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330B1 - 편광판 - Google Patents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330B1
KR102577330B1 KR1020200121415A KR20200121415A KR102577330B1 KR 102577330 B1 KR102577330 B1 KR 102577330B1 KR 1020200121415 A KR1020200121415 A KR 1020200121415A KR 20200121415 A KR20200121415 A KR 20200121415A KR 102577330 B1 KR102577330 B1 KR 102577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ess
retardation
thickness
retard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5055A (ko
Inventor
김은제
유제혁
조우용
박윤기
이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1003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포함하는 전 방위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폴딩(folding) 내구성 및 단파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박형화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상기 편광판이 적용된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판{Polarizing Plate}
본 출원은, 편광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별도의 백라이트(Backlight)가 필요 없어 두께를 줄일 수 있고, 플렉서블(flexible)한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데 유리하다.
하지만,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 형성된 금속 전극 및 금속 배선에 의한 외부광 반사로 인해, 시인성과 대비비가 저하되어 표시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 단파장 영역대의 광에 장시간 노출 시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 등이 있다. 또한,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 등의 경량화 및 박형화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더욱 더 가볍고 얇게 구현하는 것이 계속해서 요구되고 있으며, 플렉서블한 표시장치에 적용했을 때의 폴딩에 따른 크랙 발생 등의 품질 저하도 문제된다.
본 출원은,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포함하는 전 방위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폴딩(folding) 내구성 및 단파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박형화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상기 편광판이 적용된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위상차나 굴절률 등의 광학 특성의 기준 파장은,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대략 550 nm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면내 위상차는 하기 수식 1에 의해 규정되는 광학 특성이고, 용어 두께 방향 위상차는 하기 수식 2에 의해 규정되는 광학 특성이다.
[수식 1]
Rin = d × (nx-ny)
[수식 2]
Rth = d × (nz-ny)
수식 1 및 수식 2에서 Rin은 면내 위상차이고, Rth는 두께 방향 위상차이며, d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두께이고, nx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지상축 방향 굴절률이며, ny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z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상기에서 용어 층은, 면내 위상차 또는 두께 방향 위상차의 측정 대상의 층이고, 따라서, 예를 들어, 위상차층의 면내 위상차 또는 두께 방향 위상차를 구하는 상기 수식에서의 층은 상기 위상차층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도를 정의하는 용어 수직, 수평, 직교, 평행 및 각도의 수치는 실질적인 의미에서의 수직, 수평, 직교, 평행 및 상기 수치로서, 대략 ±10도 이내, ±9도 이내, ±8도 이내, ±7도 이내, ±6도 이내, ±5도 이내, ±4도 이내, ±3도 이내, ±2도 이내 또는 ±1도 이내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편광 필름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층은 단층 구조이거나, 다층 구조의 적층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하부는 상기 편광 필름에서 위상차층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부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하부는, 본 출원의 편광판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었을 때에 상기 편광판에서 후술할 유기발광표시패널로 향하는 방향과 일치할 수 있으며, 상부는 시인측으로 향하는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일 예시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이 다른 층을 개재하지 않고, 상기 편광 필름의 상부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사용 시 편광 필름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편광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필름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통상적으로 유리 기판 및/또는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의 편광판은, 예를 들어, 상기 보호 필름 등의 다른 층을 적용하지 않고, 또한 다른 층의 개재 없이 상기 편광 필름의 상부에 하드코팅층이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후술하는 특징을 가지는 하드 코팅층이 다른 층을 개재하지 않고 편광 필름의 상부에 직접 형성됨으로써 유기발광표시장치 취급 및/또는 사용 시 편광 필름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편광판의 총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단파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폴딩 내구성 또한 우수한 박형화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하드 코팅층은 일정 수준 이상의 연필 경도를 가지는 층일 수 있다. 상기 연필 경도는 일반적인 연필 경도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약 25°C의 온도 및 50%의 상대 습도에서 500 g의 하중 및 45도의 각도로 연필심을 하드코팅층 표면에 긋는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 표면에서 압흔, 긁힘 또는 파열 등과 같은 결함의 발생이 확인될 때까지 연필심의 경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며 연필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드코팅층 연필 경도는, 일 예시에서 약 0.5H 이상일 수 있으며, 다른 예시에서 약 0.6H 이상, 0.7H 이상, 0.8H 이상, 0.9H 이상, 1H 이상 또는 2H 이상이거나 10H 이하, 9H 이하, 8H 이하, 7H 이하, 6H 이하, 5H 이하, 4H 이하, 3H 이하 또는 2H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일 예시에서, 두께가 1㎛ 내지 10㎛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또는 3㎛ 이상이거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4㎛ 이하 또는 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연필 경도를 가지면서, 두께가 상기와 같이 제어되고 및/또는 후술하는 재료로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적용함으로써, 편광 필름의 상부에 다른 층을 개재하지 않고 단독으로 형성되어도 외부 충격 및/또는 단파장 광에 대해 편광판을 보호할 수 있으며, 편광판의 두께 감소 등을 통해 편광판의 폴딩 내구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편광판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에 적용되는 공지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편광판에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으로는, 일반적으로 편광 필름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는 하드코팅층 또는 편광 필름의 일면에는 보호 필름이 부착되고, 다른 면에는 하드코팅층과 점착제층이 순차 형성되는 소위 편면 편광판에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이 있는데, 위와 같은 하드코팅층의 형성에 적용되는 재료가 본 출원의 편광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으로는, 중합성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옥세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는,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2151호,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2168호 또는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2460호 등에서 편광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보호층 재료로서 공지된 재료가 예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종래 기술에서의 하드코팅층은, 예를 들면, 편광 필름의 찢어짐 등을 고려하여, 편광 필름의 상부 표면에 직접 형성되지는 않았다. 즉, 종래의 편광판에 적용되는 하드코팅층은, 편광 필름상에 직접 형성되지 않고, 편광 필름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거나, 편광 필름상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에도 편광 필름의 하부, 즉 편광판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었을 때에 편광 필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향하는 표면에 형성되었다. 그렇지만, 본 발명자들은, 상기 하드코팅층을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특유의 구조의 편광판에 적용함으로써, 목적하는 다른 물성과 함께 폴딩 내구성 및 단파장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의 제공이 가능한 점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편광판은 하기 수식 4에 따른 반사색상값 변화가 10 이하일 수 있다.
