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407B1 - 슬러지 분쇄기 - Google Patents

슬러지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407B1
KR102664407B1 KR1020230087510A KR20230087510A KR102664407B1 KR 102664407 B1 KR102664407 B1 KR 102664407B1 KR 1020230087510 A KR1020230087510 A KR 1020230087510A KR 20230087510 A KR20230087510 A KR 20230087510A KR 102664407 B1 KR102664407 B1 KR 102664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sludge
millstone
crusher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김현
정성일
Original Assignee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4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유기성 폐기액의 소화조에 유입되는 슬러지를 분쇄하는 장치로서 분쇄를 통하여 슬러지 표면적을 최대화하여 소화효율 증대에 기여하기 위한 것으로 환경기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러지 분쇄기 {Sludge shredders}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액의 소화조에 유입되는 슬러지를 분쇄하는 장치로서 분쇄를 통하여 슬러지 표면적을 최대화하여 소화효율 증대에 기여하기 위한 것으로 환경기계 관련 분야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원판마멸밀(Disc attrition mill) 또는 줄여서 마멸밀이라고 하는 마쇄장치 가운데 하나의 원판만 회전하는 싱글디스크밀(Single disc mill)로서 주로 습식 식품 제조기에 활용되는 기술이다. 이것은 우리의 전통적인 수평형 수동 맷돌 분쇄기를 수직화, 전동화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통상 두유기로 불리는 마쇄세절기이다.
FOOD ENGINEERING OPERATIONS (2nd edition) by J. B. Brennan, J. R. Butters, N. D. Cowell, A. E. V. Lilly APPLIED SCIENCE PUBLISHERS LIMITED LONDON, 1976 4.3.3 DISK ATTRITION MILLS (p68)
분뇨, 가축분뇨, 하수, 음식물쓰레기 등의 유기성슬러지를 투입하여 소화하는 소화조에 있어 투입슬러지의 크기를 축소화하여 그 표면적을 크게 하여 소화미생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므로 소화효율증대에 기여하고자하는 과제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8(±2)㎜ 크기 이하의 협잡물을 1㎜ 정도의 틈새를 통과하는 슬러지가 되게 그 크기를 축소화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 유기성슬러지는 지류, 섬유류, 플라스틱류, 비닐류, 나뭇잎·가지, 모발, 동물의 털, 끈 종류, 식품 조각, 토사류, 금속류, 씨앗류, 기타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형상 또한 엽상, 침상, 구상, 판상, 원통형상, 부정형상 등 온갖 모양을 가진 물질이다. 이 가운데 토사류, 금속류 등의 무기성물질과 파괴되지 않은 씨앗류와 같이 물보다 무거운 물질로서 협잡물처리기에서 제거된 것을 제외한 나머지 물질, 즉 비중이 물과 비슷하거나 가벼운 물질을 대상으로 그 크기를 축소화하려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여기에서 ‘협잡물’과 ‘슬러지’의 용어에 대하여 그 의미를 살피면, 대표적으로 하수의 경우, 협잡물과 폐기슬러지를 합하여 통상 하수찌꺼기라 하며 협잡물과 슬러지를 두루 혼용하여 쓰기도 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협잡물은 유기성 폐기액 처리에 있어 그 속에 포함된 고형물로서 말 그대로 우선제거대상이 되는 처리방해물질이며 ‘슬러지’는 협잡물에 비해 크기가 작은 고형물로 소화조에 들어가 바이오영양분으로서 가치가 있는 물질이라 할 수 있으나 이 역시 최종적으로는 제거 대상 물질인 것이다. 즉 소화에 유익한 물질이 될 수 있게 협잡물을 축소화하면 그 작아진 협잡물은 슬러지가 되는 셈이다. 