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479B1 -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479B1
KR102586479B1 KR1020170176648A KR20170176648A KR102586479B1 KR 102586479 B1 KR102586479 B1 KR 102586479B1 KR 1020170176648 A KR1020170176648 A KR 1020170176648A KR 20170176648 A KR20170176648 A KR 20170176648A KR 102586479 B1 KR102586479 B1 KR 102586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operation data
data
display
transmiss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224A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KR1020170176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4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230/00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08Integration of the drivers onto the display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에 저장된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드라이버들이 공유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를 개시하며, FPCB 상의 이이피롬의 라우팅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라우팅 라인들의 수룰 줄이고 FPCB의 면적을 줄이며 라우팅 라인들의 밀도를 낮춰서 패턴 설계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DATA DRIVING APPARATUS FOR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에 저장된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드라이버들이 공유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LCD 장치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LED 장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하여 소스 신호들을 구동하고 소스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한다.
드라이버는 반도체 패키지로 제작되고 칩-온-글래스(Chip-On-Glass) 방식으로 실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글래스에 실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드라이버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구성되며, 드라이버의 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즈 및 해상도에 따라 결정된다.
드라이버는 필요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를 내장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파워 온이나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커맨드(Command)와 같은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제공받도록 설계된다.
상기한 커맨드와 같은 데이터는 통상 이이피롬(EEPROM)과 같은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이피롬은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이하, "FPCB"라 함)에 실장되며 라우팅 라인들을 통하여 복수의 드라이버에 공유된다. FPCB는 이이피롬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장치 등을 실장할 수 있으며, 전원, 데이터 및 옵션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하기 위한 라우팅 라인들이 형성된다.
상기한 전원, 데이터 및 제어신호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라우팅 라인들이 FPCB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FPCB의 면적은 줄이는데 제한이 있고, 라우팅 라인들의 패턴의 설계는 제한된 FPCB의 면적에 의해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이이피롬은 복수의 드라이버들과 라우팅 라인들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ESD(Electro Static Discharge) 또는 EOS(Electrical OverStress)가 라우팅 라인을 통하여 이이피롬과 드라이버에 영향을 줄 확률이 이이피롬에 연결된 드라이버의 수가 증가하는 만큼 높아진다.
본 발명은 라우팅 라인들의 수룰 줄여서 FPCB의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라우팅 라인들의 밀도를 낮춰서 패턴 설계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ESD와 EOS가 이이피롬과 드라이버에 영향을 주는 확률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를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드라이버가 외부 이이피롬의 커맨드(Command)와 같은 데이터를 읽어오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는,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와 라우팅 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하고, 리드한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제1 전송선을 통하여 전달하는 제1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드라이버와 상기 제1 전송선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송선을 통하여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드라이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는, 연성회로기판에 실장되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이피롬(EEPROM);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글래스에 실장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한 소스 신호들을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는 제1 및 제2 드라이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이피롬과 상기 제1 드라이버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글래스와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형성된 라우팅 라인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 드라이버는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하고, 리드한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제1 전송선을 통하여 전달하고; 그리고, 상기 제2 드라이버는 상기 제1 전송선을 통하여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함을;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이피롬과 같은 메모리를 드라이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라우팅 라인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그 결과 FPCB의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라우팅 라인의 설계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이피롬과 같은 메모리를 드라이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라우팅 라인의 수를 줄임에 따라 ESD나 EOS 등 외부 노이즈가 이이피롬과 드라이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의 데이터 구동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평면도.
도 2는 1 프레임 시간 동안 데이터 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드라이버들의 동작의 일 예를 예시하는 타이밍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드라이버들의 동작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타이밍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드라이버들의 동작의 또다른 예를 예시하는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구동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구동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구동 장치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는 LCD 또는 LED를 이용하여 픽셀들을 구성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디스플레이를 위한 본 발명의 데이터 구동 장치는 도 1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구동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FPCB(20)를 포함하며, FPCB(20)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변에 접착된 구조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글래스를 기판으로 이용하여 장방형상으로 제작되며 미리 설정된 장방형의 표시 영역(12)에 픽셀들이 형성된다. 표시 영역(12)은 픽셀들의 구동에 의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FPCB(20)가 접착되는 방향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변과 표시 영역(12)의 일변 사이에 드라이버들(SDIC1, SDIC2)을 본딩할 공간이 형성된다. 도 1의 실시예는 2 개의 드라이버들(SDIC1, SDIC2)이 본딩된 것을 예시한다.
