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293B1 -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293B1
KR102577293B1 KR1020220180576A KR20220180576A KR102577293B1 KR 102577293 B1 KR102577293 B1 KR 102577293B1 KR 1020220180576 A KR1020220180576 A KR 1020220180576A KR 20220180576 A KR20220180576 A KR 20220180576A KR 102577293 B1 KR102577293 B1 KR 102577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work
location
beac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엠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엠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180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 G01S2201/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environments
    • G01S2201/03Construction si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현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 내에서의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작업 현장 인력을 관리하고, 작업 현장을 모니터링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은 작업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비콘 신호를 기초로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출퇴근 이력 및 작업 현장 내에서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VIDING JOB SITE PERSONNEL MANAGEMENT AND JOB SITE MONITORING PLATFORM USING BEACONS}
본 발명은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작업 현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 내에서의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작업 현장 인력을 관리하고, 작업 현장을 모니터링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및 산업 현장은 수많은 작업 인력이 투입되어 동시에 여러 작업이 진행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장소로서, 투입되는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안전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런데 건설 및 산업 현장은 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부터 기인하는 위험성이나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귀중한 인적자원이 손실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건설 및 산업 현장에는 다양한 분야의 작업자들이 배치되어져서 각자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자들의 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자의 수가 극히 적고, 실외 작업시 현장 관리자의 통제와 관리가 제한되는 영역이 발생하게 되어 현장 내 인력에 대한 효율적이고 정확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건설현장 인력에 대한 안전사고나 비효율적인 인력관리는 전체적인 공사비의 상승과 생산성의 저하 그리고 공사기간의 연장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다수의 작업 인부가 오고 가는 공사 현장의 경우, 관리자가 모든 작업 인부들을 관리하기가 쉽지는 않다. 특히, 작업 인부들은 자주 변경되고, 각자 일하는 시간도 상이하기 때문에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작업 인부들을 관리하는데 더욱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작업 인부들이 공사 현장에서 이탈하거나 작업 현장에서 벗어나는 경우도 많은데, 이에 대해서 소수의 관리자가 모두 컨트롤하기가 쉽지는 않은 상황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 현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 내에서의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작업 현장 인력을 관리하고, 작업 현장을 모니터링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은 작업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비콘 신호를 기초로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출퇴근 이력 및 작업 현장 내에서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자가 진행할 작업 목록 및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 위치에 설치된 비콘의 고유 ID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비콘 신호를 기초로, 상기 비콘 신호를 전송한 비콘의 고유 ID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 위치에 설치된 비콘의 고유 ID와, 상기 비콘 신호를 전송한 비콘의 고유 ID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상기 작업 위치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자가 진행할 작업 목록 및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와, 저장되어 있는 작업 목록 별 구분되어진 작업 영역 중 상기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비콘 신호를 기초로 판단되는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상기 작업 영역 내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작업자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작업자들로부터 획득되는 작업 내역을 기초로, 작업 영역 각각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 영역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들의 작업자 단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작업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자들을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들과 상기 작업자 목록 내 작업자들의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매칭 여부 판단 결과, 상기 작업자 목록 내에는 포함되나 상기 작업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는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로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작업자 목록 내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상기 작업 영역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로 알람을 제공하고, 인증되지 않은 작업자가 상기 작업 영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관리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작업자들의 주 업무 내용을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들이 금일 수행할 작업 내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작업자의 출근이 확인되면 상기 작업자가 수행할 작업 내역을 상기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비콘 신호를 기초로 판단되는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상기 작업 내역에 포함되는 작업 위치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작업 현장에 대한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 현장에 설치된 비콘 각각에 대한 정보를 상기 도면 상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로부터 도착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도착지 위치 및 도착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상기 도면 상에 표시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획득되는 비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도착지까지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로부터 작업 현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작업 위치에 머무른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을 