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087B1 -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087B1
KR102474087B1 KR1020200169676A KR20200169676A KR102474087B1 KR 102474087 B1 KR102474087 B1 KR 102474087B1 KR 1020200169676 A KR1020200169676 A KR 1020200169676A KR 20200169676 A KR20200169676 A KR 20200169676A KR 102474087 B1 KR102474087 B1 KR 102474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grinding
area
blade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0500A (ko
Inventor
김종훈
한만승
Original Assignee
김종훈
한만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한만승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200169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0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상하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분쇄유닛; 및 상기 분쇄유닛을 수용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쇄유닛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을 제공하는 분쇄용기; 상하 방향으로 배향된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분쇄공간에서 회전되는 블레이드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쇄공간 내부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복수의 구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용기의 하면은, 상기 블레이드 부재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구체 중 일부가 위치될 수 있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체는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FOOD WASTE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 분쇄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에서 각종 음식물을 조리한 후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토양 매립이나 해양 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정부 및 각 자치단체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량을 줄이기 위하여 쓰레기 종량제 실시를 비롯하여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여 비료 또는 사료로 만들거나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설비는 그 처리량이 적어도 몇 십톤 이상이 되어야만 설비 유지의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재정이 열약한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는 대형의 음식물 처리 설비를 건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가정이나 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이도록 하면서 가정이나 식당에서 자체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식당의 싱크대의 하부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직접 설치하여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싱크대의 하부에 부착하여 음식물을 분쇄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는 모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샤프트, 샤프트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의 블레이드가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이 마찰되어 소음이 발생되고 모터에 많은 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는 샤프트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됨에 따라 발생되는 침전물이 샤프트를 따라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침전물이 누수되지 않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가 용이한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상하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분쇄유닛; 및 상기 분쇄유닛을 수용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쇄유닛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을 제공하는 분쇄용기; 상하 방향으로 배향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분쇄공간에서 회전되는 블레이드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쇄공간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복수의 구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용기의 하면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상기 회전축선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선에 수직 방향인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체 중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구체를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체 중 상기 제2 영역에 있는 구체를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블레이드바디; 및 상기 제1 블레이드바디의 하단에서 상기 제1 영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블레이드바디; 및 상기 제2 블레이드바디의 하단에서 상기 제2 영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쇄용기에는 상기 복수의 구체에 의해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됨에 따라 발생되는 침전물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음식물홀이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쇄유닛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제1 분쇄유닛; 상기 제2 분쇄유닛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분쇄유닛에서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재 분쇄하는 제2 분쇄용기를 포함하고,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쇄유닛은,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과될 수 있는 제1 음식물홀이 형성된 제1 분쇄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쇄유닛은, 상기 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과될 수 있는 제2 음식물홀이 형성된 제2 분쇄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음식물홀의 크기는 상기 제1 음식물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선상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분쇄유닛을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 회전되어 상기 블레이드부재를 회전시키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고,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됨에 따라 발생되는 침전물을 수용하는 침전물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침전물수용공간은 상기 배출구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복수의 분쇄유닛과 상기 침전물수용공간에 사이에 배치되는 침전물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레이드 회전에 따라 복수의 구체가 분쇄용기의 하면에 포함된 홈영역과 안착 영역에 교번하여 이동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가 상하 방향으로 배향되고, 샤프트의 하측이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침전물이 샤프트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복수의 분해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는 분쇄유닛(10), 하우징(20), 샤프트(30), 구동모터(40), 지지부(50), 침전물관통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쇄유닛(10)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이러한 분쇄유닛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 분쇄유닛(10)은 제1 분쇄유닛(10-1), 제2 분쇄유닛(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쇄유닛(10-1)은 하우징(20)으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또한, 제1 분쇄유닛(10-1)은 제2 분쇄유닛(10-2)포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분쇄유닛(10-1)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2 분쇄유닛(10-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분쇄유닛(10-2)은 제1 분쇄유닛(10-1)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제1 분쇄유닛(10-1)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재 분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식물 쓰레기의 크기는 복수의 분쇄유닛(10)을 투과함에 따라 분쇄되어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분쇄유닛(10-2)은 복수의 분쇄유닛(10) 중 가장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분쇄유닛(10-2)과 제1 분쇄유닛(10-1)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분쇄유닛(1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면, 제1 분쇄유닛(10-1) 및 제2 분쇄유닛(10-2)을 포함하는 복수의 분쇄유닛(10) 각각은 분쇄용기(110), 블레이드부재(120) 및 구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쇄용기(110)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해 상측이 개방된 분쇄공간(S1)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분쇄용기(110)에는 음식물홀(111), 수평영역(112) 및 홈영역(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음식물홀(111)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분쇄용기(100)의 하면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음식물홀(111)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및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됨에 따라 발생되는 침전물이 통과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식물 쓰레기 및 침전물은 분쇄유닛(10)에 포함된 분쇄용기(110)에 형성된 복수의 음식물홀(111)을 투과함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쇄용기(110)의 분쇄공간(S1)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크기가 음식물홀(111)보다 작아지지 않는 이상은 분쇄용기(110)의 외부로 이동될 수 없다. 또한, 음식물홀(111)의 크기는 분쇄용기(100)가 하측에 위치할수록 감소될 수 있다. 이하, 제1 분쇄유닛(10-1)에 포함된 분쇄용기(110)를 제1 분쇄용기라하고, 제1 분쇄유닛(10-1)에 포함된 분쇄용기(110)를 제2 분쇄용기라 하겠다. 또한, 제1 분쇄용기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과될 수 있는 제1 음식물홀이 형성되고, 제2 분쇄용기에는 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과될 수 있는 제2 음식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음식물홀의 크기는 제1 음식물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수평영역(112)은 분쇄용기(110)의 하면에 포함되어 블레이드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구체(130) 중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수평영역(112)에도 복수의 음식물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영역(112)은 제1 영역으로 명명될 수 있다.
