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006B1 - 매체 저장 카세트 - Google Patents

매체 저장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006B1
KR102580006B1 KR1020160154279A KR20160154279A KR102580006B1 KR 102580006 B1 KR102580006 B1 KR 102580006B1 KR 1020160154279 A KR1020160154279 A KR 1020160154279A KR 20160154279 A KR20160154279 A KR 20160154279A KR 102580006 B1 KR102580006 B1 KR 102580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plate
main body
shaft
roller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6469A (ko
Inventor
백승태
김태강
이호근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4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0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플레이트의 전후진 이동 구조를 간소화 함과 아울러 푸쉬플레이트와 카세트 본체 간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킨 매체 저장 카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체 저장 카세트는, 매체저장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일측에는 매체의 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저장된 매체를 지지하며 왕복 이동되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샤프트의 양측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감겨져 꼬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상기 매체의 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꼬여진 상태에서 풀림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매체 저장 카세트{Medium storage cassette}
본 발명은 매체 저장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플레이트의 전후진 이동 구조를 간소화 함과 아울러 푸쉬플레이트와 카세트 본체 간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킨 매체 저장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 입출금은 물론 수표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는 현금, 수표, 통장, 지로용지 등 다양한 매체(이하, ‘매체’라 칭함)가 저정되는 매체 저장 카세트가 구비되고, 매체 저장 카세트의 내부에는 저장된 매체를 지지하며 왕복 이동됨으로써 매체를 매체 출구 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탄성지지되는 푸쉬플레이트가 구비된다.
종래 푸쉬플레이트를 매체 출구 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지지하기 위한 수단의 일례로서, 공개특허 제10-2015-0003002호에는 푸쉬플레이트의 양측부에 각각 탄성부재가 연결되어 푸쉬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구성된 카세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탄성부재가 푸쉬플레이트의 양측부에 각각 별도로 구비되므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각각의 탄성부재에서 작용하는 탄성력에 편차가 발생할 경우 푸쉬플레이트가 매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구조로서, 푸쉬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감기는 탄성부재의 꼬임과 풀림에 의해 푸쉬플레이트를 전후진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푸쉬플레이트를 카세트 본체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푸쉬플레이트가 조립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탄성부재를 설정된 회전수 만큼 꼬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립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푸쉬플레이트의 전후진 이동 구조를 간소화 함과 아울러 푸쉬플레이트와 카세트 본체 간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킨 매체 저장 카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체 저장 카세트는, 매체저장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일측에는 매체의 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저장된 매체를 지지하며 왕복 이동되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샤프트의 양측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감겨져 꼬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상기 매체의 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꼬여진 상태에서 풀림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푸쉬플레이트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가 꼬여진 상태에서 풀림이 방지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를 고정지지하기 위해 일측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회전방지부재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방지부재 걸림부의 수직면에 지지되는 직선부와, 상기 회전방지부재 걸림부의 경사면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부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감겨지고, 일측단은 상기 샤프트에 고정지지되며, 타측단은 상기 푸쉬플레이트에 고정지지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단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지지핀이 결합되고, 상기 푸쉬플레이트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단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양측부에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기어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기어부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기어롤러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굴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롤러에는 상기 기어부의 외측으로 롤러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롤러부를 지지하기 위한 평면형의 롤러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상기 기어롤러의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롤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기어롤러의 