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309B1 -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309B1
KR102590309B1 KR1020230107314A KR20230107314A KR102590309B1 KR 102590309 B1 KR102590309 B1 KR 102590309B1 KR 1020230107314 A KR1020230107314 A KR 1020230107314A KR 20230107314 A KR20230107314 A KR 20230107314A KR 102590309 B1 KR102590309 B1 KR 102590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room
restrooms
hidden camera
information
camera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아이씨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아이씨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아이씨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Bioet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화장실 중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를 통해 검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AVAILABLE TOILET INFORMATION THROUGH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HIDDEN CAMERA AT ALL TIM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중 화장실 이외에도 사설 화장실에 대한 정부의 보조금 지원 사업이 진행되면서 민간이 관리하는 사설 화장실도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설 화장실은 공중 화장실과는 달리 일정 거점마다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이 존재하는 장소면 어디든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시민의 편의를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종래의, 화장실을 검색하는 방법은, 가맹점 서버와 연결된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과 가장 가까운 가맹점 서버를 검색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5-0016068호(2005.02.21 공개)에는, 관리가 요청된 화장실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가맹점을 연결하여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가맹점 서버가 연결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 공중 화장실이나 사설 화장실을 찾을 수가 없고, 현재 출시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도 누구나 알 수 있는 공중 화장실만을 시민에게 공개하고 있으며 사설 화장실의 정보는 표지판에만 안내가 되어 있을 뿐이므로, 용무가 급한 사용자는 표지판을 찾아서 헤매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공중 화장실이 사용자가 가기에는 너무 멀 경우, 사용자는 난감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한편, 공중 화장실이나 사설 화장실의 경우,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이 가능한 만큼, 몰래 카메라 설치와 같은 범죄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화장실을 안전하게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 내에 위치하는 화장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되,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를 기반으로 몰래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된 화장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공중 화장실 및/또는 사설 화장실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화장실 중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를 통해 검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되,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의 속성 - 상기 인디케이터의 속성은 상기 인디케이터의 종류, 크기, 형태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적용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화장실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항목 - 상기 복수의 항목은 화장실 칸의 개수, 비어 있는 화장실 칸의 개수,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와의 거리,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평가 글의 개수 및 평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화장실들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화장실들 중 상기 산출된 점수가 높은 화장실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화장실들 각각에 적용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 - 상기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은 화장실에 설치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해 몰래 카메라 설치 여부를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상시 탐지 방식과 소정의 주기마다 화장실로 직원을 파견하여 몰래 카메라 설치 여부를 탐지하는 비상시 탐지 방식을 포함함 - 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화장실들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점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화장실에 대응하는 점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화장실 각각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고, 상기 둘 이상의 화장실 중 상기 산출된 관심도가 낮은 화장실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소정의 시간 내에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동일한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는, 복수의 화장실 칸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화장실 칸 각각에 대한 몰래 카메라 설치 여부를 탐지하는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상기 복수의 화장실 칸 내에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복수의 화장실 칸 내에 사용자가 감지될 경우에 동작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화장실 중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의 동작이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화장실이 유료 화장실인 경우, 상기 선택된 화장실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결제 프로세스를 통해 비용이 결제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화장실에 대한 이용권을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화장실에 대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load) 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정의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및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화장실 중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를 통해 검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소정의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화장실 중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를 통해 검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팅 장치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 내에 위치하는 화장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되,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를 기반으로 몰래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된 화장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공중 화장실 및/또는 사설 화장실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화장실 칸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의 설치 여부를 탐지하는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휴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화장실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시스템은 컴퓨팅 장치(100),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200), 사용자 단말(300), 외부 서버(300) 및 네트워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화장실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을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은 경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화장실 중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를 통해 검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고, 선택된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는 화장실 또는 화장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장실 칸 내에 