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255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255B1
KR101911255B1 KR1020160052381A KR20160052381A KR101911255B1 KR 101911255 B1 KR101911255 B1 KR 101911255B1 KR 1020160052381 A KR1020160052381 A KR 1020160052381A KR 20160052381 A KR20160052381 A KR 20160052381A KR 101911255 B1 KR101911255 B1 KR 101911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air
curve
su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128A (ko
Inventor
양태만
공병학
정춘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255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2001/0048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열교환기 또는 실외열교환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공기유입구 및 공기토출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공기를 유동시키는 양흡입횡류팬을 포함하고, 상기 양흡입횡류팬은 서로 다른방향으로 각각 공기가 유입되는 두 개의 개방면과, 상기 두 개의 개방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양흡입횡류팬의 내부를 구획하되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구비된 허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양흡입횡류팬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각각 분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용량에 따라 하나의 실내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좁은 장소에서 이용하도록 구성된 싱글형 공기조화기, 회사 또는 음식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매우 큰 용량으로 구성된 중대형 공기조화기 및 다수개의 실내기를 충분히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된 멀티 공기 조화기 등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 때, 분리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공조 공간 내부로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는 실내기와 실내기에서 충분한 열교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매의 압축 또는 팽창을 수행하는 실외기로 구성된다.
공기 조화기는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의 순으로 순환하여 열을 전달하는 싸이클을 가진다. 상기 싸이클에 따라 공기 조화기는 하절기에는 실내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냉방 싸이클로 동작하고, 동절기에는 냉방 싸이클과 반대로 순환하여 실내로 열을 공급하는 히트 펌프(Heat pump)의 난방 싸이클로 동작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의 냉방 사이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1), 사방밸브(2), 실외열교환기(3), 실외팬(4), 팽창밸브(5), 실내열교환기(6) 및 팬(4, 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팬(4, 7)은 외부의 공기를 상기 실외기 또는 실내기 내부로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실외기 또는 실내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실외열교환기(3) 또는 실내열교환기(6)와 열교환을 한 후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팬(4, 7)는 원심팬 또는 횡류팬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횡류팬은 원심팬에 비해 효율이 떨어지지만 유로가 단순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횡류팬은 벽걸이 에어컨 등 소형 공기조화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원기둥의 원주면에는 블레이드가 원기둥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또한 횡류팬의 종류를 살펴보면 원기둥의 윗면과 아랫면 중 일면만 개방되는 단흡입횡류팬과 양면이 모두 개방되는 양흡입횡류팬이 있다.
도 2는 실외기 또는 실내기 내부에 단흡입횡류팬(21)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단흡입횡류팬(21)은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단흡입횡류팬(21)이 모터(22)에 의해 회전하면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여 캐비닛(10)에 구비된 공기유입구(14)를 통해서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제1유로(11)를 따라 단흡입횡류팬(21)의 개방면에 해당하는 제1개방면(23)을 통해 단흡입횡류팬(21)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블레이드(25) 사이를 지나 토출유로(13)로 배출되고 최종적으로 캐비닛(10)에 구비된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실외기 또는 실내기 외부로 배출된다.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증발기 또는 응축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실외열교환기 또는 실내열교환기는 캐비닛(10)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실외열교환기 또는 실내열교환기는 제1유로(11) 또는 토출유로(13) 중 어디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최근에는 횡류팬의 윗면과 아랫면이 모두 개방면으로 구성된 양흡입횡류팬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양흡입횡류팬을 사용하는 경우, 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가 두 개로 나뉘기 때문에 팬의 효율이 더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공기의 유로가 두개로 나뉘기 때문에 캐비닛(10) 또한 양흡입횡류팬에 맞게 개조를 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흡입횡류팬 전용 캐비닛에도 적용 가능한 양흡입횡류팬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비해 팬의 유량을 늘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양흡입횡류팬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열교환기 또는 실외열교환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공기유입구 및 공기토출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모터의 의해 회전하며 공기를 유동시키는 양흡입횡류팬; 상기 양흡입횡류팬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공기가 유입되는 두 개의 개방면과, 상기 두 개의 개방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양흡입횡류팬의 내부를 구획하되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구비된 허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허브 전체 면적의 45% 이상 5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허브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는, 곡률반경을 가지고 상기 허브의 둘레를 형성하는 둘레부와 상기 둘레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둘레부와 연결되는 이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둘레부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이음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과 상기 중심점 사이의 