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165B1 -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 - Google Patents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165B1
KR102578165B1 KR1020210064946A KR20210064946A KR102578165B1 KR 102578165 B1 KR102578165 B1 KR 102578165B1 KR 1020210064946 A KR1020210064946 A KR 1020210064946A KR 20210064946 A KR20210064946 A KR 20210064946A KR 102578165 B1 KR102578165 B1 KR 102578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module
kicker
slo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7183A (ko
Inventor
조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의식주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의식주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의식주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064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165B1/ko
Priority to US17/748,078 priority patent/US20220275555A1/en
Priority to JP2022082961A priority patent/JP7416557B2/ja
Publication of KR20220157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3/00Counting, sorting, or mar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aundry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3/00Counting, sorting, or mar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aundry purposes
    • D06F93/005Mark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06F95/002Baskets or bag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or transporting laundry; Supports therefor
    • D06F95/004Bags; Support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분류하는 세탁 분류 모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세탁 분류 모듈에서 출하 적합 판정으로 분류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키커 모듈, 상기 세탁 분류 모듈에서 부적합 판정으로 분류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임시 수용 모듈 및 상기 임시 수용 모듈에 수용된 세탁물의 부적합 요인을 해소시킨 이후 다시 키커 모듈로 세탁물을 전달하는 세탁 재분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세탁 분류 모듈은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 바코드가 없는 경우,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 바코드가 있으나 인식이 불가한 경우 및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 바코드가 있고, 인식도 가능하지만 상기 키커 모듈에 수용할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세탁물을 임시 수용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 {Automatic laundry dispensing device of Non-Facial Laundry Service}
본 발명은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에 묻은 때와 먼지 등의 오염물을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제거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한 세탁은 일반적으로 물과 세제를 써서 오염물을 제거하는 물세탁(습식세탁)과 유기용제를 써서 오염물을 제거하는 드라이클리닝(건조세탁)의 두 가지로 크게 나뉜다. 물세탁은 물을 주로 사용하므로 가정에서 쉽게 할 수 있으나, 드라이클리닝은 특수한 설비와 기술이 필요하므로 주소 세탁소에서 전문적으로 행해지는데, 물과 세제에 의한 손상, 또는 소재의 형태가 변할 우려가 있는 의복에 효과적이다.
현재 세탁소에서는 드라이클리닝과 같은 세탁뿐 아니라 물세탁이나 의복 수선도 행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세탁소는 널리 보편화 됨과 동시에 점자 대형화, 전문화, 기계화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세탁소에서의 세탁 서비스 방법을 살펴보면, 고객이 세탁소를 방문하여 세탁물을 맡기고 세탁 일정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업주가 고객의 집을 직접 방문하여 세탁물을 수거하고 세탁일정을 알려주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고객이 세탁소를 직접 방문하거나 업주가 고객 집을 직접 방문하는 방식인데, 고객이 세탁물을 맡기기 위하여 세탁소를 방문하였는데 배달중의 이유로 업주가 없을 경우에는 업주가 돌아올 때까지 마냥 기다려야 하거나 다음에 다시 세탁소를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업주 입장에서는 무작정 모든 고객의 집을 방문하여야 하므로 시간적인 손실과 육체적인 고통이 따르며, 세탁물을 배달 중일 경우에는 고객이 세탁소를 방문하여도 세탁물을 의뢰받을 수 없으므로, 경제적인 손실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주거밀집지역을 이루는 아파트의 상가에는 세탁소를 갖게 되며, 이러한 세탁소에는 주민의 편의를 위해 전화 신청을 받은 후 방문하여 세탁물을 수거하거나 또는, 각 동의 아파트 복도를 정해진 시간에 돌아다니면서 소리 질러 세탁물을 수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세탁물 수거자가 정해진 시간에 각 동의 아파트를 돌아다니면서 소리를 질러야 하는 관계로, 아파트의 입주자들이 이에 호응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당한 노동력을 소비하여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즉, 다수의 가구를 이루는 아파트에서 모든 주민이 세탁물 수거자가 정한 시간에 세탁물을 꺼내지 않고 입주자가 필요로 하는 시간에 세탁물을 꺼내는 경우가 더 많으므로, 세탁물 수거자는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따라서, 세탁물을 현관문 앞에 두고 가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분실이나, 세탁물이 외부인에게 보여짐으로 인한 사생활 노출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세탁물 관리 방식은 세탁소에서 고객으로부터 세탁물을 인도받으면 장부에 고객 정보를 수기로 기록하고, 송장을 교부하게 된다.
