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685B1 -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685B1
KR102578685B1 KR1020190029021A KR20190029021A KR102578685B1 KR 102578685 B1 KR102578685 B1 KR 102578685B1 KR 1020190029021 A KR1020190029021 A KR 1020190029021A KR 20190029021 A KR20190029021 A KR 20190029021A KR 102578685 B1 KR102578685 B1 KR 102578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suspension
flood
height
suspe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655A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9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68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regulation being combined with other vehicle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18Starting, acceler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는, 차량의 침수상황을 감지하는 침수감지부; 차량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감지부; 압축공기를 통해 차량의 차고를 조절하는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 차량 내 제어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차량 통신부; 및 침수감지부로부터 차량의 침수상황을 입력받아 만수상태를 판단하여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를 작동시켜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키고, 시동감지부로부터 시동상태를 입력받아 시동 온신호가 입력된 경우 만수상태를 비교하여 차고를 복원시키거나 차량 통신부를 통해 시동 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FLOODING PREVENTION APPARATUS FOR VEHICLE USING AIR SUSPEN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침수상황을 감지하여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통해 차고를 최대로 상승시켜 침수를 방지하고, 또한 시동을 걸려고 할 때에 침수상황을 감지하여 차고를 복원하거나 시동을 방지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스펜션은 승차감과 조종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승차감을 좋게 하면 조종안정성이 떨어지고 조종안정성을 좋게 하면 승차감이 떨어진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서스펜션의 스프링을 부드럽게 하면 울퉁불퉁한 노면으로 인한 충격을 쉽게 흡수해서 승차감이 좋게 된다. 그러나 차체가 불안정해 조종안정성이 떨어진다. 반면에 스프링이 딱딱하면 조종안정성은 좋아지지만 노면의 요철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승차감은 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강철로 만들어진 코일 스프링은 강도를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공기를 이용한 에어 스프링이다. 에어 스프링은 공기압을 손쉽게 컨트롤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딱딱하거나 부드러워 질 수 있다. 이러한 에어 스프링을 사용하는 서스펜션이 에어 서스펜션(air suspension)이다.
한편, 차량의 보급은 확대되고 있으나 차량의 보유 대수에 비하여 주차 공간은 많이 부족한 상태일 뿐만 아니라 안전한 주차 공간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주차 공간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하여 많은 건물이 지하 주차장을 사용하고 있으며, 도로변이나 주거지의 골목길 및 강변의 노천에 주차시켜 놓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여름과 가을에 태풍에 의한 집중 호우와 장마에 의한 집중 호우 그리고 이상 기후에 의한 집중 호우가 잦을 경우 갑자기 불어난 물에 주차 공간의 침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침수상황을 감지하여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통해 차고를 최대로 상승시켜 침수를 방지하고, 또한 시동을 걸려고 할 때에 침수상황을 감지하여 차고를 복원하거나 시동을 방지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는, 차량의 침수상황을 감지하는 침수감지부; 차량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감지부; 압축공기를 통해 차량의 차고를 조절하는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 차량 내 제어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차량 통신부; 및 침수감지부로부터 차량의 침수상황을 입력받아 만수상태를 판단하여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를 작동시켜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키고, 시동감지부로부터 시동상태를 입력받아 시동 온신호가 입력된 경우 만수상태를 비교하여 차고를 복원시키거나 차량 통신부를 통해 시동 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침수감지부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압축기 하단부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침수감지부는,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침수상황을 감지하는 영상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부는 내장형 블랙박스, AVM(Around View Monitor), 자율주행 다기능 카메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 통신부는, CAN 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킨 후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최고높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만수상태로 판단된 경우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침수상황을 경고하기 위한 원격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원격 통신부는, 블루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침수감지부로부터 차량의 침수상황을 입력받아 만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가 만수상태의 판단결과에 