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711B1 - 적층박리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적층박리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711B1
KR102576711B1 KR1020210061481A KR20210061481A KR102576711B1 KR 102576711 B1 KR102576711 B1 KR 102576711B1 KR 1020210061481 A KR1020210061481 A KR 1020210061481A KR 20210061481 A KR20210061481 A KR 20210061481A KR 102576711 B1 KR102576711 B1 KR 102576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gment
layer
container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626A (ko
Inventor
치아-칭 첸
Original Assignee
에스알 패키징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알 패키징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스알 패키징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8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formed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8Blow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65D1/323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the container comprising internally a dip tube through which the contents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8Blowing means
    • B29C2049/5848Cutting means, e.g. to cut parts of the preform or parison with the blow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86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 B29C2949/3088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52Auxiliary operations prior to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적층박리 컨테이너는 본체부와 개구부를 포함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수용 공간은 본체부의 본체 내면과 개구부의 개구 내면에 의해 형성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는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한다. 제1 층은 제1 밀착 영역을 포함한다. 본체부에서, 제1 층은 거기에 위치된 제2 층보다 본체 내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본체 내면 상에 노출된다. 제2 층은 제2 밀착 영역을 포함한다. 제1 밀착 영역과 제2 밀착 영역은 서로 단단히 부착된다. 제1 밀착 영역과 제2 밀착 영역은 모두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개구부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적층박리 컨테이너{DELAMINATED CONTAINER}
본 개시는 적층박리(delaminated)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개시는 적층박리되는 경향이 없는 개구부를 가진 적층박리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기술들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적층박리 컨테이너들의 응용들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적층박리 컨테이너가 사용 중에 있을 때, 본체부의 내층과 외층이 적층박리 상태에 있으면 개구부의 내층과 외층도 쉽게 적층박리된다. 그러면, 내층과 외층이 완전히 적층박리되어 벗겨질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종래의 제조 공정에서 병목 현상이다. 즉, 내층과 외층은 내용물을 그대로 언로딩하면서 적층박리가 필요하지만, 완전히 적층박리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엔지니어링 설계에 충돌 또는 트레이드-오프가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내층과 외층 사이의 전체적인 적층박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내용물을 그대로 언로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적층박리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층박리 컨테이너는 본체부와 개구부를 가진다. 개구부는 본체부보다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개구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수용 공간은 본체부의 본체 내면과 개구부의 개구 내면에 의해 형성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는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한다. 제1 층은 제1 밀착(tightly-attached) 영역을 포함한다. 본체부에서, 제1 층은 제2 층보다 본체 내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본체 내면 상에 노출된다. 제2 층은 제2 밀착 영역을 포함한다. 제1 밀착 영역과 제2 밀착 영역은 서로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1 밀착 영역과 제2 밀착 영역은 모두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개구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층박리 컨테이너는 본체부와 개구부를 구비한다. 개구부는 본체부보다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개구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수용 공간은 본체부의 본체 내면과 개구부의 개구 내면에 의해 형성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는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한다. 제1 층는 제1 밀착 영역을 포함한다. 본체부에서, 제1 층은 거기에 위치된 제2 층보다 본체 내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본체 내면 상에 노출된다. 제2 층는 제2 밀착 영역을 포함한다. 제1 밀착 영역과 제2 밀착 영역은 서로 단단하게 부착된다. 제1 밀착 영역과 제2 밀착 영역은 모두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개구부에 위치되고 내측으로 접힌 구조를 형성한다.
본 개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1C-1C선을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1d는 도 1c의 1D 부분의 발췌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명확성을 위해, 일부 실제적인 세부 내용들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실제적인 세부 내용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즉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제적인 세부 내용들이 불필요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면들을 단순화하기 위해 종래의 일부 구조 및 요소들은 간략히 예시되고, 반복되는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1C-1C선를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단면도이다. 도 1d는 도 1c의 1D부분의 발췌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적층박리 컨테이너(100)는 본체부(150)와 개구부(160)를 구비한다. 개구부(160)는 본체부(150)보다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개구(175)에 더 가깝게 즉, 개구(175)에 위치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수용 공간(170)은 본체부(150)의 본체 내면(154)과 개구부(160)의 개구 내면(164)에 의해 형성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100)는 제1 층(110)과 제2 층(120)을 포함한다.