[수식 4]
ΔE* ab=[(ΔL*)2 + (Δa*)2 + (Δb*)2]1/2
수식 4에서 ΔL*는 L* a-L* i일 수 있고, Δa*는 a* a-a* i일 수 있으며, Δb*는 b* a-b* i일 수 있고, L* a, a* a 및 b* a는 각각 상기 편광판을 25℃의 온도에서 420nm 파장의 광을 0.75 내지 0.85W/m2 의 광량으로 50시간 동안 노광시키기 전의 색좌표 L*, a* 및 b*일 수 있고, L* i, a* i 및 b* i 는 각각 상기 편광판을 25℃의 온도에서 420nm 파장의 광을 0.75 내지 0.85W/m2 의 광량으로 50시간 동안 노광시킨 후의 색좌표 L*, a* 및 b*일 수 있다.
상기 L, a, b 값은 하기에 기재한 CIE Lab색공간의 L, a,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색공간에서 L값은 명도를 나타내고, L값이 0이면 검은색, L값이 100이면 흰색을 나타낸다. 또한, a값이 음수이면 초록에 치우친 색이 되고, 양수이면 빨강 또는 보라측에 치우친 색이 된다. 또한, b값이 음수이면 파랑에 치우친 색이 되며, b값이 양수이면 노랑에 치우친 색이 된다.
상기 CIE Lab 색공간에서의 각 수치는, 상기 색공간의 각 좌표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적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측정 위치에 적분구 형태의 검출기(detector)를 가지는 장비(spectrophotometer)(KONICA MINOLTA社, CM-2600d)를 위치시킨 후에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은 통상적으로 20℃ 내지 30℃의 온도 조건, 40 내지 50% 습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편광판의 상기 수식 4에 따른 반사색상값 변화(ΔE* ab)는 다른 예시에서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4 이하, 3 이하, 2.9 이하, 2.8 이하, 2.7 이하, 2.6 이하, 2.5 이하, 2.4 이하, 2.3 이하, 2.2 이하, 2.1 이하, 2.0 이하, 1.9 이하, 1.8 이하, 1.7 이하, 1.6 이하, 1.5 이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0.9 이하, 0.8 이하, 0.7 이하, 0.6 이하, 0.5 이하, 0.4 이하, 0.3 이하 또는 0.2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특히 전술한 하드코팅층을 다른 층의 개재 없이 편광 필름 상에 도입함으로써,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단파장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에도 편광판의 수명 저하 등의 문제가 제어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일 예시에서, 두께가 45μm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편광판의 두께는 44μm 이하, 43μm 이하, 42μm 이하, 41μm 이하, 40μm 이하, 39μm 이하, 38μm 이하, 37μm 이하, 36μm 이하 또는 35μm 이하이거나 5μm 이상, 10μm 이상, 15μm 이상, 20μm 이상, 25μm 이상, 30μm 이상 또는 35 μm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편광판의 두께를 상기와 같은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폴딩 시 크랙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편광판을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여, 폴딩 내구성이 우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또한, 편광 필름의 하부에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차층은 단층 구조이거나,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다층 구조인 경우에 위상차층은, 예를 들어, 제 1 위상차층 및/또는 제 2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편광 필름의 하부에 상기 제 1 위상차층이 존재하고, 상기 제 1 위상차층의 하부에 상기 제 2 위상차층이 존재하여, 도 1과 같이 하드코팅층(500), 편광 필름(100), 제 1 위상차층(201), 제 2 위상차층(20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에서 각 위상차층의 광학 특성을 하기와 같이 설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되어서 정면뿐 아니라 측면을 포함한 전 방위 반사 방지 성능 및/또는 컬러 특성이 우수하고, 단파장 내구성 또한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위상차층은 광학 이방성층으로, 복굴절을 제어함으로써 입사 편광을 변환할 수 있는 소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위상차층의 x축, y축 및 z축을 기재하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x축은 위상차층의 면내 지상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y축은 위상차층의 면내 진상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며, z축은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x축과 y축은 면내에서 서로 직교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1 위상차층은, 상기 수식 1의 면내 위상차(550nm 파장 기준)가 대략 100 내지 150 n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면내 위상차는 다른 예시에서 약 110nm 이상, 120nm 이상, 130nm 이상, 131nm 이상, 132nm 이상, 133nm 이상, 134nm 이상, 135nm 이상, 136nm 이상, 137nm 이상, 138nm 이상, 139nm 이상 또는 140nm 이상이거나 149nm 이하, 148nm 이하, 147nm 이하, 146nm 이하, 145nm 이하, 144nm 이하, 143nm 이하, 142nm 이하 또는 141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의 상기와 같은 배치에서 상기 제 1 위상차층은, 예를 들어, 그 지상축이 편광 필름의 흡수축과 대략 35도 내지 55도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도는 다른 예시에서 대략 15도 이상, 20도 이상, 25도 이상, 30도 이상, 35도 이상, 40도 이상 또는 45도 이상이거나, 65도 이하, 60도 이하, 55도 이하, 50도 이하 또는 45도 이하 정도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40도 내지 50도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상기 제 1 위상차층은 또한, 하기 수식 3에 따른 분산 계수가 1 미만일 수 있다.
