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293B1 -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293B1
KR102585293B1 KR1020210080747A KR20210080747A KR102585293B1 KR 102585293 B1 KR102585293 B1 KR 102585293B1 KR 1020210080747 A KR1020210080747 A KR 1020210080747A KR 20210080747 A KR20210080747 A KR 20210080747A KR 102585293 B1 KR102585293 B1 KR 102585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induction
rod
induction coil
shaped high
laminate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70117A (ko
Inventor
김갑환
김회경
Original Assignee
김갑환
김회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환, 김회경 filed Critical 김갑환
Priority to KR1020210080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2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3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he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미나 부재의 상부 표면에 도포된 접착층을 수직 방향 맴돌이 전류손실에 의한 고주파 유도가열에 의하여 신속하고도 골고루 용융시키면서 라미나 부재의 상부면과 상부 라니마 부재의 하부면과를 안정적이고도 견고한 상태로 층간 접착하여 일정 높이의 접착식 적층 코어를 제조하도록 하는 전기 자동차 모터 등에 회전자로 사용하는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코일을 이용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라미나 부재들을 층간 접착시켜 접착식 적층 코어를 제조함에 있어서, 지지 원판에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고주파 유도 코일을 라미나 부재들 각각에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뚫어 형성한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에 삽입시켜 고주파 전류가 공급된 고주파 유도 코일과 라미나 부재들 사이에 발생하는 수직 방향 맴돌이 전류손실에 의한 유도가열에 의하여 발생 된 열을 라미나 부재들 내측 둘레에서 외측 둘레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확산시켜 라미나 부재들의 층간 접착이 이루어지게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LAMINATED CORE BONDING APPARATUS FOR ADHESIVE STIFFENING USING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본 발명은 라미나(liminar) 부재를 적층 하여 전기 자동차의 모터 등에 회전자로 사용하는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라미나 부재의 상부 표면에 도포된 접착층을 수직 방향 맴돌이 전류손실에 의한 고주파 유도가열에 의하여 신속하고도 골고루 용융시키면서 라미나 부재의 상부면과 상부 라니마 부재의 하부면과를 안정적이고도 견고한 상태로 층간 접착하여 일정 높이의 접착식 적층 코어를 제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나 발전기와 같은 회전장치에는 코어(Core)가 사용되며, 상기 코어는 회전자(Rotor) 또는 고정자(Stator)의 철심으로서 모터나 발전기의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다.
근래에는, 상술한 코어의 제조를 위해, 소정 형상의 라미나 부재들이 소정 매수씩 겹쳐져서 하나의 블록(Block) 타입으로 일체화된 구조의 적층 코어가 발전기나 모터 등의 회전자나 고정자의 코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등록특허 제10-522534호와 제10-58719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라미나 부재를 적층/일체화하는 적층 코어 제조방법으로는, 인터록 탭을 이용한 탭 고정법과, 용접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웰딩 고정법과, 리벳 고정법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탭 고정법은 강판의 박판화 추세로 인해 인터록 탭 형성을 위한 엠보싱(Embossing) 가공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라미나 부재들의 층간 결합을 접착방식으로 구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적층 코어를 제조하는 장치(금형)에 공급되는 금속 스트립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을 상기 금속 스트립을 타발(블랭킹)해서 적층 코어를 제조하는 발명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649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스퀴즈 링 내부에 차례로 적층되는 라미나 부재들을 스퀴즈 링 내측 둘레에 설치된 고주파 유도 코일로 형성된 접착제 경화기에 의하여 적층된 라미나 부재와 라미나 부재의 외측 둘레를 유도가열가열 시켜 라미나 부재에 도포된 접착제를 용융시키고 있다.
