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423B1 -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423B1
KR102254423B1 KR1020190094611A KR20190094611A KR102254423B1 KR 102254423 B1 KR102254423 B1 KR 102254423B1 KR 1020190094611 A KR1020190094611 A KR 1020190094611A KR 20190094611 A KR20190094611 A KR 20190094611A KR 102254423 B1 KR102254423 B1 KR 102254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otation
plate
elevator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8287A (ko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시스템
강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시스템, 강태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9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4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벽걸이형 TV 모니터의 상,하 승강동작이 가능하면서 모니터의 상,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모니터의 상,하 틸팅시 부피를 경감시키는 슬림타입으로 제작되어 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으며, 상방향 승강동작시 모니터와 고정판의 중량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A voic recognition type monitor controll apparatus}
본 발명은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벽걸이형 TV 모니터의 상,하 승강동작이 가능하면서 모니터의 상,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모니터의 상,하 틸팅시 부피를 경감시키는 슬림타입으로 제작되어 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으며, 상방향 승강동작시 모니터와 고정판의 중량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시청은 사람들에게 주요한 오락 행위 및 정보원 중의 하나인 반면에, 고정된 위치에서 장시간 TV를 시청하면, 신체가 불편하게 되고, 견갑상완골의 관절주위염, 요통, 척추증, 및 좌골신경통과 같은 질병에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풍부하고 다채로운 TV 프로그램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람들은 TV 세트를 최적의 시각 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눕거나 앉아 있는 자신의 위치에서의 시야각에 따라 TV 세트의 높이 및 시각을 원격 또는 수동 조정함으로써 편안하게 TV를 시청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질환자 및 병원 침상 환자들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요건을 만족하는 모니터 위치 조절장치를 요구하고 있다.
기존 모니터 위치 조절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특허등록 제10-0521359호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등록일자 ; 2005.10.0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가 시청자세에 따라 TV수상기를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각도를 조절하여 적당한 각도로 시청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위와 같은 장치는 스크류 구동모터 및 회전모터의 정역구동에 의해서 TV수상기의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각도를 조절하여 적당한 각도로 시청할 수 있게 원격제어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게 한 것이지만, TV수상기의 상,하 틸팅 각도만을 조절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기존 모니터장치용 위치조절장치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8619호 "윈치형 모니터 위치 조절장치"(등록일자 : 2018.04.09)에 개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는 체인을 특징으로 이용하여 모니터의 시청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모니터의 하중을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모니터의 승강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지만, 모니터를 상,하로만 승강동작시킬 수 밖에 없으며, 모니터의 좌우 및 상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기존 모니터장치용 위치조절장치와 관련된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002호 "벽걸이 평판 모니터장치용 위치조절장치"(등록일자 : 2011.01.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경제적이면서 하중이 작아 대형 및 소형의 평판 모니터에 모두 적용되며, 특히 상하로의 위치이동은 물론 전후 좌우 상하회동이 용이하여 광대한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지만, 모니터의 회동동작시 모니터의 유동이 발생되어 제품 내구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모니터의 회동동작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모니터의 자중으로 인해 처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기존 벽걸이형 모니터의 상,하 틸팅 각도 회전되는 중에 모니터의 무게 하중이 무겁기 때문에 모니터의 처짐이 발생하게 됨과 아울러, 모니터의 복귀동작에서 모터의 구동 부하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521359호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등록일자 ; 2005.10.0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8619호 "윈치형 모니터 위치 조절장치"(등록일자 : 2018.04.0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002호 "벽걸이 평판 모니터장치용 위치조절장치"(등록일자 : 2011.01.25)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벽걸이형 TV 모니터의 상,하 승강동작이 가능하면서 모니터의 상,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모니터의 상,하 틸팅시 부피를 경감시키는 슬림타입으로 제작되어 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으며, 상방향 승강동작시 모니터와 고정판의 중량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부가 일측면에 마련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 승강동작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하부와 제1,2연결브라켓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1,2연결브라켓에 관통되도록 축 결합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승강판의 하부 위치에서 틸팅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면에 모니터가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승강판에 대한 상기 고정판의 틸팅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수단과;상기 승강판의 상방향 상승동작시 상기 승강수단의 동작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한 동적 밸런싱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동적 밸런싱수단은 상기 승강판의 좌,우 양측에 각각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와이어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부재의 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도르래부재와,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승강판의 승강동작에 상반되도록 연동되는 웨이트부재와, 일단이 상기 웨이트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을 구비하여서, 상기 승강판의 상승동작시 상기 웨이트부재의 중량과 상기 인장스프링의 복원력이 상기 승강판의 좌,우 양측에서 상승력으로 작용하도록 되되,
삭제
