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349B1 - 탈수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 Google Patents

탈수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349B1
KR102593349B1 KR1020230074499A KR20230074499A KR102593349B1 KR 102593349 B1 KR102593349 B1 KR 102593349B1 KR 1020230074499 A KR1020230074499 A KR 1020230074499A KR 20230074499 A KR20230074499 A KR 20230074499A KR 102593349 B1 KR102593349 B1 KR 102593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erforated network
discharge
food wast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은
Original Assignee
장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은 filed Critical 장성은
Priority to KR102023007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2Compressing or comp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에 설치되는 탈수망체는, 내부에 압축 스크류가 회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메인 타공망; 상기 메인 타공망의 토출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연결 플랜지; 상기 메인 타공망으로부터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유입받고, 유입측으로부터 토출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서브 타공망; 상기 연결 플랜지에 대향하도록 상기 서브 타공망의 유입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유입 플랜지; 상기 서브 타공망의 중앙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중간 플랜지; 및 상기 탈수망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중간 플랜지, 상기 유입 플랜지 및 상기 연결 플랜지를 상호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체결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수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DEHYDRATION MESH AND FOOD WASTE GRIND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아래의 설명은, 탈수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농산물 시장과 같이 야채를 취급하는 곳에서는 반드시 야채 손질에 따른 부산물로 인해 상당한 양의 야채 쓰레기가 발생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야채 쓰레기는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가연성 쓰레기와 별도로 분리 수거된다.
이렇게 분리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처리 과정을 거쳐 가축의 사료 등 각종 용도로 처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버려지는 음식 쓰레기는 별도의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냥 버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그 폐기량이 상당하고, 또 부피도 상당하다. 따라서, 이를 버리기 위한 쓰레기 봉투가 부득이하게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고, 분리 수거되지 않고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부패에 따른 상당한 악취와 폐수를 발생시키게 되어 주변 환경의 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부득이하게 발생될 수밖에 없는 음식 쓰레기의 폐기량을 현저하게 줄이고, 습기도 제거하여 버리게 되는 경우에는 폐기 비용 절감 등 여러 가지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과제의 해결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장치들이 출시는 되고 있으나, 대부분 분쇄 기술의 향상 측면에만 집중되어 왔다. 한편, 분쇄 이후 압축 및/또는 탈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들, 예를 들면, 탈수망체의 파손 및/또는 변형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474087호
일 실시 예의 목적은, 내구성 및 사용성이 뛰어난 탈수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에 설치되는 탈수망체는, 내부에 압축 스크류가 회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메인 타공망; 상기 메인 타공망의 토출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연결 플랜지; 상기 메인 타공망으로부터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유입받고, 유입측으로부터 토출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서브 타공망; 상기 연결 플랜지에 대향하도록 상기 서브 타공망의 유입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유입 플랜지; 상기 서브 타공망의 중앙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중간 플랜지; 및 상기 탈수망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중간 플랜지, 상기 유입 플랜지 및 상기 연결 플랜지를 상호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체결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탈수망체는, 상기 서브 타공망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상기 서브 타공망의 외면을 따라서 설치됨으로써, 상기 서브 타공망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체에는, 상기 서브 타공망에 형성되는 미세 홀보다 직경인 큰 복수 개의 배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타공망은, 상기 압축 스크류로써 이중 스크류 압축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서브 타공망의 토출측은, 상기 이중 스크류 압축기가 늘어선 방향을 따라서 긴 형상을 갖는 하나의 통합 토출구를 가짐으로써, 상기 서브 타공망은, 상기 이중 스크류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하나의 통합 토출구를 통해 압축하여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탈수망체는, 상기 서브 타공망으로부터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유입받는 배출 소켓; 및 상기 서브 타공망의 토출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토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소켓은, 상기 토출 플랜지에 대향하도록 상기 배출 소켓의 유입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소켓 플랜지; 및 상기 배출 소켓으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부분으로써, 다른 부품과의 체결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표준 규격에 따른 나사산을 구비한 소켓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호 이격하여 