이러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제조방법에 의하면 레이저 용접에 비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강판이 박판화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적층 코어의 외측 둘레에 설치된 고주파 유도 코일과 적층 코어와의 수평 방향 맴돌이 전류손실에 의한 유도가열에 의하여 라미나 부재 각각을 발열시키게 함으로써 라미나 부재에 도포된 접착제를 용융시켜 라미나 부재와 라미나 부재들을 층간 접착시키는 것이어서, 접착 능률은 향상될 수 있으나, 얇은 박판의 라미나 부재는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금형장치로 공급된 스트립에 대해 변형방지를 위한 슬롯부 및 냉각 돌기, 회전축 삽입 구멍, 라미나 부재들의 결합 구멍 등을 타발 가공 및 블랭킹 가공을 통하여 형성시켜 제공되는 것이어서, 슬롯부와 슬롯부 사이의 좁은 면적의 브릿지들과 넓은 면적의 브릿지들이 혼재된 상태의 라미나 부재들을 적층 시킨 상태이므로 적층 코어 외측 둘레에 설치된 고주파 유도가열 코일에 의하여 적층 코어를 발열시킬 경우 고주파 유도 코일은 코일을 일정 간격을 두고 권회시킨 형태이어서 유도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흘리면 적층 코어를 이루는 라미나 부재 각각의 도체의 표면 가까이에 와전류가 생겨 이 손실에 의하여 라미나 부재가 발열될 때 넓은 면적의 브릿지 보다는 좁은 면적의 브릿지를 통하여 열전도 확산이 빠르게 전달되게 되므로 라미나 부재 전체 면적에 대하여 열전도 확산이 시간적으로 달라지게됨으로써 접착제의 전체 용융시간이 길어지고, 균일한 발열 온도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일부 접착에 의한 적층 코어를 생산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적층 코어 생산이 어렵다.
특히,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라미나 부재들의 일측 둘레에 배치된 고주파 유도 코일은 코일을 일정 간격을 두고 권회시킨 형태이므로 고주파 유도 코일과 근접한 라미나 부재들이 먼저 유도 발열 되어 해당 라미나 부재들의 상, 하부 라미나 부재들 측으로 열전도가 확산 되는 것이어서 고주파 유도코일에 의한 자장의 세기가 균일하지 못하여 적층 코어 전체에 대한 발열시간이 길어져 신속한 층간 접착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적층 코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코일을 적층 코어의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에 삽입시켜 수직 방향 맴돌이 전류손실에 의한 유도가열에 의하여 적층 코어를 발열시켜 라미나 부재들의 층간 접착이 신속하고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코일을 이용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라미나 부재들을 층간 접착시켜 접착식 적층 코어를 제조함에 있어서, 지지 원판에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고주파 유도 코일을 라미나 부재들 각각에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뚫어 형성한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에 삽입시켜 고주파 전류가 공급된 고주파 유도 코일과 라미나 부재들 사이에 발생하는 수직 방향 맴돌이 전류손실에 의한 유도가열에 의하여 발생 된 열을 라미나 부재들 내측 둘레에서 외측 둘레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확산시켜 라미나 부재들의 층간 접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라미나 부재들의 내측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된 고주파 유도코일의 유도가열에 의하여 발열된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의 내측 둘레로부터 라미나 부재들의 외측 둘레에 일률적으로 열전도가 신속하게 확산 되게 함으로써 라미나 부재들의 층간 접착 시간을 단축하여 적층 코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의 고주파 유도 코일 설치상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의 고주파 유도 코일이 적층 코어에 삽입된 상태의 설치상태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적층 코어를 이루는 라미나 부재의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적층 코어의 접착된 상태의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의 고주파 유도 코일 결합 상태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의 지지 원판 저면도로서, 고주파 유도 가열 코일이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의 일부 발췌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적층 코어를 상, 하 협착하여 유도 가열 처리하는 상부 누름판 및 하부 받침판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의 고주파 유도 코일이 상부 누름판, 적층 코어 및 하부 받침판에 삽입된 상태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의 고주파 유도 코일이 적층 코어의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에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적층 코어의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에 삽입된 고주파 유도 코일의 확대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를 첨부 도면의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의 고주파 유도 코일 설치상태 정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예컨대 서보 모터(110)의 볼 스크류(120)에 의하여 승, 하강 되는 승, 하강 수단(100)의 받침판(100A)에 고주파 전류 공급용 전원 케이블(200)을 통하여 공급되는 고주파 전류를 변압시켜 처리하는 전류 변압기 함체(300)를 설치하고, 상기 전류 변압기 함체(300) 일측에 지지 원판(10)을 연결 지지간(11)으로 설치하되, 상기 지지 원판(10)의 하부 둘레에 방사상으로 고주파 유도 코일부(20)를 수직 방향으로 하향 설치하여 고주파 유도 코일부(20)를 구성하는 동 재질의 복수의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을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의 배치 상태는 후술하는 도 5 및 도 10에서 제시된다.
