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453B1 - 양흡입 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양흡입 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453B1
KR102584453B1 KR1020180151705A KR20180151705A KR102584453B1 KR 102584453 B1 KR102584453 B1 KR 102584453B1 KR 1020180151705 A KR1020180151705 A KR 1020180151705A KR 20180151705 A KR20180151705 A KR 20180151705A KR 102584453 B1 KR102584453 B1 KR 102584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s
pair
suction fan
plates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340A (ko
Inventor
이기섭
김진백
김경훈
심재형
김도훈
윤성현
윤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1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453B1/ko
Priority to US16/697,950 priority patent/US11525455B2/en
Priority to EP19212339.6A priority patent/EP3660318B1/en
Priority to CN201911197538.5A priority patent/CN111255739B/zh
Publication of KR20200065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04D29/28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F04D29/28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rotors of the squirrel-cag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04D17/162Double sucti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Abstract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양흡입 팬에 관한 것으로서, 양흡입 팬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링과 제2링; 상기 제1링과 상기 제2링 사이에 설치되며, 중앙에 축구멍이 마련되는 중간판; 상기 제1링과 상기 중간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블레이드; 상기 제2링과 상기 중간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블레이드; 및 상기 중간판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제1회전 허브와 제2회전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 허브와 상기 제2회전 허브는 각각 상기 축구멍의 둘레에 상기 중간판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허브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외면에 돌출부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이며, 상기 중간판이 회전하면 상기 제1링과 상기 제2링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1블레이드와 상기 복수의 제2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양흡입 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Double suction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양흡입 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로 송풍하기 위해 양흡입 팬이 사용되고 있다.
양흡입 팬은 양 측면에 마련된 2개의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면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양흡입 팬에서는 공기의 유동이 중앙부분으로 집중되는 형상이 발생한다.
양흡입 팬은 통상적으로 사출 등과 같은 플라스틱 성형을 통해 제작하게 되므로, 양흡입 팬은 금형 구조상 중앙부분에 공기 유동을 분산하기 위한 허브 구조를 마련할 수 없다. 따라서, 양흡입 팬에서는 양 측면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중앙부분에 집중되게 된다.
특히, 양흡입 팬의 풍량을 크게 하면, 공기의 흡입 유속이 더욱 빨라지고 모멘텀이 증가하여 중앙부분에서의 공기 유동의 집중이 더욱 심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양흡입 팬의 양 측면의 유입구와 인접한 영역에서는 공기의 유동이 형성되지 못하고 역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공기의 유동이 중앙부분으로 집중하는 현상은 양흡입 팬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 더욱 심해진다. 예를 들면, 200mm의 길이를 갖는 양흡입 팬보다 320mm의 길이를 갖는 양흡입 팬에서 중앙부분의 공기 유동집중 현상이 더 심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의 일부분에만 공기 유동이 집중되어 저항이 높아져서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흡입 팬을 형성하는 양쪽의 팬을 중앙에 허브가 마련된 단흡입 팬 형상으로 별도로 사출한 후 2개의 단흡입 팬을 초음파 등으로 융착시켜 허브를 갖는 양흡입 팬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양흡입 팬을 제작하는 방법은 제조비가 매우 비싸며, 양쪽의 단흡입 팬의 무게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시판되는 공기조화기에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공기가 중앙부분에 집중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출 공정을 통해 제작할 수 있는 회전 허브를 갖는 양흡입 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와 관련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양흡입 팬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링과 제2링; 상기 제1링과 상기 제2링 사이에 설치되며, 중앙에 축구멍이 마련되는 중간판; 상기 제1링과 상기 중간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블레이드; 상기 제2링과 상기 중간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블레이드; 및 상기 중간판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제1회전 허브와 제2회전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 허브와 상기 제2회전 허브는 각각 상기 축구멍의 둘레에 상기 중간판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허브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외면에 돌출부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이며, 상기 중간판이 회전하면 상기 제1링과 상기 제2링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1블레이드와 상기 복수의 제2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판이 회전하면, 상기 복수의 허브 판에 의해 형성되는 윤곽은 중심 부분이 높고 가장자리 부분이 낮은 입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동심 배치되는 복수의 원형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원형 파이프의 길이는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점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상기 중간판에 배치된 제1원형 파이프; 및 상기 제1원형 파이프의 외측에 동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원형 파이프보다 길이가 짧은 제2원형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상기 중간판에 일정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날개판 각각은 상기 축구멍에 가까운 일단의 높이가 높고, 상기 축구멍에서 먼 타단의 높이가 낮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날개판은 4개의 날개판을 포함하며, 상기 4개의 날개판이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십자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동심 배치되는 복수의 원호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원호판의 길이는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점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원호판; 상기 한 쌍의 제1원호판과 동심상으로 상기 한 쌍의 제1원호판의 외측에 상기 한 쌍의 제1원호판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원호판; 및 상기 한 쌍의 제1원호판과 동심상으로 상기 한 쌍의 제2원호판의 외측에 상기 한 쌍의 제2원호판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3원호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원호판의 길이가 가장 길고, 상기 제3원호판의 길이가 가장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동심 배치되며, 내부에 캐비티가 마련되는 복수의 원호벽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블레이드가 설치되는 상기 중간판의 제1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원호벽과 상기 복수의 제2블레이드가 설치되는 상기 중간판의 제2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원호벽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원호벽은, 상기 중간판의 제1측면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원호벽; 및 상기 중간판의 제2측면에 상기 한 쌍의 제1원호벽과 동일한 원주를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원호벽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원호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각각의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흡입 팬을 사출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허브 판과 상기 복수의 제1블레이드 또는 상기 복수의 제2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코어가 상기 복수의 제1블레이드 또는 상기 복수의 제2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이 상기 코어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공기조화기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술한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을 포함하는 양흡입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에 의하면, 중간판에 회전 허브가 마련되므로, 공기가 중앙부분에 집중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은 사출 공정을 통해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양흡입 팬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양흡입 팬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양흡입 팬이 회전할 때, 회전 허브의 형상과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제1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양흡입 팬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양흡입 팬의 측면도;
도 9는 도 6의 양흡입 팬이 회전할 때, 회전 허브의 형상과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양흡입 팬의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양흡입 팬의 측면도;
도 13은 도 10의 양흡입 팬이 회전할 때, 회전 허브의 형상과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양흡입 팬의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양흡입 팬의 측면도;
도 17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도 14의 양흡입 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9는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양흡입 팬의 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양흡입 팬의 측면도;
도 22는 도 19의 양흡입 팬이 회전할 때, 회전 허브의 형상과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종래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에서 공기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에서 공기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사용한 팬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종래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
도 2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
도 2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2개 사용한 공기조화기의 팬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의한 양흡입 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양흡입 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양흡입 팬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은 한 쌍의 링(11,12), 중간판(13), 복수의 블레이드(14,15), 및 회전 허브(16)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링(11,12), 즉 제1링(11)과 제2링(12)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양흡입 팬(10)의 양단을 형성한다. 제1링(11)과 제2링(12)은 원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블레이드(14,15)의 일단을 고정하여 지지한다. 한 쌍의 링(11,12)을 통해 외부 공기가 양흡입 팬(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중간판(13)은 제1링(11)과 제2링(12) 사이에 제1링(11) 및 제2링(12)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중간판(13)은 제1링(11) 및 제2링(12)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원판으로 형성되며, 중간판(13)의 중앙에는 축구멍(13a)이 마련된다. 축구멍(13a)에는 모터(210)(도 27 참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211)(도 27 참조)가 고정될 수 있다. 중간판(13)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14,15)의 타단이 고정된다.
