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646B1 -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 전자적 밸류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 전자적 밸류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646B1
KR102578646B1 KR1020207035900A KR20207035900A KR102578646B1 KR 102578646 B1 KR102578646 B1 KR 102578646B1 KR 1020207035900 A KR1020207035900 A KR 1020207035900A KR 20207035900 A KR20207035900 A KR 20207035900A KR 102578646 B1 KR102578646 B1 KR 102578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cy
electronic value
amount
exchange rate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525A (ko
Inventor
브루노 앙드레 샤롱
Original Assignee
라쿠텐 그루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쿠텐 그루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쿠텐 그루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0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06Q30/0227Frequent usage incentive value reconciliation between divers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centr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복수의 나라 또는 지역을 넘나들며 이용 가능한 전자적 가치에 있어서, 그 전자적 가치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간략화하는 것.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은, 제1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평가된 상기 제1 통화에 있어서의 제1 금전 평가액을 취득하고, 제2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평가된 상기 제2 통화에 있어서의 제2 금전 평가액을 취득하고, 상기 제1 금전 평가액과, 상기 제2 금전 평가액과,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제2 통화 사이의 환율과, 현재 유통되는 상기 전자적 밸류의 총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전자적 밸류의 교환율을 산출한다.

Description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 전자적 밸류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 전자적 밸류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포인트나 가상 통화(암호 통화, 암호 자산이라고도 함) 등과 같이 어떠한 방법으로 금전적인 가치가 부여되는 것을, 결제에 사용하는 일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회사의 자산이 복수의 나라에 걸치는 경우에, 외환율이 어떻게 변동하더라도 총자산이 불변으로 되는 독자의 통화 단위를 정의하고, 그 독자 통화에 의해 기업의 총자산 가치를 나타내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95479호 공보
종래부터, 상품의 구입 등에 대하여 특전으로서 포인트를 부여하는 포인트 제도가 있다. 부여된 포인트는 다른 상품의 구입 등에 이용할 수 있다. 가령, 어떤 나라의 시스템에 의해 부여된 포인트를 다른 나라의 시스템에서 지불에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검토한다. 포인트의 가치는 그 포인트가 발행되는 나라의 통화와 관련지어진다. 그렇다면, 이 시스템에서는, 부여된 포인트의 가치를, 지불처인 나라의 통화와 관련지어지는 가치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변환에 기인하여 시스템이 복잡화하고, 예를 들어 많은 컴퓨터 리소스를 소비하는 문제가 발생할 것이 우려된다.
한편, 가상 통화는, 나라를 넘나들어 이용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그러나, 가상 통화를 쇼핑 등에서 이용할 때에도, 가상 통화와 실재의 통화를 교환하는 시장의 시스템에 있어서 가상 통화와 통상의 통화를 교환한다. 시장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교환 거래를 처리할 때에도, 시스템이 복잡화하여 컴퓨터 리소스를 많이 소비할 것이 우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의 나라(또는 지역)에 걸쳐서 이용 가능한 전자적 가치에 있어서, 그 전자적 가치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간략화하여, 예를 들어 컴퓨터 리소스의 소비를 저감시키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은, 제1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평가된 상기 제1 통화에 있어서의 제1 금전 평가액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과, 제2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평가된 상기 제2 통화에 있어서의 제2 금전 평가액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과, 상기 제1 금전 평가액과, 상기 제2 금전 평가액과,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제2 통화 사이의 환율과, 현재 유통되는 상기 전자적 밸류의 총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전자적 밸류의 교환율을 산출하는 레이트 산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적 밸류 관리 방법은, 제1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평가된 상기 제1 통화에 있어서의 제1 금전 평가액을 취득하는 스텝과, 제2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평가된 상기 제2 통화에 있어서의 제2 금전 평가액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제1 금전 평가액과, 상기 제2 금전 평가액과,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제2 통화 사이의 환율과, 현재 유통되는 상기 전자적 밸류의 총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전자적 밸류의 교환율을 산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제1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평가된 상기 제1 통화에 있어서의 제1 금전 평가액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 제2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평가된 상기 제2 통화에 있어서의 제2 금전 평가액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 및 상기 제1 금전 평가액과, 상기 제2 금전 평가액과,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제2 통화 사이의 환율과, 현재 유통되는 상기 전자적 밸류의 총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전자적 밸류의 교환율을 산출하는 레이트 산출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국제적인 이용이 가능하며, 또한, 실재하는 통화와 교환할 때의 금전적인 가치가 크게 변동되기 어려운 전자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제2 통화 사이의 환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금전 평가액을 상기 제1 통화로 환산하는 환산 수단을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레이트 산출 수단은, 상기 제1 금전 평가액과 상기 환산된 제2 금전 평가액과, 현재 유통되는 상기 전자적 밸류의 총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전자적 밸류의 교환율을 산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1 금전 평가액과 상기 환산된 제2 금전 평가액에 기초하여 총 금전 평가액을 산출하는 총 평가 수단을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레이트 산출 수단은, 현재 유통되는 상기 전자적 밸류의 총량으로 상기 총 금전 평가액을 나눔으로써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전자적 밸류의 교환율을 산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1 금전 평가액은, 상기 제1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는 전자적 밸류에 따라서 상기 제1 통화에 의해 충당되는 충당금이며, 상기 제2 금전 평가액은, 상기 제2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는 전자적 밸류에 따라서 상기 제2 통화에 의해 충당되는 충당금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산출된 교환율에 기초하여, 주어진 기록량을 갖는 전자적 밸류와, 당해 전자적 밸류에 대응하는 통화량의 상기 제1 통화를 교환하는 제1 통화 교환 수단을 더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산출된 교환율에 기초하여, 주어진 기록량을 갖는 전자적 밸류와, 당해 전자적 밸류에 대응하는 통화량의 상기 제2 통화를 교환하는 제2 통화 교환 수단을 더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은, 부여되는 제1 통화량의 상기 제1 통화에 대하여, 상기 제1 통화량 및 상기 교환율에 따른 제1 기록량을 갖는 전자적 밸류를 제공하고, 부여되는 제2 기록량의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상기 제2 기록량 및 상기 교환율에 따른 제2 통화량의 상기 제1 통화를 제공하는 제1 통화 교환 수단과, 부여되는 제3 통화량의 상기 제2 통화에 대하여, 상기 제3 통화량 및 상기 교환율에 따른 제3 기록량을 갖는 전자적 밸류를 제공하고, 부여되는 제4 기록량의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상기 제4 기록량 및 상기 교환율에 따른 제4 통화량의 상기 제1 통화를 제공하는 제2 통화 교환 수단과, 상기 제1 통화에 대하여 상기 전자적 밸류가 제공된 경우에, 상기 제1 통화량에 상당하는 값을 당해 제1 통화에 있어서의 충당금인 제1 충당금에 가산하고, 상기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상기 제1 통화가 제공된 경우에, 상기 제2 통화량에 상당하는 값을 상기 제1 충당금으로부터 감산하는, 제1 충당금 관리 수단과, 상기 제2 통화에 대하여 상기 전자적 밸류가 제공된 경우에, 상기 제3 통화량에 상당하는 값을 당해 제2 통화에 있어서의 충당금인 제2 충당금에 가산하고, 상기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상기 제2 통화가 제공된 경우에, 상기 제4 통화량에 상당하는 값을 상기 제2 충당금으로부터 감산하는, 제2 충당금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과 다른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가상 코인의 발행에 관한 플로우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4는 가상 코인을 사용한 지불에 관한 플로우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5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이 실현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가상 코인 발행 의뢰에 대한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화폐 교환 의뢰에 대한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교환율을 산출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가상 코인 소유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지불 방법 표시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처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적인 가치(전자적 밸류)로서 가상 통화(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발행하는 가상 통화를 「가상 코인」이라고 기재함)를 사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상 통화란, 전자적으로 가치를 갖는 것으로서 유통되는 정보를 말하며, 특정한 국가에 의한 후원이 없어, 법정 통화로서의 강제 통용력을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가상 통화에 있어서는, 복수의 시스템이, 분산적으로 전자적 가치의 소유자 등을 관리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시스템에서 소유자 등을 집중 관리하는 포인트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포인트 시스템에서는, 전자적 밸류는 구입 등의 특전으로서 부여되는 포인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과 다른 시스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 전자 상거래 시스템(2), 고객 단말기(3)는, 제1 통화(이하에서는 일본 엔으로 함)를 법정 통화로 하는 나라나 지역(예를 들어 일본)에 존재하고, 제1 통화를 금전적 가치의 결제 등에 사용한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4), 고객 단말기(5)는, 제2 통화(이하에서는 US 달러로 함)를 법정 통화로 하는 나라나 지역(예를 들어 미국)에 존재하고, 제2 통화를 금전적 결제 등에 사용한다.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과 전자 상거래 시스템(2, 4)은,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고, 전자 상거래 시스템(2, 4)과, 고객 단말기(3, 5)와도,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한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2, 4)의 각각은, 복수의 판매점이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고객 단말기(3, 5)에 대하여 제시하고, 또한 고객 단말기(3, 5)로부터 그들에 관한 주문을 접수한다. 고객 단말기(3, 5)는, 구체적으로는, 고객이 되는 유저가 조작하는 컴퓨터이다.