탈수망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 개의 플랜지를 체결 로드를 통해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탈수망체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제작 및 조립시 직진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탈수망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보강체를 이용하여 탈수망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보다 높은 압축력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시킬 수 있게 해준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중 스크류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하나의 동일한 통합 토출구를 통해 압축 및 토출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의 압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출구에 배출 소켓을 장착하고, 나사 체결 방식으로 연결구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연결구의 선택에 따라서 배출구의 위치, 방향 및 형상 등을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쇄 하우징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수망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탈수망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쇄 하우징의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100)는, 다양한 음식물 쓰레기(예: 야채 쓰레기)를 분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에는, 각종 채소류, 과일류 및/또는 구근류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100)는, 치킨 무, 양상추, 양배추, 무, 배추, 파인애플, 알타리, 바나나, 양파, 감자껍질, 숙주나물, 피망, 파프리카, 브로컬리, 참외, 수박, 밀감, 사과, 배, 당근, 계란껍질 및/또는 블루베리 등을 분쇄시킬 수 있으며, 분쇄 대상이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100)는, 투입부(110), 이송부(120), 분쇄부(130), 압축부(14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부(110)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 받을 수 있다. 투입부(110)는, 호퍼(111), 커버(112) 및 개폐 수단(113)을 포함할 수 있다.
호퍼(111)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부분으로, 예를 들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2)는, 호퍼(111)의 일측(예: 상측)에 설치되어 호퍼(111)의 개방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12)의 일측은 호퍼(111)의 일측에 힌지(hinge) 결합될 수 있다.
개폐 수단(113)은, 커버(112)를 동작시켜 호퍼(111)에 대하여 커버(112)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 수단(113)은, 유압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 수단(113)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전자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커버(112)가 개방되었을 때 이송부(12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커버(112)가 폐쇄되었을 때 이송부(120)의 동작을 개시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개폐 수단(113)의 동작 위치를 기초로, 커버(112)의 상태(개방 또는 폐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는, 커버(112) 및 호퍼(111)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된 센서(예: 접촉 센서, 하중 센서 및/또는 각도 센서)를 통하여 커버(112)의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송부(120)는, 투입부(1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부(120)는, 이송 스크류(121) 및 이송 모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스크류(121)는, 회전 동작을 통해, 투입부(1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부(130)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 스크류(121)는, 예를 들어, 일정한 간격의 나선 형상을 가짐으로써, 분쇄부(130)로 전달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분쇄부(130)에 과도한 부하가 인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송 모터(122)는, 이송 스크류(121)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송 모터(122)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커버(112)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이송 모터(122)를 정지시켜, 이송 스크류(121)가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분쇄부(130)는, 이송부(120)를 통해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킬 수 있다. 분쇄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쇄판(131), 분쇄 모터(132), 회전축(133) 및 분쇄 하우징(134)을 포함할 수 있다.
분쇄판(131)은, 날카로운 날을 포함하고, 회전축(133)에 고정되어 회전됨으로써,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분쇄판(131)은, 예를 들어, 복수 개로 구성되어 단계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분쇄 모터(132)는, 회전축(133)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133)에 고정된 분쇄판(131)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축(133)은,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분쇄 하우징(134)은,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분쇄 하우징(134) 내부에서 분쇄판(131)이 회전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 하우징(1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쇄 하우징(134)은, 평판에서 사전 성형을 마치고, 벤딩 공정으로 손쉽게 제작될 수 있다. 반면, 분쇄 하우징(134)을 원 기둥 형상으로 제작할 경우, 해당 형상의 제작을 위해 롤링 공정이 요구되고, 주변 부품과의 연결 부분의 사전 성형이 쉽지 않다. 따라서, 분쇄 하우징(134)을 도시된 바와 같이 팔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할 경우, 제조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분쇄 하우징(134)의 형상이 반드시 팔각 기둥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예: 원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둔다. 분쇄 하우징(134)은, 비개방면(1341), 개방면(1342), 이물질 회수 공간(1343) 및 이물질 회수 도어(1344)를 포함할 수 있다.