복수의 블레이드(14,15)는 한 쌍의 링(11,12)과 중간판(13)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블레이드(14,15)는 제1링(11)과 중간판(13)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블레이드(14)와 제2링(12)과 중간판(13)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블레이드(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4,15)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14,15) 각각의 단면은 유선형이며, 폭방향으로 일정 곡률로 굽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4,15)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제1블레이드(14) 각각의 일단은 제1링(11)에 고정되며, 타단은 중간판(13)의 제1측면(131)에 외주면 부근에 고정된다. 복수의 제2블레이드(15) 각각의 일단은 제2링(12)에 고정되며, 타단은 중간판(13)의 제2측면(132)에 외주면 부근에 고정된다.
중간판(13)의 양 측면(131,132) 각각에는 회전 허브(16,17)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 허브(16,17)는 양흡입 팬(10)이 모터(210)에 의해 회전하면, 한 쌍의 링(11,12)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블레이드(14,15)의 길이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판(13)의 일면, 예를 들면, 제1링(11)을 마주하는 중간판(13)의 일면(131)에는 제1회전 허브(16)가 설치되고, 중간판(13)의 반대면, 예를 들면, 제2링(12)을 마주하는 중간판(13)의 일면(132)에는 제2회전 허브(17)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회전 허브(16)와 제2회전 허브(17)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1회전 허브(16)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회전 허브(16)를 회전 허브(16)라 칭하여 설명한다.
회전 허브(16)는 축구멍(13a)의 둘레에 중간판(13)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허브 판(161,16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허브 판(161,162)은 중간판(13)이 회전하면 제1링(11)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제1블레이드(14)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허브 판(161,162) 각각은 외면에 돌출부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허브 판(161,162)을 돌출부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하면, 양흡입 팬(10)을 사출공정으로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허브 판(161,162)을 형성하는 허브 코어(510,520)(도 5 참조)가 복수의 제1블레이드(1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복수의 허브 판(161,162)이 허브 코어(510,520)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허브 판(161,162)은, 중간판(13)이 회전할 때, 복수의 허브 판(161,162)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윤곽의 중심 부분이 높고 가장자리 부분이 낮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허브 판(161,162)은 축구멍(13a)을 중심으로 중간판(13)에 동심 배치되는 복수의 원형 파이프(161,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원형 파이프(161,162)의 길이는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점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허브 판(161,162)은 축구멍을 중심으로 중간판(13)에 배치된 제1원형 파이프(161)와 제1원형 파이프(161)의 외측에 동심상으로 배치되는 제2원형 파이프(162)를 포함한다. 축구멍(13a)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원형 파이프(161)의 길이가 복수의 제1블레이드(14)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원형 파이프(16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원형 파이프(161)의 길이는 제1블레이드(14)의 길이의 1/3 내지 2/3의 범위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원형 파이프(161)의 바깥 지름(D1)은 복수의 제1블레이드(14)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 내부원 지름(Db)의 1/3 내지 4/5의 범위로 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원형 파이프(161)의 바깥 지름(D1)은 제2원형 파이프(162)와 이격되도록 제2원형 파이프(162)의 바깥 지름(D2)보다 작도록 정해지며, 제2원형 파이프(162)의 길이는 제1원형 파이프(161)의 길이보다 짧도록 정해진다. 동시에, 제1원형 파이프(161)의 바깥 지름(D1)과 제2원형 파이프(162)의 길이는, 양흡입 팬(10)이 회전할 때, 제1원형 파이프(161)와 제2원형 파이프(162)가 형성하는 윤곽이 공기 유동을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양흡입 팬(10)이 회전하면, 제1원형 파이프(161)와 제2원형 파이프(162)는 중심 부분이 높고 가장자리 부분이 낮은 가상의 입체 형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양흡입 팬(10)이 회전할 때, 제1링(11)을 통해 인입된 공기의 일부는 제1원형 파이프(161)의 내부와 제1원형 파이프(161)와 제2원형 파이프(162) 사이의 공간에 정체되어 흐르지 않고 양흡입 팬(1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허브 판(161,162), 즉 제1원형 파이프(161)와 제2원형 파이프(16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갖는 입체 형상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1링(11)으로 인입되는 나머지 공기는 제1원형 파이프(161)의 내부와 제1원형 파이프(161)와 제2원형 파이프(162)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지 않고, 제1원형 파이프(161)와 제2원형 파이프(162)가 회전하면서 형성되는 윤곽(165)을 따라 제1블레이드(14)의 길이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는 도 1의 양흡입 팬(10)이 회전할 때, 회전 허브(16,17)의 형상과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은 회전 허브(16)가 외면에 돌출부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을 갖는 복수의 원형 파이프(161,162)으로 형성되므로, 사출 공정을 통해 양흡입 팬(10)을 제작할 때, 회전 허브(16)가 코어(510)(도 5 참조)와 간섭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1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팬 금형(500)은 양흡입 팬(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팬 금형(500)의 공간에는 복수의 블레이드(14,15)와 회전 허브(16,17)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510,520)가 삽입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1블레이드(14)와 제1회전 허브(16), 즉 제1 및 제2원호 파이프(161,162)를 형성하는 제1코어(510)는 팬 금형(500)의 일측 공간에 삽입되고, 복수의 제2블레이드(15)와 제2회전 허브(17), 즉 제3 및 제4원호 파이프(171,172)를 형성하는 제2코어(520)는 팬 금형(500)의 타측 공간에 삽입된다.
