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460B1 - 신규한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460B1
KR102587460B1 KR1020200163307A KR20200163307A KR102587460B1 KR 102587460 B1 KR102587460 B1 KR 102587460B1 KR 1020200163307 A KR1020200163307 A KR 1020200163307A KR 20200163307 A KR20200163307 A KR 20200163307A KR 102587460 B1 KR102587460 B1 KR 102587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cell
cell membrane
gst
target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752A (ko
Inventor
정지형
신민정
정인혁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66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02Regulators; Modulating activity
    • C07K14/4703Inhibitors; Suppres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Pase inhibitory factor 1 (IF1) 유래 단백질 및 이를 이용한 타겟물질 전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IF1 유래 단백질은 다양한 세포주에서 세포막 투과능이 우수하므로 목적 물질과 결합하여 세포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인체 유래 단백질이므로 부작용의 염려 없이 인체 내에 임상적인 적용이 가능하므로 세포 내 목적 물질 전달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 및 이의 용도{NOVEL CELL PENETRATING PROTEI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세포막 투과성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다양한 세포주에서 세포막 투과능이 우수한 ATPase inhibitory factor 1 (IF1) 단백질 및 이를 이용한 목적 물질 전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직 및 세포 내 특이적, 효과적 물질전달은 세포 내부유입을 목표로 하며, 이 과정에서 모든 물질은 세포와 외부환경을 구분하는 세포막을 극복해야 한다. 세포막은 양친매성 인지질의 이중막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물질을 그 안에 포함하는데, 이는 세포 내부 항상성 조절을 유지하는데 목적을 두며 특히 다양한 기능 중 선별적인 물질수송은 이에 큰 역할을 한다.
보통 세포막에 대한 물질의 침투는 확산 또는 수용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대부분의 물질이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방법을 통해서만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으며, 이는 단백질을 주요물질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약물을 세포 내로 전달하는데 큰 장애물이다. 특히, 단백질은 그 활성을 유지하며 세포 내로 수송되어야 하는 것이 큰 문제점으로 현재까지도 효과적인 운송수단의 발명은 의약 산업의 주된 목표이다.
1980년대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1 (HIV-1)의 TAT (transactivator of transcription) 단백질에서 유래된 일련의 펩타이드 서열이 세포막을 통과하는 것이 밝혀져 세포 투과 펩타이드 (cell penetrating peptides, CPPs)로 처음 제시된 이후, 다양한 CPP가 연구결과를 통해 발견되었으며 이는 여러 질병에 대한 효과적인 물질전달 요소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CPP 물질들은 혈청의 존재 및 여러 환경요소에 따라 실제 인체 내에서는 효과가 반감되거나 사라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혈청 및 환경 요소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다양한 세포 종류의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는 새로운 CPP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은 효과적인 세포막 투과능을 갖는 신규한 세포 투과 펩타이드를 발굴하기 위해 연구하였고, ATP51F1으로부터 발현되는 IF1 단백질(ATPase inhibitory factor 1)이 다양한 세포주에서 세포막 투과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IF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을 이용한 목적 물질 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세포 투과 펩타이드를 찾기 위해 연구한 결과, IF1 단백질이 세포막 투과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고, GST (Glutathione-S-Transferase)와 융합된 GST-IF1 또한 혈청의 존재 하에 세포막을 잘 투과하여 다양한 세포주 내로 도입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 (cell penetrating protein)"는 인 비트로(in vitro) 및/또는 인 비보(in vivo) 상에서 목적 물질을 세포 내로 운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단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은 그 자체로 인지질 이중막의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은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에서 유래한 84개 아미노산(9.6kDa)으로 이루어진 서열이다. ATP51F1으로부터 발현되는 IF1은 기존 미토콘드리아 막에 존재하는 전자전달계의 한 구성요소인 F-type의 ATPase에 결합하여 회전(rotation)을 방해함으로써 ATP의 합성 혹은 분해를 저해하며, 이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기능성 및 세포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토대로 대부분의 연구는 IF1의 병태생리학적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 유전자 조작을 통한 세포 내 IF1의 발현도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인체 내에 분비되어 존재하는 IF1에 대한 분자생리학적 연구는 진척이 없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일 말단에 다른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 및 상기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의 일 말단에 연결된 목적 물질;을 포함하는 목적 물질 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목적 물질은 화합물, 단백질, 당단백질, 펩타이드, 뉴클레오티드, 핵산, 탄수화물, 지질, 당지질, 나노입자, 리포좀, 약물, 지질 기반 제제 (lipid-based formulation), 바이러스, 양자점(quantum dots) 및 형광색소(fluorochrom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과 목적 물질은 당 업계에 공지된 단백질과 목적 물질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유결합, 화학결합, 펩타이드결합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세포 내부에 자연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물질을 IF1이 세포막을 투과하여 전달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GST과 IF1이 결합된 재조합 단백질을 제작하였고, 상기 GST-IF1 단백질(서열번호 2)이 다양한 세포주의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 내부로 도입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내지 8).
