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820B1 -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820B1
KR102576820B1 KR1020210065200A KR20210065200A KR102576820B1 KR 102576820 B1 KR102576820 B1 KR 102576820B1 KR 1020210065200 A KR1020210065200 A KR 1020210065200A KR 20210065200 A KR20210065200 A KR 20210065200A KR 102576820 B1 KR102576820 B1 KR 102576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belt
display
hous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7545A (ko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시스템
강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시스템, 강태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65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82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의 승강시 모터 부하의 경감 및 승강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장치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A display guide apparatus using a belt}
본 발명은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의 승강시 모터 부하의 경감 및 승강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장치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 제10-1600925호, 제10-1600927호, 제10-1600931호, 제10-1613920호, 제10-1613929호에 디스플레이를 승강 및 각도제어하는 위치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등록 특허들은 디스플레이의 승강 작동시 모터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한 중량의 밸런스 웨이트를 채용함으로써 장치가 중량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 제10-1600925호 특허등록 제10-1600927호 특허등록 제10-1600931호 특허등록 제10-1613920호 특허등록 제10-1613929호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승강구동하는 모터의 구동부하를 줄이면서 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한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승강 작동시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전면판넬을 포함하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유니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유니트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승강유니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모터를 구비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유니트가 승강될때 상기 승강모터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밸런싱수단;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승강모터의 동력으로 회전 구동되며 양단부에 구동스프로킷이 결합된 주동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동축의 동력이 전달되며 양단부에 종동스프로킷이 결합된 종동축과, 상기 각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에 권회되며 상기 승강유니트가 고정 지지되는 한쌍의 승강체인을 구비하며;
상기 밸런싱수단은
상기 주동축의 중앙부 외주면에 각 일단부가 고정되고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주동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감김 또는 풀림동작되는 한쌍의 벨트부재와, 상기 주동축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벨트부재를 상기 승강체인과 나란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롤러와, 상기 각 벨트부재의 각 타단에 각 상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각 벨트부재로부터 전달되는 당김력 또는 풀림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한쌍의 탄성부재와, 상기 각 탄성부재의 각 하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고정되도록 연결시키는 한쌍의 연결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하향으로 이동될때 상기 각 벨트부재가 상기 주동축(210)에 감기면서 상기 각 탄성부재의 탄성 저항력이 증가되도록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향으로 이동될때 상기 각 벨트부재가 상기 주동축으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각 탄성부재의 탄성 저항력이 감소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인에 고정 지지되어 승강되는 상기 승강유니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수직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수직지지대와, 상기 각 수직지지대에 상하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유니트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각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블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은 상기 승강유니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호형의 레일부를 가지는 금속재질의 블록몸체와;
상기 레일부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며 합성수지재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마찰접촉되는 복수의 부싱;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부싱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플랜지가 결합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바닥으로부터 형성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접하는 상기 각 부싱의 내주면에는 동일높이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조립홈에 결합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각 하단부가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한쌍의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이 연결되는 연결볼트를 구비하여서,
상기 탄성부재의 수축 및 팽창시 떨림을 잡아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니트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이 결합 고정되는 승강판과, 일단부가 상기 승강판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한쌍의 연결브라켓과, 중간부가 상기 연결브라켓의 단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블럭과, 후면이 상기 연결블럭의 일단과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고정되는 고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블럭에 대해 상기 고정판을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틸팅회전시키는 좌우틸팅수단과, 상기 연결브라켓에 대해 상기 고정판을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틸팅동작시키는 상하틸팅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좌우틸팅수단은 일단이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중심축에 의해 상기 연결블럭의 일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브라켓(51)과, 출몰되는 제1로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로드부재의 단부는 상기 고정판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틸팅액튜에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틸팅수단은 상기 한쌍의 연결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출몰되는 제2로드부재를 갖는 제2틸팅액튜에이터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2로드부재의 단부는 상기 연결블럭의 타단부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종래 밸런싱수단으로서 중량(重量)의 웨이트를 이용하였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 실시예의 밸런싱수단은 벨트부재(310)와 탄성부재(320)를 채택함으로써 장치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연결부재(330)는 탄성부재(320)의 수축 및 팽창시 떨림을 잡아주어 내부소음을 경감시키고, 주변 전선등의 전기요소들과의 간섭을 줄이게 한다.