상기 웨이트부재는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인장스프링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구성되어서,상기 인장스프링의 신장 및 수축 복원동작이 상기 중공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인장스프링의 가로방향 스프링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웨이트부재는 중량을 증감시키기 위한 중량증감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중량증감수단은 상기 웨이트부재의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중량부로 구성된 보조웨이트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회전수단은 일측이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1연결브라켓과, 상기 승강판의 전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1연결브라켓의 일측 단부와 겹쳐지도록 결합되는 제2연결브라켓과, 상기 제1,2연결브라켓의 서로 겹쳐지는 단부에 관통되도록 축 결합되고 회전액츄에이터의 하부브라켓에 끼워지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끼워져 하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로드를 신장 및 수축동작시키는 회전액츄에이터와, 일단이 상기 제1연결브라켓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제1회전링크와, 상기 승강판의 전면에 힌지 연결되고 단부가 상기 제1회전링크의 타단과 회전핀을 매개로 링크 연결되는 제2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로드와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양측단이 상기 제1회전링크의 장공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핀 연결되는 회전핀을 구비하여서, 상기 회전액츄에이터의 회전로드가 수축동작될 경우 상기 고정판이 수직방향에 근접되고, 상기 회전로드가 신장동작될 경우 상기 고정판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면을 향해 경사지도록 틸팅 회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효과는 고정판의 틸팅 회전 궤적 범위가 축소되어 폭방향 부피가 슬림(slim)해지고 콤팩트해짐에 따라 외관상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효과는 승강판의 상승동작시 고정판과 모니터의 무게로 인한 동적 부하를 경감시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3효과는 음성인식기능이 구비되어 있고 거리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틸팅 회전된 모니터와 부딪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슬림형 제어장치에 해당하는 일 실시 예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고정판과 승강판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고정판이 틸팅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고정판이 틸팅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고정판이 기립된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동적 밸런싱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승강판이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일 때의 동적 밸런싱수단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웨이트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 웨이트부재의 변형 예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승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 승강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서의 승강판 승강동작 전,후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 웨이트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 내에 승강수단(200)에 의해 상,하 승강되는 승강판(250)과, 상기 승강판(250)의 하부를 기준으로 틸팅 회전되는 고정판(50)과, 상기 고정판(50)을 틸팅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0), 및 상기 승강수단(200)의 동작 부하를 경감시키는 동적 밸런싱수단(400)으로 대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100)은 하부 몸체의 일측면에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모니터(10)의 동작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부(110)가 일측면에 마련된다.
상기 컨트롤러부(1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받아 판독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음성판독부(미도시)가 구비되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외부정보(날씨, 음악, 통신 정보 등)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IoT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부(11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일정 거리 내에 사용자가 위치할 경우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부(110)측으로 출력하는 거리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부(110)에는 스피커(130)가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130)의 측면에는 휴대폰의 수납 및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포켓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신호가 출력될 경우, 상기 컨트롤러부(110)는 상기 스피커(13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주로 아이들이 모니터(10)에 부딪히는 사고를 예방하거나, 모니터(10) 제품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러부(110)는 필요시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리모콘과의 거리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리모콘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10)는 TV 모니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판(250)은 승강수단(200)에 의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후면에 연결블록(252)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수단(200)은 케이싱(100)의 상부측에 마련되는 승강액츄에이터(210)와, 상기 승강판(250)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액츄에이터(210)의 승강로드(215) 단부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블록(2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액츄에이터(210)는 전동실린더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200)은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260)과, 상기 승강판(250)의 후면에 형성되고 각각의 가이드봉(260)이 끼워지는 가이드레일(255)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승강판(250)의 전면 방향에는 회전수단(300)에 의해 전면방향을 향해 틸팅 회전되는 모니터(10)가 고정된 고정판(50)이 배치된다.
상기 고정판(50)과 모니터(10)는 상기 승강판(250)의 상,하 승강동작시 연동되도록 승강동작된다.
상기 고정판(50)은 회전수단(300)에 의해 상기 승강판(250)으로부터 전면방향을 향해 틸팅 회전된다.
상기 승강판(250)에 대한 상기 고정판(50)의 틸팅 회전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회전수단(300)은 상기 제1,2연결브라켓(352,354), 힌지축(360), 제1,2회전링크, 회전핀(330), 및 회전액츄에이터(34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50)은 제1,2연결브라켓(352,354)과 힌지축(360)에 의해 상기 승강판(250)의 하부와 틸팅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브라켓(352)은 상기 고정판(50)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연결브라켓(354)은 승강판(250)의 전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1,2연결브라켓(352,354)은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겹쳐지고, 겹쳐진 부위에 힌지축(360)이 축 결합된다.