따라서, 목적 물질로 단백질(목적 단백질)을 사용하는 경우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과 목적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 형태로 세포 내에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목적 물질과 결합된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이 인 비트로 또는 인 비보에서 세포막과 접촉하면 목적 물질은 세포 내로 도입된다. 상기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과 세포막의 접촉에서 특별하게 요구되는 조건, 예를 들어, 제한적인 시간, 온도 및 농도 등의 조건은 없으며, 당업계에서 세포막 투과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조건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는 단일가닥 또는 이중가닥 형태로 존재하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deoxyribonucleotide) 또는 리보뉴클레오티드(ribonucleotide)의 중합체이다. RNA 게놈 서열, DNA(gDNA 및 cDNA) 및 이로부터 전사되는 RNA 서열을 포괄하며, 특별하게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천연의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세포막 투과성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뿐만 아니라, 그 서열에 상보적인(complementary) 서열도 포함한다. 상기 상보적인 서열은 완벽하게 상보적인 서열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서열도 포함하다. 또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변형될 수 있으며, 변형은 뉴클레오티드의 추가, 결실 또는 비보존적 치환 또는 보존적 치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벡터(vector)'는 숙주세포에서 목적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플라스미드 벡터, 코즈미드 벡터 및 박테리오파아지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및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와 같은 바이러스 벡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재조합 벡터로 사용될 수 있는 벡터는 당 업계에서 종종 사용되는 플라스미드 (예를 들면, pSC101, pGV1106, pACYC177, ColE1, pKT230, pME290, pBR322, pUC8/9, pUC6, pBD9, pHC79, pIJ61, pLAFR1, pHV14, pGEX 시리즈, pET 시리즈 및 pUC19 등), 파지 (예를 들면, λgt4λB, λ-Charon, λΔz1 및 M13 등) 또는 바이러스(예를 들면, CMV, SV40 등)를 조작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과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작동적으로 연결된(operatively linked) 프로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작동적으로 연결된'은 뉴클레오티드 발현 조절 서열(예를 들어, 프로모터 서열)과 다른 뉴클레오티드 서열 사이의 기능적인 결합을 의미하며, 이에 의해 상기 조절 서열은 상기 다른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전사 및/또는 해독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목적 물질로 단백질을 사용하는 경우 벡터에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과 목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같이 도입하여 융합 단백질 형태로 발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융합 단백질의 정제를 용이하게 하는 태그(tag) 서열, 예를 들어, 연속된 히스티딘 코돈, 말토우즈 바인딩 단백질 코돈 및 Myc 코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조합 벡터는 융합 단백질의 가용성(solubility)을 증가시키기 위한 융합파트너(partner)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융합 단백질 발현 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효소에 의해 특이적으로 절단되는 서열, 발현 조절 서열 및 세포 내 전달을 확인하기 위한 마커(marker) 또는 리포터 유전자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은 다양한 세포주에서 세포막 투과능이 우수하므로 목적 물질과 결합하여 세포 내로 목적 물질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인체 유래 단백질이므로 부작용의 염려 없이 인체 내에 임상적인 적용이 가능하므로 세포 내 목적 물질 전달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L6 근육세포에 GST-IF1을 처리하여 IF1의 세포막 투과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은 MDA-MB-231 유방암세포에 GST-IF1을 처리하여 IF1의 세포막 투과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L6 근육세포에 형광 표지된 GST-IF1을 처리하여 IF1의 세포막 투과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Blue: 세포핵, Green: GST-IF1, Red: 세포질원형막).
도 4는 MDA-MB-231 유방암세포에 형광 표지된 GST-IF1을 처리하여 IF1의 세포막 투과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Blue: 세포핵, Green: GST-IF1, Red: 세포질원형막).
도 5는 MCF-7 유방암세포에 형광 표지된 GST-IF1을 처리하여 IF1의 세포막 투과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Blue: 세포핵, Green: GST-IF1, Red: 세포질원형막).