그리고 세탁소의 작업자는 세탁물에 송장 번호가 기재된 번호표를 부착하고, 세탁을 마친 후에는 특정 구역을 의미하는 문자나 기호로 이루어진 인식부호를 미리 표기하고, 송장 번호와 인식부호를 장부에 기록해놓고 세탁물을 특정 구역에 걸어놓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객이 원하는 기일 또는 시간이 되어 송장을 가지고 세탁소에 방문하면, 작업자는 장부를 열람하고 해당 고객의 세탁물이 어느 구역에 걸려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다시 해당 구역으로 작업자가 직접 이동하여 해당 세탁물을 찾아 세탁물을 고객에게 인도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세탁물 관리 방식은 영세한 사업장인 경우에는 일정부분 운영이 가능하나, 대규모 사업장인 경우에는 세탁물 및 고객의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당 세탁물을 찾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작업능률의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출하 되어야 하는 세탁물과 고객의 수가 많은 경우 제한된 공간에서 세탁물을 입고 및 출하시키는데 있어서, 공간 및 시간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출하 되어야 하는 세탁물과 고객의 수가 많은 경우 제한된 공간에서 세탁물을 입고 및 출하시키는데 있어서, 공간 및 시간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분류하는 세탁 분류 모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세탁 분류 모듈에서 출하 적합 판정으로 분류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키커 모듈, 상기 세탁 분류 모듈에서 부적합 판정으로 분류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임시 수용 모듈 및 상기 임시 수용 모듈에 수용된 세탁물의 부적합 요인을 해소시킨 이후 다시 키커 모듈로 세탁물을 전달하는 세탁 재분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세탁 분류 모듈은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 바코드가 없는 경우,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 바코드가 있으나 인식이 불가한 경우 및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 바코드가 있고, 인식도 가능하지만 상기 키커 모듈에 수용할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세탁물을 임시 수용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탁 분류 모듈은 복수의 세탁물의 출하 예정 시기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출하 예정 시기 정보를 가진 세탁물만을 상기 키커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탁 분류 모듈이 상기 키커 모듈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에 모두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어 세탁물을 상기 임시 수용 모듈로 전달한 경우, 상기 키커 모듈은 출하 되어야 하는 세탁물이 모두 수집된 슬롯이 발생하는 수간 수용된 세탁물을 출하 시키고, 출하가 완료된 상기 슬롯 정보를 상기 세탁 재분류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탁 분류 모듈이 상기 키커 모듈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에 모두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어 세탁물을 상기 임시 수용 모듈로 전달한 경우, 상기 키커 모듈에 출하 되어야 하는 세탁물이 모두 수집된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하가 되어야 하는 전체 세탁물의 양이 가장 적은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슬롯 정보를 나열하여, 이를 상기 세탁 재분류 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탁 분류 모듈이 상기 키커 모듈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에 모두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어 세탁물을 상기 임시 수용 모듈로 전달한 경우, 상기 키커 모듈에 출하 되어야 하는 세탁물이 모두 수집된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하가 되기 위해 추가적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세탁물의 양이 적은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슬롯 정보를 나열하여, 이를 상기 세탁 재분류 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출하 되어야 하는 세탁물과 고객의 수가 많은 경우 제한된 공간에서 세탁물을 입고 및 출하시키는데 있어서, 공간 및 시간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세탁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세탁 서비스 시스템의 알림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세탁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세탁물 가방이 사용자의 문제 잠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그러나, "부"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서, 함수, 속성, 프로시저, 서브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어레이 및 변수를 포함한다. 구성요소와 "부"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 및 "부"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부"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하여"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기술되는,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인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며, 이 표현은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인자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배송 및 수거 시스템을 도시한 블락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배송 및 수거 시스템은 전자 태그부(100), 단말(200) 및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수거 관리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세탁물 수거 관리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세탁물 수거 관리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태그부(100)는 세탁물의 수거를 요청하는 고객으로부터 사업자로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수거 태깅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 태그부(100)는 NFC 태그, 바코드, QR 코드, RFID 태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 태그부(100)는 고객이 거주하는 집 내부(예를 들어 거실, 방, 주방, 가전제품 등 포함), 차량등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태그부(100)는 상기 고객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2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텔레비전(Television), 3D 텔레비전, 홈 시어터(Home Theater) 시스템,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상기 전자 태그부(100)를 태그하여 상기 전자 태그부(100)에 포함된 수거 태깅 정보를인식(또는 획득)한다.