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롤러의 상측을 가로막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기어롤러의 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롤러가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여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에 조립하기 위한 푸쉬플레이트 조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플레이트 조립부에는, 상기 기어롤러의 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롤러가 설정된 위치에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며 양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푸쉬플레이트 조립부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 사이에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본체의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플레이트 조립부에서 푸쉬플레이트가 본체에 조립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설정된 회전수 만큼 꼬여진 후에 상기 회전방지부재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푸쉬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회전방지부재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저장 카세트에 의하면, 푸쉬플레이트의 샤프트의 외주면에 감기는 탄성부재의 꼬임과 풀림에 의해 푸쉬플레이트를 전후진시키는 방식에서, 푸쉬플레이트를 카세트 본체에 조립 시 탄성부재가 설정된 회전수 만큼 꼬인 상태에서 임의로 회전되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푸쉬플레이트의 전후진 이동 구조를 간소화 함과 아울러 푸쉬플레이트와 카세트 본체 간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양측부에는 기어롤러의 롤러부와 가이드롤러가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푸쉬플레이트 조립부를 구비함으로써, 푸쉬플레이트가 카세트 본체의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푸쉬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기어롤러와 가이드롤러를 구비함으로써 푸쉬플레이트의 전후진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푸쉬플레이트에는 회전방지부재의 보관을 위한 회전방지부재 결합구를 구비함으로써 회전방지부재의 미사용 시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저장 카세트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저장 카세트에서 푸쉬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저장 카세트에서 매체가 적재되어 푸쉬플레이트가 후방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저장 카세트에서 푸쉬플레이트가 본체에 조립된 초기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푸쉬플레이트와 가이드레일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푸쉬플레이트에 회전방지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푸쉬플레이트에 회전방지부재가 결합되어 샤프트의 회전이 방지되는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푸쉬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2의 상태일 때의 푸쉬플레이트의 저면도,
도 10은 도 3의 상태일 때의 푸쉬플레이트의 저면도,
도 11은 카세트 본체와 푸쉬플레이트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회전방지부재가 푸쉬플레이트의 회전방지부재 결합부에 삽입되어 보관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저장 카세트(1)는, 내부에 매체저장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는 셔터(120)에 의해 개방되는 매체 출구가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111)를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되어 본체(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1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는 셔터(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전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전판(130)의 후방에는 전판(130)과의 사이에 수납되는 매체(P)를 지지하며 전후진 이동되는 푸쉬플레이트(20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0)의 양측부 내측면에는 푸쉬플레이트(200)의 전후진 이동 시 그 양측부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레일(140)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는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어 수납된 매체(P)의 양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매체 가이드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매체저장공간은 상기 한 쌍의 매체 가이드부(150) 사이와 상기 전판(130)과 푸쉬플레이트(200)의 전면 사이에 마련된다.
도 2는 매체저장공간에 매체가 저장되지 않은 상태로서 푸쉬플레이트(200)가 전판(130)을 향하는 전방으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3은 매체저장공간에 매체(P)가 적재됨에 따라 푸쉬플레이트(200)가 매체저장공간의 후방으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4는 푸쉬플레이트(200)가 본체(100) 내부에 조립되는 초기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푸쉬플레이트(200)는 매체저장공간의 전방을 향하도록 탄성지지되어, 매체저장공간에 적재된 매체(P)는 푸쉬플레이트(200)에 의해 전방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지지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푸쉬플레이트(200)의 몸체(210)에는 양측으로 관통된 샤프트 관통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관통구(211)에는 샤프트(22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220)의 일측부에는 지지핀 관통구(22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핀 관통구(221)에는 지지핀(26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샤프트(220)의 외주면 둘레에는 탄성부재(250)의 코일부(251)가 위치하고, 탄성부재(250)의 일측단(252)은 상기 지지핀(260)에 의해 고정지지되며, 탄성부재(250)의 타측단(253)은 도 9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플레이트(200)의 몸체(210)에 형성된 탄성부재 걸림부(213)에 의해 고정지지된다.
