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701B1 -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 - Google Patents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701B1
KR102115701B1 KR1020190071721A KR20190071721A KR102115701B1 KR 102115701 B1 KR102115701 B1 KR 102115701B1 KR 1020190071721 A KR1020190071721 A KR 1020190071721A KR 20190071721 A KR20190071721 A KR 20190071721A KR 102115701 B1 KR102115701 B1 KR 102115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unit
establishment
verification
det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원
이호천
Original Assignee
신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원 filed Critical 신승원
Priority to KR1020190071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은, 숙박시설, 탈의실, 공중화장실 등에 설치된 몰래카메라와 같은 불법촬영장비를 탐지하고,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서 탐지결과를 관계기관에 신고하며 사용자 간 탐지결과 정보를 공유하여 범죄의 피해를 방지하고 사생활을 보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시스템 및 탐지방법은, 숙박업소 등에 설치된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하고, 탐지정보를 영상을 포함하여 저장하며, 탐지정보를 신고하고 공유하고, 특정 업소에 대한 검증요청을 하는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탐지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로 축적하여 관리하며, 상기 탐지정보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탐지정보를 분석하여 숙박업소 등에 대한 등급을 책정하고, 상기 등급에 의거 해당 숙박업소 정보를 공개하는 운영서버; 상기 사용자단말이 구비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불법촬영장치 탐지 시 불법촬영장치의 렌즈에서 반사되는 빛이 쉽게 구별되어 포착되도록 구비되는 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Hidden Camera}
본 발명은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몰래카메라를 탐지하고 탐지사실을 신고하며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기기의 카메라와 플래쉬에 본 발명의 탐지장치를 장착하거나 스마트기기에 자체 발명한 어플리케이션의 적색필터 기능을 이용하여, 숙박시설, 공공 위락시설의 세면실 및 탈의실, 공중화장실 등에 몰래 설치되어 불법적으로 신체를 촬영하는 몰래카메라와 같은 촬영장비를 탐지하고,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서 탐지결과를 관계기관에 신고하며 사용자 간 탐지결과 정보를 공유하여 범죄의 피해를 방지하고 사생활을 보호하는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및 광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카메라의 성능은 향상되고 그 크기는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이를 악용하여 범죄에 이용하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초소형 카메라와 마이크로폰 및 고성능의 소형 무선송신기를 결합한 몰래 카메라를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장소에 설치한 후 그 내부 상황을 엿보거나 녹취 및 녹화하는 행태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의류 판매장의 탈의실, 워터파크 등의 위락시설, 각종 판매장의 화장실 및 숙박업소와 같이 신체노출이 불가피하여 사생활 보호가 지켜져야 하는 업소를 대상으로 몰래카메라가 빈번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몰래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유출되어 범죄의 대상이 된 피해자에게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한편, 몰래카메라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탐지기를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를 탐지해야 하는데, 개인이 고가의 탐지기를 일일이 구비하거나 탐지실력을 확보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으며 대부분의 업소에는 탐지기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몰래 카메라가 설치되더라도 이를 전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숙박업소 또는 신체노출이 불가피한 장소를 대상으로 몰래 카메라와 같은 사생활 침해 요소를 검사하는 서비스가 개발되고는 있으나, 사용자, 몰래카메라 검사업체,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 통신망(서버), 숙박업소 등의 연계가 필요한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사생활 침해 요소 검사 서비스는 검사를 의뢰한 숙박업소나 위락시설 등만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이용하는 시점보다 이전에 진행된 검사결과를 제시함에 따라 시간 지연에 따른 몰래카메라 설치 등에 관한 위험성은 상존하는 실정이다.
이에 사용자가 언제 어느 장소에서든지 간편하게 즉각적으로 몰래카메라 등 사생활 침해 요소를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과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3999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53896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기기에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치하고 스마트기기의 카메라에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하여, 숙박시설, 위락시설, 탈의실, 공중화장실 등 노출이 불가피한 장소에서 몰래카메라와 같은 불법 촬영장치를 간편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탐지하고, 탐지결과를 관계기관에 신고하며 사용자 간 탐지결과 정보를 손쉽게 공유하여 범죄의 피해를 방지하고 사생활을 보호하며, 나아가 유해업소를 퇴출하고 건전한 업소의 확산을 유도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은,
숙박업소 등에 설치된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하고, 탐지정보를 영상을 포함하여 저장하며, 탐지정보를 신고하고 공유하고, 특정 업소에 대한 검증요청을 하는 사용자단말;
사용자단말로부터 탐지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로 축적하여 관리하며, 탐지정보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며, 탐지정보를 분석하여 숙박업소 등에 대한 등급을 책정하고, 등급에 의거 해당 숙박업소 정보를 공개하는 운영서버;
사용자단말이 구비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위치하며, 불법촬영장치 탐지 시 불법촬영장치의 렌즈에서 반사되는 빛이 쉽게 구별되어 포착되도록 구비되는 탐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또는 상기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할 수 있도록 별도록 제작된 단말인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은,
숙박업소 등에 설치된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하고, 탐지정보를 영상을 포함하여 저장하며, 탐지정보를 신고하고 공유하고, 특정 업소에 대한 검증요청을 하는 사용자단말;
사용자단말로부터 탐지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로 축적하여 관리하며, 탐지정보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며, 탐지정보를 분석하여 숙박업소 등에 대한 등급을 책정하고, 상기 등급에 의거 해당 숙박업소 정보를 공개하는 운영서버;
사용자단말이 설치되어 적색필터를 구현되는 탐지장치;를 포함하되,
사용자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디지털카메라 또는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된 단말인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은,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하고 해당 영상을 촬영하는 탐지촬영부; 탐지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과 날짜,시간,위치,사용자 수동입력 정보를 탐지정보로 하여 저장하는 탐지결과부; 상기 탐지결과부에 저장된 탐지정보를 관계기관에 신고하고 운영서버에 제공하여 다수의 사용자 간 탐지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신고공유부; 상기 신고공유부에서 신고 또는 공유된 특정 업소 및 특정 장소에 대해 불법촬영장치 설치 여부를 검증하도록 운영서버에 요청하는 검증요청부; 불법촬영장치의 설치가 의심되는 업소 및 지역에 대한 탐지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조회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서버는, 사용자단말에서 수신한 탐지정보를 저장하고, 탐지정보에 지정된 업소를 업종별, 날짜별, 지역별로 분류하고, 업소명, 신고자수, 신고횟수, 불법촬영장치 발견여부, 인증여부에 따라 색인화하며, 업소를 소정의 기준에 의거 등급화하며, 업소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고 추가 정보 발생시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데이터관리부에서 등급화 한 업소를 등급에 의거하여 공개하거나 또는 비공개 관리하는 데이터공개부; 데이터관리부에서 수신한 업소에 대한 검증 요청과 