기능의 개념으로 보면, 소화조에 유입되기 전까지의 고형물질은 협잡물이며 그것이 바이오영양물질로 소화조에 유입되는 것을 전제로 할 경우 비로소 슬러지가 되는 셈이다. 즉, 소화조에 들어가지 못하고 버려지는 고형물은 협잡물이 되고 소화에 활용되는 고형물은 슬러지라 하겠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본 발명 슬러지분쇄기는 엄밀히 말하면 협잡물분쇄기에 더 가깝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슬러지분쇄기는 ‘슬러지로 만드는 분쇄기’의 의미로 봄이 더 나을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명칭인 슬러지분쇄기는 대한민국 물품분류번호 정보, 세부품명정보의 분류해설에는, “슬러지 내에 포함된 크기가 큰 이물질로 인해 슬러지를 처리하는 설비의 관이 막히거나 회전체에 고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물질을 분쇄기의 회전하는 칼날에 의해 분쇄시키는 장치로 슬러지 처리공정의 전처리에 사용됨.” 이라고 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말하는 ‘슬러지 내에 포함된 크기가 큰 이물질’ 이 달리 말해 ‘협잡물’인 것으로 슬러지분쇄기는 회전칼날에 의한 협잡물의 분쇄방식을 적용한 장치를 의미하고 있다 하겠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슬러지분쇄기는 그 사용목적이 공정흐름의 안정성을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슬러지 분쇄기는, 협잡물의 크기를 줄여 소화에 유익한 슬러지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다르다. 종래의 슬러지분쇄기는 관의 폐쇄현상이나 설비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고형물의 입자 크기 축소범위를 매우 미세하게 할 필요는 없다 하겠다. 즉 통상 5㎜면 충분하다. 실제 사용되고 있는 슬러지분쇄기의 분쇄 최소 크기 역시 그 정도이다. 이 치수가 또한 칼날분쇄기의 한계이기도 한 것이다. 이에 비해 본 발명 슬러지분쇄기는 바이오영양분으로서의 효과를 위해서 슬러지의 크기가 작을수록 좋기 때문에 그 크기 축소 범위를 1㎜ 정도까지 해야 하는 차이가 있다.
상기 ‘분류해설’에서 말하는 슬러지분쇄기의 ‘회전하는 칼날’은 가정용 커터기와 같이 고속회전하는 커터를 이용하여 마치 공중에서 빠른 속도로 칼을 휘둘러 물체를 자르는 것과 같은 분쇄 매커니즘과 가위나 작두의 원리인 양날 절단방식 등 두 방식을 상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앞의 공중회전칼날 방식은 모발, 동물 털, 끈 종류 등 가늘고 긴 물질이 회전날개 또는 회전축에 휘감기는 현상을 피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어 연속가동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이 방식은 가정용이나 업소용 분쇄기 같이 단속적 가동방식을 적용하는 데는 별 문제가 없으나 연속적가동이 요구되는 시설이나 산업용으로는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뒤의 양날절단 방식은 손의 미세한 감각을 필요로 하는 수동절단방식에 적합한 것으로 이를 자동 절단방식에 적용한다면 양측 칼날의 접촉각, 접촉력, 마모에 대한 자동 보정 등 이른바 두 칼날의 미세한 핀트를 연속 자동으로 맞춰나가는 것이 매우 어려워 미세절단의 자동장치로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겠다. 그나마 양날 절단방식을 적용한 것으로 가장 가능성 있는 분쇄기는 파쇄펌프의 경우라 할 것이다. 그러나 파쇄펌프는 10㎜ 정도 이상 크기의 중·대형 협잡물의 애벌 분쇄에 적합한 것으로 미세한 분쇄가 목적인 본 발명에는 맞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소화조에 투입할 미생물의 먹이로서의 슬러지를 분쇄하는 본 발명 협잡물의 미세 분쇄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방식은 마쇄 방식으로 본다. 마쇄 방식 가운데에서도 우리의 전통적인 수평형 수동 맷돌 분쇄기를 수직화, 전동화한 장치로서 회전맷돌과 고정맷돌의 틈새에 피가공물을 투입하여 가는 장치(Grinder)인 연마식 세절기가 가장 적절할 것이다. 그렇게 보는 이유는,
첫째, 연성의 물질을 쪼개는 데 적합하다.
둘째, 미세 분쇄가 용이하다.
셋째, 피가공물질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는다.
넷째, 피가공물이 접촉하는 회전축이나 회전날개가 없어 휘감김이나 틈새 협착현상이 없다.