수행한 시간 및 상기 작업 현황 정보를 기초로 작업량 효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작업 목록별, 작업자별, 날짜별로 산출된 효율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의 차량 정보를 작업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 현장 내에서, 상기 차량에 탑승한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로부터 비콘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비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가 탑승한 차량의 위치 및 속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고, 주차된 시간에 획득된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위치, 속도 및 주차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과속 여부 및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하여,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작업 현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 내에서의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작업 현장 인력을 관리하고, 작업 현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모니터링 결과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모니터링 결과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3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모니터링 결과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4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모니터링 결과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에게 작업 현장 도면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플랫폼 제공 장치(100), 비콘(200), 작업자 단말(300), 관리자 단말(400) 및 외부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300)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획득하고, 비콘 신호를 기초로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작업자의 위치를 기초로 작업자의 출퇴근 이력 및 작업 현장 내에서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비콘(200)은 작업 현장 내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비콘(200)은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으로, 특정 발신자를 지정하여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아닌 비콘 신호의 발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모든 발신자에게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콘 신호 범위 내에 위치하는 관리자 단말(40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400)로 수신된 비콘 신호는 플랫폼 제공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300)은 네트워크를 통해 플랫폼 제공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플랫폼 제공 장치(100)로부터 각종 서비스 및 플랫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작업자 단말(300)은 플랫폼 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 및 플랫폼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설치 및 실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플랫폼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 단말(300)은 스마트폰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한 운영체제를 탑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자 단말(300)은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한 다른 범용적인 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300)은 어플리케이션 외에 웹 기반으로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작업자 단말(300)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특정한 형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으며, 플랫폼 제공 장치(100)로부터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을 제공받을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은 관리자 단말(400)의 적어도 일부분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태플릿 PC, 데스크톱 및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플랫폼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플랫폼 제공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플랫폼 제공 장치(100)가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500)는 플랫폼 제공 장치(100)가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500)는 플랫폼 제공 장치(10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 서버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플랫폼 제공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장치(100)(이하,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20), 버스(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및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컴퓨팅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11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5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 컴퓨터 프로그램(151)이 로드되면, 프로세서(11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30)는 컴퓨팅 장치(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3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컴퓨팅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5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를 통해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스토리지(150)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5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메모리(120)에 로드될 때 프로세서(110)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작업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비콘 신호를 기초로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출퇴근 이력 및 작업 현장 내에서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컴퓨팅 장치(100)가 제공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200)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100).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200)은 일정한 주기로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고, 작업자 단말(300)을 소지한 작업자가 비콘 신호 범위 내로 이동하는 경우 작업자 단말(30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300)은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컴퓨팅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 단말(300)에는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어플리케이션은 작업자 단말(300)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다가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비콘 신호를 컴퓨팅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100)는 비콘 신호를 기초로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200). 