사용자단말의 검증요청부에서 수신한 검증 요청에 의거 업소를 실사 검증하는 검증처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탐지장치는, 적색 코팅된 판상형의 반투명 재질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 렌즈를 포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탐지판; 탐지판을 수용하고 스마트기기에 장착되어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상기 탐지판을 위치시킬 수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되, 탐지판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크고,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위치했을 때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을 정도로 광선 투과율이 높은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탐지장치가 사용자단말에 부착되고, 탐지판이 사용자단말의 카메라렌즈의 전면에 위치하는 단계; (2) 사용자단말의 탐지촬영부가 구동되어 카메라와 플래쉬가 구동되고, 카메라촬영모드와 플래쉬가 작동되어, 업소의 몰래카메라 발견 시 해당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3) 사용자단말의 탐기결과부에 상기 탐지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과 업소의 위치, 촬영한 날짜 및 시간, 사용자 코멘트가 탐지정보로 저장되는 단계; (4) 사용자단말의 신고공유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5) 상기 신고공유부에서 상기 탐지정보를 운영서버의 데이터관리부에 업로드하는 단계; (6) 상기 신고공유부에서 상기 탐지정보를 경찰서,여성가족부,보건복지부 등 관계기관에 신고하는 단계; (7) 상기 데이터관리부에서 상기 탐지정보를 분류하고 색인화하며 상기 업소를 등급화하는 단계; (8) 운영서버의 데이터공개부에서 상기 데이터관리부에서 등급화 한 업소 중 공개 가능 등급의 업소를 공개하는 단계; (9) 사용자단말의 조회부에서 상기 데이터공개부에서 공개한 업소를 조회하는 단계; (10) 사용자단말의 검증요청부에서 몰래카메라 설치가 의심되는 특정업소에 대한 검증을 운영서버의 검증처리부에 요청하는 단계; (11) 상기 검증처리부에서 몰래카메라 설치가 의심되는 업소 또는 몰래카메라 설치가 발견된 업소에 대해 관계기관에 검증을 의뢰하거나, 또는 직접 현장실사 점검을 하는 단계; (12) 검증처리부에서 검증요청부에 검증 실시여부, 검증 결과, 향후 검증계획을 회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7)단계에서 데이터관리부는 상기 탐지정보를 해당 업소에 통지하고 인증을 요청할 수 있고, 해당 업소가 인증을 거부할 경우 검증처리부에 직접 실사를 의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숙박시설, 위락시설, 탈의실, 공중화장실 등 노출이 불가피한 장소에서 간단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불법 촬영장치를 탐지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의 스마트기기 악세서리 형태를 이용하므로 휴대성이 좋아서, 불법 촬영장치 탐지를 위해 규모가 큰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활용도가 높다.
셋째,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와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2단계 구성으로 간단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넷째, 몰래카메라 등 불법 촬영장치를 탐지했을 경우, 관계 기관에 손쉽게 관련 정보를 신고할 수 있다.
다섯째, 사용자 간의 정보 공유를 통해서 불법 촬영장치 “안심업소” 및 안전시설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여섯째, 숙박업소, 위락시설 등 불법 촬영장치의 설치가 의심되는 업체들은 자체 탐지 결과를 사용자 간 정보공유의 장에 제공함으로써 홍보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일곱째, 스마트기기의 제조사, 기종, 모델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여 호환성이 높다.
여덟째, 일회용 제품이 아닌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제품으로 환경오염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서버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지장치의 클립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지장치의 흡착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지장치의 집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지장치의 거치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지장치의 접이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지장치의 슬라이드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4의 동작순서 중 사용자단말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서버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지장치의 클립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지장치의 흡착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지장치의 집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지장치의 거치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지장치의 접이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지장치의 슬라이드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 내지 도 14는 도 4의 동작순서 중 사용자단말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10)은 사용자단말(100), 운영서버(200), 탐지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단말(100)은 사용자(20)가 몰래카메라와 같은 불법촬영장치를 탐지 및 촬영하고 관련 탐지정보를 신고 및 공유하며, 공개된 정보를 조회하고, 특정 업소(40)에 대한 검증 요청을 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은 탐지촬영부(110), 탐지결과부(120), 신고공유부(130), 조회부(150), 검증요청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탐지촬영부(110)는, 사용자(20)가 탐지장치(300)를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렌즈 전면에 장착한 후 탐지촬영부(110)를 구동시키면, 몰래카메라 등의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하는 기능을 한다.
우선, 탐지촬영부(110)가 구동되면 스마트기기의 카메라와 플래쉬가 작동이 되며, 카메라는 촬영모드가 된다.
이때, 탐지촬영부(110)는 카메라렌즈의 전면에 탐지장치(300)가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며, 탐지장치(300)가 위치하지 않았을 경우 탐지장치(300)를 카메라렌즈 전면에 위치시키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탐지촬영부(110)는 불법촬영장치의 렌즈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인식하여 사용자(20)에게 주의 또는 경고 표시를 줄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로 인물 사진 찍을 때 얼굴을 인식하면 동그라미가 생기듯이, 본 발명의 탐지촬영부(110)는 불법촬영장치의 존재를 인식했을 때 동그라미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20)는 불법촬영장치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고, 해당 상황을 정지된 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으로 촬영을 하는 중에 정지된 영상으로 캡쳐할 수도 있고, 반대로 정지된 영상 모드에서 동영상으로 전환하여 촬영할 수도 있다.
탐지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은 촬영위치,날짜,시간과 함께 자동으로 탐지결과부(120)에 저장된다.
이때, 촬영위치는 GPS모듈에 기반한 위치서비스에 의해 자동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하며, 이는 사용자(20)의 조작 가능성을 차단하여 탐지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사용자단말(100)은 사용자(20)가 위치한 곳을 파악할 수 있는 위치서비스가 온(ON) 상태이고, 통신망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되어지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촬영위치 뿐 아니라 탐지촬영부(110)에서 생성된 촬영 영상, 날짜, 시간도 조작 가능성 방지를 위해 사용자(20)의 개입에 의한 수정이 차단된다.
다만, 사용자(20)는 상기 기본적인 탐지정보에 덧붙여 구체적 장소, 업소(40) 명칭, 특이사항 등 개인적인 추가 코멘트를 수동 입력으로 탐지정보에 포함시키고 이를 탐지결과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탐지촬영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돋보기 기능을 내재하고 있어, 탐지장치(300)를 장착하고 카메라 탐지 시 특정영역에 대해 의심이 들 경우 해당 영역을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탐지촬영부(110)에서 불법촬영장치의 존재를 파악해서 촬영화면에 동그라미로 표시하면, 사용자(20)는 해당 동그라미 영역을 화면 터치하여 확대하여 볼 수 있으며, 터치를 반복할수록 화면이 더욱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탐지촬영부(110)는 파노라마 기능을 내재하고 있어, 넓은 지역을 한 화면에서 좌우로 길게 탐지할 수 있어 편의성을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20)는 초기에 탐지촬영부(110)의 파노라마 기능으로 넓은 지역을 탐지하다가, 특정영역에 대한 의심이 들 경우 돋보기 기능으로 확대하여 면밀하게 탐지할 수 있다.