다섯째, 1㎜ 정도의 틈새만 있을 뿐 핀트를 지속적으로 맞추어야 하는 칼날이 없다.
여섯째, 투입, 마쇄, 배출에 일정수준의 물이 필요한 방식으로 습윤상 태인 협잡물에 적절하다. 필요에 따라 물을 추가하기에 어려움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 상기 연마식 세절기를 선정하며 더욱 구체적인 해결 수단은 주로 식품가공용으로 활용되는 상기 연마식 세절기를 협잡물 마쇄에 적합한 장치로 바꾸는 과제라 하겠다.
전통적인 수평형 수동 맷돌 분쇄기를 수직화, 전동화한 장치로서 회전맷돌(2)의 위치가 고정되고 고정맷돌(3)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으로 유입측판(6)에 구비된 복수 개의 조절스프링(4)으로 상기 고정맷돌(3)을 밀어주는 구성으로 비상시 과부하를 예방하고 가동중단 사고를 막을 수 있게 한, 고정맷돌조절형 맷돌마쇄방식의 슬러지분쇄기이다.
다른 해결 수단으로. 상기 첫째 해결 수단에서 분쇄기유입구(62) 대신, 접선방향 유입 방식의 원심유입기(7)로 구비하여 이를 통하여 처리대상액이 회전하며 슬러지분쇄기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유입통로(61)의 막힘현상을 예방하여 가동의 안정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 다른 해결 수단으로, 슬러지분쇄기의 분쇄기유입구(62) 대신, 살수투입구(81)와 세척수투입구(82)가 원의 접선방향으로 부착되어 회전 하강하는 흐름을 발생시키게 한 원심살수투입기(8)로 구비하여 이를 통하여 상기 살수투입구(81)에서 투입되는 희석수가, 투입기몸체(83)의 원형 상판의 협잡물유입구(84)로 하강 유입되는 협잡물을 타격하여 동반 회전 하강하며 슬러지분쇄기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분쇄기 유입통로(61)에서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마쇄 및 마쇄된 물질의 배출에 소요되는 수분의 공급 역할을 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살수투입구(81)와 회전대칭의 위치에 상기 세척수투입구(82)를 구비하며 여기에서 투입된 세척수가, 가동 후 슬러지분쇄기의 상기 유입통로(61)와 슬러지분쇄기 본체를 청소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기술인 통상 두유기로 불리는 마쇄세절기는 주로 식품제조와 관련하여 콩 등의 곡물의 크기를 축소하는 장치로 주로 식당이나 식품제조 공장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고정맷돌과 회전맷돌의 틈새에서 마쇄되어 원심 배출된다. 이것은 특별한 경험이나 기능이 없어도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피가공물의 종류와 애벌분쇄, 미세분쇄 등의 순차적 분쇄 방식과 같은 활용방법에 따라 수시로 분쇄물의 크기를 조정해야 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하나의 틈새조절핸들(102)로 틈새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달리 본 발명의 슬러지 분쇄기는 분뇨, 가축분뇨, 하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 등에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그 대상물질은 폐기액에 함유된 협잡물에 국한되며 장치 사용자는 일정 수준의 기계 관리능력을 가진 사람으로 특정된다. 그리고 고정맷돌(3)과 회전맷돌(2)의 틈새를 한 번 맞추어 놓으면(1㎜ 기본) 맷돌이 크게 마모되지 않는 한 상기 틈새를 조절할 필요가 없다.
상기 마쇄세절기(두유기)(100)와 본 발명 슬러지분쇄기의 활용에 대한 차이점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두유기(100)와 본 발명 슬러지분쇄기의 활용에 대한 차이점의 비교
분쇄기
구 분
마쇄세절기(두유기) 슬러지분쇄기 비 고
용도 (사용목적) 식품 분쇄 협잡물 분쇄
사용처 식당, 식품가공업소 분뇨, 가축분뇨, 하수,
음식물쓰레기 등 처리장
처리대상물질 콩 등 곡물 협잡물
물질 형상, 성상 과립상, 유입통로 막힘 현상 적음 다양한 형상의 집합체
유입통로 막힘 현상 많음
조작자 누구나 운영자(조작기능자)
틈새조절 빈번 거의 없음
장치 청소 작업완료후 필수 거의 필요 없음
상기 표 1과 같이 배경기술의 마쇄세절기(두유기)(100)와 본 발명 슬러지분쇄기는 물질을 마쇄하여 분쇄한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그 활용의 실질적 내용에 있어서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상 두유기(100)라 하는 마쇄세절기를 토대로 하되 이를 개량, 변경하여 슬러지분쇄에 적합한 마쇄방식 슬러지분쇄기를 상기 과제의 해결 방법을 통하여 창작한 것으로 그 결과 두 장치는 다음 표 2와 같이 대비된다.