몰래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 및 검증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또는 화장실 칸 각각)에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200)를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200)를 통해 몰래 카메라의 설치 여부를 실시간/상시 탐지하는 상시 탐지 방식(continuous detection)(이하, '제1 탐지 방식')과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이 소정의 주기마다 화장실로 파견되어, 파견된 직원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200`, 200``)를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의 설치 여부를 탐지하는 비상시 탐지 방식(occasional detection)(이하, '제2 탐지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는 고객(화장실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제1 탐지 방식 및/또는 제2 탐지 방식으로 화장실 내에 몰래 카메라 설치 여부를 검증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기서, 화장실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200)와 휴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200`, 200``)는 동일한 원리로 몰래 카메라 설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200, 200`, 200``)를 통해 몰래 카메라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은 몰래 카메라가 동작함에 따라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몰래 카메라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 및/또는 몰래 카메라가 동작함에 따라 방출되는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탐지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화장실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200)는 객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객체 감지 센서를 통해 화장실 칸 내에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동작을 개시하고, 화장실 칸 내에 사용자가 감지될 경우에 동작을 중단함으로써, 사생활 침해 이슈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컴퓨팅 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화장실 정보 제공 서비스는 화장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뿐만 아니라, UI(예: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래 카메라 관련 콘텐츠(예컨대, 뉴스 영상 및 기사 등)를 제공하는 몰카 관련 콘텐츠 제공 서비스, 화장실 올바르게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화장실 이용법 가이드 서비스, 세계 곳곳의 위치하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화장실을 소개하는 세계 화장실 안내 서비스 및 건강 정보(예: 올바르게 걷기, 병원 또는 질병(변비, 비만, 생리, 대장암 등) 정보 등)를 제공하거나, 건강과 관련된 웹 사이트를 연계하여 제공하는 건강 정보 제공 서비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컴퓨팅 장치(100)와 통신을 위한 메커니즘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임의의 형태의 엔티티(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에이전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및 플러그-인(Plug-in)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되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애플리케이션 소스 및/또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5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500)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은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4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100)가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데이터(예컨대, 지역별 화장실에 관한 정보, 복수의 사용에 관한 정보 등)를 저장 및 관리하거나, 컴퓨팅 장치(100)가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함에 따라 도출되는 각종 정보 및 데이터(예컨대, 사용자별 화장실 정보 제공 이력(또는 화장실 매칭 이력), 화장실별 평가 정보(예: 평가 글, 평점 등) 등)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서버(300)는 컴퓨팅 장치(100)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20), 버스(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및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컴퓨팅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11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5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 컴퓨터 프로그램(151)이 로드되면, 프로세서(11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30)는 컴퓨팅 장치(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3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컴퓨팅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5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를 통해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스토리지(150)는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5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메모리(120)에 로드될 때 프로세서(110)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소정의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화장실 중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를 통해 검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컴퓨팅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로 UI(예: 도 8)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UI를 통해 소정의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을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지역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예컨대, 사용자 단말(300)에 포함된 위치 센서(GPS)를 통해 수집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의 지역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소정의 지역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소지를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의 지역이거나 지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지역(예컨대, 드래그 입력을 통해 지정된 범위 내의 영역)일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S110 단계를 거쳐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화장실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하여,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장실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장실 중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를 통해 몰래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100)는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장실 중 제1 탐지 방식을 통해 몰래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곳으로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컴퓨팅 장치(100)는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장실 중 제2 탐지 방식을 통해 몰래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곳으로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2 탐지 방식은 직원이 직접 파견되어 몰래 카메라의 설치 여부를 일정한 주기마다 탐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직원이 방문하지 않는 시간동안 몰래 카메라 설치에 취약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컴퓨팅 장치(100)는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장실 중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를 통해 몰래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된 화장실들을 선택하되, 선택된 화장실들에 적용된 탐지 방식이 제2 탐지 방식일 경우, 직원이 방문한 시점이 가장 최근인 화장실부터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장실 중 비어 있는 화장실 칸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거나, 전체 화장실 칸수 대비 비어 있는 화장실 칸수의 비율이 기 설정된 비율(예컨대 50%)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화장실 중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200)의 동작이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할 수 있다.