컴퓨팅 장치(100)는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현장 곳곳에 설치된 비콘(200) 각각의 위치를 저장하고 있고, 작업자 단말(300)로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비콘(200)과 작업자 단말(300)간의 직선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300)로 수신되는 복수의 비콘(200) 각각과 작업자 단말(300)간의 직선 거리를 기초로, 중첩되는 하나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고, 선정되는 위치를 작업자의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의 위치를 기초로 작업자의 출퇴근 이력 및 작업 현장 내에서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작업자가 작업 현장에 출근한 경우 작업 현장의 입구를 지날 수 있고 작업자 단말(300)은 입구에 설치된 비콘(200)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작업자가 퇴근하는 경우 작업 현장의 출구를 지날 수 있고 작업자 단말(300)은 출구에 설치된 비콘(200)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의 출퇴근 이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는 입구에 설치된 비콘(200)으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된 후 작업 현장 내에 설치된 비콘(200) 중 어떠한 비콘(200)에 대해서도 비콘 신호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출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출퇴근 이력을 속이거나, 무단 이탈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작업 현장 인력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작업자는 작업 현장 내에서 이동하거나 일정 위치에 머무르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때 작업자 단말(300)은 작업 현장 곳곳에 설치되는 비콘(200)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200)로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 현장 내에는 충분한 수의 비콘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로부터 작업자가 진행할 작업 목록 및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 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S310). 작업자는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작업자 단말(300)을 통해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이하, 플랫폼)에 접속하여 컴퓨팅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인스트럭션에 따라 작업 내역을 입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공사명, 공사유형, 공사위치, 작업관리자, 인원을 입력하는 인스트럭션을 제공할 수 있고, 작업자는 인스트럭션에 따라 각 목록에 따른 작업 내역을 입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위치에 설치된 비콘의 고유 ID를 추출할 수 있다(S311).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현장 곳곳에 설치된 비콘(200) 각각에 대한 고유 ID와 비콘(200)이 설치된 위치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초로 작업자로부터 획득된 작업 내역에 포함된 공사위치(작업 위치)에 설치된 비콘(200)의 비콘 ID를 추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300)로부터 획득되는 비콘 신호를 기초로, 비콘 신호를 전송한 비콘(200)의 고유 ID를 판단할 수 있다(S312). 작업자는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작업자 단말(300)은 작업 위치에 설치된 비콘(200)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컴퓨팅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통해 비콘 신호를 전송한 비콘의 고유 ID를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위치에 설치된 비콘의 고유 ID와, 비콘 신호를 전송한 비콘의 고유 ID를 비교하여 작업자의 위치가 작업 위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S313).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위치에 설치된 비콘의 고유 ID와, 비콘 신호를 전송한 비콘의 고유 ID가 동일한 경우 작업자의 위치가 작업 위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 예는 작업자의 출퇴근 이력을 모니터링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작업 현장에 출근 시, 작업자 단말(300)은 작업 현장 입구에 설치된 비콘(200)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300)에 수신된 비콘 신호가 작업 현장 입구에 설치된 비콘(200)에서 전송된 비콘 신호임을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작업 현장에 출근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로부터 작업자가 진행할 작업 목록 및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 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S320). 작업자는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작업자 단말(300)을 통해 플랫폼에 접속하여 컴퓨팅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인스트럭션에 따라 작업 내역을 입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공사명, 공사유형, 공사위치, 작업관리자, 인원을 입력하는 인스트럭션을 제공할 수 있고, 작업자는 인스트럭션에 따라 각 목록에 따른 작업 내역을 입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저장되어 있는 작업 목록 별 구분되어진 작업 영역 중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S321).
예를 들어, 특정 작업은 특정 장소에서만 진행되어야할 수 있고, 기간에 따라 작업 목록이 상이할 수 있고, 작업 현장에 따라 이미 영역이 구분되어져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목록별로 구분되어진 작업 영역을 저장하고 있고, 저장되어 있는 작업 영역 중 작업자로부터 획득되는 작업 내역에 포함된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비콘 신호를 기초로 판단되는 작업자의 위치가 작업 영역 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S322). 컴퓨팅 장치(100)는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복수의 비콘 신호의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작업자의 위치가 작업 영역 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비콘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작업자와 각 비콘 장치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정확한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공간의 지도, 지도 상의 각 비콘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지도 상에서 작업자의 위치(예: 좌표)를 특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지도 상에 해당 작업자의 작업영역을 표시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해당 작업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작업영역의 크기나 모양은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반지름을 갖는 원형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작업영역의 크기, 모양 및 위치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예: 10초)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영역의 형태가 원형일 경우 기 설정된 시간마다 그 반지름과 중심이 변경될 수 있고, 작업영역의 형태 또한 삼각형, 사각형 및 S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작업영역에 해당하는 도형의 무게중심은 해당 작업자의 직전 위치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해당 작업자가 직전에 작업영역 상에 위치하였을 경우 도형의 무게중심은 변경되지 않고, 작업자가 직전에 작업영역 상에 위치하지 않았을 경우 도형의 무게중심은 직전 작업자의 위치로 변경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변경되는 작업영역을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위치한 좌표가 해당 작업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가 변경되는 작업영역들에 기 설정된 횟수(예: 3회) 이상 연속으로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작업자가 작업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 중 조금씩 위치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위치 이탈에 대한 오인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 예에서는, 일정 주기로 위치와 모양, 크기가 변경하는 작업 영역을 기 설정된 주기로 표시하고, 작업자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작업 영역을 연속하여 이탈한 경우에만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오인식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400).