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971B1 - 천정 천공 장치 - Google Patents

천정 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971B1
KR102578971B1 KR1020210125455A KR20210125455A KR102578971B1 KR 102578971 B1 KR102578971 B1 KR 102578971B1 KR 1020210125455 A KR1020210125455 A KR 1020210125455A KR 20210125455 A KR20210125455 A KR 20210125455A KR 102578971 B1 KR102578971 B1 KR 102578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ill
support
cei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2786A (ko
Inventor
정성길
Original Assignee
정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길 filed Critical 정성길
Priority to KR1020210125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971B1/ko
Publication of KR2023004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4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with special provision to enable the machine or the drilling or boring head to be moved into any desired position, e.g. with respect to immovabl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03Drilling machine situated underneath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3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앙카 볼트 등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지상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뚫을 수 있는 천정 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천정면을 천공하는 드릴부;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본체부 및 드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천정 천공 장치로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부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롤러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를 탄력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 하부측 내벽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일단은 상기 지지부 하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풀리에 감겨서 상기 케이스 내부로 권회되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는 스프링 밸런스(spring balanc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만큼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정 천공 장치{APPARATUS FOR DRILLING ON THE CEIL}
본 발명은 천정 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앙카 볼트 등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지상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뚫을 수 있는 천정 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정면에 각종 전기배관, 덕트 등과 같은 건축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앙카 볼트가 사용되는데, 이런 앙카 볼트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천정면에 드릴을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체결구멍을 먼저 뚫게된다.
이러한 천공 작업은 종래에는 작업자가 드릴을 직접 손으로 잡고 작업하는데, 천장의 높이 때문에 사다리나 작업대 위에서 작업을 행하게 되고 더욱이 얼굴을 뒤로 젖힌 채로 상방을 향하여 힘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힘들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다수의 앵커볼트 구멍을 천공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천공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사다리나 작업대에서 내려서 이를 천공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사다리나 작업대에 올라가서 천공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힘이 들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13777호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정면의 천공 작업 시, 지상에서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천정 천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지부 및 드릴부의 무게로 인해 지지부가 급격한 속도로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드릴부의 승강이 용이한 천정 천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설정된 작업 위치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설정된 시간만큼 이동 및 정지되도록 하여 거리 조절이 가능하여, 자동으로 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천정 천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천정의 높이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는 천정 천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천정면을 천공하는 드릴부;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본체부 및 드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천정 천공 장치로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부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롤러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를 탄력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 하부측 내벽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일단은 상기 지지부 하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풀리에 감겨서 상기 케이스 내부로 권회되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는 스프링 밸런스(spring balanc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만큼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머의 시간 설정에 따라 이동 거리가 조절되고, 설정한 작업 위치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릴부의 드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자바라 형상의 커버, 상기 커버 하부에 연결되는 드레인 호스, 및 상기 드레인 호스를 통해 수거된 분진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집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롤러, 하부에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 롤러,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 밸런스의 와이어 로프가 감기는 풀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부는, 체인(chain)과 기어(gear) 결합 또는 랙(rack)과 피니언(pinion)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에 상기 체인 또는 랙이 구비되고, 상기 기어 또는 피니언의 축에 핸들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건축물의 천정면에 천공 시, 작업자가 지상에서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천정면에 천공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사다리 등에 올라가서 작업하여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지만, 이러한 문제점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지지부의 승강 시, 스프링 밸런스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지지부 및 드릴부의 무게로 인해 급격한 속도로 하강하지 않아, 드릴부를 하강시키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 