따라서, 팬 금형(500)과 제1코어(510)와 제2코어(520)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에 수지를 충진하면, 양흡입 팬(10)이 성형된다. 이후, 제1코어(510)와 제2코어(520)는 제1블레이드(14)와 제2블레이드(15)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제1블레이드(14)와 복수의 제2블레이드(15)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때, 회전 허브(16,17)를 형성하는 복수의 원호 파이프(161,162,171,172)는 외면에 블레이드(14,1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코어(16,17)와 간섭되는 돌기부분이나 언더 컷(undercut)이 없으므로 사출 공정을 통해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은 중간판(13)에 형성된 제1회전 허브(16)와 제2회전 허브(17)가 제1링(11) 및 제2링(12)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제1블레이드(14)와 제2블레이드(15)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허브(16,17)를 형성하는 복수의 허브 판(161,162)이 제1 및 제2코어(510,520)(도 5 참조)와 간섭되지 않으므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은 사출 공정을 통해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양흡입 팬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양흡입 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양흡입 팬이 회전할 때, 회전 허브의 형상과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20)은 한 쌍의 링(21,22), 중간판(23), 복수의 블레이드(24,25), 및 회전 허브(26,2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링(21,22), 중간판(23), 및 복수의 블레이드(24,25)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의 한 쌍의 링(11,12), 중간판(13), 복수의 블레이드(14,15)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 허브(26,27)는 중간판(23)의 양 측면에 설치된다. 회전 허브(26,27)는 양흡입 팬(20)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한 쌍의 링(21,22)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블레이드(24,25)의 길이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중간판(23)의 일면, 예를 들면, 제1링(21)을 마주하는 중간판(23)의 일면에는 제1회전 허브(26)가 설치되고, 중간판(23)의 반대면, 예를 들면, 제2링(22)을 마주하는 중간판(23)의 일면에는 제2회전 허브(27)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회전 허브(26)와 제2회전 허브(27)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1회전 허브(26)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회전 허브(26)를 회전 허브(26)라 칭하여 설명한다.
회전 허브(26)는 축구멍(23a)의 둘레에 중간판(23)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허브 판(261,262,263,26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허브 판(261,262,263,264)은 중간판(23)이 회전하면 제1링(21)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제1블레이드(24)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허브 판(261,262,263,264) 각각은 외면에 돌출부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허브 판(261,262,263,264)은, 중간판(23)이 회전할 때, 복수의 허브 판(261,262,263,264)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윤곽의 중심 부분이 높고 가장자리 부분이 낮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허브 판(261,262,263,264)은 축구멍(23a)을 중심으로 중간판(23)에 일정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판(261,262,263,26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날개판(261,262,263,264) 각각은 축구멍(23a)에 가까운 일단의 높이가 높고, 축구멍(23a)에서 멀며 블레이드(24)에 가까운 타단의 높이가 낮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허브 판은 90도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날개판(261,262,263,264)을 포함한다. 즉, 회전 허브(26)를 구성하는 4개의 날개판(261,262,263,264)이 축구멍(23a)을 중심으로 십자 형상으로 배열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날개판(261,262,263,264) 각각은 중간판(23)에 설치되는 바닥변(26a)과 바닥변(26a)에 수직한, 즉, 중간판(23)에 수직한 수직변(26b)을 포함한다. 이때, 바닥변(26a)과 수직변(26b)은 곡면으로 연결된다. 즉, 바닥변(26a)의 선단과 수직변(26b)의 선단을 연결하는 측변(26c)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곡면은 인입되는 공기를 블레이드(24)의 길이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으면 어떠한 곡선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은 원호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2개의 날개판(261,263),(262,264)이 대략 종 모양을 형성하는 곡선으로 측면(26c)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날개판(261,262,263,264)의 측면(26c)은 중심 부분이 높고 가장자리 부분이 낮은 가상의 입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날개판(261,262,263,264)의 길이(Lw)는 제1블레이드(24)의 길이(Lb)의 1/3 내지 2/3의 범위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일직선을 이루는 2개의 날개판(261,263)의 최대 길이(Dw)는 복수의 제1블레이드(24)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 내부원 지름(Db)의 1/3 내지 4/5의 범위로 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날개판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측면의 곡선은 양흡입 팬(20)이 회전할 때, 복수의 날개판(261, 262,263,264)가 형성하는 윤곽이 공기 유동을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양흡입 팬(20)이 회전하면, 복수의 날개판(261,262,263,264)은 중심 부분이 높고 가장자리 부분이 낮은 가상의 입체 형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양흡입 팬(20)이 회전할 때, 제1링(21)으로 인입된 공기의 일부는 4개의 날개판(261,262,263,264) 사이의 공간에 정체되어 흐르지 않고 양흡입 팬(2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허브 판, 즉 4개의 날개판(261,262,263,26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갖는 입체 형상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1링(21)으로 인입되는 나머지 공기는 4개의 날개판(261,262,263,264)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지 않고, 4개의 날개판(261,262,263,264)이 회전하면서 형성되는 윤곽을 따라 제1블레이드(24)의 길이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20)은 회전 허브(26)를 구성하는 복수의 날개판(261,262,263,264)이 평판이므로, 복수의 블레이드(24,25)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부나 언더컷이 없는 매끄러운 형상이다. 따라서,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양흡입 팬(20)을 제작할 때, 회전 허브(26)가 허브 코어와 간섭되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허브 판은 십자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날개판(261,262,263,264)을 포함한다. 그러나, 복수의 날개판(261,262,263,264)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중간판(23)에 회전 허브(26)로 5개 이상의 날개판을 일정 간격으로 축구멍(23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양흡입 팬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양흡입 팬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양흡입 팬이 회전할 때, 회전 허브의 형상과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30)은 한 쌍의 링(31,32), 중간판(33), 복수의 블레이드(34,35), 및 회전 허브(36,3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링(31,32), 중간판(33), 및 복수의 블레이드(34,35)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의 한 쌍의 링(11,12), 중간판(13), 복수의 블레이드(14,15)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 허브(36,37)는 중간판(33)의 양 측면에 설치된다. 회전 허브(36,37)는 양흡입 팬(30)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한 쌍의 링(31,32)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블레이드(34,35)의 길이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중간판(33)의 일면, 예를 들면, 제1링(31)을 마주하는 중간판(33)의 일면에는 제1회전 허브(36)가 설치되고, 중간판(33)의 반대면, 예를 들면, 제2링(32)을 마주하는 중간판(33)의 일면에는 제2회전 허브(37)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회전 허브(36)와 제2회전 허브(37)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1회전 허브(36)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회전 허브(36)를 회전 허브(36)라 칭하여 설명한다.
회전 허브(36)는 축구멍(33a)의 둘레에 중간판(33)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허브 판(361,362,36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허브 판(361,362,363)은 중간판(33)이 회전하면 제1링(31)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제1블레이드(34)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허브 판(361,362,363) 각각은 외면에 돌출부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허브 판(361,362,363)은, 중간판(33)이 회전할 때, 복수의 허브 판(361,362,363)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윤곽의 중심 부분이 높고 가장자리 부분이 낮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허브 판(361,362,363)은 축구멍(33a)을 중심으로 중간판(33)에 동심 배치되는 복수의 원호판(361,362,3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원호판(361,362,363)의 길이는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점 짧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축구멍(33a)에 가장 가까운 원호판(361)의 길이가 가장 길고, 복수의 블레이드(34)에 가장 가까운 원호판(363)의 길이가 가장 짧다. 그 사이에 위치하는 원호판(362)의 길이는 그 중간의 길이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중간판(33)에 설치되는 복수의 허브 판(361,362,363)은 한 쌍의 제1원호판(361), 한 쌍의 제2원호판(362), 및 한 쌍의 제3원호판(36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원호판(361)은 축구멍(33a)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한 쌍의 제1원호판(361)은 중간판(33)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원호판(361)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축구멍(33a)에서 동일한 거리에 설치된다.