비개방면(1341)은, 분쇄 하우징(134)의 하단을 형성하며, 회전축(133)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면(1342)은, 분쇄 하우징(134) 및 압축부(140)를 연통시키는 구멍으로써, 분쇄 하우징(134)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개방면(1342)을 통해 압축부(140)로 낙하될 수 있다.
이물질 회수 공간(1343)은, 음식물 쓰레기 내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공간이다. 예를 들어, 이물질 회수 공간(1343)의 바닥면은, 분쇄판(131) 중 최하측에 위치한 분쇄판(1313)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등과 같이 분쇄가 되지 않는 이물질이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100)로 투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물질이 잔류할 경우, 분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분쇄판(131) 등 각종 부품들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물질이 분쇄판(131)이 회전되는 공간에 남아있지 않도록, 분쇄판(131)의 회전 공간의 외측에 추가적인 공간(1343)을 마련할 수 있다. 분쇄되지 않는 이물질은 분쇄판(131)의 회전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이물질 회수 공간(1343)에 놓이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과정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이물질 회수 도어(1344)는, 분쇄 하우징(134)의 일측을 개폐시킬 수 있다. 이물질 회수 도어(1344)는, 분쇄 하우징(134) 중 이물질 회수 공간(1343)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100)를 전체적으로 분해할 필요 없이, 이물질 회수 도어(1344)를 개방함으로써, 분쇄 하우징(134) 내부에 이물질이 얼마나 쌓였는지 쉽게 점검하고,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압축부(140)는, 분쇄부(13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시킬 수 있다. 압축부(140)는, 압축 스크류(141), 압축 모터(142), 압축 슬러지 배출구(143), 탈수망체(144) 및 폐수 배출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 스크류(141)는, 분쇄부(130)로부터 낙하된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을 압축 슬러지 배출구(143)로 이송시킬 수 있다. 압축 스크류(141)는, 예를 들어, 듀얼 스크류 압축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압축 스크류(141)는 이송 과정에서 분쇄물을 압축시킴으로써, 최종 배출물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제작시, 최종적으로 원물의 80%를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압축 효과는 듀얼 스크류의 회전력을 조정함으로써,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압축 모터(142)는, 압축 스크류(141)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모터(142)에 인버터를 설치함으로써, 듀얼 스크류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압축 슬러지 배출구(143)는, 압축 스크류(141)에 의해 압축 및 이송된 분쇄물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구멍이다.
탈수망체(144)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이 압축 스크류(141)에 의해 압축 및 이송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 내부에 포함된 수분은 탈수망체(144)에 형성된 미세 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탈수망체(144)는, 메인 타공망(1441) 및 서브 타공망(144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타공망(1441)은, 내부에 압축 스크류(141)가 회전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메인 타공망(1441)의 상면은, 분쇄부(130)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브 타공망(1442)은, 내부에 메인 타공망(1441)으로부터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된 후 토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단일의 공간이 제공되고, 유입측으로부터 토출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브 타공망(1442)의 형상에 의하면, 메인 타공망(1441)으로부터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되면서 그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압축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시켜 폐수 배출구(145)를 통해 배출하면서 슬러지를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압축 슬러지 배출구(143)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폐수 배출구(145)는, 탈수망체(144)를 통해 배출된 폐수가 최종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100) 외부로 배출되는 구멍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수망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상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수망체(200, 예: 도 1의 144) 중 토출측을 나타내는 것으로, 메인 타공망(도 1의 1441)을 생략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수망체(200)는, 메인 타공망(예: 도 1의 1441), 연결 플랜지(210), 서브 타공망(220), 유입 플랜지(230), 중간 플랜지(240), 체결 로드(250), 보강체(260), 배출 소켓(280) 및 연결구(29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플랜지(210)는, 메인 타공망의 토출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연결 플랜지(210)는 유입 플랜지(230)와 함께, 메인 타공망 및 서브 타공망(220)을 연결시키는 매개체로 기능할 수 있다.