[수식 3]
분산 계수 = Rin(450)/Rin(550)
수식 3에서 Rin(450)은 제 1 위상차층의 450nm 파장을 기준으로 한 면내 위상차이고, Rin(550)은 제 1 위상차층의 550nm 파장을 기준으로 한 면내 위상차이다.
본 출원에서 상기 제 1 위상차층은 또한, QWP(Quarter Wave Plate)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QWP는 1/4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을 가지는 파장판으로, 선편광인 입사 편광을 원편광으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파장판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n파장 위상 지연 특성은 적어도 일부의 파장 범위 내에서, 입사 광을 그 입사광의 파장의 n배 만큼 위상 지연시킬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1/4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은 적어도 일부의 파장 범위 내에서, 입사광을 그 입사광의 파장의 1/4배만큼 위상 지연시킬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제 1 위상차층은 일 예시에서, 두께가 25㎛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24㎛ 이하, 23㎛ 이하, 22㎛ 이하, 21㎛ 이하, 20㎛ 이하, 19㎛ 이하, 18㎛ 이하, 17㎛ 이하, 16㎛ 이하, 15㎛ 이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4㎛ 이하 또는 3㎛ 이하이거나, 0.1㎛ 이상, 0.2㎛ 이상, 0.3㎛ 이상, 0.4㎛ 이상, 0.5㎛ 이상, 0.6㎛ 이상, 0.7㎛ 이상, 0.8㎛ 이상, 0.9㎛ 이상, 1.0㎛ 이상, 1.1㎛ 이상, 1.2㎛ 이상, 1.3㎛ 이상, 1.4㎛ 이상, 1.5㎛ 이상, 1.6㎛ 이상, 1.7㎛ 이상, 1.8㎛ 이상 또는 1.9㎛ 이상일 수 있으나, 목적하는 위상차를 나타낼 수 있는 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범위의 면내 위상차를 나타내면서, 제 1 위상차층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의 흡수축이 상기와 같은 범위 내로 배치된 제 1 위상차층을 적용함으로써, 후술하는 제 2 위상차층과의 조합을 통해 가시광 영역 내 파장에 따른 적절한 수준의 보상 기능을 나타낼 수 있고, 그에 따라 우수한 전 방위 반사 방지 성능, 컬러 특성 및/또는 단파장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예를 들어, 상기 제 1 위상차층의 하부에 제 2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위상차층은 상기 제 1 위상차층과 접하고 있거나, 혹은 제 1 및 제 2 위상차층 사이에 다른 요소, 예를 들어 점착층 등이나 고분자 필름 등이 존재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 2 위상차층은, 상기 수식 2의 두께 방향 위상차(550nm 파장 기준)가 대략 30nm 내지 150n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는 다른 예시에서 대략 35nm 이상, 40nm 이상, 45nm 이상, 50nm 이상, 55nm 이상 또는 60nm 이상이거나 140nm 이하, 130nm 이하, 120nm 이하, 110nm 이하, 100nm 이하, 90nm 이하, 80nm 이하 또는 7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2 위상차층은, 일 예시에서, 실질적으로 면내 위상차층을 가지지 않는 층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위상차층의 면내 위상차(550nm 파장 기준)는, 예를 들면, 대략 10nm 이하, 9nm 이하, 8nm 이하, 7nm 이하, 6nm 이하, 5nm 이하, 4nm 이하, 3nm 이하, 2nm 이하 또는 1nm 이하이거나 실질적으로 0nm 일 수 있다.
제 2 위상차층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면내 위상차를 가지지 않고, 따라서 그의 지상축의 배치는 편광판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다만, 제 2 위상차층에 지상축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배치는 편광층의 흡수축과 수직하거나 수평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제 2 위상차층은 일 예시에서, 두께가 10㎛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4㎛ 이하, 3㎛ 이하 또는 2㎛ 이하이거나, 0.1㎛ 이상, 0.2㎛ 이상, 0.3㎛ 이상, 0.4㎛ 이상, 0.5㎛ 이상, 0.6㎛ 이상, 0.7㎛ 이상, 0.8㎛ 이상 또는 0.9㎛ 이상일 수 있으나, 목적하는 위상차를 나타낼 수 있는 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 위상차 등의 범위가 상기와 같이 제어되고, 소정 위치에서 전술한 제 1 위상차층과 조합됨으로써 본 출원의 목적에 적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위상차층으로는 상기 언급된 특성을 만족하는 한, 다양한 종류의 위상차층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통상 위상차층으로는 일축 또는 이축 연신 등의 연신에 의해서 광학 이방성을 부여한 고분자 필름이나, 중합성 액정 화합물(소위 RM(Reactive Mesogen))을 배향시키고 중합시켜서 형성되는 액정 필름 또는 액정 고분자 필름 등이 적용되고, 위에 기술한 특성이 만족되는 한 상기와 같은 공지의 위상차층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및/또는 제 2 위상차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키고 중합시켜서 형성되는 액정 필름 또는 액정 고분자 필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위상차층은 제 1 및/또는 제 2 액정 위상차층이라고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액정 필름 또는 액정 고분자 필름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소위 RM(Reactive Mesogen))은 다양하게 알려져 있고, 이를 적용하여 액정 필름 또는 액정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는 방식은 공지이다. 위와 같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는 소위 중합성 네마틱 액정 화합물이나, 중합성 스멕틱 액정 화합물 등이 알려져 있다. 분산 계수의 조절의 용이성 관점에서 이러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다른 종류의 액정 화합물이라도 본 출원의 요건을 만족하는 한 적용 가능하다.