세째, 슬라이드블록(500)에 부싱(500)을 결합함으로써, 승강유니트(1)의 승강시 마찰을 최소화하여 마모를 줄이고 마찰소음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부싱(520)의 내주면에 복수의 돌출부(523)를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레일(130)과의 마찰면적을 줄여서 승강유니트(1)의 원할한 승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레일부(512)의 결합홈(513)에 부싱(520)의 플랜지(521)가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드블록(500)이 가이드레일(130)에 안내될때 부싱(5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부싱(520)의 조립시 조립돌기(522)가 조립홈(514)에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레일부(512)에 대한 부싱(520)의 조립위치를 정확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안내장치가 채용된 디스플레이 승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승강기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3b는 도 3a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써, 주동축, 벨트부재 및 탄성부재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도 3의 수직지지대에 승강유니트의 결합상태를 표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정면측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후면측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도 5의 정면도,
도 9는 승강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좌우틸팅상태를 설명하는 작동도,
도 11은 상하틸팅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12는 연결부재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장착 단면도,
도 14는 슬라이드블록의 분리 사시도,
도 15는 블록몸체의 단면도,
도 16은 부싱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승강시 승강모터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종래보다 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하며 장치의 작동소음을 줄 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안내장치를 나타낸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는 상하방향으로 장공(101a)이 형성된 전면판넬(101)을 포함하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내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유니트(1)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유니트(1)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10)가 장착되는 고정판(40)과; 상기 승강유니트(1)를 승강시키는 승강모터(250)를 구비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유니트(1)가 승강될때 상기 승강모터(250)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밸런싱수단;을 구비한다.
도 3a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승강모터(250)의 동력으로 회전 구동되며 양단부에 구동스프로킷(230)이 결합된 주동축(21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동축(210)의 동력이 전달되며 양단부에 종동스프로킷(221)이 결합된 종동축(220)과, 상기 각 구동스프로킷(230)과 종동스프로킷(221)에 권회되며 상기 승강유니트가 고정 지지되는 한쌍의 승강체인(240)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모터(250)의 동력으로 승강체인(240)이 순환회전될때, 고정판(40)에 고정된 디스플레이(10)가 승강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안내장치에는 상기 승강체인(240)에 매달려 승강되는 상기 승강유니트(1)의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한다.
도 3a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유니트(1)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판(15)과, 일단부가 상기 승강판(15)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는 한쌍의 연결브라켓(21,22)과, 중간부가 상기 연결브라켓(21,22)의 단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블럭(30)과, 후면이 회전브라켓트(51)에 의해서 상기 연결블럭(30)의 일단과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10)가 고정되는 고정판(40)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체인(240)은 상기 한쌍의 연결브라켓트(21,22)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유니트(1)를 지지한다.
도 3a,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수직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수직지지대(120)와, 상기 각 수직지지대(120)에 상하로 고정되는 금속재의 가이드레일(130)과, 상기 승강유니트(1)의 승강판(15)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각 가이드레일(1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블록(500)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승강유니트(1)가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순환회전되는 승강체인(240)의 흔들림으로부터 디스플레이(10)가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은 상기 승강유니트(1)의 승강판(15)에 고정되는 고정부(511)와, 상기 고정부(51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3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호형의 레일부(512)를 가지는 금속재질의 블록몸체(510)와; 상기 레일부(512)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며 합성수지재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30)에 마찰접촉되는 복수의 부싱(520);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에 부싱(500)을 결합함으로써, 승강판(15)의 승강시 가이드레일(13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마모를 줄이고 마찰소음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각 부싱(52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플랜지(521)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512)의 내주면에는 상기 플랜지(521)가 결합되는 결합홈(513)과, 상기 결합홈(513)의 바닥으로부터 형성되는 조립홈(51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30)과 접하는 상기 각 부싱(520)의 내주면에는 동일높이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523)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521)에는 상기 조립홈(514)에 결합되는 조립돌기(522)가 형성된다.
