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639B1 - 진동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진동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639B1
KR102588639B1 KR1020180046000A KR20180046000A KR102588639B1 KR 102588639 B1 KR102588639 B1 KR 102588639B1 KR 1020180046000 A KR1020180046000 A KR 1020180046000A KR 20180046000 A KR20180046000 A KR 20180046000A KR 102588639 B1 KR102588639 B1 KR 102588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generator
elastic body
magnet
fixing
back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351A (ko
Inventor
오성관
Original Assignee
미네베아미츠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베아미츠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네베아미츠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80046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639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에 적용되는 VCM(Voice Coil Motor) 구동 방식의 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는 커버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로부터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코일과; 일면은 상기 마그네트에 접해 있고 타면은 개구부를 가지는 백요크와;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이 상기 백요크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중공부의 둘레 방향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운동부를 가지고 상기 운동부의 모서리에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안정적인 공진 현상을 구현되고 제작이 용이하여 가격적 경쟁력 있는 진동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동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Linear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에 적용되는 VCM(Voice Coil Motor) 구동 방식의 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는 커버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로부터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코일과; 일면은 상기 마그네트에 접해 있고 타면은 개구부를 가지는 백요크와;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이 상기 백요크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중공부의 둘레 방향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운동부를 가지고 상기 운동부의 모서리에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실리콘 재질의 탄성체;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안정적인 공진 현상이 구현되고 제작이 용이하여 가격 경쟁력 있는 진동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의 오디오 등의 조작 장치로서 볼륨 조절 조그셔틀, 기계식 버튼 등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최근 자동차의 오디오, 네비게이션 등이 통합되어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을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AVN 시스템에서는 기계 장치가 통합되어 터치식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고 있고,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 OLED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에서 터치식 버튼 기능의 구현 및 촉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햅틱 액츄에이터(Haptic Actuator)의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햅틱 액츄에이터에서는 촉각 느낌으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 시간, 구동 세기, 정지, 구동 주기를 제어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전류의 세기에 비례하고 구동 주기 및 전류의 방향에 따라 운동 방향을 제어 할 수 있는 VCM(Voice Coil Motor) 구동방식의 액츄에이터가 적합하다.
VCM 구동방식의 액츄에이터의 전자기 회로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기초하여 마그네트의 둘레로 코일을 배치하여 코일의 둘레로 자성체를 배치하여 자기력이 코일에 수직하여 힘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구성하고, 주기 및 세기에 따라 다양한 촉각을 구현하기 위해 공진 현상을 이용한다.
상기 공진 현상은 가진 주파수와 구조물의 고유 진동수가 일치 할 때 만들어지는 현상으로서, 구조물 중 특히 탄성체의 탄성계수 및 운동하는 구조물의 무게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구현된다. 일반적인 탄성체는 스프링으로 대변되는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 금속으로 제작되는데, 금속으로 제작된 스프링은 안정적인 공진 현상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번의 압연을 통해 철판의 두께를 균일하게 제작하는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때 많은 압연으로 인해 철판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철판 내부에서부터 크랙이 발생하고 추가적으로 반복되는 운동으로 인한 피로 파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 개발된 선형 진동발생기는 박형의 구조를 가지면서도 진동력이 큰 수평 진동형 진동발생기를 제공하는 기술인데, 본 출원인이 특허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0-0090230호, 제10-2011-0083084호, 제10-2011-0019823호, 제10-2012-0124255호, 제10-2013-0089911호 등으로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자동차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에 적용되는 VCM(Voice Coil Motor) 구동 방식의 진동발생기에서,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는 커버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로부터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코일과; 일면은 상기 마그네트에 접해 있고 타면은 개구부를 가지는 백요크와;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이 상기 백요크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중공부의 둘레 방향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운동부를 가지고 상기 운동부의 모서리에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 등으로 구성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공진 현상이 구현되고 제작이 용이하여 가격적 경쟁력 있는 진동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기는,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는 