도 1d를 참조하면, 제1 층(110)은 제1 밀착 영역(111)을 포함한다. 본체부(150)에서, 제1 층(110)은 제2 층(120)보다 본체 내면(154)에 더 가깝게 즉, 본체 내면(154)에 위치되고, 본체 내면(154) 상에 노출된다. 제2 층(120)은 제2 밀착 영역(122)을 포함한다. 제1 밀착 영역(111)과 제2 밀착 영역(122)은 서로 단단하게 부착된다. 제1 밀착 영역(111)과 제2 밀착 영역(122)은 모두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개구부(160)에 위치된다. 따라서, 개구부(160)에서 제1 층(110)과 제2 층(120) 사이의 적층박리를 방지하는데 유리하고, 내부의 내용물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내용물을 언로딩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의 경우, 제1 층은 본체부의 최내층을 나타내고, 제2 층은 본체부의 최내층을 제외한 외층을 나타내고, 제2 층의 갯수는 적어도 2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밀착 영역(111)과 제2 밀착 영역(122)은 모두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개구부(160)에 위치되어 내측으로 접힌 구조(130)를 형성하고, 이러한 구조는 개구부(160)에서 제1 층(110)과 제2 층(120) 사이의 적층박리의 방지, 제조 비용의 감소,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생산 효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내측으로 접힌 구조(130)는, 단단하게 부착시키는 기능과 덮는 기능을 달성하는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해, 블랭크(blank)의 제1 층의 접촉 면적(즉, 블랭크의 제1 층과 제2 층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원래의 일반적인 블로우 성형 공정으로 형성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100)는 부가적인 도구 또는 장치없이 블로우 성형 장비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밀착 영역(111)과 제2 밀착 영역(122)은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제조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밀착 영역(111)과 제2 밀착 영역(122)은, 제조 공정에서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성형 전에, 블로잉 핀(blowing pin)이 용융 블랭크 속으로 들어가는 동안 형성될 수 있다. 블로잉 핀이 블랭크의 개구 속으로 들어갈 때, 블로잉 핀의 외벽과 블랭크의 제1 층(즉, 블랭크의 내층 또는 최내층)이 부착된다. 블랭크의 제1 층의 적어도 일부는 블로잉 핀의 외벽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져서 개구 내면(즉, 개구에 있거나 그 부근의 내면)을 따라 내측으로 접혀짐으로써, 제1 층과 제2 층(즉, 블랭크의 외층)이 단단하게 부착된다. 이어서, 내측으로 접힌 구조(130)는 블로잉 핀의 외벽과 몰드의 압착 절단에 의해 형성되고, 적층박리 컨테이너(100)는 제1 층(110)과 제2 층(120) 사이(즉, 내층과 외층 사이)의 접촉 면적이 확대되는 특징을 발휘하게 되고, 제2 층(120)은 개구부(160)에서 제1 층(110)을 덮는 기능이 부여됨으로써 벗겨지기 어려운 구조가 된다. 개구부(160)에서 제1 층(110)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거나 불균일할 수 있다. 블로잉 핀이 블랭크의 개구 속으로 들어갈 때, 제1 층(110)은 개구(175)로부터 본체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됨으로써, 제1 층(110)의 두께는 개구(175)로부터 본체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꺼워지는 한편(미도시) 개구 내면(164)의 형상은 블로잉 핀의 외벽의 형상에 대응한다. 개구부(160)의 개구 내면(164) 만이 블로잉 핀에 의해 성형되기 때문에,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형상과 외관 디자인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는, 블랭크는 블로잉 핀의 외벽과 상응하는 모양의 몰드에 의해 개구부에서 압착 및 절단된 후, 고압 공기를 블랭크 속으로 불어 넣게 되면, 적층박리 컨테이너는 개구부의 개별적인 또는 상이한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밀착 영역(111)은 샌드위치 세그먼트(116)를 포함한다. 제2 밀착 영역(122)은 내부 밀착 세그먼트(127)를 포함한다. 샌드위치 세그먼트(116)와 내부 밀착 세그먼트(127)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해 서로 단단히 부착된다. 내부 밀착 세그먼트(127)는 샌드위치 세그먼트(116)보다 개구 내면(164)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샌드위치 세그먼트(116)는 개구 내면(164) 상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층(110)의 샌드위치 세그먼트(116)는 제2 층(120)에 의해 덮여서 밀착 강도가 증가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적층박리 컨테이너는 개구에 의해 형성된 가상 평면의 법선 방향인, 개구 법선 방향을 가진다. 제2 층의 일부는 샌드위치 세그먼트에 대해 상기 법선 방향의 개구 내면을 향하는 수직 방향으로 존재한다.
더욱이, 내부 밀착 세그먼트(127)는 개구 내면(164) 상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개구 내면(164) 상에 노출된 제1 층(110)은 적층박리를 방지함과 동시에 제조의 복잡성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하다.
