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287B1 - 단광 연속성형기 - Google Patents

단광 연속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287B1
KR102581287B1 KR1020210122142A KR20210122142A KR102581287B1 KR 102581287 B1 KR102581287 B1 KR 102581287B1 KR 1020210122142 A KR1020210122142 A KR 1020210122142A KR 20210122142 A KR20210122142 A KR 20210122142A KR 102581287 B1 KR102581287 B1 KR 102581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gle light
molding
unit
guid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171A (ko
Inventor
오화석
Original Assignee
오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화석 filed Critical 오화석
Priority to KR1020210122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28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2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 C22B1/242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with binders
    • C22B1/24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with binder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2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 C22B1/2406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pelleti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26Cooling of roasted, sintered, or agglomerated o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광 연속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힘으로 구동되되, 광석의 분말이나 작은 분광상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상측 가압방식으로 단광이 성형되고, 단품 및 조립품으로 구성된 지그와 고정핀이 구비되어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단광 연속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광을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분말 또는 분광상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 하단에 위치되고, 상기 재료가 상기 투입부로부터 유입되되 회전하는 성형부; 상기 성형부 하단에 승강가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성형부에 투입된 상기 재료를 상향가압하여 단광을 형성하는 가압부; 상기 성형부 상부면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가압부의 상승시 상기 단광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저지부; 및 상기 성형부 상부면 일측에 위치되되 상기 저지부와 이격되어, 상기 성형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단광이 집결되는 집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단광 연속성형기 {Briquette Continuous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단광 연속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힘으로 구동되되, 광석의 분말이나 작은 분광상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상향가압방식으로 단광이 성형되고, 단품 및 조립품으로 구성된 지그와 핀이 구비되어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단광 연속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 고로에 의한 쇳물 생산공정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료 및 환원제로 일반탄을 직접 사용하고, 철원으로는 분광을 직접 사용하여 용철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들어 자원의 고갈 및 가격폭등 등으로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폐기물 및 미세한 분체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단광을 제조하는 성형기계 장치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존 단광 제조장치는 한 쌍의 롤로 구성되어 양 측면부에는 스프링으로 가압지지되는 치크 플레이트가 밀착되어 재료의 유출을 막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재료는 회전하는 롤사이로 공급되고 압축되어 단광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단광 제조장치는 치크 플레이트가 롤 측면에 밀착되지 못하면서 롤과의 틈새를 통해 재료가 흘러내리는 토크다운 현상 및 장시간 사용에 따른 롤 간의 단차발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롤을 교체해야되는 문제가 발생하면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고 많은 시간이 소모되어 문제를 해결하기까지 장시간 작업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장시간 사용에 따른 문제점 발생을 최소화하고, 문제 발생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면서 비용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1) KR 10-2021-0056872 A
(특허문헌 2) KR 10-2010-0122961 A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롤을 사용하는 대신 지그가 구비된 디스크판 형상의 구조물이 사용되어 회전되되, 상하로 움직이는 핀이 재료를 가압하여 단광이 성형되고, 단품 및 조립품의 지그 및 핀이 구비되어 저가의 비용으로 수리 및 유지가 가능하면서 소모품의 교체가 용이한 방식의 단광 연속성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 있어서, 분말 또는 분광상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 하단에 위치되고, 상기 재료가 상기 투입부로부터 유입되되 회전하는 성형부; 상기 성형부 하단에 승강가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성형부에 투입된 상기 재료를 상향가압하여 단광을 형성하는 가압부; 상기 성형부 상부면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가압부의 상승시 상기 단광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저지부; 및 상기 성형부 상부면 일측에 위치되되 상기 저지부와 이격되어, 상기 성형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단광이 집결되는 집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부는 원형으로 구성되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형상을 가진 지그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복수개의 핀; 및 상기 플레이트 하부면에 고정되되 회전가능한 캠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를 상승하도록 하는 캠롤러가이드가 더 구비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롤러가이드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단차를 가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래의 롤 형식의 단광 제조장치는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할 경우 파손 및 변형된 롤을 탈착하여 수리 및 교체가 주로 이루어지는 고비용 작업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단광 제조시 지그 및 핀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수리 및 교체작업에 비용이 감소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롤 형식의 단광 제조장치에서는 성형이 잘 되지않는 재료는 별도로 수동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단광을 제조하여 대량생산에 대한 경제성이 낮았으나, 본 발명은 상단가압방식으로 성형성이 향상되어 성형이 잘 되지않는 재료도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지그 및 고정핀은 단품 또는 조립품으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필요한 수량만 교체가 가능하게 되고, 지그 및 핀의 연결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지그와 고정핀을 사용하여 단시간의 작업에도 종래의 기술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단광이 성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핀을 이용한 상부배출방식을 적용하여, 하부배출시 낙하충격에 따른 단광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로 배출된 단광이 자동으로 집결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집결된 단광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컨베이어를 별도 구비하여 자동으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서 성형부와 저지부의 상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서 가압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서 캠롤러가이드에 따른 가압부의 위치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서 캠롤러가이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서 실린더부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서 동력부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서 저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의 전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서 성형부와 저지부의 상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서 가압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서 캠롤러가이드에 따른 가압부의 위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서 캠롤러가이드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서 실린더부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서 동력부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에서 저지부의 구성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의 전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광 연속성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100), 성형부(200), 가압부(300), 저지부(400) 및 집결부(5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투입부(100)를 살펴본다.
