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014B1 - 동기화 신호 블록 위치 결정 - Google Patents

동기화 신호 블록 위치 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014B1
KR102576014B1 KR1020207003585A KR20207003585A KR102576014B1 KR 102576014 B1 KR102576014 B1 KR 102576014B1 KR 1020207003585 A KR1020207003585 A KR 1020207003585A KR 20207003585 A KR20207003585 A KR 20207003585A KR 102576014 B1 KR102576014 B1 KR 102576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on
network entity
blocks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037A (ko
Inventor
비제이 난지아
혜정 정
로버트 트라스탄 러브
Original Assignee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3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3Acquisition of prim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within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6Acquisition of second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여기서 설명된 기술은 동기화 신호 블록의 위치를 결정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은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및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표시를 수신한다.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표시는 시간 위치(들) 등의, 동기화 신호 블록 위치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차례로, 다양한 구현들은 결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한다.

Description

동기화 신호 블록 위치 결정
관련 출원
본 출원은, 참조에 의해 그 전체내용을 본 명세서에 포함하는, 2017년 8월 11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44,752호에 대한 우선권을 35 U.S.C. §119 하에 주장하는 2018년 8월 6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6/056,247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컴퓨팅 디바이스가 무선 능력을 계속 추가함에 따라, 기지국 또는 eNodeB(evolved Node B) 등의 대응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들(Network Entities)(NE)로부터의 지원 요구도 증가한다. 증가된 이용량을 지원하기 위해, 일부 무선 시스템은 동일한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전송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멀티빔 안테나를 채용한다.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가 NE로부터의 전송 범위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UE는 이후에 NE와의 접속에 이용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E는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SS)를 전송하여 사용자 장비(UE)와의 통신을 동기화한다. 차례로, UE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새로운 접속을 확립하거나 기존 네트워크를 유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접속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SS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한다.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으로의 무선 네트워크의 발전은 동기화 프로세스에 복잡성을 추가하여, 더 많은 오버헤드를 초래할 수 있다. 결국, 추가 오버헤드는 다른 곳으로 배분될 수 있는 귀중한 자원을 소비한다.
멀티빔 무선 네트워크에서 실제로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를 나타내는 개선된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구현이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에 도시된 유사한 피처들 및 컴포넌트들을 참조하기 위해 동일한 번호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구현에 따른 예시적인 동작 환경을 나타낸다;
도 2는 하나 이상의 구현에 따른 허용된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패턴을 나타낸다;
도 3은 하나 이상의 구현에 따른 예시적인 미리정의된 동기화 신호 슬롯쌍 선택 패턴을 나타낸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구현에 따른 멀티빔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 신호 및 표시 수신의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하나 이상의 구현에 따른 멀티빔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 신호 및 표시 전송의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다양한 구현예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도 7은 다양한 구현예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개요
여기서 설명된 기술은 동기화 신호 블록의 위치를 결정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은 사용자 장비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및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표시를 수신한다.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표시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시간 위치(들) 등의, 동기화 신호 블록 위치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차례로, 다양한 구현들은, 결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본 명세서에 제공된 기술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멀티빔 동작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들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해, 주파수 대역 내의 동기화 신호 주파수 상에서 서브캐리어 간격을 동반한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은,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각각에 대해 실제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과 연관된 전송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를,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전송한다. 표시를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양한 구현들은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 및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와 통신한다.
동기화 신호 표시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피처들 및 개념들은 임의의 수의 상이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환경들, 및/또는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지만, 예시적인 구현들은 다음과 같은 예시적인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예시적인 동작 환경
도 1은 하나 이상의 구현에 따른 예시적인 환경(100)을 나타낸다. 환경(100)은 셀룰러 폰으로서 나타낸 사용자 장비(UE)(102)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102)는, 통신 클라우드(104)로서 일반적으로 표시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능력을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컴포넌트를 나타내기 위해, 환경(100)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컴포넌트(106-1), 네트워크 컴포넌트(106-2), 및 네트워크 컴포넌트(106-n)를 포함하고, 여기서 n은 무선 네트워크가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임의의 수이다. 각각의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통신 클라우드(104)와 연관된) 서빙 셀을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장비 및/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해 다른 네트워크 컴포넌트들과 연계하여 동작하고 통신하는 기지국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102)의 일부 구현은, 여기서 더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네트워크 컴포넌트로의 동시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클라우드(104)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102) 등의 사용자 장비와 다양한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네트워크 컴포넌트(106-1), 네트워크 컴포넌트(106-2), 및 네트워크 컴포넌트(106-n)) 사이의 양방향 링크를 용이화하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통신 클라우드(104)는, 복수의 상호접속된 요소를 구현하고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복수의 상호접속된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다양한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클라우드(104)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4G(4th Generation), LTE(Long-Term Evolution), 5G(5th Generation), 뉴 라디오(NR) 등의 다양한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환경(100)에서, 사용자 장비(102)는 UE 프로토콜 모듈(108)을 포함한다. UE 프로토콜 모듈(108)은,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킹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클라우드(104) 및/또는 그 다양한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통해 통신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통신 클라우드(104)가 다양한 LTE 통신 표준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을 지원하는 예에서, UE 프로토콜 모듈(108)은 대응하는 LTE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한다. 간소화를 위해, UE 프로토콜 모듈(108)은 단일 모듈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다양한 조합이 UE 프로토콜 모듈(108)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한 예로서, UE 프로토콜 모듈(108)은, 다중 계층(예를 들어,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등)을 포함하는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에 기초하여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펌웨어, 제어 로직, 및/또는 하드웨어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은 이러한 다양한 계층을 추가로 분할한다. 한 예로서, 데이터 링크 계층은, 사용자 장비(102)가 데이터를 전송, 수신, 추출, 및/또는 처리하는 방법을 통제하는데 이용되는 다양한 허가를 제어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UE 프로토콜 모듈(108)의 물리 계층은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데 이용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구성하는데 이용되는 저레벨 소프트웨어 액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이들 다양한 계층은,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프로토콜 스택들과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이용된다.
UE 프로토콜 모듈(108)은 UE 동기화 모듈(110)을 포함한다. UE 프로토콜 모듈(108) 내에 상주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UE 동기화 모듈(110)의 다른 구현들은, UE 동기화 모듈(110)이 UE 수신 및 NE와의 전송 동기화와 관련된 것들 등의, UE 프로토콜 모듈의 다양한 양태들을 제어하도록 UE 프로토콜 모듈(108)의 외부에 상주한다. UE 동기화 모듈(110)은, NE에 의해 전송된 SS 블록 표시 정보를 추출하고, 후속해서 표시된 SS 블록을 위치파악하거나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표시된 SS 블록 주변의 레이트 매칭의 표시를 UE 프로토콜 모듈(108)에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UE 프로토콜 모듈(108)에 포함된 단일 엔티티로서 도시되었지만, UE 동기화 모듈(110)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제어 로직, 및/또는 하드웨어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UE 동기화 모듈(110)은, UE 프로토콜 모듈(108)의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단일 계층에 또는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다중 계층에 상주할 수 있다.
환경(100)에서, 네트워크 컴포넌트(106-n)는 네트워크 엔티티(NE)(11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엔티티(112)는 통신 클라우드(104)를 통한 통신을 관리하는데 이용되는 기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환경(100)에서, 네트워크 엔티티(112)는, 사용자 장비(102)가 통신 클라우드(104)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다양한 양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통신 클라우드(104)를 통해 통신하는 다양한 유형의 디바이스를 관리 및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 엔티티(112)는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NE 프로토콜 모듈(11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형태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클라우드(104)의 예로 되돌아 가면, NE 프로토콜 모듈(114)은,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UE 프로토콜 모듈(108)에 포함된 프로토콜 스택과 호환되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LTE 또는 NR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것은 2개의 프로토콜 모듈들 사이의 다양한 계층들이 서로 통신하는 능력(예를 들어, UE 프로토콜 모듈(108)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이 NE 프로토콜 모듈(114)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과 통신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S 블록 전송을 관리하기 위해(예를 들어, 몇시에, 어떤 주파수에 등), NE 프로토콜 모듈(114)은 NE 동기화 모듈(116)을 포함한다.