도 1의 실시예의 2 개의 드라이버들(SDIC1, SDIC2)은 소스 드라이버로서 구성된 반도체 장치 또는 소스 드라이버와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드라이버들(SDIC1, SDIC2)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표시 영역(12)의 일변에 형성된 본딩할 공간의 글래스 상에 칩-온-글래스 방식으로 본딩된다.
드라이버들(SDIC1, SDIC2)의 본딩면에는 입력 패드들과 출력 패드들이 형성된다.
드라이버들(SDIC1, SDIC2)의 출력 패드들은 소스 신호들의 출력을 위한 채널들을 형성한다. 그리고, 드라이버들(SDIC1, SDIC2)의 출력 패드들은 글래스 상의 출력 라인들에 본딩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드라이버들(SDIC1, SDIC2)은 출력 라인들을 통하여 소스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표시 영역(12)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드라이버들(SDIC1, SDIC2)의 입력 패드들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디스플레이 데이터, 옵션 신호(MS, SS),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채널들을 형성한다. 그리고, 드라이버들(SDIC1, SDIC2)의 입력 패드들은 글래스 상의 라우팅 라인들과 본딩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의 실시예는 라우팅 라인들 중 옵션 신호(MS, SS)의 입력을 위한 라우팅 라인과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라우팅 라인들(RL)을 예시한다.
드라이버(SDIC1)는 옵션 신호(MS)에 의하여 마스터 드라이버로 설정되고, 드라이버(SDIC2)는 옵션 신호(SS)에 의하여 슬레이브 드라이버로 설정된다. 마스터 드라이버인 드라이버(SDIC1)는 후술하는 FPCB(20)에 실장된 메모리인 이이피롬(EEPROM)과 라우팅 라인들(RL)을 통하여 연결되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하고, 슬레이브 드라이버인 드라이버(SDIC2)는 드라이버(SDIC1)로부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옵션 신호들(MS, SS)은 각 드라이버들(SDIC1, SDIC2)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것이며,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인식을 위해 미리 설정된 값이 제공되도록 제작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들(SDIC1, SDIC2) 사이에 전송선(TL)이 구성되며, 오퍼레이션 데이터는 전송선(TL)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1)에서 드라이버(SDIC2)로 전달된다.
전송선(TL)은 드라이버들(SDIC1, SDIC2) 간의 신호 또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오퍼레이션 데이터뿐만 아니라 클럭의 락 상태를 체크한 락(LOCK) 신호나 드라이버의 상태 정보 등을 드라이버들(SDIC1, SDIC2) 간에 전달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FPCB(20)는 드라이버들(SDIC1, SDIC2)에 제공할 전원, 디스플레이 데이터, 옵션 신호(MS),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라우팅 라인들이 형성된다. FPCB(20)에는 도 1과 같이 메모리인 이이피롬(EEPROM)이 FPCB(20)에 실장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원관리 집적회로(PMIC)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이이피롬(EEPROM)은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반도체 칩의 실시예로 예시된 것이다. 오퍼레이션 데이터는 다양한 장치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드라이버들(SDIC1, SDIC2)에 타이밍 컨트롤러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가 내부의 메모리를 활용하여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FPCB(20)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이피롬(EEPROM)의 오퍼레이션 데이터는 드라이버들(SDIC1, SDIC2)의 각 부의 동작이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커맨드(Command)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가 파워 온되는 경우, 파워 온에 대응하여 드라이버들(SDIC1, SDIC2)은 초기 세팅을 수행한다. 이때, 초기 세팅을 위한 커맨드는 드라이버(SDIC1)의 리드에 의하여 이이피롬(EEPROM)에서 드라이버(SDIC1)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SDIC)에 의해 리드된 커맨드는 드라이버(SDIC2)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오퍼레이션 데이터는 파워 온에 대응한 드라이버들(SDIC1, SDIC2)의 초기 세팅을 위한 커멘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라우팅 라인들 중 대표적으로 옵션 신호(MS 또는 SS)를 전달하는 라우팅 라인과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라우팅 라인들(RL)을 예시한다. 