상기 연신 고분자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노르보넨 필름 등의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Cycloolefin polymer) 필름, 아크릴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필름, 폴리설폰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또는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 등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폴리머 필름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이나, PC(polycarbonate)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상기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량체 중에서 2종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체 필름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고분자 필름으로는,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 필름 또는 아크릴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로는, 노르보넨 등의 고리형 올레핀 개환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고리형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고리형 올레핀과 알파-올레핀과 같은 다른 공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 등으로 변성시킨 그래프트 중합체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편광 필름, 제 1 및 제 2 위상차층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편광판은, 위상차층으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위상차층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층과 제 1 및 제 2 위상차층을 제외하면, 소위 등방성층만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등방성층은, 실질적인 등방성층으로서 해당 층이 어느 정도의 위상차를 가진다고 해도 편광판에 대해서 설계된 광학 구조를 훼손하지 않을 정도의 위상차라면, 등방성층으로 취급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본 출원에서 언급하는 용어 등방성층은, 상기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가 동시에 20 nm 이하인 층이다. 상기 위상차는 다른 예시에서 19 nm 이하, 18 nm 이하, 17 nm 이하, 16 nm 이하, 15 nm 이하, 14 nm 이하, 13 nm 이하, 12 nm 이하, 11 nm 이하, 10 nm 이하, 9 nm 이하, 8 nm 이하, 7 nm 이하, 6 nm 이하, 5 nm 이하, 4 nm 이하, 3 nm 이하, 2 nm 이하 또는 1 nm 이하이거나, 0 nm 일 수 있다. 따라서, 반대로 상기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20 nm를 초과하는 층은 본 출원에서 위상차층으로 취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예를 들어, 등방성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등방성층의 제1면에는 상기 위상차층이 순차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방성층의 제2면이 상기 편광 필름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등방성층은,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필름, 폴리설폰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등방성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내지 35㎛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등방성층의 두께를 상기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편광판의 박형화에 따른 폴딩 내구성 등의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등방성층의 두께는 다른 예시에서, 6㎛ 이상, 7㎛ 이상, 8㎛ 이상, 9㎛ 이상, 10㎛ 이상, 11㎛ 이상, 12㎛ 이상, 13㎛ 이상, 14㎛ 이상, 15㎛ 이상, 16㎛ 이상, 17㎛ 이상, 18㎛ 이상 또는 19㎛ 이상이거나 34㎛ 이하, 33㎛ 이하, 32㎛ 이하, 31㎛ 이하, 30㎛ 이하, 29㎛ 이하, 28㎛ 이하, 27㎛ 이하, 26㎛ 이하, 25㎛ 이하, 24㎛ 이하, 23㎛ 이하, 22㎛ 이하 또는 21㎛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예를 들어, 전술한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상기 등방성층의 두께(P)의 비(H/P),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위상차층의 두께(T)의 비(H/T) 및/또는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편광 필름의 두께(S)의 비(H/S) 등을 소정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목적하는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상기 등방성층의 두께(P)의 비(H/P)는, 하나의 예시에서, 0.01 내지 1.5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상기 등방성층의 두께(P)의 비(H/P)는 다른 예시에서, 0.02 이상, 0.03 이상, 0.04 이상, 0.05 이상, 0.06 이상, 0.07 이상, 0.08 이상, 0.09 이상, 0.10 이상, 0.11 이상, 0.12 이상, 0.13 이상 또는 0.14 이상이거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0.9 이하, 0.8 이하, 0.7 이하, 0.6 이하, 0.5 이하, 0.4 이하, 0.3 이하, 0.2 이하, 0.19 이하, 0.18 이하, 0.17 이하 또는 0.16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상기 위상차층의 두께(T)의 비(H/T)는, 하나의 예시에서, 0.1 내지 5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위상차층의 두께는, 위상차층이 단층 구조인 경우 단층 구조의 두께를 의미할 수 있고, 위상차층이 2층 이상의 적층체인 경우 각 층의 두께를 모두 합한 총 두께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위상차층의 두께(T)는 상기 위상차층이 제 1 위상차층 및 제 2 위상차층의 2층 구조인 경우, 상기 제 1 위상차층의 두께(T1) 및 상기 제 2 위상차층의 두께(T2)의 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상기 위상차층의 두께(T)의 비(H/T)는, 다른 예시에서 0.2 이상, 0.3 이상, 0.4 이상, 0.5 이상, 0.6 이상, 0.7 이상, 0.8 이상 또는 0.9 이상이거나 4.5 이하, 4.0 이하, 3.5 이하, 3.0 이하, 2.5 이하, 2.0 이하 또는 1.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상기 편광 필름의 두께(S)의 비(H/S)는, 하나의 예시에서 0.01 내지 1.5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상기 편광 필름의 두께(S)의 비(H/S)는 0.05 이상, 0.1 이상, 0.15 이상, 0.20 이상, 0.25 이상, 0.30 이상, 0.35 이상 또는 0.40 이상이거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0.9 이하, 0.8 이하, 0.7 이하, 0.6 이하 또는 0.5 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드코팅층과 다른 층 간의 두께의 비를 소정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연필 경도, 단파장 내구성 및/또는 폴딩 내구성 등의 효과가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또한 점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은, 본 출원의 편광판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하기 위해서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위상차층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편광판은, 하드코팅층, 편광 필름, 위상차층 및 상기 점착제층을 상기 순서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편광판에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위상차층의 하부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편광판 구조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상부에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점착제층으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편광판에 적용되는 점착제층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편광 필름 및 편광판은 서로 구별되는 대상을 지칭한다. 편광 필름은 편광 기능을 나타내는 필름, 시트 또는 소자 그 자체를 지칭하며, 상기 편광 필름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입사광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추출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자이다. 편광판은 상기 편광 필름과 함께 다른 요소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를 의미한다. 편광 필름과 함께 광학 소자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요소로는, 편광 필름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층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편광 필름은, 흡수형이거나, 반사형 편광 필름일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편광 필름은,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일 수 있다. 용어 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은, 예를 들면, 요오드나 이색성 색소와 같은 이방 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이하, 폴리비닐알코올로 호칭할 수 있다) 계열의 수지 필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방 흡수성 물질을 포함시키고, 연신 등에 의해 배향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또는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의 검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100 내지 5,000 또는 1,400 내지 4,000 정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편광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서 적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1μm 내지 100μm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2 μm 이상, 3 μm 이상, 4 μm 이상, 5 μm 이상, 6 μm 이상, 7 μm 이상, 8 μm 이상, 9 μm 이상, 10 μm 이상, 11 μm 이상 또는 12 μm 이상 이거나 90 μm 이하, 80μm 이하, 70μm 이하, 60μm 이하, 50μm 이하, 40μm 이하, 30μm 이하, 20μm 이하, 19μm 이하, 18μm 이하, 17μm 이하, 16μm 이하, 15μm 이하, 14μm 이하, 13μm이하, 12μm 이하, 11μm 이하, 10μm 이하, 9μm 이하, 8μm 이하 또는 7μ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염색 공정, 가교 공정 및 연신 공정을 적어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염색 공정, 가교 공정 및 연신 공정에는, 각각 염색욕, 가교욕 및 연신욕의 각 처리욕이 사용되고, 이들 각 처리욕은 각 공정에 따른 처리액이 사용될 수 있다.