NE 동기화 모듈(116)은, SS 블록을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전송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시간 위치, 주파수 위치, 서브캐리어 간격 등)를 결정하고, SS 블록의 전송 위치를 나타내는 적절한 표시 메시지를 생성하고, SS 블록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다양한 프로토콜 스택 계층과의 인터페이싱 등에 의해) SS 블록의 전송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낸다. 일부 구현들에서, NE 동기화 모듈(116)에 의해 생성된 표시 메시지들 및/또는 SS 블록 정보는 후속해서 UE 동기화 모듈(110)에 의해 수신되거나 및/또는 처리된다. NE 프로토콜 모듈(114)에 포함된 단일 엔티티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NE 동기화 모듈(116)은 대안으로서 NE 프로토콜 모듈(114)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NE 프로토콜 모듈(114)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제어 로직, 및/또는 하드웨어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UE 동기화 모듈(110)의 경우에서와 같이, NE 동기화 모듈(116)은 NE 프로토콜 모듈(114)의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단일 계층에, 또는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다중 계층에 상주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멀티빔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SS 블록 전송 및/또는 표시를 채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 환경을 설명하였지만, 이제 하나 이상의 구현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 멀티빔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 신호 전송 및/또는 동기화 신호 전송의 표시에 대한 논의를 고려한다.
멀티빔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 신호 전송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는 디바이스들간 동기화 신호를 이용하여 기존의 접속을 유지하거나 및/또는 새로운 접속을 용이화하는 것을 돕는다. 3GPP NR 시스템에서의 이러한 예 중 하나는, 1차 동기화 신호들(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PSS) 및 2차 동기화 신호들(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의 이용이다. PSS 및 SSS를 검출하고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을 디코딩함으로써, UE는 셀 아이덴티티 및 UE가 잠재적으로 접속하거나 및/또는 캠핑할 셀에 대한 타이밍 정보를 포함한 최소 시스템 정보의 일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결국, 이것은 UE가 특정한 네트워크에서 시스템 정보 블록을 판독하는 것을 허용한다. UE는, 자신이 지원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으로 동조하고 PSS 및/또는 SSS에 대해 지원되는 주파수 대역들 각각 내에서 특정한 주파수 위치를 조사함으로써 동기화 신호를 취득하고 검출할 수 있다. PSS 및 SSS를 검출하고 PBCH를 디코딩한 후, UE는 결정된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프레임에서 검출된 PSS 및 SSS를 위치파악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무선 프레임이, 시간 영역에서, 서브프레임들, 슬롯들, 심볼들 등으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프레임은,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대역폭 및/또는 서브캐리어 주파수들에 의해 주파수 영역에서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PSS 및/또는 SSS의 위치는, 다양한 형태의 분할에 기초한 어드레싱 방식을 이용하여 참조 및 획득될 수 있다.
5세대(5G) NR(New Radio)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많은 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좁은 빔을 생성할 수 있다. 멀티빔 기반 네트워크 동작에 의해, NE는 기간 당 하나 이상의 SS 블록을 전송할 수 있고, 각각의 SS 블록은 하나의 다운링크(DL) 전송(Tx) 안테나 포트(또는 DL Tx 빔)와 연관되고, PSS, SSS 및/또는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을 운반할 수 있다. SS 블록이 PSS 및 SSS 외에도 PBCH를 포함한다면, 이것은 SS/PBCH 블록이라고도 지칭된다. 한 예에서, SS/PBCH 블록은, PSS, PBCH, SSS 및 PBCH 심볼의 순서로 4개의 연속적인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들을 포함한다.
복조 프로세스를 돕기 위해, UE는 SS 버스트 세트("버스트"라고도 함)가 주기적으로 하나 이상의 SS 블록을 포함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SS 버스트 세트당 SS 블록의 최대 수 및 SS 버스트 세트 기간 내의 그들의 시간 위치는 주파수 대역마다 미리정의되고, 또한 동기화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SCS)에 의존한다. UE를 돕기 위해, 네트워크 엔티티는 NE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SS 블록의 시간 위치(들)를 UE에게 통보하여, UE가 CONNECTED/IDLE 모드에서 도움을 수신하고, 측정(들)을 수행할 위치에 관한 전송 위치(예를 들어, 시간 위치, 주파수 위치 등)를 알게 되고, 미사용 SS 블록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제어 채널을 수신하게 한다. 따라서, NE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SS 블록의 수는, 전송될 수 있는 가능한 SS 블록의 수와는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시스템이 허용하는 것보다 실제 전송된 SS 블록이 적다). 결국, NE는 미리정의된 가능한 SS 블록 시간 위치들 내에서 SS 블록들을 전송하고, 미리정의된 가능한 SS 블록 시간 위치들 중 어느 것이 실제 전송된 SS 블록을 포함하는지를 나타낸다. UE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주파수 대역 내의 동기화 신호 주파수 상에서 서브캐리어 간격을 동반한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에서 실제 전송된 동기화 신호의 표시를 수신한다. 한 예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2차 셀과 연관되는 반면,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1차 셀과 연관된다.
실제 전송된 SS 블록을 나타내는 한 간단한 방법은 2진 비트맵을 이용하는 것이고, 여기서, 비트맵의 각각의 비트는 최소 SS 버스트 세트 주기, 예를 들어 5 밀리 초(ms), 내에서 하나의 SS 블록 시간 위치에 대응하고, 그 SS 블록 시간 위치 상의 SS 블록의 존재(또는 존재하지 않음)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방식은, SS 버스트 세트 내에서 허용되는 최대 SS 블록 수가 크다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SS 버스트 세트 내에서 전송될 수 있는 64개의 가능한 SS 블록이 있다면, 64개의 SS 블록이 버스트 내에서 전송되는지에 관계없이 실제 전송된 SS 블록을 나타내기 위해 64 비트가 이용되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비트가 64개의 가능한 SS 블록 중의 상응하는 블록과 1:1 대응관계를 갖기 때문이다.
(가능한 SS 블록들에 대비하여) 다수의 실제 전송된 SS 블록들을 나타내는 또 다른 예로서, 5G 기지국(예를 들어, gNB) 등의 NE는 SS 버스트 세트당 실제 전송된 SS 블록의 수를 시그널링하고 SS 버스트 세트 내의 가능한 SS 블록 시간 위치들을 첫 번째 시간 위치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점유한다. 이 방식은, NE/gNB가 시간 영역에서 SS 블록들을 더 조밀하게 패킹함으로써 더 짧은 지속시간 측정 윈도우로 UE를 구성하는 것을 허용하고, log2(L) 비트를 이용하며, 여기서 L은 SS 버스트 세트당 SS 블록들의 최대 수이다. 따라서, NE가 log2(L) 표시 방식을 이용하여, 최대 64개의 가능한 SS 블록을 전송할 수 있는 시나리오에서는, 각각의 비트가 상응하는 블록과 1:1 대응관계를 갖는 구성에서 이용되는 64 비트에 비해, log2(64) = 6 비트를 이용한다. 1:1 대응관계 표시 방식에 비해 더 효율적인 표시 방식을 제공하지만, log2(64) 표시 방식은, 가능한 SS 블록 시간 위치들 상의 불연속적 SS 블록 전송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SS 블록을 전송하는데 대한 더 낮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다양한 구현은, 멀티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SS 블록 표시 방식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NE는, 실제 전송된 SS 블록의 수에 대한 SS 슬롯 레벨(예를 들어, 15/30/120 kHz SCS SS) 또는 SS 슬롯쌍 레벨(예를 들어, 240 kHz SCS SS) 표시를 전송한다. 한 예에서, 실제 전송된 SS 블록의 수는 주어진 시간 구간(예를 들어, 슬롯 또는 슬롯쌍) 동안 SS 주파수마다 카운트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실제로 전송된 SS 블록의 수는, 주어진 시간 구간 동안, 복수의 SS 주파수 및 대응하는 SS 블록들을 갖는 주어진 광대역 캐리어에서 전송된 모든 SS 블록을 포함함으로써 카운트된다. 이를 수용하기 위해, 대응하는 SS 블록 인덱싱의 일부 구현은 가장 작은 주파수로부터 시작하여 가장 큰 주파수로, SS 주파수 우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SS 슬롯 또는 SS 슬롯쌍당 실제 전송된 SS 블록 수를 표시하는 것은, 주어진 SS 주파수 상의 SS 슬롯 또는 SS 슬롯쌍 내의 인접한 가능한 SS 블록 시간 위치들 상에서의 순차적 SS 블록 전송을 이용하지만, SS 블록 전송은 SS 버스트 세트 내의 인접한 시간 위치들로 제약되지 않는다. 즉, SS 버스트 세트 내의 2개의 연속적으로 전송된 SS 블록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미점유 SS 블록 시간 위치가 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다른 표시 방식에 비해 더 유연한 SS 블록 전송 패턴을 제공한다.