도 6은 쥐 시상하부 일차배양세포에 형광 표지된 GST-IF1을 처리하여 IF1의 세포막 투과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Blue: 세포핵, Green: GST-IF1, Red: 세포질원형막).
도 7은 3T3-L1 지방전구세포에 형광 표지된 GST-IF1을 처리하여 IF1의 세포막 투과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Blue: 세포핵, Green: GST-IF1, Red: 세포질원형막).
도 8은 MC3T3-E1 파골전구세포에 형광 표지된 GST-IF1을 처리하여 IF1의 세포막 투과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Blue: 세포핵, Green: GST-IF1)
도 9는 L6 근육세포 및 MDA-MB-231 유방암 세포에 클라트린 의존적 또는 비의존적 억제제를 처리한 후 GST-IF1의 세포막 투과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Blue: 세포핵, Green: GST-IF1, Red: 세포질원형막).
도 10은 MDA-MB-231 유방암 세포주에 형광 표지된 GST-IF1을 처리한 후 세포를 고정시켜 GST-IF1의 세포내 위치를 확인한 결과이다 (Blue: 세포핵, Green: GST-IF1, Red: 라이소좀).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GST-IF1 재조합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
IF1의 세포막 투과능을 평가하기 위해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를 통해 IF1을 생산하였다. 이때, 세포 내부에 자연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물질을 IF1이 효과적으로 세포막을 투과하여 전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GST과 IF1을 결합시켰으며, GST 단백질 또한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GST 및 GST-IF1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의 클로닝(cloning)은 pGEX 벡터 시스템의 BamHI, XhoI 제한효소 부위에 Human IF1 유전자를 삽입하여 완성된 벡터를 얻었다. GST 및 GST-IF1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는 발현용 대장균 균주 BL21(DE3)에 형질전환으로 도입하여 안정적인 단백질 발현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후 LB 배지에서 상기 BL21(DE3)균주를 3시간 동안 26℃에서 배양하고, 1 mM의 isopropyl-β-D-thiogalactopyranoside (IPTG)을 처리하여 다시 18℃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배양 종료 후 원심분리 및 초음파 분쇄(sonication) 과정을 거쳐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배양액으로부터 단백질만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단백질은 PBS(pH 7.4) 완충액으로 2~3일 동안 염 농도를 맞추고 순도를 높였다.
실시예 2: IF1의 세포 투과 효능 분석
2-1: 세포주별 GST-IF1 단백질의 세포막 투과능
L6 근육세포주(skeletal muscle cell), MDA-MB-231 유방암세포주 (breast cancer cell) 각각을 12-웰(well) 및 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3x104, 1x105개씩 분주하고, 10% FBS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플레이트의 각 웰에 GST 1 uM 또는 GST-IF1 1uM을 처리하고, 다양한 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한 후 세포 스크래퍼로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에 RIPA 버퍼를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포함하는 상층액만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층액에 대하여 GST 항체로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 세포주 모두 대조군 (GST 처리군)에서는 아무런 밴드를 확인할 수 없었다. 반면, 실험군(GST-IF1 처리군)의 경우 L6 세포에서는 처리 후 1분 (도 1), MDA-MB-231 세포에서는 처리 후 2시간부터 밴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도 2), 이 결과는 GST-IF1이 효과적으로 세포막을 투과하여 타겟물질을 세포 내로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2: 세포주별 GST-IF1 단백질의 세포막 투과능
형광시료를 사용하여 GST-IF1의 세포막 투과능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L6 근육세포주, MDA-MB-231 유방암 세포주, MCF-7 유방암 세포주, 쥐 시상하부 일차배양세포, 3T3-L1 지방세포주 (pre-adipocyte) 및 MC-3T3-E1 파골세포주 (pre-osteoblast)를 10% FBS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효과적인 추적을 위해 GST 및 GST-IF1은 형광시료인 Dylight488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결합시키고, 각 1uM의 농도로 상기 세포들에 처리한 후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때, 추가적으로 세포막 통과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세포 원형질막에 특이적으로 염색되는 WGA-CF640R을 이용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GST-IF1을 처리한 실험군은 모든 세포주에서 Dylight488 형광시료가 검출되는 488 파장에서 초록색 형광 신호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IF1 단백질이 GST와 같은 큰 물질을 효과적으로 세포 내부에 전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3 내지 도 8).