상기 힌지축(360)은 상기 회전액츄에이터(340)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액츄에이터(340)의 하부브라켓(344)에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회전링크(310)는 상기 고정판(50)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단부에 장공(31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링크(320)는 상기 승강판(25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단부가 상기 제1회전링크(310)와 겹쳐진 상태로 상기 회전핀(330)으로 링크 연결된다.
상기 회전핀(330)은 양측단이 상기 제2회전링크(320)를 관통하여 상기 제1회전링크(310)의 장공(315)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핀(330)은 상기 회전액츄에이터(340)의 회전로드(342)에 연동되도록 연결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10)와 고정판(50)은 평상시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기립되어 있다가, 도 3b에서와 같이 회전수단(300)에 의해 틸팅 회전된다.
상기 고정판(50)의 틸팅 회전시 상기 승강판(250)과 고정판(50)의 하부를 연결하는 힌지축(360)을 중심으로 상기 승강판(250)의 하부 위치에서 틸팅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고정판(50)의 틸팅 회전 궤적 범위가 축소되어 폭방향 부피가 슬림(slim)해지고 콤팩트해질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승강판(250)의 하부 위치는 승강판(250)의 중간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수단(300)은 상기 회전액츄에이터(340)의 회전로드(342)가 상측으로 신장될 경우, 상기 회전로드(342)와 연결된 회전핀(330)이 상승동작되고, 상기 회전핀(330)의 상승동작에 의해 제1,2회전링크가 수평상태에 근접되도록 펼쳐지게 된다.
상기 고정판(50)은 제1,2회전링크가 펼쳐짐에 따라 상부가 상기 힌지축(360)을 중심으로 상기 승강판(250)의 하부 위치에서 전면방향으로 틸팅 회전된다.
상기 회전액츄에이터(340)는 힌지축(360)을 중심으로 상부가 전면방향을 향해 경사진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액츄에이터(340)의 회전로드(342)가 하측 방향으로 수축동작될 경우, 상기 회전로드(342)와 연결된 회전핀(330)이 하강동작되고, 상기 회전핀(330)의 하강동작에 의해 제1,2회전링크가 접이식 구조로 접혀지게 된다.
상기 고정판(50)은 제1,2회전링크가 접혀짐에 따라 상부가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도록 후방을 향해 상기 힌지축(360)을 중심으로 틸팅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액츄에이터(340)는 힌지축(360)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기립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동적 밸런싱수단(400)은 상기 승강판(250)의 상방향 상승동작시 상기 승강수단(200)의 동작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동적 밸런싱수단(400)은 와이어부재(410), 도르래부재(412), 웨이트부재(420), 및 인장스프링(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부재(410)는 상기 승강판(250)의 좌,우 양측에 각각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고정브라켓(415)에 의해 웨이트부재(420)의 상측과 연결된다.
상기 도르래부재(412)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부재(410)의 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웨이트부재(420)는 상기 와이어부재(410)의 타단부와 고정브라켓(415)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승강판(250)의 승강동작에 상반되도록 연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웨이트부재(4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250)이 하측포지션에 위치할 때 상승동작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250)이 상측포지션에 위치할 때 하강동작된다.
상기 인장스프링(430)은 일단(상단)이 웨이트부재(420)에 연결되고 타단(하단)이 케이싱(10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인장스프링(430)은 상기 웨이트부재(420)가 상측포지션에 위치할 때 신장되고, 상기 웨이트부재(420)가 하측포지션에 위치할 때 원래 부피로 수축되도록 복원된다.
상기 인장스프링(430)은 상기 웨이트부재(420)가 하측포지션으로 이동될 때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승강판(250)의 상승동작시 상기 웨이트부재(420)의 중량과 상기 인장스프링(430)의 복원력은 상기 승강판(250)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승강판(250)의 상승력으로 작용하도록 보조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250)이 하측포지션에 위치하도록 하강동작되면, 와이어부재(410)에 의해 웨이트부재(420)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인장스프링(430)이 늘어나도록 신장된다.