예시하기 위해, SS 버스트 세트당 가능한 최대 SS 블록 수가 4(예를 들어, L=4)인 경우에 대해 허용된 SS 블록 전송 패턴에 대한 예를 제공하는 도 2를 이제 고려한다. 여기서, SS 버스트 세트는, 2개의 SS 슬롯, SS 슬롯 0 및 SS 슬롯 1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응하는 슬롯은 최대 2개의 실제 SS 블록 전송을 가질 수 있다. 전송 패턴 202a는, SS 버스트 세트를 통해 전송된 하나의 실제 SS 블록(전송된 SS 블록(204))과 3개의 미점유 SS 블록 전송 위치(미점유 SS 블록 위치(206a), 미점유 SS 블록 위치(206b), 및 미점유 SS 블록 위치(206c))가 있는 한 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전송 패턴 202a의 경우, 실제 SS 블록 전송의 수는 1인 반면, 가능한 SS 블록 전송의 수는 4이며, 4개 중 3개가 미점유되어 남아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전송 패턴도 역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패턴 202b 및 전송 패턴 202d는, SS 버스트 세트를 통한 2개의 실제 SS 블록 전송 및 SS 버스트 세트를 통한 2개의 미점유 SS 블록 전송 위치가 있는 상이한 전송 패턴들을 나타낸다. 또 다른 예로서, 전송 패턴 202c 및 전송 패턴 202e 각각은, SS 버스트 세트를 통한 3개의 실제 SS 블록 전송, 및 SS 버스트 세트를 통한 1개의 미점유 블록 전송 위치가 있는 상이한 전송 패턴들을 나타낸다. 역시 또 다른 예로서, 전송 패턴 202f는, 실제 SS 블록 전송의 최대 수가, 이 예에서 4인(예를 들어, L = 4) 가능한 SS 블록 전송의 최대 수와 동일한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L 값에 대해, NE는 복수의 상이한 패턴들을 전송할 수 있다.
가능한 SS 블록 전송의 최대 수 및/또는 이들 전송의 표시, 역시 다른 요인들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SS 버스트 세트 내의 SS 블록들의 전송은, SS 버스트 세트 주기와는 무관하게 5ms 윈도우로 제한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SS 버스트 세트 내의 SS 블록의 최대 수는,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예를 들어, 최대 3 GHz의 주파수 범위에 대해 L = 4, 3 GHz 내지 6 GHz의 주파수 범위에 대해 L = 8, 및 6GHz 내지 52.6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L = 64).
SS 블록 시간 위치도 역시 주파수에 기초하여 다를 수 있다. 예시하기 위해, 14개의 심볼로 된 슬롯을 고려한다. 15kHz SCS 및/또는 30kHz SCS의 SS의 경우, 14개의 심볼 내의 2개의 후보 SS 블록 시간 위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심볼들 2-5에 대한 제1 후보 SS 블록 위치 맵핑, 및 심볼들 8-11에 대한 제2 후보 SS 블록 위치 맵핑. 그러나, 120KHz SCS의 SS에 대하여, 2개의 후보 SS 블록 시간 위치는 상이하게 맵핑된다: 제1 후보 위치는 심볼들 4-7에 맵핑되고, 제2 후보 위치는 심볼들 8-11에 맵핑된다.
주파수에 기초한 SS 블록 시간 위치의 이러한 변화는 멀티-슬롯 및/또는 슬롯쌍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240KHz SCS의 SS의 경우, 2개의 인접한 14-심볼 슬롯들을 포함하는 슬롯쌍에서 4개의 후보 SS 블록 시간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슬롯쌍 중 제1 슬롯에서, 제1 후보 SS 블록 위치는 심볼들 8-11에 맵핑된다. 제2 후보 블록 위치는, 제1 슬롯의 심볼들 12-13 및 제2 슬롯의 심볼들 0-1로의 맵핑에 의해 2개의 슬롯을 브릿지한다. 슬롯쌍 중 제2 슬롯에서, 제3 후보 블록 위치는 심볼들 2-5에 맵핑되고, 제4 후보 위치는 심볼들 6-9에 맵핑된다. 따라서, (15KHz, 30KHz, 및 120KHz SCS에 대한) SS 슬롯 내의 2개의 SS 블록 위치 또는 (240KHz SCS에 대한) 2개의 인접한 SS 슬롯으로 된 SS 슬롯쌍 내의 4개의 SS 블록 위치는 가능한 SS 블록 시간 위치들의 예시적인 세트들에서 정의될 수 있고, 여기서 'SS 슬롯'이란 14-심볼 슬롯 구성에 대한 가능한 SS 블록 시간 위치들을 갖는 슬롯을 지칭한다.
gNB가 주파수 대역 당 명시된 SS 블록의 최대 수보다 SS 버스트 세트에서 더 적은 수의 SS 블록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면, SS 블록 시간 위치들의 오버-프로비저닝된 세트(over-provisioned set) 내에서 SS 블록들을 전송하는 다수의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한 구현에서, gNB는 SS 슬롯(또는 SS 슬롯쌍) 내의 가능한 SS 블록 시간 위치들을 완전히 점유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gNB는 SS 슬롯(또는 SS 슬롯쌍) 내의 가능한 SS 블록 시간 위치들을 완전히 비울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gNB는 SS 슬롯(또는 SS 슬롯쌍) 내의 SS 블록 시간 위치들을 부분적으로 이용한다. 한 예에서, SS 슬롯(또는 SS 슬롯쌍) 내의 SS 블록 시간 위치들은 첫 번째 시간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점유된다. 더 적은 수의 SS 블록을 갖는 SS 버스트 세트에 대해 허용되는 전송 패턴을 정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양태들을 고려할 수 있다:
Figure 112020012553877-pct00001
실제로 전송된 SS 블록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오버헤드:
o 모든 가능한 SS 블록 시간 위치들 중의 각각의 위치가 유연하게 선택될 수(또는 선택되지 않을 수) 있다면, 표시를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상당히 증가할 것이다.
유연한 시분할 듀플렉싱(TDD) 동작:
o 레이턴시에 민감한 트래픽이 서비스받을 긴급성을 갖지 않는 한, DL-UL 스위칭 보호 시간에 대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전체 SS 슬롯 지속시간을 다운링크(DL) 또는 업링크(UL) 통신으로서 구성하는 것이 생산적일 수 있다. 따라서, SS 슬롯(또는 SS 슬롯쌍) 내에서 정의된 SS 블록 시간 위치들을 완전히 점유하거나 완전히 비우는 것이 지원하기에 바람직하다.
o 레이턴시에 민감한 UL 및 DL 트래픽의 경우, 한 SS 슬롯에서 하나의 SS 블록만을 전송하고 업링크 통신을 위해 그 SS 슬롯의 나머지 심볼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240KHz SCS의 SS의 경우, SS 슬롯쌍의 DL 영역에서 1~3개의 SS 블록이 전송될 수 있고 SS 슬롯쌍의 나머지 심볼들은 UL에 이용될 수 있다. 슬롯의 시작에서부터 정의된 DL 제어 영역의 경우, 첫 번째 가능한 시간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15/30/120 kHz SCS에 대한) SS 슬롯 내의 또는 (240 kHz SCS의 SS에 대한) SS 슬롯쌍 내의 가능한 연속적인 SS 블록 시간 위치에서 SS 블록을 전송하는 것은, DL-UL 및/또는 UL-DL 스위칭 주파수 및 연관된 보호 시간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SS 블록이 첫 번째 시간 위치에서 SS 버스트 세트 당 전송되고 각각의 SS 슬롯/SS 슬롯쌍이 M개의(예를 들어, M=2 또는 4) 가능한 시간 위치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첫 번째 SS 슬롯은 M개의 가능한 패턴들을 갖고 나머지 SS 슬롯들 또는 SS 슬롯쌍들 각각은, 대응하는 SS 슬롯 또는 SS 슬롯쌍에서의 제로 개의 SS 블록 전송의 경우를 포함한 (M+1)개의 가능한 패턴들을 갖는다. 따라서, 가능한 SS 블록 전송 패턴의 총 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L은 SS 버스트 세트당 SS 블록의 최대 수이다. 이들 정의를 이용하여, 표시 데이터를 이용해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에서 실제로 전송된 SS 블록 수를 도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고려하자.
방법 1: 표시를 위한 2진 비트는 첫 번째 SS 슬롯(또는 SS 슬롯쌍) 내의 SS 블록의 수를 나타내는 개의 비트 및 나머지 개의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에 대한 가능한 SS 블록 전송 패턴을 나타내는 K개의 비트를 포함한다.
a. 표시를 위한 2진 비트들: , 여기서,
b. 표시를 위한 2진 비트들을 수신하면, UE는, 다음과 같이,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에서 실제로 전송된 SS 블록의 수 , 을 도출할 수 있다:
i. 첫 번째 SS 슬롯(또는 SS 슬롯쌍):
ii. 나머지 SS 슬롯들(또는 SS 슬롯쌍들):
여기서,
이고,
방법 1A: 은, SS 버스트 세트당 SS 블록의 최대 수 L 중에서 SS 버스트 세트에서 실제로 전송된 SS 블록의 수이다. 세트 , 에서 SS 블록(시간 위치) 인덱스들에 대응하는 개의 SS 블록들의 위치들은 방정식 에 의해 주어진 조합 인덱스 에 의해 주어지고, 는 확장된 이항 계수(binomial coefficient)이며, 고유 라벨 로 이어진다.