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100)는 각 작업자들의 이동 동선, 작업 이탈 여부, 작업 목록 별 작업 인원, 작업 현황 등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각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작업자로부터 승인 요청이 획득되면, 관리자 단말(400)로 승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획득하여 작업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승인이 완료된 작업, 승인이 반려된 작업에 따른 작업 목록을 관리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플랫폼을 통해 인력 관리뿐만 아니라 작업 현장의 작업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것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고위험 작업을 진행하는 위치에 설치된 CCTV 화면을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관리자가 CCTV 화면을 통해 작업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험 상황이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긴급 버튼을 제공할 수 있고, 관리자가 긴급 버튼을 누르는 경우 긴급 상황임을 알리는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업무를 작업하는 작업자가 자리를 잠시 비운 사이 해당 작업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해당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300)로 긴급 알람을 전송하여 작업자가 빠르게 복귀하도록 할 수 있고, 인명피해가 발생한 경우 작업 현장 내 의료진에게 긴급 알람을 전송하거나, 119로 자동 연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위험 지역으로 진입하려는 경우 해당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300)로 알람을 전송하여 위험 지역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 현장 내에 화재 등의 재해가 발생한 경우 모든 작업자 단말(300)로 긴급 알람을 전송하여 작업자들이 빠르게 작업 현장에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모니터링 결과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플랫폼 로그인을 요청할 수 있고, 로그인한 작업자 단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 단말 정보는 작업자와 작업자 단말(300)을 매칭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들로부터 획득되는 작업 내역을 기초로, 작업 영역 각각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S411).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300)로 작업 목록 및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 내역을 입력하는 인스트럭션을 제공할 수 있고,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300)을 통해 컴퓨팅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인스트럭션에 따라 작업자가 진행할 작업 목록 및 작업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작업을 여러명의 작업자들이 진행할 수 있고, 동일한 작업 위치에서 여러명의 작업자들이 서로 다른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위치 각각에서 작업을 진행 중인 작업자 목록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영역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들의 작업자 단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12).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영영 각각에 설치된 비콘 신호를 기초로 작업 영역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특정 작업 위치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경우 작업자 단말(300)은 일정한 주기로 특정 작업 위치에 설치된 비콘들(2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컴퓨팅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비콘 신호를 기초로, 해당 작업자의 위치가 특정 작업 위치임을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판단되는 작업자들의 위치가 특정 작업 위치인 작업자들을 판단하여 작업 영역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들의 작업자 단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는 일회성으로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작업 영역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들을 판단할 수 있으나, 다회성으로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를 통해 작업 영역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들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작업 위치에서 작업하지 않는 작업자가 특정 작업 위치를 지나가는 중에 작업자의 위치가 판단됨에 따라 해당 작업자의 위치가 특정 작업 위치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주기로 판단되는 작업자의 작업 위치가 복수의 횟수동안 특정 작업 위치인 경우 특정 작업 위치에 해당 작업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특정 작업 영역에 설치된 비콘(200)의 고유 ID를 획득하고, 해당 비콘(200)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작업자 단말(300)을 통해 특정 작업 영역에 위치한 작업자를 판단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작업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자들을 판단하고, 작업자들과 작업자 목록 내 작업자들의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13). 즉,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위치에서 작업을 진행하기로 한 작업자들과, 실제 작업 위치에 위치한 작업자들이 동일한지 매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매칭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S414). 예를 들어, 작업자 목록 내에는 포함되나 작업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는 작업자가 있는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해당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300)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목록 내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작업 영역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있는 경우, 해당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300)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목록 내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작업 영역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있는데, 해당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 정보가 인증되지 않는 경우 관리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외부인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당 작업 영역에 설치된 CCTV 화면을 관리자에게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외부인 출입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제2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모니터링 결과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들의 주 업무 내용을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시설설비 보수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 굴착기 파쇄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 내부 통신 설비공사를 진행하는 작업자 등 작업자들은 주로 본인의 주 업무와 관련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각 작업자들의 작업자 정보와 주 업무 내용을 매칭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들이 금일 수행할 작업 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S421). 