상기 부싱(520)의 내주면에 복수의 돌출부(52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130)과의 마찰면적을 줄여서 상기 승강판(15)의 원할한 승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512)의 결합홈(513)에 상기 부싱(520)의 플랜지(521)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이 가이드레일(130)에 안내될때 상기 부싱(5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부싱(520)의 조립시 조립돌기(522)가 조립홈(514)에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레일부(512)에 대한 부싱(520)의 조립위치를 정확하게 한다.
한편, 상기 승강유니트(1)가 승강될때 상기 승강모터(250)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상기 밸런싱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3a, 도 3b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주동축(210)의 중앙부 외주면에 각 일단부가 고정되고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주동축(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감김 또는 풀림동작되는 한쌍의 벨트부재(310)와, 상기 주동축(21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벨트부재(310)를 상기 승강체인(240)과 나란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롤러(315)와, 상기 각 벨트부재(310)의 각 타단에 각 상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각 벨트부재(310)로부터 전달되는 당김력 또는 풀림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한쌍의 탄성부재(320)와, 상기 각 탄성부재(320)의 각 하단부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하측에 고정되도록 연결시키는 한쌍의 연결부재(330)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밸런싱수단은 상기 중량의 디스플레이(10)가 하향으로 이동될때 상기 각 벨트부재(310)가 상기 주동축(210)에 감기면서 상기 각 탄성부재(320)가 신장되어 탄성 저항력이 증가되도록 한다. 즉, 디스플레이(10)의 자체 하중에 의한 상기 승강모터(250)의 부하를 상기 탄성부재(3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경감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10)가 상향으로 이동될때 상기 각 벨트부재(310)가 상기 주동축(210)으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각 탄성부재(320)가 탄성복원되면서 탄성 저항력이 감소되도록 하여 승강모터(250)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기술의 장치들이 중량의 밸런스 웨이트의 채택으로 장치가 중량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반면에, 본 발명 밸런싱수단은 벨트부재(310)와 탄성부재(320)의 채택으로 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다.
한편, 도 7,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탄성부재(32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각 하단부가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한쌍의 연결브라켓(332,334)과, 상기 연결브라켓(332,334)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탄성부재(320)의 하단이 연결되는 연결볼트(335)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탄성부재(320)의 수축 및 팽창시 떨림을 잡아주어 내부소음을 경감시키고, 주변 전선등의 전기요소들이 수축 및 신장되는 탄성부재(320) 사이로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안내장치는 상기 승강유니트(1)의 연결블럭(30)에 대해 상기 고정판(40)을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틸팅회전시키는 좌우틸팅수단(50)과, 상기 연결브라켓(21,22)에 대해 상기 고정판(40)을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틸팅동작시키는 상하틸팅수단(60)을 구비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좌우틸팅수단(50)은 일단이 상기 고정판(40)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중심축(52)에 의해 상기 연결블럭(30)의 일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브라켓(51)과, 출몰되는 제1로드부재(53a)를 구비하며 상기 제1로드부재(53a)의 단부는 상기 고정판(4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틸팅액튜에이터(53)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틸팅수단(50)은 제1틸팅액튜에이터(53)를 동작시켜 제1로드부재(53a)를 수축시키면 디스플레이(10)가 장착된 고정판(40)이 중심축(52)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틸팅 회전되고(도 10a), 이와 반대로 제1로드부재(53a)를 신장시키면,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40)이 중심축(52)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틸팅 회전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상하틸팅수단(60)은 상기 한쌍의 연결브라켓(21,22) 사이에 배치되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출몰되는 제2로드부재(62a)를 갖는 제2틸팅액튜에이터(62)를 구비하고, 상기 제2로드부재(62a)의 단부는 상기 연결블럭(30)의 타단부와 힌지축(6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하틸팅수단(60)은 제2틸팅액튜에이터(62)를 동작시켜 제2로드부재(62a)를 수축시키면, 연결블럭(30)의 하부가 제2틸팅액튜에이터(62)측으로 당겨지면서 연결블럭(30)의 상측이 힌지축(61)을 중심으로 전면방향으로 틸팅 회전되고 연결블럭(30)의 하측이 후면방향으로 틸팅 회전된다.