UE는 (NE로부터) 적어도 , 및 조합 인덱스 을 표시받아 SS 버스트 세트에서 실제로 전송된 SS 블록들의 SS 블록 위치를 결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은, 적어도 하나의 SS 블록이 고정된 위치/장소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된다면, 실제로 전송된 SS 블록의 수보다 하나가 적다, 즉, (상기 방정식에서 대신에 각각 가 이용되고 이고 임)(예를 들어, 첫 번째 SS 슬롯/슬롯쌍 내의 첫 번째 SS 블록 시간 장소(location)/위치(position)는 항상 전송된다. 이면, 조합 인덱스 은 중요하지 않고, 시그널링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방법 2: 표시를 위한 2진 비트는, 개의 비트들 - 그 중 각각의 개의 비트들은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에서 전송된 SS 블록의 수를 나타낼 수 있음 -, 및 길이- 비트맵 - 그 중 각각의 비트는 첫 번째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을 제외한 소정의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에 대응하고 비트 '0'은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에 어떠한 SS 블록도 없는지를 나타냄 - 을 포함한다.
a. 표시를 위한 2진 비트들:
여기서,
b. 표시를 위한 2진 비트들을 수신하면, UE는, 다음과 같이,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에서 실제로 전송된 SS 블록의 수 를 도출할 수 있다:
i. 첫 번째 SS 슬롯(또는 SS 슬롯쌍):
ii. 나머지 SS 슬롯들(또는 SS 슬롯쌍들):
여기서,
방법 3: 표시를 위한 2진 비트는, 길이- 비트맵 - 그 각각은 첫 번째 것을 제외한 소정의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에 대응하며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에 어떠한 SS 블록도 없는지를 나타냄 -, 및 개의 비트들(가변 비트 수) - 은 비제로 SS 블록 전송을 갖는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의 수를 나타내고, 개 비트들의 각각의 세트는 비제로 SS 블록 전송을 갖는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에서 전송된 SS 블록의 수를 나타냄 - 을 포함한다.
a. 표시를 위한 2진 비트들:
여기서
, 에 대해 이고 이며,
에 대해
b. 표시를 위한 2진 비트들을 수신하면, UE는, 다음과 같이,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에서 실제로 전송된 SS 블록의 수 를 도출할 수 있다:
i. 첫 번째 SS 슬롯(또는 SS 슬롯쌍):
ii. 나머지 SS 슬롯들(또는 SS 슬롯쌍들):
이면
그렇지 않다면,
방법 3A: 은 SS 버스트 세트당 SS 블록들의 최대 수 중의 SS 버스트 세트에서 (실제) 전송된 SS 블록 수를 나타내고, 여기서 는 SS 버스트 세트당 가능한 SS 슬롯/슬롯쌍의 최대 수 중의 SS 버스트 세트에서 전송된 SS 블록을 갖는 SS 슬롯/슬롯쌍의 수이다. SS 버스트 세트당 개의 가능한 SS 슬롯/슬롯쌍들 각각은 1부터 까지 인덱싱된다. 세트 에서 SS 슬롯/슬롯쌍 인덱스들에 대응하는 개의 SS 슬롯/슬롯쌍의 위치들은 방정식 에 의해 주어진 조합 인덱스 에 의해 주어지고, 는 확장된 이항 계수(binomial coefficient)이며, 고유 라벨 로 이어진다.
SS 블록들은 SS 블록 전송을 동반한 개의 SS 슬롯/슬롯쌍들 사이에서 대략 동등하게 분할된다. SS 슬롯/슬롯쌍 인덱스 를 갖는 SS 슬롯/슬롯쌍 내의 SS 블록 수는 로서 주어진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은, SS 슬롯/슬롯쌍 인덱스 를 갖는 각각의 SS 슬롯/슬롯쌍에서 실제 전송된 SS 블록의 수이고, 따라서 이다. 각각의 SS 슬롯/슬롯쌍 내의 SS 블록들은, SS 슬롯/슬롯쌍 내의 첫 번째 SS 블록 시간 장소/위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된다(한 시간 장소/위치에서 하나의 SS 블록 또는 주어진 시간 구간에서 복수의 SS 주파수의 경우 한 시간 장소/위치에서 하나보다 많은 SS 블록). UE는 적어도 , , 및 조합 인덱스 을 표시받아 SS 버스트 세트에서 실제 전송된 SS 블록 위치들을 결정한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이고 적어도 하나의 SS 블록이 고정된 위치/장소에서 NE에 의해 실제로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된다면, 예를 들어, 첫 번째 SS 슬롯/슬롯쌍 내의 첫 번째 SS 블록 시간 장소/위치가 항상 전송된다면, 및 조합 인덱스 은 중요하지 않고 시그널링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미리결정된 SS 슬롯(들)/슬롯쌍(들)이, SS 버스트 세트 내의 첫 번째 SS 슬롯/슬롯쌍 등의, NE로부터의 실제 전송된 SS 블록을 항상 운반한다면, 첫 번째 SS 슬롯/슬롯쌍()은 SS 슬롯/슬롯쌍 시그널링으로부터 제외될 수 있고, 조합 인덱스 은 첫 번째 SS 슬롯/슬롯쌍을 제외한 SS 슬롯/슬롯쌍 인덱스 를 나타낸다. 이것은, 조합 인덱스 방정식에서 및, ,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 즉, NE로부터의 실제 전송된 SS 블록들만이 미리결정된 SS 슬롯(들)/슬롯쌍(들) 내에 있다면, 조합 인덱스 은 중요하지 않고 시그널링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방법들은, NE 및 UE가 전송된 SS 블록들의 실제 개수 및/또는 그들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하의 표 1은 전술된 상이한 표시 방법들에 이용되는 최소 비트들의 개수 비교를 제공한다.
표 1 상이한 표시 방법들에 대해 이용되는 비트들의 최소 개수의 비교
이들 방법들 모두는 표시 비트들의 감소를 통해 개선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제공하지만, 방법 1 및 방법 3은 방법 2에 비해 더 현저한 개선을 제공하므로, 효율성 관점에서 방법 1 및 3을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표 1에서 알 수 있다. 방법 1은 SS 블록 레벨 비트맵 시그널링에 비해 최대 42%의 시그널링 오버헤드 감소를 달성할 수 있고, 방법 3은 최대 73% 감소를 달성할 수 있다. 방법 1은 SS 버스트 세트당 실제 전송된 SS 블록의 수에 관계없이 낮거나 중간 정도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것은, 방법 2와 방법 3에 비해, UE가 각각의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에서 NE로부터 실제로 전송되는 SS 블록의 수를 도출하기 위해 약간 더 높은 계산 복잡성을 이용할 수 있다. 방법 3의 오버헤드는, SS 버스트 세트당 실제 전송된 SS 블록의 수, 및 비어 있지 않은 SS 슬롯(또는 SS 슬롯쌍), 즉, 적어도 하나의 SS 블록 전송을 동반한 SS 슬롯(또는 SS 슬롯쌍)의 수에 따라 달라진다. 방법 2는 또한, SS 슬롯(또는 SS 슬롯쌍) 당 SS 블록의 최대 수 M에 대한, SS 버스트 세트당 SS 블록의 최대 수 L의 비율이 적절히 선택된다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제 L = 64, M = 2에 대한 미리정의된 SS 슬롯쌍 선택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 3을 고려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gNB는 추가적인 시그널링 오버헤드 감소를 위해 미리정의된 SS 슬롯쌍 선택 패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0KHz SCS의 SS에서) L = 64 및 M = 2의 경우, 16개의 SS 슬롯쌍이 있고, 여기서, 각각의 SS 슬롯쌍은 2개의 SS 슬롯을 포함하고 4개의 SS 블록 시간 위치를 포함한다. 4개의 SS 슬롯쌍 선택 패턴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정의된다면(여기서는, "패턴 0", "패턴 1", "패턴 2" 및 "패턴 3"으로 라벨링됨), 2개의 비트가 이용되어 미리정의된 SS 슬롯쌍 선택 패턴들 중 하나를 나타낸다. 또한, 선택된 미리정의된 패턴 내에서 SS 슬롯쌍을 더 선택하기 위해 8 비트 길이의 비트맵이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SS 슬롯쌍 내의 인접한 SS 블록 시간 위치들에서 실제 전송된 SS 블록 수를 나타내기 위해 2 비트 표시가 이용될 수 있다. 이 2 비트 표시는, 미리정의된 패턴의 8개의 SS 슬롯쌍 모두에 대해 또는 실제 SS 블록 전송을 갖는 SS 슬롯쌍에 대해서만 전송될 수 있다. 전자는 표시를 위해 총 26 비트를 이용하는 반면, 후자는 12 비트(적어도 하나의 SS 블록이 NE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다고 가정)와 26 비트 사이의 가변 비트 수로 이어진다. 가변 비트 수 옵션들을 유한한 수의 지원되는 비트 폭(예를 들어, 4개의 옵션, 12, 16, 20, 26 비트)로 감소시키기 위해, 헤더(예를 들어, 4 비트 폭 옵션의 경우 2 비트)가 포함되어 가능한 비트 폭들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전송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리정의된 패턴들의 수를 4로부터 8로 증가될 수 있고, 이것은 시그널링에서 단지 1 비트 증가로 이어진다. 도 3의 "패턴 0" 슬롯쌍 선택 패턴의 경우에, 실제 전송된 SS 블록 시간 위치들을 표시하기 위한 16 비트가 그 경우에 이용되지 않도록 모든 SS 블록 시간 위치들이 점유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패턴 0"에 대한 또 다른 구현에서, 8 비트 비트맵은 8개의 이용가능한 SS 슬롯 쿼드(slot-quad)로부터 선택하는데 이용되고, 16 비트는 선택된 각각의 SS 슬롯 쿼드에서 어느 SS 블록 시간 위치가 점유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한 경우에, 각각의 선택된 SS 슬롯 쿼드의 점유된 SS 블록 시간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총 16 비트에 대해) SS 슬롯 쿼드당 2 비트가 존재한다. "패턴 0" 슬롯쌍 선택 패턴 경우에 관한 또 다른 구현에서, 이들 16 비트는, 선택된 SS 슬롯쌍의 SS 블록 시간 위치들이 모두 점유된 것으로 가정하는 SS 슬롯쌍들을 16개의 이용가능한 슬롯쌍 내에서 선택하기 위한 비트맵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N=16 비트 또는 N=24 비트는 "패턴 0" 경우에 대해 2^N-1개의 공동 SS 블록 쌍 및 선택된 SS 블록 쌍의 SS 블록 전송 패턴으로부터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예들에서, SS 슬롯/슬롯쌍 레벨에서의 입도(granularity) 대신에, SS 슬롯/슬롯쌍의 연속적인 세트는 그룹화되어 표시에 이용되는 비트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예들에서, NE에 의해 실제로 전송되는 SS 블록들의 표시는 반정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UE는 주어진 SS 블록이 SS 버스트 세트 주기로 반복된다고 가정할 수 있기 때문에, gNB는 SS 블록 전송 패턴을 동적으로 변경하지 않아야 하지만, 동일한 패턴을 오랫동안 유지하거나 패턴을 반정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표시 비트의 수가 L = 64에 대해 상당히 크다는 것을 고려하면, 표시 비트를 PBCH에 포함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RMSI에 표시를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RMSI)를 운반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스케줄링된 채널(Physical Downlink Scheduled Channel)(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 및 RMSI를 운반하는 대응하는 PDSCH가 어떠한 SS 블록 전송과도 중첩되지 않는 방식으로 전송된다면, UE는 실제로 전송된 SS 블록들에 대한 지식없이 RMSI를 수신할 수 있다. RMSI를 수신한 후, UE는 실제로 NE(들)에 의해 전송된 SS 블록들 주변에서 레이트 매칭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gNB는 