컴퓨팅 장치(100)는 이전 작업 현황을 기초로 작업자들이 금일 수행할 작업 내역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의 출근이 확인되면 작업자가 수행할 작업 내역을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422). 즉, 컴퓨팅 장치(100)는 비콘 신호를 통해 작업자의 출근이 확인되면, 해당 작업자가 금일 수행할 작업 내역을 작업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비콘 신호를 기초로 판단되는 작업자의 위치가 작업 내역에 포함되는 작업 위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S423).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내용에 포함되는 작업 위치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작업 위치에 설치된 비콘(200)의 고유 ID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을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비콘 신호를 기초로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작업자가 해당 작업 위치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자의 작업 진행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8은 제3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모니터링 결과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로부터 작업 현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30).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현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스트럭션을 제공할 수 있고,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300)을 통해 작업 현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작업 현황 정보는 글 또는 이미지로 입력될 수 있으며, 작업 완료 시, 중간 보고 시, 문제 발생 시 등에 입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가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작업 위치에 머무른 시간을 산출하고, 작업을 수행한 시간 및 작업 현황 정보를 기초로 작업량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S431). 컴퓨팅 장치(100)는 비콘 신호를 기초로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작업 위치에 머무른 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획득되는 작업 현황 정보를 기초로 머무른 시간동안의 진행한 작업량을 계산하여 작업량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목록별, 작업자별, 날짜별로 산출된 효율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32).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목록별, 작업자별, 날짜별로 산출된 효율에 대해 생성된 통계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작업 현장 인력을 관리하고, 작업 현황을 모니터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제4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모니터링 결과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의 차량 정보를 작업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S440). 컴퓨팅 장치(100)는 차량을 소지한 작업자가 차량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인스트럭션을 제공하 수 있고,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는 인스트럭션을 따라 차량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현장 내에서, 차량에 탑승한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로부터 비콘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441). 작업 현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200)은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차량에 탑승한 채로 이동하는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300)은 차량의 이동에 따라 복수의 비콘(200)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이 수신하는 비콘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차량에 탑승한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3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고 하였으나, 작업자의 차량에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장치는 작업자 정보 및 작업자 차량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차량의 이동에 따라 복수의 비콘(200)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컴퓨팅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비콘 신호를 기초로 작업자가 탑승한 차량의 위치 및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S442). 컴퓨팅 장치(100)는 비콘 신호가 획득되는 시간과 차량의 위치를 기초로 차량의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제1 지점으로부터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제1지점에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제1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제2지점에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제2비콘 신호를 수신했다고 했을 때, 제1비콘 신호가 수신된 시간과 제2비콘 신호가 수신된 시간과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점 및 제2지점에 설치된 비콘의 위치는 기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지점에 설치된 비콘과 제2지점에 설치된 비콘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산출되는 비콘간의 거리 및 비콘 신호가 수신된 시간 차이를 기초로 차량의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차량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고, 주차된 시간에 획득된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443).
즉, 차량이 주차된 경우, 주차된 위치에 설치된 비콘(300)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비콘 신호의 변동이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비콘 신호의 변동이 없는 위치를 차량이 주차된 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변동이 없기 시작한 비콘 신호가 수신된 시간을 차량의 주차 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차량을 주차한 이후, 작업자 단말(300)를 소지한 후 차량에서 내려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 단말(300)의 위치는 변동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차량이 주차된 것을 판단하지 못하고, 계속 이동중인 것으로 잘못 판단될 수 있다. 이에 컴퓨팅 장치(100)는 이동 속도를 판단하여 작업자가 차량을 타고 이동중인지 도보로 이동중인지 판단하여 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차량의 위치, 속도 및 주차된 위치를 기초로 차량의 과속 여부 및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44).