투입부(100)는 장치의 최상단에 구비되어, 광석의 분말이나 작은 분광상 등의 재료를 후술할 성형부(2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대에 의해서 전체가 지지될 수 있으며, 재료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재료가 모이면서 낙하되기 용이하도록 투입부(100)의 내측면과 외측면은 수평면이 아닌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양의 재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올수록 좁아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재료가 투입될 공간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전체적인 구조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투입부(100)의 상부는 재료가 자동으로 이송되는 장치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재료를 수동공급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투입부(100)의 하부는 재료가 투입부(100)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면이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수리, 확인 및 교체 등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투입부(100)는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되되, 투입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사용할 경우 지지대와의 탈부착에도 용이한 볼트조립구조로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지지대는 투입부(100)가 재료의 공급시 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되도록 투입부(100)의 상부측에 1차 지지가 이루어지고, 하부측에서 2차 지지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부식발생 및 스크래치로 인하여 재료에 이물질이 혼합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식에 강하고, 강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성형부(200)를 살펴본다.
성형부(200)는 투입부(100) 하부에 구비되되, 재료가 유입되어 일정 형상으로 단광이 성형되는 성형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투입부(100)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된 재료는 성형부(200)에 구비된 복수개의 지그(210) 중 일부 지그(210)에 공급되되, 하부에 구비된 기어에 의해서 성형부(200)는 회전하고, 재료가 공급되지 못한 지그(210)에 연속적으로 재료의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성형부(200)는 지그(210)와 원형구조물(230)로 구성될 수 있다.
지그(210)는 단광이 성형될 공간이 상, 하로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되, 하부로 길게 돌출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그(210)의 상부와 하부는 단광이 성형될 공간으로 구성된 부분의 양 끝단을 변형 및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면으로 구성된 받침대가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단광이 성형될 공간은 지그(210)의 형상에 따라 변경가능하나, 가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순한 구조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지그(210)는 성형부(200)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개가 원형배치되고, 지그(210)내의 단광이 성형될 공간은 성형부(200)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지그(210)는 단광이 성형될 형상이 개별 또는 복수개가 구비된 방식으로 구성되고, 탈부착이 용이한 조립식 구성으로 구비되어, 마모 및 변형에 의한 문제 발생시 신속하고 간단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교체가 가능하되, 볼트조립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원형구조물(230)은 판 또는 구조물 형태로 구성되되, 홈 또는 공간이 비어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지그(210)가 홈 또는 공간에 안착하여 볼트로 조립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원형구조물(230)은 성형부(200) 전체를 지지하는 구조로서, 성형부(200)의 회전 및 단광 성형을 위한 가압시에 충격 및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단한 금속류 소재를 사용하되, 구동에 무리가 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두꺼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성형부(200) 중심하부에는 2차기어(800)가 구비되어, 구동부(700)의 1차기어(740)와 맞물려 회전되되, 기어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조립식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성형부(200)는 일반적으로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구성되나, 전체 구성요소의 위치변경으로 도 11과 같이 지면과 수직인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부(300)를 살펴본다.
