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157B1 -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157B1
KR102579157B1 KR1020230005862A KR20230005862A KR102579157B1 KR 102579157 B1 KR102579157 B1 KR 102579157B1 KR 1020230005862 A KR1020230005862 A KR 1020230005862A KR 20230005862 A KR20230005862 A KR 20230005862A KR 102579157 B1 KR102579157 B1 KR 102579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ed
bending
rotation
plate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성택
Original Assignee
우선금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선금속(주) filed Critical 우선금속(주)
Priority to KR102023000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21D19/04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 B21D19/043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for flanging edges of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4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7Devices for handling sheet or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0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size and required size of the workpiece acted upon, the measuring or gauging be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metal, e.g. skate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로서, 가공대상부재를 일 지점에 고정시키고 상기 일 지점을 중심축으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프레스회전 모듈; 및 회전하는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일단을 연속적으로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되는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테두리 영역을 소정의 각도로 벤딩시키도록 구성되는 벤딩커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회전 모듈은, 상기 일 지점의 상측에서 상기 가공대상부재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상부 가압 플레이트; 상기 상부 가압 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대상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주변 영역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상기 가공대상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CIRCULAR PLATE FOR SIGNS}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지판 제작을 위해서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부재를 목적형상에 따라 절삭하여 제작하게 된다. 특히, 표지판 제작을 위한 후가공 진행 시 플레이트 부재의 일면에 표지판 문구 등을 프린트하는 것 이외에도 절삭이 완료된 플레이트 부재의 테두리 영역을 소정의 각도로 굽힘으로써 표지판 운반, 설치 등의 과정에서 인체의 부상 등 위험성을 낮추어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절삭용 공구 또는 장치 등을 이용하여 플레이트 부재를 목적형상에 따라 절삭하고, 절삭이 완료된 플레이트 부재를 별도의 벤딩 머신 등을 이용하여 플레이트 부재의 테두리 영역을 소정의 각도로 굽히는 작업이 순차로 진행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절삭용 장치 및 벤딩 머신 등으로는 절삭 작업과 벤딩 작업이 각각 별도로 이루어져야만 하므로, 작업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각 작업 시 작업자의 부상의 위험 또한 존재한다.
또한, 다양한 크기로 원형의 목적형상으로 절삭 시 사용되는 플레이트 부재, 사용되는 절삭용 장치의 구성 배치 등을 고려하여 절삭용 장치의 세부적인 각 구성을 재배치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형 형상의 표지판 제작을 위해 플레이트 부재를 회전시키는 경우 플레이트 부재의 회전을 구현하는 장치와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접지력이 약해 작업 효율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접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장치와 플레이트 부재를 과도하게 밀착시킴으로 인해 장치 또는 플레이트 부재가 손상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플레이트 부재 즉, 가공대상부재를 원형 형상으로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되는 가공대상부재의 테두리 영역을 용이하게 소정의 각도로 벤딩시킬 수 있고, 다양한 가공대상부재의 두께, 목적 형상의 치수 등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커팅 및 벤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공대상부재의 회전 시 접지력을 극대화시키면서도 가공대상부재의 손상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는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에 대한 필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47550호(2022.09.21)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커팅장치 또는 벤딩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한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공대상부재를 원형 형상으로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되는 가공대상부재의 테두리 영역을 용이하게 소정의 각도로 벤딩시킬 수 있는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가공대상부재의 두께, 목적 형상의 치수 등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커팅 및 벤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가공대상부재의 회전 시 접지력을 극대화시키면서도 가공대상부재의 손상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는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는, 가공대상부재를 일 지점에 고정시키고 상기 일 지점을 중심축으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프레스회전 