탐지결과부(120)는 탐지촬영부(110)로부터 몰래카메라 탐지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탐지결과부(120)는 사용자단말(100)에서 별도의 저장공간을 구성하며, 촬영 영상과 함께 기본적인 탐지정보와 사용자(20)의 수동입력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또한, 탐지결과부(120)는 사용자(20)가 신고 또는 검증 요청한 몰래카메라 요주의 업소(40)에 대한 사후 검증 및 조치내역을 후술하는 운영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탐지정보를 최신 정보상태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신고공유부(130)는 사용자(20)가 취득한 몰래카메라 탐지정보를 관계기관(30)에 신고하거나, 또는 운영서버(200)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신고공유부(130)에서 사용자(20)가 신고하기 기능을 구동시키면 몰래카메라에 대한 법적, 행정적 조치가 가능한 관계기관(30), 즉 경찰서,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국가인원위원회,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의 신고전화번호가 소개되고, 신고자가 특정 기관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전화가 연결된다.
이때, 관계기관(30)의 전화번호 목록과 함께 해당 기관에서 운영하는 SNS, 신고게시판, 채팅 등 메시지에 의한 신고 가능 방법도 게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숙밥업소 소개업체를 통해 숙박업소를 방문했을 경우 해당 소개업체에 개설된 신고전화 또는 해당 소개업체의 어플리케이션이 표기되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20)는 음성통화가 불가하거나 부담되는 경우, 탐지결과부(120)에 저장된 탐지정보를 관계기관(30) 또는 숙박업소 소개업체에 업로드하고 추가적인 메시지를 덧붙일 수 있다.
한편, 신고공유부(130)에서 사용자(20)는 공유하기 기능을 구동시켜 몰래카메라 설치 업소(40)에 대한 정보를 운영서버(2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20)가 공유하기를 구동시키면 사용자단말(100)의 화면에 현재 위치의 지도가 뜨고, 지도에 표시된 현재 위치가 맞는지 확인 후 상기 탐지정보와 수동입력정보를 업로드하면, 다른 사용자들과 함께 업소(40)의 지도위치가 포함된 탐지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로써, 다른 사용자(20)들과 몰래카메라 설치 업소(40) 현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탐지장치(300)가 없는 사용자(20)의 경우에도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신고공유부(130)에서 운영서버(200)로 업로드된 모든 정보, 즉 몰래카메라가 설치되었다고 의심되는 모든 업소(40)가 즉시 공유되는 것은 아니며, 운영서버(200)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공개가 결정된 후에야 사용자(20) 간 공유가 이뤄진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20)가 몰래카메라를 탐지했는데 발견하지 못했을 경우, 사용자(20)는 해당 정보에 대해서도 운영서버(200)에 업로드하여 다른 사용자(20)들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20)는 탐지촬영부(110)의 돋보기 기능을 이용한 영상을 첨부하여 몰래카메라의 불빛이 반사되지 않음을 시각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20)들은 몰래카메라 안심업소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업소(40) 또한 자체적인 검증 결과를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운영서버(200)로 업로드하여 홍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몰래카메라 안심업소에 대한 공유도 즉시적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며, 후술하는 운영서버(200)의 관리기준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검증요청부(140)에서는, 특정 업소(40) 및 특정 장소에 대한 몰래카메라 등의 불법촬영장치 설치 여부를 검증하도록 사용자(20)가 운영서버(200)에 요청한다.
이때, 검증요청이 되는 특정 업소(40) 및 특정 장소는 몰래카메라 검증이 실시되어야 할 타당한 사전 근거, 즉 몰래카메라 설치 업소(40)로 신고되고 공개된 전력 등을 필요로 한다.
검증요청부(140)는 운영서버(200)로부터 사용자(20)의 검증요청에 대한 검증 실시여부, 검증 실시결과, 향후 검증 계획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조회부(150)는 운영서버(200)에서 자체 기준에 의거 공개한 몰래카메라 설치 의심업소 및 안심업소의 목록이 열람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20)는 선별적으로 업소(40)를 선택할 수 있고, 업소(40)들은 자체적으로 주기적 점검과 조회 공개를 통해 이미지 개선 및 홍보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조회부(150)는 사용자(20)가 신고한 몰래카메라 설치 업소(40)에 대한 사후 조치 내역, 즉 업소(40)의 인증여부, 운영서버(200)의 검증결과, 관계기관(30)의 법적,행정적 절차 등의 진행상황 및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00)은 숙박업소(40), 위락시설, 탈의실, 공중위생시설 등의 편의서비스 업체를 이용하는 사용자(20) 뿐 아니라, 상기 편의서비스 업체 입장에서 자발적 시설 점검과 개선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관계기관(30)에서도 정보조회를 위해 사용자단말(100)을 사용할 수 있다.
운영서버(200)는 데이터관리부(210), 데이터공개부(220), 검증처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관리부(210)는 사용자단말(100)에서 수신한 사용자(20)의 탐지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데이터관리부(210)는 탐지정보를 업종별, 날짜별, 지역별로 분류하고, 업소(40)명, 신고자 수, 신고횟수, 몰래카메라 발견여부, 인증여부 등에 따라 색인화한다.
데이터관리부(210)는 신규로 수신한 탐지정보를 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업데이트한다.
데이터관리부(210)는 사용자(20)에 대한 유용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을 위해 탐지정보들을 분류하고, 색인화하고, 업데이트하여 일정 기준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210)에서 부여하고 관리하는 탐지정보 등급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탐지정보
등급(예시)
내용(예시) 공개
여부
1 업소, 경찰, 관계기관, 운영서버 관리자 중
모두의 인증을 마친 정보.
신고횟수 10회 이상
2 업소, 경찰, 관계기관, 운영서버 관리자 중
2개 이상 인증을 마친 정보.
신고횟수 4회 이상.
3 업소, 경찰, 관계기관, 운영서버 관리자 중
1개 주체의 인증을 마친 정보.
신고횟수 3회 미만.
4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업로드 된 정보.
신고횟수 5회 미만. 사용자 수 3인 미만.
×
5 1인의 사용자로부터 업로드 된 정보 ×
데이터관리부(210)는 탐지정보의 공개에 앞서 상기 탐지정보 등급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탐지정보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가령 서로 다른 사용자(20)가 일정 기간동안 동일 내용을 운영서버에 업로드할 경우 공개대상으로 한다는 기준이 필요하다.
이때, 서로 다른 사용자(20)의 수, 기간의 설정, 동일 내용의 유사 범위 등을 어떤 값을 한도로 정할 지에 대한 사전 기준 설정이 필요하다.
이는, 불순한 의도로 경쟁업체나 이용업체에 불이익을 주기 위한 악의적 모함 등을 걸러내기 위한 등급 설정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이며,
또한, 업소(40)측에서 홍보를 위해 거짓으로 제공한 조작된 칭찬 등도 걸러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관리부(210)는 1인의 사용자(20) 또는 동일 관계자로 의심되는 사용자(20)가 올린 정보는 그 횟수에 상관없이 제일 낮은 등급으로 책정하여 공개를 보류할 수 있다.