즉, 고객이 세탁업자에게 세탁물을 맡기고자 세탁물이 든 세탁물 보관 가방(미도시)을 미리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미도시)에 넣은 후, 상기 단말(200)은 상기 전자 태그부(100)와의 태깅을 통해 상기 수거 태깅 정보를 인식한다.
여기서, 상기 세탁물 보관 가방은 고객이 세탁업자에게 세탁물을 맡기거나 세탁물을 돌려받을 때 이용하는 가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은 동네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설치한다.
또한, 고객이 세탁물을 세탁업자에게 맡기고자 할 경우, 고객은 세탁물을 상기 세탁물 보관 가방에 넣은 후, 상기 세탁물 보관 가방을 상기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에 보관한다(또는 넣어둔다)
세탁업자는 상기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 내부에 보관된 상기 세탁물 보관 가방을 수거하여, 상기 세탁물 보관 가방 내의 세탁물에 대한 세탁을 진행한다.
또한, 세탁업자는 세탁된 세탁물을 상기 세탁물 보관 가방에 넣어 고객에게 직접 전달하거나 상기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을 이용하여 전달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상기 수거 태깅 정보를 근거로 세탁 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세탁 요청 정보는 상기 수거 태깅 정보, 단말(200)의 식별 정보, 상기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의 식별 정보, 고객 정보, 세탁물 투입 일시 정보(예를 들어, 날짜, 시각 정보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고객에 대한 주소, 연락처, 이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물 투입 일시 정보는 상기 수거 태깅 정보가 인식될 시점 또는 상기 세탁 요청 정보가 생성될 시점의 날짜 및 시각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상기 생성된 세탁 요청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상기 전송된 세탁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세탁물 수거 확인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상기 수신된 세탁물 수거 확인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배달 일정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배달 일정 정보는 상기 단말(200)의 고객(또는 사용자)이 맡긴 해당 세탁물에 대응하는 세탁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의 식별 정보, 상기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또는 지도 정보), 배달 예정 일자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상기 수신된 배달 일정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출력 중인 상기 배달 일정 정보에 포함된 배달 일정에 해당 세탁물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상기 배달 일정의 변경을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200)은 배달 일정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배달 일정 변경 정보는 변경하고자 하는 변경 일자 정보, 상기 단말(200)의 식별 정보, 상기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상기 생성된 배달 일정 변경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에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스마트 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MP 단말기, 텔레매틱스 단말기, 내비게이션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울트라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와이브로 단말기, IPTV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텔레비전, 3D 텔레비전, 홈시어터 시스템, AVN 단말기, A/V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상기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세탁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수신된 세탁 요청 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을 사용하는 사업주(또는 세탁업자)는 고객으로부터의 세탁 요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세탁 요청 정보를 근거로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별로 수거된 세탁물의 카운트 정보를 누적(또는 생성/획득)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상기 단말(200) 이외에도 다른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미도시)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세탁 요청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세탁물 수거용보관함별로 카운트 정보(또는 상기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별로 수거된 세탁물의 카운트 정보)를 누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상기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또는 지도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상기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세탁 요청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또는 고객의 세탁 요청을 확인하였음)을 나타내는 세탁물 수거 확인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세탁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생성된 세탁물 수거 확인 정보를 상기 단말(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별로 누적되는 카운트 정보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알람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알람 정보는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카운트 정보에 대응하는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상기 생성된 알람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해당 세탁물에 대한 세탁이 완료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배달 일정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배달 일정 정보는 해당 세탁물에 대응하는 세탁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의
식별 정보, 상기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또는 지도 정보), 배달 예정 일자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해당 세탁물에 대응하는 세탁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200)에 상기 생성된 배달 일정 정보를 전송한다.
즉, 사업자가 상기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에 세탁 완료된 세탁물을 놓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상기 배달 일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배달 일정 정보를 상기 단말(200)에 전송한다.