모듈; 및 회전하는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일단을 연속적으로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되는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테두리 영역을 소정의 각도로 벤딩시키도록 구성되는 벤딩커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회전 모듈은, 상기 일 지점의 상측에서 상기 가공대상부재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상부 가압 플레이트; 상기 상부 가압 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대상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주변 영역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상기 가공대상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벤딩커팅 모듈은, 지면과 평행한 상기 상부 가압 플레이트의 가압면과 12도 내지 14도 범위 내의 각도 차이를 갖도록 일측으로 경사진 상부 사이드 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사이드 절곡면의 모서리 영역에 상부 사이드 커팅날이 형성되는 상부 회전절곡 유닛; 및 상기 상부 회전절곡 유닛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사이드 절곡면과 평행하게 경사진 하부 사이드 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사이드 절곡면의 측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수직하게 연장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상단 모서리 영역에 하부 사이드 커팅날이 형성되는 하부 회전절곡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대상부재가 상기 프레스회전 모듈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외주연 일부는, 상기 상부 사이드 절곡면과 상기 하부 사이드 절곡면 사이의 간격으로 진입되어 상기 상부 사이드 커팅날과 상기 하부 사이드 커팅날이 맞물리며 연속적으로 커팅되고, 상기 상부 사이드 절곡면과 상기 하부 사이드 절곡면에 의해 상하 가압되어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평행면에 대해 12도 내지 14도 범위 내의 각도로 벤딩되고, 상기 가공대상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팅된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단턱에 의해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두께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두께측정센서; 및 상기 프레스회전 모듈 및 상기 벤딩커팅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회전절곡 유닛 및 상기 하부 회전절곡 유닛은, 측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목적형상의 반경 치수를 입력받아 입력된 상기 반경 치수를 기반으로 상기 상부 회전절곡 유닛 및 상기 하부 회전절곡 유닛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사이드 커팅날 및 상기 하부 사이드 커팅날까지의 간격을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목적형상의 반경 치수에 대응시키고, 상기 두께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두께를 기반으로 상기 상부 회전절곡 유닛 및 상기 하부 회전절곡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사이드 절곡면과 상기 하부 사이드 절곡면 사이의 간격을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두께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가공대상부재와 접촉하는 방향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대상부재와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마찰부재; 상기 고무마찰부재의 내측 공간에 유체를 충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입관로; 및 상기 고무마찰부재의 내측 공간에 충전된 상기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출관로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프레스회전 모듈은, 상기 유입관로를 통해 상기 고무마찰부재의 내측 공간에 상기 유체를 충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가공대상부재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고무마찰부재의 내측 공간에 충전된 상기 유체를 상기 배출관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고무마찰부재 일면의 면적 전체를 상기 가공대상부재와 밀착시키고, 상기 벤딩커팅 모듈에 의한 벤딩 및 커팅 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유입관로를 통해 상기 고무마찰부재의 내측 공간에 상기 유체를 충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상부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가공대상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고무마찰부재와 상기 가공대상부재 간 접촉 면적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가공대상부재를 원형 형상으로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되는 가공대상부재의 테두리 영역을 용이하게 소정의 각도로 벤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양한 가공대상부재의 두께, 목적 형상의 치수 등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커팅 및 벤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가공대상부재의 회전 시 접지력을 극대화시키면서도 가공대상부재의 손상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커팅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가 가공대상부재를 커팅 및 벤딩시키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에 의해 가공대상부재가 커팅 및 벤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벤딩커팅 모듈의 버핑 작업 수행을 위한 세부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압 플레이트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단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압 플레이트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에 두께측정센서가 구비되는 일 예를 나타낸 절단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회전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10)는, 