제1 밀착 영역(111)은 제1 개구 세그먼트(115)를 더 포함한다. 제1 개구 세그먼트(115)는 내부 밀착 세그먼트(127)의 다른 부분에 단단하게 부착되고 개구 내면(164) 상에 노출된다. 제1 개구 세그먼트(115)는 개구(175)로부터 본체부(1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샌드위치 세그먼트(116)에 연결된다. 따라서,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제조 공정에서, 블랭크의 제1 층의 일부만(즉, 제2 층은 제외)이 블로잉 핀의 외벽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지고 개구 내면을 따라 내측으로 접혀져서 블랭크의 제2 층에 단단히 부착된다. 따라서, 성형 후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제1 층(110)의 제1 개구 세그먼트(115)는 개구(175)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구 내면(164) 상에 노출되고, 개구부(160)에서 제1 층(110)과 제2 층(120) 사이의 적층박리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적층박리 컨테이너(100)는 개구(175)에 의해 형성된 가상 평면(176)의 법선 방향인 개구 법선 방향(N1)을 가진다. 개구 법선 방향(N1)에서, 제1 개구 세그먼트(115)의 길이(L5)에 대한 샌드위치 세그먼트(116)의 길이(L6)의 비율은 0.3 내지 1이다(0.3과 1을 포함함). 제1 실시예에서, 길이(L6)은 2.4mm이고, 길이(L5)는 6.9mm이고, 길이(L5)에 대한 길이(L6)의 비율은 0.35이다.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제조 공정에서, 블랭크에 들어가는 블로잉 핀의 깊이에 따라 길이들(L5,L6)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밀착 강도의 증가에 유리하다.
개구 내면(164)의 내경은 개구(175)로부터 본체부(1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작아진다. 따라서, 비-병렬 방식으로 제2 밀착 영역(122)에 단단하게 부착되는 제1 밀착 영역(111)은, 쉽게 벗겨지거나 적층박리될 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제조의 편의성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개구 내면(164)의 형상은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블로잉 핀의 외벽의 형상, 즉 외벽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블로잉 핀의 외벽의 적어도 일부의 모양은 블로잉 핀의 팁(tip)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더 좁을 수 있고 블로잉 핀으로부터 더 멀어지는 다른 위치에서 더 넓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블로잉 핀의 외벽의 형상은 다른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제2 밀착 영역(122)은 외부 밀착 세그먼트(128)를 더 포함한다. 샌드위치 세그먼트(116)의 내면(117)과 내부 밀착 영역(127)의 일부는 서로 밀착되게 부착되고, 샌드위치 세그먼트(116)의 외면(118)과 외부 밀착 세그먼트(128)의 일부는 서로 단단히 부착되어 마찰을 증가시킨다. 샌드위치 세그먼트(116)는 개구 내면(164) 상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층(120)에 의해 내측 및 외측으로 덮이는 제1 밀착 영역(111)의 샌드위치 세그먼트(116)는 밀착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제1 밀착 영역(111)은 개구(175)로부터 본체부(1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제1 개구 세그먼트(115)와 샌드위치 세그먼트(116)를 포함한다. 제2 밀착 영역(122)은 개구 내면(164)으로부터 개구(175)를 통해 개구 외면(169)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내부 밀착 세그먼트(127)와 외부 밀착 세그먼트(128)를 포함한다. 즉, 제2 밀착 영역(122)의 내부 밀착 세그먼트(127)와 외부 밀착 세그먼트(128)는 제1 밀착 영역(111)의 샌드위치 세그먼트(116)를 덮고, 본체부(150)로부터 더 멀리 있는 샌드위치 세그먼트(116)의 끝단 근처에서 서로 연결된다. 제1 밀착 영역(111)과 제2 밀착 영역(122)은 내측으로 접힌 구조(130)를 형성하고, 이러한 구조는 적층박리 컨테이너(100)의 블랭크의 제1 층을 내측으로 접음으로써만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밀착 영역(111)의 제1 개구 세그먼트(115)는 개구 내면(164) 상에 노출되고, 제2 밀착 영역(122)은 개구 내면(164) 상에 노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2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적층박리 컨테이너(200)는 본체부(250)와 개구부(260)를 가진다. 개구부(260)는 본체부(250)보다 적층박리 컨테이너(200)의 개구부(275)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200)의 수용 공간(270)은 본체부(250)의 본체 내면(254)과 개구부(260)의 개구 내면(264)에 의해 형성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200)는 제1 층(210)과 제2 층(220)을 포함한다. 제1 층(210)은 제1 밀착 영역(211)을 포함한다. 본체부(250)에서, 제1 층(210)은 그에 위치된 제2 층(220)보다 본체 내면(254)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본체 내면(254) 상에 노출된다. 제2 층(220)은 제2 밀착 영역(222)을 포함한다. 제1 밀착 영역(211)과 제2 밀착 영역(222)는 서로 단단하게 부착된다. 제1 밀착 영역(211)과 제2 밀착 영역(222)은 모두 적층박리 컨테이너(200)의 개구부(260)에 위치되어 내측으로 접힌 구조(230)를 형성한다.