도면 중 210은 전류 변압기 함체(300) 내부의 전류 변압기의 출력단에 연결한 고주파 전류 공급 케이블이다.
상기 제시된 도 1은 서보 모터(110)의 작동에 따라 승, 하강 수단(100)의 받침판(100A)이 상승한 상태로서, 이 경우에는 미 도시한 고주파 전류 공급 제어 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고주파 전류의 공급을 차단한 상태이다.
상기 서보 모터(110)의 볼 스크류(120)에 의하여 승, 하강 되는 승, 하강 수단(100)은 실린더 및 피스톤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의 고주파 유도 코일이 적층 코어에 삽입된 상태의 설치상태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서보 모터(110)의 작동에 따라 승, 하강 수단(100)의 받침판(100A)이 하강하여 복수의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이 상부 누름판(30) 하부 및 하부 받침판(40) 상부 사이에 협착되어 이송된 적층 코어(50)에 삽입된 상태로서, 이 경우에는 미 도시한 고주파 전류 공급 제어 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고주파 전류가 전류 변압기 함체(300) 내부의 전류 변압기를 통하여 공급된 상태이다.
상기 상부 누름판(30) 하부 및 하부 받침판(40)은 적층 코어(50)를 상, 하에서 눌러 협착하는 일종의 지그로서, 도 8에 제시한 바와 같이 상부 누름판(30)은 중앙에 누름 돌출부(31)가 돌출 형성되고, 누름 돌출부(31) 중앙 둘레에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이 안내되는 복수의 안내 구멍(32A)이 형성된 안내 원판(32)과; 상기 안내 원판(32)의 안내 구멍(32A)과 대응하는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33A)이 형성된 상부 누름판 본체(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누름판(30)은 절연 재질의 중량체로 제공하는 것이 좋고, 상기 상부 누름판(30)의 하부면에는 테프론을 코팅하여 적층 코어(500의 상방에 적층된 라미나 부재(51)의 상부면에 도포된 접착제(51-1)가 용융시 달라붙지 않도록 제시할 수 있다.