반면에 신고한 사용자(20)가 많을수록, 인증 당사자가 많을수록 탐지정보의 신뢰성을 인정하여 등급을 상향하여 공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관리부(210)는 몰래카메라가 탐지되었다고 신고된 업소(40)측에 해당 사실을 통보하고 업소(40)측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의거, 업소(40)측에서 자체 조사 결과 신고 내용이 사실에 부합하다고 인정하면 데이터관리부(210)는 해당 탐지정보에 업소(40) 인증을 기록하고 사용자(20)들에게 공개한다.
이때, 업소(40)측에서 업소(40) 인증을 거부하는 경우 데이터관리부(210)는 해당 업소(40)에 대한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이전 신고 내역을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즉, 서로 다른 사용자(20)가 일정 기간 동안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용으로 신고한 내역이 데이터관리부(210)에서 설정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데이터관리부(210)는 일단 해당 업소(40)에 대한 탐지정보를 공개 직전 등급으로 분류하고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속조치로써 데이터관리부(210)는, 검증처리부(230)에 상기 해당 업소(40)에 대한 검증절차를 요청한다.
검증처리부(230)는 데이터관리부(210)에서 요청한 검증 대상 업소(40)에 대해 운영서버(200)관리자가 직접 현장실사를 하여 신고내용의 정합성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이때 검증처리부(230)는 상기 운영서버(200) 관리자에 의한 현장실사 결과 몰래카메라가 탐지되었을 경우 이 상황을 데이터관리부(210)에 통보하고, 관련 사실을 경찰서, 여성가족부 등 관계기관(30)에 고발할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210)에서는 현장실사 결과 몰래카메라가 탐지되었다고 통보를 받으면 해당 탐지정보의 등급을 상향하고 다수의 사용자(20)가 조회할 수 있도록 공개한다.
한편, 검증처리부(230)는 운영서버(200) 관리자의 현장 실사 대신에 경찰서,여성가족부 등 관계기관(30)에 요청하고 현장 실사 및 검증을 의뢰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증처리부(230)는 관계기관(30)에 대한 현장 실사 및 검증 요청 이전 최종적으로 몰래카메라 설치 의심업소에 업소(40) 자체 인증 절차를 요청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검증처리부(230)는 관계기관(30)의 검증 결과를 수신하면 데이터관리부(210)에 통지한다.
한편, 검증처리부(230)가 사용자단말(100)의 검증요청부(140)로부터 검증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도 상기 검증처리부(230)의 절차는 동일하게 수행된다.
이 경우 검증처리부(230)는 사용자단말(100)의 검증요청부(140)에 검증 실시여부, 검증 실시결과, 향후 추가 검증계획 등을 검증 요청 사용자(20)에게 회신하여야 하며, 사용자(20) 전체에게 공개되도록 데이터관리부(210)에 전달하여야 한다.
한편, 데이터관리부(210)는 탐지정보를 업데이트하면서 탐지정보 등급 기준을 점검하고 등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업소(40)측에서 자체적으로 점검하고, 신고된 몰래카메라 등을 제거한 경우에 해당 이미지 등 탐지정보를 사용자단말(100)을 이용하여 운영서버(200)에 업로드하면, 데이터관리부(210)에서 등급을 하향 조정하여 공개를 제한할 수 있다.
반면에, 다수의 사용자(20)로부터 지속적인 신고가 접수되고, 관계기관(30)의 인증이 추가될수록 등급이 상향되어 미공개였던 탐지정보가 공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데이터관리부(210)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탐지정보 데이터는 데이터공개부(220)와 공유된다.
데이터공개부(220)는 데이터관리부(210)에서 설정한 탐지정보 등급에 따라 공개하도록 설정된 탐지정보를 다수의 사용자(20)와 관계기관(30), 업소(40)가 열람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에 게시한다.
이때 공개등급에 포함되더라도 등급 수준에 따라 공개되는 내용에 차별을 둘 수 있다.
가령 3등급에 해당되어 공개되는 업소(40)인 경우, 업종과 대략적인 위치만 표시하고 업소(40)명은 익명으로 표시할 수 있고, 반면에 1등급에 해당되는 업소(40)인 경우 정확한 업소(40)명과 위치를 모두 공개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공개부(220)는 공개가 보류된 낮은 등급의 탐지정보들에 대해서는 일반 사용자(20)에게는 공개를 제한하되, 관계기관(30)의 요청 또는 신고한 사용자(20) 본인의 조회 요청시에는 당사자에게만 국한하여 탐지정보를 열람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공개부(220)는 현재 상태의 업소(40)별 등급만을 보여주는 데 한정되지 않고, 높은 등급의 위험 업소(40)가 점차 낮은 등급의 안전 업소(40)로 변모해 가는 과거 이력도 함께 보여줄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이 몰래카메라가 탐지된 업소(40)가 사용자(20)들이 이용을 꺼리는 업소(40)로서 사업이 침체되기를 바라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자체 점검 시스템이 미비했던 업소(40)들이 자체 검증설비와 시스템을 강화하여 안심업소로 거듭나기를 유도하는데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주의업소,위험업소로 지정된 공개등급이 높은 업소(40)가 자체적인 개선 정화 시행후 사용자단말(100)의 검증요청부(140)를 통해 운영서버(200)에 검증을 요청하면, 운영서버(200)는 검증처리부(230)를 통해 운영서버(200) 관리자가 현장 실사를 통한 검증을 실시하고 이상 없으면 공개등급을 낮추고 게시판에 관련 변동 사항을 공지하며, 해당 업소(40)를 신고한 사용자(20)들에게도 등급 변동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업소(40)측에서 사용자단말(100)의 검증요청부(140)를 통해 운영서버(200)에 자기 업소(40)에 대한 검증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불법적인 몰래카메라의 설치 여부를 외부 기관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점검받고, 만일 몰래카메라 탐지 시에는 고객의 인지 전에 사전에 제거하고, 몰래카메라가 탐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안심지역’‘안심숙박’‘클린숙박’‘청정숙박’등의 공식 인증을 받아 홍보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탐지장치(300)는 탐지판(310)과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는 수용부(320), 장착부(321), 연결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탐지장치(300)의 다양한 사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탐지판(310)은 적색 코팅된 판상형의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며, 본체는 탐지판(310)을 수용하는 수용부(320)와 본 발명의 장치를 스마트기기에 장착시키는 장착부(321), 그리고 수용부(320)와 장착부(321)를 결합시키는 연결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탐지판(310)은 판상형으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가 몰래카메라와 같은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하고자 할 때 스마트기기의 카메라 전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탐지판(310)은 최소한 상기 카메라 렌즈를 포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스마트기기 전체의 크기를 넘지 않도록 한다.
