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783B1 - 차량 사인 유도등 - Google Patents

차량 사인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783B1
KR102575783B1 KR1020220185150A KR20220185150A KR102575783B1 KR 102575783 B1 KR102575783 B1 KR 102575783B1 KR 1020220185150 A KR1020220185150 A KR 1020220185150A KR 20220185150 A KR20220185150 A KR 20220185150A KR 102575783 B1 KR102575783 B1 KR 10257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lighting unit
vehicle
unit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혜림
Original Assignee
강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혜림 filed Critical 강혜림
Priority to KR102022018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1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magnetically fixed on the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차량 사인 유도등이 개시된다. 차량 사인 유도등은, 유도 표시부가 형성된 표시 바디와, 표시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와,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표시 바디의 상기 조명부를 덮는 커버부와, 표시 바디에 부착되어 부착 대상물에 탈부착되는 마그네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사인 유도등{SIGN QUIDE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도로 또는 차량 작업 과정에서 인접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시각적으로 적절하게 경고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사인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도나 지방도 및 고속도로에서 노면보수공사나 도색작업, 가드레일 설치, 교통사고 정리 등의 각종 공사나 작업을 할 경우에는 작업구역 내의 작업자 안전 및 차량이 작업중인 공간의 장애물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경고 표시를 한다.
이러한 경고 표시는, 경광봉을 든 보조 작업자나 마네킹이 위치함은 물론, 작업공간 확보를 위하여 차선이 좁아지도록 라바콘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작업 경고의 표시는 보조 작업자가 더욱 필요하고, 마네킹 등을 이용하는 경우, 신속한 경고 표시가 어렵고 야간 등의 기후 조건에서 식별이 용이하지 못하여 충분한 작업 경고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21-004052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로 또는 차량 작업 과정에서 인접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시각적으로 적절하게 경고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사인 유도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도 표시부가 형성된 표시 바디와, 표시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와,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표시 바디의 상기 조명부를 덮는 커버부와, 표시 바디에 부착되어 부착 대상물에 탈부착되는 마그네틱부재를 포함한다.
표시 바디는, 내부에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는 바디 본체와, 바디 본체의 일측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며 유도 방향을 표시하며 내부에는 조명부가 설치되는 표시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는, 바디 본체와 표시 돌부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LED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LED 조명은, 바디 본체와 표시 돌부의 내부에서 유도 방향을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LED 조명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차량의 내부에 연결되는 시거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또는 차량 작업 과정에서 인접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시각적으로 적절하게 경고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전 사고 발생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사인 유도등을 마그네틱부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설치 작업 과정에서 작업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사인 유도등의 내부에 설치된 LED 조명의 점멸 작동에 의해, 원거리 또는 야간 작업시에도 시인성의 확보가 가능하여 안전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차량 사인 유도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인 유도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인 유도등의 커버부를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인 유도등의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차량 사인 유도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인 유도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인 유도등의 커버부를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인 유도등의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인 유도등(100)은, 유도 표시부가 형성된 표시 바디(10)와, 표시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20)와, 조명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0)와, 표시 바디(10)의 조명부를 덮는 커버부(30)와, 커버부(30)에 부착되어 부착 대상물에 탈부착되는 마그네틱부재(40)를 포함한다.
표시 바디(10)는 차량 작업 과정에서 인접한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작업 위험 상태를 시각적으로 경고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바디(10)는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에 대해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도 표시부는 표시 바디에 형성된 화살표 형상을 말한다.
이러한 표시 바디(10)는, 내부에 조명부(20)가 설치되는 바디 본체(11)와, 바디 본체(11)의 일측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며 유도 방향을 표시하며 내부에는 조명부(20)가 설치되는 표시 돌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 바디(10)는, 내부에 조명부(20)가 설치되는 바디 본체(11)와, 바디 본체(11)의 일측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며 유도 방향을 표시하며 내부에는 조명부(20)가 설치되는 표시 돌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바디(10)는 유도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형상인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바디 본체(11)는 차량의 금속 재질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설치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대략 직육면체의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 본체(11)는 직육면체 형상인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치 위치를 고려하여 가장자리의 일부분에 라운드 형상을 포함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바디 본체(11)의 내부에는 조명부(20)가 설치되는 것으로, 조명부(20)의 발광 상태를 외부로 시각적으로 표시 가능하도록 투명. 반투명 등의 조명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 본체(11)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을 포함한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부(20)는 바디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측 방향으로 적절한 시각적 경고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명부(20)는, 바디 본체(11)와 표시 돌부(13)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LED 조명(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조명부와 LED 조명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LED 조명(20)은 바디 본체(11)와 표시 돌부(13)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가 방향성을 갖도록 바디 본체(11)와 표시 돌부(13)의 내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LED 조명(20)은 바디 본체(11)로부터 표시 돌부(13) 방향으로 주의 방향을 표시 및 유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유도 방향을 향하도록 긴 길이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LED 조명(20)은 바디 본체(11)와 표시 돌부(13)의 내부에서 동시에 점멸되는 것도 가능하고, 바디 본체(11)로부터 표시 돌부(13) 방향으로 순차적인 점멸 작동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LED 조명(20)이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경우, 화살표 형상으로 설치된 바디 본체(11)와 표시 돌부(13)의 내부에서서 화살표 방향이 지시하는 방향으로 방향성을 나타내도록 순차적으로 점멸 작동될 수 있다.
복수개의 LED 조명(20)이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작동 시간 간격은, 작업자의 조작 제어에 의해 적절한 작동 시간 간격으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표시 바디(10)에 설치된 조명부(20)는 커버부(3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커버부(30)는 표시 바디(10)의 개구된 부분을 덮어, 조명부(20)의 설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보호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커버부(30)는 조명부(20)의 발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반투명 또는 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 바디(10)의 외표면에는 마그네틱부재(40)가 설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부재(40)는 표시 바디(10)의 전체 표면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부재(40)는 표시 바디(10)의 표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바, 트럭 등의 차량의 금속 재질의 소정의 차체 또는 소정의 프레임 위치에 적절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부재(40)는 표시 바디(10)의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으로 표시 바디(10)의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마그네틱부재(40)는 원통형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상 등의 소정의 다각 형상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조명부(2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은 전원 공급부(50)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는 LED 조명(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차량의 내부에 연결되는 시거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부(50)는 LED 조명(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조명부(20)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 라인(51)과, 전원 공급 라인(51)에 연결되어 차량의 내부에서 전원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거잭(5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 전원 공급 없이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용이한 설치 작업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인 유도등(100)은, 도로 또는 차량 작업 과정에서 인접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시각적으로 적절하게 경고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전 사고 발생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 사인 유도등(100)을 마그네틱부재(40)를 이용하여 차량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설치 작업 과정에서 작업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아울러, 차량 사인 유도등(100)의 내부에 설치된 LED 조명(20)의 점멸 작동에 의해, 원거리 또는 야간 작업시에도 시인성의 확보가 가능하여 안전 작업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표시 바디 11...바디 본체
13...표시 돌부 20...조명부, LED 조명
30...커버부 40...마그네틱부재
50...전원 공급부 51...전원 공급 라인
53...시거잭