밸런스에 의해 지지부의 승강 시, 적은 힘으로도 승강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그리고 타이머로 인해 설정된 시간만큼 이동 및 정지되도록 하여 거리 조절이 가능하므로, 자동으로 천공 위치 조절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즉, 설정된 간격으로 천공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작업 위치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즉, 센서 등을 통해 설정된 길로 갈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하면서 설정된 간격으로 천공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드릴부가 천정면 바로 아래에 있어서, 천공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자바라 형상의 집진부가 드릴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천공 수행 시, 접혀져서 천정면과 밀착되므로, 분진 수거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핸들을 통해 지지부의 승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천정의 높이에 상관없이, 그리고 천정의 장애물 등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천정면 아래에서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 본체 측면에 구비된 발받침을 밟고 용이하게 본체부 상부면에 올라설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정 천공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정 천공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간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및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용어 중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이고, 설명 상에 방향을 지칭하는 단어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시점에 따라 변경 가능함을 주지하는 바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정 천공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정 천공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정 천공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간략도이며, 특히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천정 천공 장치를 뒤에서 본 배면도로서, 본체부(10)의 뒷벽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천정 천공 장치(100)는 본체부(10), 드릴부(20), 승강부(30), 집진부(40), 지지부(50), 스프링 밸런스(spring balance; 60), 프레임(7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부(1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동이 가능한데, 자동으로 이동 시, 모터에 의해 이동되는 것으로, 모터는 배터리와 연결되고,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와 하부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바퀴(11)를 통해 이동되며, 미리 설정한 작업 위치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체부(10)는 카메라와 센서 등을 더 포함하여, 바닥면에 설치되는 로프나 포토 가이드 라인 등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수동으로 이동 시, 작업자가 직접 본체부(10)를 운전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이 때, 운전 핸들(13)을 이용하여 방향을 조절하고, 본체부(10)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는 하부면에서 전방 중앙과 후방 양쪽에 각각 바퀴(11)가 구비되는데, 전방 중앙의 바퀴(11)는 본체부(10)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수동으로 구동 시, 본체부(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운전 핸들(13)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바퀴(11)는 본체부(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보조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본체부(10)는 지면으로부터 수평을 정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감지 수단으로서 자이로 센서와 같은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 위치에서 정확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드릴부(20)는 천정면을 천공하는 것으로, 본체부(10)의 일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50)의 상단에 구비된다. 이러한 드릴부(20)는 햄머 드릴과 같은 전동 공구로서 적용되고, 상단의 드릴을 회전시켜 천정에 원하는 직경으로 천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드릴부(20)는 하기되는 제어부와 연결되고, 제어부에 의해 구동 및 정지가 제어된다. 즉, 드릴부(20)는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제어부의 버튼을 눌러, 천공 작업을 수행할 위치에서 구동 및 정지시킬 수도 있고, 또는 자동으로 구동 및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수동으로 구동 시, 원하는 위치에 본체부(10)가 위치되면, 작업자가 제어부의 제어패널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드릴부(20)를 구동시켜 천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구동 시, 제어부에 의해 본체부(10)가 이동 후 작업 위치에 정지되면, 드릴부(20)는 자동으로 구동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천공 작업이 수행되면, 자동으로 정지되며, 이러한 작업이 설정된 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승강부(30)는 지지부(5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핸들(35)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핸들(35)을 돌려 지지부(50)의 승강을 조작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부(30)는 핸들(35)을 돌려 지지부(50)가 승강되는 구조, 예컨대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꿀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가능하고,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31)과 기어(33) 결합 또는 랙과 피니언 결합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어(33)의 축(37)에 핸들(35)이 연결되며, 체인(31)은 지지부(50) 하부에 일정 길이로 구비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핸들(35)을 돌려 지지부(50)를 승강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 등을 더 구비하여 자동으로 지지부(50)의 승강을 조절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집진부(40)는 드릴부(20)의 드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커버(41), 드레인 호스(43), 및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하고, 드릴부(20)를 통한 천공 작업 시 발생하여 낙하되는 분진을 수거한다.
여기서, 커버(41)는 자바라 형상으로, 천공 작업 시, 용이하게 접혀지게 되고, 이에 대하여는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이러한 커버(41)는 바닥면의 중앙에 드릴 통과 구멍이 형성되고, 이와 인접하여 드레인 호스(43)가 연결되며, 천공 작업으로 발생되는 분진은 커버(41) 내부에 수거된다.
그리고 드레인 호스(43)는 커버(41) 하부에 연결되고, 수거된 분진을 저장부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 때, 집진부(40)는 흡입부를 더 구비하여, 커버(41)에 수거된 분진을 드레인 호스(43)를 통해 강제로 흡입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드레인 호스(43)를 통해 수거된 분진은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고, 저장된 분진은 작업자가 처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정 천공 장치(100)를 이용한 천공 작업 시, 드릴부(20)와 집진부(40)의 상태를 설명하면, 천정면에 드릴부(20) 및 집진부(40)가 닿기 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부(40)의 커버(41)는 일반적인 상태이고, 집진부(40) 내부에 구비된 드릴부(20)의 드릴도 구동 대기 상태이다.