하부 받침판(40)은 절연재질의 원통 형태로서 이송 대차(41) 상부에 설치하되, 중앙 상부에 적층 코어(50)의 중앙 회전축 삽입 구멍(51B)에 끼워지는 끼움 돌기부(42)를 돌출 형성하고, 하부 받침판(40)의 중앙 둘레에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43)을 복수 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하되, 상기 끼움 돌기부(42) 외측 둘레에 위치 결정용 돌기(44)를 복수 개 상향 돌출시켜 위치 결정용 돌기(44)가 적층 코어(50)의 결합 구멍(51C)에 끼워지게 하여 라미나 부재(51) 각각이 정 위치된 상태로 차례로 하부 받침판(40)의 끼움 돌기부(42) 및 위치 결정용 돌기(44)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이 삽입 구멍(43)에 수월하게 삽입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누름판(30) 및 하부 받침판(40)은 이송 대차(41)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게 하고, 미 도시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의 연속 공정에 의하여 생산된 라미나 부재(51) 들을 상기 하부 받침판(40)에 적층시킨 상태에서 상부 누름판(30)에 의하여 적층 코어(50)를 누르면서 협착하여 고주파 유도 코일부(20)가 위치한 장소로 이송시켜 적층 코어(50)에 대하여 고주파 유도 가열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종전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에 종속 설치된 좁은 공간의 스퀴즈 링 내부에서 적층 코어를 유도 가열시키는 경우보다 코어의 적층 높이가 높더라도 라미나 부재(50A)들 층간 접착이 수월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접착식 적층 코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부 누름판(30)과 하부 받침판(40) 사이에 협착되는 적층 코어(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누름판(30)과 하부 받침판(40) 각각에 결합 구멍(30-1)(40-1)을 형성하여 미 도시한 결합 볼트로 체결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경이 대체적으로 큰 라미나 부재(51)를 적층 하여 전기 자동차의 모터 등의 회전자에 적합한 적층 코어(50)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적층 코어는 모터의 고정자에도 적용 할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적층 코어를 이루는 라미나 부재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적층 코어의 접착된 상태의 사시도 이다.
이하 설명에서, 라미나 부재(51)를 적층 시킨 상태를 적층 코어(50)로 지칭하며, 도면의 부호 표시에 있어 라미나 부재(51)에 적용한 부호는 적층 코어(50)에 지시한 부호와 동일하다.
이에 의하면, 얇은 박판의 라미나 부재(51)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로 공급된 스트립에 대해 변형방지를 위한 슬롯부(51A) 및 냉각 돌기(51A'), 회전축 삽입 구멍(51B), 라미나 부재들의 결합 구멍(51C) 등을 타발 가공 및 블랭킹 가공을 통하여 형성시켜 제공되고, 상기 라미나 부재(51)의 표면에는 접착제(51-1)가 도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라미나 부재(51)의 중앙 회전축 삽입 구멍(51B)의 외측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을 뚫어 형성하되, 상기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과 상부 누름판(30) 및 하부 받침판(40) 각각의 삽입 구멍(33A), (43)이 상호 대응된 상태에서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이 이들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과 삽입 구멍(33A), (43)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적층 코어(50)를 유도 가열시키게 하거나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과 삽입 구멍(33A), (43)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한다.
라미나 부재(51)의 변형방지를 위하여 슬롯부(51A)를 라미나 부재(51)의 외측 둘레에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라미나 부재이므로 슬롯부(51A) 형태에 따라 복수의 브릿지(51A-1)가 형성되게 되어 라미나 부재(51)의 면적 넓이가 브릿지(51A-1)에 의하여 좁고 넓은 면적을 형성하게 되므로 종전과 같이 적층 코어 외측 둘레에 고주파 유도코일을 배치하여 유도 가열시킬 경우 이들 좁고 넓은 면적의 브릿지(51A-1)에 의하여 균일한 열 전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가열 온도 확산 시간이 느리고, 이에 따라 라미나 부재(51) 전체 면적에 대한 가열온도 분포가 불균형을 이루게 되어 라미나 부재(51)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51-1)의 접착 능률이 크게 저하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롯부(51A)의 형성에 따라 형성되는 좁은 면적을 가지는 브릿지(51A-1) 근방을 피하여 동일한 넓이의 면적을 가지는 중앙 회전축 삽입 구멍(51B)의 외측 둘레에 복수 개의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이 삽입되는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을 뚫어 형성함으로써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에 삽입된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의 유도 가열 작용에 의하여 발생된 발열 온도가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 외측 둘레에서 방사상으로 라미나 부재(51) 외측 둘레 방향으로 열 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라미나 부재(51) 면적 전체에 대하여 가열 온도 분포가 균일하여 라미나 부재(51)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51-1)의 접착 능률이 크게 향상된다.