가압부(300)는 성형부(200) 하부에 위치되되, 지그(210)에 삽입된 재료를 가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성형부(200) 하부에 위치된 복수개의 핀(330)이 상향가압을 하고, 상기 지그(210) 내측의 재료에 가압이 이루어져 분말상태의 재료가 단광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가압부(300)는 플레이트(310), 핀(330), 캠롤러(350) 및 캠롤러가이드(370)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310)는 가압부(300) 중간에 구비되되, 복수개의 핀(330)이 고정되는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고, 핀(330)과의 조립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볼트조립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핀(330)은 가압부(300) 상부에 구비되되, 일단은 플레이트(310)와 볼트결합되고, 타단은 지그(210) 내부에 일부 삽입되어 가압을 하는 직접적인 수단으로 충격 및 변형에 내성이 높은 금속재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성형부(200)에서 성형될 단광의 개수에 따라 동일한 수량으로 핀(330)이 구비되어 한번에 복수개의 핀(330)이 상향가압하여 복수개의 단광이 성형되는 것이 가능하고, 성형부(200)의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단광이 성형되는 것이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캠롤러(350)는 가압부(300) 하부에 구비되되, 성형부(200)가 회전하는 것을 보조하고, 플레이트(310) 및 핀(3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롤러 형태를 가지는 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캠롤러가이드(370)는 캠롤러(35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고, 단차에 따라 주행가이드(371), 가압가이드(373) 및 배출가이드(375)로 구성될 수 있다.
주행가이드(371)는 도 4 (a)와 같이 가장 낮은 높이로 구성되되, 지그(210)의 하부를 핀(330)으로 막아 재료의 하방이탈을 방지하는 높이로 가압부(300)가 위치되고, 가압시 및 집결시를 제외한 전구간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가압가이드(373)는 도 4 (b)와 같이 상대적으로 주행가이드(371) 보다 높게 구성되되, 가압시 가압부(300)를 주행가이드(371)에서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여 핀(330)이 상승하면서 재료를 가압시키고, 가압이 진행되는 후술할 저지부(400) 하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배출가이드(375)는 도 4 (c)와 같이 가압가이드(373)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구성되되, 가압부(300)를 가압가이드(373)에서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여 가압으로 성형이 완료된 단광이 핀(330)의 상승으로 인하여 성형부(200) 상부로 배출되고, 후술할 집결부(500) 하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주행가이드(371), 가압가이드(373) 및 배출가이드(375)는 하나의 연속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주행가이드(371)를 포함하지 않는 가압가이드(373) 및 배출가이드(375)로만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주행가이드(371), 가압가이드(373) 및 배출가이드(375)는 부분별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조립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성형부(200)와 상기 가압부(300)의 가장자리에는 회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커버(600)가 장착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가압부(300) 하부에는 실린더부(900)가 구비되어, 가압부(300)를 하강시켜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가압부(300)는 최하높이에 위치해도 핀(330)이 지그(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교체 및 수리가 불가하여, 가압부(300)를 하부 방향으로 더 하강시켜 핀(330)이 지그(210) 외부로 이탈되어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할 수 있다.
실린더부(900)는 실린더(910), 실린더플레이트(930) 및 가이드포스트(950)로 구성되어 안정적으로 가압부(300)를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실린더(910)는 실린더부(900) 하부에 위치되되, 가압부(300)의 상, 하 이동의 동력역할을 하고,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실린더플레이트(930)는 실린더(910) 상부에 위치되되, 넓은 판 모양으로 가이드포스트(95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성되어 실린더(910)의 힘이 넓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가이드포스트(950)는 실린더플레이트(930) 사이에 위치되되, 실린더플레이트(930)에서 4곳의 모서리 부분에 구성되어 압력을 받아도 수평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저지부(400)를 살펴본다.
저지부(400)는 성형부(200) 일측 상부에 위치되되, 상부에서 재료의 이탈을 방지하여 가압이 가능하게 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재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부(200)와의 이격공간은 성형부(200)가 회전할 수 있는 최소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성형부(200)에서 지그(210)의 홈은 상,하 개방된 구조로 구성되어, 재료공급시 하부는 가압부(300)의 핀(330)이 재료의 하방이탈을 방지하고 있으며, 가압시 저지부(400)가 상방이탈을 방지하여 핀(330)이 상향가압을 실시하여 단광이 성형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저지부(400)는 내측포스트(410), 상측포스트(430) 및 외측포스트(450)로 구성될 수 있다.