도 1에서 전원과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라우팅 라인들의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FPCB(20)는 드라이버들(SDIC1, SDIC2)이 본딩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변에 접합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과 FPCB(20)는 서로 마주하는 일변이 미리 설정된 폭만큼 겹쳐지게 배치되고 도전성 접착제 또는 도전성 접착필름 등을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상기한 접합에 의하여 FPCB(20)의 라우팅 라인들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글래스에 형성된 라우팅 라인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FPCB(20)의 라우팅 라인들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라우팅 라인들을 통하여 드라이버들(SDIC1, SDIC2)의 입력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라우팅 라인들은 해당 위치를 정의하지 않는 경우 전기적으로 접속된 FPCB(20)의 라우팅 라인들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글래스에 형성된 라우팅 라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이피롬(EEPROM)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글래스의 일변의 에지를 사이에 두고 드라이버(SDIC1)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이피롬(EEPROM)의 상기한 배치에 의하여 라우팅 라인들의 길이가 줄어들고, 라우팅 라인들 및 FPCB(20)의 설계의 편의성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드라이버(SDIC1)에만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라우팅 라인들 및 이이피롬(EEPROM)을 구성한다. 드라이버(SDIC2)는 드라이버(SDIC1)를 통하여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그러므로, FPCB(20) 상에서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라우팅 라인들은 드라이버(SDIC1)에 대해서만 형성된다. 즉, 드라이버(SDIC2)에 대한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라우팅 라인들은 FPCB(20) 상에 설계 및 형성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본 발명은 FPCB(20)에 형성되는 라우팅 라인들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이용되는 FPCB(20)는 라우팅 라인들의 수가 줄어든 만큼 적은 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라우팅 라인들의 수가 줄어든만큼 FPCB(20)에 공간이 확보되므로 라우팅 라인의 설계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이피롬(EEPROM)이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라우팅 라인들로 연결되는 대상을 드라이버(SDIC1)로 제한한다. 즉, ESD나 EOS 등 외부 노이즈가 이이피롬(EEPROM) 또는 드라이버(SDIC2)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로가 제한된다. 또한, ESD나 EOS 등 외부 노이즈가 드라이버(SDIC2)에 유입되는 경로가 제한된다. 그러므로, 외부 노이즈가 이이피롬(EEPROM) 또는 드라이버(SDIC2)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상기한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은 오퍼레이션 데이터가 드라이버(SDIC1)에 의해 리드되고 드라이버(SDIC1)에서 드라이버(SDIC2)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라이버들(SDIC1, SDIC2)이 1 프레임의 화면을 출력하는 시간은 수평 라인들의 순차적인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기간(DT)과 복수의 수평 라인에 대응하는 시간의 수직 포치 기간(Vertical Poech Time)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오퍼레이션 데이터는 수직 포치 기간에 드라이버들(SDIC1, SDIC2)에 리드되거나 전달될 수 있으며, 드라이버들(SDIC1, SDIC2)은 수직 포치 기간에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 전달 및 수신할 수 있다.
드라이버들(SDIC1, SDIC2)은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소스 신호로 구동하는 동작, 옵션 신호(MS 또는 SS)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 및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소스 신호로 구동하기 위하여, 드라이버들(SDIC1, SDIC2)은 내부에 클럭-데이터 복원 회로(도시되지 않음), 래치들(도시되지 않음), 시프트 레지스터들(도시되지 않음),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들(도시되지 않음) 및 출력 버퍼들(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예시적으로 데이터에 클럭이 임베디드된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클럭-데이터 복원 회로는 상기한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된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하여 클럭에 대응하는 클럭 신호를 복원하고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원한다. 래치들은 일정한 분량의 데이터의 정렬을 위하여 래치하고, 시프트 레지스터들은 래치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컨버팅을 위한 레벨로 변환한다.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들은 시프트 레지스터들에서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을 생성하고, 출력 버퍼들은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들의 출력들을 소스 신호들로 출력한다.
