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412A -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5412A
KR20060125412A KR1020050047443A KR20050047443A KR20060125412A KR 20060125412 A KR20060125412 A KR 20060125412A KR 1020050047443 A KR1020050047443 A KR 1020050047443A KR 20050047443 A KR20050047443 A KR 20050047443A KR 20060125412 A KR20060125412 A KR 20060125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guide
link
interlocking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350B1 (ko
Inventor
김성규
홍순욱
박세훈
연제성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5004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350B1/ko
Publication of KR2006012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캐비넷(20)의 내외부로 매체입출모듈(26)이 출입되는 매체자동지급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20)의 일측벽에 장착되고 가이드슬롯(33)을 구비하는 가이드링크(30)와, 상기 가이드링크(30)에 회전핀(3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체입출모듈(26)의 입출에 따라서 회전되는 연동링크(35)와, 상기 연동링크(35)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넷(20)에 개구된 관통부(24)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셔터판(44)과, 상기 셔터판(44)이 상기 캐비넷(20)의 관통부(24)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동링크(35)가 동작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에 의하면 매체자동지급기의 유지보수중에 캐비넷의 관통부를 차폐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셔터장치의 작동에 전원이 필요없어 매체자동지급기의 유지보수중에도 그대로 작동이 가능하며, 기존의 매체자동지급기에 별도의 설계변경없이 그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적게 되는 이점도 있다.
매체자동지급기, 셔터, 안전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Security shutter for media dispenser}
도 1은 일반적인 매체자동지급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셔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셔터판이 상대적으로 상부로 이동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셔터판이 상대적으로 하부로 이동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c는 본 발명 실시예의 배면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매체입출모듈이 캐비넷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매체입출모듈이 캐비넷의 내부로 들어가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캐비넷 22: 전면베젤
24: 관통부 26: 매체입출모듈
28: 입출부 29: 연동브라켓
30: 가이드링크 31: 장착부
33: 가이드슬롯 35: 연동링크
35': 회전핀 37: 연동아암
38: 구동아암 40: 연동롤러
42: 가이드핀 44: 셔터판
46: 탄성부재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캐비넷에 개구되어 있는 관통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체자동지급기는 매체(media)(예를 들면 지폐, 수표, 티켓, 문서 등)를 고객에게 지급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지폐나 수표 등을 지급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매체자동지급기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의 외관을 캐비넷(1)이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1)의 전면으로는 매체입출모듈(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통장리더유니트(3), 카드리더유니트(5) 등이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통장리더유니트(3)와 카드리더유니트(5)는 상기 캐비넷(1)에 형성된 관통부(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통장리더유니트(3)는 고 객이 삽입한 통장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고, 상기 카드리더유니트(5)는 고객이 삽입한 카드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캐비넷(1)에는 또한 수표를 입출금할 수 있는 수표입출부(7)와 지폐를 입출금할 수 있는 지폐입출부(9)가 구비된다. 