컴퓨팅 장치(100)는 산출된 차량의 속도를 규정 속도와 비교하여 과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차량이 주차된 위치가 주차 가능 위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차량의 과속 여부 및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별, 날짜별 과속 여부 및 불법 주차 여부에 따른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에게 작업 현장 도면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전체 작업 현장에 대한 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S500). 전체 작업 도면은 관리자에 의해 획득되거나, 작업 현장 곳곳에 설치된 비콘(200)의 위치 및 신호 세기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 현장에 설치된 비콘 각각에 대한 정보를 도면 상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S510). 컴퓨팅 장치(100)는 도면 상에 실제 비콘(200)이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고, 비콘(200)과 관련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로부터 도착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20). 작업자는 작업에 필요한 자재를 가지러가거나, 다른 작업 위치로 작업을 진행하러 가는 등 작업 현장 내에서 다른 위치로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가고자하는 장소의 정확한 위치를 모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플랫폼에 도착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도착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도착지 위치 및 도착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도면 상에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530). 작업 현장 상 자재들이 쌓여있거나, 공사를 진행중이거나 하는 이유로 기존에는 이동이 가능한 경로였음에도 이동이 불가한 경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각 경로들을 이동한 작업자들의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이동 가능한 경로를 판단하고, 이동 가능한 경로 중 최적의 경로를 생성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이전의 다른 날에는 이동량이 많았던 경로임에도 금일 또는 금일로부터 며칠 전 동안에는 이동량이 전혀 없는 경우 현재 이동할 수 없는 경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획득되는 비콘 신호를 기초로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도착지까지 안내할 수 있다(S530). 작업자가 이동함에 따라 작업자 단말(300)은 이동 경로에 설치된 비콘들(2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300)로 수신된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작업자의 위치가 작업자에게 제공한 도착지까지의 경로를 벗어난 경우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300)로 경로가 잘못되었음을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 현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 내에서의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작업 현장 인력을 관리하고, 작업 현장을 모니터링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컴퓨팅 장치
200: 비콘
300: 작업자 단말
400: 관리자 단말
500: 외부 서버

Claims (10)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작업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 단말로 수신되는 복수의 비콘 각각과 상기 작업자 단말 간의 직선 거리를 기초로, 중첩되는 하나의 위치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중첩되는 하나의 위치를 상기 작업자의 위치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출퇴근 이력 및 작업 현장 내에서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가 작업 영역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의 위치 이탈에 대한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해 크기, 모양 및 위치가 변경되는 작업 영역을 기 설정된 주기 마다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주기 마다 상기 변경되는 작업 영역에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속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되는 작업 영역에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연속으로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의 직전 위치가 상기 변경되는 작업 영역 상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변경되는 작업 영역을 형성하는 도형의 무게 중심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작업자의 직전 위치가 상기 변경되는 작업 영역 상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작업자의 직전 위치를 상기 변경되는 작업 영역을 형성하는 도형의 무게 중심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자가 진행할 작업 목록 및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작업 위치에 설치된 비콘의 고유 ID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비콘 신호를 기초로, 상기 비콘 신호를 전송한 비콘의 고유 ID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위치에 설치된 비콘의 고유 ID와, 상기 비콘 신호를 전송한 비콘의 고유 ID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상기 작업 위치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자가 진행할 작업 목록 및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
    저장되어 있는 작업 목록 별 구분되어진 작업 영역 중 상기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콘 신호를 기초로 판단되는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상기 작업 영역 내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작업자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작업자들로부터 획득되는 작업 내역을 기초로, 작업 영역 각각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 영역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들의 작업자 단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작업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자들을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들과 상기 작업자 목록 내 작업자들의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매칭 여부 판단 결과, 상기 작업자 목록 내에는 포함되나 상기 작업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는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로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작업자 목록 내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상기 작업 영역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로 알람을 제공하고, 인증되지 않은 작업자가 상기 작업 영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관리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작업자들의 주 업무 내용을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들이 금일 수행할 작업 내역을 생성하는 단계;