다른 SI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에 관련된 PDCCH 및 PDSCH를 유연하게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구현에 따른 동기화 신호 전송의 표시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동기화 신호 전송을 결정하는 예시적인 방법(400)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서비스, 컴포넌트, 모듈, 방법, 및/또는 동작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를 들어, 고정된 로직 회로), 수동 처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400)은, 도 1의 사용자 장비(102)(UE 프로토콜 모듈(108) 및/또는 UE 동기화 모듈(110)에 의해) 및/또는 여기서 더 설명된 바와 같이 도 6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600)(통신 트랜시버(들)(602), 처리 시스템(608), 처리 및 제어(610), 프로토콜 스택 모듈(618), 동기화 제어 모듈(620) 등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의 다양한 조합을 변화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들의 일부 동작은 컴퓨터 처리 시스템에 대해 로컬 및/또는 원격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가능 명령어의 일반적인 정황에서 설명될 수 있고, 구현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펑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 중 임의의 것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방법(400)은 단계들을 특정한 순서로 예시하고 있지만, 여기서 설명된 단계들의 임의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구조는 샘플 접근법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들 단계들의 순서를 재배열하는 다른 접근법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설명된 순서 단계들은 재배열될 수 있고, 이들 단계들의 예시된 순서는 제한을 의도하지 않는다.
402에서,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은 특정한 주파수 대역 내의 특정한 동기화 신호 주파수 상에서 특정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다.
404에서,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표시를 수신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이 표시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한다. 한 구현에서, 이 표시는,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가 복수의 동기화 신호 슬롯들 각각에 대해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실제로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를 도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이 표시는, 각각이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블록을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슬롯쌍의 수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각각의 동기화 신호 슬롯, 또는 동기화 신호 슬롯쌍은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시스템 정보 버스트에서 표시를 수신한다. 시스템 정보 버스트는,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및/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스케줄링된 채널(PDSCH) 상에서 수신된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에서 표시를 수신한다.
사용자 장비는 이 표시에서 비트맵을 수신할 수 있고, 여기서, 비트맵 내의 각각의 상응하는 비트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중의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상응하는 세트에 대응하고, 비트맵 내의 각각의 상응하는 비트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상응하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존재를 나타낸다. 일부 구현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이 표시에서 제1 개수의 2진 비트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1 개수의 2진 비트는 적어도,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세트당 가능한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들의 수에 의존하고, 이 표시에서 제2 개수의 2진 비트를 수신하며, 여기서, 제2 개수의 2진 비트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에 의존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2 개수의 2진 비트들은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세트들의 수와 동일하다. 일부 구현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이 표시에서,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를 나타내는 숫자 N을 수신하고, 이 표시에서, 조합 인덱스 을 수신하며, 여기서, 조합 인덱스 은 방정식 에 의해 주어지고, 은 확장된 이항 계수이며, 여기서, 은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실제로 전송되는 N개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위치들의 세트이고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 인덱스들에 대응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사용자 장비는 제1 개수의 2진 비트로 이 표시를 수신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개수는 복수의 동기화 신호 슬롯 중의 동기화 신호 슬롯당 가능한 시간 위치들의 수(M), 및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당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최대 개수(L)에 의존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 및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동일한 네트워크 엔티티인 반면, 다른 구현들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 및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서로 상이하다. 제1 네트워크 엔티티 및 제2 네트워크가 상이한 엔티티들인 것에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 엔티티의 일부 구현들은 2차 셀과 연관되고, 제2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현은 1차 셀과 연관된다.
406에서, 사용자 장비는, 이 표시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실제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위치를 결정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사용자 장비는 특정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값 및/또는 특정한 주파수 대역의 값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이것은, 슬롯 지속시간 동안 동기화 신호 주파수 상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에서 실제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을 카운팅함으로써 동기화 신호 슬롯들 각각에 대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일부 구현들은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에서 실제로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서브세트가 복수의 동기화 신호 슬롯 중의 한 동기화 신호 슬롯 내의 인접한 잠재적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들에서 순차적으로 전송된다고 결정함으로써 위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일부 구현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방법 1(및/또는 1A), 방법 2 및/또는 방법 3(및/또는 3A)의 다양한 양태들 중 실제 전송된 SS 블록들의 수의 도출을 이용하거나 및/또는 이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SS 블록들의 수를 도출할 수 있다.
408에서, 사용자 장비는, UE가 어떤 캐리어, 서브캐리어, 주파수 대역, 블록, 시간 슬롯, 통신 트랜시버 등에 관해 정보를 수신하는지, UE가 어떤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데이터가 어떻게 해석되는지 등을 지시하거나 및/또는 관리함으로써,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전송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결정된 위치들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 주변에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가 동기화 신호 전송의 표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예시적인 방법(500)을 나타내는 도 5를 이제 고려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서비스, 컴포넌트, 모듈, 방법, 및/또는 동작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를 들어, 고정된 로직 회로), 수동 처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500)은, 도 1의 네트워크 엔티티(112)(NE 프로토콜 모듈(114) 및/또는 NE 동기화 모듈(116)에 의해) 및/또는 여기서 더 설명된 바와 같이 도 7의 네트워크 엔티티 디바이스(700)(통신 트랜시버(들)(702), 처리 시스템(708), 처리 및 제어(710), 프로토콜 스택 모듈(718), 동기화 제어 모듈(720) 등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들의 일부 동작은 컴퓨터 처리 시스템에 대해 로컬 및/또는 원격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가능 명령어의 일반적인 정황에서 설명될 수 있고, 구현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펑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 중 임의의 것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방법(500)은 단계들을 특정한 순서로 예시하고 있지만, 여기서 설명된 단계들의 임의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구조는 샘플 접근법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들 단계들의 순서를 재배열하는 다른 접근법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설명된 순서 단계들은 재배열될 수 있고, 이들 단계들의 예시된 순서는 제한을 의도하지 않는다.