[표 2] 마쇄세절기(두유기)(100)와 본 발명 슬러지분쇄기의 구성 비교
분쇄기
구 분
두유기 슬러지분쇄기 비 교
틈새조절방식 회전맷돌의 위치 변경 고정맷돌의 위치 변경 회전체를 조절하는 두유기에 비해 고정체를 조절하는 슬러지분쇄기의 기계적 안정성이 더 높다.
틈새밀기방식 대형 스프링 1개 소형 스프링 복수 개 회전축을 감싼 조절스프링 에 비해 고정부위를 조절하는 스프링의 구조가 간단
스프링 조절 누구나, 자주,용이하게, 신속히 조절할 필요로 외부 핸들 장착 사용빈도 낮고, 공구가 필요 주로 식품가공업,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두유기에 비해 폐기액처리장에서만 활용되는 슬러지분쇄기는 거의 조절할 필요가 없어 외부 핸들이 없는 간단 구조
개폐장치 일회 사용 후 내부 청소 필요, 원터치 개폐장치 장착 사용후 개방 청소 불필요 식품처리용인 두유기는 잦은 청소 필요, 폐기액 전용처리용인 슬러지분쇄기는 개방 청소 불필요하여 원터치 개폐장치 불필요
통로막힘방지 수단 없음 회전유입
방식적용
유입깔때기 접선유입방식
으로 회전력을 발생
상기 두유기와 슬러지분쇄기에 있어 표 1의 활용의 차이와 그에 따라 창작한 표 2의 구성의 비교를 분석하면,
첫째, 두유기(100)와는 달리 슬러지 분쇄기는 막힘 현상이 잦은 처리대상물질의 특징에 맞추어 분쇄기유입구(62)에, 접선 유입방식을 적용하여 유입물이 회전 하강 하도록 하여 유입구(142)와 유입통로(14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특히 꺾이는 부위에서의 폐쇄현상을 예방한다.
둘째, 두유기(100)의 틈새조절방식은 회전맷돌의 위치를 이동, 조절하게 되어 있다. 이 조절방식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기계적 안정성이 떨어지고 구조가 복잡하다. 이에 비해 본 발명 슬러지분쇄기는 고정맷돌(3)의 위치를 조절하여 두 맷돌의 틈새를 조절하는 방식인 것으로 기계적안정성과 제작의 용이성을 기할 수 있다. 상기 두 방식을 부연 설명하면,
두유기(100)에서 만약 고정맷돌을 조절하게 하려면 고정맷돌이 부착된 유입측판(104)에 큰 스프링을 내장시키고 그 스프링의 압력을 조절하여 고정맷돌을 밀어주게 하여야 한다. 그런데 두유기(100)는 누구나 용이하게 또한 빈번하게 스프링 압력을 조절해야 하므로 그 틈새 조절 부재는 외부에 노출된 큰 핸들 형태로 할 수밖에 없다. 이럴 경우 유입측판(104)에는 고정맷돌, 고정판, 스프링, 문짝의 외경 세목나사 외부에 구비되는 틈새조절핸들(102) 등,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부재가 많아져 유입측판(104)의 폭(두께)이 커지고 무거워지게 되어 원터치개폐기(143)의 제작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두유기(100)는 기계적 안정성을 희생하고 또한 제조의 복잡성을 무릅쓰고 회전맷돌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하여 틈새조절부재를 전동측 공간에 두어 문짝(104)을 단순화, 경량화한 방식을 선정하게 된 것이라 하겠다.
