 함께 연결대에는 하단이 연결되어 상기 수평부를 통해 회동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에는 그 상단이 회동판의 수평부 저면을 지지하도록 스토퍼 실린더가 고정되어 상기 회동판이 탄성수단에 의해 힌지점인 경첩 부분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동될 때는 그 회동되는 어느 순간 상기 스토퍼 실린더가 회동력을 제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에 형성된 걸림편 끝부분에는 조임 또는 풀림으로 인해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조정편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회동판이 상승할 때 상기 조정편 중 걸림편 윗부분의 높이차에 따라 상기 걸림편의 상기 상부 지지판 걸림시간이 달라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
KR1020230107557A 2023-08-17 2023-08-17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 KR102594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557A KR102594394B1 (ko) 2023-08-17 2023-08-17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557A KR102594394B1 (ko) 2023-08-17 2023-08-17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394B1 true KR102594394B1 (ko) 2023-10-27

Family

ID=8851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7557A KR102594394B1 (ko) 2023-08-17 2023-08-17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39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5857A (ja) * 1985-09-13 1987-03-25 Ricoh Co Ltd 自動給紙装置
KR200390795Y1 (ko) 2005-04-15 2005-07-27 이재섭 컴퓨터 책상
KR200404252Y1 (ko) 2005-09-15 2005-12-20 김은숙 컴퓨터 책상
KR200427467Y1 (ko) 2006-07-14 2006-09-27 허주일 컴퓨터 책상
KR20100006589U (ko) * 2008-12-19 2010-06-29 박광수 컴퓨터 책상
KR101126667B1 (ko) 2010-10-20 2012-03-29 박광수 컴퓨터 책상
KR101386561B1 (ko) 2013-07-24 2014-04-24 (주)청도산업 컴퓨터 책상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JP2017089833A (ja) * 2015-11-13 2017-05-2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複合駆動装置
KR20180020133A (ko) * 2015-06-16 2018-02-27 에이엠엑스 엘엘씨 인입 가능한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5857A (ja) * 1985-09-13 1987-03-25 Ricoh Co Ltd 自動給紙装置
KR200390795Y1 (ko) 2005-04-15 2005-07-27 이재섭 컴퓨터 책상
KR200404252Y1 (ko) 2005-09-15 2005-12-20 김은숙 컴퓨터 책상
KR200427467Y1 (ko) 2006-07-14 2006-09-27 허주일 컴퓨터 책상
KR20100006589U (ko) * 2008-12-19 2010-06-29 박광수 컴퓨터 책상
KR101126667B1 (ko) 2010-10-20 2012-03-29 박광수 컴퓨터 책상
KR101386561B1 (ko) 2013-07-24 2014-04-24 (주)청도산업 컴퓨터 책상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KR20180020133A (ko) * 2015-06-16 2018-02-27 에이엠엑스 엘엘씨 인입 가능한 디스플레이
JP2017089833A (ja) * 2015-11-13 2017-05-2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複合駆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5001A (en) Vertically-adjustable two-post drafting table
US4781126A (en) Adjustable desk-top assembly
JP4402448B2 (ja) ディスプレイモニター用スタンド
US7487729B2 (en) Computer console with accessible laptop storage compartment
US5746489A (en) Desk for computer system
KR10256555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4650308B2 (ja) 鍵盤蓋の開閉機構
US3431040A (en) Platform elevation control mechanism
KR20110003439A (ko) 컴퓨터 책상
KR102594394B1 (ko)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
JP2019022854A (ja) 昇降天板付きデスクの立上げ配線装置
KR100603792B1 (ko) 컴퓨터 책상
KR101667758B1 (ko)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102161940B1 (ko) 모니터의 수납이 가능한 책상
GB2287641A (en) Retractable shelf arrangement
US3254615A (en) Bath seat
KR101702714B1 (ko) 책상
KR200390795Y1 (ko) 컴퓨터 책상
US3310352A (en) Invertable table top support for machines
JP3541341B2 (ja) 情報処理装置用卓のキーボード収容装置
KR101730092B1 (ko) 책상
JP3704964B2 (ja) 昇降収納装置および昇降収納キャビネット
JP2005270410A (ja) 収納棚
JP3149805B2 (ja) 天板拡張装置
USRE27558E (en) Platform elevation control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