따라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를 작동시켜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키는 단계; 제어부가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킨 후 시동감지부로부터 시동상태를 입력받아 시동상태에 따라 만수상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시동상태에 따라 만수상태를 비교하여 차고를 복원시키거나 차량 통신부를 통해 시동 오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킨 후 제어부가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최고높이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키는 단계는, 제어부가 만수상태로 판단된 경우 원격 통신부를 통해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침수상황을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차량의 침수상황을 감지하여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통해 차고를 최대로 상승시켜 침수를 방지하고, 또한 시동을 걸려고 할 때에 침수상황을 감지하여 차고를 복원하거나 시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에어 서스펜션 장치에 편의 기능을 추가하여 침수로 인한 엔진 및 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에서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에서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는, 침수감지부(10), 시동감지부(20),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40), 차량 통신부(50) 및 제어부(30)를 비롯하여 원격 통신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침수감지부(10)는 차량의 침수상황을 감지하여 CAN 웨이크업(wake up)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30)에 차량의 침수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침수감지부(10)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압축기(170) 하단부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12)를 포함하여 엔진이나 배터리의 위치 보다 아래에서 침수상황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12)의 설치위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외부 대기를 흡입하는 압축기(170)의 기능에 영향이 없는 높이를 고려하여 압축기(170)의 하단에 설치하였으나, 이외에도 침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침수감지부(10)는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부(16)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침수상황을 감지하는 영상감지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부(16)는 내장형 블랙박스, AVM(Around View Monitor), 자율주행 다기능 카메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감지부(14)는 카메라부(16)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기반으로 차량 주변의 물을 감지하여 수위에 따라 차량의 침수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시동감지부(20)는 차량의 시동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3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운전자의 탑승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40)는 압축기(170)를 통해 외부 대기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압축공기를 에어 스프링(70)에 공급하거나 배출시켜 차량의 차고를 조절할 수 있다.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부(110)와, 제2 유로부(120)와, 제3 유로부(130)와, 제4 유로부(140)와, 제5 유로부(150)와, 제6 유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부(110)는 외기와 압축기(170)를 연결한다. 압축기(170)는 모터 구동에 의해 공압을 생성하는 장치이며, 1단 실린더를 구비하여 공압을 생성하거나, 1단 실린더와 2단 실린더를 구비하여 다단계 공압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유로부(120)는 압축기(170)와 에어 스프링(70)을 연결한다. 에어 스프링(70)은 각각 차량의 좌우측 전후륜에 연결된 로워암에 제1 내지 제4 에어 스프링(71~74)이 하나씩 장착되고, 상단이 차체를 받쳐서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공압에 의해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차고를 조절할 수 있다.
제3 유로부(130)는 압축기(170)와 제2 유로부(120)를 연결하고, 제4 유로부(140)는 외기와 제2 유로부(120)를 연결하며, 제5 유로부(150)는 저장탱크(190)와 제2 유로부(120)를 연결한다. 제6 유로부(160)는 저장탱크(190)와 연결되어 공압을 공급한다.
제1 유로부(110)는 제1 공압관(111)과 제1 체크밸브(112)를 포함한다. 제1 유로부(110)는 압축기(170) 구동 시 외부공기가 압축기(170)에 공급되도록 유체를 안내할 수 있다.
제1 공압관(111)은 외기와 압축기(170)를 연결한다. 제1 체크밸브(112)는 제1 공압관(111)에 형성되고,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한다. 일 예로, 제1 체크밸브(112)는 외기가 압축기(170)에 도달되도록 공압 흐름을 허용하고, 압축기(170)에서 외부로 공압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유로부(120)는 제2 공압관(121)과, 제2 분기관(122)과, 제2 건조기(123)와, 제2 밸브(124)와, 제2 체크밸브(125)와, 제2 재생기(126)를 포함한다. 제2 유로부(120)는 압축기(170)에서 압축된 유체를 안내하고, 차고 조절을 위한 유체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공압관(121)은 일단부가 압축기(170)에 연결된다. 제2 분기관(122a, 122b, 122c, 122d)은 제2 공압관(121)에서 복수개가 분기되어 각각의 제1 내지 제4 에어 스프링(71~74)과 연결된다. 제2 분기관(122a, 122b, 122c, 122d)에는 제2 스프링밸브(127a, 127b, 127c, 127d)가 형성되어 제2 분기관(122a, 122b, 122c, 122d)을 개폐한다. 제2 스프링밸브(127a, 127b, 127c, 127d)로는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제2 분기관(122a, 122b, 122c, 122d)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될 수 있다.