거리(R2)를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과 상기 중심점 사이의 거리(R1)로 나눈 값은 0.8이상 1.2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이 상기 둘레부와 접하는 곡선(C2)의 길이를 상기 홀이 상기 지지부와 접하는 곡선(C1)의 길이로 나눈 값은 2.3이상 2.5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이 상기 이음부와 접하는 직선(L)이 상기 곡선(C2)과 만나는 지점 및 상기 직선(L)과 상기 곡선(C1)이 만나는 지점은 곡선(C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C3)의 곡률 반지름 길이는 상기 허브의 지름(D) 길이의 3%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양흡입횡류팬의 개방면 중 제1개방면을 향해 공기가 흐르는 제1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양흡입횡류팬의 개방면 중 제1개방면을 향해 공기가 흐르는 제1유로 및 상기 양흡입횡류팬의 개방면 중 제2개방면을 향해 공기가 흐르는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개방면과 상기 허브 사이의 길이를 상기 허브와 상기 제2개방면 사이의 길이로 나눈 값은 2.3 이상 4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흡입횡류팬 전용 캐비닛에도 적용 가능한 양흡입횡류팬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비해 팬의 유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공기조화기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단흡입횡류팬이 구비된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양흡입횡류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양흡입횡류팬의 내부를 구획하는 허브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허브를 구성하는 홀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양흡입횡류팬이 단흡입횡류팬 전용 캐비닛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는 양흡입횡류팬이 양흡입횡류팬 전용 캐비닛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흡입횡류팬(20)을 도시한 것이다. 양흡입횡류팬(20)은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주면은 팬의 회전에 따라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블레이드(25)로 구성되어 있다. 양흡입횡류팬(20)의 윗면과 아랫면은 각각 제1개방면(23)과 제2개방면(2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개방면(23)과 제2개방면(24)을 통해서 공기가 유입된다.
양흡입횡류팬(20)의 내부에는 팬 내부를 구획하는 허브(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개방면(23)과 제2개방면(24)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두 개의 개방면과 허브(30)는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허브(30)가 양흡입횡류팬(20)에 위치함으로 인해, 제1개방면(23)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블레이드(251)를 통하여 팬 외부로 배출되고, 제2개방면(24)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블레이드(252)를 통하여 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양흡입횡류팬(20)의 구조로 인해 양흡입횡류팬(20)으로 향하는 공기유로는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유로는 제1개방면(23)로 향하고 또 다른 하나의 유로는 제2개방면(24)으로 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개방면(23)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제2블레이드(252)로 흐르고 제2개방면(24)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제1블레이드(251)로 흐를 수 있도록 허브(30) 내부에 하나 이상의 홀(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허브(30)에 홀(32)이 구비되면 홀(32)이 구비되지 않았을 때보다 풍량 증가의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홀(32)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팬 내부에 설치된 모터(22)의 열을 식히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홀(32)은 허브(30) 전체 면적의 45% 이상 50%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32)의 면적이 허브(30) 전체 면적의 50%가 넘어가면 제1개방면(23) 및 제2개방면(24)으로 각각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들이 서로 간섭을 일으켜 이상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홀(32)의 면적이 허브(30) 전체 면적의 45% 미만인 경우에는 풍량 증가의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45% 이상 50% 이하일 경우 실험적으로 풍량 증가의 효과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홀(32)은 상기 허브(30)의 가장자리와 가깝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자리에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홀(32)이 블레이드(25)와 가깝게 구비되어야 제1개방면(23)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블레이드(252)로 제2개방면(24)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블레이드(251)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상기 허브(30)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허브(30)는 곡률반경을 가지고 허브(30)의 둘레를 형성하는 둘레부(33), 상기 둘레부(33)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2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부(35), 상기 지지부(35)로부터 연장되어 둘레부(33)와 연결되는 이음부(34)로 구성된다.
즉, 홀(32)은 둘레부(33), 지지부(35) 및 이음부(34)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이음부(34)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음부(34)의 개수에 따라서 홀(32)도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음부(34)는 둘레부(33)와 지지부(35)를 연결하는 뼈대와 같은 역할을 하며 홀(32)의 면적이 허브(30) 전체의 45% 이상 50% 이하가 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이음부의 개수나 폭은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지지부(35)의 중심에는 모터(22)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중심점(31)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점(31)을 기준으로 양흡입횡류팬(20)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둘레부(33)의 내주면과 상기 중심점(31) 사이의 거리(R2)를 상기 지지부(31)의 외주면과 상기 중심점(31) 사이의 거리(R1)으로 나눈 값은 0.8 이상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홀(32)이 둘레부(33)와 접하는 곡선(C2)의 길이를 홀(32)이 지지부(35)와 접하는 곡선(C1)의 길이로 나눈 값은 2.3 이상 2.5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R2와 R1 사이의 비율과 C2와 C1 사이의 비율은 실험적으로 얻어진 수치이며, 상기 비율보다 작아지면 팬의 성능저하가 발생하며 상기 비율보다 커지면 소음 증가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비율은 팬의 성능을 최대로 하면서 소음의 발생은 최소화할 수 있는 수치범위에 해당한다.