가공대상부재(1)를 원형 형상으로 커팅함과 동시에 원형 형상으로 커팅되는 가공대상부재(1)의 테두리 영역을 소정의 각도로 벤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10)는, 프레스회전 모듈(100), 벤딩커팅 모듈(200), 지지프레임(300), 제어 모듈(500), 구동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가공대상부재(1)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회전 모듈(100)은, 가공대상부재(1)를 일 지점에 고정시키고 상기 일 지점을 중심축으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회전 모듈(100)은, 일 지점의 상측에서 가공대상부재(1)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의 하측에 구비되어 가공대상부재(1)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의 주변 영역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가공대상부재(1)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롤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와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는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회전 모듈(100)은,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로 하여금 가공대상부재(1)를 가압시키고, 또한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제자리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압회전수단(1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는, 적어도 일부 영역 바람직하게는 중앙 영역이 가압회전수단(140)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회전수단(140)은,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상이 내삽되어 체결될 수 있고, 체결된 파이프 형상의 일단이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하거나 수직방향으로 승강함으로써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제자리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는 일 지점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면으로 가공대상부재(1)를 하측방향에서 지지하고 지면에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와 함께 판 형상의 가공대상부재(1)를 일 지점에 클랭핑하여 제자리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는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거리만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 지점에 고정되는 가공대상부재(1)의 고정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지지롤러(130)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의 승강 높이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함께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롤러(1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로 구비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의 주변 영역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롤러(130)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와 함께 가공대상부재(1)에 대한 지지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고, 회전하는 가공대상부재(1)에 대응하여 맞물려 회전하면서 가공대상부재(1)의 회전에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회전 모듈(100)은,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 및 지지롤러(130)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 고정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고정 유닛(150)은,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가 설치되는 평면 프레임과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 및 지지롤러(130)가 설치되는 평면 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일 예시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는 프레임으로 구현됨으로써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와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에 대해 설치 및 승강 공간을 확보시킴과 동시에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와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에 의해 고정(또는 클램핑)되는 가공대상부재(1)의 회전 공간을 확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10)는, 프레스회전 모듈(100) 및 벤딩커팅 모듈(200)을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300), 지지프레임(300)의 내측 또는 지지프레임(300)과 인접한 공간에 배치되어 프레스회전 모듈(100) 및/또는 벤딩커팅 모듈(200)에 구동을 위한 동력을 생성 및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커팅 모듈(200)은 회전하는 가공대상부재(1)의 일단을 연속적으로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되는 가공대상부재(1)의 테두리 영역을 소정의 각도로 벤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커팅 모듈(200)은,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 및 하부 회전절곡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커팅 모듈(200)은, 수직방향으로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2개의 회전모터(230), 2개의 회전모터(230) 중 상측에 배치되는 제1 회전모터(230-a)의 회전력을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상부 연결샤프트 유닛(240) 및 제1 회전모터(230-a)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회전모터(230-b)의 회전력을 하부 회전절곡 유닛(220)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연결샤프트 유닛(250) 및 2개의 회전모터(2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모터 수용 유닛(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커팅 