환 정보 서버(6)는, 환 시장에 의해 결정된, 제1 통화와 제2 통화 사이의 환율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환 정보 서버(6)는, 현재의 교환율을 관리하는 시스템이어도 되고, 단순히 현재의 환율을 공개하는 시스템이어도 된다.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은, 통화에 의한 금전적 가치(예를 들어 일본 엔)와 가상 코인을 교환하고, 가상 코인의 발행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도 2는,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이 하나의 서버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의 예이다.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은 프로세서(11), 기억부(12), 통신부(13), 입출력부(14)를 포함한다.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은 복수의 서버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프로세서(11)는, 기억부(1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한다. 또한 프로세서(11)는 통신부(13), 입출력부(14)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을 통해 제공되는 것이어도 되고, 플래시 메모리나 DVD-ROM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되는 것이어도 된다.
기억부(12)는, RAM 및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 소자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외부 기억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12)는,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기억부(12)는, 각 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나 연산 결과를 저장한다.
통신부(13)는, 다른 장치와 통신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유선 LAN의 집적 회로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신부(13)는, 프로세서(11)의 제어에 기초하여,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프로세서(11)나 기억부(12)에 입력하고, 다른 장치에 정보를 송신한다.
입출력부(14)는, 표시 출력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비디오 컨트롤러나,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컨트롤러 등에 의해 구성된다. 입력 디바이스로서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이 있다. 입출력부(14)는, 프로세서(11)의 제어에 기초하여, 표시 출력 디바이스에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고, 입력 디바이스를 유저가 조작함으로써 입력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표시 출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외부에 접속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2, 4)에 포함되는 서버 컴퓨터는,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1), 기억부(12), 통신부(13), 입출력부(1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 전자 상거래 시스템(2, 4), 고객 단말기(3, 5)에 의해 행해지는 가상 코인의 발행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가상 코인의 발행에 관한 플로우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처음에 제1 통화에 관한 플로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을 사용하여 고객이 고객 단말기(3)를 사용하여 원하는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에, 고객 단말기(3)는, 일본 엔에 의한 상품 등의 구입의 지시를 송신하는 데이터(구입 지시)를 전자 상거래 시스템(2)으로 송신한다. 그렇게 하면,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은, 그 구입의 주문을 접수하고, 그 주문에 대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특전의 일본 엔에 있어서의 금전적 가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실제로는, 구입 지시가 송신되기 전에, 고객 단말기(3)와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의 사이에서 구입 수속 지시, 지불 방법 표시, 지불 방법 지시, 확인 표시와 같은 데이터가 교환되고 있다. 이들 데이터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특전에 있어서의 금전적 가치는, 상품 등의 구입에 대한 지불 금액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예를 들어 1%)을 곱함으로써 산출된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기(3)를 조작하는 고객이 10000엔의 상품을 구입한 경우, 특전으로서의 금전적 가치는 100엔으로 결정된다.
특전이 결정되면,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은, 가상 코인 발행 의뢰를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으로 송신한다. 이 가상 코인 발행 의뢰는, 그 산출된 금전적 가치에 대응하는 가상 코인을 발행할 것을 의뢰하는 데이터이다.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은 제1 교환율에 기초하여 그 산출된 금전적 가치에 대응하는 가상 코인의 소유자로서 고객 단말기(3)를 조작하는 고객을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의 가상 코인 소유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가상 코인의 소유자를 설정한다. 여기서,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은, 미리 마이닝에 의해, 소유자를 설정하는 가상 코인을 준비하고 있다.
가상 코인 소유 정보는,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의 기억부(12)에 저장된다. 도 10은, 가상 코인 소유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상 코인 소유 정보에는, 고객을 식별하는 정보(고객 ID)에 관련지어, 그 고객이 소유하는 가상 코인의 잔고와, 그 고객이 소유하는 가상 코인을 식별하는 정보(가상 코인 ID)가 저장된다.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은, 어떤 양의 가상 코인의 소유자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경우에는, 그 고객의 고객 ID에 관련지어진 가상 코인의 잔고를 그 제공되는 양만큼 증가시키고, 또한 그 제공되는 가상 코인의 가상 코인 ID를 고객 ID와 관련지어서 기억시킨다. 또한, 가상 코인 소유 정보는, 가상 코인 ID와 고객 ID를 결부시키는 것만의 정보여도 되고, 다른 시스템이나 단말기 등에 의해 관리되어도 된다.
가상 코인의 소유자를 설정함으로써,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은 시중(고객)에 가상 코인을 발행하고 시중에 그 가상 코인을 유통시킨다. 이 가상 코인은, 미리 마이닝에 의해 생성되어도 된다. 제1 교환율은, 제1 통화와 가상 코인을 교환하는 경우의 교환율이며, 상황에 따라서 변동한다. 또한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은 발행된 가상 코인 데이터를 고객 단말기(3)로 송신한다. 가상 코인 데이터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을 통해 고객 단말기(3)로 송신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2 통화에 관한 플로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통화의 경우, 고객 단말기(5)가 구입에 관한 행동을 하기 전에, 전자 상거래 시스템(4)이 가상 코인 발행 의뢰를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으로 송신한다. 이 가상 코인 발행 의뢰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4)으로부터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에 대하여, US 달러에 대응하는 가상 코인의 발행을 의뢰하는 데이터이다. 제2 통화의 경우, 전자 상거래 시스템(4)은, 미리 전자 상거래 시스템(4)이 소유하는 US 달러에 따른 가상 코인의 발행을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에 의뢰한다.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은 제2 교환율에 기초하여 그 US 달러의 금전적 가치에 대응하는 가상 코인을 발행하고, 그 발행된 가상 코인을 전자 상거래 시스템(4)으로 송신한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4)은, 발행되어 송신된 가상 코인을 모아둔다. 제2 교환율은, 제2 통화와 가상 코인을 교환하는 경우의 교환율이며, 상황에 따라 변동된다.