화장실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200)의 경우, 화장실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생활 침해 이슈를 방지하기 위해 화장실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없을 경우에만 동작을 개시한다. 즉, 화장실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200)의 동작이 개시된다는 것은 해당 화장실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인 바, 컴퓨팅 장치(100)는 화장실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200)의 동작 여부에 따라 화장실이 비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비어 있는 화장실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화장실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N)를 초과하는 경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화장실들 중 점수가 높은 화장실부터 순차적으로 N개의 화장실을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컴퓨팅 장치(100)는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화장실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N)를 초과하는 경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화장실들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항목 각각을 기준으로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화장실들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항목은 화장실들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 평가 항목으로, 예컨대, 복수의 항목은 화장실 칸의 개수, 비어 있는 화장실 칸의 개수,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와의 거리,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평가 글의 개수 및 평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항목 각각을 기준으로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화장실들을 순차적으로 정렬할 수 있고, 사전에 정의된 점수 범위와 화장실들의 정렬 순서에 기초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100)는 화장실들에 대한 평가 항목이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와의 거리이고, 해당 항목에 대하여 사전에 정의된 점수 범위가 1 내지 10점일 경우,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운 화장실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화장실 각각에 1 내지 10점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항목 각각을 기준으로 화장실을 정렬함에 따라 정렬된 순서와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하여 사전에 정의된 점수 범위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단위 점수를 부여할 수 있고, 단위 점수들을 합산하여 복수의 화장실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사전에 정의된 점수 범위는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중요도(또는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항목이 사용자와의 거리 및 평점을 포함하고, 사용자와의 거리에 대응하는 우선순위가 제1 순위이며, 평점에 대응하는 우선순위가 제2 순위 인 경우, 사용자와의 거리 항목에 대한 점수 범위를 제1 점수 이상 제2 점수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고, 평점 항목에 대한 점수 범위를 제3 점수 이상 제1 점수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화장실들 각각에 적용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에 기초하여,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화장실들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화장실들에 대한 점수를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100)는 특정 화장실에 적용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이 제1 탐지 방식일 경우, 특정 화장실에 대하여 제1 크기의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고, 제1 크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특정 화장실에 대한 점수를 보정할 수 있다(예컨대, 특정 화장실에 대한 점수와 제1 크기의 가중치 간의 곱 연산).
한편, 컴퓨팅 장치(100)는 특정 화장실에 적용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이 제2 탐지 방식일 경우, 특정 화장실에 대하여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고, 제2 크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특정 화장실에 대한 점수를 보정할 수 있다(예컨대, 특정 화장실에 대한 점수와 제2 크기의 가중치 간의 곱 연산).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화장실에 대응하는 점수가 동일한 경우, 관심도가 낮은 화장실을 최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컴퓨팅 장치(100)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화장실에 대응하는 점수가 동일할 경우, 둘 이상의 화장실 각각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100)는 둘 이상의 화장실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방문자 수(예컨대, 일일 방문자 수)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단위 시간당 방문자 수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화장실 각각의 관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컴퓨팅 장치(100)는 둘 이상의 화장실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정보 제공 횟수(예컨대, 일일 정보 제공 횟수)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단위 시간당 정보 제공 횟수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화장실 각각의 관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화장실 방문 예약을 획득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화장실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방문 예약 수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화장실 각각의 관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컴퓨팅 장치(100)는 둘 이상의 화장실 각각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의 지역에 대한 유동인구 데이터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화장실 각각의 관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장실데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는 어떠한 방법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이후, 컴퓨팅 장치(100)는 점수가 동일한 둘 이상의 화장실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둘 이상의 화장실 중 관심도가 낮은 화장실을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소정의 시간 내에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동일한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둘 이상의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화장실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100)는 제1 사용자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음에 따라 제1 사용자에게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제2 사용자로부터 동일한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장실 중 제1 사용자에게 안내한 화장실을 제외하고 나머지 화장실들에 관한 정보를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이 특정 화장실에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획득한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장실 중 사용자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화장실이 없을 경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장실 각각을 경유지로 설정했을 때의 예상 도착 시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값 이내인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특정 사용자로부터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특정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특정 사용자의 관심사를 추정할 수 있고,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장실 중 특정 사용자의 관심사에 대응하는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관심사를 추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기술들이 공지(예컨대,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관심사 데이터를 빅데이터 분석함에 따라 사용자 유형에 따른 관심사 데이터를 도출하는 방식 등)되어 있고, 이러한 공지 기술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S13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S120 단계를 거쳐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장실 중 상기의 