커버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로부터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코일과; 일면은 상기 마그네트에 접해 있고 타면은 개구부를 가지는 백요크와;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이 상기 백요크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중공부의 둘레 방향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운동부를 가지고 상기 운동부의 모서리에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의 고정부가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통홀에 고정핀 부재가 관통되고, 상기 고정핀 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되고 그 돌출된 양단부는 각각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커버의 일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가 압출 또는 사출의 방법으로 그 중공부의 내주면이 상기 백요크를 감싸게 하고, 상기 탄성체의 중공부의 내주면과 상기 백요크의 외주면 사이에는 화학적 반응에 의해 경화 촉진 및 접착력을 일으키는 화학 물질이 도포되어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그네트가 상하 2개가 구비되고 상기 2개의 마그네트가 서로 대향되는 면 사이에 자성체로 된 요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일이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백요크 사이에서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일이 온열에 의해 모양이 고정되어 형성되거나 화학물질에 의해 그 모양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일이 코일고정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코일고정 부재는 상기 커버에 형성된 고정판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의 운동부가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그 길이가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의 고정부가 상기 탄성체의 운동부와 직교되도록 기립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중공부의 높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가 일정 모양이 형성된 후 추가로 별도의 후처리 공정을 거치게 하되, 상기 후처리 공정은 최소 1시간, 100도 이상의 온도 환경에서 보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의 고정부가 그 관통홀에 상기 고정핀 부재를 관통시킬 때 상기 탄성체를 인장하여 상기 고정핀 부재를 관통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진동발생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기는 안정적인 공진현상을 구현하기 위해, 탄성체의 압연 등으로 인한 재료의 내부 스트레스가 없고 운동으로 인한 피로 파괴가 없는 실리콘 재료로 탄성체를 구성하여 기존의 금속재질 탄성체의 크랙 및 피로 파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더 나아가 금속을 균일하게 제작하는 별도의 가공 공정을 삭제하므로 제작이 용이하여 가격적으로 경쟁력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가 압출 또는 사출의 방법으로 그 중공부의 내주면이 상기 백요크를 감싸게 하고, 상기 탄성체의 중공부의 내주면과 상기 백요크의 외주면 사이에는 화학적 반응에 의해 경화 촉진 및 접착력을 일으키는 화학 물질이 도포되어 고정 결합되게 함으로써, 실리콘 재질인 탄성체와 금속재질인 백요크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안정적인 공진 현상이 구현되고, 상기 경화 촉진제인 화학물질이 상기 탄성체와 상기 백요크를 단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가 일정 모양이 형성된 후 추가로 최소 1시간, 100도 이상의 온도 환경에서 보관하는 후처리 공정을 함으로써, 실리콘에서 포함하고 있는 실록산(siloxane)을 제거하여 상기 실록산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른 재료의 특성이 변화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체를 실리콘 재질로 함으로써, 탄성체가 반복되는 운동에 대해서는 변형 및 피로 특성이 우수하고, 온도 특성도 우수하여 저온 및 고온에서의 모양의 변화 등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기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기가 케이스를 제외한 조립이 완료된 상태도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기가 케이스를 포함하여 조립이 완료된 상태도
도 3은 도 2의 (a)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탄성체에 백요크가 조립이 완료된 상태도
도 5는 도 4의 반대 방향에서 본 상기 탄성체에 결합된 백요크에 마그네트 등이 설치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커버에 코일이 설치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커버에 코일이 설치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기는 자동차 CID에 적용되는 VCM 구동 방식의 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으로는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는 커버(20)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10)에 상기 커버(20)가 결합되면 도 2의 (b)와 같이 된다.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커버(20)의 고정 결합은 상기 케이스(10)의 일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홀(10a)와 상기 커버(20)의 일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홀(23a)에 고정핀 부재(50)의 양단부를 삽입하여 고정 결합한다.
상기 커버(20)는 코일(35) 또는 보빈(36)을 고정시키는 사각형 형상의 고정판부(23)와, 상기 고정판부(23)의 양측에 수직으로 기립된 기립부(24)와, 상기 고정판부(23)의 중앙에 커버 중공부(21) 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중공부(21)의 외주연에는 코일(35) 또는 보빈(36)을 고정을 고정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위치결정 돌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부(23)의 네 모서리에는 위치결정홀(23a)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 부재(50)의 일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하였고, 상기 고정판부(23)의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홈(미도시)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출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립부(24)의 상단부에는 상기 고정판부(23)외 평행되게 절곡된 절곡부(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2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기를 다른 기기등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25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기가 케이스를 제외한 조립이 완료된 상태도로서, 상기 커버(20)에 탄성체(40)와 백요크(31)가 설치되고 외부 전기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커넥터(63)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백요크(31)는 일면이 개방되고 타면이 패쇄된 원통형 형상이고 그 재질은 자성체이다.