홈영역(113)은 분쇄용기(110)의 하면에 포함되되, 수평영역(112)에서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블레이드부재(12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홈영역(113)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홈영역(113)에는 블레이드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구체(130) 중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홈영역(113)에도 음식물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홈영역(113)은 제2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영역(112)과 홈영역(113)은 서로 교번되어 분쇄용기(110)의 하면에 포함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재(120)는 상하 방향으로 배향된 회전축선(Ax)을 중심으로 분쇄공간(S1)에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샤프트(30)에 결합되어 샤프트(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부재(120)는 음식물 쓰레기와 복수의 구체(130)를 분쇄공간(S1) 내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구체(130)와 음식물 쓰레기는 서로 마찰되어 분쇄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부재(120)는 회전부(121), 제1 블레이드(122) 및 제2 블레이드(1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21)는 회전축선(Ax)에 배치되어 회전축선(Ax)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부(121)는 샤프트(30)에 결합되어 샤프트(30)와 같이 회전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122)는 회전부(121)에서 회전축선(Ax)에 수직 방향인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122)의 일측은 회전부(121)에 연결되고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은 분쇄용기(110)의 측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122)는 회전부(121)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복수의 구체(130) 중 수평영역(112)에 위치한 구체(130)를 홈영역(11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12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블레이드(122)는 제1 블레이드바디(122a) 및 제1 돌출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바디(122a)는 회전부(121)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바디(122a)에는 제1 블레이드홀(122a-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홀(122a-1)은 분쇄공간(S1) 내부에서 유동되는 기체, 음식물 쓰레기와 구체(130) 중 적어도 하나가 투과되도록 형성되어 제1 블레이드바디(122a)의 회전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홀(122a-1)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22b)는 제1 블레이드바디(122a)의 하단에서 수평영역(11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돌출부(122b)는 제1 블레이드바디(122a)가 회전됨에 따라 수평영역(112)에 위치한 구체(130)를 홈영역(11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122b)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돌출부(122b) 간의 피치 간격(L1)은 홈영역(113)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피치 간격(L1)은 복수의 제1 돌출부(122b)의 엣지 간의 간격일 수 있다.