내측포스트(410)는 회전되지 않는 성형부(200)의 중심에 위치한 고정판에 결합되되, 성형부(200)와의 이격거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ㄱ'자 형태로 형성되고, 볼트조립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측포스트(430)는 판형태로 구성되되, 핀(330)이 가압한 재료의 상부이탈을 방지하여 단광이 성형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가압을 하는 직접적인 수단 중 하나로, 충격 및 변형에 내성이 높은 금속재 소재를 사용하고, 압력이 직적적으로 전달되는 부위에 볼트조립으로 결합되는 고정판을 더 구비하여 지속적인 압력에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면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외측포스트(450)는 성형부(200)와 이격된 외부에 볼트조립으로 결합되되, 성형부(200)와의 이격거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집결부(500)를 살펴본다.
집결부(500)는 상기 저지부(400)와 이격되어 상기 성형부(200) 일측에 위치되되, 성형된 단광이 집결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압부(300)의 핀(330)에 의해 배출된 단광이 상기 성형부(20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고, 곡선 및 직선 형태의 벽으로 구성된 집결부(500)에 막혀 이동이 정지되고, 배출된 단광이 집결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집결부(500)는 상기 성형부(200)의 중심부에서는 갈고리 형태로 구비되어 중심부쪽으로 단광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측으로는 경사진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성형부(200)가 회전하면서 집결되는 단광들이 상기 성형부(200)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집결부(500) 일측에 바닥판을 구비하여 외측으로 밀려난 단광이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컨베이어를 별도로 구비하여 집결부(500)에 의해서 밀려나오는 단광들이 컨베이어로 옮겨지고, 원하는 장소로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집결부(500)는 단광들이 직접접촉하여 이동하는 부분으로 휨,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금속재 소재를 사용하고, 접촉에 의한 이동이 용이하도록 접촉되는 면은 매끄럽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모터(710), 감속기(720) 및 기어 등으로 구성된 구동부(700)에 의해서 작동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모터(710)를 회전시켜 동력을 얻고, 감속기(720)로 회전수를 감소한 후 구동부(700)의 1차기어(740)를 회전시키고, 이에 맞물린 성형부(200)의 2차기어(800)가 회전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구동부(700)와 성형부(200)의 연결은 기어와 기어, 플랜지커플링(730) 등의 연결방법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힘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베벨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구동부(700)에서 기어와 기어가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은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기어박스(750)로 구성되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투입부(100) 상부로 광석의 분말이나 작은 분광상 등의 재료가 투입되면, 투입부(100) 하부로 낙하하고, 성형부(200)의 지그(210)에 형성된 공간에 재료가 투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캠롤러가이드(370)의 주행가이드(371)에 따라, 가압부(300)의 핀(330)이 지그(210)의 하부를 막음으로써, 재료가 하방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 성형부(200)와 가압부(300)는 회전이 되고, 연속적으로 비어있는 지그(210)의 공간에 재료가 투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재료가 투입된 후, 성형부(200)와 가압부(300)는 회전되고, 저지부(400)가 위치한 곳에서 캠롤러가이드(370)의 가압가이드(373)에 의해 가압부(300)의 핀(330)이 상승하면서 상향가압이 진행되고, 저지부(400)에 의해 재료의 상방이탈이 방지되어, 단광의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지그(210)의 단광 성형공간과 가압부(300)의 핀(330)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한 번의 가압으로 복수개의 단광이 성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광의 성형이 완료된 후, 성형부(200)와 가압부(300)는 회전되고, 캠롤러가이드(370)의 배출가이드(375)에 의해 가압부(300)의 핀(330)이 가압시 보다 상승하여 성형된 단광이 성형부(200) 상부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배출된 단광은 성형부(200)와 가압부(300)의 회전에 의해 집결부(500)로 집결하게 되고, 집결부(500)의 경사구조로 인하여 외측으로 밀려지게 되며, 별도로 구비된 컨베이어에 의해서 원하는 장소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 투입부