그리고, 고객 단말기(5)가, US 달러에 의한 상품 등의 구입의 지시를 송신하는 데이터(구입 지시)를 송신하면, 전자 상거래 시스템(4)은 모아둔 가상 코인 중, 그 구입에 따른 특전에 상당하는 가상 코인을, 고객 단말기(5)를 조작하는 고객에게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4)은 가상 코인의 소유자로서 고객 단말기(5)를 조작하는 고객을 설정한다. 구입 지시가 송신되기 전에, 고객 단말기(5)와 전자 상거래 시스템(4)의 사이에서 구입 수속 지시, 지불 방법 표시, 지불 방법 지시, 확인 표시와 같은 데이터가 교환되는 것은 일본 엔에 있어서의 플로우와 마찬가지이다. 특전에 있어서의 금전적 가치는, 상품 등의 구입에 대한 지불 금액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예를 들어 1%)을 곱함으로써 산출된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기(5)를 조작하는 고객이 100달러의 상품을 구입한 경우, 특전으로서의 금전적 가치는 1달러로 결정되고, 전자 상거래 시스템(4)은, 결정된 금전적 가치와, 모아 둔 가상 코인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US 달러에 대한 내부 교환율로부터 고객에게 건네 줄 가상 코인의 양을 결정하고, 그 양의 가상 코인을 고객에게 제공한다.
또한, 통화의 종류의 수가 3 이상인 경우, 제1 통화와 다른 통화에 대하여 제2 통화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특별히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에서는, 제1 통화에 관하여,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 전자 상거래 시스템(2), 고객 단말기(3)에 의해 행해지는, 가상 코인을 사용한 지불에 관한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가상 코인을 사용한 지불에 관한 플로우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처음에, 고객은 고객 단말기(3)를 조작하여 구입할 상품을 카트에 저장하고, 그 카트에 저장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구입의 수속을 진행한다는 취지의 버튼을 누른다. 그렇게 하면, 고객 단말기(3)는 그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구입의 수속을 진행하는 지시인 구입 수속 지시를 전자 상거래 시스템(2)으로 송신한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은,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으로 가상 통화와 일본 엔의 제1 교환율을 계속적으로 문의하면서, 지시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지불의 방법을 지정시키는 데이터(지불 방법 표시)를 고객 단말기(3)로 송신한다. 지불 방법 표시에 있어서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은 별도 실시간으로 제1 교환율을 송신한다. 이용 가능한 가상 코인을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은 그 고객에 대한 가상 코인 소유 정보로부터 가상 코인의 잔고를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 등으로부터 취득하고, 그 잔고와 교환율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가상 코인의 금전적인 가치를 반복해서 산출하고, 그 금전적인 가치(예를 들어 일본 엔으로 환산한 금액)의 데이터를 반복해서 고객 단말기(3)로 송신한다.
도 11은 지불 방법 표시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기(3)는, 제1 교환율 및 고객이 보유한 가상 코인을 제1 통화로 환산한 금액을 수신하면, 지불 방법 표시의 화면에 표시되는 제1 교환율(81) 및 이용 가능한 가상 코인의 금전적인 가치(일본 엔의 환산액(82))를 실시간으로 반복 갱신한다. 또한, 제1 교환율(81) 및 환산액(82) 중 한쪽만이 표시되어도 된다.
고객 단말기(3)가 지불 방법을 지정하는 데이터(지불 방법 지시)를 송신하면,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은, 주문하는 상품 등 및 그 지불 방법 등을 확인하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데이터(확인 표시)를 고객 단말기(3)로 송신한다. 확인 표시에 있어서도,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은 실시간으로 제1 교환율과 고객이 보유한 가상 코인의 평가액을 송신하고, 고객 단말기(3)는 화면에 표시되는 제1 교환율 또는 지불에 사용되는 가상 코인의 금전적인 가치를 실시간으로 갱신한다.
확인 표시의 화면에 대하여 유저가 조작하면, 고객 단말기(3)는 구입 지시와 지불에 사용할 가상 코인을 송신한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은, 구입 지시 및 가상 코인을 수신하면,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으로 화폐 제공 의뢰를 송신한다. 화폐 제공 의뢰는, 가상 코인을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에 환류시켜, 그 가상 코인에 대응하는 금전적 가치의 통화를 제공할 것을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에 의뢰하는 데이터이다.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은, 화폐 제공 의뢰를 수신하면, 가상 코인에 상당하는 일본 엔을 전자 상거래 시스템(2)으로 지불한다는 취지의 정보(지불 정보)를 전자 상거래 시스템(2)으로 송신한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은, 지불 정보를 수신하면, 상품의 주문에 관한 결제 처리를 실행한다.
물론, 지불은 가상 코인과 다른 지불 방법(신용카드 등)의 조합이어도 된다. 도 4의 예에서는 특전으로서의 가상 코인이 발행되지 않지만, 가상 코인이 더 발행되어도 된다.
제2 통화에 대해서는, 고객이 가상 코인을 지불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4)은, 내부 교환율에 따른 금전적 가치로서 지불을 접수하고, 가상 코인을 모아둔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4)에 모아둔 가상 코인의 양이 적정 범위를 넘은 경우에, 전자 상거래 시스템(4)이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에 화폐 제공 의뢰를 송신하고, 제2 교환율에 기초하여 가상 코인의 일부를 US 달러로 교환하고, 제2 교환율에 기초하여 내부 교환율을 갱신한다. 또한, 이 처리는, 가상 코인의 양이 적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뿐만 아니라, 미리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서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매주 또는 매일 정해진 시간에 이 처리가 실행되어도 된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2)에 있어서의 구입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고객 단말기(3)로부터 주문에 관한 구입 수속 지시를 수신하고, 그 후에 주문의 접수가 실행되고, 필요에 따라 가상 코인이 제공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처리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2)에 포함되는 프로세서(11)가 기억부(1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통신부(13) 등을 제어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가상 코인을 발행하는 경우에도, 가상 코인을 이용하여 지불을 하는 경우에도, 도 5에 도시된 처리가 실행된다.