그리고, 드라이버들(SDIC1, SDIC2)은 옵션 신호(MS 또는 SS)를 수신하고 옵션 신호에 대응하여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세팅된다.
그리고, 드라이버(SDIC1)는 옵션 신호(MS)에 의하여 마스터로 세팅되며, 라우팅 라인들을 통하여 이이피롬(EEPROM)에 액세스하여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하고, 리드한 오퍼레이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며, 리드한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송선(TL)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2)에 전달한다.
그리고, 드라이버(SDIC2)는 옵션 신호(SS)에 의하여 슬레이브로 세팅되며, 전송선(TL)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1)에서 전달되는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퍼레이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먼저, 드라이버들(SDIC1, SDIC2)의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리드 및 수신은 도 3과 같이 구분된 오퍼레이션 기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라이버들(SDIC1, SDIC2)은 디스플레이의 파워 온에 대응하여 리셋(reset)되면 초기 세팅을 위하여 커맨드 등의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마스터로 설정된 드라이버(SDIC1)는 리셋에 대응하여 제1 오퍼레이션 기간(Top1)에 라우팅 라인들(RL)을 통하여 이이피롬(EEPROM)의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한다(RD). 드라이버(SDIC1)는 리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의 제1 오퍼레이션 기간(Top1) 또는 다음의 제2 오퍼레이션 기간(Top2) 중 제작자에 의해 설정된 기간에 초기 세팅을 위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오퍼레이션 기간(Top1)과 제2 오퍼레이션 기간(Top2)은 수평 주기 단위 또는 프레임 주기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드라이버(SDIC1)는 제1 오퍼레이션 기간(Top1)에 리드한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후속하는 제2 오퍼레이션 기간(Top2)에 전송선(TL)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2)에 전달한다(TR).
슬레이브로 설정된 드라이버(SDIC2)는 리셋에 대응하여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전달을 기다리고, 제2 오퍼레이션 기간(Top2)에 전송선(TL)을 통하여 오퍼레이션 데이터가 전달되면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RC)한다. 드라이버(SDIC2)는 수신한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의 제2 오퍼레이션 기간(Top2) 또는 다음의 오퍼레이션 기간 중 제작자에 의해 설정된 기간에 초기 세팅을 위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드라이버들(SDIC1, SDIC2)은 제1 오퍼레이션 기간(Top1)과 제2 오퍼레이션 기간(Top2)과 같이 구분된 기간에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리드 및 수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달리, 드라이버들(SDIC1, SDIC2)의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리드 및 수신은 도 4와 같이 동일한 오퍼레이션 기간에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드라이버들(SDIC1, SDIC2)은 디스플레이의 파워 온에 대응하여 리셋(reset)되면 초기 세팅을 위하여 커맨드 등의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마스터로 설정된 드라이버(SDIC1)는 리셋에 대응하여 제1 오퍼레이션 기간(Top1)에 라우팅 라인들(RL)을 통하여 이이피롬(EEPROM)의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한다(RD)하고 리드한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송선(TL)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2)에 전달한다(TR).
슬레이브로 설정된 드라이버(SDIC2)는 리셋에 대응하여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전달을 기다리고, 제1 오퍼레이션 기간(Top1) 중에 전송선(TL)을 통하여 오퍼레이션 데이터가 전달되면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RC)한다.
드라이버들(SDIC1, SDIC2)은 리드 또는 수신한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또는 다음 오퍼레이션 기간 중 제작자에 의해 설정된 기간에 초기 세팅을 위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드라이버들(SDIC1, SDIC2)은 동일한 제1 오퍼레이션 기간(Top1) 내에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리드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3과 비교하여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달하고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데 적은 시간이 소요되고, 리드 또는 수신의 페일(Fail)이 발생한 경우 빠른 시간에 데이터를 재취득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정보 양에 따라서 다수의 체크 섬(Check Sum)을 주기적으로 포함하도록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이피롬(EEPROM)은 하나의 페이지로 할당된 저장 공간에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저장하며, 페이지는 체크썸(CS)에 의해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된다.