한 쌍의 제2원호판(362)은 한 쌍의 제1원호판(361)과 동심상으로 상기 한 쌍의 제1원호판(361)의 외측에 설치된다. 또한, 한 쌍의 제2원호판(362)은 한 쌍의 제1원호판(361)과 수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2원호판(362)은 한 쌍의 제1원호판(361)에 의해 가려지지않는 부분, 즉 한 쌍의 제1원호판(361)의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제2원호판(362)의 양단 부분은 한 쌍의 제1원호판(361)의 양단 부분과 일정 길이 겹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원호판(363)은 한 쌍의 제1원호판(361)과 동심상으로 한 쌍의 제2원호판(362)의 외측에 한 쌍의 제2원호판(361)과 수직으로 배치된다. 즉, 한 쌍의 제3원호판(363)은 한 쌍의 제1원호판(361)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겹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3원호판(363)은 한 쌍의 제2원호판(362)에 의해 가려지지않는 부분, 즉 한 쌍의 제2원호판(362)의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제3원호판(363)의 양단 부분은 한 쌍의 제2원호판(362)의 양단 부분과 일정 길이 겹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원호판(363)의 폭은 제1원호판(36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원호판(361)의 길이가 가장 길고, 제3원호판(363)의 길이가 가장 짧게 형성된다. 즉, 축구멍(33a)에 가까운 제1원호판(361)의 길이가 가장 길고, 축구멍(33a)에서 멀며 블레이드(34)에 가까운 제3원호판(363)의 길이가 가장 짧다. 제1원호판(361)과 제3원호판(363)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원호판(363)의 길이는 제1원호판(361)의 길이보다 짧고, 제3원호판(363)의 길이보다 길다. 예를 들면, 제1원호판(361)의 길이는 제1블레이드(34)의 길이의 1/3 내지 2/3의 범위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제3원호판(363)의 바깥 지름(D3)은 복수의 제1블레이드(34)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 내부원 지름(Db)의 1/3 내지 4/5의 범위로 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원호판(362)의 바깥 지름(D2)은 제3원호판(363)과 이격되도록 제3원호판(363)의 바깥 지름(D3)보다 작도록 정해지며, 제1원호판(361)의 바깥 지름(D1)은 제2원호판(362)과 이격되도록 제2원호판(362)의 바깥 지름(D2)보다 작도록 정해진다. 동시에, 제1원호판(361)과 제2원호판(362)의 바깥 지름(D1,D2)과 제2원호판(362)과 제3원호판(363)의 길이는, 양흡입 팬(30)이 회전할 때, 제1원호판(361), 제2원호판(362), 및 제3원호판(363)이 형성하는 윤곽이 공기 유동을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양흡입 팬(30)이 회전하면, 복수의 원호판(361,362,363)은 중심 부분이 높고 가장자리 부분이 낮은 가상의 입체 형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양흡입 팬(30)이 회전할 때, 제1링(31)으로 인입된 공기의 일부는 복수의 원호판(361,362,363) 사이의 공간에 정체되어 흐르지 않고 양흡입 팬(3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허브 판, 즉 3쌍의 원호판(361,362,363)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갖는 입체 형상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1링(31)으로 인입되는 나머지 공기는 3쌍의 원호판(361,362,363)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지 않고, 3쌍의 원호판(361,362,363)이 회전하면서 형성하는 윤곽을 따라 제1블레이드(34)의 길이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30)은 회전 허브(36)를 구성하는 복수의 원호판(361,362,363)이 복수의 블레이드(34,35)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는 곡면판이므로, 복수의 블레이드(34,35)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부나 언더컷이 없는 매끄러운 형상이다. 따라서, 사출 공정을 통해 양흡입 팬(30)을 제작할 때, 회전 허브(36)를 형성하는 코어와 간섭되지 않는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원호판은 반지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3쌍의 원호판(361,362,363)을 포함한다. 그러나, 복수의 원호판(361,362,363)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중간판(33)에 회전 허브(36)로 2쌍의 원호판을 설치하거나, 4쌍 이상의 원호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양흡입 팬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양흡입 팬의 측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40)은 한 쌍의 링(41,42), 중간판(43), 복수의 블레이드(44,45), 및 회전 허브(46,4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링(41,42), 중간판(43), 및 복수의 블레이드(44,45)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의 한 쌍의 링(11,12), 중간판(13), 복수의 블레이드(14,15)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 허브(46,47)는 중간판(43)의 양 측면에 설치된다. 회전 허브(46,47)는 양흡입 팬(40)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한 쌍의 링(41,42)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블레이드(44,45)의 길이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중간판(43)의 일면, 예를 들면, 제1링(41)을 마주하는 중간판(43)의 일면에는 제1회전 허브(46)가 설치되고, 중간판(43)의 반대면, 예를 들면, 제2링(42)을 마주하는 중간판(43)의 일면에는 제2회전 허브(47)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회전 허브(46)와 제2회전 허브(47)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1회전 허브(46)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회전 허브(46)를 회전 허브(46)라 칭하여 설명한다.
회전 허브(46)는 축구멍(43a)의 둘레에 중간판(43)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허브 판(46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허브 판(461)은 중간판(43)이 회전하면 제1링(41)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제1블레이드(44)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허브 판(461) 각각은 외면에 돌출부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허브 판(461)은, 중간판(43)이 회전할 때, 복수의 허브 판(461)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윤곽의 중심 부분이 높고 가장자리 부분이 낮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허브 판(461)은 축구멍(43a)을 중심으로 중간판(43)에 동심 배치되는 복수의 원호벽(46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40)은 상술한 원호판(361,362,363)을 갖는 양흡입 팬(30)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의 원호판(361,362,363)은 얇은 곡면판으로 형성되나, 본 실시예의 원호벽(461)은 원호판(361,362,363)보다 두꺼우며, 내부에 캐비티(462)가 마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40)은 복수의 제1블레이드(44)가 설치되는 중간판(43)의 제1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원호벽(461)과 복수의 제2블레이드(45)가 설치되는 중간판(43)의 제2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원호벽(471)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중간판(43)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원호벽(461)과 복수의 제2원호벽(471)이 동일 위치에 위치하지 않고 서로 교차하면, 사출 성형시 코어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원호벽(461,471) 내부에 캐비티(462,47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원호벽(461,471) 각각은 중간판(43)에 고정되는 바닥면에서 위쪽을 향해 두께가 점점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복수의 원호벽은 중간판(43)의 제1측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원호벽(461)과 중간판(43)의 제2측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원호벽(47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원호벽(461)과 한 쌍의 제2원호벽(471)은 동일한 지름을 갖는 가상의 원을 따라 배치되며, 한 쌍의 제2원호벽(471)은 중간판(43)의 제1측면의 한 쌍의 제1원호벽(46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중간판(43)의 제1측면에는 한 쌍의 제2원호벽(471)의 캐비티(472)와 연통되는 한 쌍의 제1개구(433)가 마련되며, 중간판(43)의 제2측면에는 한 쌍의 제1원호벽(461)의 캐비티(462)와 연통되는 한 쌍의 제2개구(435)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판(43)의 제1측면에는 한 쌍의 제1원호벽(461)과 한 쌍의 제1개구(433)가 교대로 배치되어 하나의 원을 형성한다. 또한, 중간판(43)의 제2측면에는 한 쌍의 제2원호벽(471)과 한 쌍의 제2개구(435)가 교대로 배치되어 하나의 원을 형성한다.