처음에, 전자 상거래 시스템(2)에 포함되는 프로세서(11)는, 통신부(13)가 수신한, 카트 내의 상품에 대한 구입 수속 지시를 취득한다(스텝 S201). 그리고, 프로세서(11)는, 지불 방법을 지정시키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데이터(지불 방법 표시)를 통신부(13)에 고객 단말기(3)를 향해 송신시켜, 교환율 갱신 처리의 실행을 개시한다(스텝 S202). 교환율 갱신 처리는,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에 제1 교환율을 정기적, 계속적으로 문의함으로써 취득된 최신의 제1 교환율을, 고객 단말기(3)로 송신하여, 고객 단말기(3)의 화면에 표시시키는 처리이다. 프로세서(11)는, 교환율 갱신 처리는, 구입 지시를 수신할 때까지 병렬로 실행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1)는, 고객 단말기(3)로부터 통신부(13)가 수신한, 지불 방법 지시를 취득한다(스텝 S203). 그리고, 프로세서(11)는, 주문하는 상품 등 및 그 지불 방법 등을 확인하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데이터(확인 표시)를 통신부(13)에 고객 단말기(3)를 향해 송신시킨다(스텝 S204). 또한, 이 단계에서도 최신의 제1 교환율에 기초하여, 고객 단말기(3)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상 코인에 의한 지불액과 다른 결제 수단에 의한 지불 액수)가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프로세서(11)는, 통신부(13)가 고객 단말기(3)로부터 수신한, 구입 지시를 취득한다(스텝 S205). 구입 지시는, 확인 표시에 나타내어지는 주문의 상품이나 지불 방법을 고객 단말기(3)를 조작하는 고객이 확인하였음을 나타내고, 또한 그에 따른 주문을 전자 상거래 시스템(4)에 접수시키는 지시를 나타낸다.
구입 지시를 취득하면, 프로세서(11)는, 구입 지시와 함께 지불에 사용할 가상 코인 데이터를 수취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206). 가상 코인 데이터를 수취한 경우에는(스텝 S206의 예), 프로세서(11)는, 통신부(13)에 화폐 제공 의뢰를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으로 송신하고, 지불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그 가상 코인을 제1 통화와 교환하고(스텝 S207), 스텝 S208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가상 코인 데이터를 수취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206의 아니오), 스텝 S207을 스킵한다.
스텝 S208에서는, 프로세서(11)는, 확인 표시에 포함되는 지불 방법 등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 및 주문을 접수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주문에 대하여 고객 단말기(3)를 조작하는 고객에게 제공할 특전을 결정한다(스텝 S208).
그리고, 특전으로서 고객에게 가상 코인을 제공할 것이 결정된 경우에는(스텝 S209의 예), 프로세서(11)는, 통신부(13)에,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으로 가상 코인 발행 의뢰를 송신시켜,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으로부터 통신부(13)를 통해 특전의 금전적인 금액에 상당하는 가상 코인 데이터를 취득하고, 고객 단말기(3)로 취득된 가상 코인 데이터를 건네준다(스텝 S210). 특전으로서 고객에게 가상 코인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 결정된 경우에는(스텝 S209의 아니오), 스텝 S210은 스킵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이 실현하는 기능이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이 실현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은 기능적으로, 제1 교환부(51), 제1 충당금 관리부(52), 제1 금전 평가부(53), 제2 교환부(55), 제2 충당금 관리부(56), 제2 금전 평가부(57), 발행부(59), 레이트 관리부(61)를 포함한다. 또한, 레이트 관리부(61)는, 기능적으로 환산부(62), 총 평가부(63), 레이트 산출부(64)를 포함한다. 이들 기능은,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에 포함되는 프로세서(11)가, 기억부(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통신부(13) 등을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제1 교환부(51)는, 주로 프로세서(11)가 기억부(1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통신부(13)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제1 교환부(51)는, 고객에 대한 특전에 상당하며 전자 상거래 시스템(2)으로부터 제공되는 제1 통화에 대하여, 그 제1 통화의 양(이하에서는 「통화량」이라고 기재함) 및 제1 교환율에 따른 양(이하에서는 「기록량」이라고 기재함)의 가상 코인을 제공한다. 또한, 제1 교환부(51)는, 고객에 대하여, 고객이 교환 대상으로 하는 가상 코인의 기록량 및 제1 교환율에 따른 통화량의 제1 통화를 제공한다.
제1 충당금 관리부(52)는, 주로 프로세서(11)가 기억부(1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제1 교환부(51)가 통화량의 제1 통화에 대하여 기록량의 가상 코인을 제공한 경우에, 제1 충당금 관리부(52)는, 그 통화량을 제1 충당금액에 가산한다. 제1 교환부(51)가 기록량의 가상 코인에 대하여 통화량의 제1 통화를 제공한 경우에, 제1 충당금 관리부(52)는, 그 통화량을 제1 충당금액으로부터 감산한다. 제1 충당금액은, 현재 유통되는 가상 코인을 제1 통화와 교환하기 위한 충당금의 금액이다.
제2 교환부(55)는, 주로 프로세서(11)가 기억부(1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통신부(13)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제2 교환부(55)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4)으로부터 제공되는 제2 통화에 대하여, 그 제2 통화의 통화량 및 제2 교환율에 따른 기록량의 가상 코인을 제공한다. 또한, 제2 교환부(55)는, 가상 코인에 대하여, 그 가상 코인의 기록량 및 제2 교환율에 따른 통화량의 제2 통화를 제공한다.
제2 충당금 관리부(56)는, 주로 프로세서(11)가 기억부(1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제2 교환부(55)가 통화량의 제1 통화에 대하여 기록량의 가상 코인을 제공한 경우에, 제2 충당금 관리부(56)는, 그 통화량을 제2 충당금액에 가산한다. 제2 교환부(55)가 기록량의 가상 코인에 대하여 통화량의 제1 통화를 제공한 경우에, 제2 충당금 관리부(56)는, 그 통화량을 제2 충당금액으로부터 감산한다. 제2 충당금액은, 현재 유통되는 가상 코인을 제2 통화와 교환하기 위한 충당금의 금액이다.
여기서,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이 취급하는 통화의 종류의 수가 3 이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n이 3 이상의 정수이며, k가 3 이상 n 이하의 정수인 것으로 하여, 제2 교환부(55)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제k 통화와 가상 코인을 교환하는 제k 교환부와, 제2 충당금 관리부(56)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제k 통화에 관한 제k 충당금액을 관리하는 제k 충당금 관리부가 존재해도 된다.
제1 금전 평가부(53) 및 제2 금전 평가부(57)는, 주로 프로세서(11)가 기억부(1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제1 금전 평가부(53)는, 제1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가상 코인에 대하여 평가된 제1 통화에 있어서의 제1 금전 평가액을 취득한다. 제2 금전 평가부(57)는, 제2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가상 코인에 대하여 평가된 제2 통화에 있어서의 제1 금전 평가액을 취득한다.
발행부(59)는, 마이닝에 의해,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으로부터 고객 등에 제공하기 위한 가상 코인을 미리 취득하고, 취득된 가상 코인을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 내에 모아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금전 평가액은 제1 충당금액과 동일하고, 제2 금전 평가액은 제2 충당금액과 동일하다. 제1 금전 평가부(53)는, 레이트 관리부(61)의 처리를 개시할 때, 제1 금전 평가액으로서 제1 충당금액을 취득한다. 제2 금전 평가부(57)는, 레이트 관리부(61)의 처리를 개시할 때, 제2 금전 평가액으로서 제2 충당금액을 취득한다. 여기서,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이 취급하는 통화의 종류의 수가 n인 경우에는, 제k 통화에 대하여 마찬가지의 처리를 하는 제k 금전 평가부가 존재해도 된다.