염색 공정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이방 흡수성 물질을 흡착 및/또는 배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염색 공정은 연신 공정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염색은 상기 필름을 이방 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 예를 들면, 요오드 용액에 침지시켜서 수행될 수 있다. 요오드 용액으로는, 예를 들면, 요오드 및 용해 보조제인 요오드화 화합물에 의해 요오드 이온을 함유시킨 수용액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요오드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또는 요오드화티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요오드 용액 중에서 요오드 및/또는 요오드화 이온의 농도는, 목적하는 편광 필름의 광학 특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고, 이러한 조절 방식은 공지이다. 염색 공정에서 요오드 용액의 온도는 통상적으로 20℃ 내지 50℃, 25℃ 내지 40℃ 정도이고, 침지 시간은 통상적으로 10초 내지 300초 또는 20초 내지 240초 정도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편광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수행되는 가교 공정은, 예를 들면, 붕소 화합물과 같은 가교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가교 공정의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염색 및/또는 연신 공정과 함께 수행하거나, 별도로 진행할 수 있다. 가교 공정은 여러 번 실시할 수도 있다. 붕소 화합물로는 붕산 또는 붕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붕소 화합물은, 수용액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액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붕산 수용액이 사용된다. 붕산 수용액에서의 붕산 농도는, 가교도와 그에 따른 내열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 범위로 선택될 수 있다. 붕산 수용액 등에도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 있다.
가교 공정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붕산 수용액 등에 침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처리 온도는 통상적으로 25℃ 이상, 30℃ 내지 85℃ 또는 30℃ 내지 60℃ 정도의 범위이고, 처리 시간은 통상적으로 5초 내지 800초간 또는 8초 내지 500초간 정도이다.
연신 공정은, 일반적으로 1 축 연신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연신은, 상기 염색 및/또는 가교 공정과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연신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습윤식 연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습윤식 연신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염색 후 연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연신은 가교와 함께 수행될 수 있으며, 복수회 또는 다단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습윤식 연신 방법에 적용되는 처리액에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 있다. 연신에서 처리 온도는 통상적으로 25℃ 이상, 30℃ 내지 85℃ 또는 50℃ 내지 70℃의 범위 내 정도이고, 처리 시간은 통상 10초 내지 800초 또는 30초 내지 500초간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신 과정에서 총 연신 배율은 배향 특성 등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고,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원래 길이를 기준으로 총 연신 배율이 3배 내지 10배, 4배 내지 8배 또는 5배 내지 7배 정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총 연신 배율은 연신 공정 이외의 팽윤 공정 등에 있어서도 연신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각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을 포함한 누적 연신 배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총 연신 배율은, 배향성, 편광 필름의 가공성 내지는 연신 절단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제조 공정에서는 상기 염색, 가교 및 연신에 추가로 상기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팽윤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팽윤에 의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고, 또한 이에 의해 염색 편차 등의 불균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팽윤 공정에서는 통상적으로 물, 증류수 또는 순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당해 처리액의 주성분은 물이고, 필요하다면,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 화합물 또는 계면 활성제 등과 같은 첨가물이나, 알코올 등이 소량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팽윤 과정에서의 처리 온도는 통상적으로 20℃ 내지 45℃ 또는 20℃ 내지 40℃ 정도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팽윤 편차는 염색 편차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팽윤 편차의 발생이 가능한 억제되도록 공정 변수가 조절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팽윤 공정에서도 적절한 연신이 수행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원래 길이를 기준으로 6.5배 이하, 1.2 내지 6.5배, 2배 내지 4배 또는 2배 내지 3배 정도일 수 있다. 팽윤 과정에서의 연신은, 팽윤 공정 후에 수행되는 연신 공정에서의 연신을 작게 제어할 수 있고, 필름의 연신 파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는 금속 이온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예를 들면, 금속염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실시한다. 이를 통해 평관자 내에 금속 이온을 함유시킬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금속 이온의 종류 내지는 비율을 조절함으로써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의 색조 조절이 가능하다. 적용될 수 있는 금속 이온으로는, 코발트, 니켈, 아연, 크롬, 알루미늄, 구리, 망간 또는 철 등의 전이 금속의 금속 이온이 예시될 수 있고, 이 중 적절한 종류의 선택에 의해 색조의 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다.