상기 수표입출부(7)와 지폐입출부(9) 역시 상기 캐비넷(1)에 형성된 관통부(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캐비넷(1)의 외부 일측에는 고객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1)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11)를 통해서는 고객이 요청하는 매체의 매수 등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매체자동지급기를 유지보수하거나 매체를 새로 채워 넣기 위해서는 상기 캐비넷(1) 내부의 매체입출모듈을 상기 캐비넷(1)의 외부로 인출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캐비넷(1)의 후면을 통해 매체입출모듈을 캐비넷(1)의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상기 매체입출모듈을 상기 캐비넷(1)의 후면을 통해 캐비넷(1)의 외부로 꺼내면, 상기 매체입출모듈과 함께 이에 설치된 통장리더유니트(3), 카드리더유니트(5), 수표입출부(7), 지폐입출부(9)가 함께 캐비넷(1)의 외부로 인출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넷(1)의 관통부(2,6)는 상기 요소들이 빠져나가 개구되어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개구되어 있는 관통부(2,6)에 고객이 부주의하여 통장이나 카드 등을 넣기 위해 손을 집어 넣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체입출모듈을 캐비넷(1)에 다시 집어넣게 되면, 고객이 손을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체자동지급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에 형성되는 관통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안전셔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체자동지급기용 캐비넷의 안전셔터장치가 전원없이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매체자동지급기에 부가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안전셔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캐비넷의 내외부로 매체입출모듈이 출입되는 매체자동지급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일측벽에 장착되고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는 가이드링크와, 상기 가이드링크에 회전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체입출모듈의 입출에 따라서 회전되는 연동링크와, 상기 연동링크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넷에 개구된 관통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셔터판과, 상기 셔터판이 상기 캐비넷의 관통부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동링크가 동작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동링크는 그 일단부에 상기 매체입출모듈측과 연동되는 연동롤러가 구비되는 연동아암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타단부에는 상기 셔터판이 구비 되는 구동아암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안내되어 연동링크의 회전궤적을 안내하는 가이드핀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핀은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슬롯은 상기 가이드핀이 회전핀을 중심으로 가지는 곡률반경과 같은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부가 연동아암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링크에 연결된 코일스프링이나 토션스프링중의 하나이다.
상기 매체입출모듈에는 상기 연동링크의 연동롤러를 안내하는 연동브라켓이 구비되는데, 상기 연동브라켓의 선단에는 매체입출모듈의 삽입 초기에 연동롤러를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에 의하면 매체자동지급기의 유지보수중에 캐비넷의 관통부를 차폐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셔터장치의 작동에 전원이 필요없어 매체자동지급기의 유지보수중에도 그대로 작동이 가능하며, 기존의 매체자동지급기에 별도의 설계변경없이 그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적게 되는 이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셔터장치가 채용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a에서 도 3c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측면도 및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캐비넷(20)은 매체자동지급기의 외관을 구 성한다. 상기 캐비넷(20)의 전면 일측에는 전면베젤(22)이 설치되고, 상기 전면베젤(22)에는 캐비넷(20)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부(24)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24)를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매체입출모듈(26)의 일측이 캐비넷(2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캐비넷(20)의 내부에는 매체입출모듈(26)이 구비된다. 상기 매체입출모듈(26)은 상기 캐비넷(20)의 배면에 구비되는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개방한 상태로 캐비넷(20)에서 입출될 수 있다. 상기 매체입출모듈(26)은 매체를 보관하였다가, 고객이 원하는 매수의 매체를 이송시켜 지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매체입출모듈(26)에는 매체를 보관하고, 이송시키고, 고객에게 전달하거나 고객으로부터 매체를 받기 위한 구성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유니트들이 설치될 수 있다. 도면부호 28은 예를 들면, 수표입출부, 지폐입출부, 통장리더유니트나 카드리더유니트 등과 같은 고객사용부(28)이다. 상기 고객사용부(28)는 상기 관통부(2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매체입출모듈(26)의 일측에는 연동브라켓(29)이 설치된다. 상기 연동브라켓(29)은 캐비넷(20)의 내외부로 매체입출모듈(26)이 입출될 때,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롤러(4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동브라켓(29)의 선단에는 가이드경사면(29')이 선단 하부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연동브라켓(29)은 상기 매체입출모듈(26)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될 수 있다.