이에 대비하여 본 발명 슬러지분쇄기는 조작기능을 가진 특정인만 장치를 다루고 틈새를 한번 맞춰놓으면 맷돌이 심하게 마모되기 전까지는 틈새를 조절할 필요가 거의 없으므로 외부 노출된 큰 핸들을 굳이 구비할 필요 없이 문짝(6)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작은 조절스프링(4)으로 조절하는 방식을 통하여 기계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문짝(6)의 폭을 키우지 않아도 되므로 수평 유입공간이 길어지지 않아 막힐 염려가 줄어든다.
상기와 같이 사용의 편리성을 우선하는 두유기(100)에 비해 본 발명 슬러지분쇄기는 사용의 편리성을 굳이 따질 필요가 없으므로 고속회전부재를 움직이지 않고 고정부재를 조절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방향타같이 복잡한 내부구성의 틈새조절핸들이 없는 구조로 단순화가 가능한 것으로 기계적 안정성과 제조의 용이성에 초점을 맞출 수가 있는 것이다.
셋째, 식품과 폐기물의 차이에 맞추어 작동후 청소 방식이 달라 개폐장치를 다르게 적용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그 사용목적과 다루는 물질, 작동의 특질에 맞게 구성한 슬러지 분쇄에 특화된 본 발명 슬러지 분쇄기의 효과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 두유기의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러지분쇄기의 입체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러지분쇄기의 원심유입기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슬러지분쇄기의 원심살수투입기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실시예 1>
전동기(5)로부터 전동되는, 2 셋트의 베어링(52)으로 구축된 축(51)과 축의 끝에 장착된 회전맷돌(2)과, 상기 회전맷돌(2)과 일정 간격 (1㎜ 표준)을 유지하고 있는, 고정맷돌부착판(31)에 붙어있는 고정맷돌(3)이 구비되는 구조이다. 상기 두 맷돌 사이의 최저 틈새(표준치 1㎜)가 항상 유지될 수 있게 복수 개의 조절스프링(4)이 상기 고정맷돌(3)을 밀고 있는 구조이다. 가동 중 순간적으로 딱딱하거나 큰 물질이 유입될 경우 상기 조절스프링(4)의 후퇴 작용으로 상기 고정맷돌(3)이 부착된 고정맷돌부착판(31)을 뒤로 밀리게 하여 상기 고정맷돌(3)과 상기 회전맷돌(2) 사이의 틈새를 벌려주어 과부하를 막고 작동이 중지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구성이다. 상기 조절스프링(4)은 유입측판(6)에 4개 정도로 구비되며 방수형의 스프링캡(41)으로 마감되어 있으며 분쇄기몸체(1) 하부에는 사각형상의 마쇄물배출구(11)가 구비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슬러지분쇄기의 분쇄기유입구(62)를 원심유입기(7)로 대체한 것으로 슬러지분쇄기에 유입되는 물질이 펌프로 이송 가능한 통상 수분 95% 이상의 고·액혼합물을 대상으로 적용한 것이다.