방법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 각각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0)가 표시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 각각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의 속성(예컨대, 인디케이터의 종류, 크기, 형태 및 색상 등)은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적용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특정 화장실에 적용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이 상시 탐지 방식인 경우 인디케이터의 색상을 제1 색상(예컨대,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고, 비상시 탐지 방식인 경우 인디케이터의 색상을 제2 색상(예컨대, 파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이 적용되지 않은 화장실일 경우 인디케이터의 색상을 제3 색상(예컨대,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특정 화장실에 적용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이 상시 탐지 방식인 경우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제1 크기로 표시할 수 있고, 비상시 탐지 방식인 경우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표시할 수 있으며,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이 적용되지 않은 화장실일 경우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제2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지도 데이터를 통해 복수의 화장실 각각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0)와 복수의 화장실 각각에 대한 간략 정보(예컨대, 위치, 무료/유료, 개방 여부, 화장실 칸수 등)를 제공하되,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화장실 중 어느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받는 경우(예컨대, 어느 하나의 화장실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0)를 선택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화장실에 대한 상세 정보(예컨대, 비어 있는 칸수(또는 전체 화장실 칸수 대비 비어 있는 칸수의 비율), 청결 상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 평가 글, 평점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지도 데이터를 통해 복수의 화장실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되, 복수의 화장실 각각에 적용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에 기초하여, 지도 데이터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 및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100)는 지도 데이터를 통해 제1 매장 내에 위치하는 제1 화장실에 대한 정보와 제2 매장 내에 위치하는 제2 화장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되, 제1 화장실에 적용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이 제1 탐지 방식이고, 제2 화장실에 적용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이 제2 탐지 방식일 경우, 제2 화장실에 대해서는 제2 화장실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고, 제1 화장실에 대해서는 제1 화장실에 대한 정보와 제1 매장 및/또는 제1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복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화장실 중 어느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받는 경우, 어느 하나의 화장실까지의 경로를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장실을 이용하기 위한 조건이 사전에 설정된 경우, 사전에 설정된 조건에 따라 사용자에게 화장실 이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화장실이 유료 화장실임에 따라 화장실 이용권을 구매해야 하는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특정 화장실의 이용을 위한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고, 결제 프로세스를 통해 비용이 결제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특정 화장실에 대한 이용권과 특정 화장실로의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화장실이 특정 매장 내에 위치하는 화장실임에 따라 특정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예컨대, 카페에서 판매되는 음료)을 구매해야 하는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특정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할 것을 가이드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특정 매장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또는 기프티콘 구매 페이지)를 제공하여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특정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구매할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복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화장실 중 어느 하나의 화장실을 방문 예상인 화장실로서 선택받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장실과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는 매장이나, 해당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관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복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화장실 중 어느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받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장실이 휴지와 같은 위생용품이 구비되지 않은 화장실일 경우, 지도 데이터를 통해 어느 하나의 화장실까지의 경로와 어느 하나의 화장실과 인접한 장소에 위치하는 편의점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할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소정의 기간 동안의 이용률이 기준 이용률 이하인 화장실에 대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화장실(또는 복수의 화장실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칸) 각각의 이용률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100)는 소정의 기간 동안 복수의 화장실(또는 복수의 화장실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칸) 각각의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장실 각각의 단위 기간당 이용률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화장실 중 단위 기간당 이용률이 기준 이용률 미만인 화장실을 선택하고, 선택된 화장실에 대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특정 화장실의 이용률이 기준 이용률 미만인 경우, 특정 화장실의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300)로 특정 화장실에 대한 점검을 요청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획득되는 피드백(특정 화장실에 대한 점검 내용)에 기초하여 특정 화장실에 대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특정 화장실의 이용률이 기준 이용률 미만인 경우, 특정 화장실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는 업무를 생성할 수 있고, 특정 화장실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들에게 업무를 할당할 수 있으며, 업무를 할당받은 사용자로부터 획득되는 피드백(예컨대, 특정 화장실에 대한 평가 글, 평점 및 특정 화장실을 촬영함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 등)에 따라 특정 화장실에 대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는 피드백을 입력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크기의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의 크기는 피드백을 입력한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중 피드백을 가장 빨리 입력한 사용자부터 순차적으로 큰 크기의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특정 화장실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는 업무를 할당받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을 입력받고,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피드백에 기초하여 특정 화장실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되, 복수의 사용자 중 특정 화장실과 소정의 거리 이내에서 입력된 피드백만을 이용하여 특정 화장실에 대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은 현금, 교환권, 할인권 및 포인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방문한 화장실에 대한 평가 정보(예컨대, 평가 글 및 평점)을 입력받을 수 있고, 평가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들에게 소정의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는 특정 사용자로부터 특정 화장실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특정 화장실의 위치와 특정 화장실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했을 때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거리가 기준 거리 이내(예컨대, 10m 이내)인 경우에만 평가 정보를 수용하고 특정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간단한 설명을 위해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시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새로운 블록이 추가되거나, 일부 블록이 삭제 또는 변경된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컴퓨팅 장치