서브 타공망(220)은,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미세 홀(221)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타공망(220)은, 다수 개의 미세 홀(221)이 형성된 구조로 인하여, 비교적 약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미세 홀(221)의 길이가 클수록 미세 홀(221)에 이물질이 잔존하여 미세 홀(221)이 폐쇄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서브 타공망(220)은 다른 구성 부품, 예를 들면, 연결 플랜지(210), 유입 플랜지(230) 및/또는 중간 플랜지(240)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판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100)의 동작 과정에서, 서브 타공망(220)이 파손 또는 변형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적 취약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른 구조체를 통하여 보완될 수 있다.
유입 플랜지(230)는, 연결 플랜지(210)에 대향하도록 서브 타공망(220)의 유입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됨으로써, 서브 타공망(220)의 외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서브 타공망(220)이 변형되는 문제를 줄여줄 수 있다. 유입 플랜지(230)는, 서브 타공망(220)의 외면으로부터, 서브 타공망(220)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면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 플랜지(230)는, 서브 타공망(220)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중간 플랜지(240)는, 서브 타공망(220)의 중앙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중간 플랜지(240)는, 유입 플랜지(230)와 평행한 면상체일 수 있다. 중간 플랜지(240)는, 유입 플랜지(230)와 함께 서브 타공망(2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유입 플랜지(230)에 대한 설명은 중간 플랜지(240)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둔다.
체결 로드(250)는, 탈수망체(200)의 길이 방향(즉, 탈수망체(200)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중간 플랜지(240), 유입 플랜지(230) 및 연결 플랜지(210)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체결 로드(25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탈수망체(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는 총 4개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체결 로드(250)는, 헤드부를 갖는 전산 볼트(full threaded bolt) 및 복수 개의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전산 볼트를 이용하여 3개의 플랜지(240, 230, 210)를 체결시킴으로써, 메인 타공망 및 서브 타공망(220)을 상호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그와 함께, 서브 타공망(220)의 직진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서브 타공망(22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체(260)는, 서브 타공망(220)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예를 들면, 상면 및 하면 각각의 면)에, 서브 타공망(220)의 외면을 따라 설치됨으로써, 서브 타공망(2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체(260)는, 서브 타공망(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체(260)는, 일 부분이 절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서브 타공망(220)의 휨 하중에 대한 강성을 보다 보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체(2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타공망(220)의 외면에 대하여 산 모양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형상에 기초하여 보강체(260)를 "보강 앵글(260)"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보강체(260)는, 복수 개의 플랜지(210, 230, 240)를 가로지르는 배치를 가짐으로써, 플랜지(210, 230, 240)와 함께 다양한 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에 대한 보강체(260)의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보강체(260)는, 예를 들어, 서브 타공망(220)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구조적으로 볼 때,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보강체(260)는 서브 타공망(220)의 외면의 일부에 오버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보강체(260)에 의하여 서브 타공망(220)에 형성된 미세 홀(221)이 간섭됨으로써, 서브 타공망(220)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제대로 배출하지 못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체(260)에 복수 개의 배출 홀(261)을 형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배출 홀(261)은, 예를 들어, 보강체(260) 중 서브 타공망(220)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보강체(260)가 산 모양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때, 배출 홀(261)은 산마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홀(261)의 직경은, 미세 홀(221)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출 홀(261)의 직경은 미세 홀(221)의 직경의 1.5배 내지 3배일 수 있다.