이때, 한 쌍의 제1 및 제2원호벽(461,471)의 길이는 제1블레이드(44)의 길이의 1/3 내지 2/3의 범위로 정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및 제2원호벽(461,471)의 바깥 지름(D)은 복수의 제1블레이드(44)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 내부원 지름(Db)의 1/3 내지 4/5의 범위로 정할 수 있다. 동시에, 한 쌍의 제1 및 제2원호벽(461,471)의 길이와 바깥 지름(D)은, 양흡입 팬(40)이 회전할 때, 한 쌍의 제1 및 제2원호벽(461,462)이 형성하는 윤곽이 공기 유동을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제1원호벽(461)의 캐비티(462)는 중간판(43)의 제2측면의 제2개구(435)를 통해 캐비티 코어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제2원호벽(471)의 캐비티(472)는 중간판(43)의 제1측면의 제1개구(433)를 통해 캐비티 코어(611)(도 17 참조)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팬 금형(600)은 양흡입 팬(4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팬 금형(600)의 공간에는 복수의 블레이드(44,45)와 회전 허브(46,47)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610,620)가 삽입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1블레이드(44)와 제1회전 허브(46), 즉 한 쌍의 제1원호벽(461)을 형성하는 제1코어(610)는 팬 금형(600)의 일측 공간에 삽입되고, 복수의 제2블레이드(45)와 제2회전 허브(47), 즉 한 쌍의 제2원호벽(471)을 형성하는 제2코어(620)는 팬 금형(600)의 타측 공간에 삽입된다. 제1코어(610)의 선단에는 한 쌍의 캐비티 코어(611)가 마련되어 제2코어(620)의 한 쌍의 제2원호벽을 형성하는 부분(622)으로 삽입되며, 제2코어(620)의 선단에도 한 쌍의 캐비티 코어가 마련되어 제1코어(610)의 한 쌍의 제1원호벽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팬 금형(600)과 제1코어(610)와 제2코어(620)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에 수지를 충진하면, 도 14와 같이 중간판(43)의 양 측면에 복수의 블레이드(44,45)와 한 쌍의 원호벽(461,471)을 갖는 양흡입 팬(40)이 성형된다. 이후, 제1코어(610)와 제2코어(620)는 제1블레이드(44)와 제2블레이드(45)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제1블레이드(44)와 복수의 제2블레이드(45)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때, 회전 허브(46,47)를 형성하는 한 쌍의 원호벽(461,471)은 외면에 제1 및 제2블레이드(44,4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코어(610,620)와 간섭되는 돌기부분이나 언더컷이 없으므로 사출 공정을 통해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40)은 중간판(43)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원호벽(461)과 한 쌍의 제2원호벽(471)이 제1링(41) 및 제2링(42)으로 인입되는 공기를 제1블레이드(44)와 제2블레이드(45)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허브(46,47)를 형성하는 복수의 원호벽(461,471)이 코어(610,620)와 간섭되지 않으므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40)은 사출 공정을 통해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허브(46,47)를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30)의 원호판(361,362,363)보다 두꺼우며 캐비티(462,472)를 갖는 원호벽(461,471)으로 형성하면, 원호판(361,362,363)보다 강성을 크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양흡입 팬(40)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때, 회전 허브(46,47)에 걸리는 강한 원심력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중간판(43)의 양 측면에 원호벽(461,471)을 원주방향으로 교차 배치하므로, 웨이트 밸런스(weight balance)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양흡입 팬(40)이 회전하면, 복수의 원호벽(461,471)은 중심 부분이 높고 가장자리 부분이 낮은 가상의 입체 형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양흡입 팬(40)이 회전할 때, 제1링(41)으로 인입된 공기의 일부는 복수의 원호벽(461) 사이의 공간에 정체되어 흐르지 않고 양흡입 팬(4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허브 판, 즉 한 쌍의 원호벽(461)은 한 쌍의 원호벽(461)을 절단하는 단면을 갖는 입체 형상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1링(41)으로 인입되는 나머지 공기는 한 쌍의 제1원호벽(461)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지 않고, 한 쌍의 제1원호벽(461)이 회전하면서 형성하는 윤곽을 따라 제1블레이드(44)의 길이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다. 제2링(42)으로 인입되는 공기도 한 쌍의 제2원호벽(471)이 회전하면서 형성하는 윤곽을 따라 제2블레이드(45)의 길이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40)은 회전 허브(46,47)를 구성하는 복수의 원호벽(461,471)이 복수의 블레이드(44,45)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부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이다. 따라서, 성형 공정을 통해 양흡입 팬(40)을 제작할 때, 회전 허브(46,47)가 코어와 간섭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회전 허브(46,47)가 한 쌍의 원호벽(461,471)으로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회전 허브(46,47)를 구성하는 원호벽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회전 허브(46,47)는 중간판(43)에 마련된 2쌍 이상의 원호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4의 양흡입 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40')은 중간판(43)에 마련된 두쌍의 원호벽(461,46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판(43)에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 허브(46)는 한 쌍의 내측 원호벽(463)과 한 쌍의 외측 원호벽(46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내측 원호벽(463)은 축구멍(43a)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한 쌍의 내측 원호벽(463)은 중간판(43)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내측 원호벽(463)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축구멍(43a)에서 동일한 거리에 설치된다. 한 쌍의 내측 원호벽(463) 각각의 내부에는 캐비티가 마련된다. 중간판(43)의 제1측면에는 중간판(43)의 제2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내측 원호벽의 캐비티와 연통되는 한 쌍의 내측 개구(434)가 마련된다. 따라서, 중간판(43)의 제1측면에는 한 쌍의 내측 원호벽(463)과 한 쌍의 내측 개구(434)가 교대로 배치되어 하나의 원을 형성한다.