따라서 샤프트(2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탄성부재(250)는 꼬임 상태가 되어 탄성부재(250)의 코일부(251)는 샤프트(220)의 외주면과 가까운 위치로 변위되고, 이 경우 탄성부재(250)는 꼬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플레이트(200)가 매체저장공간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250)가 풀림 상태가 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플레이트(200)가 매체저장공간의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샤프트(2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탄성부재(250)가 꼬인 상태가 되므로 탄성부재(250)는 꼬인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샤프트(220)를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을 작용하게 되며, 이로써 푸쉬플레이트(200)는 전방을 향하여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도 5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220)의 타측부에는 회전방지부재(270)가 삽입되는 회전방지부재 관통구(222)가 형성되고, 샤프트(220)의 양측단에는 기어롤러(230)가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220)와 기어롤러(230)는 일체로 회전되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샤프트(220)의 양측단에는 D자 형태로 커팅된 평면부(223)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롤러(230)에는 상기 샤프트(220)의 평면부(223)에 대응되는 형태의 평면부 결합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롤러(230)는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기어부(231)와, 상기 기어부(231)의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원통형의 롤러(232)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231)의 타측에는 샤프트(220)의 외주 양측면을 지지하며 결합되는 결합돌출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푸쉬플레이트(200)의 몸체(210)의 후단 양측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 결합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 결합부(212)에는 가이드롤러(2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40)에는, 상기 기어롤러(230)의 기어부(231)와 기어결합되는 랙기어부(141)와, 상기 기어롤러(230)의 롤러부(232)와 상기 가이드롤러(240)를 지지하기 위한 평면형의 롤러 지지부(142)가 양측에 수평상태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 지지부(142)의 상측에는 상기 기어롤러(230)의 롤러부(232)와 상기 가이드롤러(240)의 일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143)가 상기 롤러 지지부(142)와 상하로 이격되며 평행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푸쉬플레이트(2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기어롤러(230)의 기어부(231)는 가이드레일(140)의 랙기어부(141)를 타고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기어롤러(230)의 기어부(231)에 결합된 샤프트(220)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푸쉬플레이트(20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샤프트(2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샤프트(220)의 둘레에 감겨진 탄성부재(250)는 일방향으로 꼬이게 되어 샤프트(22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푸쉬플레이트(200)는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받게 된다.
상기 푸쉬플레이트(220)의 전후진 이동 시 상기 기어롤러(230)의 기어부(231)는 랙기어부(141)와 치합된 상태로 지지되고, 기어롤러(230)의 롤러부(232)와 가이드롤러(240)는 양측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롤러 지지부(142)에 의해 지지되므로 푸쉬플레이트(22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전후진 될 수 있다.
한편, 도 4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플레이트(200)를 본체(100)에 조립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이드레일(140)에는 이탈방지부(143)의 일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기어롤러(230)의 롤러부(232)와 가이드롤러(240)가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푸쉬플레이트 조립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쉬플레이트(200)는 전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롤러(240)와 기어롤러(230)의 롤러부(232)가 수직하 방향으로 푸쉬플레이트 조립부(160)를 순차로 통과한 후에 수평 방향으로 뉘어짐으로써 본체(100)의 내부에 조립된다.
상기 푸쉬플레이트 조립부(160)에는, 기어롤러(230)의 롤러부(232)와 가이드롤러(240)가 설정된 위치에서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리브(161;161a,161b)가 본체(10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며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161;161a,161b) 사이에서 본체(100)의 내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본체(100)의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162)이 형성되어, 기어롤러(230)의 롤러부(232)와 가이드롤러(240)가 경사면(162)을 타고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설정된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푸쉬플레이트 조립부(160)에서 푸쉬플레이트(200)가 본체(100)에 조립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250)는 설정된 회전수 만큼 꼬여진 후에 상기 회전방지부재(270)에 의해 샤프트(220)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조립된다.