상부에 짧은 수직부를 가진 원통형상의 유입기몸체(72)와 그 하부에 점차 좁아지는 직경의 유입기콘(73)을 가진 상기 원심유입기(7)는 상기 유입기몸체(72)의 주면에 원의 접선방향으로 수평 유입하는 상기 유입기입구(71)를 구비하고 상부 원통부위 내부 중심에 원형의 저압방지봉(74)을 수직으로 붙이되 그 하부 끝이 원통부위보다 약간 내려오게 하며 봉의 끝 형상 역시 원추형으로 뾰족하게 한다. 그 원추각도는 유입기콘(73) 원추각과 비슷한 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유입공정의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수평의 상기 유입기입구(71)를 통하여 상기 원심유입기(7) 내부로 혼합액이 펌핑유입되면 유입액은 접선방향 유입에 의한 유체의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원심력이 발생하여 중심에서 먼 쪽으로 몰려 회전 하강하게 된다. 이때 중심부에는 진공에 가까운 저압부가 생겨난다. 이 저압공간은 유체흐름에 방해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저압 발생부위의 공간을 없애는 역할로 저압방지봉(74)을 중심에 구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유입물이 선회류가 되기 때문에 유입통로(61) 특히 직각으로 꺾기는 엘보부위에서의 막힘현상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대로 비슷한 크기와 비슷한 형상의 과립형 식품을 다루는 두유기(100)와는 달리 본 발명 슬러지분쇄기는 함유된 고형물질의 형상, 성상이 매우 다양하고 모발과 같은 세장물에 의하여 고형물이 응집. 결집되는 경향이 있어 이송과정에서 막힐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여 가동중단이 없도록 한 것으로서 안정성이 강조되는 구성의 창작이라 할 것이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수분함량이 90% 이하로서 물에서 건져낸 찌꺼기와 같은 물질, 즉 컨베어로 이송되어 오는 고·액혼합물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실시예 2는 압송되어온 펌핑액이 그대로 슬러지분쇄기로 압입되는 구조라면 실시예 3은 물이 묻은 협잡물이 컨베어에서 중력으로 낙하하여 슬러지분쇄기로 유입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 3은 상기 실시예 1의 분쇄기유입구(62)를 원심형의 상기 살수투입구(81)를 구비한 원심살수투입기(8)로 대체한 것이다. 이것은 상판과 수직 원통으로 된 투입기몸체(83)와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투입기콘(85)이 결합된 것으로 상기 투입기몸체(83)의 상판 수평부에는 그 중앙을 피하여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상기 협잡물유입구(84)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 원통의 주면에는 상기 살수투입구(81)와 세척수투입구(82)를 각각 수평으로 구비한다. 상기 두 물 투입구(81, 82)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부착하되 서로 회전대칭되는 위치가 좋으며 상기 투입기콘(85)이 슬러지분쇄기의 유입구가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부에서 하강 유입되는 협잡물을 상기 살수투입구(81)로 들어온, 일정 속도를 가진 희석수가 수평방향으로 타격하여 함께 상기 투입기콘(85)과 슬러지분쇄기 상기 유입통로(61) 내부를 회전하며 하강하게 되어 막힘현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 달리 만약 협잡물이 회전운동을 하지 않고 그냥 슬러지분쇄기로 떨어져 들어갈 경우 자칫 덩어리진 협잡물이 힘없이 떨어지며 곡관 통로가 막히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살수투입구(81)를 통하여 들어오는 살수는 유입통로의 막힘현상 예방과 함께 슬러지분쇄기의 내부 이송, 분쇄, 마쇄물 배출에 필요한 희석수로서의 역할도 하는 것으로 희석수(살수)는 본 발명 전단계의 여과수를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수는 외부의 청수를 활용할 수 있다. 이 세척수는 운전의 종료시에만 세척용으로 잠시 사용하기 때문에 물 사용량은 별 문제될 것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2와 같은 저압방지봉은 불필요하다. 실시예 2는 전체시스템이 펌핑라인이 되어 수압이 전 공간에 미치지만 실시예 3은 컨베어에서 자유낙하하는 톱오픈(Top open)의 구조이므로 저압 발생의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1: 분쇄기몸체
11: 마쇄물배출구
2: 회전맷돌
3: 고정맷돌
31: 고정맷돌부착판
311: 부착볼트
4: 조절스프링
41: 스프링캡
5: 전동기
51: 축
52: 베어링
53: 씰
6: 유입측판(문짝)
61: 유입통로
62: 분쇄기유입구
7: 원심유입기
71: 유입기입구
72: 유입기몸체
73: 유입기콘
74: 저압방지봉
8: 원심살수투입기
81: 살수투입구
82: 세척수투입구
83: 투입기몸체
84: 협잡물유입구
85: 투입기콘
100: 두유기
101: 두유기몸체
111: 마쇄물 배출구
102: 틈새조절핸들
103: 전동기
104: 유입측판
141: 유입통로
142: 유입구
143: 원터치개폐기

Claims (1)

  1. 전통적인 수평형 수동 맷돌 분쇄기를 수직화, 전동화한 장치로서 회전맷돌(2)의 위치가 고정되고 고정맷돌(3)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으로 유입측판(6)에 구비된 복수 개의 조절스프링(4)으로 상기 고정맷돌(3)을 밀어주는 구성으로 비상시 과부하를 예방하고 가동중단 사고를 막을 수 있게 하고,
    수직원통의 상측 주면에 접선방향으로 유입구입구(71)가 수평으로 연결된 유입기몸체(72)와 상기 유입기몸체(72)의 하부에 점차 좁아지는 직경의 유입기콘(73)이 붙은 원심유입기(7)를 종래의 분쇄기유입구(62)를 대체하여 구비하고, 상기 유입기몸체(72) 원통 내부 중심에 원형의 저압방지봉(74)을 수직으로 붙이되 그 하부 끝이 원통부위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저압방지봉(74)의 끝 형상 또한 상기 유입기콘(73)의 원추각에 대응되는 각도로 뾰족하게 하여 원심력에 따른 중심부위의 저압발생현상을 억제하고 원심 선회 효과를 상승시켜 분쇄기 본체의 유입 막힘 현상을 방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분쇄기.