또한, 사업자가 상기 세탁 완료된 세탁물을 고객에게 미리 지정된 시점에 직접 배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상기 배달 일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배달 일정 정보를 상기 단말(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상기 전송된 배달 일정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배달 일정 변경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배달 일정 변경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배달 일정 변경 정보를 근거로 상기 배달 일자 정보를 업데이트(또는 수정/변경)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이 상기 단말(200)과 직접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말(200)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 사이에 구성되는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200)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 사이에 상기 서버가 구성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의 일부 기능이 상기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버는 하나 이상의 단말(20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세탁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세탁 요청 정보를 근거로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별로 수거된 세탁물의 카운트 정보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카운트 정보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알람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배달 일정 정보를 해당 단말(200)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배달 일정 변경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장소에 비치된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을 이용하여 고객이 간편한 방법에 의하여 세탁소에 세탁물을 의뢰하고자 할 때, 전자 태그를 통해 세탁물 의뢰 상태를 서비스 제공자 단말에 알릴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장소에 비치된 세탁물 수거용 보관함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의뢰 세탁물의 개수를 간편하게 확인하고, 적절한 시기에 세탁물을 취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고객이 세탁물의 배달 일정을 간편하게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이에 대한 변경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배송 및 수거 시스템의 알림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락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가방을 사용자의 문 앞에 잠금상태로 놓은 상태에서, 세탁물 가방을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잠금과 해제가 가능하여야 사용자에게 언제든지 세탁물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본원 발명의 본질적인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가방은 잠금장치 (551), 상기 잠금장치 (551) 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553), 전원부 (553) 의 남은 전원을 센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원센서 (559), 사용자의 스마트폰 (600) 으로부터 신호를 송신/수신하는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금장치 (551) 는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잠금 컨트롤러 (5511) 및 상기 잠금 컨트롤러 (5511) 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잠금 작동을 하는 잠금 작동부 (5513)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센서 (559) 는 전원부 (553) 에 남은 전원을 센싱하는 역할을 하고, 센싱된 전원부 (553) 의 전원 정보를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로 전달할 수 있고,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로 전달된 전원부 (553) 의 전원 정보는 스마트폰 (600) 의 블루투스 송수신부 (690) 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같이, 사용자의 스마트폰 (600) 으로 전달된 전원부 (553) 의 전원 정보는 사용자가 앱을 실행한 경우, 인터넷 망을 통하여 관리자의 서버로 실시간으로 전달되어, 관리자는 세탁물 가방의 전원부 (553) 의 남은 전원을 실시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의 세탁물 가방은 전원부 (553) 로부터 잠금장치 (551) 및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블루투스 전원 차단 스위치 (555)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전원 차단 스위치 (555) 는 평소에는 잠금장치 (551) 및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대기 상태에서는 잠금장치 (551) 나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에 전력이 차단되어 대기 상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세탁물 가방의 잠금장치를 작동하는 일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600) 에 구비된 잠금앱실행부 (630) 를 실행하여 세탁물 가방의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잠금앱을 실행할 수 있고, 이 경우 잠금장치 전원인가 상태표시부 (650) 에 의해 잠금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잠금장치 개방/잠금 누름부 (670) 를 작동하면,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송수신부 (690) 를 통하여, 잠금장치의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에 제어 신호가 전달되게 된다.
제어 신호가 잠금장치의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에 전달되면, 블루투스 전원 차단 스위치 (555) 는 해제되어, 잠금장치는 대기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잠금 장치 (551) 의 잠금 컨트롤러 (5511) 로 전달되고, 잠금 컨트롤러 (5511) 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잠금 작동부 (5513) 을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간단한 스마트폰 (600)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가방의 잠금을 해제 또는 설정할 수 있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비대면 세탁 서비스 시스템에 사용되는 세탁물 가방과 스마트폰 구성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2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가방을 사용자의 문 앞에 잠금상태로 놓은 상태에서, 세탁물 가방을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잠금과 해제가 가능하여야 사용자에게 언제든지 세탁물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본원 발명의 본질적인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가방은 잠금장치 (551), 상기 잠금장치 (551) 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553), 전원부 (553) 의 남은 전원을 센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원센서 (559), 사용자의 스마트폰 (600) 으로부터 신호를 송신/수신하는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금장치 (551) 는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잠금 컨트롤러 (5511) 및 상기 잠금 컨트롤러 (5511) 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잠금 작동을 하는 잠금 작동부 (5513)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센서 (559) 는 전원부 (553) 에 남은 전원을 센싱하는 역할을 하고, 센싱된 전원부 (553) 의 전원 정보를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로 전달할 수 있고,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로 전달된 전원부 (553) 의 전원 정보는 스마트폰 (600) 의 블루투스 송수신부 (690) 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같이, 사용자의 스마트폰 (600) 으로 전달된 전원부 (553) 의 전원 정보는 사용자가 앱을 실행한 경우, 인터넷 망을 통하여 관리자의 서버로 실시간으로 전달되어, 관리자는 세탁물 가방의 전원부 (553) 의 남은 전원을 실시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의 세탁물 가방은 전원부 (553) 로부터 잠금장치 (551) 및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블루투스 전원 차단 스위치 (555)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전원 차단 스위치 (555) 는 평소에는 잠금장치 (551) 및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대기 상태에서는 잠금장치 (551) 나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에 전력이 차단되어 대기 상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세탁물 가방의 잠금장치를 작동하는 일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600) 에 구비된 잠금앱실행부 (630) 를 실행하여 세탁물 가방의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잠금앱을 실행할 수 있고, 이 경우 잠금장치 전원인가 상태표시부 (650) 에 의해 잠금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잠금장치 개방/잠금 누름부 (670) 를 작동하면,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송수신부 (690) 를 통하여, 잠금장치의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에 제어 신호가 전달되게 된다.