즉, 매체 저장 카세트(1)의 구조상 가이드레일(140)의 전단과 후단에는 기타의 구성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푸쉬플레이트 조립부(160)는 가이드레일(140)의 전단과 후단 위치에서는 형성될 수 없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이드레일(140)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중간부 쯤에 위치하게 되며, 이 경우 푸쉬플레이트(200)에 구비된 탄성부재(250)는 도 9에 도시된 풀림 상태와 도 10에 도시된 꼬임 상태의 중간 정도의 회전수로 꼬인 상태에서 조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푸쉬플레이트(200)가 푸쉬플레이트 조립부(160)를 통하여 본체(100)에 조립되기 전단계에서 작업자가 샤프트(200)를 설정된 회전수 만큼 회전시켜 탄성부재(250)를 설정된 회전수로 꼬인 상태에서 고정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250)가 설정된 회전수로 꼬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회전방지부재(270)를 샤프트(220)와 푸쉬플레이트(200)에 걸쳐 결합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방지부재(270)는, 고리부(271)와, 고리부(271)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직선부(272)와, 고리부(271)의 타측에서 연장된 굴곡부(273)와 연장부(27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재(270)가 걸림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푸쉬플레이트(200)의 일측에는 일측면은 수직면(214a)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경사면(214b)으로 형성된 회전방지부재 걸림부(21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방지부재(270)의 직선부(272)는 샤프트(220)에 형성된 회전방지부재 관통구(222)에 삽입된 후에 상기 회전방지부재 걸림부(214)의 수직면(214a)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270)의 굴곡부(273)는 기어롤러(240)의 결합돌출부(233)를 샤프트(220)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지지하게 되며, 상기 회전방지부재(270)의 연장부(274)는 회전방지부재 걸림부(214)의 경사면(214b)에 걸림됨으로써, 샤프트(200)와 푸쉬플레이트(200) 간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250)는 풀림이 방지되어 설정된 회전수로 꼬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재(270)의 구성에 의하면, 푸쉬플레이트(200)를 본체(100)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250)가 설정된 회전수로 꼬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푸쉬플레이트(200)를 본체(100)에 조립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푸쉬플레이트(200)를 본체(100)에 조립하는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270)를 분리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지부재(270)를 푸쉬플레이트(200)에 형성된 회전방지부재 결합부(215)의 회전방지부재 삽입구(215a)에 삽입시킴으로써 회전방지부재(270)의 분실을 방지하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매체 저장 카세트 100 : 본체
110 : 커버 111 : 힌지부
120 : 셔터 130 : 전판
140 : 가이드레일 141 : 랙기어부
142 : 롤러 지지부 143 : 이탈방지부
150 : 매체 가이드 부 160 : 푸쉬플레이트 조립부
161 : 가이드리브 162 : 경사면
200 : 푸쉬플레이트 210 : 몸체
211 : 샤프트 관통구 212 : 가이드롤러 결합부
213 : 탄성부재 걸림부 214 : 회전방지부재 걸림부
215 : 회전방지부재 결합부 215a : 회전방지부재 삽입구
220 : 샤프트 221 : 지지핀 관통구
222 : 회전방지부재 관통구 223 : 평면부
230 : 기어롤러 231 : 기어부
232 : 롤러부 233 : 결합돌출부
234 : 평면부 결합부 240 : 가이드롤러
250 : 탄성부재 251 : 코일부
252 : 탄성부재의 일측단 253 : 탄성부재의 타측단
260 : 지지핀 270 : 회전방지부재
271 : 고리부 272 : 직선부
273 : 굴곡부 274 : 연장부

Claims (15)

  1. 매체저장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일측에는 매체의 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저장된 매체를 지지하며 왕복 이동되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샤프트의 양측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감겨져 꼬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상기 매체의 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꼬여진 상태에서 풀림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푸쉬플레이트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가 꼬여진 상태에서 풀림이 방지되고,
    상기 푸쉬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를 고정지지하기 위해 일측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회전방지부재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방지부재 걸림부의 수직면에 지지되는 직선부와, 상기 회전방지부재 걸림부의 경사면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저장 카세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매체저장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일측에는 매체의 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저장된 매체를 지지하며 왕복 이동되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샤프트의 양측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감겨져 꼬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상기 매체의 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꼬여진 상태에서 풀림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부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감겨지고, 일측단은 상기 샤프트에 고정지지되며, 타측단은 상기 푸쉬플레이트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단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지지핀이 결합되고, 상기 푸쉬플레이트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단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저장 카세트.
  6. 삭제
  7. 매체저장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일측에는 매체의 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저장된 매체를 지지하며 왕복 이동되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샤프트의 양측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감겨져 꼬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상기 매체의 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꼬여진 상태에서 풀림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의 양측부에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기어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기어부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기어롤러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저장 카세트.