제1 밀착 영역(211)은 샌드위치 세그먼트(216)를 포함한다. 제2 밀착 영역(222)은 내부 밀착 세그먼트(227)와 외부 밀착 세그먼트(228)를 포함한다. 샌드위치 세그먼트(216)의 내면(217)과 내부 밀착 세그먼트(227)는 서로 단단히 부착된다. 샌드위치 세그먼트(216)의 외면(218)과 외부 밀착 세그먼트(228)는 서로 단단히 부착된다. 샌드위치 세그먼트(216) 내부에는 에어 갭(air gap)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내부 밀착 세그먼트(227)는 그 안에 위치된 샌드위치 세그먼트(216)보다 개구 내면(264)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개구 내면(264) 상에 노출되고, 샌드위치 세그먼트(216)는 개구 내면(264) 상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개구 내면(264)의 내경은 개구(275)로부터 본체부(2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더 작아진다.
제2 밀착 영역(222)은 제2 개구 세그먼트(225)를 더 포함한다. 제2 개구 세그먼트(225)는 개구 내면(264) 상에 노출되고 개구(275)로부터 본체부(2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200)의 제조 공정에서, 적층박리 컨테이너(200)의 블랭크의 제1 층의 일부와 제2 층의 일부는 블로잉 핀의 외벽에 의해 내측으로 함께 당겨지고 개구 내면(즉, 블랭크의 개구 또는 그 근처의 내면)을 따라 내측으로 접혀지고, 블랭크의 제1 층과 제2 층(즉, 블랭크의 내층과 외층)이 단단히 부착되어 접촉 영역을 확대하고 그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성형 후 적층박리 컨테이너(200)의 제2 층(220)은 개구(275)의 위치에서 개구 내면(264) 상에 노출되고, 제1 층(210)과 제2 층(220)은 개구부(260)에서 벗겨지기 어렵다.
더욱이, 샌드위치 세그먼트(216)와 내부 밀착 세그먼트(227)는 서로 단단히 부착되고, 샌드위치 세그먼트(216)는 개구 내면(264) 상에 노출되지 않는다. 제2 개구 세그먼트(225)는 내부 밀착 영역(227)에 연결된다. 따라서, 적층박리 컨테이너(200)의 블랭크와 함께 내측으로 접힌 제1 층과 제2 층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으로 접힌 구조(230)를 구현하는 것이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제2 밀착 영역(222)은, 개구 내면(264)으로부터 개구(275)를 통해 개구 외면(269)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내부 밀착 세그먼트(227), 제2 개구 세그먼트(225), 및 외부 밀착 세그먼트(228)를 포함한다. 즉, 제2 밀착 영역(222)의 내부 밀착 세그먼트(227), 제2 개구 세그먼트(225), 및 외부 밀착 세그먼트(228)는 제1 밀착 영역(211)의 샌드위치 세그먼트(216)를 내측과 외측으로 덮고, 본체부(250)로부터 더 멀리 있는 샌드위치 세그먼트(216)의 끝단 근처에 연결된다. 제1 밀착 영역(211)과 제2 밀착 영역(222)은 내측으로 접힌 구조(230)를 형성하고, 이러한 구조는 적층박리 컨테이너(200)의 블랭크의 제1 층과 제2 층을 함께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 세그먼트(225), 제2 밀착 영역(222)의 내부 밀착 세그먼트(227), 및 제1 밀착 영역(211)은 개구(275)로부터 본체부(2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개구 내면(264) 상에 노출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3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층박리 컨테이너(300)는 본체부(350)와 개구부(360)를 가진다. 개구부(360)는 본체부(350)보다 적층박리 컨테이너(300)의 개구(375)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300)의 수용 공간(370)은 본체부(350)의 본체 내면(354)과 개구부(360)의 개구 내면(364)에 의해 형성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300)는 제1 층(310)과 제2 층(320)을 포함한다. 제1 층(310)은 제1 밀착 영역(311)을 포함한다. 본체부(350)에서, 제1 층(310)은 그에 위치되는 제2 층(320)보다 본체 내면(354)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본체 내면(354) 상에 노출된다. 제2 층(320)은 제2 밀착 영역(322)을 포함한다. 제1 밀착 영역(311)과 제2 밀착 영역(322)은 서로 단단하게 부착된다. 제1 밀착 영역(311)과 제2 밀착 영역(322)은 모두 적층박리 컨테이너(300)의 개구부(360)에 위치되어 내측으로 접힌 구조(330)를 형성한다.