제2 블레이드(123)는 회전부(121)로부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블레이드(123)의 일측은 회전부(121)에 연결되고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은 분쇄용기(110)의 측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2 블레이드(123)는 회전부(121)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복수의 구체(130) 중 홈영역(113)에 있는 구체(130)를 수평영역(11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블레이드(123)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블레이드(123)는 제2 블레이드바디(123a) 및 제2 돌출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바디(123a)는 회전부로부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블레이드바디(123a)에는 제2 블레이드홀(123a-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홀(123a-1)은 분쇄공간(S1) 내부에서 유동되는 기체, 음식물 쓰레기와 구체(130) 중 적어도 하나가 투과되도록 형성되어 제2 블레이드바디(123a)의 회전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블레이드홀(123a-1)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23b)는 제2 블레이드바디(123a)의 하단에서 홈영역(11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123b)의 하단은 제1 돌출부(122b)의 하단보다 더 하측으로 연장되어 홈영역(113)에 둘러싸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돌출부(123b)의 하단은 수평영역(110b)보다 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돌출부(122b)는 제1 블레이드바디(122a)가 회전됨에 따라 홈영역(113)에 위치한 구체(130)를 수평영역(11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123b)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돌출부(123b) 간의 제2 피치 간격(L2)은 수평영역(110b)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피치 간격(L2)은 복수의 제2 돌출부(123b)의 엣지 간의 간격일 수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구체(130)는 블레이드부재(120)의 회전에 따라 분쇄공간(S1)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구체(130) 중 적어도 일부는 블레이드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홈영역(113) 및 수평영역(112) 중 어느 한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와 마찰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구체(130) 중 홈영역(113)에 위치한 구체는 제2 블레이드(123)의 회전에 의해 수평영역(112)로 이동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반대로 복수의 구체(130) 중 수평영역에 위치한 구체는 제1 블레이드(122)의 회전에 의해 홈영역(113)으로 이동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복수의 구체(130)는 예를 들어, 세락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체(130)는 음식물홀(111)보다 크게 형성되어 분쇄용기(110) 외부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쇄유닛(10-1)에 포함된 구체(제1 구체)와 및 제2 분쇄유닛(10-2)에 포함된 구체(제2 구체)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체는 제1 음식물홀보다 크되 제2 구체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 구체는 제2 음식물홀보다 크되 제1 구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하우징(20)은 복수의 분쇄유닛(10)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0)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으며, 침전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에는 유입구(210), 배출구(220) 및 침전물수용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210)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210)는 하우징(18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220)는 복수의 분쇄유닛(1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220)는 제2 분쇄유닛(10-2)과 수평 방향으로 나란한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출구(220)에서는 제2 분쇄유닛(10-2)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220)는 침전물수용공간(S2)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침전물수용공간(S2)에 수용된 침전물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침전물수용공간(S2)은 침전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침전물수용공간(S2)은 하우징(20) 내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분쇄유닛(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침전물수용공간(S2)은 배출구(220)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샤프트(30)는 회전축선(Ax)상에 구비되어 하우징(20)에 지지됨에 따라 복수의 분쇄유닛(10)을 관통하여 복수의 분쇄유닛(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레이드부재(120)에 결합되어 블레이드부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샤프트(30)의 상측은 하우징(20)의 상측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샤프트(30)의 하측은 하우징(20)에 수용된 지지부(5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30)에 의해 침전물이 샤프트(3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더라도 하우징(20) 외부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구동모터(40)는 샤프트(3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모터(40)는 하우징(20) 외면에 구비되어 샤프트(3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부(50)는 하우징(20)에 수용되어 샤프트(3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50)는 침전물수용공간(S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50)에 의해 샤프트(30)에 접촉되는 침전물은 샤프트(30)를 따라 침전물수용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침전물관통부(60)는 침전물수용공간(S2)과 제2 분쇄유닛(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침전물관통부(60)는 침전물을 관통시키고 복수의 분쇄유닛(1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침전물수용공간(S2)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침전물관통부(60)에는 침전물이 관통할 수 있는 슬릿, 매쉬 등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침전물관통부(60)에는 샤프트(30)가 관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는 복수의 분쇄유닛(10)이 상하 방향으로 나열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기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여러 번 효율적으로 분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체(130)는 블레이드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수평영역(112) 및 홈영역(113)을 반복적으로 오가며 음식물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30)의 하측이 하우징(20) 내부에 지지됨에 따라 샤프트(30)를 통해 침전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10: 분쇄유닛
20: 하우징 30: 샤프트
40: 구동모터 50: 지지부
60: 침전물관통부 10-1: 제1 분쇄유닛
10-2: 제2 분쇄유닛 110: 분쇄용기
111: 음식물홀 112: 수평영역
113: 홈영역 120: 블레이드부재
121: 회전부 122: 제1 블레이드
122a: 제1 블레이드바디 122a-1: 제1 블레이드홀
122b: 제1 돌출부 123: 제2 블레이드
123a: 제2 블레이드바디 123a-1: 제2 블레이드홀
123b: 제2 돌출부 130: 구체
210: 유입구 220: 배출구

Claims (10)

  1.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상하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분쇄유닛; 및
    상기 분쇄유닛을 수용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쇄유닛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을 제공하는 분쇄용기;