이어서, 천공 수행 시, 드릴부(20)의 드릴이 천정면 안으로 천공을 수행하고, 이 때, 드릴이 삽입되는 만큼 집진부(40)의 커버(41)는 접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집진부는 컵 형상으로 인해 천공이 이루어지는 천정면과의 간격이 존재하여, 분진이 커버 밖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집진부(40)의 커버(41)가 천정면과 밀착되므로, 분진 수거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천공 작업으로 인해 발생된 분진은 커버(41) 내부로 떨어져서 쌓이게 되고, 쌓인 분진은 자중에 의해, 또는 흡입부에 의해 드레인 호스(43)를 따라 저장부로 모이게 된다.
다음으로, 지지부(50)는 본체부(10)의 일측에 구비되고, 프레임(70)과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단에 드릴부(20)가 구비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30)에 의해 승강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0)는 승강을 위한 구성, 예컨대 체인(31)이 하부에 일정 길이만큼 구비되고, 기어(33)가 인접하여 구비된다. 기어(33)의 축(37)과 연결된 핸들(35)을 화살표와 같이 돌리면, 지지부(50)는 화살표와 같이 승강된다.
그리고 지지부(50)는 승강을 위해 지지해줄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롤러(71, 72, 73)가 구비된다. 즉, 하기되는 프레임(70)에 설치되는 것으로, 프레임(70)의 상부에 제1 및 제2 롤러(71, 72)가 구비되고, 프레임(70)의 하부에 제3 롤러(73)가 구비되며, 제1 및 제2 롤러(71, 7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0)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3 롤러(73)는 지지부(50)의 일측에 구비되되, 제3 롤러(73)가 구비되는 지지부(50)의 타측에는 기어(33)가 구비된다.
이로 인해, 지지부(50)는 제1 내지 제3 롤러(71, 72, 73)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스프링 밸런스(60)는 지지부(50)를 탄력 지지하는 것으로, 본체부(10)의 하부측 내벽에 결합되는 케이스(61)와, 일단은 지지부(50) 하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프레임(70)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풀리(75)에 감겨서 케이스(61) 내부로 권회되는 와이어 로프(65)를 포함한다.
즉, 스프링 밸런스(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1)가 본체부(10)의 뒷벽, 예컨대 도 1을 기준으로 핸들(35)이 있는 반대쪽인 뒷면 벽에서 하부측 내벽에 고정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스프링 밸런스(60)는 와이어 로프(65)의 일단이 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정 중량의 구조물을 스프링의 장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 로프(65)는 설정된 탄성계수를 갖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밸런스(60)는 드릴부(20)가 상단에 구비된 지지부(50)를 탄력 지지하는 것으로, 드릴부(20)와 지지부(50)의 무게를 감안하여 스프링 밸런스(60)의 탄성계수를 맞추게 된다.
그리고 탄력 지지되는 구성의 무게, 즉 드릴부(20)와 지지부(50)의 무게에 따라 와이어 로프(65)를 풀리(75)에 감는 횟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무게가 무거울수록 와이어 로프(65)를 풀리(75)에 감는 횟수를 1회 이상, 즉 수회 감기도록 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밸런스(60)에 의해 지지부(50)가 탄력 지지되어, 지지부(50)의 승강 시, 예컨대 하강 시, 지지부(50) 및 드릴부(20)의 무게로 인해 급격한 속도로 떨어지지 않게 되고, 지지부(50)의 상승 시,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프레임(70)은 본체부(10)의 일측에서 지지부(50)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지지부(5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롤러(71, 72, 73)와 스프링 밸런스(60)의 와이어 로프(65)가 감기는 풀리(75)가 설치된다. 즉, 제1 및 제2 롤러(71, 72)는 프레임(70)의 상부에서 지지부(50)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3 롤러(73)는 프레임(70)의 하부에서 지지부(50)의 일측에 구비되며, 풀리(75)는 프레임(70)의 상부에 구비된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본체부(10) 및 드릴부(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정된 시간만큼 본체부(10)의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타이머에 의해 본체부(10)가 이동 후 정지되면 드릴부(20)를 구동 및 정지 시켜 천정면을 천공하게 된다. 이러한 타이머의 시간 설정에 따라 천정 천공 장치(100)의 이동 거리가 조절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수 설정에 따라 천정 천공 장치(100)의 속도가 조절된다.