제1 밀착 영역(311)은 샌드위치 세그먼트(316)를 포함한다. 제2 밀착 영역(322)은 내부 밀착 세그먼트(327)와 외부 밀착 세그먼트(328)를 포함한다. 샌드위치 세그먼트(316)의 내면(317)과 내부 밀착 세그먼트(327)는 서로 단단히 부착된다. 샌드위치 세그먼트(316)의 외면(318)과 외부 밀착 세그먼트(328)는 서로 단단히 부착된다. 내부 밀착 세그먼트(327)는 그에 위치된 샌드위치 세그먼트(316)보다 개구 내면(364)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개구 내면(364) 상에 노출되며, 샌드위치 세그먼트(316)는 개구 내면(364) 상에 노출되지 않는다. 더군다나, 개구 내면(364)의 내경은 개구(375)로부터 본체부(3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작아진다.
제2 밀착 영역(322)은 제2 개구 세그먼트(325)를 더 포함한다. 제2 개구 세그먼트(325)는 개구 내면(364) 상에 노출되고 개구(375)로부터 본체부(350)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개구 세그먼트(325)는 내부 밀착 세그먼트(327)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밀착 영역(322)은, 개구 내면(364)으로부터 개구(375)를 통해 개구 외면(369)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내부 밀착 세그먼트(327), 제2 개구 세그먼트(325) 및 외부 밀착 세그먼트(328)를 포함한다. 즉, 제2 밀착 영역(322)의 내부 밀착 세그먼트(327), 제2 개구부(325) 및 외부 밀착 세그먼트(328)는 제1 밀착 영역(311)의 샌드위치 세그먼트(316)를 내측 및 외측으로 덮고, 본체부(350)로부터 더 멀리 있는 샌드위치 세그먼트(316)의 끝단 근처에 연결된다. 제1 밀착 영역(311)과 제2 밀착 영역(322)은 내측으로 접힌 구조(330)를 형성하고, 이러한 구조는 적층박리 컨테이너(300)의 블랭크의 제1 층과 제2 층을 함께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 세그먼트(325), 제2 밀착 영역(322)의 내부 밀착 세그먼트(327) 및 제1 밀착 영역(311)은 개구(375)로부터 본체부(3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개구 내면(364) 상에 노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4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층박리 컨테이너(400)는 본체부(450)와 개구부(460)를 가진다. 개구부(460)는 그에 위치된 본체부(450)보다 적층박리 컨테이너(400)의 개구(475)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400)의 수용 공간(470)은 본체부(450)의 본체 내면(454)과 개구부(460)의 개구 내면(464)에 의해 형성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400)는 제1 층(410)과 제2 층(420)을 포함한다. 제1 층(410)은 제1 밀착 영역(411)을 포함한다. 본체부(450)에서, 제1 층(410)은 거기에 위치된 제2 층(420)보다 본체 내면(454)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본체 내면(454) 상에 노출된다. 제2 층(420)은 제2 밀착 영역(422)을 포함한다. 제1 밀착 영역(411)과 제2 밀착 영역(422)은 서로 단단하게 부착된다. 제1 밀착 영역(411)과 제2 밀착 영역(422)은 모두 적층박리 컨테이너(400)의 개구부(460)에 위치되고 내측으로 접힌 구조(430)를 형성한다.
제1 밀착 영역(411)은 샌드위치 세그먼트(416)를 포함한다. 제2 밀착 영역(422)은 내부 밀착 세그먼트(427)와 외부 밀착 세그먼트(428)를 포함한다. 샌드위치 세그먼트(416)의 내면(417)과 내부 밀착 세그먼트(427)는 서로 단단히 부착된다. 샌드위치 세그먼트(416)의 외면(418)과 외부 밀착 세그먼트(428)는 서로 단단히 부착된다. 따라서, 제1 밀착 영역(411)(즉, 그것의 샌드위치 세그먼트(416))와 제2 밀착 영역(422)(즉, 내부 밀착 세그먼트(427)와 외부 밀착 세그먼트(428))은 더 큰 접촉 면적을 가질 수 있으므로 마찰을 증가시킨다. 샌드위치 세그먼트(416) 내부에는 에어 갭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샌드위치 세그먼트(416)는 개구 내면(464) 상에 노출되고, 내부 밀착 세그먼트(427)와 외부 밀착 세그먼트(428)는 개구 내면(464) 상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개구 내면(464)의 개구(475)에 가까운 위치의 내경은 개구 내면(464)의 개구(475)로부터 더 먼 위치의 내경보다 더 크다.