환산부(62)는, 주로 프로세서(11)가 기억부(1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환산부(62)는, 환 정보 서버(6)로부터 취득되는, 제1 통화와 제2 통화 사이의 환율에 기초하여 제2 금전 평가액(제2 충당금액)를 제1 통화로 환산한다. 여기서,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이 취급하는 통화의 종류의 수가 n인 경우에는, 환산부(62)는, 환 정보 서버(6)로부터 취득되는, 제1 통화와 제k 통화 사이의 환율에 기초하여 제k 금전 평가액(제k 충당금액)을 제1 통화로 환산해도 된다.
총 평가부(63)는, 주로 프로세서(11)가 기억부(1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총 평가부(63)는, 제1 금전 평가액과 환산된 제2 금전 평가액에 기초하여 총 평가액을 산출한다. 여기서,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이 취급하는 통화의 종류의 수가 n인 경우에는, 제1 금전 평가액과 환산된 제2 금전 평가액, 환산된 제k 금전 평가액의 합을 총 평가액으로서 산출해도 된다.
레이트 산출부(64)는, 주로 프로세서(11)가 기억부(1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레이트 산출부(64)는, 현재 유통되는 가상 코인의 총량으로 총 평가액을 나눔으로써, 제1 통화와 가상 코인의 제1 교환율을 산출한다. 또한 레이트 산출부(64)는, 산출된 제1 교환율과, 제1 통화와 제2 통화의 환율에 기초하여, 제2 교환율을 산출한다.
도 7은, 가상 코인 발행 의뢰에 대한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제1 통화를 가상 코인으로 교환하는 경우의 제1 교환부(51) 및 제1 충당금 관리부(52)의 처리이지만, 제2 통화에 대해서도 제2 교환부(55) 및 제2 충당금 관리부(56)는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고, 제k 교환부, 제k 충당금 관리부도 마찬가지이다.
처음에, 제1 교환부(51)는, 가상 코인 발행 의뢰로부터, 교환의 대상으로 되는 제1 통화의 통화량을 취득한다(스텝 S111). 이어서, 제1 교환부(51)는, 후술하는 레이트 산출부(64)에서 산출된, 제1 교환율을 취득한다(스텝 S112). 제1 교환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통화와 가상 코인의 교환율이다.
제1 교환부(51)는, 취득된 통화량과 취득된 제1 교환율로부터, 제공할 가상 코인의 기록량을 산출한다(스텝 S113).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교환율이 기록량 1의 가상 코인과 교환할 제1 통화의 통화량인 경우에는, 제1 교환부(51)는, 취득된 통화량을 제1 교환율로 나눔으로써 제공할 가상 코인의 기록량을 산출한다.
기록량이 산출되면, 제1 교환부(51)는, 교환의 대상으로 되는 제1 통화의 결제를 처리하고, 기록량의 가상 코인을 발행하고, 발행된 가상 코인을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을 향해 송신한다(스텝 S114). 그리고, 제1 충당금 관리부(52)는, 취득된 통화량을 제1 충당금액에 가산한다(스텝 S115). 또한, 제1 교환부(51)는, 통화량으로부터 수수료를 뺀 금액에 상당하는 가상 코인을 발행해도 된다. 그 경우, 제1 충당금 관리부(52)는 통화량으로부터 수수료를 뺀 값을 제1 충당금액에 가산해도 된다.
도 8은, 화폐 제공 의뢰에 대한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가상 코인을 제1 통화로 교환하는 경우의 제1 교환부(51) 및 제1 충당금 관리부(52)의 처리이지만, 제2 통화에 대해서도 제2 교환부(55) 및 제2 충당금 관리부(56)는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고, 제k 교환부, 제k 충당금 관리부도 마찬가지이다.
처음에, 제1 교환부(51)는, 화폐 제공 의뢰로부터, 교환의 대상으로 되는 가상 코인의 기록량을 취득한다(스텝 S131). 이어서, 제1 교환부(51)는, 후술하는 레이트 산출부(64)에서 산출된, 제1 교환율을 취득한다(스텝 S132).
제1 교환부(51)는, 취득된 기록량과 취득된 제1 교환율로부터, 제공할 제1 통화의 통화량을 산출한다(스텝 S133).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교환율이 기록량 1의 가상 코인과 교환하는 제1 통화의 통화량인 경우에는, 제1 교환부(51)는, 취득된 기록량에 제1 교환율을 곱함으로써 제공할 제1 통화의 통화량을 산출한다.
통화량이 산출되면, 제1 교환부(51)는, 교환의 대상으로 되는 가상 코인의 소유자를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으로 함으로써, 가상 코인을 환류시켜, 산출된 통화량의 제1 통화를 제공하는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34). 제1 교환부(51)는, 구체적으로는,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로부터 전자 상거래 시스템(2)으로의 지불의 채무를 계상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은 리얼타임 또는 결정된 일시에, 송금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제1 충당금 관리부(52)는, 취득된 통화량을 제1 충당금액에 가산한다(스텝 S115). 또한, 제1 교환부(51)는, 통화량으로부터 수수료를 뺀 제1 통화를 제공해도 된다.
도 7, 도 8의 예에서는, 교환율이 역수여도 된다. 이 경우는, 스텝 S113, S213에 있어서, 곱셈과 나눗셈이 교환된다.
다음으로, 제1 교환율이나 제2 교환율을 산출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교환율을 산출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처음에, 제1 금전 평가부(53)는, 제1 금전 평가액으로서, 현시점의 제1 충당금액을 취득한다(스텝 S151). 제2 금전 평가부(57)는, 제2 금전 평가액으로서, 현시점의 제2 충당금액을 취득한다(스텝 S152). 제1 충당금액은, 제1 통화에 있어서의 금액이며, 제2 충당금액은, 제2 통화에 있어서의 금액이다. 환산부(62)는, 현재의 환율을 관리 또는 공개하는 외부의 시스템, 즉 환 정보 서버(6)로부터, 제1 통화와 제2 통화의 환율을 취득한다(스텝 S153).
환산부(62)는, 취득된 제2 충당금액과, 환율에 기초하여, 제2 통화에 있어서의 제2 충당금액을 제1 통화로 환산한다(스텝 S154). 그리고, 총 평가부(63)는, 제1 충당금액과 환산된 제2 충당금액의 합(총 평가액)을, 발행된 가상 코인의 총량으로 나눈 값을 산출한다(스텝 S155). 그리고, 총 평가부(63)는, 산출된 값을 제1 통화와 가상 코인의 제1 교환율로서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스텝 S156).
스텝 S154 및 스텝 S155의 처리를 이하에 수식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RC1은 제1 통화와 가상 코인의 교환율이며, A1은 제1 통화에 있어서의 제1 충당금액, A2는 제2 통화에 있어서의 제2 충당금액, TC는 발행된 가상 코인의 총량이다. E12는 제1 통화와 제2 통화의 환율이며, 제2 통화의 금액에 E12를 곱함으로써 제1 통화로 환산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가상 코인과의 교환이 가능한 통화의 종류의 수가 3 이상(통화의 종류의 수를 n으로 하고, 3≤k≤n으로 함)인 경우에는, 환산부(62)는, 환 정보 서버(6)로부터, 제1 통화와 제k 통화 사이의 환율을 취득하고, 그 환율과, 제k 충당금액에 기초하여 제k 충당금액을 제1 통화로 환산한다. 또한 총 평가부(63)는, 제1 충당금액으로부터 제n 충당금액까지의 합(총 평가액)을, 발행된 가상 코인의 총량으로 나눈 값을 제1 교환율로서 산출한다.