이제 상기 관통부(24)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안전셔터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캐비넷(20)의 일측 내벽에는 가이드링크(30)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링 크(30)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단부에 장착부(31)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31)는 상기 캐비넷(20)의 내면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링크(30)에는 상기 장착부(31)가, 도 3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링크(30)에는 가이드슬롯(33)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슬롯(33)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링크(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링크(30)에는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연동링크(35)가 설치된다. 상기 연동링크(35)는 상기 회전축(35')을 기준으로 일측은 상기 연동브라켓(29)과 연동되는 연동아암(37)이 구비되고, 상기 연동아암(37)의 반대쪽에는 구동아암(38)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아암(37)과 구동아암(38)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연장방향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된다. 상기 연동아암(37)과 구동아암(38)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가이드링크(30)가 설치되는 위치 및 상기 관통부(24)의 위치 등의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연동아암(37)의 끝부분에는 연동롤러(40)가 설치된다. 상기 연동롤러(40)는 상기 연동아암(37)의 끝부분에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동롤러(40)는 상기 연동브라켓(29)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구동아암(38)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이드핀(42)이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핀(42)은 상기 가이드슬롯(33)에 안착되어, 상기 연동링크(35)의 회전궤적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핀(42)은 본 실시예에서 2개가 구비되어 있는데,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2개 이상이 구비되면 된다. 상기 가이드핀(42) 을 상기 구동아암(38)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구동아암(38)의 일측은 그 일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부분을 가진다.
상기 구동아암(38)의 선단에는 셔터판(44)이 설치된다. 상기 셔터판(44)은 상기 전면베젤(22)의 관통부(24)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부분이다. 상기 셔터판(44)은 상기 관통부(24)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셔터판(44)의 전면에는 사용자에게 주의를 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점검중입니다.'라는 문구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동링크(35)는 상기 가이드링크(30)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부재(4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46)는 일단부가 상기 연동링크(35)에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링크(30)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46)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탄성부재(46)는 코일스프링 외에도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어 상기 연동링크(3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가지도록 하기만 하면 된다. 상기 연동링크(35)의 회전방향은 상기 셔터판(44)이 상기 관통부(24)를 차폐하는 위치에 있도록 되어야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안전셔터장치는 매체입출모듈(26)이 캐비넷(20)의 내부에 들어 있을 때에는, 상기 셔터판(44)이 매체입출모듈(26)과 캐비넷(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판(44)은 상기 캐비넷(20)의 상대적으로 하부쪽에 위치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매체입출모듈(26)에 설치된 연동브라켓(29)은 상기 연동롤러(40)를 지지하여 연동링크(35)가 상기 탄성부재(46)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46)는 탄성변형된 상태로 있고, 상기 가이드핀(42)은 상기 가이드슬롯(33)의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매체입출모듈(26)을 캐비넷(20)의 외부로 인출하면, 상기 연동브라켓(29)이 더 이상 상기 연동롤러(40)를 지지하지 않으므로, 상기 탄성부재(4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동링크(35)는 상기 회전핀(35')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연동링크(35)의 회전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이다. 도 4에는 매체입출모듈(26)이 캐비넷(2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매체입출모듈(26)이 상기 캐비넷(20)에서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면, 상기 고객사용부(28)도 함께 빠져나가 상기 관통부(24)가 개구된다. 하지만, 상기 탄성부재(4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동링크(35)가 회전하면서, 상기 셔터판(44)이 상기 전면베젤(22)의 관통부(24)를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24)를 통해 외부에서 고객이 손을 집어 넣거나, 이물질이 내부로 들어오게 되는 것이 차단된다.