2-3: GST-IF1 단백질의 세포 내 투과 메커니즘
IF1의 세포내 투과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해, 대표적으로 알려진 클라트린 (clathrin) 경로를 기준으로 클라트린 의존적 또는 비의존적 억제제를 L6 근육세포 및 MDA-MB-231 유방암 세포에 처리하여 IF1의 세포막 투과능을 관찰하였다. 클라트린 의존적 경로에 대한 억제제는 Dynasore 80 uM, 비의존적 경로에 대한 억제제는 methyl-beta-cylcodextrin(MBCD) 5 mM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Dynasore 처리군에서는 아무런 신호를 발견하지 못하였고, MBCD 처리군은 세포원형질막에서 신호가 관찰되었으나 세포 안쪽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 GST-IF1의 세포투과능은 클라트린 의존적, 비의존적 경로 모두를 통해 복잡한 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
2-4: GST-IF1 단백질의 세포질 내 위치 확인
상기 실시예에서 확인된 GST-IF1의 세포막 투과능 이외에 IF1 단백질의 구체적인 세포 내 최종 위치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MDA-MB-231 유방암 세포주에 형광 표지된 GST-IF1을 처리한 후, 세포에 메탄올을 처리하여 -20℃에서 3분 동안 세포를 고정시켰다. 이후 1% BSA(bovine serum albuin)로 세포를 블록킹(blocking)하고, 라이소좀(lysosome)의 막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LAMP-2에 대한 1차 항체 및 TRITC가 결합된 2차 항체와 반응시켜 세폴르 염색시켰다. 염색이 완료되면 공초점 현미경으로 세포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GST-IF1이 LAMP-2와 같은 위치에서 형광신호를 내보내는 것을 확인하여 GST-IF1이 세포 내로 투과한 이후 라이소좀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0).
<110>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120> NOVEL CELL PENETRATING PROTEIN AND USES THEREOF <130> P20U13C2075_DP-2019-0910P1 <150> KR 1020190155072 <151> 2019-11-28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8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F1 amino acids sequence <400> 1 Val Ser Asp Ser Ser Asp Ser Met Asp Thr Gly Ala Gly Ser Ile Arg 1 5 10 15 Glu Ala Gly Gly Ala Phe Gly Lys Arg Glu Lys Ala Glu Glu Asp Arg 20 25 30 Tyr Phe Arg Glu Lys Thr Lys Glu Gln Leu Ala Ala Leu Arg Lys His 35 40 45 His Glu Asp Glu Ile Asp His His Ser Lys Glu Ile Glu Arg Leu Gln 50 55 60 Lys Gln Ile Glu Arg His Lys Lys Lys Ile Gln Gln Leu Lys Asn Asn 65 70 75 80 His <210> 2 <211> 30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ST-IF1 amino acids sequence <400> 2 Ser Pro Ile Leu Gly Tyr Trp Lys Ile Lys Gly Leu Val Gln Pro Thr 1 5 10 15 Arg Leu Leu Leu Glu Tyr Leu Glu Glu Lys Tyr Glu Glu His Leu Tyr 20 25 30 Glu Arg Asp Glu Gly Asp Lys Trp Arg Asn Lys Lys Phe Glu Leu Gly 35 40 45 Leu Glu Phe Pro Asn Leu Pro Tyr Tyr Ile Asp Gly Asp Val Lys Leu 50 55 60 Thr Gln Ser Met Ala Ile Ile Arg Tyr Ile Ala Asp Lys His Asn Met 65 70 75 80 Leu Gly Gly Cys Pro Lys Glu Arg Ala Glu Ile Ser Met Leu Glu Gly 85 90 95 Ala Val Leu Asp Ile Arg Tyr Gly Val Ser Arg Ile Ala Tyr Ser Lys 100 105 110 Asp Phe Glu Thr Leu Lys Val Asp Phe Leu Ser Lys Leu Pro Glu Met 115 120 125 Leu Lys Met Phe Glu Asp Arg Leu Cys His Lys Thr Tyr Leu Asn Gly 130 135 140 Asp His Val Thr His Pro Asp Phe Met Leu Tyr Asp Ala Leu Asp Val 145 150 155 160 Val Leu Tyr Met Asp Pro Met Cys Leu Asp Ala Phe Pro Lys Leu Val 165 170 175 Cys Phe Lys Lys Arg Ile Glu Ala Ile Pro Gln Ile Asp Lys Tyr Leu 180 185 190 Lys Ser Ser Lys Tyr Ile Ala Trp Pro Leu Gln Gly Trp Gln Ala Thr 195 200 205 Phe Gly Gly Gly Asp His Pro Pro Lys Ser Asp Leu Val Pro Arg Val 210 215 220 Ser Asp Ser Ser Asp Ser Met Asp Thr Gly Ala Gly Ser Ile Arg Glu 225 230 235 240 Ala Gly Gly Ala Phe Gly Lys Arg Glu Lys Ala Glu Glu Asp Arg Tyr 245 250 255 Phe Arg Glu Lys Thr Lys Glu Gln Leu Ala Ala Leu Arg Lys His His 260 265 270 Glu Asp Glu Ile Asp His His Ser Lys Glu Ile Glu Arg Leu Gln Lys 275 280 285 Gln Ile Glu Arg His Lys Lys Lys Ile Gln Gln Leu Lys Asn Asn His 290 295 300

Claims (6)

  1.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
  2.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 및