한 쌍의 외측 원호벽(461)은 한 쌍의 내측 원호벽(463)과 동심상으로 상기 한 쌍의 내측 원호벽(463)의 외측에 설치된다. 또한, 한 쌍의 외측 원호벽(461)은 한 쌍의 내측 원호벽(463)과 수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외측 원호벽(461)은 한 쌍의 내측 원호벽(463)에 의해 가려지지않는 부분, 즉 한 쌍의 내측 원호벽(463)의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 한 쌍의 외측 원호벽(461) 각각의 내부에는 캐비티가 마련된다. 중간판(43)의 제1측면에는 중간판(43)의 제2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외측 원호벽의 캐비티와 연통되는 한 쌍의 외측 개구(433)가 마련된다. 따라서, 중간판(43)의 제1측면에는 한 쌍의 내측 원호벽(463)과 한 쌍의 내측 개구(434)의 외측으로 한 쌍의 외측 원호벽(461)과 한 쌍의 외측 개구(433)가 교대로 배치되어 하나의 원을 형성한다.
이때, 복수의 원호벽(461,463)의 길이는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점 짧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축구멍(43a)에 가장 가까운 내측 원호벽(463)의 길이가 길고, 복수의 블레이드(44)에 가장 가까운 외측 원호벽(461)의 길이가 짧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원호벽을 3중 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내측 원호벽과 외측 원호벽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원호벽의 길이는 그 중간의 길이를 갖는다.
이하,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양흡입 팬의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양흡입 팬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양흡입 팬이 회전할 때, 회전 허브의 형상과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50)은 한 쌍의 링(51,52), 중간판(53), 복수의 블레이드(54,55), 및 회전 허브(56,5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링(51,52), 중간판(53), 및 복수의 블레이드(54,55)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의 한 쌍의 링(11,12), 중간판(13), 복수의 블레이드(14,15)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 허브(56,57)는 중간판(53)의 양 측면에 설치된다. 회전 허브(56,57)는 양흡입 팬(50)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한 쌍의 링(51,52)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블레이드(54,55)의 길이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중간판(53)의 일면, 예를 들면, 제1링(51)을 마주하는 중간판(53)의 일면에는 제1회전 허브(56)가 설치되고, 중간판(53)의 반대면, 예를 들면, 제2링(52)을 마주하는 중간판(53)의 일면에는 제2회전 허브(57)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회전 허브(56)와 제2회전 허브(57)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1회전 허브(56)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회전 허브(56)를 회전 허브(56)라 칭하여 설명한다.
회전 허브(56)는 축구멍(53a)의 둘레에 중간판(53)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허브 판(56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허브 판(561)은 중간판(53)이 회전하면 제1링(21)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제1블레이드(44)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허브 판(561) 각각은 외면에 돌출부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허브 판(561)은 축구멍(53a)을 중심으로 중간판(53)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는 축구멍(53a)을 중심으로 하는 원 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블레이드(55)에 의해 형성되는 원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원을 형성한다.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 각각은 복수의 블레이드(54) 각각의 길이(Lb)보다 길이가 짧은 길이(Ls)를 갖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 각각의 길이(Ls)는 복수의 블레이드(54) 길이(Lb)의 1/3 내지 2/3의 범위로 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외부원 지름(Ds)은 복수의 블레이드(54)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 내부원 지름(Db)의 1/3 내지 4/5의 범위로 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 각각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복수의 블레이드(54) 각각과 유사하게 유선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 각각은 폭방향으로 일정 곡률로 굽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 각각의 굽힘 방향은 복수의 블레이드(54) 각각의 굽힘 방향과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461) 각각의 출구각은 복수의 블레이드(54) 각각의 입구각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461,471) 각각의 길이(Ls), 가상의 외부원 지름(Ds), 및 단면의 형상은, 양흡입 팬(50)이 회전할 때,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461,471)가 공기 유동을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50)은 회전 허브(56,57)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571) 각각이 복수의 블레이드(54,55)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는 유선형 단면을 갖는 곡면판이므로, 복수의 블레이드(54,55)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부나 언더컷이 없는 매끄러운 형상이다. 따라서,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양흡입 팬(10)을 제작할 때,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461,471)가 코어와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허브(56,57)를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571)로 형성하면, 복수의 블레이드(54,55) 내부의 공간은 복수의 블레이드(54,55)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461,471)를 기준으로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즉,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54,55)의 내부 공간은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571)가 위치하는 이중 블레이드 영역(A 구간)과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가 없는 싱글 블레이드 영역(B 구간)으로 구획된다.
양흡입 팬(50)이 회전하면,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571) 내부로 흡입력이 발생하여 주변의 공기 유동을 흡입하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름 방향으로 토출한다. 따라서, 이중 블레이드 영역(A)의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571)와 복수의 블레이드(54,55) 사이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 유동만이 존재한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571)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는 일부의 공기는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571)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방출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싱글 블레이드 영역(B)의 복수의 블레이드(54,55)를 통해 토출되게 된다. 따라서, 싱글 블레이드 영역(B)은 이중 블레이드 영역(A)과 유동이 분리되어 별도의 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싱글 블레이드 영역(B)은 별도의 짧은 복수의 블레이드를 갖는 원심 팬과 같은 유동 특성을 갖게 되어, 유입된 공기가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되고, 블레이드 끝에서의 공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54,55) 내부에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561,571)를 설치하면, 2종의 팬이 직렬로 연결된 하이브리드 팬(hybrid fan)의 특성을 갖게 되므로, 양흡입 팬(50)의 전체적인 정압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분산되는 것을 도 23과 도 2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종래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에서 공기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4는 본 개시의 제1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에서 공기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간판(3)에 회전 허브가 없는 종래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1)은 중간판(3)이 위치한 중앙부(P1)로 공기의 유동이 집중하게 된다. 그러나, 중간판(13)에 회전 허브(16,17)가 형성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에서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유동이 중간판의 양측의 2곳(P2,P3)으로 분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에서는 블레이드(14,15)의 양단, 즉 제1링(11)과 제2링(12) 근처에서의 공기의 역류가 종래 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1)에 비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팬 시스템을 2개의 양흡입 팬으로 구현할 때, 종래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1)을 사용할 경우, 열교환기 표면에서 공기 유동이 집중되는 부위가 2곳이 되지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을 사용하면, 열교환기 표면에서 공기 유동이 집중되는 부위가 4곳이 된다. 그 결과,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느려지므로 압력 강하가 적어지고, 전반적인 공기 유동의 분포가 균일해진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 유속의 분포가 균일해질수록 공기조화기의 냉방 및 난방 성능이 향상되므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을 사용하면, 공기조화기의 냉방 및 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성능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개시자들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1)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을 비교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양흡입 팬(10)이 팬 덕트(110)의 내부에 설치된 팬 조립체(100)를 사용하여 실행하였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사용한 팬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양흡입 팬(10)은 팬 덕트(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팬 덕트(110)의 양측면에는 양흡입 팬(10)의 제1링(11)과 제2링(12)에 대응하는 2개의 유입구(111)가 마련되며, 전면에는 양흡입 팬(10)의 복수의 블레이드(14,1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3)가 마련된다. 따라서, 양흡입 팬(10)이 회전하면, 외부의 공기는 팬 조립체(100)의 2개의 유입구(111)를 통해 양흡입 팬(10)으로 인입되고, 토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종래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1)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팬 조립체(100)의 토출구(113)의 전방으로 300mm 떨어진 위치(일반적으로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공기의 유속분포를 비교하였다. 통상적으로 공기의 유속분포는 막대 그래프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종래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1)도 도 25에 도시한 팬 덕트(110)에 설치한 상태로 실험을 하였다.