여기서, 계산의 순서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가상 코인의 총량을 스텝 S155에 있어서의 총 평가액으로 나눔으로써 교환율로 산출해도 된다. 또한, 총 평가부(63)에 있어서, 이하의 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충당금액을 발행된 가상 코인의 총량으로 나눈 값과, 제2 충당금액을 발행된 가상 코인의 총량으로 나눈 값을 제1 통화로 환산한 값의 합을, 교환율로서 산출해도 된다.
제1 교환율이 산출되면, 총 평가부(63)는, 산출된 값(제1 교환율)과 환율로부터, 제2 통화와 가상 코인의 제2 교환율을 더 산출하고, 제2 교환율을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스텝 S157). 환율 E12를 사용하여 제1 교환율로부터 제2 교환율을 산출하는 식은 이하와 같다.
RC2는 제2 교환율이다. 통화의 종류의 수가 3 이상인 경우도 마찬가지의 식으로 교환율이 산출된다. 또한, 환율의 정의에 따라서는, 환율에 관련된 식에 있어서, 나눗셈과 곱셈이 교환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2 통화나 제k 통화(k는 3 이상 n 이하)의 각각에 대한 교환율을, 제1 통화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제j 통화(i는 1 이상 n 이하인 정수)에 있어서의 교환율 RCi를 구하는 일반화된 계산식을 이하에 나타낸다.
Aj는 제j 통화(j는 1 이상 n 이하인 정수)에 있어서의 제j 충당금액, Eij는 제i 통화와 제j 통화의 환율이며, 제j 통화의 금액에 Eij를 곱함으로써 제i 통화로 환산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Eii는 1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금까지 가상 코인과 바꾼 화폐에 의한 충당금에 기초하여 화폐와 가상 코인의 교환율이 정해진다. 일반적인 가상 통화에서는 수요와 공급만으로 교환율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때의 수급에 따라 교환율이 크게 변동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환율이 변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교환율은 변동되지 않기 때문에, 교환율의 변동이 상당히 억제된다.
또한, 교환율의 산정에 환율을 합리적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상 코인과 하나의 통화의 교환만을 허용한다고 하는 제약은 불필요하다. 또한, 환 시장과 달리, 복수의 통화의 각각에 독립된 교환소를 마련하고, 환 시장과의 부정합을 제3자에 의한 교환 거래로 조정한다고 하는 구조도 불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가상 코인에서는, 국제적인 이용을 보다 용이하게 실현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본 실시 형태는, 교환율의 큰 변동의 방지와, 국제적인 이용을 양립시킨 전자적인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교환율을 사용하는 가상 코인에 의해, 시스템 구성을 보다 최적화, 간략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처리 부하가 경감된다.
가령, 복수의 나라의 각각에, 그 나라의 통화에 관련된 전자적 가치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치하고, 추가로 어떤 나라의 유저가 타국의 시스템에 대하여 그 나라의 통화에 관련지어진 전자적 가치를 지불에 사용한다고 하자. 이 경우, 어떤 유저의 전자적 가치를 타국에서의 지불에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복수의 나라의 시스템끼리를 접속할 필요가 있다. 나라의 수를 N이라 하면, 그 접속의 수는 N×(N-1)/2이다. 나라의 수가 증가하면 접속의 수가 대폭 증가하여, 시스템이 복잡화한다.
이에 비하여, 결제의 기본이 되는 중앙 통화를 마련하고, 그 중앙 통화를 취급하는 나라에 배치되는 중앙 시스템과 타국의 시스템을 접속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접속의 수는 (N-1)이다. 이 경우, 타국의 시스템측에서 그 나라의 통화에 결부되는 전자적 가치를 환 시장에서 중앙 통화로 교환한다. 그렇게 하면, 타국에서 전자적인 가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항상 중앙 통화로의 교환이 발생하기 때문에, 환율에 관한 처리량이 증가한다. 또한 중앙 시스템을 일단 설치하면, 타국으로 이전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진다.
다른 방법으로서, 어떤 나라의 시스템을 중앙 시스템으로 하여 타국의 시스템과 접속하면서도, 중앙 통화를 마련하지 않는 것도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중앙 시스템에서 모든 통화를 취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중앙 시스템의 처리 부하가 커서, 규모를 크게 하는 것이 어렵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국의 통화와의 교환율은 반복해서 산출되기는 하지만, 환 시장에 의한 통화적인 가치의 교환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어떤 나라(지역이어도 됨)에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을 배치하고, 다양한 나라에 있는 시스템으로부터 접속을 접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때,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하면서 성능상의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가상 통화에 비해서도 시스템 구성이나 성능면에서 이점이 발생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교환율의 산출은 용이하며, 가상 코인과 실제의 통화 중 한쪽에 대한 다른 쪽의 교환량의 산출도 용이하다. 일반적인 가상 통화(암호 자산)의 경우, 실제의 통화와 가상 통화를 교환할 때에는, 시장을 실현할 시장 시스템에 의해 교환율을 결정하고, 실제의 통화와 가상 통화를 교환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시장 시스템은, 가상 통화로부터 실제의 통화로의 교환의 복수의 의뢰와, 실제의 통화로부터 가상 통화로의 교환의 복수의 의뢰를 취득하고, 그 의뢰에 따라서 교환율을 변동시켜, 가상 통화의 양이 거의 일치하면 거래를 성립시킨다고 하는 복잡한 처리를 실시간으로 행하고 있다. 이 처리에서는, 내부에서 많은 의뢰를 병행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많은 메모리나 처리량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상 코인과 실제의 통화의 교환율은, 환율과, 가상 코인의 총량과, 제1 충당금액과, 제2 충당금액이라고 하는, 시스템 내에서 용이하게 관리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의 취득이 용이한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복수의 교환을 병행하여 관리할 필요는 없다. 이에 의해,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에서 교환율을 산출하는 처리나 가상 코인과 실제의 통화를 교환하는 처리가 단순하게 되어, 그것들의 처리 부하가 경감된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거래에 있어서의 소위 포인트처럼, 유저가 상품을 구입한 경우에, 그 구입액에 따라서 정해진 비율의 가상 코인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다른 경우에 유저에게 가상 코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포인트와 같은 금액에 상당하는 가상 코인을 포인트와 병행하여 별도 제공할 수도 있고, 법정 통화와 교환하는 형태로 가상 코인을 판매할 수도 있다. 또는, 소정의 캠페인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무상으로 가상 코인을 유저에게 제공해도 된다. 또는, 예를 들어 제3자가 운영하는 가상 통화 거래소 등에 제공하고, 가상 통화 거래소에 있어서 유저간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의 기억부(12)에 저장되는 가상 코인 소유 정보는, 소위 분산형의 퍼블릭 블록 체인에 있어서의 분산대장으로서 그 소유자나 유통이 관리되는 것으로서 발행할 수도 있고, 프라이빗 블록 체인에 의해 관리될 수도 있다. 또는, 블록 체인에 의한 분산대장이 아니라, 중앙집권적인 관리 서버에 있어서 전자적 가치의 유통을 관리해도 된다.