상기 탄성체(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중공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43)의 둘레 방향으로부터 방사상(사각)으로 연장되어 신장되면서 진동하는 운동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운동부(41)의 각 모서리에 고정부(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42)에는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커버(20)를 고정 결합시키는 상기 고정핀 부재(50)가 관통되는 관통홀(4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부(43)는 상기 운동부(41)보다 상하로 돌출된 원통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40)의 고정부(42)는 상기 운동부(41)와 직교되도록 기립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43)의 원통형 형상의 높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재질의 탄성체(40)는 실리콘에서 포함하고 있는 실록산(siloxane)을 제거하여 상기 실록산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른 재료의 특성이 변화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체가 일정 모양이 형성된 후 추가로 최소 1시간, 100도 이상의 온도 환경에서 보관하는 후처리 공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40)의 고정부(42)는 상기 관통홀(42a)에 상기 고정핀 부재(50)를 관통시켜 조립할 때 상기 실리콘 재질인 탄성체(40)의 신축력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42)를 대각선 방향으로 즉, 상기 고정부(42)를 대각선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운동부(41)가 인장(引張)(늘어나게) 되어 상기 고정부(42)가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관통홀(42a)에 상기 고정핀 부재(50)를 관통하게 할 수 있어 상기 커버(20) 등에 상기 탄성체(40)를 고정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42)를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관통홀(42a)에 상기 고정핀 부재(50)를 관통하여 조립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조립 방법은 본 발명자의 실험 결과 상기 고정부(42)의 관통홀(42a)의 초기 상태의 위치와 상기 커버(20)의 위치결정홀(23a)에 설치된 고정핀 부재(50)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어 상기 탄성체(40)의 인장 없이 상기 고정부(42)의 초기 상태에서 바로 조립하는 경우, 열악한 환경 조건(-40도~100도의 고온, 고습, 저온 등의 환경 조건)에서 공진 주파수가 약 40Hz와 같은 큰 폭의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확인되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부(42)의 관통홀(42a)의 초기 상태[상기 운동부(41)가 늘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20)의 위치결정홀(23a)에 설치된 고정핀 부재(50)의 위치까지 X방향으로 1mm, Y방향으로 1mm가 되도록 상기 고정부(42)를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립한다. 즉 상기 고정부(42)의 관통홀(42a)의 초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커버(20)의 위치결정홀(23a)에 설치된 고정핀 부재(50)의 위치와 대각선 방향으로 1.414mm의 이격거리(A)를 갖게 설계하고, 조립할 때 상기 고정부(42)를 대각선 방향으로 상기 고정핀 부재(50)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핀 부재(50)를 상기 관통홀(42a)에 관통하여 조립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부(42)의 관통홀(42a)의 초기 상태의 위치와 상기 커버(20)의 위치결정홀(23a)에 설치된 고정핀 부재(50)의 위치와의 대각선 방향의 이격거리(A)를 최소 1.0mm에서 최대 2.5mm까지 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립할 때 상기 고정부(42)를 대각선 방향으로 X방향 및 Y방향을 각각 최소 0.7mm에서 최대 1.76mm까지 이동시키면 조립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탄성체(40)를 대각선 방향으로 인장시켜 조립함으로써, 열악한 환경 조건(-40도~100도의 고온, 고습, 저온 등의 환경 조건)에서도 공진 주파수의 변화가 약 4Hz의 변화폭으로 개선되어 안정된 주파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공부(43)의 원통형 형상의 내주면(43a)이 상기 원통형 형상인 백요크(31)의 외주면과 접하여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40)가 압출 또는 사출의 방법으로 그 중공부(43)의 내주면이 상기 백요크(31)를 감싸게 할 수 있고, 상기 탄성체(40)의 중공부(43)의 내주면(43a)과 상기 백요크(31)의 외주면 사이에는 화학적 반응에 의해 경화 촉진 및 접착력을 일으키는 화학 물질이 도포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는 실리콘 재질의 탄성체(40)가 상기 백요크(31)과 같은 금속 재질과 접착이 어려운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화학적 반응에 의해 경화 촉진 및 접착력을 일으키는 화학 물질을 사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실리콘 재질인 탄성체(40)와 금속재질인 백요크(31)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안정적인 공진 현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체(40)의 중공부(43)의 내주면(43a)에 상기 백요크(31)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3,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요크(31)의 내부에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커버(20)로부터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코일(35) 등을 설치한다.