제2 건조기(123)는 제2 공압관(121)에 형성되고, 제2 공압관(121)을 통과하는 유체를 건조시킨다. 일 예로, 제2 건조기(123)는 제2 공압관(121)을 통과하는 유체의 수분을 걸러낼 수 있다.
제2 밸브(124)는 제2 공압관(121)에 형성되고, 제2 공압관(121)을 개폐한다. 제2 밸브(124)로는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제2 공압관(121)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될 수 있다.
제2 체크밸브(125)는 제2 공압관(121)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체크밸브(125)는 압축기(170)와 제2 건조기(123) 사이에 해당되는 제2 공압관(121)에 배치되어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한다. 일 예로, 제2 체크밸브(125)는 압축기(170)에서 압축된 공압이 제2 건조기(123)에 도달되도록 공압 흐름을 허용하고, 제2 건조기(123)에서 압축기(170)로의 공압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재생기(126)는 제2 공압관(121)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재생기(126)는 제2 건조기(123)와 제2 밸브(124) 사이에 해당되는 제2 공압관(121)에 배치된다. 일 예로, 제2 재생기(126)는 오리피스이며, 유체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제2 재생기(126)를 통과하면서 압축되고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재생기(126)는 제2 건조기(123)의 습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3 유로부(130)는 제3 공압관(131)과, 제3 밸브(132)와, 제3 체크밸브(133)를 포함한다. 제3 유로부(130)는 차고 하강시 유체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3 공압관(131)은 압축기(17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제2 공압관(121)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공압관(131)은 제2 밸브(124)와 제2 분기관(122)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공압관(121)에 연결된다.
제3 밸브(132)는 제3 공압관(131)에 형성되고, 제3 공압관(131)을 개폐한다. 제3 밸브(132)로는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제3 공압관(131)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될 수 있다.
제3 체크밸브(133)는 제3 공압관(131)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체크밸브(133)는 압축기(170)와 제3 밸브(132) 사이에 배치되어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한다. 일 예로, 제3 체크밸브(133)는 압축기(170)에서 압축된 공압이 제3 밸브(132)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3 밸브(132)를 통과한 공압이 압축기(170)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4 유로부(140)는 제4 공압관(141)과, 제4 밸브(142)와, 제4 재생기(143)를 포함한다. 제4 유로부(140)는 메인 유압부(100)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가 될 수 있다.
제4 공압관(141)은 제2 공압관(121)과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 공압관(141)의 일단부는 제2 건조기(123)와 제2 체크밸브(125)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공압관(121)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4 공압관(141)의 타단부는 외부공기와 연결되어 외부로 유체 배출이 가능하다.
제4 밸브(142)는 제4 공압관(141)에 형성되고, 제4 공압관(141)을 개폐한다. 제4 밸브(142)로는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제4 공압관(141)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될 수 있다.
제4 재생기(143)는 제4 공압관(141)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 재생기(143)는 제4 밸브(142)와 제2 공압관(121) 사이에 해당되는 제4 공압관(141)에 배치된다. 일 예로, 제4 재생기(143)는 오리피스이며, 유체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제4 재생기(143)를 통과하면서 압축되고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재생기(143)는 제2 건조기(123)의 습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5 유로부(150)는 제5 공압관(151)과 제5 밸브(152)를 포함한다. 제5 유로부(150)는 저장탱크(190)와의 유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유체를 안내한다.
제5 공압관(151)은 제2 공압관(121)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저장탱크(190)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5 공압관(151)은 제2 재생기(126)와 제2 밸브(124)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공압관(121)과 연결된다.
제5 밸브(152)는 제5 공압관(151)에 형성되고, 제5 공압관(151)을 개폐한다. 제5 밸브(152)로는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제5 공압관(151)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될 수 있다.
제6 유로부(160)는 제6 공압관(161)과 제6 체크밸브(162)를 포함한다. 제6 유로부(160)는 외부공기와 저장탱크(190)를 연결하여 외부공기를 저장탱크(190)에 공급한다.