즉, 중앙 회전축 삽입 구멍(51B)의 외측 둘레의 넓은 면적에 복수 개의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이 삽입되는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을 형성하여 제공함으로써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의 둘레 외측의 넓은 면적 부분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라미나 부재(51)의 외측 둘레 방향으로 열전도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라미나 부재(51) 전체 면적에 대하여 슬롯부(51A)의 형태 및 좁고 넓은 브릿지(51A-1) 형태와 관계없이 신속하게 열이 확산 되므로 라미나 부재(51)에 도포된 접착제(51-1) 전체 표면 면적은 골고루 용융되어 라미나 부재(51)들의 상호간 층간 접착은 틈새 없이 견고한 상태로 접착되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라미나 부재(51)들을 적층시킨 적층 코어(50)에 대하여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이 수직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주파 유도 가열 작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자기력선속의 밀도가 높아져 유도전류에 의한 자기장이 자속 변화를 방해하면서 얻어지는 유도 가열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직 방향 맴돌이 전류손실에 의한 유도가열에 의하여 신속하고도 골고루 용융시키면서 라미나 부재(51)의 상부면과 상부 라니마 부재(51)의 하부면과를 용융되는 접착제(51-1)에 의하여 안정적이고도 견고한 상태로 층간 접착하여 일정 높이의 접착식 적층 코어(5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의 고주파 유도 코일 결합 상태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의 지지 원판 저면도로서, 고주파 유도 가열 코일이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의 일부 발췌 단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지지 원판(10)의 하부 둘레에 방사상으로 고주파 유도 코일부(20)를 수직 방향으로 하향 설치하여 고주파 유도 코일부(20)를 구성하는 동 재질의 복수의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을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은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A)(21B), 제2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2A)(22B), 제3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3A)(23B), 제4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4A)(24B), 제5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5A)(25B), 제6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6A)(26B), 제7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7A)(27B),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28B) 각각을 1개조씩 묶어 제공하되, 상호 직렬로 접속하여 공급되는 고주파 전류에 의하여 이들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이 적층된 적층 코어(50)의 라미나 부재(51) 각각에 대하여 유도 가열시켜 라미나 부재(51)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51-1)를 용융시키게 함으로써 라미나 부재(51)들의 층간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의 내부에 냉각수 통과 구멍(W)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에 고주파 전류가 공급되는 도중 순환되는 냉각수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지 원판(10)의 상부에 제1 고주파 유도 코일(21A)과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B)을 돌출시켜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게 하고, 제3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3B)와 제4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4A) 각각의 냉각수 통과 구멍(W)에 미 도시한 냉각수 탱크에 결합한 순환펌프와 접속한 냉각수 순환 곱급 및 배출호스를 연결하여 냉각수가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의 냉각수 통과 구멍(W)을 통하여 순환되게 하며, 상기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B)과 제2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2A)의 사이, 제2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2B)과 제3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3A)의 사이, 제3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3B)과 제4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4A) 사이, 제4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4B)과 제5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5A) 사이, 제5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5B)과 제6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6A) 사이, 제6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6B)과 제7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7A) 사이, 제7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7B)과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 사이 각각에 내부에 냉각수 통과 구멍(W)이 형성된 상부 연결 도체(T)를 접속하여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A)(21B) ~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28B)이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게 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A)(21B) ~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28B) 각각의 하방은 도 5의 확대 도면에서와 같이 내부에 냉각수 통과 구멍이 형성된 하부 연결도체(T-1)와 접속되고, 상기 하부 연결도체(T-1)의 하부에 절연 부재(G)를 결합 볼트(B)로 결합시켜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의 고주파 유도 코일이 상부 누름판, 적층 코어 및 하부 받침판에 삽입된 상태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상부 누름판(30)과 하부 받침판(40) 사이에 적층 코어(50)를 적층 시킨 상태에서 상부 누름판(30)의 삽입 구멍(33A)과 적층 코어(50)의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 및 하부 받침판(40)의 삽입구멍(43)에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을 삽입하되,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A)(21B) ~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28B) 각각의 하방에 결합된 절연 부재(G)를 이송 대차(41)에 형성한 안내 요홈(41A)에 안착 되게 하여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에 