제2 밀착 영역(422)은 제2 개구 세그먼트(425)를 더 포함한다. 제2 개구 세그먼트(425)는 개구 내면(464) 상에 노출되고 개구(475)로부터 본체부(4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개구 세그먼트(425)는 외부 밀착 세그먼트(428)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밀착 영역(422)의 외부 밀착 세그먼트(428)와 내부 밀착 세그먼트(427)는 제1 밀착 영역(411)의 샌드위치 세그먼트(416)를 내측 및 외측으로 덮고, 본체부(450)에 더 가까운 샌드위치 세그먼트(411)의 끝단 근처에 연결된다. 제1 밀착 영역(411)과 제2 밀착 영역(422)은 적층박리 컨테이너(400)의 블랭크의 제1 층을 내측으로 접음으로써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밀착 영역(422)의 제2 개구 세그먼트(425)와 제1 밀착 영역(411)의 샌드위치 세그먼트(416)는 개구(475)로부터 본체부(4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개구 내면(464) 상에 노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5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층박리 컨테이너(500)는 본체부(550)와 개구부(560)를 가진다. 개구부(560)는 그에 위치된 본체부(550)보다 적층박리 컨테이너(500)의 개구부(575)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500)의 수용 공간(570)은 본체부(550)의 몸체 내면(554)과 개구부(560)의 개구 내면(564)에 의해 형성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500)는 제1 층(510)과 제2 층(520)을 포함한다. 제1 층(510)은 제1 밀착 영역(511)을 포함한다. 본체부(550)에서, 제1 층(510)은 거기에 위치된 제2 층(520)보다 본체 내면(554)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본체 내면(554) 상에 노출된다. 제2 층(520)은 제2 밀착 영역(522)을 포함한다. 제1 밀착 영역(511)과 제2 밀착 영역(522)은 서로 단단하게 부착된다. 제1 밀착 영역(511)과 제2 밀착 영역(522)은 모두 적층박리 컨테이너(500)의 개구부(560)에 위치되고 내측으로 접힌 구조(530)를 형성한다.
제1 밀착 영역(511)은 샌드위치 세그먼트(516)를 포함한다. 제2 밀착 영역(522)은 내부 밀착 세그먼트(527)를 포함한다. 샌드위치 세그먼트(516)의 내면(517)과 내부 밀착 세그먼트(527)는 서로 단단히 부착된다. 샌드위치 세그먼트(516)의 외면(518)과 제2 밀착 영역(522)은 그 사이에 에어 갭이 존재하거나 서로 단단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샌드위치 세그먼트(516)는 개구 내면(564) 상에 노출되고, 내부 밀착 세그먼트(527)는 개구 내면(564) 상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개구 내면(564)의 개구(575)에 더 가까운 위치의 내경은 개구 내면(564)의 개구(575)로부터 먼 위치의 내경보다 더 크다.
제2 밀착 영역(522)은 제2 개구 세그먼트(525)를 더 포함한다. 제2 개구 세그먼트(525)는 개구 내면(564) 상에 노출되고 개구(575)로부터 본체부(5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개구 세그먼트(525)는 내부 밀착 세그먼트(527)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밀착 영역(511)과 제2 밀착 영역(522)은 내측으로 접힌 구조(530)를 형성하고, 이러한 구조는 적층박리 컨테이너(500)의 블랭크의 제1 층을 내측으로 접음으로써만 형성될 수 있다. 제2 밀착 영역(522)의 제2 개구 세그먼트(525)와 제1 밀착 영역(511)의 샌드위치 세그먼트(516)는 개구(575)로부터 본체부(550)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개구 내면(564) 상에 노출된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개시의 제6, 제7 및 제8 실시예에 따른 적층박리 컨테이너(6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적층박리 컨테이너(600)는 본체부(650)와 개구부(660)를 가진다. 개구부(660)는 본체부보다 박리 컨테이너(600)의 개구(675)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600)의 수용 공간(670)은 본체부(650)의 본체 내면(654)과 개구부(660)의 개구 내면(664)에 의해 형성된다. 적층박리 컨테이너(600)는 제1 층(610)과 제2 층(620)을 포함한다. 제1 층(610)은 제1 밀착 영역(611)을 포함한다. 본체부(650)에서, 제1 층(610)은 거기에 위치된 제2 층(620)보다 본체 내면(654)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본체 내면(654) 상에 노출된다. 제2 층(620)은 제2 밀착 영역(622)을 포함한다. 제1 밀착 영역(611)과 제2 밀착 영역(622)은 서로 단단하게 부착된다. 제1 밀착 영역(611)과 제2 밀착 영역(622)은 모두 적층박리 컨테이너(600)의 개구부(66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밀착 영역(622)은 제2 개구 세그먼트(625)와 외부 밀착 세그먼트(628)를 포함한다. 제2 개구 세그먼트(625)는 개구 내면(664) 상에 노출되고 개구(675)로부터 본체부(6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개구 세그먼트(625)는 개구 내면(664) 상에 노출되지 않는 외부 밀착 세그먼트(628)에 연결된다. 제1 밀착 영역(611)과 외부 밀착 세그먼트(628)는 서로 단단하게 부착된다. 또한, 제2 밀착 영역(622)의 제2 개구 세그먼트(625)와 제1 밀착 영역(611)은 개구(675)로부터 본체부(6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개구 내면(664) 상에 노출된다. 개구 내면(664)의 개구(675)에 더 가까운 위치의 내경은 개구 내면(664)의 개구(675)로부터 먼 위치의 내경보다 더 크다.