탐지판(310)은 카메라 렌즈만을 커버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탐지판(310)은 카메라 렌즈와 플래쉬를 동시에 커버할 수도 있다.
탐지판(3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탐지판(310)은 재질적 특수성에 따라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높으며, 광선 투과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탐지판(310)의 광선 투과율은 스마트기기의 카메라가 탐지판(310)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수준 이상이여야 하며, 본 발명에 있어 중요한 구성요건이 된다.
이에 따라, 탐지판(310)은 반투명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몰래카메라의 렌즈에서 반사되는 빛을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인지하기 위한 필수조건이 될 수 있다.
또한, 탐지판(310)은 적색 코팅된 것을 포함한다.
탐지판(310)을 적색으로 함으로써, 탐지판(310)이 몰래카메라의 렌즈에서 나오는 적외선 빛을 더 정확하고 용이하게 검출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몰래카메라의 적외선에 대한 지속적인 검출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탐지판(310)이 특수코팅 처리되어 적색의 보존성이 높도록 해야 한다.
본체는 탐지판(310)을 수용하는 수용부(320)와 본 발명의 탐지장치(300)를 스마트기기에 장착시키는 장착부(321), 그리고 수용부(320)와 장착부(321)를 결합시키는 연결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체를 구성하는 수용부(320)와 장착부(321), 연결부(322)는 본 발명의 탐지장치(3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정형으로 제작되어 스마트기기에 부착되고 고정되는 유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휴대형으로 제작되어 본 발명의 사용시마다 스마트기기에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탐지장치(300)의 수용부(320)는 탐지판(310)을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수용부(32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탐지장치(300)의 다양한 사용 유형에 따른 탐지판(310)의 종류별 형태에 기인한다.
수용부(3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상형의 탐지판(31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프레임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320)는 탐지판(310)의 전면과 후면은 가리지 않으며, 탐지판(310)의 외곽을 보호하고 지지하며, 연결부(322)를 통해 탐지판(310)이 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수용부(320)가 탐지판(310)의 프레임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수용부(32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판상형의 탐지판(310)을 본체 내부에 수용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320)는 본체 내부에 탐지판(310)의 형태와 크기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특정된다.
이에 따라 탐지판(310)이 수용부(320) 내부에서 수용부(320) 외부로 노출이 되면서 카메라 렌즈를 커버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탐지판(310)을 수용부(320)내에 수용하거나 또는 수용부(320)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연결부(322)가 구비되며, 연결부(322)는 탐지판(310)과 수용부(320)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9 내지 도 10은 수용부(320)가 본체 내부의 공간으로 특정되는 형상을 다양한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탐지장치(300)의 장착부(321)는 별도로 휴대하면서 필요시마다 장착하는 휴대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스마트기기에 양면테이프 등 접착성분을 이용하여 부착 고정시키는 고정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장착부(321)가 휴대형인 것을 나타내며, 도 8 내지 도 10은 장착부(321)가 고정형인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장착부(321)가 클립형태로 되어 스마트기기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형상이고, 도 6은 흡착판이 장착부(321) 내측에 구비되어 스마트기기의 일측면에 압축 부착되는 형상이며, 도 7은 집게형태의 장착부(321)가 구비되어 스마트기기의 전면과 후면을 집어서 고정하는 형상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장착부(321)의 일측면에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물질을 구비하여 스마트기기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형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탐지장치(300)의 연결부(322)는 수용부(320)와 장착부(321)를 연결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용부(320) 및 장착부(321)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22)는 수용부(320) 및 장착부(321)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스마트기기의 곡면을 따라 ㄷ자형 또는 유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두 개의 막대형으로 연결부(322)가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322)는 도 8에서와 같이 수용부(320)와 장착부(321)를 힌지 결합시키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연결부(322)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서 수용부(320)를 스마트기기의 거치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부(322)는 도 9에서와 같이 탐지판(310)이 장착부(321)내에 잭나이프처럼 수용되었다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0에서와 같이 탐지판(310)을 장착부(321) 내에 수용하였다가 탐지판(310)에 부착된 손잡이를 올리고 내리는 방식의 슬라이드형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탐지장치(300)가 사용자단말(100)에 부착되는 대신, 도 14의 (10)과 같이 사용자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의 적색필터를 구동시켜 탐지장치(300)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적색필터 기능은 일반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별도의 컬러필터를 끼워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보여준다.
스마트폰, 테블릿PC, 디지털 카메라 등에는 일반카메라의 컬러필터를 일일이 장착할 수 없으므로 스마트기기에 있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이미지를 보여주는 반도체이다.
현재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에는 대상의 색상을 정확하게 촬영하기 위한 컬러필터가 들어있다. 이 컬러필터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기본 필터로는 흑백 기능, 세피아 기능이 있으나 적색 기능은 없으므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은 이미지 센서의 컬러필터를 이용하여 화면이 적색이 되도록 한다.
보정기술은 이미지 센서의 컬러필터 값을 바꾸는 방법으로 빛은 RGB(적색,녹색,청색)로 구성되어 G와 B의 필터값을 "0"으로 조절하고 R값만 "0에서 10"으로 조절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기능을 실행하였을 경우 화면이 적색으로 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별 특징을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를 참조하여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에서 수행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에서 수행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에서 그대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단계별로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탐지장치(300)가 사용자단말(100)에 부착되고, 탐지장치(300)의 탐지판(310)이 사용자단말(100)의 카메라렌즈의 전면에 위치한다(S110).
이때, 탐지장치(300)가 사용자단말(100)에 부착되는 대신, 사용자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의 적색필터를 구동시켜 탐지장치(300)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S110).
다음, 사용자단말(100)의 탐지촬영부(110)가 구동되면 카메라와 플래쉬가 구동되고, 카메라촬영모드와 플래쉬가 작동되어 업소(40)에 몰래카메라가 숨겨져 있는지 탐지를 하며, 몰래카메라 발견 시 해당영역을 촬영한다(S120).
다음, 몰래카메라 촬영 후 사용자단말(100)의 탐기결과부에, 상기 탐지촬영부(110)에서 촬영한 영상과 업소(40)의 위치, 촬영한 날짜 및 시간, 사용자(20) 코멘트가 탐지정보로 저장된다(S130).
사용자단말(100)의 신고공유부(130)를 활성화하여, 사용자(20)는 상기 탐지결과를 신고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S140).
신고공유부(130)에서 공유하기 기능을 통해 탐지정보를 운영서버(200)의 데이터관리부(210)에 업로드한다(S141).
신고공유부(130)에서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탐지정보를 경찰서,여성가족부,보건복지부 등 관계기관(30)에 신고한다(S142).
이 경우 신고와 공유 둘 다 할 수도 있고 또는 둘 다 안할 수도 있다.
데이터관리부(210)에서 상기 탐지정보를 분류하고 색인화하며 상기 업소(40)에 등급을 매겨 등급화 한다(S143).
운영서버(200)의 데이터공개부(220)에서 상기 데이터관리부(210)에서 등급화 한 업소(40) 중 공개가 허용된 등급에 해당되는 업소(40)를 사용자(20)가 공유할 수 있도록 공개한다(S145).