도 26은 종래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고, 도 2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참고로, 도 26과 도 27에서 수평축은 유속(m/s)을 나타내고, 수직축은 유속의 빈도(frequency)를 나타낸다.
도 26을 참고하면, 회전 허브가 없는 종래 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1)의 경우는 유속이 0 m/s인 영역이 매우 크며, 주유속 분포인 유속 1m/s ~ 4m/s 영역의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과 같이 회전 허브(16,17)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1)에 비교하여 유속이 특정 유속에 치우치지 않고 넓은 유속 분포를 갖는다.
아래의 표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1)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의 전반적인 유동성능을 비교한 것이다.
단위 종래 기술(허브 무) 본 개시(허브 유)
외부 정압(ESP) Pa 0 0
송풍량 cmm 37.19 37.07
평균유속 m/s 2.98 2.97
유속표준편차 m/s 6.31 5.86
유속표준편차/평균유속 % 211.74% 197.3%
상기의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과 같이 회전 허브(16,17)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종래 기술의 양흡입 팬(1)과 같이 풍량 감소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의 유속의 표준편차는 종래 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에 비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제1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10)을 사용하여 실시한 실험을 근거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20,30,40,50)을 사용하여도 상술한 결과와 유사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성능이 향상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사용하여 공기조화기를 구성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200mm의 길이를 갖는 블레이드를 사용하며, 회전 허브가 없는 양흡입 팬을 3개 연결하여 열교환기로 공기를 불어주는 팬 시스템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3개의 양흡입 팬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성을 가지는 커플러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팬 시스템의 구조적 진동을 증폭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3개의 양흡입 팬을 사용하면, 구조가 복잡해지므로 원가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블레이드의 길이가 길며 회전 허브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2개 사용하여 팬 시스템을 구현하면 해결할 수 있다.
도 2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흡입 팬을 2개 사용한 공기조화기의 팬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28에서는 도시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 덕트(201)의 상면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도 28을 참조하면, 팬 시스템(200)은 메인 덕트(201)에 설치되는 2개의 팬 조립체(100)와 한 개의 모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210)는 2개의 팬 조립체(100)의 사이에 설치되며, 모터(210)의 양단에마련된 샤프트(211)는 각각 양측에 설치된 양흡입 팬(10)의 중간판(13)의 축구멍(13a)에 고정된다. 따라서, 모터(210)가 회전하면, 2개의 양흡입 팬(10)이 동시에 회전하여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메인 덕트(201)의 토출구(203) 전방에는 열교환기(미도시)가 설치된다. 따라서, 메인 덕트(201)에서 토출된 공기는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을 하게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와 같이, 320mm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14,15)와 회전 허브(16,17)를 갖는 2개의 양흡입 팬(10)으로 팬 시스템(200)을 구성하면, 200mm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14,15)를 사용하며, 회전 허브가 없는 3개의 종래기술에 의한 양흡입 팬(1)으로 구성된 팬 시스템과 동일하거나 우월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2개의 양흡입 팬(10)을 사용하므로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10,20,30,40,50; 양흡입 팬 11,12,21,22,31,32,41,42,51,52; 링
13,23,33,43,53; 중간판 14,15,24,25,34,35,44,45,54,55; 블레이드
16,17,26,27,36,37,46,47,56,57; 회전 허브
100; 팬 조립체 110; 팬 덕트
161,162; 원형 파이프 200; 팬 시스템
201; 메인 덕트 210; 모터
211; 샤프트 261,262,263,264; 날개판
361,362,363; 원호판 461,471; 원호벽
500,600; 팬 금형 510,520,610,620; 코어
561,571; 서브 블레이드 611; 캐비티 코어

Claims (20)

  1. 서로 평행하게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링과 제2링;
    상기 제1링과 상기 제2링 사이에 설치되며, 중앙에 축구멍이 마련되는 중간판;
    상기 제1링과 상기 중간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블레이드;
    상기 제2링과 상기 중간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블레이드; 및
    상기 중간판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제1회전 허브와 제2회전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 허브와 상기 제2회전 허브는 각각 상기 축구멍의 둘레에 상기 중간판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허브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외면에 돌출부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이며, 상기 중간판이 회전하면 상기 제1링과 상기 제2링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1블레이드와 상기 복수의 제2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링과 상기 제2링, 상기 중간판, 상기 복수의 제1블레이드, 상기 복수의 제2블레이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을 포함하는 양흡입 팬을 사출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허브 판 및 상기 제1링과 상기 복수의 제1블레이드 또는 상기 제2링과 상기 복수의 제2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코어가 상기 복수의 제1블레이드 또는 상기 복수의 제2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이 상기 코어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양흡입 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이 회전하면, 상기 복수의 허브 판에 의해 형성되는 윤곽은 중심 부분이 높고 가장자리 부분이 낮은 형상을 형성하는, 양흡입 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동심 배치되는 복수의 원형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원형 파이프의 길이는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점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양흡입 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상기 중간판에 배치된 제1원형 파이프; 및
    상기 제1원형 파이프의 외측에 동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원형 파이프보다 길이가 짧은 제2원형 파이프;를 포함하는, 양흡입 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상기 중간판에 일정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날개판 각각은 상기 축구멍에 가까운 일단의 높이가 높고, 상기 축구멍에서 먼 타단의 높이가 낮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양흡입 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판은 4개의 날개판을 포함하며,
    상기 4개의 날개판이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십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양흡입 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판 각각은 상기 중간판에 설치되는 바닥변과 상기 바닥변에 수직한 수직변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변의 선단과 상기 수직변의 선단은 곡선으로 연결되는, 양흡입 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동심 배치되는 복수의 원호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원호판의 길이는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점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양흡입 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원호판;
    상기 한 쌍의 제1원호판과 동심상으로 상기 한 쌍의 제1원호판의 외측에 상기 한 쌍의 제1원호판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원호판; 및
    상기 한 쌍의 제1원호판과 동심상으로 상기 한 쌍의 제2원호판의 외측에 상기 한 쌍의 제2원호판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3원호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원호판의 길이가 가장 길고, 상기 제3원호판의 길이가 가장 짧은, 양흡입 팬.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동심 배치되며, 내부에 캐비티가 마련되는 복수의 원호벽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블레이드가 설치되는 상기 중간판의 제1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원호벽과 상기 복수의 제2블레이드가 설치되는 상기 중간판의 제2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원호벽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양흡입 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호벽 각각은 상기 중간판에 고정되는 바닥면에서 상단을 향해 두께가 점점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양흡입 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호벽은,
    상기 중간판의 제1측면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원호벽; 및
    상기 중간판의 제2측면에 상기 한 쌍의 제1원호벽과 동일한 원주를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원호벽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원호벽;을 포함하는, 양흡입 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의 제1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2원호벽의 캐비티와 연통되는 한 쌍의 제1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중간판의 제2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원호벽의 캐비티와 연통되는 한 쌍의 제2개구가 마련되는, 양흡입 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의 한 쌍의 제1개구에는 상기 한 쌍의 제2원호벽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캐비티 코어가 삽입되고, 상기 중간판의 한 쌍의 제2개구에는 상기 한 쌍의 제1원호벽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캐비티 코어가 삽입되는, 양흡입 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허브 판은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각각의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양흡입 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 각각의 굽힘 방향과 상기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 각각의 굽힘 방향은 서로 반대인, 양흡입 팬.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블레이드 각각의 출구각은 상기 복수의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 각각의 입구각과 동일한, 양흡입 팬.