배출 소켓(280) 및 연결구(290)에 대하여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탈수망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수망체(200)는, 서브 타공망(220)의 토출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토출 플랜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플랜지(270)는, 상술한 다른 플랜지(210, 230, 240)와 마찬가지로, 서브 타공망(220)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후술할 소켓 플랜지(282)와 함께, 서브 타공망(220) 및 배출 소켓(280)을 연결시키는 매개체로 기능할 수 있다.
배출 소켓(280)은, 서브 타공망(220)으로부터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유입받을 수 있다. 배출 소켓(280)은, 소켓 본체(281), 소켓 플랜지(282) 및 소켓 단부(283)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 본체(281)는, 소켓 플랜지(282) 및 소켓 단부(283)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써, 소켓 본체(281)의 유입측 구멍은 서브 타공망(220)의 토출측 구멍(22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소켓 본체(281)의 토출측 구멍은 소켓 단부(283)의 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소켓 본체(281)에 의하면, 서브 타공망(220)의 토출측 구멍(222) 및 소켓 단부(283)의 구멍을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소켓 단부(283) 및 그에 연결되는 연결구(290)를 종래의 기성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소켓 플랜지(282)는, 토출 플랜지(270)에 대향하도록 배출 소켓(280)의 유입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소켓 단부(283)는, 배출 소켓(280)으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부분으로써, 예를 들면, 표준 규격에 따른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연결구(290)와 같은 다른 부품과의 체결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소켓 단부(283)가 표준 규격에 따른 나사산을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표준 규격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연결구(290)를 소켓 단부(283)에 체결 및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유지 보수 측면 뿐만 아니라, 확장성 측면에 있어서도 연결구(290)의 선택에 따라서 배출구의 위치, 방향 및 형상 등을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100)는, 압축 스크류(예: 도 1의 141)로써, 이중 스크류 압축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타공망(예: 도 1의 1441)은, 이중 스크류 압축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플랜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크류가 수용되는 제1 스크류 배치부(211)와, 제2 스크류가 수용되는 제2 스크류 배치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100)가 이중 스크류 압축기를 사용할 경우, 서브 타공망(220)의 토출측은, 이중 스크류 압축기가 늘어선 방향을 따라서 긴 형상을 갖는, 서브 타공망(2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하나의 통합 토출구(222)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브 타공망(220)은, 이중 스크류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동일한 하나의 통합 토출구(222)를 통해 압축하여 토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각각의 스크류에 대응하는 각각의 토출구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토출시키는 경우에 대비하여, 압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 내지 상태에 따라서, 어느 한쪽의 스크류에 과도한 부하가 걸릴 우려가 존재하더라도, 이와 같은 부하를 다른 한쪽의 스크류에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전체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100)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0: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110: 투입부
111: 호퍼
112: 커버
113: 개폐 수단
120: 이송부
121: 이송 스크류
122: 이송 모터
130: 분쇄부
131: 분쇄판
1311: 하부 분쇄판
1312: 상부 분쇄판
1313: 정밀 분쇄판
132: 분쇄 모터
133: 회전축
134: 분쇄 하우징
1341: 비개방면
1342: 개방면
1343: 이물질 회수 공간
1344: 이물질 회수 도어
140: 압축부
141: 압축 스크류
142: 압축 모터
143: 압축 슬러지 배출구
144: 탈수망체
1441: 메인 타공망
1442: 서브 타공망
145: 폐수 배출구
200: 탈수망체
210: 연결 플랜지
211: 제1 스크류 배치부
212: 제2 스크류 배치부
220: 서브 타공망
221: 미세 홀
222: 통합 토출구
230: 유입 플랜지
240: 중간 플랜지
250: 체결 로드
260: 보강체
261: 배출 홀
270: 토출 플랜지
280: 배출 소켓
281: 소켓 본체
282: 소켓 플랜지
283: 소켓 단부
290: 연결구

Claims (4)

  1.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에 설치되는 탈수망체에 있어서, 상기 탈수망체는,
    내부에 압축 스크류로서 이중 스크류 압축기가 회전되는 제1 공간을 제공하는 메인 타공망;
    상기 메인 타공망의 토출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연결 플랜지;
    내부에 상기 메인 타공망으로부터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된 후 토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단일의 제2 공간이 제공되고, 유입측으로부터 토출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토출측은 상기 제2 공간과 연통되는 하나의 통합 토출구를 가짐으로써 상기 이중 스크류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하나의 통합 토출구를 통해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서브 타공망;
    상기 연결 플랜지에 대향하도록 상기 서브 타공망의 유입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유입 플랜지;