도 5는 홀(32)을 형성하는 주변부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홀(32)은 윗변과 아랫변이 곡선 형태에 해당하는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다. 홀(32)의 아랫변은 둘레부(33)와 접하는 곡선(C2), 윗변은 지지부(35)와 접하는 곡선(C1), 상기 윗변과 아랫변을 잇는 두변은 이음부와 접하는 직선(L)으로 형성된다.
상기 직선(L)이 상기 곡선(C2)와 만나는 지점 및 상기 직선(L)이 상기 곡선(C1)과 만나는 지점은 굴곡을 가지는 곡선(C3)로 이루어진다. 상기 만나는 지점이 곡선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공기의 흐름에 의해 peak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팬의 성능 저하까지 유발된다.
상기 곡선(C3)의 곡률 반지름은 전체 허브(30)의 지름(D)의 3%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보다 작은 수치를 가지게 되면 소음 발생 및 성능 저하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도 6은 상기 기재한 양흡입횡류팬(20)이 단흡입횡류팬(21) 전용 캐비닛(10)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양흡입횡류팬(20)가 모터(22)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공기는 공기유입구(14)와 제1유로(11)를 지나 양흡입횡류팬(20)의 제1개방면(23)을 통해 양흡입횡류팬(2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양흡입횡류팬(20)으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유로(13)를 지나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1개방면(23)을 통해서 양흡입횡류팬(20)으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은 크게 제1블레이드(251)를 통해 빠져나가는 제1흐름(F1)과 허브(30)에 구비된 홀(32)을 지나 제2블레이드(252)를 통해 빠져나가는 제2흐름(F2)이 있다.
기존의 양흡입횡류팬은 공기가 허브(30)를 통과할 수 없었기 때문에 단흡입횡류팬 전용 캐비닛에 양흡입횡류팬을 설치할 수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흡입횡류팬(20)은 허브(30)에 최적 설계된 홀(32)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단흡입횡류팬 전용 캐비닛에 설치되어도 단흡입횡류팬과 같은 성능을 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흡입횡류팬(20)이 양흡입횡류팬 전용 캐비닛(10')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양흡입횡류팬 전용 캐비닛(10')은 단흡입횡류팬 전용 캐비닛(10)과 비교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가 두 개로 나뉘어 있다. 공기유입구(14)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제1유로(11)로 향하고 나머지는 제2유로(12)로 향하게 된다.
상기 제1유로(11)로 유입된 공기는 양흡입횡류팬(20)의 제1개방면(23)을 통하여 양흡입횡류팬(20)의 내부로 흘러들어가며, 상기 제2유로(12)로 유입된 공기는 양흡입횡류팬(20)의 제2개방면(24)을 통하여 양흡입횡류팬(20)의 내부로 흘러들어간다.
허브(30) 사이로 공기가 흐르지 못하는 기존의 양흡입횡류팬의 경우, 상기 제1유로(11)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F3, 제3흐름)은 제1블레이드(251)로만 흐르고, 상기 제2유로(12)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F4, 제4흐름)은 제2블레이드(252)로만 흐르게 된다.
양흡입횡류팬의 구조는 원기둥 형태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기 제3흐름(F3)과 상기 제4흐름(F4)은 서로 방향이 반대이다. 따라서 제1개방면(23)과 제2개방면(24)을 통해 양흡입횡류팬으로 유입된 공기는 양흡입횡류팬 내부에 구비된 허브(30)와 충돌하게 된다.
기존의 양흡입횡류팬의 경우 허브(30) 사이에 홀이 구비되지 않아 허브(30)와 충돌하는 공기로 인해 팬의 효율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허브(30)에 홀(32)이 구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양흡입횡류팬(20)의 양방향으로 유입된 공기(제3흐름 및 제4흐름)는 허브(30)와 충돌하지 않고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즉, 제3흐름(F3) 중 일부는 허브(30)에 구비된 홀(32)을 통과하여 제2블레이드(252)를 통해 양흡입횡류팬(20)의 외부로 배출된다(S3흐름, FS3). 제4흐름(F4) 중 일부 또한 허브(30)에 구비된 홀(32)을 통과하여 제1블레이드(251)를 통해 양흡입횡류팬(20)의 외부로 배출된다(S4흐름, FS4).
기존의 양흡입횡류팬과 비교하였을 때 허브(30)와 충돌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당히 줄일 수 있어 팬의 효율이 상승된다. 즉, 같은 전력을 공급하였을 때 공기의 흐름이 기존보다 더욱 강해지게 된다.