드라이버(SDIC1)는 체크썸(CS)에 의해 구분된 구간 별로 이이피롬(EEPROM)의 오퍼레이션 데이터에 대한 리드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즉, 드라이버(SDIC1)는 페이지의 제1 구간에 대한 리드(RD1)를 수행하고 체크썸(CS)을 이용한 페일 체크를 수행하며, 페이지의 제2 구간에 대한 리드(RD2)를 수행하고 체크썸(CS)을 이용한 페일 체크를 수행하고, 페이지의 제3 구간에 대한 리드(RD3)를 수행하고 체크썸(CS)을 이용한 페일 체크를 수행한다.
드라이버(SDIC1)는 이이피롬(EEPROM)의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구간 단위의 리드와 병행하여 리드한 오퍼레이션 데이터 및 체크썸을 구간 단위로 드라이버(SDIC2)에 전달한다.(TR1~TR3)
이에 대응하여, 드라이버(SDIC2)는 전송선(TL)을 통하여 전달되는 구간 별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수신(RC1~RC3) 및 체크썸(CS)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5와 같이 구간 단위로 리드와 체크썸을 반복하여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하고, 체크썸에서 페일이 발생한 경우 도 6과 같이 해당 구간을 재리드한 후 다음 구간을 리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드라이버들(SDIC1, SDIC2)은 리드하거나 수신한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각 구간 별로 체크썸을 수행하여 페일을 검출한다. 도 6과 같이, 드라이버(SDIC1)가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제1 구간의 리드에 대한 체크썸을 수행한 결과 페일을 검출한 경우, 드라이버(SDIC1)는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제1 구간에 대한 재리드(RD1)를 수행한다. 드라이버(SDIC1)의 제1 구간의 재리드에 대응하여, 드라이버(SDIC1)의 제1 구간의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전달 및 드라이버(SDIC2)의 제1 구간의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수신은 재수행된다.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구간 별로 리드, 전달 및 수신을 수행하는 중 페일이 발생한 경우, 전체 오퍼레이션 데이터가 아닌 구간 단위의 재리드가 수행됨으로써 정보 취득이 빠른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는 두 개의 드라이버(SDIC1, SDIC2)를 포함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세 개 이상의 드라이버를 실장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세 개의 드라이버(SDIC1~SDIC3)가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실장된 것을 예시하며, 가장 왼쪽에 배치된 드라이버(SDIC1)가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 두 개의 드라이버(SDIC2, SDIC3)가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그리고, 오퍼레이션 데이터는 드라이버(SDIC1), 드라이버(SDIC2) 및 드라이버(SDIC3)의 순으로 전달된다.
이 경우, 드라이버들(SDIC1 및 SDIC2) 간의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리드, 전달 및 수신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2와 비교하여, 도 7의 실시예는 드라이버(SDIC2)와 전송선(TL2)을 통하여 연결되는 드라이버(SDIC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드라이버(SDIC2)는 수신한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송선(TL2)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3)에 전달하고, 드라이버(SDIC3)는 전송선(TL2)을 통하여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7의 실시예도, 도 3과 같이 드라이버들(SDIC1, SDIC2, SDIC3)의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리드 및 수신을 구분된 오퍼레이션 기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드라이버(SDIC1)는 제1 오퍼레이션 기간(Top1)에 이이피롬(EEPROM)의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하고, 제1 오퍼레이션 기간(Top1)에 후속하는 제2 오퍼레이션 기간(Top2)에 리드한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송선(TL1)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2)에 전달한다.
드라이버(SDIC2)는 제2 오퍼레이션 기간(Top2)에 전송선(TL1)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1)에서 전달되는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송선(TL2)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3)에 전달한다.