    상하 방향으로 배향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분쇄공간에서 회전되는 블레이드부재;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쇄공간에서 이동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와 마찰되는 복수의 구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용기의 하면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회전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교번되어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상기 복수의 구체 중 어느 일부가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되고, 상기 복수의 구체 중 다른 일부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와 마찰되도록,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상기 회전축선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선에 수직 방향인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체 중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구체를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체 중 상기 제2 영역에 있는 구체를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블레이드바디; 및
    상기 제1 블레이드바디의 하단에서 상기 제1 영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블레이드바디; 및
    상기 제2 블레이드바디의 하단에서 상기 제2 영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기에는,
    상기 복수의 구체에 의해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됨에 따라 발생되는 침전물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음식물홀이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쇄유닛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제1 분쇄유닛; 및
    상기 제1 분쇄유닛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분쇄유닛에서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재 분쇄하는 제2 분쇄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쇄유닛은,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과될 수 있는 제1 음식물홀이 형성된 제1 분쇄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쇄유닛은,
    재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과될 수 있는 제2 음식물홀이 형성된 제2 분쇄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음식물홀의 크기는 상기 제1 음식물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선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분쇄유닛을 관통하고, 상기 블레이드부재를 회전시키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됨에 따라 발생되는 침전물을 수용하는 침전물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침전물수용공간은 상기 배출구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복수의 분쇄유닛과 상기 침전물수용공간에 사이에 배치되는 침전물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KR1020200169676A 2020-12-07 2020-12-07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KR102474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676A KR102474087B1 (ko) 2020-12-07 2020-12-07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676A KR102474087B1 (ko) 2020-12-07 2020-12-07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500A KR20220080500A (ko) 2022-06-14
KR102474087B1 true KR102474087B1 (ko) 2022-12-05

Family

ID=8198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676A KR102474087B1 (ko) 2020-12-07 2020-12-07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0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925B1 (ko) 2022-12-29 2023-09-21 장성은 분쇄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102593349B1 (ko) 2023-06-09 2023-10-23 장성은 탈수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102595655B1 (ko) 2023-06-28 2023-10-27 장성은 양 방향으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8261A1 (en) 2000-03-14 2001-09-20 Emerson Electric Co. Grinding mechanism for a food waste disposer
KR101215310B1 (ko) * 2012-07-03 2013-01-03 김찬동 씽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WO2013009590A1 (en) 2011-07-08 2013-01-17 Emerson Electric Co. Food waste disposer with food deflecting housing
KR101400158B1 (ko) 2014-02-28 2014-05-28 이세영 분해효율을 높인 음식물 처리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741B1 (ko) * 2011-07-28 2013-10-17 우경선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106040A (ko) * 2012-03-19 2013-09-27 박창훈 분쇄장치
KR101627427B1 (ko) * 2014-11-04 2016-06-03 권지영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112608A (ko) * 2015-03-20 2016-09-28 박석봉 쓰레기 소멸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8261A1 (en) 2000-03-14 2001-09-20 Emerson Electric Co. Grinding mechanism for a food waste disposer
WO2013009590A1 (en) 2011-07-08 2013-01-17 Emerson Electric Co. Food waste disposer with food deflecting housing
KR101215310B1 (ko) * 2012-07-03 2013-01-03 김찬동 씽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00158B1 (ko) 2014-02-28 2014-05-28 이세영 분해효율을 높인 음식물 처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925B1 (ko) 2022-12-29 2023-09-21 장성은 분쇄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102593349B1 (ko) 2023-06-09 2023-10-23 장성은 탈수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102595655B1 (ko) 2023-06-28 2023-10-27 장성은 양 방향으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500A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087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CN100471572C (zh) 食品废物处理器的磨碎机构
KR20110029860A (ko) 멀티 고정 분쇄 칼날이 구비된 디스포저
KR101620084B1 (ko) 양면 교체 사용이 가능한 이물질 분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펌프
KR20050113212A (ko) 분쇄기
KR101667958B1 (ko) 분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1047374B1 (ko) 디스포저
KR101734950B1 (ko) 원료의 분쇄 및 혼합을 위한 멀티 믹서장치
CN208288153U (zh) 食物垃圾处理器
CN207220083U (zh) 一种高效的食物制浆机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089182A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0924388B1 (ko) 건식 미분 분쇄기
KR20130106040A (ko) 분쇄장치
KR10155594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분쇄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259542B1 (ko) 분쇄 유화 균질기
CN104895160A (zh) 对高韧性高硬度厨余垃圾粉碎效率高的处理机
KR102664407B1 (ko) 슬러지 분쇄기
KR20210015351A (ko) 음식물쓰레기 파쇄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KR200335890Y1 (ko) 음식물분쇄기
KR102458328B1 (ko) 저소음 회전날부를 이용한 디스포저
KR200204230Y1 (ko) 음식물 파쇄기
CN111644235B (zh) 一种磨浆机
KR101035347B1 (ko)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를 가진 분쇄 분산기
KR102208521B1 (ko) 음식물 처리용 교반 겸용 분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