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739A -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특수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특수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739A
KR20090059739A KR1020070126752A KR20070126752A KR20090059739A KR 20090059739 A KR20090059739 A KR 20090059739A KR 1020070126752 A KR1020070126752 A KR 1020070126752A KR 20070126752 A KR20070126752 A KR 20070126752A KR 20090059739 A KR20090059739 A KR 20090059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garage
heigh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정욱
강탑
김정운
Original Assignee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9739A/ko
Publication of KR2009005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5Air-compressor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0Manual control or setting means
    • B60G2600/204Joystick actuated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66Humidifying or dr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차고 조절장치는 차고센서(10); 상기 차고센서(1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차량의 주행모드별 기준 차고로 제어하는 명령을 하달하는 컨트롤러(20); 상기 컨트롤러(20)의 제어를 받아 에어를 압축하는 에어컴프레셔(30); 상기 에어컴프레셔(30)에 의해 압축된 에어를 저장하는 에어탱크(40); 상기 컨트롤러(20)의 차고 제어 명령에 따라 개폐되는 에어밸브(50); 및 상기 에어밸브(5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에어탱크(4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거나 또는 공급받은 에어를 배출하여 차량의 차고 자세를 조절시키는 에어스프링(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스프링, 차고조절장치, 에어밸브

Description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특수차량의 차고 조절장치{HEIGHT CONTROLLING ADJUSTER OF SPECIAL VEHICLE WITH AIR SPRING}
본 발명은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압을 이용하여 전자제어식으로 차량의 차고 및 자세를 조절하여 승차 인원이나 적재하중에 관계없이 주행모드별(예; 포장된 상태의 고속도로 주행과 일반도로 주행, 또는 비포장 상태인 야지(野地) 주행이나 모레 길, 또는 포장과 비포장에 관계없는 비상시의 주행 등)로 차량의 높이(차고)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특수차량의 차고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특히 특수차량을 운행함에 있어서는 시내 도로 및 고속도로와 같은 포장도로와 시골길 및 산악길과 같은 비포장 도로를 막론하고 운행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포장도로를 운행함에 있어서는 별다른 문제점이 제기되지 않으나, 비포장도로의 운행시 차량의 바닥부가 도로의 돌출부분과 부딪치는 사례가 발생되며, 이와 같이 차량의 바닥부분이 노면과 부딪히는 경우에는 차량 바닥을 찌그러들게 하거나 도장부분이 벗겨지면서 녹이 슬게하고, 차체 하부로 배치되 는 동력 전달계통의 부품을 파손시켜 고장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특수차량에서는 주행모드별로 차량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에 대한 설계가 요구되며, 종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프런트 및 리어측의 차륜에 설정된 프런트/리어측 유압재키(1)(2), 전동 모터 구동의 모터펌프(3), 오일탱크(4), 스풀밸브(5), 프레셔 스위치(6) 등으로 구성되고, 차고 선택스위치(7)나 차높이센서(8)의 신호에 따라 차량의 높이를 컨트롤러(9)가 조절하는 차량의 차고조절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 유압식의 차고조절장치는 승차 인원이나 적재 하중에 영향을 받으면서 주행모드별로 차량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압을 이용하여 전자제어식으로 차량의 차고 자세(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승차 인원이나 적재하중에 관계없이 주행모드별로 차량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차량의 차고 자세를 조절함으로써, 야지 주행이나 장애물 통과시 차고가 조절된 차량의 바닥부분이 노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는 차량의 휠이 노면과 접촉하는 지면으로부터 차체까지의 높이를 조절하는 휠타입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의 휠(200)과 차체에 결합되는 상부암(100)에 부착되어 차량의 차고를 감지하는 차고센서(10); 상기 차고센서(1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차량의 주행모드별 기준 차고로 제어하는 명령을 하달하는 컨트롤러(20); 상기 컨트롤러(20)의 제어를 받아 에어를 압축하는 에어컴프레셔(30); 상기 에어컴프레셔(30)에 의해 압축된 에어를 저장하는 에어탱크(40); 상기 컨트롤러(20)의 차고 제어 명령에 따라 개폐되는 에어밸브(50); 및 상기 에어밸브(5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에어탱크(4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거나 또는 공급받은 에어를 배출하여 차량의 차고 자세를 조절시키는 에어스프링(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컴프레셔(30)에 의해 압축된 에어는 차량 배관의 부식 방지 및 내구성을 보장하도록 수분 및 유분을 제거하는 에어드라이어(70)를 거쳐 상기 에어탱크(40)에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차고 자세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20)로 출력하는 수동조절부(8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동조절부(80)는 조이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고센서(10)는 각 휠에 장착된 상부암(100)에 각각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휠들이 서로 다른 높이의 지면에 개별 접지시 각 휠에 장착된 에어스프링(60)에 공급되는 에어의 양을 개별 조절하도록 상기 에어밸브(50)를 제어함으로서 차량의 차체가 수평이 되도록 차고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공압을 이용하여 전자제어식으로 차량의 차고 자세를 조절한 것으로, 이를 통해 승차인원이나 적재하중의 변화에 따른 차량의 차고 자세 변화를 방지하고 고속주행시에는 차량의 높이를 낮춰서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야지 주행 또는 장애물 통과시 차량의 높이를 올리거나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차량의 자세를 조절하여 노면과의 간 섭을 방지하면서 차량의 바닥부분이 찌그러지거나 도장부분이 벗겨지면서 녹이 슬게 하고, 차체 하부로 배치되는 동력 전달계통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는 차고센서(10), 컨트롤러(20), 에어컴프레셔(30), 에어탱크(40), 에어밸브(50), 에어스프링(60), 그리고 에어드라이어(70)를 포함한다.