그리고, 드라이버(SDIC3)는 제2 오퍼레이션 기간(Top2)에 전송선(TL2)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2)에서 전달되는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드라이버(SDIC3)는 제3 오퍼레이션 기간(Top3, 도시하지 않음)을 별도로 두어 전송선(TL2)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2)에서 전달되는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의 실시예도, 도 4와 같이 드라이버들(SDIC1, SDIC, SDIC3)의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리드 및 수신을 동일한 오퍼레이션 기간에 수행할 수 있다.
즉, 드라이버(SDIC1)는 제1 오퍼레이션 기간(Top1)에 이이피롬(EEPROM)의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하면서 리드한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송선(TL1)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2)에 전달한다.
드라이버(SDIC2)는 제1 오퍼레이션 기간(Top1)에 전송선(TL1)을 통해 드라이버(SDIC1)에서 전달되는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수신한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송선(TL2)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3)에 전달한다.
그리고, 드라이버(SDIC3)는 제1 오퍼레이션 기간(Top1)에 전송선(TL2)을 통해 드라이버(SDIC2)에서 전달되는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드라이버(SDIC2)는 드라이버(SDIC3)로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바이패스(bypass) 또는 데이터를 잠시 홀드 후 전달하는 형태로도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세 개의 드라이버(SDIC1~SDIC3)는 도 8과 같이 마스터 드라이버를 중심으로 양쪽에 슬레이브 드라이버들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중앙의 드라이버(SDIC1)가 마스터로 설정되며, 양측의 드라이버들(SDIC2, SDIC3)이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도 2와 비교하여, 도 8의 실시예는 드라이버(SDIC1)와 전송선(TL2)을 통하여 연결되는 드라이버(SDIC3)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드라이버(SDIC1)는 이이피롬(EEPROM)에서 리드한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송선(TL1)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2)에 전달하고 전송선(TL2)을 통하여 드라이버(SDIC3)에 전달한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드라이버(SDIC1)의 리드 및 전달 동작은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며, 드라이버들(SDIC2, SDIC3)의 수신 동작은 도 2의 드라이버(SDIC2)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드라이버들(SDIC1~SDIC3) 간의 오퍼레이션 전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하나의 드라이버에 이이피롬(EEPROM)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드라이버들 간의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전달은 드라이버들 간의 전송선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이피롬(EEPROM)이 드라이버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라우팅 라인들의 수가 절감될 수 있다.
그 결과, FPCB의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라우팅 라인의 설계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이피롬(EEPROM)과 드라이버들 간을 연결하는 라우팅 라인들이 줄어든 만큼, ESD나 EOS 등 외부 노이즈가 이이피롬과 드라이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개선될 수 있다.

Claims (13)

  1.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와 라우팅 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하고, 리드한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제1 전송선을 통하여 전달하는 제1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드라이버와 상기 제1 전송선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송선을 통하여 상기 제1 드라이버에서 전달되는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드라이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드라이버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글래스에 실장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한 소스 신호들을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글래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연성회로기판에 실장되고; 그리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글래스의 에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드라이버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글래스의 제1 라우팅 라인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제2 라우팅 라인의 전기적 접속에 의해 형성된 상기 라우팅 라인을 통하여 상기 제1 드라이버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이이피롬(EEPROM)을 포함하는 반도체 칩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드라이버와 다른 기판에 실장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파워 온에 대응한 초기 세팅을 위하여 커맨드를 포함하는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리드를 위한 제1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하나의 프레임은 수평 라인들의 순차적인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기간(Display Time)과 복수의 상기 수평 라인들에 대응하는 시간의 수직 포치 기간(Vertical Poech Time)으로 구분되며; 그리고,
    상기 제1 드라이버 및 상기 제2 드라이버는 상기 수직 포치 기간에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의 리드, 전달 및 수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버는 제1 오퍼레이션 기간에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하고, 상기 제1 오퍼레이션 기간에 후속하는 제2 오퍼레이션 기간에 리드한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달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드라이버는 상기 제2 오퍼레이션 기간에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버는 제1 오퍼레이션 기간에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하면서 리드한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달하고; 그리고,