본 개시는 그의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당히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 또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본 개시는 이어지는 청구 범위 내에 속한다면 본 개시의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100...적층박리 컨테이너 110...제1 층
111...제1 밀착 영역 116...샌드위치 세그먼트
120...제2 층 122...제2 밀착 영역
127...내부 밀착 세그먼트 130...내측으로 접힌 구조
150...본체부 154...본체 내면
160...개구부 164...개구 내면
170...수용 공간 175...개구

Claims (10)

  1. 본체부, 개구가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본체부의 본체 내면과 상기 개구부의 개구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개구에 더 가깝게 위치된, 적층박리(delaminated) 컨테이너로서,
    제1 밀착(tightly-attached)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밀착 영역과 서로 밀착되는 제2 밀착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층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제1 층은 거기에 위치된 상기 제2 층보다 상기 본체 내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본체 내면 상에 노출되며,
    상기 제1 밀착 영역과 상기 제2 밀착 영역은 모두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밀착 영역은 제2 개구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 세그먼트는 상기 개구 내면 상에 노출되고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밀착 영역은 샌드위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착 영역은 내부 밀착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샌드위치 세그먼트와 상기 내부 밀착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부착되고,
    상기 샌드위치 세그먼트는 상기 개구 내면 상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2 개구 세그먼트는 상기 내부 밀착 세그먼트에 연결되는, 적층박리 컨테이너.
  2. 청구항 1에서,
    상기 내부 밀착 세그먼트는 거기에 위치된 상기 샌드위치 세그먼트보다 상기 개구 내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적층박리 컨테이너.
  3. 청구항 2에서,
    상기 내부 밀착 세그먼트는 상기 개구 내면 상에 노출되지 않는, 적층박리 컨테이너.
  4. 청구항 1에서,
    상기 개구 내면의 내경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더 작아지는, 적층박리 컨테이너.
  5. 본체부, 개구가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본체부의 본체 내면과 상기 개구부의 개구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개구에 더 가깝게 위치된, 적층박리 컨테이너로서,
    제1 밀착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밀착 영역에 부착되는 제2 밀착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층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제1 층은 거기에 위치된 상기 제2 층보다 상기 본체 내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본체 내면 상에 노출되며,
    상기 제1 밀착 영역과 상기 제2 밀착 영역은 모두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어 접힌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밀착 영역은 제2 개구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 세그먼트는 상기 개구 내면 상에 노출되고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밀착 영역은 샌드위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착 영역은 내부 밀착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샌드위치 세그먼트와 상기 내부 밀착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부착되고,
    상기 샌드위치 세그먼트는 상기 개구 내면 상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2 개구 세그먼트는 상기 내부 밀착 세그먼트에 연결되는, 적층박리 컨테이너.