상기 차고센서(10)는 휠(200)과 차체에 힌지 고정되는 상부암(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차량의 차고 자세를 감지한 후 이를 상기 컨트롤러(2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에어컴프레셔(30)와 에어드라이어(70)의 구동과, 상기 에어밸브(50)의 개폐여부를 제어함은 물론, 상기 차고센서(1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주행모드별로 차량이 기준 차고 자세로 복귀되기까지 차고 제어 명령을 제공하며, 상기의 차고 제어 명령은 상기 에어밸브(50)의 개폐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에어컴프레셔(30)는 상기 컨트롤러(20)의 제어를 받아 구동하며, 에어를 압축하고 이를 상기 에어탱크(40)가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어드라이어(70)는 상기 에어컴프레셔(30)에 의해 압축된 에어에 포함되는 수분이나 유분으로 인해 차량 배관의 부식이 발생하거나 이로 인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에어컴프레셔(30)에 의해 압축된 에어의 수분 및 유분을 제거한 후 이를 상기 에어탱크(40)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20)의 제어에 의해 그 구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탱크(40)는 차량의 차고 자세 조절에 필요로 하는 에어가 에어스프링(6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컴프레셔(30)에 의해 압축된 에어, 또는 상기 에어드라이어(70)에 의해 수분 및 유분이 제거된 압축에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어밸브(50)는 상기 컨트롤러(20)에서 출력하는 차고 제어 명령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져, 상기 에어스프링(60)으로 차량의 차고 자세 조절을 위한 에어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어스프링(60)은 차량의 차고 자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밸브(5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에어탱크(4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거나 또는 공급받은 에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컨트롤러(20)가 차고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의 차고 자세를 자동 조절하지만, 조이스틱과 같은 별도의 수동조절부(80)로부터 입력되는 수동조절신호를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의 차고 자세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차량의 차고 자세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에 있어, 컨트롤러(20)는 차 량의 차고 자세에 대한 변화를 휠(200)과 차체에 힌지 고정되는 상부암(100)에 부착된 차고센서(10)로부터 입력받는다.
이후, 상기 컨트롤러(20)는 차량이 주행모드별(고속도로, 일반도로, 야지, 모레, 비상시 등)로 기준 차고 자세로 복귀되기까지 에어밸브(50)의 개폐를 제어하여, 에어탱크(40)에 저장된 에어를 에어스프링(60)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에어스프링(60)내의 에어를 배출시키면서 도 4에서와 같이 차량의 승차인원이나 적재 하중에 관계없이 차량의 차고 자세를 최저 지상고(도 4a), 지면과 평행한 상태(도 4b), 또는 최고 지상고(도 4c)로 각각 자동 조절하고 그 조절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차량의 차고 자세가 자동 조절되는 상태에서, 차고의 상승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에어탱크(40)의 압축된 에어는 일정량 줄어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컨트롤러(20)는 에어컴프레셔(30)를 구동시켜 에어를 압축시킨 후 이를 에어드라이어(70)를 통해 에어탱크(40)로 저장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드라이어(70)는 상기 에어콤프레셔(30)에서 생성된 압축공기 중의 수분 및 유분을 제거하며, 이는 차량 배관의 부식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차량의 차고 자세를 컨트롤러(20)에 의해 자동 조절함은 물론, 별도의 수동조절부(80)인 조이스틱이나 도시하지 않은 다른 조정간 또는 조정 버튼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수동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조이스틱의 앞뒤 및 좌우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되는 수동조절신호에 의해 앞서의 자동 조절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차량의 차고 자세를 최저 지상고(도 4a), 지면과 평행한 상태(도 4b), 또는 최고 지상고(도 4c)로 각각 운전자가 원하는 차고 자세로 수동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종래 유압식 차고조절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자세 조절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자세 조절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록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이 최저 지상고(a), 지면과 평행한 상태(b), 최고 지상고(c)로 차고 자세가 조절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차고센서 20; 컨트롤러
30: 에어컴프레셔 40: 에어탱크
50: 에어밸브 60: 에어스프링
70: 에어드라이어 80: 수동조절부
100: 상부암 200: 휠