삽입된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A)(21B) ~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28B) 각각이 흔들림 없이 안정된 상태에서 고주파 가열 유도 작용이 발생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의 고주파 유도 코일이 적층 코어의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에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적층 코어의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에 삽입된 고주파 유도 코일의 확대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A)(21B) ~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28B) 각각은 각각 1개조로 형성하여 제공하되,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A)과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B) 사이 ~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과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B) 사이에는 절연재(E)에 의하여 상호 절연 처리되게 하고,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B) 둘레 ~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과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B) 둘레에는 이중으로 절연 테이프(EP) 및 내열용 테프론 테이프(TP)를 감아 제공하게 하여 이들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B) 사이 ~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과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B) 사이의 절연 및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고주파 유도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개의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 각각에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을 이루는 2개 1조의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A)(21B) ~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28B)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고주파 유도 가열이 발생시키는 것이어서 일정간격을 두고 라미나 부재(51)에 방사상으로 뚫은 복수 개의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 개수를 줄일 수 있고, 1개의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 내측 둘레에서 2개의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속이 라미나 부재(51) 둘레 외측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확산 효율을 증진시켜 적층 코어(50) 전체의 발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열전도율을 향상시키게 됨으로써 라미나 부재(51) 들의 층간 접착이 골고루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접착식 적층 코어(50)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1개의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에 각각 1개의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 각각을 삽입하여 고주파 유도 가열을 수행할 경우에는 라미나 부재(51)에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의 개수를 늘려야 하므로 라미나 부재(51)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과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 사이의 간격이 좁아 적층된 코어를 모터의 회전자에 적용할 경우 적층 코어의 견고성을 훼손할 염려가 지적됨은 물론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 주변의 라니마 부재(51)의 면적이 달라지므로 라미나 부재(51) 전체에 대한 온도 확산이 느려지고, 이에 따라 가열 온도 분포가 일정하지 않아 접착제(51-1)의 용융이 뷸균형을 이루어 라미나 부재(51) 들의 층간 접착이 어려워져 접착식 적층 코어(50)의 품질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지지 원판 21 ~ 28 : 고주파 유도 코일
21A, 21B ~ 28A, 28B :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 ~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
30 : 상부 누름판 33A, 43 : 삽입 구멍
40 : 하부 받침판 41A : 안내 요홈
50 : 적층 코어 51 : 라미나 부재
51-1 : 접착제 51D :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 구멍
100 : 승, 하강 수단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을 이용하여 접착제(51-1)가 도포된 라미나 부재(51)들을 층간 접착시켜 접착식 적층 코어(50)를 제조함에 있어서, 지지 원판(10)에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을 라미나 부재(51)들 각각에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뚫어 복수 개 형성한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에 삽입시켜 고주파 전류가 공급된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과 라미나 부재(51)들 사이에 발생하는 수직 방향 맴돌이 전류손실에 의한 유도가열에 의하여 발생 된 열을 라미나 부재(51)들 내측 둘레에서 외측 둘레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확산시켜 라미나 부재(51)들의 층간 접착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되,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은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A)(21B), 제2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2A)(22B), 제3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3A)(23B), 제4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4A)(24B), 제5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5A)(25B), 제6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6A)(26B), 제7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7A)(27B),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28B) 각각을 1개조씩 묶어 제공하되, 상호 직렬로 접속하여 공급되는 고주파 전류에 의하여 이들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이 적층된 적층 코어(50)의 라미나 부재(51) 각각에 대하여 유도 가열시켜 라미나 부재(51)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51-1)를 용융시키도록 하고, 1개의 고주파 유도 가열 안내구멍(51D) 각각에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을 이루는 2개 1조의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A)(21B) ~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28B)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고주파 