    작업자의 출근이 확인되면 상기 작업자가 수행할 작업 내역을 상기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비콘 신호를 기초로 판단되는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상기 작업 내역에 포함되는 작업 위치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작업 현장에 대한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 현장에 설치된 비콘 각각에 대한 정보를 상기 도면 상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로부터 도착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도착지 위치 및 도착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상기 도면 상에 표시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획득되는 비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도착지까지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로부터 작업 현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작업 위치에 머무른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을 수행한 시간 및 상기 작업 현황 정보를 기초로 작업량 효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작업 목록별, 작업자별, 날짜별로 산출된 효율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의 차량 정보를 작업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작업 현장 내에서, 상기 차량에 탑승한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로부터 비콘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가 탑승한 차량의 위치 및 속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고, 주차된 시간에 획득된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속도 및 주차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과속 여부 및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9.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20180576A 2022-12-21 2022-12-21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57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576A KR102577293B1 (ko) 2022-12-21 2022-12-21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576A KR102577293B1 (ko) 2022-12-21 2022-12-21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293B1 true KR102577293B1 (ko) 2023-09-13

Family

ID=8802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0576A KR102577293B1 (ko) 2022-12-21 2022-12-21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2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669A (ko) * 2017-12-21 2019-07-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 기반의 광산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6431A (ko) * 2020-07-31 2022-02-09 주식회사 대림 건설현장에서 수집된 다수의 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데이터 분류 시스템
KR20220029881A (ko) * 2020-09-02 2022-03-10 대성산업 주식회사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KR20220082412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포스코 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669A (ko) * 2017-12-21 2019-07-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 기반의 광산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6431A (ko) * 2020-07-31 2022-02-09 주식회사 대림 건설현장에서 수집된 다수의 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데이터 분류 시스템
KR20220029881A (ko) * 2020-09-02 2022-03-10 대성산업 주식회사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KR20220082412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포스코 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188B1 (ko)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KR101723283B1 (ko)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2589030A1 (en) Control module for a route guidance system
KR102391207B1 (ko) 3d 모델링 기반 작업자 위치 관리 시스템
EP345737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devices by using posted maps
KR20180111701A (ko) 승객-개시 동적 엘리베이터 서비스 요청
CN112288320A (zh) 一种地铁运行风险监控和管理系统
KR20220133620A (ko)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
CN113256269A (zh) 一种基于bim、云计算及大数据技术的工程管理系统
JP2018090392A (ja) 保守員自動手配システム及び保守員自動手配方法
JP2022042303A (ja) 遠隔支援システム
KR102577293B1 (ko) 비콘을 이용한 작업 현장 인력 관리 및 작업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JP6670580B2 (ja) 建築分野用システム
JP2023089629A (ja) 異常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異常状態監視方法
US20230410615A1 (en) System integrating disparate emergency detection and response capabilities
CN112506187A (zh) 移动机器人监控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367397A (zh) 外勤作业的监控预警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534819B1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 대한 안전 감시를 위한 매뉴얼 제공 및 결과 보고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7263043B2 (ja) アラート出力システム、アラート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523492A (zh) 水电站监管方法及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059579B1 (ko) 재난 발생 신고의 수보 정보에 따른 재난 대응 정보 관리 시스템
CN115223091A (zh) 基于ai的工地隐患监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635901B1 (ko) Ai 로봇을 이용한 건설 현장의 위험 객체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35902B1 (ko) Ai 로봇을 이용한 건설 현장의 작업 공정별 상황 인식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957982B1 (ko) 비콘태그를 이용한 안전활동 스마트 tbm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