전자적 가치는, 서로 다른 통화를 사용하는 나라의 사이에서도 이용 가능한 포인트여도 된다. 포인트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포인트 정보는, 도 10에 도시된 가상 코인 소유 정보로부터 가상 코인 ID가 삭제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포인트의 이용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2)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고객 단말기(3)로부터 주문에 관한 구입 수속 지시를 수신하고, 그 후에 주문의 접수가 실행되며, 필요에 따라 포인트가 발행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처리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2)에 포함되는 프로세서(11)가 기억부(1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통신부(13) 등을 제어함으로써 실행된다. 이하에서는 주로 도 5와의 상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1) 대신에 포인트와 실제의 통화를 교환하는 포인트 관리 시스템이 존재한다.
처음에, 전자 상거래 시스템(2)에 포함되는 프로세서(11)는, 통신부(13)가 수신한 구입 수속 지시를 취득한다(스텝 S251). 그리고, 프로세서(11)는, 지불 방법 표시를 통신부(13)에 고객 단말기(3)를 향해 송신시켜, 교환율 갱신 처리의 실행을 개시한다(스텝 S252). 교환율 갱신 처리는, 포인트 관리 시스템에 제1 교환율을 정기적, 계속적으로 문의함으로써 취득된 최신의 제1 교환율을, 고객 단말기(3)로 송신하여, 고객 단말기(3)의 화면에 표시시키는 처리이다.
그리고, 프로세서(11)는, 고객 단말기(3)로부터 통신부(13)가 수신한, 지불 방법 지시를 취득한다(스텝 S253). 그리고, 프로세서(11)는, 확인 표시를 통신부(13)에 고객 단말기(3)를 향해 송신시킨다(스텝 S254). 그 후, 프로세서(11)는, 통신부(13)가 고객 단말기(3)로부터 수신한, 구입 지시를 취득한다(스텝 S255).
구입 지시를 취득하면, 프로세서(11)는, 구입 지시와 함께 포인트 이용의 지시를 수취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256). 포인트 이용의 지시를 수취한 경우에는(스텝 S256의 예), 프로세서(11)는, 통신부(13)에 화폐 제공 의뢰를 포인트 관리 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지불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그 포인트를 제1 통화와 교환하여 교환된 제1 통화를 고객으로부터의 지불에 충당한다(스텝 S257). 또한 포인트 이용의 지시를 수취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256의 아니오), 스텝 S257을 스킵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1)는, 확인 표시에 포함되는 지불 방법 등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 및 주문을 접수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주문에 대하여 고객 단말기(3)를 조작하는 고객에게 제공할 특전을 결정한다(스텝 S208).
그리고, 특전으로서 고객에게 포인트를 발행할 것이 결정된 경우에는(스텝 S259의 예), 프로세서(11)는, 통신부(13)에, 포인트 관리 시스템으로 포인트 발행 의뢰를 송신시키고, 포인트 관리 시스템에, 특전의 금전적인 금액에 상당하는 포인트를 발행시킨다(스텝 S260). 특전으로서 고객에게 포인트를 발행하지 않을 것이 결정된 경우에는(스텝 S259의 아니오), 스텝 S260은 스킵된다.
포인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도 7, 도 8, 도 9와 유사한 처리가 실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들의 유사한 처리에 있어서, 가상 코인을 포인트로 대체하는 것 외에 이하의 상이점이 있다. 스텝 S114의 가상 코인의 발행 및 송신 대신에, 포인트 정보에 있어서의 유저의 포인트 잔고를, 교환된 포인트의 기록량만큼 증가시키는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134의 가상 코인의 환류 대신에 포인트 정보에 있어서의 유저의 포인트 잔고를, 교환되는 포인트의 양만큼 감소시키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포인트의 경우라도, 가상 코인과 유사한 처리에 의해, 국제적인 이용을 적은 처리 부하로 실현 가능한 특성을 갖는, 전자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2)에 있어서의 매매에 따라서 가상 코인이 전송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개인간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1 단위당 가상 코인의 금전적 가치가 유저간에서의 자유로운 수요 공급의 밸런스에 의해 변동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전자 상거래 시스템(2)에 있어서의 매매에 있어서 가상 코인을 이용할 때의 가상 코인의 가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해지기 때문에, 시장에 있어서의 가상 코인의 금전적 가치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산출되는 금전적 가치의 근방에 수렴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1: 가상 통화 관리 시스템
2, 4: 전자 상거래 시스템
3, 5: 고객 단말기
11: 프로세서
12: 기억부
13: 통신부
14: 입출력부
51: 제1 교환부
52: 제1 충당금 관리부
53: 제1 금전 평가부
55: 제2 교환부
56: 제2 충당금 관리부
57: 제2 금전 평가부
59: 발행부
61: 레이트 관리부
62: 환산부
63: 총 평가부
64: 레이트 산출부
81: 제1 교환율
82: 환산액

Claims (12)

  1. 제1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평가된 상기 제1 통화에 있어서의 제1 금전 평가액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과,
    제2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평가된 상기 제2 통화에 있어서의 제2 금전 평가액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과,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제2 통화 사이의 환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금전 평가액을 상기 제1 통화로 환산하는 환산 수단과,
    상기 제1 금전 평가액과, 상기 환산된 제2 금전 평가액을 합한 값과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의 총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전자적 밸류의 교환율을 산출하는 레이트 산출 수단
    을 포함하는,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전 평가액과 상기 환산된 제2 금전 평가액에 기초하여 총 금전 평가액을 산출하는 총 평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트 산출 수단은, 현재 유통되는 상기 전자적 밸류의 총량으로 상기 총 금전 평가액을 나눔으로써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전자적 밸류의 교환율을 산출하는,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전 평가액은, 상기 제1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는 전자적 밸류에 따라서 상기 제1 통화에 의해 충당되는 충당금이며,
    상기 제2 금전 평가액은, 상기 제2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는 전자적 밸류에 따라서 상기 제2 통화에 의해 충당되는 충당금인,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교환율에 기초하여, 주어진 기록량을 갖는 전자적 밸류와, 당해 전자적 밸류에 대응하는 통화량의 상기 제1 통화를 교환하는 제1 통화 교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교환율에 기초하여, 주어진 기록량을 갖는 전자적 밸류와, 당해 전자적 밸류에 대응하는 통화량의 상기 제2 통화를 교환하는 제2 통화 교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부여되는 제1 통화량의 상기 제1 통화에 대하여, 상기 제1 통화량 및 상기 교환율에 따른 제1 기록량을 갖는 전자적 밸류를 제공하고, 부여되는 제2 기록량의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상기 제2 기록량 및 상기 교환율에 따른 제2 통화량의 상기 제1 통화를 제공하는 제1 통화 교환 수단과,
    부여되는 제3 통화량의 상기 제2 통화에 대하여, 상기 제3 통화량 및 상기 교환율에 따른 제3 기록량을 갖는 전자적 밸류를 제공하고, 부여되는 제4 기록량의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상기 제4 기록량 및 상기 교환율에 따른 제4 통화량의 상기 제2 통화를 제공하는 제2 통화 교환 수단과,
    상기 제1 통화에 대하여 상기 전자적 밸류가 제공된 경우에, 상기 제1 통화량에 상당하는 값을 당해 제1 통화에 있어서의 충당금인 제1 충당금에 가산하고, 상기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상기 제1 통화가 제공된 경우에, 상기 제2 통화량에 상당하는 값을 상기 제1 충당금으로부터 감산하는, 제1 충당금 관리 수단과,
    상기 제2 통화에 대하여 상기 전자적 밸류가 제공된 경우에, 상기 제3 통화량에 상당하는 값을 당해 제2 통화에 있어서의 충당금인 제2 충당금에 가산하고, 상기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상기 제2 통화가 제공된 경우에, 상기 제4 통화량에 상당하는 값을 상기 제2 충당금으로부터 감산하는, 제2 충당금 관리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
  8. 제1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평가된 상기 제1 통화에 있어서의 제1 금전 평가액을 취득하는 스텝과,
    제2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평가된 상기 제2 통화에 있어서의 제2 금전 평가액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제2 통화 사이의 환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금전 평가액을 상기 제1 통화로 환산하는 스텝과,
    상기 제1 금전 평가액과, 상기 환산된 제2 금전 평가액을 합한 값과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의 총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전자적 밸류의 교환율을 산출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전자적 밸류 관리 방법.