유도가열이 발생 되도록 하되,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A)(21B) ~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28B) 각각의 하방에 결합된 절연 부재(G)를 이송 대차(41)에 형성한 안내 요홈(41A)에 안착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지지 원판(10)의 상부에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A)과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B)을 돌출시켜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게 하고, 제3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3B)와 제4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4A) 각각의 냉각수 통과 구멍(W)에 냉각수 탱크에 결합한 순환펌프와 접속한 냉각수 순환 곱급 및 배출호스를 연결하여 냉각수가 고주파 유도 코일(21) ~ (28) 각각의 냉각수 통과 구멍(W)을 통하여 순환되게 하며, 상기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B)과 제2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2A)의 사이, 제2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2B)과 제3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3A)의 사이, 제3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3B)과 제4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4A) 사이, 제4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4B)과 제5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5A) 사이, 제5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5B)과 제6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6A) 사이, 제6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6B)과 제7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7A) 사이, 제7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7B)과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 사이 각각에 내부에 냉각수 통과 구멍(W)이 형성된 상부 연결 도체(T)를 접속하여 제1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1A)(21B) ~ 제8 막대형 고주파 유도 코일(28A)(28B)이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
KR1020210080747A 2021-06-22 2021-06-22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 KR102585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747A KR102585293B1 (ko) 2021-06-22 2021-06-22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747A KR102585293B1 (ko) 2021-06-22 2021-06-22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117A KR20220170117A (ko) 2022-12-29
KR102585293B1 true KR102585293B1 (ko) 2023-10-04

Family

ID=8453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747A KR102585293B1 (ko) 2021-06-22 2021-06-22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2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246B1 (ko) 2016-08-22 2017-05-24 (주)항남 가열 접착식 회전 적층 코어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566A (ja) * 1994-04-26 1995-11-10 Honda Motor Co Ltd 積層鋼板の接着用加熱装置
KR102622139B1 (ko) * 2016-11-16 2024-01-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터 회전자 및 그 제조벙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246B1 (ko) 2016-08-22 2017-05-24 (주)항남 가열 접착식 회전 적층 코어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117A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6029B2 (en) Laminated cor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method, and armature that uses a laminated core
JP5323400B2 (ja) 積層鉄心の製造装置
KR100898202B1 (ko) 고정자 및 이를 적용한 모터, 및 이 고정자의 제조방법
JP5217704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装置および固定子の製造方法
JP6226194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
US8643241B2 (en) End ring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20110102464A (ko) 풍력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
JP3464515B2 (ja) 固定子鉄心
US11876404B2 (en) Electric machine structure and technology
KR102585293B1 (ko)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
US1178454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ta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JP5874747B2 (ja) ロータコア加熱装置及びロータコア焼き嵌め方法
JP7418216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鉄心、回転電機の固定子、回転電機、回転電機の固定子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3807831B2 (ja) ゴムと金属板の積層体の加熱装置
KR102643888B1 (ko)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를 위한 유도 가열 장치
KR20120106466A (ko) 와이어 커팅을 이용한 전기기기의 고정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기기기
JP2019213362A (ja) 回転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84925A (ja) ステータの製造方法、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ステータを有する回転電機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装置
JP2965948B2 (ja) 積層体の電磁誘導加熱方法とその装置
US11108309B2 (en) Squirrel cage rotor
WO2023132183A1 (ja) 回転電機の固定子、回転電機、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WO2023223456A1 (ja) 回転電機の固定子、回転電機の回転子及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Goldstein et al. Design of a Compact Stator Winding in an Axial-Flux Permanent Magnet Machine for Aerospace Applications
KR20240041024A (ko) 냉각 효율이 개선된 구조를 갖는 모터의 적층 코어 제조를 위한 지그
KR20230155199A (ko) 고주파 유도 가열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