제6 공압관(161)은 외부와 연통되고, 저장탱크(190)와 연결된다. 제6 체크밸브(162)는 제6 공압관(161)에 형성되고,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한다. 일 예로, 제6 체크밸브(162)는 저장탱크(190)에 저장된 유체가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공기가 저장탱크(190)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6 공압관(161)의 단부에는 공기주입장치가 탈부착될 수 있다.
에어 스프링(70)은 차량의 좌우측 전후륜에 각각 제1 내지 제4 에어 스프링(71~74)이 설치되어 차량의 롤 상황에 따라 압축공기의 흐름을 조정하는 제2 분기관(122a, 122b, 122c, 122d)과 입력포트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기반으로 차량의 좌우측 전후륜의 차고를 조절할 수 있다.
차량 통신부(50)는 차량 내 제어장치와 CAN 통신을 포함한 통신을 기반으로 제어신호, 경고신호 및 작동상태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침수감지부(10)로부터 CAN 웨이크업(wake up) 신호와 함께 차량의 침수상황을 입력받아 만수상태를 판단하여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40)를 작동시켜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켜 침수로 인한 차량의 엔진이나 배터리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킨 후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시동감지부(20)로부터 시동 온신호가 입력되어 차고를 복원시킬 때까지 최고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0)가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40)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2 밸브(124)가 제2 공압관(121)을 개방하고, 제5 밸브(152)가 제5 공압관(151)을 개방하며, 제2 스프링밸브(127a, 127b, 127c, 127d)가 제2 분기관(122a, 122b, 122c, 122d)을 모두 개방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저장탱크(190)에 저장된 공기가 제5 공압관(151)과, 제2 공압관(121)과, 제2 분기관(122a, 122b, 122c, 122d)으로 순차 이동되어 제1 내지 제4 에어 스프링(71~74)에 도달한다. 이때, 제1 내지 제4 에어 스프링(71~74)에서 공압이 상승하면서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170)를 활용할 경우에는, 상기한 상태에서 제5 밸브(152)는 닫히고 압축기(170)가 구동되면, 외부공기가 제4 공압관(141)을 통해 압축기(170)에 공급되어 압축되고, 압축된 공기가 제2 분기관(122a, 122b, 122c, 122d)으로 순차 이동되어 제1 내지 제4 에어 스프링(71~74)에 도달한다.
이후 제어부(30)는 차고를 최고높이로 유지한 상태에서 시동감지부(20)로부터 시동상태를 입력받아 시동 온신호가 입력된 경우 만수상태를 비교하여 차고를 복원시키거나 차량 통신부(50)를 통해 시동 오프신호를 출력하여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차량 통신부(50)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차량 제어장치에서 침수경고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원격 통신부(60)는 제어부(30)에서 침수상황을 입력받아 만수상태로 판단된 경우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침수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통신부(60)는 이동통신이나 블루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침수상황을 감지하여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통해 차고를 최대로 상승시켜 침수를 방지하고, 또한 시동을 걸려고 할 때에 침수상황을 감지하여 차고를 복원하거나 시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에어 서스펜션 장치에 편의 기능을 추가하여 침수로 인한 엔진 및 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30)가 침수감지부(10)로부터 CAN 웨이크업(wake up) 신호를 수신 받아 슬립모드에서 깨어나 차량의 침수상황을 입력받는다(S10).
여기서, 침수감지부(10)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압축기(170) 하단부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12)를 통해 엔진이나 배터리의 위치 보다 아래에서 침수상황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수위감지센서(12)의 설치위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외부 대기를 흡입하는 압축기(170)의 기능에 영향이 없는 높이를 고려하여 압축기(170)의 하단에 설치하였으나, 이외에도 침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침수감지부(10)는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부(16)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차량 주변의 물을 감지하여 수위에 따라 차량의 침수상황을 감지하는 영상감지부(14)로부터 침수상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부(16)는 내장형 블랙박스, AVM(Around View Monitor), 자율주행 다기능 카메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S10 단계에서 침수상황을 입력받은 후 제어부(30)는 침수상황이 만수상태인지 판단한다(S20).