    상기 서브 타공망의 중앙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중간 플랜지; 및
    상기 중간 플랜지, 상기 유입 플랜지 및 상기 연결 플랜지를 상호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체결 로드를 포함하는 탈수망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망체는,
    산 모양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서브 타공망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상기 서브 타공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됨으로써, 상기 서브 타공망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체에는, 상기 서브 타공망에 형성되는 미세 홀보다 직경인 큰 복수 개의 배출 홀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 홀은 상기 보강체의 산마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탈수망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통합 토출구는,
    상기 이중 스크류 압축기가 늘어선 방향을 따라서 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망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망체는,
    상기 서브 타공망으로부터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유입받는 배출 소켓; 및
    상기 서브 타공망의 토출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토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소켓은,
    상기 토출 플랜지에 대향하도록 상기 배출 소켓의 유입측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소켓 플랜지; 및
    상기 배출 소켓으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부분으로써, 다른 부품과의 체결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표준 규격에 따른 나사산을 구비한 소켓 단부를 포함하는 탈수망체.
KR1020230074499A 2023-06-09 2023-06-09 탈수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102593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499A KR102593349B1 (ko) 2023-06-09 2023-06-09 탈수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499A KR102593349B1 (ko) 2023-06-09 2023-06-09 탈수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349B1 true KR102593349B1 (ko) 2023-10-23

Family

ID=88508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499A KR102593349B1 (ko) 2023-06-09 2023-06-09 탈수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3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82755A (zh) * 2023-11-07 2023-12-26 南京睿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餐余垃圾处理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81B1 (ko) * 2011-08-11 2013-04-15 (주) 대성이앤비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장치
KR101586467B1 (ko) * 2015-09-30 2016-01-19 우성환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2474087B1 (ko) 2020-12-07 2022-12-05 김종훈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81B1 (ko) * 2011-08-11 2013-04-15 (주) 대성이앤비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장치
KR101586467B1 (ko) * 2015-09-30 2016-01-19 우성환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2474087B1 (ko) 2020-12-07 2022-12-05 김종훈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82755A (zh) * 2023-11-07 2023-12-26 南京睿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餐余垃圾处理设备
CN117282755B (zh) * 2023-11-07 2024-04-05 南京睿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餐余垃圾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049B1 (ko) 야채 분쇄장치
KR102593349B1 (ko) 탈수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101003630B1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CN102698845B (zh) 卧式碎浆机
CN202590913U (zh) 卧式碎浆机
KR20110068781A (ko) 음식물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JPH02501046A (ja) 廃棄物などの材料の粉砕装置
KR10244648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09577713U (zh) 生活垃圾处理设备
KR20110004867U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01687B1 (ko) 야채쓰레기압축기
KR102077652B1 (ko) 야채 쓰레기 분쇄장치
KR102123291B1 (ko) 부산물 압착기
KR102581925B1 (ko) 분쇄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2595655B1 (ko) 양 방향으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200438393Y1 (ko) 야채 쓰레기 처리기
KR102423438B1 (ko) 음식물 처리장치
CN114130507B (zh) 一种农村生产生活废弃产物的无害化处理装置
KR100216871B1 (ko)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KR101108513B1 (ko) 수직식 패각 분쇄기
CN212760311U (zh) 一种餐厨厨余垃圾筛分装置
KR20130036084A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CN210590689U (zh) 一种固液分离装置
KR102085362B1 (ko) 폐각 분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