    상기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의 일 말단에 연결된 목적 물질; 을 포함하는 목적 물질 전달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물질은 화합물, 단백질, 당단백질, 펩타이드, 뉴클레오티드, 핵산, 탄수화물, 지질, 당지질, 나노입자, 리포좀, 약물, 지질 기반 제제 (lipid-based formulation), 바이러스, 양자점 (quantum dots) 및 형광색소 (fluorochrom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목적 물질 전달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과 목적 물질은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것인, 목적 물질 전달용 조성물.
  5. 제1항의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6. 제5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KR1020200163307A 2019-11-28 2020-11-27 신규한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 및 이의 용도 KR102587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072 2019-11-28
KR20190155072 2019-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752A KR20210066752A (ko) 2021-06-07
KR102587460B1 true KR102587460B1 (ko) 2023-10-11

Family

ID=7637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307A KR102587460B1 (ko) 2019-11-28 2020-11-27 신규한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4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738A (ko) * 2022-05-16 2023-11-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뇌장벽을 통과하는 폴리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4076136A1 (ko) * 2022-10-04 2024-04-11 주식회사 안단테에프엠 막 관통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CBI. Genbank Accession NO. AAB69647.1 (1997.09.09.)*
NCBI. Genbank Accession NO. EDL30101.1 (CH466552.2, 2016.07.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752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5785B2 (ja) 細胞膜透過性ペプチド
EP1950294B1 (en) Novel cell penetrating peptide
Kerkis et al. Properties of cell penetrating peptides (CPPs)
KR102587460B1 (ko) 신규한 세포막 투과성 단백질 및 이의 용도
Beerens et al. Protein transduction domains and their utility in gene therapy
KR101258279B1 (ko) 세포 투과능을 개선한 개량형 신규 거대 분자 전달 도메인 개발 및 이의 이용방법
WO2014053628A1 (en) Cell penetrating peptides for intracellular delivery of molecules
KR20050025143A (ko) 세포질 잔류성 세포막 투과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JP6001082B2 (ja) 細胞透過能を改善した改良形の新規巨大分子伝達ドメインの開発及びその利用方法
KR101695792B1 (ko) 신규 세포막 투과 펩티드 및 생리활성 물질 전달체로서의 그의 용도
KR102060411B1 (ko) 세포 침투성 펩타이드, 이를 포함하는 융합 화합물 및 이 융합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TWI377954B (en) Oil body carriers, uses in target therapy and/or detection of the same, and fusion proteins comprised therein
PL223487B1 (pl) Przeciwnowotworowe białko fuzyjne
KR20170015852A (ko) 신규한 세포투과성 펩타이드
AU201431883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delivery of molecules into live cells
EP304381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delivery of molecules into live cells
Zhang et al. Stearylated antimicrobial peptide [D]-K6L9 with cell penetrating property for efficient gene transfer
Lee et al. Enhancement of gene delivery using novel homodimeric tat peptide formed by disulfide bond
US9175048B2 (en) Use of peptides as transporters intended for the internalization of molecules of interest into target cells
US20220265837A1 (en) Complex for intracellular delivery of molecules
KR20200093328A (ko) 녹사 단백질 유래 세포사 유도 펩타이드 eMTD
EP4086275A1 (en) Multimerization delivery system for intracellular delivery of molecule
KR20090122769A (ko) 세포내로 단백질을 전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펩타이드
Marchione et al. Study on the internalization mechanism of the ZEBRA cell-penetrating peptide
WO2011152662A2 (ko) Ptd-uqcrb 융합 폴리펩타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