이와 반대로 제2로드부재(62a)를 신장시키면, 연결블럭(30)의 하부가 제2틸팅액튜에이터(62)로부터 멀어지면서 연결블럭(30)의 상측이 힌지축(61)을 중심으로 후면방향으로 틸팅 회전되어 연결블럭(30)의 하측이 전면방향으로 틸팅 회전된다.
1 : 승강유니트 10 : 디스플레이
15 : 승강판 100 : 하우징
120 : 수직지지대 130 : 가이드레일
210 : 주동축 220 : 종동축
230 : 주동스프로킷 240 : 승강체인
250 : 승강모터 310 : 벨트부재
320 : 탄성부재 330 : 연결부재
332,334 : 연결브라켓 500 : 슬라이드블록
510 : 블록몸체 520 : 부싱

Claims (6)

  1. 상하방향으로 장공(101a)이 형성된 전면판넬(101)을 포함하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내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유니트(1)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유니트(1)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10)가 장착되는 고정판(40)과; 상기 승강유니트(1)를 승강시키는 승강모터(250)를 구비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유니트(1)가 승강될때 상기 승강모터(250)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밸런싱수단;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승강모터(250)의 동력으로 회전 구동되며 양단부에 구동스프로킷(230)이 결합된 주동축(21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동축(210)의 동력이 전달되며 양단부에 종동스프로킷(221)이 결합된 종동축(220)과, 상기 각 구동스프로킷(230)과 종동스프로킷(221)에 권회되며 상기 승강유니트가 고정 지지되는 한쌍의 승강체인(240)을 구비하며;
    상기 밸런싱수단은
    상기 주동축(210)의 중앙부 외주면에 각 일단부가 고정되고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주동축(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감김 또는 풀림동작되는 한쌍의 벨트부재(310)와, 상기 주동축(21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벨트부재(310)를 상기 승강체인(240)과 나란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롤러(315)와, 상기 각 벨트부재(310)의 각 타단에 각 상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각 벨트부재(310)로부터 전달되는 당김력 또는 풀림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한쌍의 탄성부재(320)와, 상기 각 탄성부재(320)의 각 하단부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하측에 고정되도록 연결시키는 한쌍의 연결부재(330)를 구비하여서,
    상기 디스플레이(10)가 하향으로 이동될때 상기 각 벨트부재(310)가 상기 주동축(210)에 감기면서 상기 각 탄성부재(320)의 탄성 저항력이 증가되도록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0)가 상향으로 이동될때 상기 각 벨트부재(310)가 상기 주동축(210)으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각 탄성부재(320)의 탄성 저항력이 감소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인(240)에 고정 지지되어 승강되는 상기 승강유니트(1)의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수직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수직지지대(120)와, 상기 각 수직지지대(120)에 상하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130)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유니트(1)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각 가이드레일(1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블록(5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30)은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은 상기 승강유니트(1)에 고정되는 고정부(511)와, 상기 고정부(51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3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호형의 레일부(512)를 가지는 금속재질의 블록몸체(510)와;
    상기 레일부(512)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며 합성수지재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30)에 마찰접촉되는 복수의 부싱(52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부싱(52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플랜지(521)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512)의 내주면에는 상기 플랜지(521)가 결합되는 결합홈(513)과, 상기 결합홈(513)의 바닥으로부터 형성되는 조립홈(514)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30)과 접하는 상기 각 부싱(520)의 내주면에는 동일높이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523)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521)에는 상기 조립홈(514)에 결합되는 조립돌기(5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탄성부재(32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각 하단부가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한쌍의 연결브라켓(332,334)과, 상기 연결브라켓(332,334)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탄성부재(320)의 하단이 연결되는 연결볼트(335)를 구비하여서,
    상기 탄성부재(320)의 수축 및 팽창시 떨림을 잡아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니트(1)는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이 결합 고정되는 승강판(15)과, 일단부가 상기 승강판(15)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는 한쌍의 연결브라켓(21,22)과, 중간부가 상기 연결브라켓(21,22)의 단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블럭(30)과, 후면이 상기 연결블럭(30)의 일단과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10)가 고정되는 고정판(40)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블럭(30)에 대해 상기 고정판(40)을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틸팅회전시키는 좌우틸팅수단(50)과, 상기 연결브라켓(21,22)에 대해 상기 고정판(40)을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틸팅동작시키는 상하틸팅수단(60)을 구비하며,