양흡입횡류팬(20) 내부에서 허브(30)의 위치는 사용하는 공기조화기에 따라서 가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개방면(23)과 허브(30) 사이의 길이를 제2개방면(24)과 허브(30) 사이의 길이로 나눈 값이 2.3 이상 4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개방면(23)과 허브(30) 사이의 길이가 제2개방면(24)과 허브(30) 사이의 길이보다 긴 이유는, 제1개방면(23)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로가 거의 휘어지지 않는 직선 형태이지만, 제2개방면(24)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는 휘어져 있기 때문에 공기와 유로 사이의 마찰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길이 비율(2.3 이상 4 이하)은 실험적으로 팬의 효율이 가장 높을 수 있는 수치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실내기(실외기)
10: 캐비닛(단흡입횡류팬 전용) 10': 캐비닛(양흡입횡류팬 전용)
11: 제1유로 12: 제2유로 13: 토출유로
14: 공기유입구 15: 공기토출구
20: 양흡입횡류팬 21: 단흡입횡류팬
22: 모터 23: 제1개방면 24: 제2개방면
25: 블레이드
30: 허브 31: 중심점 32: 홀
33: 둘레부 34: 이음부 35: 지지부

Claims (13)

  1. 실내열교환기 또는 실외열교환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공기유입구 및 공기토출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공기를 유동시키는 양흡입횡류팬;을 포함하고,
    상기 양흡입횡류팬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공기가 유입되는 두 개의 개방면과, 상기 두 개의 개방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양흡입횡류팬의 내부를 구획하되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구비된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는, 곡률반경을 가지고 상기 허브의 둘레를 형성하는 둘레부; 상기 둘레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둘레부와 연결되는 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이음부와 직선(L)으로 접하고,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제1곡선(C1)으로 접하며,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에 제2곡선(C2)으로 접하고,
    상기 직선(L)과 상기 제2곡선(C2)이 만나는 지점 및 상기 직선(L)과 상기 제1곡선(C1)이 만나는 지점은 제3곡선(C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허브 전체 면적의 45% 이상 5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허브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둘레부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이음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과 중심점 사이의 거리(R2)를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과 상기 중심점 사이의 거리(R1)로 나눈 값은 0.8이상 1.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 상기 둘레부와 접하는 제2곡선(C2)의 길이를 상기 홀이 상기 지지부와 접하는 곡선(C1)의 길이로 나눈 값은 2.3이상 2.5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곡선(C3)의 곡률 반지름 길이는 상기 허브의 지름(D) 길이의 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양흡입횡류팬의 개방면 중 제1개방면을 향해 공기가 흐르는 제1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양흡입횡류팬의 개방면 중 제1개방면을 향해 공기가 흐르는 제1유로 및 상기 양흡입횡류팬의 개방면 중 제2개방면을 향해 공기가 흐르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방면과 상기 허브 사이의 길이를 상기 허브와 상기 제2개방면 사이의 길이로 나눈 값은 2.3 이상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60052381A 2016-04-28 2016-04-28 공기조화기 KR101911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381A KR101911255B1 (ko) 2016-04-28 2016-04-28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381A KR101911255B1 (ko) 2016-04-28 2016-04-28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128A KR20170123128A (ko) 2017-11-07
KR101911255B1 true KR101911255B1 (ko) 2018-10-24

Family

ID=6038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381A KR101911255B1 (ko) 2016-04-28 2016-04-28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453B1 (ko) 2018-11-30 2023-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양흡입 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IT201900008316A1 (it) * 2019-06-07 2020-12-07 Fintek S R L Unita’ di condensazione per climatizzator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3136A (ja) * 2005-09-29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ジフー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916A (ko) * 2004-09-24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로코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0765199B1 (ko) * 2006-10-09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심팬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3136A (ja) * 2005-09-29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ジフ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128A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3433B2 (en) Air conditioner
KR102519931B1 (ko) 공기조화기
KR102391356B1 (ko) 공기조화기
KR100702323B1 (ko) 천장형 공기조화장치
KR101911255B1 (ko) 공기조화기
US20140315479A1 (en) Turbo fan an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using thereof
KR20200068887A (ko) 터보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WO2006080599A2 (en) Heat exchange unit with vent
CN212869972U (zh) 空调器室内机
KR20190111347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090069400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의 그릴
CN210891913U (zh) 贯流风扇、换热组件及空调室内机
KR100643690B1 (ko) 공기조화기
WO2023223383A1 (ja) クロスフローファン、送風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789817B1 (ko) 공기조화기용 원심팬
KR20060088724A (ko) 환기겸용 열교환 유닛
US20070079628A1 (en) Air conditioner
WO2023157289A1 (ja) クロスフローファン
KR100612091B1 (ko) 공기조화기
KR10026147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48902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84890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85432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88896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477313B1 (ko) 공조용송풍장치의하우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