모듈(2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은, 지면과 평행한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의 가압면과 소정 범위 내의 각도 차이를 갖도록 일측으로 경사진 상부 사이드 절곡면(2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부 사이드 절곡면(211)의 모서리 영역에 상부 사이드 커팅날(212)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은,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의 가압면과 12도 내지 14도 범위 내의 각도 차이를 갖도록 일측으로 경사진 상부 사이드 절곡면(211)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의 금속 플레이트로 구현될 수 있고, 외주면이 한 차례 굴곡지게 형성되어 외주면의 일부가 축 방향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의 나머지 일부가 축 방향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원형의 금속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은 그 축 방향이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은, 외주면의 일부가 지면과 평행한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의 가압면과 12도 내지 14도 범위 내의 각도 차이를 갖도록 축 방향 일측으로 경사진 상부 사이드 절곡면(2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회전절곡 유닛(220)은,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부 사이드 절곡면(211)과 평행하게 경사진 하부 사이드 절곡면(221)이 형성되고, 하부 사이드 절곡면(221)의 측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수직하게 연장되는 단턱(223)이 형성되고, 단턱(223)의 상단 모서리 영역에 하부 사이드 커팅날(222)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회전절곡 유닛(22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의 2개의 금속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회전절곡 유닛(220)은, 상호 결합된 2개의 금속 플레이트 중 프레스회전 모듈(100) 측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 플레이트의 외주면이 상부 사이드 절곡면(211)과 평행한 방향으로 경사진 하부 사이드 절곡면(221)으로 형성됨으로써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의 가압면과 12도 내지 14도 범위 내의 각도 차이를 가질 수 있고, 상호 결합된 2개의 금속 플레이트 중 회전모터(230) 측에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금속 플레이트가 하부 사이드 절곡면(221)이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보다 큰 반경을 갖는 원형으로 구현됨으로써 하부 사이드 절곡면(221)의 측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수직하게 연장되는 단턱(2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회전절곡 유닛(220)에 형성되는 단턱(223)의 모서리 상단 영역에 하부 사이드 커팅날(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사이드 커팅날(212) 및 하부 사이드 커팅날(222)은 지면에 대해 상호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커팅 모듈은,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의 상부 사이드 커팅날(212)과 하부 회전절곡 유닛(220)의 하부 사이드 커팅날(222)이 상호 포개진 상태로 맞물림으로써 상부 사이드 커팅날(212)과 하부 사이드 커팅날(222) 사이로 진입하는 가공대상부재(1)를 절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10)가 가공대상부재(1)를 커팅 및 벤딩시키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커팅 모듈(200)은, 회전하며 상부 사이드 절곡면(211)과 하부 사이드 절곡면(221) 사이의 간격으로 진입하는 가공대상부재(1)의 일단을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이 회전하며 상부 사이드 커팅날(212)과 하부 사이드 커팅날(222)이 맞물리며 연속적으로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되는 가공대상부재(1)의 테두리 영역을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사이드 절곡면(211)과 하부 사이드 절곡면(221)이 상하측에서 경사지게 가압하여 가공대상부재(1)의 평행면과 소정 범위 내의 각도(θ) 차이(바람직하게는, 12도 내지 14도 범위 내의 각도 차이)로 벤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커팅 모듈(200)은, 상부 사이드 절곡면(211) 및 하부 사이드 절곡면(221)이 회전하는 가공대상부재(1)와 맞물림으로 인해 가공대상부재(1)가 일측 방향(즉, 회전모터(230)가 구비되는 외측 방향)으로 끌려들어가는 것을 하부 회전절곡 유닛(220)에 형성된 단턱(223)이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가공대상부재(1)가 상기 프레스회전 모듈(10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가공대상부재(1)의 외주연 일부는, 상부 사이드 절곡면(211)과 하부 사이드 절곡면(221) 사이의 간격으로 진입되어 상부 사이드 커팅날(212)과 하부 사이드 커팅날(222)이 맞물리며 연속적으로 커팅될 수 있고, 상부 사이드 절곡면(211)과 하부 사이드 절곡면(221)에 의해 상하 가압되어 가공대상부재(1)의 평행면에 대해 12도 내지 14도 범위 내의 각도로 벤딩될 수 있다.
또한, 가공대상부재(1)가 반경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팅된 가공대상부재(1)의 외주면은 단턱(223)에 의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커팅 모듈(200)은 회전하는 가공대상부재(1)를 커팅하면서도 형성된 단턱(223)을 통해 가공대상부재(1)가 일측 방향으로 끌려들어가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가공대상부재(1)를 원 형상으로 정확하게 커팅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10)에 의해 가공대상부재(1)가 커팅 및 벤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의 (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10)에 의해 커팅 및 벤딩된 가공대상부재(1)의 절단도이고, 도 4의 (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10)에 의해 커팅 및 벤딩된 가공대상부재(1)의 평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10)는, 가공대상부재(1)를 원형 형상으로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된 가공대상부재(1)의 테두리 영역을 경사지게 소정의 각도(θ) (바람직하게는, 