    상기 좌우틸팅수단(50)은 일단이 상기 고정판(40)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중심축(52)에 의해 상기 연결블럭(30)의 일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브라켓(51)과, 출몰되는 제1로드부재(53a)를 구비하며 상기 제1로드부재(53a)의 단부는 상기 고정판(4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틸팅액튜에이터(53)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틸팅수단(60)은 상기 한쌍의 연결브라켓(21,22) 사이에 배치되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출몰되는 제2로드부재(62a)를 갖는 제2틸팅액튜에이터(62)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2로드부재(62a)의 단부는 상기 연결블럭(30)의 타단부와 힌지축(6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KR1020210065200A 2021-05-21 2021-05-21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KR102576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200A KR102576820B1 (ko) 2021-05-21 2021-05-21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200A KR102576820B1 (ko) 2021-05-21 2021-05-21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545A KR20220157545A (ko) 2022-11-29
KR102576820B1 true KR102576820B1 (ko) 2023-10-06

Family

ID=8423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200A KR102576820B1 (ko) 2021-05-21 2021-05-21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8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667B1 (ko) * 2023-05-17 2023-11-08 (주)씨브이티일렉트로닉스코리아 전자펜을 포함하는 거치형 전자칠판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3004A (ja) 2006-07-28 2008-02-14 Berutekku Kk 平面型表示装置の移動装置
KR101600925B1 (ko) 2015-11-09 2016-03-08 주식회사 탑시스템 체인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929B1 (ko) 2015-11-09 2016-04-20 주식회사 탑시스템 섹터기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101600927B1 (ko) 2015-11-09 2016-03-08 주식회사 탑시스템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101600931B1 (ko) 2015-11-09 2016-03-08 주식회사 탑시스템 스프라켓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치
KR101613920B1 (ko) 2015-11-09 2016-04-20 주식회사 탑시스템 힌지축 구동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102254423B1 (ko) * 2019-08-03 2021-05-21 주식회사 탑시스템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
KR102288577B1 (ko) * 2019-09-30 2021-08-11 주식회사 탑시스템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3004A (ja) 2006-07-28 2008-02-14 Berutekku Kk 平面型表示装置の移動装置
KR101600925B1 (ko) 2015-11-09 2016-03-08 주식회사 탑시스템 체인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545A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527B2 (en) Hoist using friction wheel
CA2815762C (en) Lift installation
KR102576820B1 (ko)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JP2007119131A (ja) エレベータロープ揺れ止め装置
EP0385313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air gap in toroidal type linear motor
CN110181553B (zh) 伸缩臂组件及造楼装置
KR20160042015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케이블 가이드 장치
JP5589482B2 (ja) 車両用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KR102576818B1 (ko) 슬라이드블록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승강기
JP5326024B1 (ja) 放電加工機の加工槽の2段式連動スライドドア
CN1689951B (zh) 电梯装置
CA3004735A1 (en) Cable drum construction for multiple, horizontal, articulating panel door assembly
JP42162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220129154A (ko) 밸런싱 수단을 구비하는 슬림형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KR102297928B1 (ko) 바튼 승강 구동 장치
KR20220129155A (ko) 벨트 권취형 밸런싱 수단을 구비하는 슬림형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JP7265508B2 (ja) プーリおよびプーリを備えた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WO2021079963A1 (ja) 駆動装置及び窓ガラス昇降装置
CN113165842B (zh) 适用于电梯用2:1绳索连接方法的悬吊滑轮
JP5079495B2 (ja) エレベータの吊り下げ装置
WO200602199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3182954A (ja) ケーブルの案内装置
WO2020032875A1 (en) Transport carrier
JP4269717B2 (ja) 昇降装置
JP2003246564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