200 :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
300 : 사용자 단말
400 : 외부 서버
500 : 네트워크

Claims (5)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화장실 중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를 통해 검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화장실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항목 - 상기 복수의 항목은 화장실 칸의 개수, 비어 있는 화장실 칸의 개수,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와의 거리,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평가 글의 개수 및 평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화장실들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화장실들 중 상기 산출된 점수가 높은 화장실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는,
    복수의 화장실 칸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화장실 칸 각각에 대한 몰래 카메라 설치 여부를 탐지하는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상기 복수의 화장실 칸 내에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복수의 화장실 칸 내에 사용자가 감지될 경우에 동작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화장실 중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의 동작이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되,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의 속성 - 상기 인디케이터의 속성은 상기 인디케이터의 종류, 크기, 형태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적용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특정 화장실에 적용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이 상시 탐지 방식인 경우 상기 특정 화장실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의 색상을 제1 색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특정 화장실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제1 크기로 표시하며, 상기 특정 화장실에 적용된 몰래 카메라 탐지 방식이 비상시 탐지 방식인 경우 상기 특정 화장실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의 색상을 제2 색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특정 화장실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소정의 시간 내에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동일한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화장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화장실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장실 중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 화장실을 제외한 나머지 화장실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KR1020230107314A 2023-03-23 2023-08-17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KR102590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314A KR102590309B1 (ko) 2023-03-23 2023-08-17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162A KR102569049B1 (ko) 2023-03-23 2023-03-23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 기반의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30107314A KR102590309B1 (ko) 2023-03-23 2023-08-17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162A Division KR102569049B1 (ko) 2023-03-23 2023-03-23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 기반의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309B1 true KR102590309B1 (ko) 2023-10-17

Family

ID=878488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162A KR102569049B1 (ko) 2023-03-23 2023-03-23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 기반의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30107314A KR102590309B1 (ko) 2023-03-23 2023-08-17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162A KR102569049B1 (ko) 2023-03-23 2023-03-23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 기반의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690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385A (ko) * 2016-04-19 2017-10-27 주식회사 서브원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15701B1 (ko) * 2019-06-17 2020-05-26 신승원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
KR20220036683A (ko) * 2020-09-16 2022-03-2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인공지능을 이용한 몰래카메라 탐지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385A (ko) * 2016-04-19 2017-10-27 주식회사 서브원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15701B1 (ko) * 2019-06-17 2020-05-26 신승원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
KR20220036683A (ko) * 2020-09-16 2022-03-2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인공지능을 이용한 몰래카메라 탐지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049B1 (ko)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03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bile access system deliver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and services
JP6580703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の現在の地理的ロケーションに関連付けられたロケーションエンティティの曖昧性解消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74852B1 (ko)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들 관리
EP31032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ing geofences
US8509744B2 (en) System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JP6748946B2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モバイル・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JP5937733B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US201903254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3166063A1 (en) Heatmap visualisation of event data
KR2008004533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선호도 기반의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장치 및 방법
JP2017509038A (ja) 目標位置を推薦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706755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572664B1 (ko)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지도 정보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90309B1 (ko)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US201402855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evel of detail contents
JP2021099236A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5053002A (ja) 情報提示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利用した移動通信端末
JP6570607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94837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089156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20067755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622610B1 (ko)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
KR101831868B1 (ko) 지능형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JP7436553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6716433B2 (ja) 算出装置、算出方法、及び算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