12도 내지 14도)로 벤딩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벤딩커팅 모듈(200)의 버핑 작업 수행을 위한 세부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은, 형성된 상부 사이드 절곡면(211)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버핑면(270)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하부 회전절곡 유닛(220)은, 형성된 하부 사이드 절곡면(221)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버핑면(2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하부 회전절곡 유닛(220)은, 형성된 단턱(223)의 일면 즉, 가공대상부재(1)에 대한 차단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버핑면(27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부 사이드 절곡면(211), 하부 사이드 절곡면(221) 및 단턱(223)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형성되는 버핑면(270)은 사포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팅 및 벤딩되는 가공대상부재(1)의 단부를 회전하는 버핑면(270)을 통해 폴리싱 또는 연마함으로써 버핑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단도이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는, 금속 재료(116)와 고무 재료(117)가 교번하여 적층되는 층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는, 금속 재료와 고무 재료가 교번하여 적층되는 층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는, 판형의 금속 재료와 고무 재료를 교대로 적층하고 프레스로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고온으로 열처리함으로써 각 금속 재료와 고무 재료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의 화학적 가교반응을 일으켜 금속 재료와 고무 재료 간 접착을 발생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는, 판형의 금속 재료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형성된 통공 사이로 고무 재료가 침투하여 금속 재료의 상하측에 접착되는 고무 재료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층상형 구조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는 가공대상부재(1)와 접촉하는 방향의 일면에 구비되어 가공대상부재(1)와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마찰부재(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에 두께측정센서(20)가 구비되는 일 예를 나타낸 절단도이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10)는, 가공대상부재(1)의 두께(D)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두께측정센서(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두께측정센서(20)는,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수용공간(115)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는, 적어도 일부 영역(바람직하게는, 중앙 영역)이 관통되어 소정의 수용공간(115)을 형성할 수 있고,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두께측정센서(20)가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수용공간(115)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두께측정센서(20)는, 비접촉 방식으로 금속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초음파를 금속 내부로 전파하여 반사된 초음파의 왕복시간을 계산함으로써 두께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10)는, 프레스회전 모듈(100) 및 벤딩커팅 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500)은,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 및 하부 회전절곡 유닛(220)은, 측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 및 하부 회전절곡 유닛(220)은, 별도의 승강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이동(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각각 연결된 상부 연결샤프트 유닛(240) 및 하부 연결샤프트 유닛(250)의 돌출 길이에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500)은, 가공대상부재(1)의 목적형상의 반경 치수를 입력받아 입력된 반경 치수를 기반으로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 및 하부 회전절곡 유닛(220)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의 중심점으로부터 상부 사이드 커팅날(212) 및 하부 사이드 커팅날(222)까지의 간격을 가공대상부재(1)의 목적형상의 반경 치수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500)은, 두께측정센서(20)에 의해 측정된 가공대상부재(1)의 두께를 기반으로 상부 회전절곡 유닛(210) 및 하부 회전절곡 유닛(22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부 사이드 절곡면(211)과 하부 사이드 절곡면(221) 사이의 간격을 가공대상부재(1)의 두께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가공대상부재(1)의 두께, 목적 형상의 치수 등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커팅 및 벤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회전 모듈(1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상태도이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는, 가공대상부재(1)와 접촉하는 방향의 일면에 구비되어 가공대상부재(1)와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마찰부재(111), 고무마찰부재(111)의 내측 공간(114)에 유체를 충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입관로(112) 및 고무마찰부재(111)의 내측 공간(114)에 충전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출관로(11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입관로(112) 및 배출관로(113)를 포함할 수 있고, 유입관로(112) 및 배출관로(113)는 소정의 유압밸브(미도시)와 각각 연결되어 유체를 고무마찰부재(111)의 내측 공간(114)에 충전시키거나 또는 