    상기 제2 드라이버는 상기 제1 오퍼레이션 기간에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하나의 페이지로 할당된 저장 공간을 체크썸이 각각 설정된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며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페이지에 저장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드라이버는 상기 구간 단위로 리드와 체크썸을 반복하여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하고, 체크썸에서 페일이 발생한 경우 해당 구간을 재리드한 후 다음 구간을 리드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라이버와 제2 전송선을 통하여 연결되는 제3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드라이버는 수신한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송선을 통하여 상기 제3 드라이버에 전달하고; 그리고,
    상기 제3 드라이버는 상기 제2 전송선을 통해서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버는 제1 오퍼레이션 기간에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하고, 상기 제1 오퍼레이션 기간에 후속하는 제2 오퍼레이션 기간에 리드한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제2 드라이버는 상기 제2 오퍼레이션 기간에 상기 제1 전송선을 통하여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송선을 통하여 전달하며; 그리고,
    상기 제3 드라이버는 상기 제2 오퍼레이션 기간에 상기 제2 전송선을 통하여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버는 제1 오퍼레이션 기간에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하고, 상기 제1 오퍼레이션 기간에 후속하는 제2 오퍼레이션 기간에 리드한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제2 드라이버는 상기 제2 오퍼레이션 기간에 상기 제1 전송선을 통하여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송선을 통하여 전달하며; 그리고,
    상기 제3 드라이버는 제3 오퍼레이션 기간에 상기 제2 전송선을 통하여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버는 제1 오퍼레이션 기간에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리드하면서 리드한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제2 드라이버는 상기 제1 오퍼레이션 기간에 상기 제1 전송선을 통해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수신한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전달하며; 그리고,
    상기 제3 드라이버는 상기 제1 오퍼레이션 기간에 상기 제2 전송선을 통해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버와 제2 전송선을 통하여 연결되는 제3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드라이버는 리드한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송선과 상기 제2 전송선을 통하여 전달하고; 그리고,
    상기 제3 드라이버는 제3 오퍼레이션에 의해 상기 제2 전송선을 통하여 상기 오퍼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KR1020170176648A 2017-12-21 2017-12-21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KR102586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648A KR102586479B1 (ko) 2017-12-21 2017-12-21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648A KR102586479B1 (ko) 2017-12-21 2017-12-21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224A KR20190075224A (ko) 2019-07-01
KR102586479B1 true KR102586479B1 (ko) 2023-10-06

Family

ID=6725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648A KR102586479B1 (ko) 2017-12-21 2017-12-21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4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102B1 (ko) * 2011-03-18 2012-09-28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표시장치의 구동회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721B1 (ko) * 2010-12-21 2017-03-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367090B1 (ko) * 2011-12-28 2014-02-25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소스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상기 소스드라이버 집적회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4338B1 (ko) * 2014-12-29 202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임베디드 타이밍 컨트롤러, 디스플레이 패널,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KR20160096739A (ko) * 2015-02-05 2016-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102B1 (ko) * 2011-03-18 2012-09-28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표시장치의 구동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224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392B1 (ko) Oled 표시패널 및 oled 표시장치
US995980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odule adapted to both MIPI C-PHY and MIPI D-PHY
KR102248139B1 (ko) 표시장치
JP4586664B2 (ja) 半導体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50205877A1 (en) Display device having driving circuit
KR101987191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2659876B1 (ko) 쉬프트 레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9466238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96271B1 (ko) 분산형 메모리 패널
WO2016107053A1 (zh) 显示装置
KR10166496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과 제조방법
US10854134B2 (en) Source signal driv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JP4595730B2 (ja) 半導体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9013839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인터페이스 동작
WO2012172976A1 (ja) 半導体集積装置、表示装置、および半導体集積装置のデバッグ方法
CN109791750B (zh) 显示驱动器ic
KR102586479B1 (ko)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CN107342060B (zh) 驱动芯片和显示装置
CN109949770B (zh) 显示器的数据驱动装置及其驱动器
KR20210033588A (ko) 표시장치
KR102081186B1 (ko) 엑스선 검출 장치 및 엑스선 검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531409B1 (ko) 표시 장치
CN101853624A (zh) 显示装置及该显示装置的讯号传输方法
KR102056671B1 (ko) 터치 형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4038185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