제어 신호가 잠금장치의 블루투스 송수신부 (557) 에 전달되면, 블루투스 전원 차단 스위치 (555) 는 해제되어, 잠금장치는 대기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잠금 장치 (551) 의 잠금 컨트롤러 (5511) 로 전달되고, 잠금 컨트롤러 (5511) 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잠금 작동부 (5513) 을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간단한 스마트폰 (600)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가방의 잠금을 해제 또는 설정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세탁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세탁물 가방이 사용자의 문제 잠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탁물 가방은 세탁물 잠금 장치 (550) 에 의해 외부와의 노출이 제한된 상태로, 상기 세탁물 잠금 장치 (550) 와 연결된 와이어 (530) 및 상기 와이어 (530) 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와 사용자의 집의 문 (D) 에 구비된 손잡이를 잠금 시키는 손잡이 잠금 장치 (510) 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대인의 삶은 너무도 바쁘기 때문에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사용자의 문 앞에 두고 가야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문 앞에 놓여진 세탁물 가방이 분실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나아가 세탁물 자체의 잠금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세탁물 가방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이 분실될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 잠금 장치 (510) 는 세탁물 가방과 사용자의 문과의 연결을 잠그는 역할을 하고, 상기 세탁물 잠금 장치 (550) 는 세탁물 가방 자체를 잠그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세탁물 가방과 세탁물 가방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이 분실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 잠금 장치 (550) 및 손잡이 잠금 장치 (510) 의 잠금 및 해제가 모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세탁물 잠금 장치 (550) 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어있어, 사용자 또는 수거자가 상기 세탁물 잠금 장치 (550) 와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세탁물 잠금 장치 (550) 를 잠금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세탁물 잠금 장치 (550) 와의 통신이 불안정 하거나, 전원이 없어 작동이 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상기 세탁물 잠금 장치 (550) 의 잠금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키 (Key) 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는 세탁 분류 모듈 (10), 상기 세탁 분류 모듈 (10) 에서 출하 적합 판정으로 분류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키커 모듈 (20), 상기 세탁 분류 모듈 (10) 에서 부적합 판정으로 분류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임시 수용 모듈 (30) 및 상기 임시 수용 모듈 (30) 에 수용된 세탁물의 부적합 요인을 해소시킨 이후 다시 키커 모듈 (20) 로 세탁물을 전달하는 세탁 재분류 모듈 (40) 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 분류 모듈 (10) 은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 바코드가 없는 경우,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 바코드가 있으나 인식이 불가한 경우 및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 바코드가 있고, 인식도 가능하지만 상기 키커 모듈 (20) 에 수용할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세탁물을 임시 수용 모듈 (30) 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 분류 모듈 (10) 은 복수의 세탁물의 출하 예정 시기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출하 예정 시기 정보를 가진 세탁물만을 상기 키커 모듈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세탁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의 세탁 수거 요청일로부터 1 일 이내 세탁을 완료하여 다시 배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세탁물의 출하 예정 시기는 사용자의 세탁 수거 요청일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수거 요청일이 2021.1.1. 5pm 내지 12pm 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세탁물을 수거하여 출하되어야 하는 출하 예정일은 2021.1.2. 5pm 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세탁 분류 모듈 (10) 에는 출하 예정일을 2021.1.2. 1pm 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세탁 분류 모듈 (10) 2021.1.2. 