충전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고무마찰부재(111)는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고,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또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유입관로(112)를 통해 유체가 진입하는 경우 유체에 의한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굴곡됨으로써 내측 공간(114)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회전 모듈(100)은, 유입관로(112)를 통해 고무마찰부재(111)의 내측 공간(114)에 유체를 충전시킨 상태에서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를 가공대상부재(1)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동시킴으로써 고무마찰부재(111)의 내측 공간(114)에 충전된 유체를 배출관로(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고무마찰부재(111) 일면의 면적 전체를 가공대상부재(1)와 밀착시킬 수 있고, 벤딩커팅 모듈(200)에 의한 벤딩 및 커팅 작업이 완료된 후 유입관로(112)를 통해 고무마찰부재(111)의 내측 공간(114)에 유체를 충전시킴과 동시에 상부 가압 플레이트(110) 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를 가공대상부재(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동시킴으로써 고무마찰부재(111)와 가공대상부재(1) 간 접촉 면적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회전 모듈(100)에 의해 가공대상부재(1)의 회전 시 접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가공대상부재(1)의 손상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가공대상부재를 원형 형상으로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되는 가공대상부재의 테두리 영역을 용이하게 소정의 각도로 벤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양한 가공대상부재의 두께, 목적 형상의 치수 등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커팅 및 벤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가공대상부재의 회전 시 접지력을 극대화시키면서도 가공대상부재의 손상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가공대상부재
10: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
20: 두께측정센서
100: 프레스회전 모듈
110: 상부 가압 플레이트
111: 고무마찰부재
112: 유입관로
113: 배출관로
114: 내측 공간
115: 수용 공간
116: 금속 재료
117: 고무 재료
120: 하부 지지 플레이트
130: 지지롤러
140: 가압회전수단
150: 플레이트 고정 유닛
200: 벤딩커팅 모듈
210: 상부 회전절곡 유닛
211: 상부 사이드 절곡면
212: 상부 사이드 커팅날
220: 하부 회전절곡 유닛
221: 하부 사이드 절곡면
222: 하부 사이드 커팅날
223: 단턱
230: 회전모터
240: 상부 연결샤프트 유닛
250: 하부 연결샤프트 유닛
260: 회전모터 수용 유닛
270: 버핑면
300: 지지프레임
400: 구동 모듈
500: 제어 모듈

Claims (4)

  1.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에 있어서,
    가공대상부재를 일 지점에 고정시키고 상기 일 지점을 중심축으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프레스회전 모듈; 및
    회전하는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일단을 연속적으로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되는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테두리 영역을 소정의 각도로 벤딩시키도록 구성되는 벤딩커팅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회전 모듈은,
    상기 일 지점의 상측에서 상기 가공대상부재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상부 가압 플레이트;
    상기 상부 가압 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대상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주변 영역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상기 가공대상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커팅 모듈은,
    지면과 평행한 상기 상부 가압 플레이트의 가압면과 12도 내지 14도 범위 내의 각도 차이를 갖도록 일측으로 경사진 상부 사이드 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사이드 절곡면의 모서리 영역에 상부 사이드 커팅날이 형성되는 상부 회전절곡 유닛; 및
    상기 상부 회전절곡 유닛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사이드 절곡면과 평행하게 경사진 하부 사이드 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사이드 절곡면의 측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수직하게 연장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상단 모서리 영역에 하부 사이드 커팅날이 형성되는 하부 회전절곡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대상부재가 상기 프레스회전 모듈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외주연 일부는, 상기 상부 사이드 절곡면과 상기 하부 사이드 절곡면 사이의 간격으로 진입되어 상기 상부 사이드 커팅날과 상기 하부 사이드 커팅날이 맞물리며 연속적으로 커팅되고, 상기 상부 사이드 절곡면과 상기 하부 사이드 절곡면에 의해 상하 가압되어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평행면에 대해 12도 내지 14도 범위 내의 각도로 벤딩되고,
    상기 가공대상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팅된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단턱에 의해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두께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두께측정센서; 및
    상기 프레스회전 모듈 및 상기 벤딩커팅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회전절곡 유닛 및 상기 하부 회전절곡 유닛은,
    측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목적형상의 반경 치수를 입력받아 입력된 상기 반경 치수를 기반으로 상기 상부 회전절곡 유닛 및 상기 하부 회전절곡 유닛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사이드 커팅날 및 상기 하부 사이드 커팅날까지의 간격을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목적형상의 반경 치수에 대응시키고, 상기 두께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두께를 기반으로 상기 상부 회전절곡 유닛 및 상기 하부 회전절곡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사이드 절곡면과 상기 하부 사이드 절곡면 사이의 간격을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두께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