502에서, 하나 이상의 구현은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한다. 이것은, 특정한 주파수 대역 내의 특정한 동기화 신호 주파수 상에서 특정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동반한 동기화 블록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504에서, 하나 이상의 구현은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한다. 다양한 구현들은 제1 네트워크 엔티티를 이용하여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네트워크 엔티티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표시를 전송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동일한 네트워크 엔티티는,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및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표시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 표시는 복수의 동기화 신호 슬롯들 각각에 대해 NE(들)에 의해 전송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 및/또는 동기화 신호 슬롯쌍들의 수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들은, PBCH 및/또는 PDSCH 상에서 수신된 RMSI 등을 통해, 시스템 정보 버스트에서 표시를 전송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하나 이상의 구현은 전용 RRC 메시지에서 표시를 전송한다. 다양한 구현은 이 표시에서 비트맵을 전송할 수 있고, 예컨대 비트맵에서, 비트맵 내의 각각의 상응하는 비트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중의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상응하는 세트에 대응하고, 비트맵 내의 각각의 상응하는 비트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상응하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존재를 나타낸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일부 구현들은, 이 표시에서 제1 개수의 2진 비트를 전송하고, 여기서 제1 개수의 2진 비트는 적어도,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세트당 가능한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들의 수에 의존하거나, 및/또는 이 표시에서 제2 개수의 2진 비트를 전송하며, 여기서, 제2 개수의 2진 비트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에 의존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2진 비트들의 제2 개수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세트들의 수와 동일하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이 표시는 실제로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수를 나타내는 숫자 N과,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는 조합 인덱스 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이 표시는, 복수의 동기화 신호 슬롯 중의 동기화 신호 슬롯당 가능한 시간 위치들의 수(M), 및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당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최대 개수(L)에 의존하는, 제1 개수의 2진 비트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및 표시를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양한 구현들은 506에서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며, 여기서 통신은 봉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동기화 신호 블록들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한다.
따라서, 다양한 구현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들 중 개개의 엔티티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는 집합적으로: 주파수 대역 내의 동기화 신호 주파수 상에 서브캐리어 간격을 동반한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를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표시를 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여기서, 이 표시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고,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중의 각각의 상응하는 동기화 신호 슬롯은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 중 하나는,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게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는 시스템 정보 버스트에서 표시를 전송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는 PBCH에서 시스템 정보 버스트를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는 PDSCH 상에서 전송되는 RMSI에서 시스템 정보 버스트를 전송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는 RRC 메시지에서 표시를 전송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는 비트맵을 전송하고, 여기서, 비트맵 내의 각각의 상응하는 비트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중의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상응하는 세트에 대응하고, 비트맵 내의 각각의 상응하는 비트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상응하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존재를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는, 이 표시에서 제1 개수의 2진 비트를 전송하고, 여기서, 제1 개수의 2진 비트는, 적어도,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세트당 가능한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들의 수에 의존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는, 이 표시에서 제2 개수의 2진 비트를 전송하고, 여기서 제2 개수의 2진 비트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에 의존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2 개수의 2진 비트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세트들의 수와 동일하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는, 이 표시에서,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를 나타내는 숫자 N을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는, 이 표시에서, 조합 인덱스 을 전송하며, 여기서, 조합 인덱스 은 방정식 에 의해 주어지고, 은 확장된 이항 계수이며, 여기서, 은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 인덱스들에 대응하는 N개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위치들의 세트이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 중의 동일한 네트워크 엔티티의 동일한 트랜시버는,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및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표시를 전송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 중의 제1 네트워크 엔티티의 제1 트랜시버는,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 중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의 제2 트랜시버는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표시를 전송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2차 셀과 연관되고,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1차 셀과 연관된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에서 멀티빔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동기화 신호 전송 및/또는 동기화 신호 전송의 표시에 대한 논의를 고려하였고, 이제 전술된 다양한 구현예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를 고려한다.
예시적인 디바이스들
도 6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멀티빔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SS 수신 및 NE(들)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SS 표시의 수신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600)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도 7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멀티빔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SS 전송 및 NE들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SS 표시의 전송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엔티티 디바이스(700)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일부 구현들에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600) 및 네트워크 엔티티 디바이스(700)는 적어도 일부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갖는다. 따라서, 간소화를 위해, 도 6 및 도 7이 함께 설명될 것이다. 도 6과 연관된 유사한 컴포넌트들은 " 6 XX"의 명명 규칙을 갖는 컴포넌트로서 식별될 것인 반면, 도 7과 연관된 컴포넌트들은 " 7 XX"의 명명 규칙을 갖는 컴포넌트로서 식별될 것이다. 반대로,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의 컴포넌트들은 별도로 및 유사한 컴포넌트들 후에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600) 및 네트워크 엔티티 디바이스(700)는, 하나 이상의 구현에 따른 멀티빔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무선 시스템에서 SS 수신/전송 및/또는 실제 전송된 SS의 표시의 수신/전송을 구현할 수 있는 많은 상이한 유형들의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600)/네트워크 엔티티 디바이스(700)는, 수신된 데이터 및 전송된 데이터 등의, 디바이스 데이터(604)/디바이스 데이터(704)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케하는 통신 트랜시버(602)/통신 트랜시버(702)를 포함한다. 트랜시버라고 지칭되지만, 통신 트랜시버(602)/통신 트랜시버(702)는,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거나 빔포밍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협력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다수의 안테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는 전방향성 신호를 전송/수신할 수 있고, 후속 안테나는 빔포밍된 신호를 전송/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트랜시버는, 다양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5(BluetoothTM) 표준을 준수하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라디오, 다양한 IEEE 802.11(WiFiTM) 표준들 중 임의의 것을 준수하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셀룰러 전화(3GPP 호환, 4G 호환, 5G 호환)를 위한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 라디오, 다양한 IEEE 802.16(WiMAXTM) 표준들을 준수하는 무선 대도시 지역 네트워크 라디오, 및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이더넷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600)/네트워크 엔티티 디바이스(700)는 또한,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선택가능한 입력, 메시지, 음악, 텔레비전 콘텐츠, 기록된 콘텐츠, 및 임의의 콘텐츠 및/또는 데이터 소스로부터 수신된 기타 임의의 유형의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 등의, 임의의 유형의 데이터, 미디어 콘텐츠, 및/또는 입력이 수신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입력 포트(606)/데이터 입력 포트(706)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 포트는,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 동축 케이블 포트, 및 플래시 메모리, DVD(Digital Versatile Disc), CD(Compact Disc) 등을 위한 기타의 직렬 또는 병렬 커넥터(내부 커넥터 포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데이터 입력 포트들은, 디바이스를, 마이크로폰, 카메라 및/또는 모듈식 부착물 등의, 임의의 유형의 컴포넌트들, 주변 디바이스들, 또는 액세서리들에 결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600)/네트워크 엔티티 디바이스(7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등 중 임의의 것)으로 된 프로세서 시스템(608)/프로세서 시스템(708) 및/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처리하는 시스템-온-칩(SoC)으로서 구현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시스템은, 집적 회로 또는 온칩 시스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및 실리콘으로 된 기타의 구현 및/또는 기타의 하드웨어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하드웨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처리 및 제어(610)/처리 및 제어(710)로서 식별되는, 처리 및 제어 회로와 관련하여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고정된 로직 회로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600)/네트워크 엔티티 디바이스(700)는, 디바이스 내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결합하는 임의의 유형의 시스템 버스 또는 기타의 데이터 및 명령 전달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는, 제어 및 데이터 라인뿐만 아니라, 상이한 버스 구조물 및 아키텍쳐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600)/네트워크 엔티티 디바이스(700)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데이터 및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펑션 등)의 영구적 저장을 제공하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등의, 데이터 저장을 가능케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메모리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612)/메모리 디바이스(712)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메모리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612)/메모리 디바이스(712)의 예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고정식 및 이동식 미디어 디바이스, 및 컴퓨팅 디바이스 액세스를 위한 데이터를 유지하는 임의의 적절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전자적 데이터 스토리지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메모리는, 다양한 메모리 디바이스 구성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및 기타 유형의 저장 매체의 다양한 구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600)/네트워크 엔티티 디바이스(700)는 또한, 대용량 저장 매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메모리는, 디바이스 데이터(604)/디바이스 데이터(704), 기타 유형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 및 다양한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614)/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714)(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운영 체제(616)/운영 체제(716)는, 메모리 디바이스에서 소프트웨어 명령어로서 유지될 수 있고 프로세서 시스템(608)/프로세서 시스템(70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임의의 형태의 제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신호 처리 및 제어 모듈, 특정한 디바이스 고유의 코드, 특정한 디바이스를 위한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 등의, 디바이스 관리자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600)는 프로토콜 스택 모듈(618) 및 동기화 모듈(620)을 포함하는 반면, 네트워크 엔티티 디바이스(700)는 프로토콜 스택 모듈(718) 및 동기화 모듈(720)을 포함한다.