편광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는 염색, 가교 및 연신 후에 세정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 공정은,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 화합물 용액 또는 물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물에 의한 세정과 요오드 화합물 용액에 의한 세정은 조합될 수도 있으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등의 액체 알코올을 배합한 용액도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정을 거친 후에 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건조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편광 필름에 요구되는 수분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온도에서 적절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편광 필름은, 일 예시에서 편광판의 고온 내구성 확보를 위해 아연 이온과 같은 아연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연 성분의 함량은 추가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편광 필름은 아연 성분(Zn)을 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은 다른 예시에서 약 0.2 중량% 이상 정도, 0.3 중량% 이상 정도, 0.4 중량% 이상 정도 또는 0.5 중량% 이상 정도이거나, 9 중량% 이하 정도, 8 중량% 이하 정도, 7 중량% 이하 정도, 6 중량% 이하 정도, 5 중량% 이하 정도, 4 중량% 이하 정도, 3 중량% 이하 정도, 2 중량% 이하 정도, 1 중량% 이하 정도, 0.9 중량% 이하 정도, 0.8 중량% 이하 정도, 0.7 중량% 이하 정도, 0.6 중량% 이하 정도, 0.5 중량% 이하 정도, 0.4 중량% 이하 정도 또는 0.3 중량% 이하 정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편광 필름에 아연 성분을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서, 고온에서 유지 및/또는 구동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광학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고온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편광판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판은 예를 들어, 유기발광표시장치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기발광표시장치(60)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600)과 유기 발광 표시 패널(600)의 일면에 위치하는 편광판(10)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10)의 제 1 위상차층(201) 및 제 2 위상차층(202)이 편광 필름(100)에 비하여 유기 발광 표시 패널(6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은 베이스 기판, 하부 전극, 유기 발광층, 상부 전극 및 봉지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 중 하나는 애노드(anode)이고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애노드는 정공(hole)이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work function)가 높은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캐소드는 전자가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가 낮은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발광된 빛이 외부로 나올 수 있는 투명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ITO 또는 IZO일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빛을 낼 수 있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 및 상부 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에는 부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대층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정공 전달층(hole transporting layer),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및 전자 전달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 기판은 유리, 금속 및/또는 고분자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하부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상부 전극을 봉지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및/또는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광판(10)은 유기발광표시패널(600)에서 빛이 나오는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기판 측으로 빛이 나오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구조인 경우 베이스 기판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봉지 기판 측으로 빛이 나오는 전면 발광(top emission) 구조인 경우 봉지 기판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10)은 외광이 유기발광표시패널(600)의 전극 및 배선 등과 같이 금속으로 만들어진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어 유기 발광장치(600)의 외측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유기발광장치의 표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편광판(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반사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측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유기발광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본 출원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가 적용될 경우에, 상기 장치 등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이나 그 장치의 구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유기발광장치가 사용되는 한, 해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재료나 방식이 모두 채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됨으로서 전 방위 반사방지성능, 폴딩 내구성 및 단파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공이 가능하다.
본 출원은,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포함하는 전 방위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폴딩(folding) 내구성 및 단파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박형화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상기 편광판이 적용된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편광판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 도 4는, 폴딩(Folding) 테스트 후 편광판 크랙(Crack)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으로, 도 3은 실시예 1의 편광판에 대해 폴딩 테스트한 후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4는 비교예 1의 편광판에 대해 폴딩 테스트한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두께가 약 20㎛인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필름(구라레이社, TS20)을 요오드(I2) 0.3 중량% 및 요오드화 칼륨(KI) 3.0 중량%를 포함하는 28℃의 염색액에 60초 동안 침지시켜 염색 처리하였다. 이어서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붕소 1 중량% 및 요오드화 칼륨(KI) 3 중량%를 포함하는 35℃의 수용액(가교액)에 60초 동안 침지시켜 가교 처리하였다. 이후,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롤간 연신 방법을 이용하여 5.4배의 연신 배율로 연신시켰다.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25℃의 이온교환수에 60초 동안 침지시켜 세정하고, 질산 아연 약 3 중량% 포함하는 25℃의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시켰다. 이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80℃의 온도에서 60초 동안 건조시켜 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폴딩 내구성 및 고온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하드코팅층, 편광 필름 및 위상차층의 적층체를 순차로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편광 필름은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편광 필름을 적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 필름의 최종 두께는 약 7㎛ 정도였으며, 아연 성분은 약 0.2 내지 0.3 중량% 포함하였다.
상기 위상차층의 적층체는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우선, 역분산 특성을 가지고, 550nm 파장에 대한 면내 위상차가 141nm 정도로서, QWP(Quarter wave plate)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Fuji社)의 중합층(제 1 액정 위상차층)이 일면에 대략 2μm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등방성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두께 약 20μm)을 준비하였다. 상기 필름의 제 1 액정 위상차층 상에 바 코팅 방식으로 수직 배향막을 코팅하고, 상기 수직 배향막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Merck社)을 코팅하고, 그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수직 배향시킨 상태에서 중합시켜서 550nm 파장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가 62nm 정도인 positive C 필름(제 2 액정 위상차층)을 1μm 의 두께로 형성하여 다층 구조의 위상차층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다층 구조의 위상차층을 광학용 UV 접착제((두께: 2μm)를 이용하여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에 부착하였다. 이 때, 상기 위상차층의 적층체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상에 제 1 및 제 2 액정 위상차층이 형성되지 않은 면을 편광 필름에 부착하였으며, 상기 제 1 액정 위상차층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각도가 45도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동시에, 상기 편광 필름의 다른 일면에 하드코팅층 기능을 가지는, 에폭시 화합물과 옥세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UV 접착제(LG CHEM社)를 도포하고 일면에 이형 처리가 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이형 처리면을 상기 UV 접착제의 도포층에 부착한 후 UV lamp를 통과시켜서, 두께가 대략 3 μm 정도이고, 연필 경도 2H 정도인 하드코팅층이 형성하였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최종적으로 박리하였다.