S20 단계에서 만수상태인지 판단한 결과 만수상태가 아닐 경우, 제어부(30)는 S10 단계로 리턴하여 계속해서 침수상황을 입력받는다.
반면, S20 단계에서 만수상태인지 판단한 결과 만수상태인 경우, 제어부(30)는 차량 통신부(50)나 원격 통신부(60)를 통해 침수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침수상황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S30).
또한, 제어부(30)는 만수상태인 경우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40)를 작동시켜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킨다(S40).
제어부(30)는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40)를 작동시키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밸브(124)가 제2 공압관(121)을 개방하고, 제5 밸브(152)가 제5 공압관(151)을 개방하며, 제2 스프링밸브(127a, 127b, 127c, 127d)가 제2 분기관(122a, 122b, 122c, 122d)을 모두 개방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저장탱크(190)에 저장된 공기가 제5 공압관(151)과, 제2 공압관(121)과, 제2 분기관(122a, 122b, 122c, 122d)으로 순차 이동되어 제1 내지 제4 에어 스프링(71~74)에 도달한다. 이때, 제1 내지 제4 에어 스프링(71~74)에서 공압이 상승하면서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다.
S40 단계에서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킨 후 제어부(30)는 시동감지부(20)로부터 시동상태를 입력받는다(S50).
이때 제어부(30)는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킨 후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최고높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시동상태를 입력받는다.
S50 단계에서 시동상태를 입력받은 후 제어부(30)는 입력받은 시동상태가 시동 온신호인지 판단한다(S60).
S60 단계에서 시동 온신호인지 판단하여 시동 온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S40 단계로 리턴하여 지속적으로 차고를 최고높이로 유지한다.
반면, S60 단계에서 시동 온신호인지 판단한 결과 시동 온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30)는 침수감지부(10)로부터 입력된 침수상황을 통해 만수상태인지 판단한다(S70).
S70 단계에서 만수상태를 판단하여 만수상태가 아닌 경우,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40)를 작동시켜 차량의 차고를 복원시킨다(S80).
한편, S70 단계에서 만수상태를 판단하여 만수상태인 경우, 제어부(30)는 차량 통신부(50)를 통해 CAN 통신으로 차량 내 제어장치로 시동 오프신호를 출력하여 시동을 걸 수 없도록 한다(S90).
이와 같이 제어부(30)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시동을 걸려고 할 때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킨 상태에서도 침수된 상태라면 시동을 걸 수 없도록 하여 차량의 엔진과 전자기기들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침수상황을 감지하여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통해 차고를 최대로 상승시켜 침수를 방지하고, 또한 시동을 걸려고 할 때에 침수상황을 감지하여 차고를 복원하거나 시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에어 서스펜션 장치에 편의 기능을 추가하여 침수로 인한 엔진 및 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침수감지부 12 : 수위감지센서
14 : 영상감지부 16 : 카메라부
20 : 시동감지부 30 : 제어부
40 :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 50 : 차량 통신부
60 : 원격 통신부 70 : 에어 스프링
110 : 제1 유로부 111 : 제1 공압관
112 : 제1 체크밸브 120 : 제2 유로부
121 : 제2 공압관 122 : 제2 분기관
123 : 제2 건조기 124 : 제2 밸브
125 : 제2 체크밸브 126 : 제2 재생기
127 : 제2 스프링밸브 130 : 제3 유로부
131 : 제3 공압관 132 : 제2 밸브
133 : 제3 체크밸브 140 : 제4 유로부
141 : 제4 공압관 142 : 제4 밸브
143 : 제4 재생기 150 : 제5 유로부
151 : 제5 공압관 152 : 제5 밸브
160 : 제6 유로부 161 : 제6 공압관
162 : 제6 체크밸브 170 : 압축기
190 : 저장탱크

Claims (11)

  1. 차량의 침수상황을 감지하는 침수감지부;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감지부;
    압축공기를 통해 상기 차량의 차고를 조절하는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
    상기 차량 내 제어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차량 통신부; 및
    상기 침수감지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침수상황을 입력받아 만수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를 작동시켜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키고, 상기 시동감지부로부터 시동상태를 입력받아 시동 온신호가 입력된 경우 만수상태를 비교하여 차고를 복원시키거나 상기 차량 통신부를 통해 시동 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감지부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압축기 하단부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감지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침수상황을 감지하는 영상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내장형 블랙박스, AVM(Around View Monitor), 자율주행 다기능 카메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통신부는, CAN 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킨 후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최고높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만수상태로 판단된 경우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침수상황을 경고하기 위한 원격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통신부는, 블루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9. 