데이터관리부(210)는 탐지정보를 분류,색인화,등급화가 마무리되면, 상기 탐지정보를 해당 업소(40)에 통지하고 인증을 요청할 수 있고(S144), 해당 업소(40)가 인증을 거부할 경우 검증처리부(230)에 검증을 요청하여 운영서버(200) 관리자가 직접 실사 점검을 하도록 의뢰할 수 있다(S146).
사용자단말(100)의 조회부(150)에서 상기 데이터공개부(220)에서 공개한 업소(40)를 조회할 수 있다(S150).
사용자단말(100)의 검증요청부(140)에서 몰래카메라 설치가 의심되는 특정업소에 대한 검증을 운영서버(200)의 검증처리부(230)에 요청할 수 있다(S160),
검증처리부(230)에서는 데이터관리부(210) 또는 검증요청부(140)에서 검증을 의뢰받으면(S146, S160), 몰래카메라 설치가 의심되는 업소(40) 또는 몰래카메라 설치가 발견된 업소(40)에 대해 관계기관(30)에 검증을 의뢰하거나(S161), 또는 운영서버(200)에서 직접 현장실사 점검을 한다(S162).
이후, 검증처리부(230)는 검증요청부(140)에 검증 실시여부, 검증 결과, 향후 검증계획을 회신한다(S163).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을 도 4 및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4는 도 4의 동작순서 중 사용자단말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우선 사용자(20)는 숙박업소,위락시설,탈의실 등과 같이 몰래카메라 등 불법촬영장치가 의심되는 공간에서 본 발명의 탐지장치(300)의 탐지판(310)을 스마트기기의 카메라 렌즈 전면에 위치시킨다.(도 12의 (4))
이때, 탐지장치(300)가 사용자단말(100)에 부착되는 대신, 도 14의 (10)과 같이 사용자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의 적색필터를 구동시켜 탐지장치(300)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사용자(20)는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100)의 탐지촬영부(110)를 구동시키고(도 11), 카메라촬영모드와 플래쉬가 작동하는 것을 확인한다.(도 12의 (4))
이때 스마트기기의 위치기반 서비스가 오프(OFF)되어 있거나, 탐지판(310)이 카메라렌즈 전면에 위치하지 않았을 경우, 탐지촬영부(110)는 구동이 보류된 채 상기 위치기반서비스의 온(ON) 상태 전환과 탐지판(310)의 정위치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후 사용자(20)는 의심 영역에 대해 카메라를 이동시키며 스마트기기 화면을 주시한다.
이때 탐지촬영부(110)의 파노라마 기능을 이용하여 넓은 영역을 개략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만일 몰래카메라가 설치되었을 경우 스마트기기 화면에 몰래카메라의 렌즈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불빛이 감지되고 동그라미가 표시되며, 사용자(20)는 탐지촬영부(110)의 돋보기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부분을 확대(도 13의 (7))한 후, 불빛이 나오는 곳을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으로 촬영한다.(도 14)
상기 촬영된 영상은 사용자단말(100)의 탐지결과부(120)에 위치,날짜,시간과 함께 저장되어 탐지정보가 생성되고, 사용자(20)는 개별 코멘트를 수동 입력으로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20)가 상기 탐지정보를 관계기관(30)에 신고하거나 다른 사용자(20)들과 공유하려 한다면 사용자단말(100)의 신고공유부(130)를 활성화시킨다.
신고공유부(130)는 신고하기(도 13의 (6))와 공유하기(도 12의 (5))로 구성되어있다.
이때 사용자(20)는 신고하기와 공유하기를 둘 다 선택할 수도 있으며, 둘 중 하나만 선택할 수도 있다.
신고하기를 선택하면 경찰서,여성가족부 등 관계기관(30)의 전화번호,SNS,게시판 등의 목록이 나열되며, 사용자(20)는 신고할 기관을 설정하고 음성 또는 문자 등의 방법을 선택하여 탐지정보를 신고할 수 있다.(도 13의 (6))
또한, 공유하기를 선택하면 본 발명의 운영서버(200)에 탐지정보가 업로드된다.(도 12의 (5))
운영서버(200)의 데이터관리부(21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수신한 탐지정보를 저장하고, 분류하고, 색인화 한다.
또한 데이터관리부(210)는 신규 수신한 탐지정보를 다수의 사용자(20)로부터 제공받아 기 저장된 탐지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신고가 반복되는 요주의 업소(40)인지 등을 검토한다.
이를 토대로 데이터관리부(210)는 해당 업소(40)에 등급을 매기는 등급화를 하며, 등급화를 기반으로 해당 업소(40)가 다수 사용자(20)에게 공개될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때 등급화 과정에서 데이터관리부(210)는 상기 탐지정보 사실을 해당 업소(40)측에 통지하고 업소(40) 자체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업소(40)측에서 자체 검사결과 해당 탐지정보를 인정한다면 운영서버(200)는 상기 탐지정보를 다수 사용자(20)에게 공개하는 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업소(40)측에서 인증을 거부하는 경우, 데이터관리부(210)는 동일 업소(40)에 대한 신고횟수와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등급을 설정한다.
또는 데이터관리부(210)에서 검증처리부(230)에 해당 업소(40)에 대한 검증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검증처리부(230)는 운영서버(200) 관리자가 해당 업소(40)에 대한 현장 실사 점검을 실시토록 하며, 운영서버(200) 관리자는 검증처리부(230)에 실사 점검 결과를 통지한다.
이후 검증처리부(230)는 탐지결과를 데이터관리부(210)에 전달하며, 데이터관리부(210)는 실사 점검결과를 반영하여 업소(40) 등급을 설정한다.
운영서버(200)의 데이터공개부(220)는 데이터관리부(210)에서 등급화 한 업소(40)정보를 공유하며 다수의 사용자(20)에게 공개할지 여부를 심사하고, 조건 충족 시 공개를 한다.
한편, 사용자단말(100)의 검증요청부(140)는 특정 업소(40)에 대한 검증을 운영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검증요청부(140)를 통해 검증을 요청하는 당사자는 고객일수도 있고, 업소(40)측일 수도 있다.
운영서버(200)의 검증처리부(230)는 관계기관(30)에 검증요청을 의뢰할 수 있고, 또는 직접 현장실사 점검을 할 수 있다.
검증처리부(230)는 검증 결과에 대해 사용자단말(100)의 검증요청부(140)에 회신하여야 한다.
한편, 데이터관리부(210)는 공개된 업소(40)에 대해 업소(40) 자체 개선 시행, 사용자(20)의 신고횟수 추이 등을 참조하여 업소(40) 등급을 주기적으로 변동시킬 수 있다.