상기 동적 밸런싱수단(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250)의 상승동작시 웨이트부재(420)의 중량과 인장스프링(430)의 탄성 복원력이 승강판(250)에 매달린 고정판(50)과 모니터(10)의 무게에 대한 동적 부하를 경감시키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웨이트부재(420)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웨이트부재(420)의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인장스프링(430)의 상단이 수용되도록 중공(42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중공(425)이 형성된 웨이트부재(420)는 도 8에서와 같이 원래 부피로 수축되어 있다가, 상기 웨이트부재(420)의 상승동작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인장스프링(430)의 신장 동작을 중공(425) 내에서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중공(425)이 형성된 웨이트부재(420)는 상기 인장스프링(430)의 신장 및 복원동작이 상기 중공(425)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인장스프링(430)의 가로방향 스프링 유동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 승강수단(20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 승강수단(200)의 다른 실시 예는 승강모터(220)와 체인(230)을 이용하여 승강모터(220)의 구동력을 승강판(250)의 연결블록(252)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된 스크류축(240)에 전달하여 스크류축(240)을 회전시키고, 스크류축(240)의 양방향 회전시 승강판(250)이 상,하로 승강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에도 상기 동적 밸런싱수단(400)이 상기 승강판(250)의 상승동작시 고정판(50)과 모니터(10)의 하중에 대한 동적 부하를 경감시키게 된다.
상기 승강판(250)의 하강동작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부재(420)가 상측포지션에 위치하고 상기 인장스프링(430)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승강판(250)의 상승동작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부재(420)가 하측포지션에 위치하고 상기 인장스프링(430)이 원래 부피로 복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 웨이트부재(42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중량을 증감시키기 위한 중량증감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중량증감수단은 상기 웨이트부재(420)의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440)과, 상기 체결공(440)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체결부(452)와 상기 체결부(45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중량부(454)로 구성된 보조웨이트(450)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웨이트(450)는 체결부(452)가 체결공(440)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웨이트부재(420)에 결합된다.
상기 보조웨이트(450)가 웨이트부재(420)에 결합되는 개수에 따라 웨이트부재(420)의 전체 중량이 증감된다.
상기 중량증감수단은 모니터(10)의 사이즈 치수에 따른 무게 증감을 고려하여 동적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웨이트부재(420)에 가변 중량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효과는 고정판(50)의 틸팅 회전 궤적 범위가 축소되어 폭방향 부피가 슬림(slim)해지고 콤팩트해짐에 따라 외관상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효과는 승강판(250)의 상승동작시 고정판(50)과 모니터(10)의 무게로 인한 동적 부하를 경감시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3효과는 음성인식기능이 구비되어 있고 거리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틸팅 회전된 모니터(10)와 부딪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 : 모니터 50 : 고정판
100 : 케이싱 110 : 컨트롤러부
120 : 휴대폰 포켓부 130 : 스피커
200 : 승강수단 210 : 승강액츄에이터
215 : 승강로드 220 : 승강모터
230 : 체인 240 : 스크류축
250 : 승강판 252 : 연결블록
255 : 가이드레일 300 : 회전수단
310 : 제1회전링크 315 : 장공
320 : 제2회전링크 330 : 회전핀
340 : 회전액츄에이터 342 : 회전로드
344 : 하부브라켓 352 : 제1연결브라켓
354 : 제2연결브라켓 360 : 힌지축
400 : 동적 밸런싱수단 410 : 와이어부재
412 : 도르래부재 415 : 고정브라켓
420 : 웨이트부재 425 : 중공
430 : 인장스프링 440 : 체결공
450 : 보조웨이트 452 : 체결부
454 : 중량부

Claims (5)

  1.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부(110)가 일측면에 마련되는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승강수단(200)에 의해 상,하 승강동작되는 승강판(250)과; 힌지축(360)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2연결브라켓(352,354)을 매개로 상기 승강판(250)의 하부와 연결되고, 전면에 모니터(10)가 고정되는 고정판(50)과; 상기 승강판(250)에 대한 상기 고정판(50)의 틸팅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수단(300)과; 상기 승강판(250)의 상방향 상승동작시 상기 승강수단(200)의 구동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한 동적 밸런싱수단(400);을 구비하며,
    상기 동적 밸런싱수단(400)은 상기 승강판(250)의 좌,우 양측에 각각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와이어부재(410)와,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부재(410)의 주행 방향을 전환시키는 도르래부재(412)와, 상기 와이어부재(410)의 타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승강판(250)의 승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웨이트부재(420)와, 일단이 상기 웨이트부재(4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하측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430)을 구비하여서,
    상기 승강판(250)의 승강동작시 상기 웨이트부재(420)의 중량과 상기 인장스프링(430)의 복원력이 상기 승강수단(200)의 구동부하가 경감되도록 되되,
    상기 웨이트부재(420)는 중공(425)을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장스프링(430)의 상측 일부가 상기 중공(425)내에 배치되어 그 상단부가 상기 웨이트부재(42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서,
    상기 인장스프링(430)의 신장 및 수축 동작시 상기 중공(425)에 안내되어서 상기 인장스프링(430)의 횡방향 유동이 억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420)는 중량을 증감시키기 위한 중량증감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중량증감수단은 상기 웨이트부재(420)의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440)과,