그 결과, 하드코팅층/편광 필름/UV 접착제층/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제 1 액정 위상차층/제 2 액정 위상차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의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편광판의 최종 두께는 약 35μm였다.
비교예 1
폴딩 내구성 및 고온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클로올레핀 필름, 편광 필름, 하드코팅층 및 위상차층의 적층체를 순차로 포함하는 편광판을 준비하였다.
상기 편광 필름은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편광 필름을 적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 필름의 최종 두께는 약 7㎛ 정도였으며, 아연 성분은 약 0.2 내지 0.3 중량% 포함하였다.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에 하드코팅 처리된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Zeon社, 두께 약 29μm)을 광학용 UV 접착제(두께: 2μm)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상기 편광 필름의 다른 일면에 하드코팅층을 바 코팅 방식으로 두께가 약 3μm이 되도록 코팅하였다.
한편, 상기 위상차층의 적층체는 역분산 특성을 가지고, 550nm 파장에 대한 면내 위상차가 141nm인 QWP(Quarter wave plate) 액정(Fuji社)을 550nm 파장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가 62nm인 positive C 필름(Merck社, 두께 약 1μm) 상에 약 2μm 의 두께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위상차층의 적층체의 액정층 부분을 일반적인 광학용 UV 접착제(두께: 2μm)를 이용하여 상기 하드코팅층에 부착하였다.
그 결과,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UV 접착제층/편광 필름/하드코팅층/UV 접착제층/위상차층의 적층체(역분산 QWP/positive C필름)가 순차 적층된 구조의 편광판이 제조되었으며, 상기 편광판의 최종 두께는 약 46μm이었다.
평가예 1 폴딩(Folding) 내구성 테스트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을 폴딩 테스트 챔버(Y.M.RTC社, YM-THC 430S)에 투입한 후, 폴딩(Folding)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이 때,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1) 25℃/20%에서 200,000회 폴딩, (2) 60℃/20%에서 20,000회 폴딩 (3) 60℃에서 20,000회 폴딩, (4) -20℃/0%에서 20,000회 폴딩되도록 조건을 설정하고, 각 조건별로 분당 60회의 속도로 폴딩시켜 내구성을 테스트하였다.
상기 테스트 종료 후 편광판의 크랙(crack), 찢어짐 등의 외관 불량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평가예 2 반사색상값 변화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을, 편광 필름에 비해 제 1 위상차층 및 제 2 위상차층이 OLED 패널에 더 가깝도록, OLED 패널(550nm 파장에 대한 반사율이 55%)에 부착하였다. 그 후, KONICA MINOLTA社의 CM-2600d 장비를 이용하여 단파장 테스트 전/후의 상기 편광판에 대해 색좌표 L, a, b를 측정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단파장 테스트는, 상기 편광판을 25℃ 온도의 챔버(Atlas社)에 넣고, 420nm 파장의 광을 0.75 내지 0.85W/m2 의 광량으로 50시간 동안 노광시키는 테스트이다.
상기 측정 결과 및 하기 수식 4에 따라 계산된 반사색상값 변화(ΔE* ab) 값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표 2]
상기 표 1 및 도 3과 같이, 실시예 1의 편광판은 25℃/20%에서 200,000회 폴딩(조건 (1))한 후에도 편광판에 크랙(crack)이 발생하지 않은 반면, 표 1 및 도 4와 같이, 비교예 1의 편광판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의 폴딩 테스트 후에 크랙(crack)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2와 같이, 반사색상값 변화(ΔE* ab)도 실시예 1의 편광판이 비교예 1의 편광판 대비 작은 것을 통해, 본 출원의 편광판이 우수한 단파장 내구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10: 편광판
100: 편광필름
201: 제 1 위상차층
202: 제 2 위상차층
500: 하드코팅층
60: 유기발광표시장치
600: 유기 발광 표시 패널
70: 크랙

Claims (15)

  1.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편광 필름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위상차층; 및
    등방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차층은 편광 필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위상차층 및 상기 제 1 위상차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위상차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위상차층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각도가 35도 내지 55도 범위 내이고,
    상기 제 2 위상차층은 수직 배향 상태로 중합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하드코팅층은 중합성 에폭시 화합물 및 옥세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등방성층의 제1면에는 위상차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방성층의 제2면이 편광 필름에 부착되어 있으며, 위상차층과 등방성층이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에 의해 부착되는 것은 제외하는 편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은 다른 층을 개재하지 않고, 편광 필름의 상부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의 연필 경도가 0.5H 이상인 편광판.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의 두께가 1㎛ 내지 10㎛범위 내인 편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두께가 45μm 이하인 편광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위상차층은 수식 1에 따른 면내 위상차가 550nm 파장을 기준으로 100 내지 150nm의 범위 내이며, 제 2 위상차층은 하기 수식 2에 따른 두께 방향 위상차가 550nm 파장을 기준으로 30 내지 150nm 범위 내인 편광판:
    [수식 1]
    Rin = d × (nx - ny)
    [수식 2]
    Rth = d × (nz - ny)
    수식 1 및 수식 2에서 Rin은 면내 위상차이고, Rth는 두께 방향 위상차이며, d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두께이고, nx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지상축 방향 굴절률이며, ny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z는 제 1 또는 제 2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위상차층은 하기 수식 3에 따른 분산 계수가 1 미만인 편광판:
    [수식 3]
    분산 계수 = Rin(450)/Rin(550)
    수식 3에서 Rin(450)은 제 1 위상차층의 450nm 파장을 기준으로 한 면내 위상차이고, Rin(550)은 제 1 위상차층의 550nm 파장을 기준으로 한 면내 위상차이다.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편광 필름의 두께(S)의 비(H/S)는 0.01 내지 1.5의 범위 내인 편광판.