  4.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에 있어서,
    가공대상부재를 일 지점에 고정시키고 상기 일 지점을 중심축으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프레스회전 모듈; 및
    회전하는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일단을 연속적으로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되는 상기 가공대상부재의 테두리 영역을 소정의 각도로 벤딩시키도록 구성되는 벤딩커팅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회전 모듈은,
    상기 일 지점의 상측에서 상기 가공대상부재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상부 가압 플레이트;
    상기 상부 가압 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대상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주변 영역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상기 가공대상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가공대상부재와 접촉하는 방향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대상부재와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마찰부재;
    상기 고무마찰부재의 내측 공간에 유체를 충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입관로; 및
    상기 고무마찰부재의 내측 공간에 충전된 상기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출관로
    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프레스회전 모듈은,
    상기 유입관로를 통해 상기 고무마찰부재의 내측 공간에 상기 유체를 충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가공대상부재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고무마찰부재의 내측 공간에 충전된 상기 유체를 상기 배출관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고무마찰부재 일면의 면적 전체를 상기 가공대상부재와 밀착시키고, 상기 벤딩커팅 모듈에 의한 벤딩 및 커팅 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유입관로를 통해 상기 고무마찰부재의 내측 공간에 상기 유체를 충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상부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가공대상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고무마찰부재와 상기 가공대상부재 간 접촉 면적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
KR1020230005862A 2023-01-16 2023-01-16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 KR102579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862A KR102579157B1 (ko) 2023-01-16 2023-01-16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862A KR102579157B1 (ko) 2023-01-16 2023-01-16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157B1 true KR102579157B1 (ko) 2023-09-18

Family

ID=8819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5862A KR102579157B1 (ko) 2023-01-16 2023-01-16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1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357B1 (ko) * 1997-09-24 1999-12-01 이종구 비접촉식 피씨비 두께 연속측정장치
KR200269819Y1 (ko) * 2001-12-26 2002-03-23 미 용 이 금속판절단겸용 곡형장치
KR100496310B1 (ko) * 2002-07-19 2005-06-20 박태업 금속판재 가공장치
KR101611870B1 (ko) * 2015-10-23 2016-04-12 김명열 원반형 절곡부를 갖는 마감패널 성형장치
KR102447550B1 (ko) 2022-05-03 2022-09-26 주식회사 리건 알루미늄 플레이트의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357B1 (ko) * 1997-09-24 1999-12-01 이종구 비접촉식 피씨비 두께 연속측정장치
KR200269819Y1 (ko) * 2001-12-26 2002-03-23 미 용 이 금속판절단겸용 곡형장치
KR100496310B1 (ko) * 2002-07-19 2005-06-20 박태업 금속판재 가공장치
KR101611870B1 (ko) * 2015-10-23 2016-04-12 김명열 원반형 절곡부를 갖는 마감패널 성형장치
KR102447550B1 (ko) 2022-05-03 2022-09-26 주식회사 리건 알루미늄 플레이트의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9157B1 (ko) 표지판용 원형 플레이트 가공 장치
CN1254585C (zh) 狭槽排水装置
JP2008042016A (ja) 半導体ウエハの保持方法および半導体ウエハ保持構造体
WO2006070629A1 (ja) 研磨用パッド
TWI643256B (zh) 用於分離一第一基板之裝置及方法
CN106926449B (zh) 液体容置槽及立体列印装置以及立体列印方法
JP7072760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リサイクル装置
WO2014050267A1 (ja) 消泡体
CN1766238A (zh) 沉箱用挖掘装置
JP2006245348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2015001193A1 (en) Device and system for cutting pipe from inside
JP6510334B2 (ja) ウエハー研磨装置
US4829830A (en) Apparatus for measuring viscoelasticity
TWI831973B (zh) 異常檢測裝置及異常檢測方法
CN114905379A (zh) 一种风力发电叶片局部缺陷智能修复装置
JP5038773B2 (ja) 埋設管の壁面加工装置
EP2188063A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manufacture of sonar projectors
JP5812855B2 (ja) 遠心分離機用バケット、遠心分離機用バケットの製造方法
KR102437235B1 (ko) 웨이퍼의 연마 장치
CN217097652U (zh) 加工辅助装置
KR20180026016A (ko) 임펠러
KR102503615B1 (ko) 화학 기계적 연마 장치의 캐리어 헤드 및 이에 사용되는 멤브레인
CN112141633A (zh) 预判进料时间及进料位置的定位装置
KR102172681B1 (ko) 취성 재료 기판의 브레이크 방법 그리고 브레이크 장치
JP2015171752A (ja) ガラス板の位置決め装置及びガラス板の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