5pm 에 출하되어야 하는 사용자들의 세탁물만을 키커 모듈 (20) 로 전달 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세탁 분류 모듈 (10) 은 복수의 세탁물의 출하 예정 시기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출하 예정 시기 정보를 가진 세탁물만을 상기 키커 모듈로 전달하였지만, 키커 모듈 (20) 에 남은 슬롯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세탁 분류 ahevf (10) 에는 다음 출고 예상되는 세탁물을 키커 모듈 (20) 로 전달하도록 설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 분류 모듈 (10) 이 상기 키커 모듈 (20) 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에 모두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어 세탁물을 상기 임시 수용 모듈 (30) 로 전달한 경우, 상기 키커 모듈 (20) 은 출하 되어야 하는 세탁물이 모두 수집된 슬롯이 발생하는 수간 수용된 세탁물을 출하 시키고, 출하가 완료된 상기 슬롯 정보를 상기 세탁 재분류 모듈 (40) 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 분류 모듈 (10) 이 상기 키커 모듈 (20) 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에 모두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어 세탁물을 상기 임시 수용 모듈 (30) 로 전달한 경우, 상기 키커 모듈 (20) 에 출하 되어야 하는 세탁물이 모두 수집된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하가 되어야 하는 전체 세탁물의 양이 가장 적은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슬롯 정보를 나열하여, 이를 상기 세탁 재분류 모듈 (40) 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 분류 모듈 (10) 이 상기 키커 모듈 (20) 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에 모두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어 세탁물을 상기 임시 수용 모듈 (30) 로 전달한 경우, 상기 키커 모듈 (20) 에 출하 되어야 하는 세탁물이 모두 수집된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하가 되기 위해 추가적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세탁물의 양이 적은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슬롯 정보를 나열하여, 이를 상기 세탁 재분류 모듈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는 세탁물의 출고 대기 장소인 키커 모듈 (20) 의 제한된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 키커 모듈 (20) 의 비가동이 없도록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방법은 특정 실시예 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 세탁 분류 모듈
20 : 키커 모듈
30 : 임시 수용 모듈
40 : 세탁 재분류 모듈

Claims (5)

  1.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분류하는 세탁 분류 모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세탁 분류 모듈에서 출하 적합 판정으로 분류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키커 모듈;
    상기 세탁 분류 모듈에서 부적합 판정으로 분류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임시 수용 모듈 및
    상기 임시 수용 모듈에 수용된 세탁물의 부적합 요인을 해소시킨 이후 다시 키커 모듈로 세탁물을 전달하는 세탁 재분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세탁 분류 모듈은,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 바코드가 없는 경우,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 바코드가 있으나 인식이 불가한 경우 및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 바코드가 있고, 인식도 가능하지만 상기 키커 모듈에 수용할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세탁물을 임시 수용 모듈로 전달하며,
    상기 세탁 분류 모듈이 상기 키커 모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에 모두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어 세탁물을 상기 임시 수용 모듈로 전달한 경우,
    상기 키커 모듈은 출하 되어야 하는 세탁물이 모두 수집된 슬롯이 발생하는 순간 수용된 세탁물을 출하 시키고, 출하가 완료된 슬롯 정보를 상기 세탁 재분류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분류 모듈은,
    복수의 세탁물의 출하 예정 시기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출하 예정 시기 정보를 가진 세탁물만을 상기 키커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분류 모듈이 상기 키커 모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에 모두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어 세탁물을 상기 임시 수용 모듈로 전달한 경우,
    상기 키커 모듈에 출하 되어야 하는 세탁물이 모두 수집된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하가 되어야 하는 전체 세탁물의 양이 가장 적은 순서대로 복수의 슬롯 정보를 나열하여, 이를 상기 세탁 재분류 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분류 모듈이 상기 키커 모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에 모두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어 세탁물을 상기 임시 수용 모듈로 전달한 경우,
    상기 키커 모듈에 출하 되어야 하는 세탁물이 모두 수집된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하가 되기 위해 추가적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세탁물의 양이 적은 순서대로 복수의 슬롯 정보를 나열하여, 이를 상기 세탁 재분류 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
KR1020210064946A 2021-05-20 2021-05-20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 KR102578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946A KR102578165B1 (ko) 2021-05-20 2021-05-20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
US17/748,078 US20220275555A1 (en) 2021-05-20 2022-05-19 Automatic laundry dispensing device in contact-free laundry service