  9. 제1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평가된 상기 제1 통화에 있어서의 제1 금전 평가액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
    제2 통화에 관하여 발행되어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에 대하여 평가된 상기 제2 통화에 있어서의 제2 금전 평가액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 및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제2 통화 사이의 환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금전 평가액을 상기 제1 통화로 환산하는 환산 수단과,
    상기 제1 금전 평가액과, 상기 환산된 제2 금전 평가액을 합한 값과 현재 유통되는 전자적 밸류의 총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화와 상기 전자적 밸류의 교환율을 산출하는 레이트 산출 수단
    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0. 제1항에 있어서,
    산출된 상기 교환율은 제1 교환율이며, 상기 레이트 산출 수단은 상기 제1 교환율과 상기 환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화와 상기 전자적 밸류의 제2 교환율을 산출하는,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산출된 상기 교환율은 제1 교환율이며, 상기 제1 교환율과 상기 환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화와 상기 전자적 밸류의 제2 교환율을 산출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적 밸류 관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산출된 상기 교환율은 제1 교환율이며, 상기 레이트 산출 수단은 상기 제1 교환율과 상기 환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화와 상기 전자적 밸류의 제2 교환율을 산출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207035900A 2018-12-28 2019-11-01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 전자적 밸류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78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8/048606 2018-12-28
PCT/JP2018/048606 WO2020136910A1 (ja) 2018-12-28 2018-12-28 電子的バリュー管理システム、電子的バリュー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CT/JP2019/043105 WO2020137163A1 (ja) 2018-12-28 2019-11-01 電子的バリュー管理システム、電子的バリュー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525A KR20210010525A (ko) 2021-01-27
KR102578646B1 true KR102578646B1 (ko) 2023-09-15

Family

ID=6932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900A KR102578646B1 (ko) 2018-12-28 2019-11-01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 전자적 밸류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01344A1 (ko)
JP (1) JP6640429B1 (ko)
KR (1) KR102578646B1 (ko)
SG (1) SG11202011582TA (ko)
TW (1) TWI752385B (ko)
WO (2) WO2020136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2820B2 (ja) * 2017-06-01 2022-05-23 株式会社 エヌティーアイ データ構造、送信装置、受信装置、決済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677728B2 (en) * 2021-08-31 2023-06-13 Coinbase, Inc. Secure authorization and transmission of data between trustless acto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3445A (ja) * 2010-11-22 2012-06-14 Butterfly Corp 共通ポイント管理サーバ、共通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仮想通貨交換プログラム
JP6356265B2 (ja) 2014-12-24 2018-07-11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決済システムおよび決済方法
US20180225639A1 (en) 2015-08-12 2018-08-09 International Monetary Exchange Ltd. Digital currency and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alue using the digital currenc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1455A (en) * 1980-05-19 1981-12-11 Mitsubishi Rayon Co Lt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paintability
JPH10269395A (ja) * 1997-03-25 1998-10-09 Hitachi Ltd 電子通貨対応外貨両替装置
JP2001195479A (ja) 2000-01-07 2001-07-19 Sony Corp 独自通貨管理方法及び独自通貨管理システム、独自通貨と既存通貨間の為替レート算出方法及び為替レート算出システム、既存通貨の重み決定方法及び重み決定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憶媒体、並びに、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09134456A (ja) * 2007-11-29 2009-06-18 Nec Corp 電子マネー自動両替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041810A1 (en) * 2010-08-13 2012-02-16 Loylogic Licensing Inc. Universal System and Method for Loyalty Currency Redemption
US10210490B2 (en) * 2015-02-13 2019-02-19 Sony Corporation Processing electronic monetary transactions using plurality of virtual currency instruments
US20180174237A1 (en) * 2016-12-21 2018-06-2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erson-to-person arbitrary currency exchange service
JP6696089B2 (ja) * 2017-02-06 2020-05-20 株式会社 ゆうちょ銀行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352463B1 (ja) * 2017-02-21 2018-07-04 株式会社三菱Ufj銀行 仮想通貨管理装置、仮想通貨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3445A (ja) * 2010-11-22 2012-06-14 Butterfly Corp 共通ポイント管理サーバ、共通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仮想通貨交換プログラム
JP6356265B2 (ja) 2014-12-24 2018-07-11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決済システムおよび決済方法
US20180225639A1 (en) 2015-08-12 2018-08-09 International Monetary Exchange Ltd. Digital currency and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alue using the digital curr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136910A1 (ja) 2021-02-18
WO2020136910A1 (ja) 2020-07-02
WO2020137163A1 (ja) 2020-07-02
TWI752385B (zh) 2022-01-11
TW202029087A (zh) 2020-08-01
SG11202011582TA (en) 2020-12-30
KR20210010525A (ko) 2021-01-27
JP6640429B1 (ja) 2020-02-05
US20210201344A1 (en)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5688B2 (ja) 暗号資産管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78646B1 (ko) 전자적 밸류 관리 시스템, 전자적 밸류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20150149325A1 (en) Purchase management device, purchase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mory medium
JP6183942B1 (ja)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制約判定装置
JP688305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710179B1 (en) Tools for purchasing transactions
JP4183123B2 (ja) 投資システムとそ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969791B1 (ko) 신용카드 가맹점의 매출채권에 할인율 및 회수율을 적용한 여신정보를 제공하는 여신 정보 단말기
JP2018055398A (ja) ポイント使用斡旋システムおよびポイント使用斡旋方法
JP6353177B1 (ja) 情報処理装置
WO202013680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JP7256322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003049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9044920A1 (ja) ポイント変換システム
KR100660269B1 (ko) 분산 가변 가맹점 수수료율 설정에 따른 신용카드 결제처리 방법
KR20140016176A (ko) 상조쿠폰 제공 서비스 방법
JP7223626B2 (ja) サーバおよび端末
KR20140113082A (ko) 사용자 정의 els 프라이싱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024040855A (ja) 情報処理装置、ユーザ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0144739A (ja)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US201803419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t sales promotion using sales profit distribution
KR101006690B1 (ko) 신용카드 가맹점의 매출채권에 할인율 및 회수율을 적용한 여신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JP2024061272A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JP2010146122A (ja) サービスポイント還元システム
JP2006011502A (ja) 加盟店売掛債権格付け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