다음으로, 상기 매체입출모듈(26)을 캐비넷(20)의 내부로 삽입하여 넣는 것을 설명한다. 도 4의 상태에서 상기 매체입출모듈(26)을 상기 캐비넷(20)의 내부로 어느 정도 밀어넣게 되면, 상기 연동브라켓(29)의 가이드경사면(29')에 상기 연동롤러(40)가 안내되기 시작한다. 상기 가이드경사면(29')을 따라 연동롤러(40)가 안내되면서, 상기 연동링크(35)가 상기 탄성부재(4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핀 (3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동브라켓(29)의 가이드경사면(29')에 연동롤러(40)가 안내되는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매체입출모듈(26)이 캐비넷(2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되어, 다시 상기 관통부(24)에는 고객사용부(28)가 위치되고, 상기 셔터판(44)은 상기 가이드링크(30)의 하부쪽에서 매체입출모듈(26)과 캐비넷(20)의 사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46)는 반드시 코일스프링일 필요는 없으며, 상기 셔터판(44)이 상기 관통부(24)를 차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연동링크(35)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즉, 상기 연동링크(35)의 회전핀(35')에 설치되어 일단부가 연동링크(35)에 타단부가 가이드링크(30)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매체입출모듈의 유지보수중에 캐비넷의 관통부를 셔터판이 차폐하므로, 개구되어 있는 관통부의 내부로 고객의 부주의로 손을 집어넣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안전셔터장치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되므로 유지보수 시에 캐비넷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매체자동지급기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셔터장치는 캐비넷의 내면과 매체입출모듈의 외부 일측에 걸쳐 설치되므로, 기존의 매체자동지급기에도 설계변경없이 그대로 장착할 수 있어 기존의 매체자동지급기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캐비넷의 내외부로 매체입출모듈이 출입되는 매체자동지급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일측벽에 장착되고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는 가이드링크와,
    상기 가이드링크에 회전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체입출모듈의 입출에 따라서 회전되는 연동링크와,
    상기 연동링크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넷에 개구된 관통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셔터판과,
    상기 셔터판이 상기 캐비넷의 관통부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동링크가 동작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링크는 그 일단부에 상기 매체입출모듈측과 연동되는 연동롤러가 구비되는 연동아암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타단부에는 상기 셔터판이 구비되는 구동아암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안내되어 연동링크의 회전궤적을 안내하는 가이드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은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슬롯은 상기 가이드핀이 회전핀을 중심으로 가지는 곡률반경과 같은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부가 연동아암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링크에 연결된 코일스프링이나 토션스프링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입출모듈에는 상기 연동링크의 연동롤러를 안내하는 연동브라켓이 구비되는데, 상기 연동브라켓의 선단에는 매체입출모듈의 삽입 초기에 연동롤러를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KR1020050047443A 2005-06-02 2005-06-02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KR101117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443A KR101117350B1 (ko) 2005-06-02 2005-06-02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443A KR101117350B1 (ko) 2005-06-02 2005-06-02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412A true KR20060125412A (ko) 2006-12-06
KR101117350B1 KR101117350B1 (ko) 2012-03-07

Family

ID=3772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443A KR101117350B1 (ko) 2005-06-02 2005-06-02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537B1 (ko) 2011-11-08 2013-04-08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입출금기
KR101557580B1 (ko) 2014-04-04 2015-10-1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안전셔터장치 및 금융기기
KR101710784B1 (ko) * 2015-04-29 2017-02-2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셔터 장치 및 금융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114Y1 (ko) * 2004-12-28 2005-03-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고객 보호용 셔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350B1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7691B1 (e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with mechanism for separating notes
ES2296290T3 (es) Cajero automatico que presenta bandejas de mitad de ancho.
JP4832920B2 (ja) シャッタ開閉装置
JP3844550B2 (ja) Atmのユーザカード受入装置
RU261386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заслонкой и устройство выполнения транзакций с носителями
KR20110051242A (ko) 현금 자동 거래 장치
KR101117350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KR20060112461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장치
JP5268687B2 (ja) 自動取引装置
US6585260B1 (en) Bill stacker with an observation window
EP0359582A2 (en) Door operating mechanism for a business machine
JP4849394B2 (ja) 紙葉類取扱い装置、及び金銭取扱い装置
JP4481044B2 (ja) 球払出ユニット
KR100678679B1 (ko) 자동화기기의 셔터장치
KR100951487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09452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JPH11240655A (ja) シート送り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KR100877013B1 (ko) 금융자동화기기용 셔터 장치
JP6768577B2 (ja) 装置
JP6888361B2 (ja) 装置
PL198214B1 (pl) Urządzenie do automatycznego przeprowadzania transakcji
KR200389005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장치
JP4170729B2 (ja) 遊技機
JP2600133Y2 (ja) 紙幣の収納装置
KR20060125414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