Claims (6)

  1. 차량의 휠이 노면과 접촉하는 지면으로부터 차체까지의 높이를 조절하는 휠타입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휠(200)과 차체에 결합되는 상부암(100)에 부착되어 차량의 차고를 감지하는 차고센서(10);
    상기 차고센서(1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차량의 주행모드별 기준 차고로 제어하는 명령을 하달하는 컨트롤러(20);
    상기 컨트롤러(20)의 제어를 받아 에어를 압축하는 에어컴프레셔(30);
    상기 에어컴프레셔(30)에 의해 압축된 에어를 저장하는 에어탱크(40);
    상기 컨트롤러(20)의 차고 제어 명령에 따라 개폐되는 에어밸브(50); 및
    상기 에어밸브(5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에어탱크(4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거나 또는 공급받은 에어를 배출하여 차량의 차고 자세를 조절시키는 에어스프링(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컴프레셔(30)에 의해 압축된 에어는 차량 배관의 부식 방지 및 내구성을 보장하도록 수분 및 유분을 제거하는 에어드라이어(70)를 거쳐 상기 에어탱크(40)에 저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차고 자세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20)로 출력하는 수동조절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절부(80)는 조이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고센서(10)는 각 휠에 장착된
    상부암(100)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휠들이 서로다른 높이의 지면에 개별 접지시 각 휠에 장착된 에어스프링(60)에 공급되는 에어의 양을 개별 조절하도록 상기 에어밸브(50)를 제어함으로서 차량의 차체가 수평이 되도록 차고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KR1020070126752A 2007-12-07 2007-12-07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특수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KR20090059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752A KR20090059739A (ko) 2007-12-07 2007-12-07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특수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752A KR20090059739A (ko) 2007-12-07 2007-12-07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특수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739A true KR20090059739A (ko) 2009-06-11

Family

ID=4098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752A KR20090059739A (ko) 2007-12-07 2007-12-07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특수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97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0794A (zh) * 2015-09-30 2015-12-16 张西航 一种空气悬挂控制系统及空气悬挂控制方法
CN110605945A (zh) * 2019-09-16 2019-12-24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高调整方法、系统和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0794A (zh) * 2015-09-30 2015-12-16 张西航 一种空气悬挂控制系统及空气悬挂控制方法
CN110605945A (zh) * 2019-09-16 2019-12-24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高调整方法、系统和存储介质
CN110605945B (zh) * 2019-09-16 2021-02-0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高调整方法、系统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70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wheelbase adjustment for utility vehicles
US11130370B2 (en) Fuel efficiency system for a vehicle
CA2447898C (en) Radio frequency-controlled axle/suspension lift system
RU2007125973A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дающей сжатый воздух системы автомобиля
US20090289426A1 (en) Air storage system for an air suspension system in a heavy vehicle
KR20090059739A (ko) 에어스프링을 장착한 특수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US5524481A (en) Measure wet tank routine comparing its pressure to that of associated tire(s)
KR100586838B1 (ko) 트레일러의 바퀴 자동 승강 장치
JPS624242B2 (ko)
KR100580529B1 (ko)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 시스템
GB2467978A (en) Monitoring and controlling air suspension of movable load carrying member mounted on a vehicle
JP2007099096A (ja) 車両制御装置
JPS62199510A (ja) 車高調整装置
KR100600187B1 (ko) 화물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
KR20030020617A (ko) 소형 상용차용 후방차고조정장치
JP2946903B2 (ja) 電子制御エアサスペンション車用車高調整装置
US793720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an electronic driving stability program for a motor vehicle
JP2007099158A (ja) 車高調整装置
KR20050038691A (ko) 차량용 푸셔 액슬 장치
KR200380908Y1 (ko) 트레일러의 바퀴 자동 승강 장치
KR19980040709U (ko) 빙판길 주행용 보조 장치
KR20020095962A (ko) 차고조정장치
CN115257641A (zh) 一种车辆及车辆的清理方法
JPS63199109A (ja) 車高制御装置
JPH01273710A (ja) 自動車の車高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