제어부가 침수감지부로부터 차량의 침수상황을 입력받아 만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만수상태의 판단결과에 따라 에어 서스펜션 구동부를 작동시켜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킨 후 시동감지부로부터 시동상태를 입력받아 시동 온신호가 입력된 경우 만수상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시동 온신호가 입력된 경우 만수상태를 비교하여 차고를 복원시키거나 차량 통신부를 통해 시동 오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킨 후 상기 제어부가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최고높이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차고를 최고높이로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만수상태로 판단된 경우 원격 통신부를 통해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침수상황을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029021A 2019-03-14 2019-03-14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78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021A KR102578685B1 (ko) 2019-03-14 2019-03-14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021A KR102578685B1 (ko) 2019-03-14 2019-03-14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655A KR20200109655A (ko) 2020-09-23
KR102578685B1 true KR102578685B1 (ko) 2023-09-14

Family

ID=7270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021A KR102578685B1 (ko) 2019-03-14 2019-03-14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689B1 (ko) 2021-01-06 2021-06-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CN113803172B (zh) * 2021-02-20 2024-01-19 柳州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通过水位关闭发动机怠速启停功能的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5563A (ja) 2007-01-31 2008-08-14 Denso Corp 計測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並びに警報装置
JP2010163131A (ja) 2009-01-19 2010-07-29 Sumitomo Electric Ind Ltd 路面状況判別装置
JP2014515819A (ja) 2011-03-15 2014-07-03 ジャガー・ランド・ローバー・リミテッド 渡り車両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304B1 (ko) * 2008-11-12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침수 시 부품 단락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5563A (ja) 2007-01-31 2008-08-14 Denso Corp 計測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並びに警報装置
JP2010163131A (ja) 2009-01-19 2010-07-29 Sumitomo Electric Ind Ltd 路面状況判別装置
JP2014515819A (ja) 2011-03-15 2014-07-03 ジャガー・ランド・ローバー・リミテッド 渡り車両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655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685B1 (ko)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90031158A1 (en) Timer based vehicle leveling and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137296B2 (en)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system
US7931099B2 (en) Hydraulic traveling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hydraulic traveling vehicle
CN107709059B (zh) 悬挂装置
CN109733147B (zh) 一种车辆高度自动调节方法、系统、存储介质及车辆
US20090057049A1 (en) Hydraulic traveling vehicle
US8548692B2 (en) Travel vibration suppressing device of work vehicle
EP3219524B1 (en) Vehicle-height adjustment system
CN111501894A (zh) 行驶稳定系统、挖掘装载机及控制方法
CN206107179U (zh) 一种机动车涉水的自救装置
CN108705909B (zh) 一种兼顾节能与稳定的空气悬架系统及其控制方法
JP4986681B2 (ja) 作業車のジャッキ制御装置
JP2011058281A (ja) 作業機械の油圧ブレーカ制御装置
CN210363260U (zh) 一种集成的空气悬架供气系统
KR100739111B1 (ko) 특장차용 유압 리프터 및 그 제어방법
KR102478656B1 (ko) 서스펜션 장치
KR100694918B1 (ko) 가변 휠 디플렉터 장치
CN215165940U (zh) 一种防冲击控制系统及平地机
CN220525063U (zh) 一种水位检测机构及交通工具
KR20030092280A (ko) 능동 서스펜션을 이용한 차량의 저면 긁힘 방지 장치
KR20090059739A (ko)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특수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JP2791805B2 (ja) 車高調整装置の制御方法
JP2007118694A (ja) 車高調整装置
CN113525280A (zh) 一种车辆防淹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