  10. 제 1 항에 있어서,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위상차층의 두께(T)의 비(H/T)는 0.1 내지 5의 범위 내인 편광판.
  11. 제 1 항에 있어서, 하드코팅층의 두께(H)와 등방성층의 두께(P)의 비(H/P)는 0.01 내지 1.5의 범위 내인 편광판.
  1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수식 4에 따른 반사색상값 변화(ΔE* ab)가 10이하인 편광판:
    [수식 4]
    ΔE* ab=[(ΔL*)2 + (Δa*)2 + (Δb*)2]1/2
    수식 4에서 ΔL*는 L* a-L* i이고, Δa*는 a* a-a* i이며, Δb*는 b* a-b* i이고, L* a, a* a 및 b* a는 각각 상기 편광판을 25℃의 온도에서 420nm 파장의 광을 0.75 내지 0.85W/m2 의 광량으로 50시간 동안 노광시키기 전의 색좌표 L*, a* 및 b*이고, L* i, a* i 및 b* i 는 각각 상기 편광판을 25℃의 온도에서 420nm 파장의 광을 0.75 내지 0.85W/m2 의 광량으로 50시간 동안 노광시킨 후의 색좌표 L*, a* 및 b*이다.
  13. 제 1 항에 있어서, 위상차층의 하부에만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편광판.
  14. 제 1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5. 제 14 항의 유기발광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21415A 2019-09-23 2020-09-21 편광판 KR102577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807 2019-09-23
KR20190116807 2019-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055A KR20210035055A (ko) 2021-03-31
KR102577330B1 true KR102577330B1 (ko) 2023-09-12

Family

ID=7516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415A KR102577330B1 (ko) 2019-09-23 2020-09-21 편광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91436A1 (ko)
EP (1) EP4036618A4 (ko)
JP (1) JP7439238B2 (ko)
KR (1) KR102577330B1 (ko)
CN (1) CN114341680A (ko)
TW (1) TWI747518B (ko)
WO (1) WO2021060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051A (ko) * 2022-04-28 2023-11-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투과율 가변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5561A (ja) * 2017-07-12 2019-08-15 住友化学株式会社 楕円偏光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5512A (ja) * 1998-07-17 2000-02-02 Sumitomo Chem Co Ltd 偏光フィルム
JP2005283872A (ja) 2004-03-29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能付き偏光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7279705A (ja) 2006-03-13 2007-10-25 Fujifilm Corp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2010284840A (ja) * 2009-06-10 2010-12-24 Kaneka Corp コーティング層が付与された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偏光板
JP5546933B2 (ja) * 2010-04-07 2014-07-0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525998B1 (ko) * 2011-12-12 2015-06-04 제일모직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 장치
WO2013191010A1 (ja) * 2012-06-21 2013-12-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6321435B2 (ja) * 2012-06-21 2018-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有機elパネル
JP5528606B2 (ja) * 2012-06-21 2014-06-2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有機elパネル
JP2014206725A (ja) * 2013-03-19 2014-10-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622018B1 (ko) * 2014-02-27 2016-05-17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11948742B (zh) * 2015-11-20 2023-04-28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层叠体及使用了该光学层叠体的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WO2018070849A1 (ko) * 2016-10-14 2018-04-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WO2018080138A1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JP6510113B2 (ja) * 2017-05-09 2019-05-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用組成物、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084118B1 (ko) * 2017-09-29 2020-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11572448B2 (en) 2017-12-15 2023-02-07 Shanjin Optoelectronics (Suzhou) Co., Ltd. Polarizing plate-carrier film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using same, and polarizing plate
KR102244789B1 (ko) 2017-12-15 2021-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KR102244791B1 (ko) 2017-12-15 2021-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5561A (ja) * 2017-07-12 2019-08-15 住友化学株式会社 楕円偏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39238B2 (ja) 2024-02-27
WO2021060779A1 (ko) 2021-04-01
EP4036618A4 (en) 2022-11-16
TWI747518B (zh) 2021-11-21
JP2022544820A (ja) 2022-10-21
TW202113404A (zh) 2021-04-01
US20220291436A1 (en) 2022-09-15
EP4036618A1 (en) 2022-08-03
CN114341680A (zh) 2022-04-12
KR20210035055A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469B1 (ko) 편광자, 그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 그것들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TWI296065B (ko)
TWI565975B (zh) Polar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50378075A1 (en)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WO2004095091A1 (ja) 偏光子、そ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4078171A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4341503A (ja) 偏光子、そ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6023822B (zh) Oled显示装置以及其制造方法
US10139534B2 (en)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160076701A (ko)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한 oled 표시장치
JP2004117482A (ja)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3270439A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577330B1 (ko) 편광판
KR20180042132A (ko)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KR102641067B1 (ko) 편광판
KR102316017B1 (ko) 커버 더스트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KR102645757B1 (ko) 커버 더스트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JP2006017747A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4125817A (ja) 偏光フィルム、偏光板、補償偏光板及び表示装置、並びにインハウス製造方法
WO2004113973A1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3270440A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12006448B2 (en) Adhesive composition
KR102218852B1 (ko) 접착제 조성물
JP2004125816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補償偏光板及び表示装置、並びにインハウス製造方法
JP2003240945A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