Claims (4)

  1. 유도 표시부가 형성된 표시 바디;
    상기 표시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표시 바디의 상기 조명부를 덮는 커버부; 및
    상기 표시 바디에 부착되어 부착 대상물에 탈부착되는 마그네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 바디는, 내부에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는 바디 본체; 및 상기 바디 본체의 일측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유도 방향을 표시하며, 내부에는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는 표시 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본체와 표시 돌부는 화살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바디 본체와 상기 표시 돌부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LED 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LED 조명은, 상기 바디 본체와 상기 표시 돌부의 내부에서 화살표 방향이 지시하는 방향으로 방향성을 나타내도록 순차적으로 점멸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조명부의 발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반투명 또는 투명 재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인 유도등.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LED 조명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차량의 내부에 연결되는 시거잭을 포함하는, 차량 사인 유도등.
KR1020220185150A 2022-12-27 2022-12-27 차량 사인 유도등 KR102575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150A KR102575783B1 (ko) 2022-12-27 2022-12-27 차량 사인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150A KR102575783B1 (ko) 2022-12-27 2022-12-27 차량 사인 유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783B1 true KR102575783B1 (ko) 2023-09-07

Family

ID=8797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5150A KR102575783B1 (ko) 2022-12-27 2022-12-27 차량 사인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78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363Y1 (ko) * 2005-07-25 2005-10-25 강훈 착탈식 안전표시판
KR200445939Y1 (ko) * 2007-11-29 2009-09-10 박재실 싸인보드용 램프장치
KR20120120559A (ko) * 2011-04-25 2012-11-02 양진복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안전플레이트 및 그 이용방법
KR20130033405A (ko) * 2013-03-15 2013-04-03 김근효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용 도로안전 표시판
KR20210040529A (ko) 2019-10-04 2021-04-14 이백훈 작업자 경보시스템용 경광봉
KR20210126245A (ko) * 2020-04-10 2021-10-20 정복순 차량의 2차 사고방지용 세이프티 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363Y1 (ko) * 2005-07-25 2005-10-25 강훈 착탈식 안전표시판
KR200445939Y1 (ko) * 2007-11-29 2009-09-10 박재실 싸인보드용 램프장치
KR20120120559A (ko) * 2011-04-25 2012-11-02 양진복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안전플레이트 및 그 이용방법
KR20130033405A (ko) * 2013-03-15 2013-04-03 김근효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용 도로안전 표시판
KR20210040529A (ko) 2019-10-04 2021-04-14 이백훈 작업자 경보시스템용 경광봉
KR20210126245A (ko) * 2020-04-10 2021-10-20 정복순 차량의 2차 사고방지용 세이프티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8515B2 (en) Reversible highway sign warning lights
US20170217361A1 (en) Optical Warning Illumination Array
KR102014662B1 (ko) 도로 표지병
KR102208572B1 (ko) Led를 이용한 보조 교통 신호등
KR200385884Y1 (ko) 주차방지용 설치구
JP6778128B2 (ja) 視線誘導標装置及び速度誘導システム
KR102575783B1 (ko) 차량 사인 유도등
KR102296204B1 (ko) 스마트 엘이디 교통신호등
KR100995337B1 (ko)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KR200416774Y1 (ko)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동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경계석
JP3806548B2 (ja) 路面標示装置
KR200432405Y1 (ko) 보조신호등램프가 설치된 보행자신호등
KR20130128831A (ko) 보행자용 안전 신호등
KR20080056698A (ko) 도로 표면에 설치한 신호등에 의한 교통 제어 방법
JP5539291B2 (ja) 自発光道路鋲装置
KR200446090Y1 (ko) 보행신호등
KR20130089021A (ko) 신호등과 연동되는 안전강화신호장치와 안전봉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12783U (ko) 도로 표시판
KR101776836B1 (ko) 발광형 경계구조물
KR101226847B1 (ko) 광고표시 및 안전보행 유도가 가능한 횡단보도 신호등
KR20100088800A (ko) 발명의 명칭 : 교통신호등을 연계한 지면식 안전 신호장치및 신호방법
US20230162600A1 (en) Lighted traffic control device
JP2019095934A (ja) 警告灯
KR200352005Y1 (ko) 횡단보도 표시 및 보행자 안전 유도등
AU2012101325A4 (en) Solar Powered Hand-held Safety 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