    상기 체결공(440)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체결부(452)와 상기 체결부(45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중량부(454)로 구성된 보조웨이트(4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300)은 일측이 상기 고정판(50)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1연결브라켓(352)과,
    상기 승강판(250)의 전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1연결브라켓(352)의 일측 단부와 겹쳐지도록 결합되는 제2연결브라켓(354)과,
    상기 제1,2연결브라켓(352,354)의 서로 겹쳐지는 단부에 관통되도록 축 결합되고 회전액츄에이터(340)의 하부브라켓(344)에 끼워지는 힌지축(360)과,
    상기 힌지축(360)에 끼워져 하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로드(342)를 신장 및 수축동작시키는 회전액츄에이터(340)와,
    일단이 상기 제1연결브라켓(35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판(50)의 후면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길이방향으로 장공(315)이 형성된 제1회전링크(310)와,
    상기 승강판(250)의 전면에 힌지 연결되고 단부가 상기 제1회전링크(310)의 타단과 회전핀(330)을 매개로 링크 연결되는 제2회전링크(320), 및
    상기 회전로드(342)와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양측단이 상기 제1회전링크(310)의 장공(315)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핀 연결되는 회전핀(330)을 구비하여서,
    상기 회전액츄에이터(340)의 회전로드(342)가 수축동작될 경우 상기 고정판(50)이 수직방향에 근접되고, 상기 회전로드(342)가 신장동작될 경우 상기 고정판(50)이 상기 힌지축(360)을 중심으로 전면을 향해 경사지도록 틸팅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
KR1020190094611A 2019-08-03 2019-08-03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 KR102254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611A KR102254423B1 (ko) 2019-08-03 2019-08-03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611A KR102254423B1 (ko) 2019-08-03 2019-08-03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287A KR20210028287A (ko) 2021-03-12
KR102254423B1 true KR102254423B1 (ko) 2021-05-21

Family

ID=7517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611A KR102254423B1 (ko) 2019-08-03 2019-08-03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820B1 (ko) * 2021-05-21 2023-10-06 주식회사 탑시스템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KR102576818B1 (ko) * 2021-05-21 2023-10-06 주식회사 탑시스템 슬라이드블록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승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0153A (ja) * 2005-05-24 2006-12-07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の昇降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040866A (ja) * 2014-08-12 2016-03-24 Re・Leaf株式会社 支持スタンド
KR101800201B1 (ko) * 2017-07-25 2017-11-23 주식회사 탑시스템 Tv 화면 위치조절기의 음성인식형 원격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359B1 (ko) 2002-12-03 2005-10-14 강태욱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
KR101012002B1 (ko) 2009-06-05 2011-01-31 주식회사 이피텍 벽걸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용 위치조절장치
KR101848619B1 (ko) 2017-02-23 2018-05-24 주식회사 탑시스템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101969635B1 (ko) * 2017-02-23 2019-04-16 주식회사 탑시스템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0153A (ja) * 2005-05-24 2006-12-07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の昇降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040866A (ja) * 2014-08-12 2016-03-24 Re・Leaf株式会社 支持スタンド
KR101800201B1 (ko) * 2017-07-25 2017-11-23 주식회사 탑시스템 Tv 화면 위치조절기의 음성인식형 원격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287A (ko)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423B1 (ko)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
KR101237560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US10638851B2 (en) Adjustable foundation
US8382052B1 (en) Flat-screen television mounting methods and apparatus
KR100531030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절첩식 의자
CN106821637B (zh) 全向多功能轮椅床
US10568434B2 (en) Adjustable foundation
CN105919290A (zh) 一种联动的课桌椅的控制方法
KR101848619B1 (ko)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US20190059601A1 (en) Adjustable support legs for a mattress foundation
US20230026251A1 (en) Exercise system with translatable and rotatable display
CN102426473A (zh) 一种屏幕可以升降的笔记本电脑
KR101969635B1 (ko)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102221996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음성인식 무빙 스탠드
WO2013190449A1 (en) Liftable/lowerable bed
KR102288577B1 (ko)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CN206983678U (zh) 一种车用遮阳板
CN207506171U (zh) 一种可随意调节显示器角度的多媒体讲台
KR101410637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CN202331283U (zh) 一种屏幕可以升降的笔记本电脑
EP3355745B1 (en) A bed
US20200085197A1 (en) Seat With Privacy Screen
KR20140120442A (ko) 이동식 접이 침대
KR20120033764A (ko) 블라인드 창호
WO2019032830A1 (en)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