프로토콜 스택 모듈(618)/프로토콜 스택 모듈(718)은,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는 임의의 적절한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이것은, 전송된 데이터를 해석하거나 및/또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이용되는 정보, 신호, 데이터 패킷, 메시지 정렬, 전송 주파수, 변조 유형, 및/또는 핸드쉐이킹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 모듈(618)/프로토콜 스택 모듈(718)의 일부 구현들은,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OSI 모델을 따르는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한다. 프로토콜 스택 모듈(618)은 동기화 모듈(620)을 포함하는 반면, 프로토콜 스택 모듈(718)은 동기화 모듈(720)을 포함한다. 프로토콜 스택 모듈(618)/프로토콜 스택 모듈(718) 내에 상주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동기화 모듈(620)/동기화 모듈(720)의 다른 구현들은, 동기화 모듈이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내에서 전송, 수신 및/또는 통신 동기화(뿐만 아니라 그 표시)의 다양한 양태를 제어하도록 그 상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모듈 외부에 상주한다. 동기화 모듈(620)은, 하나 이상의 NE에 의해 전송된 SS 표시 정보를 추출하고, 후속해서 표시된 SS 블록을 위치파악하거나 및/또는 표시된 SS 블록 주변의 레이트 매칭의 표시를 프로토콜 스택 모듈(618)에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동기화 모듈(720)은, SS 블록을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예를 들어, 시간 위치, 주파수 위치, 서브캐리어 간격 등)를 결정하고, SS 전송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적절한 표시 메시지를 생성하고, SS 블록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SS 블록의 전송을 관리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600)는 또한, 오디오 시스템(624)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626)을 위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처리 시스템(622)을 포함한다. 오디오 시스템(624) 및/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626)은, 오디오, 비디오, 디스플레이,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 디스플레이, 및/또는 기타의 방식으로 렌더링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오디오 신호는, RF 링크, S-비디오 링크,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컴포지트 비디오 링크, 컴포넌트 비디오 링크, DVI(digital video interface), 아날로그 오디오 접속, 또는 미디어 데이터 포트(628) 등의 다른 유사한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컴포넌트 및/또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구현에서, 오디오 시스템 및/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통합된 컴포넌트이다. 대안으로서, 오디오 시스템 및/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외부에 있는 주변 컴포넌트이다.
결론
여기서 설명된 기술은 동기화 신호 블록의 위치를 결정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은,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및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표시를 수신한다.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표시는, 시간 위치(들) 등의, 동기화 신호 블록 위치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차례로, 다양한 구현들은, 결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본 명세서에 제공된 기술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멀티빔 동작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들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 내의 동기화 신호 주파수 상에 서브캐리어 간격을 동반한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은,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과 연관된 전송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를,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전송한다. 표시를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양한 구현들은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 및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와 통신한다.
동기화 신호 전송 및/또는 동기화 신호 표시의 다양한 양태가, 피처들 및/또는 방법들 특유의 용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의 주제는 설명된 특정한 피처들 또는 방법들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정한 피처들 및 방법들은 예시적인 구현으로서 개시된 것이며, 다른 균등한 피처들 및 방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다양한 상이한 구현들이 설명되고, 각각의 설명된 구현은 독립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설명된 구현들과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2)

  1. 디바이스로서,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주파수 대역 내의 동기화 신호 주파수 상에서 서브캐리어 간격을 동반하여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고;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에서 전송된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표시를 수신하며 - 상기 표시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각각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중의 각각의 상응하는(each respective) 동기화 신호 슬롯은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 중 어느 것이 전송된 동기화 신호 블록을 포함하는지를 식별하는 제1 개수의 2진 비트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수의 2진 비트들은 잠재적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들의 수보다 적음 -,
    상기 프로세서 시스템은:
    상기 표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값, 및 상기 주파수 대역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위치들을 결정하고;
    상기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결정된 위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하도록 상기 트랜시버에게 지시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시스템 정보 버스트에서 상기 표시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 버스트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물리적 다운링크 스케줄링된 채널(Physical Downlink Scheduled Channel)(PDSCH) 상에서 수신된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RMSI)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 버스트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에서 상기 표시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비트맵을 수신하고,
    상기 비트맵 내의 각각의 상응하는 비트는 상기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중의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상응하는 세트에 대응하며,
    상기 비트맵 내의 각각의 상응하는 비트는 상기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상응하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존재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수의 2진 비트들은 적어도,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세트당 가능한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들의 수에 의존하는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표시에서 제2 개수의 2진 비트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2 개수의 2진 비트들은 상기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에 의존하는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수의 2진 비트들은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세트들의 수와 동일한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표시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수를 나타내는 숫자 N을 수신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표시에서, 조합 인덱스(combinatorial index) 을 수신하며,
    상기 조합 인덱스 은 방정식 에 의해 주어지고, 는 확장된 이항 계수(extended binomial coefficient)이며,
    , 은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 인덱스들에 대응하는 N개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위치들의 세트인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동일한 네트워크 엔티티인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이한 네트워크 엔티티들인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2차 셀과 연관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1차 셀과 연관되는 디바이스.
  14. 방법으로서,
    주파수 대역 내의 동기화 신호 주파수 상에서 서브캐리어 간격을 동반하여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에서 전송된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표시는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쌍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각각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쌍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중의 각각의 상응하는 동기화 신호 슬롯쌍은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 중 어느 것이 전송된 동기화 신호 블록을 포함하는지를 식별하는 제1 개수의 2진 비트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수의 2진 비트들은 잠재적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들의 수보다 적음 -;
    상기 표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값, 및 상기 주파수 대역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위치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결정된 위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쌍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의 각각의 상응하는 동기화 신호 슬롯쌍은 2개의 인접한 슬롯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수의 2진 비트들은 적어도,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쌍들의 세트당 가능한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들의 수에 의존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에서 제2 개수의 2진 비트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개수의 2진 비트들은 상기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쌍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에 의존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수의 2진 비트들은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쌍들의 세트들의 수와 동일한 방법.
  19. 방법으로서,
    주파수 대역 내의 동기화 신호 주파수 상에서 서브캐리어 간격을 동반하여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 블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에서 전송된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표시는 상기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와 연관된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각각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 중의 동기화 신호 슬롯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 중 어느 것이 전송된 동기화 신호 블록을 포함하는지를 식별하는 제1 개수의 2진 비트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수의 2진 비트들은 잠재적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들의 수보다 적음 -;
    상기 표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값, 및 상기 주파수 대역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위치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결정된 위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수의 2진 비트들은 적어도,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세트당 가능한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들의 수에 의존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표시에서 제2 개수의 2진 비트들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개수의 2진 비트들은 상기 연속적인 동기화 신호 슬롯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에 의존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수를 나타내는 숫자 N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에서, 조합 인덱스(combinatorial index) 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합 인덱스 은 방정식 에 의해 주어지고, 는 확장된 이항 계수(extended binomial coefficient)이며,
    , 은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 인덱스들에 대응하는 N개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위치들의 세트인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의 수를 나타내는 숫자 N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에서, 조합 인덱스(combinatorial index) 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합 인덱스 은 방정식 에 의해 주어지고, 는 확장된 이항 계수(extended binomial coefficient)이며,
    , 은 동기화 신호 블록 시간 위치 인덱스들에 대응하는 N개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위치들의 세트인 방법.