데이터공개부(220)에서는 업소(40) 등급의 변화 시 공개기준에 따라 공개여부를 조정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
20 : 사용자
30 : 관계기관
40 : 업소
100 : 사용자단말
110 : 탐지촬영부
120 : 탐지결과부
130 : 신고공유부
140 : 검증요청부
150 : 조회부
200 : 운영서버
210 : 데이터관리부
220 : 데이터공개부
230 : 검증처리부
300 : 탐지장치
310 : 탐지판
320 : 수용부
321 : 장착부
322 : 연결부

Claims (6)

  1. 숙박업소에 설치된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하고, 탐지정보를 영상을 포함하여 저장하며, 탐지정보를 신고하고 공유하고, 특정 업소에 대한 검증요청을 하며, 스마트폰, 태블릿PC 또는 상기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된 단말인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탐지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로 축적하여 관리하며, 상기 탐지정보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탐지정보를 분석하여 숙박업소 또는 신체노출이 불가피한 장소에 대한 등급을 책정하고, 상기 등급에 의거 해당 숙박업소 정보를 공개하는 운영서버;
    상기 사용자단말이 구비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불법촬영장치를 탐지 시 불법촬영장치의 렌즈에서 반사되는 빛이 쉽게 구별되어 포착되도록 구비되는 탐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단말은,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하고 해당 영상을 촬영하는 탐지촬영부;
    상기 탐지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과 날짜,시간,위치,사용자 수동입력 정보를 탐지정보로 하여 저장하는 탐지결과부;
    상기 탐지결과부에 저장된 상기 탐지정보를 관계기관에 신고하고 운영서버에 제공하여 다수의 사용자 간 탐지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신고공유부;
    상기 신고공유부에서 신고 또는 공유된 특정 업소 및 특정 장소에 대해 불법촬영장치 설치 여부를 검증하도록 운영서버에 요청하는 검증요청부;
    불법촬영장치의 설치가 의심되는 업소 및 지역에 대한 탐지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조회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단말에서 수신한 탐지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탐지정보에 지정된 업소를 업종별,날짜별,지역별로 분류하고,업소명,신고자수,신고횟수,불법촬영장치 발견여부,인증여부에 따라 색인화하며, 상기 업소를 소정의 기준에 의거 등급화하며, 상기 업소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고 추가 정보 발생시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상기 데이터관리부에서 등급화 한 상기 업소를 상기 등급에 의거하여 공개하거나 또는 비공개 관리하는 데이터공개부;
    상기 데이터관리부에서 수신한 상기 업소에 대한 검증 요청과 상기 사용자단말의 검증요청부에서 수신한 검증 요청에 의거 상기 업소를 실사 검증하는 검증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관리부는
    몰래카메라가 탐지되었다고 신고된 업소측에 해당 사실을 통보하고 업소측의 인증을 요청하며, 업소측에서 자체 조사 결과 신고 내용이 사실이 부합한다고 인정하면 해당 탐지정보에 업소 인증을 기록하고 사용자에게 공개하고,
    업소측에서 업소 인증을 거부하면 해당 업소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용자가 일정 기간 신고한 내역이 설정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업소에 대한 탐지 정보를 공개 직전 등급으로 분류하고,
    상기 데이터공개부는
    공개등급에 포함되더라도 등급 수준에 따라 차별을 두어 공개되는 내용을 다르게 하되,
    위험업소로 지정된 업소측에서 신고된 몰래카메라를 제거하고 자체 점검을 수행한 후 사용자단말의 검증요청부를 통해 자기 업소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면 운영서버는 검증처리부를 통한 검증을 실시하고 이상이 없으면 데이터관리부가 등급을 하향 조정하여 공개를 제한하고 데이터공개부가 해당 업소를 신고한 사용자들에게 등급 변동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현재 상태의 업소별 등급만 보여주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위험업소가 안전업소로 변해가는 이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2. 숙박업소에 설치된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하고, 탐지정보를 영상을 포함하여 저장하며, 탐지정보를 신고하고 공유하고, 특정 업소에 대한 검증요청을 하며, 스마트폰, 태블릿PC, 디지털카메라 또는 상기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된 단말인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탐지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로 축적하여 관리하며, 상기 탐지정보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탐지정보를 분석하여 숙박업소에 대한 등급을 책정하고, 상기 등급에 의거 해당 숙박업소 정보를 공개하는 운영서버;
    상기 사용자단말이 설치되어 적색필터를 구현되는 탐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단말은,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하고 해당 영상을 촬영하는 탐지촬영부;
    상기 탐지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과 날짜,시간,위치,사용자 수동입력 정보를 탐지정보로 하여 저장하는 탐지결과부;
    상기 탐지결과부에 저장된 상기 탐지정보를 관계기관에 신고하고 운영서버에 제공하여 다수의 사용자 간 탐지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신고공유부;
    상기 신고공유부에서 신고 또는 공유된 특정 업소 및 특정 장소에 대해 불법촬영장치 설치 여부를 검증하도록 운영서버에 요청하는 검증요청부;
    불법촬영장치의 설치가 의심되는 업소 및 지역에 대한 탐지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조회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단말에서 수신한 탐지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탐지정보에 지정된 업소를 업종별,날짜별,지역별로 분류하고,업소명,신고자수,신고횟수,불법촬영장치 발견여부,인증여부에 따라 색인화하며, 상기 업소를 소정의 기준에 의거 등급화하며, 상기 업소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고 추가 정보 발생시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상기 데이터관리부에서 등급화 한 상기 업소를 상기 등급에 의거하여 공개하거나 또는 비공개 관리하는 데이터공개부;
    상기 데이터관리부에서 수신한 상기 업소에 대한 검증 요청과 상기 사용자단말의 검증요청부에서 수신한 검증 요청에 의거 상기 업소를 실사 검증하는 검증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관리부는
    몰래카메라가 탐지되었다고 신고된 업소측에 해당 사실을 통보하고 업소측의 인증을 요청하며, 업소측에서 자체 조사 결과 신고 내용이 사실이 부합한다고 인정하면 해당 탐지정보에 업소 인증을 기록하고 사용자에게 공개하고,
    업소측에서 업소 인증을 거부하면 해당 업소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용자가 일정 기간 신고한 내역이 설정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업소에 대한 탐지 정보를 공개 직전 등급으로 분류하고,
    상기 데이터공개부는
    공개등급에 포함되더라도 등급 수준에 따라 차별을 두어 공개되는 내용을 다르게 하되,
    위험업소로 지정된 업소측에서 신고된 몰래카메라를 제거하고 자체 점검을 수행한 후 사용자단말의 검증요청부를 통해 자기 업소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면 운영서버는 검증처리부를 통한 검증을 실시하고 이상이 없으면 데이터관리부가 등급을 하향 조정하여 공개를 제한하고 데이터공개부가 해당 업소를 신고한 사용자들에게 등급 변동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현재 상태의 업소별 등급만 보여주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위험업소가 안전업소로 변해가는 이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장치는,
    적색 코팅된 판상형의 반투명 재질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 렌즈를 포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탐지판;
    상기 탐지판을 수용하고 상기 스마트기기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상기 탐지판을 위치시킬 수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탐지판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크고, 상기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위치했을 때 상기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을 정도로 광선 투과율이 높은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6. (1) 탐지장치가 사용자단말에 부착되고, 탐지판이 사용자단말의 카메라렌즈의 전면에 위치하는 단계;
    (2) 사용자단말의 탐지촬영부가 구동되어 카메라와 플래쉬가 구동되고, 카메라촬영모드와 플래쉬가 작동되어, 업소의 몰래카메라 발견 시 해당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3) 사용자단말의 상기 탐지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과 업소의 위치, 촬영한 날짜 및 시간이 저장된 탐지정보와, 추가로 입력한 개별 코멘트가 탐지결과부에 저장되는 단계;
    (4) 사용자단말의 신고공유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5) 상기 신고공유부에서 상기 탐지정보를 운영서버의 데이터관리부에 업로드하는 단계;
    (6) 상기 신고공유부에서 상기 탐지정보를 경찰서,여성가족부,보건복지부를 포함하는 관계기관에 신고하는 단계;
    (7) 상기 데이터관리부에서 상기 탐지정보를 분류하고 색인화하며 상기 업소를 등급화하는 단계;
    (8) 운영서버의 데이터공개부에서 상기 데이터관리부에서 등급화 한 업소 중 공개 가능 등급의 업소를 공개하는 단계;
    (9) 사용자단말의 조회부에서 상기 데이터공개부에서 공개한 업소를 조회하는 단계;