JP2022082961A JP7416557B2 (ja) 2021-05-20 2022-05-20 非対面洗濯サービスで洗濯物自動出庫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946A KR102578165B1 (ko) 2021-05-20 2021-05-20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183A KR20220157183A (ko) 2022-11-29
KR102578165B1 true KR102578165B1 (ko) 2023-09-13

Family

ID=8300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946A KR102578165B1 (ko) 2021-05-20 2021-05-20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75555A1 (ko)
JP (1) JP7416557B2 (ko)
KR (1) KR1025781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573B1 (ko) * 2008-09-01 2010-12-0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를 이용한 세탁물 분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4759A (ja) * 2003-03-24 2004-10-14 Sharp Corp ワーク仕分け装置
WO2006032972A1 (en) * 2004-09-20 2006-03-30 S. Berendsen Ab A system for dispensing of garments
KR100814970B1 (ko) * 2006-07-19 2008-03-19 장문석 세탁소의 자동화 시스템
US7876220B2 (en) * 2006-11-22 2011-01-25 Cintas Corporation Garment tracking and processing system
KR20140101117A (ko) * 2013-02-08 2014-08-19 박준용 택배업체의 입출고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DE102013005969A1 (de) * 2013-04-09 2014-10-09 Herbert Kannegiesser Gmbh Verfahren zum Sortieren von Wäschestücken, insbesondere Schmutzwäschestücken
US9428337B1 (en) * 2015-10-20 2016-08-30 Threadrobe,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handling, storing and managing garments
US9616466B1 (en) * 2015-11-11 2017-04-11 Huebsch Laundry Company Garment processing systems, programs and methods
DE102017000084A1 (de) * 2016-09-01 2018-03-01 Herbert Kannegiess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Wäschestücken, vorzugsweise zu reinigenden Wäschestücken
JP6406489B1 (ja) * 2017-01-17 2018-10-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
US10494759B1 (en) * 2019-02-21 2019-12-03 Caast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rticle inspections
JP6647511B1 (ja) * 2019-05-17 2020-02-14 株式会社ハッピー クリーニングトータル課金システム
US20200401988A1 (en) * 2019-06-24 2020-12-24 David H. Brown EzSort: EzGarment Assembly and Sort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573B1 (ko) * 2008-09-01 2010-12-0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를 이용한 세탁물 분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183A (ko) 2022-11-29
JP2022179457A (ja) 2022-12-02
JP7416557B2 (ja) 2024-01-17
US20220275555A1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2297C (zh) 信息处理系统、信息提供和处理设备及方法
CN103312573A (zh) 一种家庭网络系统设备发现与识别协议
CN101945486A (zh) 与无线供电通信设备的数据传输
US9565287B2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remote control system
CN101163309A (zh) 一种实现信息锁定的方法、系统和装置
CN108447185A (zh) 用于社区的物品共享智能储物柜系统
JP2021014729A (ja) オートロック式ドア解錠システム、オートロック式ドア解錠方法、およびオートロック式ドア解錠プログラム
JP2019070994A (ja) 認証管理システム
CN106507687A (zh) 认证方法
CN103262518B (zh) 集合住宅系统
JP7145532B2 (ja) 携帯端末、及び、通信方法
KR102578165B1 (ko) 비대면 세탁 서비스에서 세탁물 자동 출고 장치
JP5059689B2 (ja) 最終退室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CN105741394A (zh) 一种基于手机控制的智能门禁管理系统
JP5785013B2 (ja) ロックシステム
KR20200076595A (ko) 비대면 세탁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N110333663B (zh) 设置智能家居管理权限的方法、系统及计算机储存介质
US11930429B2 (en) Non-contact laundry service system, and service-providing method
KR101084345B1 (ko) 자전거 대여 관리를 위해 자전거에 탑재되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 및 자전거 대여 정보 관리 방법
JP5050571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収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46154B2 (ja) 持ち出し管理システム、ローカル側制御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ローカル側制御装置用プログラム
KR20220111983A (ko) 세탁물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umar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utomated office environment system using embedded sensors
JP6711216B2 (ja) 物品探索プログラム、物品探索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22131725A (ja) スペース利用管理システム、スペース利用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