  18. 삭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허브와 상기 제2회전 허브의 길이는 각각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각각의 길이의 1/3 내지 2/3인, 양흡입 팬.
  20.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청구항 1 내지 17항 및 19항 중의 어느 하나의 특징을 포함하는 양흡입 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80151705A 2018-11-30 2018-11-30 양흡입 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2584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705A KR102584453B1 (ko) 2018-11-30 2018-11-30 양흡입 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US16/697,950 US11525455B2 (en) 2018-11-30 2019-11-27 Double suction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EP19212339.6A EP3660318B1 (en) 2018-11-30 2019-11-28 Double suction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201911197538.5A CN111255739B (zh) 2018-11-30 2019-11-29 双吸风扇以及具有该双吸风扇的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705A KR102584453B1 (ko) 2018-11-30 2018-11-30 양흡입 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340A KR20200065340A (ko) 2020-06-09
KR102584453B1 true KR102584453B1 (ko) 2023-10-05

Family

ID=6873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705A KR102584453B1 (ko) 2018-11-30 2018-11-30 양흡입 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25455B2 (ko)
EP (1) EP3660318B1 (ko)
KR (1) KR102584453B1 (ko)
CN (1) CN111255739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6567A (zh) * 2014-01-23 2015-07-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离心风叶、离心风机和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9118A (en) 1980-01-08 1982-05-11 Philips Industries, Inc. Centrifugal blower wheels
US4324529A (en) * 1980-06-16 1982-04-13 General Electric Co. Axial-centrifugal flow impeller
US5988979A (en) 1996-06-04 1999-11-23 Honeywell Consumer Products, Inc. Centrifugal blower wheel with an upwardly extending, smoothly contoured hub
US6024543A (en) 1997-11-07 2000-02-15 Zero Corporation Blower wheel having interior motor cooling ribs
JP2001027199A (ja) 1999-07-15 2001-01-30 Mitsubishi Heavy Ind Ltd 両吸込多翼送風装置
KR20020019157A (ko) * 2000-09-05 2002-03-12 구자홍 공기조화기용 터보팬
CN100371606C (zh) 2004-08-10 2008-02-27 建准电机工业股份有限公司 入风侧形成稀疏扇叶排列的鼓风散热扇叶轮
US7682233B2 (en) 2005-06-17 2010-03-23 Halla Climate Control Corporation Blower for air conditioner of automotive vehicles
ITMI20090048U1 (it) 2009-02-19 2010-08-20 Faber Spa Girante di sicurezza per ventilatori
KR101309084B1 (ko) 2011-07-26 2013-09-1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시로코 팬
US9574568B2 (en) 2011-10-20 2017-02-21 Henkel IP & Holding GmbH Double inlet centrifugal blower with a solid center plate
US9157441B2 (en) 2011-10-20 2015-10-13 Henkel IP & Holding GmbH Double inlet centrifugal blower with peripheral motor
CN102828994A (zh) 2012-09-24 2012-12-19 胡国贤 叶轮组合式双风轮风机
CN203685679U (zh) 2014-01-23 2014-07-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离心风叶、离心风机和空调器
CN104791296A (zh) * 2015-01-13 2015-07-22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离心风机叶轮结构
CN108138798B (zh) * 2015-10-07 2019-10-11 三菱电机株式会社 鼓风机及具备该鼓风机的空气调节装置
JP6210104B2 (ja) * 2015-10-30 2017-10-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クロスフローファン
KR101911255B1 (ko) * 2016-04-28 2018-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IT201600111763A1 (it) 2016-11-07 2018-05-07 Nuovo Pignone Tecnologie Srl Girante a doppia aspirazione, ad alta efficienza
KR101850287B1 (ko) 2016-12-14 2018-04-19 (주) 정원전자 송풍 유량 보정 및 저소음 운전이 가능한 원심형 송풍휀의 임펠라 구조
KR102479090B1 (ko) 2017-12-14 2022-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6567A (zh) * 2014-01-23 2015-07-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离心风叶、离心风机和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340A (ko) 2020-06-09
CN111255739A (zh) 2020-06-09
EP3660318B1 (en) 2021-11-03
CN111255739B (zh) 2022-07-15
US20200173455A1 (en) 2020-06-04
US11525455B2 (en) 2022-12-13
EP3660318A1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2026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EP1933040B1 (en) Turbo fan and air conditioner
EP3314130B1 (en) Turbo fan for an air conditioner
JP7094395B2 (ja) コンプレッサ
CN102297156B (zh) 风扇、成型用模具和流体输送装置
JPH1018995A (ja) 送風装置
JP3507758B2 (ja) 多翼ファン
US11703065B2 (en) Fan and intake grid for a fan
CN102187100B (zh) 贯流风扇、送风机和叶轮成形机
KR20110001664A (ko) 자동차
KR20150136935A (ko) 원심팬
JP4175673B2 (ja) 送風装置
CN105051374A (zh) 鼓风装置
KR101742965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584453B1 (ko) 양흡입 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N110219829B (zh) 一种离心蜗壳出口结构
WO2023202327A1 (zh) 组合式扇叶结构及出风装置
JPH04339199A (ja) 多翼羽根車
JP7035973B2 (ja) 遠心ファン
JPH1182382A (ja) 送風機用羽根車
CN109322852B (zh) 叶轮、复合型风机和具有其的燃气热水器
JP3588916B2 (ja) 軸流ファンの羽根車
JP2016070075A (ja) 遠心送風機
JPH04159498A (ja) 多翼フアンの羽根車
CN104011397A (zh) 风扇、成型用模具和流体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