    (10) 사용자단말의 검증요청부에서 몰래카메라 설치가 의심되는 특정업소에 대한 검증을 운영서버의 검증처리부에 요청하는 단계;
    (11) 상기 검증처리부에서 몰래카메라 설치가 의심되는 업소 또는 몰래카메라 설치가 발견된 업소에 대해 관계기관에 검증을 의뢰하거나, 또는 직접 현장실사 점검을 하는 단계;
    (12) 검증처리부에서 검증요청부에 검증 실시여부, 검증 결과, 향후 검증계획을 회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13) 상기 (7)단계에서 데이터관리부는 상기 탐지정보를 해당 업소에 통지하고 인증을 요청할 수 있고, 해당 업소가 인증을 거부할 경우 검증처리부에 직접 실사를 의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14) 상기 (8)단계에서 공개등급에 포함되더라도 등급 수준에 따라 차별을 두어 공개되는 내용을 다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15) 위험업소로 지정된 업소측에서 신고된 몰래카메라를 제거하고 자체 점검을 수행한 후 사용자단말의 검증요청부를 통해 자기 업소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면 운영서버는 검증처리부를 통한 검증을 실시하고 이상이 없으면 데이터관리부가 등급을 하향 조정하여 공개를 제한하고 데이터공개부가 해당 업소를 신고한 사용자들에게 등급 변동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현재 상태의 업소별 등급만 보여주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위험업소가 안전업소로 변해가는 이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카메라 탐지방법.
KR1020190071721A 2019-06-17 2019-06-17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 KR102115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721A KR102115701B1 (ko) 2019-06-17 2019-06-17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721A KR102115701B1 (ko) 2019-06-17 2019-06-17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701B1 true KR102115701B1 (ko) 2020-05-26

Family

ID=70914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721A KR102115701B1 (ko) 2019-06-17 2019-06-17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7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679B1 (ko) 2021-09-10 2021-12-30 주식회사 티케이 몰카 탐지 기능이 탑재된 포켓 와이파이 장치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09632A (ko)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휴미디어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KR20220000212U (ko)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아이엔지시스템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용 감지장치
KR20220021642A (ko) 2020-08-14 2022-02-22 (주)넷비젼텔레콤 동영상 트래픽 패턴 감지 장치를 이용하는 불법 카메라 안심존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28345A (ko)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수리텍 이미지 비교 기반 카메라 탐지 시스템
KR102569049B1 (ko) * 2023-03-23 2023-08-23 엘에스아이씨티 주식회사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 기반의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2938A (ko) * 2004-08-05 2006-02-09 주식회사 네비웨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청 및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KR20170053896A (ko) 2015-11-09 2017-05-17 주식회사 야놀자 카메라 설치 인증 시스템
KR101739993B1 (ko) 2015-09-10 2017-05-25 이승재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8855B1 (ko) * 2017-06-30 2018-11-1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몰래 카메라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2938A (ko) * 2004-08-05 2006-02-09 주식회사 네비웨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청 및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KR101739993B1 (ko) 2015-09-10 2017-05-25 이승재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3896A (ko) 2015-11-09 2017-05-17 주식회사 야놀자 카메라 설치 인증 시스템
KR101918855B1 (ko) * 2017-06-30 2018-11-1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몰래 카메라 감지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632A (ko)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휴미디어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KR20220000212U (ko)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아이엔지시스템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용 감지장치
KR20220021642A (ko) 2020-08-14 2022-02-22 (주)넷비젼텔레콤 동영상 트래픽 패턴 감지 장치를 이용하는 불법 카메라 안심존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23245B1 (ko) 2020-08-14 2022-07-21 (주)넷비젼텔레콤 동영상 트래픽 패턴 감지 장치를 이용하는 불법 카메라 안심존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28345A (ko)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수리텍 이미지 비교 기반 카메라 탐지 시스템
KR102345679B1 (ko) 2021-09-10 2021-12-30 주식회사 티케이 몰카 탐지 기능이 탑재된 포켓 와이파이 장치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569049B1 (ko) * 2023-03-23 2023-08-23 엘에스아이씨티 주식회사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 기반의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590309B1 (ko) * 2023-03-23 2023-10-17 엘에스아이씨티 주식회사 몰래 카메라 상시 탐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를 통한 이용 가능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5701B1 (ko)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및 탐지방법
US202002449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for security and/or surveillance
US10963549B2 (en) Device for collecting personal data from user
US20180324177A1 (en) Smart wearable devices
CN109658572B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96865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utomated cloud-based video surveillance system
US87918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location
US20160154991A1 (en) Multi-biometric enrollment kiosk including biometric enrollment and verification, face recognition and fingerprint matching systems
JP620996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5018698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detection of property features when documenting the condition of tangible property
US20180032979A1 (en) Incentivizing activation of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1348367B2 (en) System and method of biometric identification and storing and retrieving suspect information
US202003945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60292493A1 (en) Determining access permission
WO2019200737A1 (zh) 不动产资料上传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5813829B1 (ja) 防犯システム
Fleishman Take Control of Home Security Cameras
US20150326617A1 (en) Privacy Control Processes for Mobile Devices, Wearable Devices, other Networked Devices, and the Internet of Things
WO2011070863A1 (ja) 情報管理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サーバ装置、情報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19172326A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861732B1 (ko) 피관찰자 위치 추적 시스템
US2024012761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eople in video data using non-visual sensor data
JP6398407B2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0705364B (zh) 恶意广告消除方法及系统
WO2011152077A1 (ja) 情報管理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サーバ装置、情報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