  6. 청구항 5에서,
    상기 제2 밀착 영역은 외부 밀착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샌드위치 세그먼트의 내면과 상기 내부 밀착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부착되고, 및 상기 샌드위치 세그먼트의 외면과 상기 외부 밀착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부착되는, 적층박리 컨테이너.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61481A 2021-02-02 2021-05-12 적층박리 컨테이너 KR102576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0103739 2021-02-02
TW110103739A TWI753765B (zh) 2021-02-02 2021-02-02 積層剝離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626A KR20220111626A (ko) 2022-08-09
KR102576711B1 true KR102576711B1 (ko) 2023-09-07

Family

ID=7621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481A KR102576711B1 (ko) 2021-02-02 2021-05-12 적층박리 컨테이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97555B2 (ko)
EP (1) EP4036033A1 (ko)
JP (1) JP7188806B2 (ko)
KR (1) KR102576711B1 (ko)
TW (1) TWI7537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1617B1 (fr) * 2019-10-03 2022-03-25 Sa Des Eaux Minerales D’Evian Et En Abrege S A E M E Objet a tenir par un utilisateur, comprenant une coque et une bouteil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7534A (ja) * 2014-12-19 2016-06-30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積層剥離容器へのキャップの装着方法
JP2018122860A (ja) * 2017-01-30 2018-08-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JP2019147603A (ja) * 2018-02-28 2019-09-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クイズ吐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8232A (ja) * 1983-02-28 1984-09-07 Toyo Seikan Kaisha Ltd 多層延伸ポリエステルボトルの製法
US6129960A (en) * 1983-04-13 2000-10-10 Pechiney Plastic Packaging,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and injection blow molding multi-layer plastic and the articles made thereby
JP3368484B2 (ja) 1994-06-23 2003-01-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壜体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2002068229A (ja) 2000-08-25 2002-03-08 Taisei Kako Co Ltd 積層ボトルの口上面シール構造
JP4547843B2 (ja) * 2001-08-30 2010-09-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軸延伸ブロー成形壜体の一次成形品及び壜体
US7871558B2 (en) * 2002-06-20 2011-01-18 Alcan Global Pharmaceutical Packaging, Inc. Containers intended for moisture-sensitive products
US8110260B2 (en) * 2007-02-02 2012-02-07 Rick Merical Containers intended for moisture-sensitive products
JP4243775B2 (ja) * 2003-06-23 2009-03-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壜体
JP4462953B2 (ja) * 2004-02-13 2010-05-12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容器用栓とその製法
KR101673830B1 (ko) * 2012-10-31 2016-11-07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이중 용기
US20150203235A1 (en) * 2012-12-10 2015-07-23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Bottle having one or more internal projections
JP6407649B2 (ja) * 2014-09-30 2018-10-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KR101898913B1 (ko) 2014-10-07 2018-10-31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 적층박리용기의 에어 리크 검사 방법
JP6761159B2 (ja) * 2014-11-19 2020-09-2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EP3248895B1 (en) * 2015-01-23 2019-04-03 Kyoraku Co., Ltd. Delamination container
WO2016121578A1 (ja) 2015-01-27 2016-08-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US10494132B2 (en) 2015-10-30 2019-12-03 Kyoraku Co., Ltd. Delamination container
JP6910735B2 (ja) * 2017-12-28 2021-07-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プリフォーム、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JP7365758B2 (ja) * 2018-01-30 2023-10-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TWI658970B (zh) * 2018-08-07 2019-05-11 臺三榮實業有限公司 積層剝離容器及其製法
EP3730420B1 (en) 2019-04-24 2022-03-02 CTL-TH Packaging, S.L. Unipersonal Tubular container with an outer tube and an inner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7534A (ja) * 2014-12-19 2016-06-30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積層剥離容器へのキャップの装着方法
JP2018122860A (ja) * 2017-01-30 2018-08-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JP2019147603A (ja) * 2018-02-28 2019-09-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クイズ吐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53765B (zh) 2022-01-21
US20220242604A1 (en) 2022-08-04
TW202231543A (zh) 2022-08-16
US11597555B2 (en) 2023-03-07
KR20220111626A (ko) 2022-08-09
EP4036033A1 (en) 2022-08-03
JP7188806B2 (ja) 2022-12-13
JP2022118686A (ja) 2022-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8206B2 (ja) 積層剥離容器
JP6754168B2 (ja) タイヤ
KR102576711B1 (ko) 적층박리 컨테이너
KR100937782B1 (ko) 블로우 성형용기
JP2020055456A (ja) タイヤおよびタイヤの製造方法
JP2018087036A (ja) 積層剥離ボトル
JP6671783B2 (ja) 積層剥離容器
JP6855126B2 (ja) 合成樹脂製容器
JP2012116516A (ja) 積層剥離容器
JP2015101396A (ja) 積層剥離容器
JP6451087B2 (ja) 積層剥離容器
CN104851878A (zh) 具有天线的半导体封装结构及其制造方法
JP6643722B2 (ja) 積層剥離容器
JP5157805B2 (ja) プロテ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21571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フェライトコア、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09252763B (zh) 装饰部件和使用该装饰部件的车辆用门把手
CN114834771A (zh) 积层剥离容器
JP2012066871A (ja) 樹脂製パレット
JP4217030B2 (ja) インモールド容器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6451075B2 (ja) 積層剥離容器
TWI399328B (zh) Package body
JP5565800B2 (ja) 車両用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4013003A1 (ja) 包装用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13704A (ja) 熱可塑性合成樹脂製の燃料タンク
JP2008273621A (ja) 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