KR1020230087510A 2022-12-22 2023-07-06 슬러지 분쇄기 KR102664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510A KR102664407B1 (ko) 2022-12-22 2023-07-06 슬러지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324A KR102560836B1 (ko) 2022-12-22 2022-12-22 슬러지 분쇄기
KR1020230087510A KR102664407B1 (ko) 2022-12-22 2023-07-06 슬러지 분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324A Division KR102560836B1 (ko) 2022-12-22 2022-12-22 슬러지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407B1 true KR102664407B1 (ko) 2024-05-08

Family

ID=874269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324A KR102560836B1 (ko) 2022-12-22 2022-12-22 슬러지 분쇄기
KR1020230087510A KR102664407B1 (ko) 2022-12-22 2023-07-06 슬러지 분쇄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324A KR102560836B1 (ko) 2022-12-22 2022-12-22 슬러지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608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753Y1 (ko) * 1978-08-10 1979-10-18 오세찬 미분쇄기
JP2008247676A (ja) * 2007-03-30 2008-10-16 Ube Ind Ltd 可燃性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753Y1 (ko) * 1978-08-10 1979-10-18 오세찬 미분쇄기
JP2008247676A (ja) * 2007-03-30 2008-10-16 Ube Ind Ltd 可燃性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4.3.3 DISK ATTRITION MILLS (p68)
APPLIED SCIENCE PUBLISHERS LIMITED
by J. B. Brennan, J. R. Butters, N. D. Cowell, A. E. V. Lilly
FOOD ENGINEERING OPERATIONS (2nd edition)
LONDON, 197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836B1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8152B (zh) 粉碎设施
KR101842233B1 (ko) 처리 능력이 큰 분쇄기 및 미세 지분 제조 방법
JP6449574B2 (ja) 砥石および磨砕装置
CN206253206U (zh) 一种新型低温超微粉碎装置
KR102542537B1 (ko) 슬러지 분쇄 기능을 겸비한 협잡물처리기
CN105750044A (zh) 一种螺旋粉碎机
KR20050101127A (ko) 다기능 녹즙기
KR102664407B1 (ko) 슬러지 분쇄기
CN107838032B (zh) 一种胶体磨漏斗
KR101837528B1 (ko) 과일용 생즙 분쇄기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CN104895160A (zh) 对高韧性高硬度厨余垃圾粉碎效率高的处理机
CN105729679B (zh) 一种秸秆-废塑料一体化粉碎装置
KR101705130B1 (ko) 수직형 디스포져
KR102287258B1 (ko) 음식물 처리기
KR20080028085A (ko) 대용량 착즙기용 파쇄기
CN107282229A (zh) 一种食品粉碎研磨机
CN107837940B (zh) 一种超微胶体磨装置
JP6472501B2 (ja) 砥石および磨砕装置
CN107837941B (zh) 一种带分级器的胶体磨漏斗机构
CN101259445A (zh) 湿式精碎机
KR20100042096A (ko) 음식물류 폐기물 순간분쇄기
CN204672366U (zh) 一种用于树枝粉碎的粉碎机
KR100515521B1 (ko) 분쇄기
KR900009830Y1 (ko) 맷돌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