200 : 성형부
210 : 지그
230 : 원형구조물
300 : 가압부
310 : 플레이트
330 : 핀
350 : 캠롤러
370 : 캠롤러가이드
371 : 주행가이드
373 : 가압가이드
375 : 배출가이드
400 : 저지부
410 : 내측포스트
430 : 상측포스트
450 : 외측포스트
500 : 집결부
600 : 안전커버
700 : 구동부
710 : 모터
720 : 감속기
730 : 플랜지커플링
740 : 1차기어
750 : 기어박스
800 : 2차기어
900 : 실린더부
910 : 실린더
930 : 실린더플레이트
950 : 가이드포스트

Claims (5)

  1. 분말 또는 분광상 재료가 투입되되, 내측면과 외측면은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올수록 좁아지는 구조로 탈부착이 가능한 투입부;
    상기 투입부 하단에 위치되고, 상기 재료가 상기 투입부로부터 유입되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지그와 구조물로 구성되어 회전이 가능한 원형 형상의 성형부;
    상기 성형부 하단에 위치되고, 플레이트, 핀, 캠롤러 및 캠롤러가이드로 구성되되, 상기 캠롤러가이드의 단차에 의해 상향가압하여 단광이 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성형부 상부면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가압부의 상승시 상기 단광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저지부; 및
    상기 저지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성형부의 중심부에서는 갈고리 형태로 구비되며, 외측으로는 경사진 구조로 구성되어 단광이 집결되는 집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광 연속성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롤러가이드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단차를 가지되,
    단차에 따라 주행가이드, 가압가이드 및 배출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광 연속성형기.
KR1020210122142A 2021-09-14 2021-09-14 단광 연속성형기 KR102581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42A KR102581287B1 (ko) 2021-09-14 2021-09-14 단광 연속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42A KR102581287B1 (ko) 2021-09-14 2021-09-14 단광 연속성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171A KR20230039171A (ko) 2023-03-21
KR102581287B1 true KR102581287B1 (ko) 2023-09-20

Family

ID=8580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142A KR102581287B1 (ko) 2021-09-14 2021-09-14 단광 연속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2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R678301A0 (en) 2001-08-02 2001-08-23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Iron ore briquetting
KR100966752B1 (ko) * 2004-12-20 2010-07-08 여남구 반죽물을 일정형태로 성형시키는 반죽물 성형장치
KR102279930B1 (ko) 2019-11-11 2021-07-21 주식회사 코스틸텍 폐플라스틱 분체바인더를 이용한 제철제강용 단광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171A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670B1 (ko) 사형의 연속 자동화 제조 시스템
US8025498B2 (en) Rotary tableting press
US7451945B2 (en) Single-sided, double hinged frame for roller presses
CN110961437B (zh) 一种数控加工中心冲压废料回收处理系统
CN109279378B (zh) 匣钵翻转装置及钒氮合金生产的自动卸料系统
CN206068860U (zh) 一种推送式自动排料机构
CN112934357A (zh) 一种利用废旧建材制备绿色环保建筑材料装置
KR102581287B1 (ko) 단광 연속성형기
CN100595056C (zh) 辊压机
CN208466415U (zh) 一种建筑垃圾筛分滚筒
CN103203793B (zh) 砂轮成型机
KR102114333B1 (ko) 프레스 성형장치
CN104440020B (zh) 一种用于分离挤压模具的开模装置
CN108940418B (zh) 一种颚式破碎机排料口宽度调节装置及颚式破碎机
CN110779337B (zh) 一种镁窑自动填料及炉渣清理装置
CN210060982U (zh) 一种更换烧结机台车轮轴承的装置
CN111889348A (zh) 自动化砂石筛选设备
CN208321769U (zh) 一种冲孔压力机
CN207155684U (zh) 一种链条销子拆装工具
CN109894210A (zh) 一种药物粉碎机及其操作方法
CN210159574U (zh) 一种环模填料机的下料装置
KR101666432B1 (ko) 주물용 성형물 분리장치
CN220238742U (zh) 一种反击式破碎机的喂料机构
CN204896636U (zh) 一种轧钢加热炉刮渣机构
KR102293991B1 (ko) 펠렛 코크스 성형 다이용 양방향 구동식 다이표면 복원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