KR1020207003585A 2017-08-11 2018-08-07 동기화 신호 블록 위치 결정 KR102576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44752P 2017-08-11 2017-08-11
US62/544,752 2017-08-11
US16/056,247 US10694480B2 (en) 2017-08-11 2018-08-06 Determining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positions
US16/056,247 2018-08-06
PCT/US2018/045662 WO2019032614A1 (en) 2017-08-11 2018-08-07 DETERMINING POSITIONS OF SYNCHRONIZATION SIGNAL BLOC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037A KR20200035037A (ko) 2020-04-01
KR102576014B1 true KR102576014B1 (ko) 2023-09-06

Family

ID=6344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585A KR102576014B1 (ko) 2017-08-11 2018-08-07 동기화 신호 블록 위치 결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694480B2 (ko)
EP (2) EP4344316A2 (ko)
KR (1) KR102576014B1 (ko)
CN (1) CN111034284B (ko)
BR (1) BR112020002929A2 (ko)
WO (1) WO20190326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238441B2 (en) 2017-03-24 2021-07-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ell re-selection measurement window in new radio
US11122497B2 (en) * 2017-05-04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S block index and timing indication in wireless systems
US10694480B2 (en) * 2017-08-11 2020-06-23 Lenovo (Singapore) Pte. Ltd. Determining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positions
AU2017430541A1 (en) * 2017-09-08 2020-04-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network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for indicating posi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CN111642018B (zh) * 2017-11-01 2022-12-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信息的方法和设备
US11324014B2 (en) * 2017-12-22 2022-05-03 Qualcomm Incorporated Exposure detection in millimeter wave systems
JP2022003715A (ja) * 2018-09-27 2022-01-11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51968B2 (en) 2019-05-21 2022-09-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covery burst in shared band
US11425648B2 (en) 2019-06-14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on with power saving in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C-DRX)
US11368927B2 (en) * 2019-11-18 2022-06-21 Qualcomm Incorporated Rate matching around synchronization signal blocks in unlicensed spectrum
CN113965987B (zh) * 2020-07-20 2024-02-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Ssb搜索信息确定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13965974A (zh) * 2020-07-20 2022-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078838A1 (en) * 2020-09-09 2022-03-10 Qualcomm Incorporated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forwarding, an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management by wireless forwarding node
WO2023054859A1 (ko) * 2021-09-29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대역폭에 기반한 동기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9728B2 (en) 2006-02-11 2011-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channels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supporting scalable bandwidth
US8031670B2 (en) 2008-11-13 2011-10-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the size of a control region of a downlink subframe
US20130155990A1 (en) 2010-09-03 2013-06-20 Panasonic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FR2972323B1 (fr) 2011-03-04 2013-04-12 Cassidian Sas Acquisition de sous-bandes de frequence dans une trame par un mobile dans un reseau a large bande colocalise avec un reseau a bande etroite
US8665811B2 (en) 2011-08-15 2014-03-04 Motorola Mobility Llc Reference signal for a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3106740A2 (en) 2012-01-11 2013-07-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Adaptive control channel
US9179269B2 (en) 2012-09-12 2015-1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talk-around direct communication network
JP6095991B2 (ja) 2013-01-24 2017-03-15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9735942B2 (en) 2013-04-05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coverage enhancement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
CN104519576A (zh) 2013-09-27 2015-04-1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在无线小区中的数据传输方法
US9591649B1 (en) 2014-09-29 2017-03-07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of reducing load on a downlink control channel
CN109005019B (zh) 2014-12-31 2020-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发送和检测装置、系统及方法
KR20160089844A (ko) 2015-01-19 2016-07-28 주식회사 케이티 Mtc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공용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6129900A1 (ko) 2015-02-10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계타입통신을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물리방송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36500B2 (en) 2015-06-25 2022-05-17 Idac Holdings, Inc. Searching for synchronization signals with a synchronization index
WO2017022870A1 (en) 2015-08-03 2017-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610789B1 (es) * 2015-09-30 2018-02-07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Csic) Instrumento miniaturizado simulador de visión simultánea por generación de máscaras
US10278160B2 (en) 2016-02-26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beam-formed system
EP3473043B1 (en) 2016-06-21 2021-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aging in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850165B (zh) 2016-07-29 2019-03-0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子带配置的指示方法及装置、子带接入方法及装置
WO2018045307A1 (en) 2016-09-02 2018-03-08 Intel IP Corporation Paging with unified single and multi-beam operation support in new radio
JP7074122B2 (ja) 2016-09-28 2022-05-2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次世代ワイヤレス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アクセス
US10257860B2 (en) 2016-10-21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nnel access framework for multi-beam operation on the unlicensed spectrum
US10547428B2 (en) 2016-11-04 2020-01-28 Qualcomm Incorporated Dedicated reference signal for physical broadcast channel
US10470191B2 (en) 2016-12-09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broadcast signals and channels for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US10616847B2 (en) 2016-12-22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multiple transmiss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blocks in new radio
CN106793058B (zh) * 2016-12-30 2019-03-0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处理同步信号块的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11291078B2 (en) 2017-01-06 2022-03-29 Apple Inc. Transmission scheme for common control message with multi-beam operation
EP3566373A1 (en) 2017-01-06 2019-11-13 Convida Wireless, LLC Mechanisms for efficient access and transmission in nr
WO2018128192A1 (ja) 2017-01-06 2018-07-1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プリアンブル送信方法
US11147000B2 (en) 2017-01-06 2021-10-12 Apple Inc. Generation Node-B (GNB), user equipment (UE) and methods for handover in new radio (NR) systems
US10263823B2 (en) 2017-01-09 2019-04-16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ng synchronization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499416B2 (en) 2017-01-10 2019-12-03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hannel rate matching of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transmissions in a new rad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31494B2 (en) 2017-01-17 2020-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Reference signal scrambling for random access
US10505773B2 (en) 2017-01-17 2019-12-10 Qualcomm Incorporated Association between synchronization signal beams and reference signal beams
US10148337B2 (en) 2017-02-01 2018-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 management of downlink data channel and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5G next radio systems
CN110301147B (zh) 2017-02-02 2022-11-29 艾普拉控股有限公司 用于在扫掠下行链路波束中传输寻呼块的装置
WO2018145107A1 (en) 2017-02-06 2018-08-09 Motorola Mobility Llc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US10523354B2 (en) 2017-02-24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 of NR-SS burst set
US10972158B2 (en) 2017-03-16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tributed FD-MIMO: cellular evolution for 5G and beyond
WO2018173238A1 (ja) 2017-03-23 2018-09-27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0716094B2 (en) 2017-03-23 2020-07-14 Ofinno, Llc Packet duplic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11224073B2 (en) 2017-03-23 2022-01-11 Convida Wireless, Llc Beam training and initial access
EP3603300A1 (en) 2017-03-24 2020-02-0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on a wirelss communication network
US11246049B2 (en) 2017-05-05 2022-02-08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measurement report on a wireless network
EP3619977A4 (en) 2017-05-05 2020-05-20 ZT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RESOURCES
US10813097B2 (en) 2017-06-14 2020-10-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WO2018231003A1 (ko) * 2017-06-16 2018-12-20 주식회사 아이티엘 동기화 신호 블록 지시 방법 및 장치
US10694480B2 (en) * 2017-08-11 2020-06-23 Lenovo (Singapore) Pte. Ltd. Determining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positions
BR112020016585A2 (pt) 2018-02-16 2020-12-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ó de rede, dispositivo sem fio, e, métodos realizados por um nó de rede e por um dispositivo sem fio
KR20220124178A (ko) 2020-01-10 2022-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절차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5052*
3GPP R1-1708161
3GPP R1-1710259
3GPP R1-17113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5978A1 (en) 2020-06-17
EP4344316A2 (en) 2024-03-27
US10694480B2 (en) 2020-06-23
CN111034284A (zh) 2020-04-17
CN111034284B (zh) 2022-08-09
US20200383071A1 (en) 2020-12-03
EP3665978B1 (en) 2024-04-10
WO2019032614A1 (en) 2019-02-14
US11849411B2 (en) 2023-12-19
KR20200035037A (ko) 2020-04-01
US20190053174A1 (en) 2019-02-14
BR112020002929A2 (pt)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014B1 (ko) 동기화 신호 블록 위치 결정
CN106797659B (zh) 用于信道资源分配的信令的方法及高效wi-fi站和接入点
US11224061B2 (e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in UE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narrow band transmission
KR20200050848A (ko) Nr v2x 시스템에서 harq 피드백 절차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JP7227297B2 (ja) データ通信方法、端末、および基地局
US102002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non-licensed band
EP3963800A1 (en) Dynamic indication of multi-trp pdsch transmission schemes
WO2014197493A1 (en) Central processing unit and methods for support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in an lte network
KR102570633B1 (ko) 전송 블록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30201946A1 (en) Transmission of Reference Signals
WO2020063839A1 (zh)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US1068162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 access via anchor carrier
CN110741591A (zh) 在减少的延迟操作中用于下行链路控制物理结构的方法和设备
JP2020523902A (ja) 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およびユーザ機器
EP357327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CN111818650A (zh) 下行控制信息的传输、盲检测次数的获取方法和装置
CN110832802A (zh) 用于上行链路通信的波形的选择
CN116058032A (zh) 为一个或多个coreset激活两个或更多个tci状态
WO2016057132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fficient indication of bandwidth and stream allocation
US20150215882A1 (e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over an lte air interface
WO2023284534A1 (zh) 一种随机接入方法及通信装置
KR20200054034A (ko) Nr v2x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피드백 절차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09472A (ko) 자원 다중화 방법 및 장치
KR20200050820A (ko) Nr v2x 시스템에서 harq 피드백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WO2019029464A1 (zh) 用于灵活双工系统的数据传输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