  8. 매체저장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일측에는 매체의 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저장된 매체를 지지하며 왕복 이동되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샤프트의 양측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감겨져 꼬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상기 매체의 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꼬여진 상태에서 풀림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의 양측부에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기어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기어부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롤러에는 상기 기어부의 외측으로 롤러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롤러부를 지지하기 위한 평면형의 롤러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저장 카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상기 기어롤러의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롤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저장 카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기어롤러의 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롤러의 상측을 가로막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저장 카세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기어롤러의 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롤러가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여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에 조립하기 위한 푸쉬플레이트 조립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저장 카세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플레이트 조립부에는, 상기 기어롤러의 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롤러가 설정된 위치에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며 양측으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저장 카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플레이트 조립부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 사이에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본체의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저장 카세트.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플레이트 조립부에서 푸쉬플레이트가 본체에 조립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설정된 회전수 만큼 꼬여진 후에 상기 회전방지부재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저장 카세트.
  15. 제1항, 제5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회전방지부재 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저장 카세트.
KR1020160154279A 2016-11-18 2016-11-18 매체 저장 카세트 KR102580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279A KR102580006B1 (ko) 2016-11-18 2016-11-18 매체 저장 카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279A KR102580006B1 (ko) 2016-11-18 2016-11-18 매체 저장 카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469A KR20180056469A (ko) 2018-05-29
KR102580006B1 true KR102580006B1 (ko) 2023-09-19

Family

ID=6245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279A KR102580006B1 (ko) 2016-11-18 2016-11-18 매체 저장 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0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130B1 (ko) 2006-06-30 2007-07-0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분리가능한 푸쉬플레이트모듈을 갖는 리사이클박스
JP2013505183A (ja) * 2009-09-22 2013-02-14 エムイーアイ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文書格納アセンブリ
CN103810783A (zh) 2012-11-14 2014-05-21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容纳薄片类介质的收纳箱
EP2738746A1 (de) 2012-11-29 2014-06-04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Geldkassette mit einer eine Drehfeder umfassenden Gegendruckeinhe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130B1 (ko) 2006-06-30 2007-07-0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분리가능한 푸쉬플레이트모듈을 갖는 리사이클박스
JP2013505183A (ja) * 2009-09-22 2013-02-14 エムイーアイ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文書格納アセンブリ
CN103810783A (zh) 2012-11-14 2014-05-21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容纳薄片类介质的收纳箱
EP2738746A1 (de) 2012-11-29 2014-06-04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Geldkassette mit einer eine Drehfeder umfassenden Gegendruck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469A (ko)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60094B (zh) 现金自动交易装置
US9611117B2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KR102165828B1 (ko)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KR102580006B1 (ko) 매체 저장 카세트
DE2907722B2 (de) Allseitig geschlossenes Papierblattmagazin zum herausnehmbaren Einsetzen in eine Papierblatt-Ausgabevorrichtung
JP5355427B2 (ja) 自動取引装置のシャッタ構造
JP4641776B2 (ja) シャッタ機構及び自動取引装置
JP6606829B2 (ja) 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引装置
KR10210686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
KR101181587B1 (ko) 보충회수박스 잠금 장치
KR101001689B1 (ko) 지폐카세트 전원단속장치 및 방법
RU2707330C1 (ru) Затвор кассеты
JP5464296B2 (ja) 自動取引装置
JP6070476B2 (ja) 回動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6768577B2 (ja) 装置
KR10259917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접객부
KR101638128B1 (ko) 매체보관함
KR200394657Y1 (ko) 현금 자동 지급 예입기용 지폐 보관장치
KR200393046Y1 (ko) 지폐카세트 잠금장치
KR20220063788A (ko) 잠금 기능을 구비한 입출금부
JP6225409B2 (ja) 自動取引装置
KR20060125412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KR102621309B1 (ko) 매체 저장 카세트
KR10258000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JP6478442B2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