상기 마그네트는 1개로 구성하거나 2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가 2개로 구성된 실시예를 도 3, 도 5의 (a) 및 (b)를 참고로 설명한다. 즉, 상기 백요크(31)의 폐쇄된 내부면에 제2 마그네트(33)를 설치하고 상기 제2 마그네트(33)의 상부에 자성체인 요크(34)을 배치한 뒤 상기 요크(34)의 상부에 제1 마그네트(32)를 설치한다. 이 때 상기 제1 마그네트(32)와 상기 제2 마그네트(33)는 동일 극성을 가진 면끼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그 사이에 자성체인 요크(34)가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마그네트(32, 33)는 상기 백요크(31)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31a)에 안착되어 본딩 등으로 고정한다.
상기 백요크(31)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31a)은 상기 백요크(31)에서 폐쇄된 내부면의 중앙부에 상기 마그네트(32)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네트(32)의 외경 크기로 단차지게 움푹 들어가게 형성된 공간이다.
상기 원통형 형상인 백요크(31)의 내주면 사이에서 이격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32, 33)를 감싸면서 상기 마그네트(32, 33)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35)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탄성체(40)에 고정된 상기 백요크(31)와 상기 백요크(31)에 고정된 상기 마그네트(32, 33)가 상하로 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체(40)의 운동부(41)도 그 길이가 신장되어 즉, 늘어나게 되어 상하로 운동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온열에 의해 모양이 고정되어 형성되거나 화학물질에 의해 그 모양이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코일(35)이 상기 커버(20)에 고정 결합되는 구조로서, 도 1, 도 3 및 도 6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36)을 설치하여 상기 코일(35)이 상기 커버(20)에 고정 결합하는 제1 실시예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36) 없이 상기 코일(35’)을 직접 상기 커버(20)에 고정 결합하는 제2 실시예가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일(35)이 코일고정 부재인 보빈(36)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코일고정 부재인 보빈(36)은 상기 커버(20)에 형성된 고정판부(23)에 고정되며, 상기 보빈(36)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36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버 중공부(21)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개의 위치결정 돌기부(22)와 결합시키면 상기 보빈(36)을 상기 커버(20)에 용이하게 고정 결합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일(35’)을 직접 상기 커버(20)에 고정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코일(35’)이 상기 커버(20)에 형성된 고정판부(23)에 고정되며, 상기 코일(35’)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버 중공부(21)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개의 위치결정 돌기부(22)와 결합시키면 상기 코일(35’)을 상기 커버(20)에 용이하게 고정 결합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보빈(36)의 측면에 FPC(Flexible Printed Circuit, 61)를 설치하여 커넥터(63)에 접속하게 하고,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일(35’)의 하부에 FPC(61)를 설치하여 커넥터(63)에 접속하게 한다.