이러한 제어부는 제어 패널이 본체부(10) 상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천정 천공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천정 천공 장치(100)의 온/오프, 타이머 설정, 드릴부(20)의 온/오프, 수동 및 자동 전환, 승강부(30)의 구동, 천정 천공 장치(100)의 이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천정 천공 장치(10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하면서 이동 거리가 조절되어 원하는 위치의 천정면에 천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지상에서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천공할 수 있으며, 드릴부가 천정면 바로 아래에 있어서, 천공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집진부로 인해 분진 수거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천정 천공 장치
10; 본체부
11; 바퀴
13; 운전 핸들
20; 드릴부
30; 승강부
31; 체인
33; 기어
35; 핸들
37; 축
40; 집진부
41; 커버
43; 드레인 호스
50; 지지부
60; 스프링 밸런스
61; 케이스
65; 와이어 로프
70; 프레임
71, 72, 73; 롤러
75; 풀리

Claims (5)

  1. 이동 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천정면을 천공하는 드릴부;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본체부 및 드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천정 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부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롤러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를 탄력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 하부측 내벽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일단은 상기 지지부 하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풀리에 감겨서 상기 케이스 내부로 권회되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는 스프링 밸런스(spring balanc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만큼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롤러, 하부에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 롤러,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 밸런스의 와이어 로프가 감기는 풀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천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시간 설정에 따라 이동 거리가 조절되고, 설정한 작업 위치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천공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부의 드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자바라 형상의 커버, 상기 커버 하부에 연결되는 드레인 호스, 및 상기 드레인 호스를 통해 수거된 분진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집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천공 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체인(chain)과 기어(gear) 결합 또는 랙(rack)과 피니언(pinion)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에 상기 체인 또는 랙이 구비되고, 상기 기어 또는 피니언의 축에 핸들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천공 장치.
KR1020210125455A 2021-09-23 2021-09-23 천정 천공 장치 KR102578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455A KR102578971B1 (ko) 2021-09-23 2021-09-23 천정 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455A KR102578971B1 (ko) 2021-09-23 2021-09-23 천정 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786A KR20230042786A (ko) 2023-03-30
KR102578971B1 true KR102578971B1 (ko) 2023-09-14

Family

ID=8598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455A KR102578971B1 (ko) 2021-09-23 2021-09-23 천정 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49356B (zh) * 2023-06-21 2024-02-06 联想新视界(江苏)设备服务有限公司 一款悬吊式打孔装螺丝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7498A (ja) * 2013-06-06 2014-12-18 遠藤工業株式会社 工具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6800A (en) 2010-01-07 2011-07-13 Linear Algebra Technologies Ltd Sparse matrix vector multiplier using a bit map of non-zero elements to control scheduling of arithmetic operations
KR20120132814A (ko) * 2011-05-30 2012-12-10 대명지이씨(주)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KR102412165B1 (ko) * 2019-11-11 2022-06-23 박배승 천정 드릴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7498A (ja) * 2013-06-06 2014-12-18 遠藤工業株式会社 工具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786A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971B1 (ko) 천정 천공 장치
KR100933361B1 (ko) 고소작업대
US7900745B1 (en) Motor driven lifting assembly
ES2363719T3 (es) Estructura rodante de soporte de por lo menos una herramienta de lijado y similares para trabajos sobre las paredes y techos.
KR20080089057A (ko) 해머드릴의 승강장치
KR101690273B1 (ko)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
KR102026937B1 (ko) 자동 목재 재단 시스템
CN212984564U (zh) 一种房屋建筑施工平台
KR20200001278U (ko) 타공장치
KR101665095B1 (ko)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
CN216649080U (zh) 一种地铁缆线铺设结构
KR20110010644U (ko) 모터를 이용하여 발판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계단
CN211369461U (zh) 土木工程建筑施工支架
CN210885190U (zh) 一种基于消防设备安装用的一体式辅助装置
JP3662064B2 (ja) 手動式昇降床装置
CN111732024A (zh) 一种室内装修重物辅助吊升安装设备
KR100500133B1 (ko) 차량정비 도크용 리프트
CN112894726B (zh) 一种钻顶孔用辅助工具及其钻顶孔方法
JP3034960B2 (ja) 昇降路内機器据付装置
KR100488919B1 (ko) 열차차량의 하부작업용 리프트
CN219971710U (zh) 一种多功能管道举升机
CN218346881U (zh) 壁板安装机器人
KR102653515B1 (ko) 스마트 와이어쏘우 절단기
KR102554458B1 (ko) 다관절 드릴링 장치
JP3037759B2 (ja) エレベータの昇降路内作業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