상기에서는 자동차 CID에 적용되는 VCM 구동 방식의 진동발생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진동발생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에 관한 발명에도 해당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케이스 10a: 위치결정홀
20: 커버 21: 커버 중공부
22: 위치결정 돌기부 23: 고정판부
23a: 위치결정홀 23b: 돌출부
24: 기립부 25: 절곡부
25a: 체결공 31: 백요크
31a: 수용공간
32: 제1 마그네트 33: 제2마그네트
34: 요크 35, 35’: 코일
36: 보빈 36a: 결합홈
40: 탄성체 41: 운동부
42: 고정부 42a: 관통홀
43: 중공부 43a: 중공부의 내주면
50: 고정핀 부재 61: FPC
63: 커넥터

Claims (11)

  1. 커버와; 상기 커버로부터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코일과; 일면은 상기 마그네트에 접해 있고 타면은 개구부를 가지는 백요크와;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이 상기 백요크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중공부의 둘레 방향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운동부를 가지고 상기 운동부의 모서리에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가 포함되고,
    상기 백요크는 폐쇄된 내부면의 중앙부에 상기 마그네트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네트의 외경 크기로 단차지게 움푹 들어가게 형성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의 중공부는 상기 운동부 보다 상하로 돌출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원통형 형상의 내주면이 원통형 형상인 상기 백요크의 외주면과 접하여 감싸는 구조로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고정부는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는 고정핀 부재가 관통되고, 상기 고정핀 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되고 그 돌출된 일단부는 상기 커버의 일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압출 또는 사출의 방법으로 그 중공부의 내주면이 상기 백요크를 감싸게 하고, 상기 탄성체의 중공부의 내주면과 상기 백요크의 외주면 사이에는 화학적 반응에 의해 경화 촉진 및 접착력을 일으키는 화학 물질이 도포되어 고정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하 2개가 구비되고 상기 2개의 마그네트가 서로 대향되는 면 사이에 자성체로 된 요크를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백요크 사이에서 이격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온열에 의해 모양이 고정되어 형성되거나 화학물질에 의해 그 모양이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코일고정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코일고정 부재는 상기 커버에 형성된 고정판부에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일정 모양이 형성된 후 추가로 별도의 후처리 공정을 거치게 하되, 상기 후처리 공정은 최소 1시간, 100도 이상의 온도 환경에서 보관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고정부는 그 관통홀에 상기 고정핀 부재를 관통시킬 때 상기 탄성체를 인장하여 상기 고정핀 부재를 관통하게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진동발생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80046000A 2018-04-20 2018-04-20 진동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588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00A KR102588639B1 (ko) 2018-04-20 2018-04-20 진동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00A KR102588639B1 (ko) 2018-04-20 2018-04-20 진동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351A KR20190122351A (ko) 2019-10-30
KR102588639B1 true KR102588639B1 (ko) 2023-10-12

Family

ID=6846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000A KR102588639B1 (ko) 2018-04-20 2018-04-20 진동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6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6992A (ja) 2014-08-26 2016-04-04 ミネベア株式会社 振動発生器
JP2016101550A (ja) 2014-11-27 2016-06-02 ミネベア株式会社 振動子付ホルダ及び振動発生器
JP2016150285A (ja) * 2015-02-16 2016-08-22 ミネベア株式会社 振動発生器
JP2016185073A (ja) 2016-07-26 2016-10-20 ミネベア株式会社 振動発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571B1 (ko) * 2015-01-22 2022-01-19 주식회사 모아텍 진동 발생기
KR102407449B1 (ko) * 2015-01-22 2022-06-13 주식회사 모아텍 진동 발생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6992A (ja) 2014-08-26 2016-04-04 ミネベア株式会社 振動発生器
JP2016101550A (ja) 2014-11-27 2016-06-02 ミネベア株式会社 振動子付ホルダ及び振動発生器
JP2016150285A (ja) * 2015-02-16 2016-08-22 ミネベア株式会社 振動発生器
JP2016185073A (ja) 2016-07-26 2016-10-20 ミネベア株式会社 振動発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351A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7911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CN110800200B (zh) 致动器
US9815085B2 (en) Haptic actuator
US20120153748A1 (en) Vibration generator
US20180229270A1 (en) Linear vibration motor
US20130049491A1 (en) Linear vibration motor
CN111277105B (zh) 致动器的制造方法及触觉器件的制造方法
JP7020809B2 (ja) アクチュエータ
CN211830531U (zh) 线性振动马达和电子设备
JP2019013087A (ja) アクチュエータ
JP6944288B2 (ja) アクチュエータ
KR102588639B1 (ko) 진동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N217615844U (zh) 振动装置
KR102352571B1 (ko) 진동 발생기
US20200059145A1 (en) Actuator
KR20130037286A (ko) 압전소자가 장착된 바이브레이터
CN112018991B (zh) 致动器及触觉设备
JP7290445B2 (ja) アクチュエータ
JP2019013089A (ja) アクチュエータ
JP7267551B2 (ja) アクチュエータ
JP2021053586A (ja) アクチュエータ
KR20220063072A (ko) 자기유변탄성체 햅틱 장치 및 햅틱 모듈
JP7487446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接触型入力装置
JP7235488B2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JP7199941B2 (ja) 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