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490B1 -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 - Google Patents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490B1
KR102575490B1 KR1020230059187A KR20230059187A KR102575490B1 KR 102575490 B1 KR102575490 B1 KR 102575490B1 KR 1020230059187 A KR1020230059187 A KR 1020230059187A KR 20230059187 A KR20230059187 A KR 20230059187A KR 102575490 B1 KR102575490 B1 KR 10257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inding
bracket
main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효순
안혜진
Original Assignee
나은건설 주식회사
진효순
안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은건설 주식회사, 진효순, 안혜진 filed Critical 나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a node element

Abstract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는: 하나 이상의 메인포스트, 축 방향을 따라 메인포스트의 일측에 고정 연결되고 교량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브라켓, 및 교량에 대한 메인브라켓의 구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메인브라켓을 감싸거나 지지한 채 교량에 결속되는 보강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REINFORCED-BINDING TYPE CHECK EQUIPMENT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조립체를 지지하는 메인포스트를 교량의 외측면에 앵커링 고정하는 메인브라켓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접하는 보강결속브라켓을 각각 교량에 앵커링 고정하면서 메인브라켓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접하는 보강결속브라켓을 스크류로써 결속함에 따라 메인브라켓을 복합적 방향에서 교량 측으로 견고하게 결속함에 따른 점검설비의 낙하나 흔들림을 방지하고, 대향하는 보강결속브라켓 사이에 해당되는 스크류에 인장스프링을 구비하여 보강결속브라켓 각각을 외측으로 탄성 지지함에 따라 스크류의 죄임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며, 보강결속브라켓과 교량 사이에 노출되는 앵커볼트에 인장스프링을 구비하여 보강결속브라켓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보강결속브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하는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상부구조인 상판을 하부구조인 교각이 슈(Shoe)를 매개로 떠받치는 형태로 구성되는데, 교량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각각의 교각에는 교량 점검시설물(점검통로, 계단)이 설치된다.
특히, 이러한 교량 점점시설물은 철재구조물인 고정지지대가 교각의 벽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앵커볼트 고정식 교량 점검시설물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교각에 고정된 앵커볼트가 헐거워지면서 점검통로의 안정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점검통로가 흔들리는 등의 구조적인 불안정으로 인해 추락의 위험성까지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인 방호벽 또는 슬래브에 고정되는 지지대를 '디귿(ㄷ)자' 형상의 고정보강판으로써 감싼 후, 이 고정보강판을 방호벽 또는 슬래브에 볼팅 고정함으로써, 지지대를 보강하는 공법이 실시되고 있다.
관련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7278호에 "교량 점검 시설의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 시설 시공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앵커볼트 고정식 교량 점검시설물의 지지대 보강 고정용 고정보강판은 지지대의 크기별로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제작비용 또는 구입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지지대 보강 고정용 고정보강판은 '디귿(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대를 감싼 후 방호벽 또는 슬래브에 볼팅 고정되는 바, 교량의 진동에 의해 휨 등 변형이 발생될 수 있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판조립체를 지지하는 메인포스트를 교량의 외측면에 앵커링 고정하는 메인브라켓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접하는 보강결속브라켓을 각각 교량에 앵커링 고정하면서 메인브라켓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접하는 보강결속브라켓을 스크류로써 결속함에 따라 메인브라켓을 복합적 방향에서 교량 측으로 견고하게 결속함에 따른 점검설비의 낙하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하는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대향하는 보강결속브라켓 사이에 해당되는 스크류에 인장스프링을 구비하여 보강결속브라켓 각각을 외측으로 탄성 지지함에 따라 스크류의 죄임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고자 하는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강결속브라켓과 교량 사이에 노출되는 앵커볼트에 인장스프링을 구비하여 보강결속브라켓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보강결속브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하는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강결속브라켓의 양측에 완충블록을 덧된 후 각각의 완충블록에 보강결속브라켓을 이탈 방지되도록 완충 지지한 채, 보강결속브라켓 각각을 교량에 체결 고정함으로써 메인브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하는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는: 하나 이상의 메인포스트;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포스트의 일측에 고정 연결되고, 교량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브라켓; 및 상기 교량에 대한 상기 메인브라켓의 구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브라켓을 감싸거나 지지한 채 상기 교량에 결속되는 보강결속부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상기 보강결속부는, 상기 메인브라켓의 일측에 접하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 상기 메인브라켓의 타측에 접하는 제 2보강결속브라켓;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과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을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스크류부재;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을 상기 교량에 결속하는 제 1보강앵커부재; 및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을 상기 교량에 결속하는 제 2보강앵커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브라켓은, 상기 교량의 외측면에 결속되고,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와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을 지지하는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이 상기 결속스크류부재의 결속력에 의해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 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서포트윙;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이 상기 결속스크류부재의 결속력에 의해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 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서포트윙을 포함한다.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은 상기 제 1서포트윙을 향하는 측면에 제 1일측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서포트윙은 상기 제 1일측요철부와 암수 결합되는 제 1타측요철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은 상기 제 2서포트윙을 향하는 측면에 제 2일측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서포트윙은 상기 제 2일측요철부와 암수 결합되는 제 2타측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스크류부재는, 대향하는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과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에 걸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스크류; 및 대향하는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과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 각각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나사스크류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나사 결합되는 죄임부재를 포함한다.
대향하는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과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 사이, 또는 대향하는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과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나사스크류의 해당 부위는 인장력이 발생되는 상부인장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보강앵커부재는 상기 교량과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을 연결하는 제 1앵커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보강앵커부재는 상기 교량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을 연결하는 제 2앵커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교량과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 사이에 노출되는 상기 제 1앵커볼트는 인장력이 발생되는 제 1하부인장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교량과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 사이에 노출되는 상기 제 2앵커볼트는 인장력이 발생되는 제 2하부인장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보강결속부는, 상기 메인브라켓의 일측에 단순 접하고, 제 1수용홈을 형성하며, 완충 탄성 재질인 제 1완충블록; 상기 제 1수용홈에 일부가 수용되어, 상기 제 1완충블록에 완충 지지되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 상기 메인브라켓의 타측에 단순 접하고, 제 2수용홈을 형성하며, 완충 탄성 재질인 제 2완충블록; 상기 제 2수용홈에 일부가 수용되어, 상기 제 2완충블록에 완충 지지되는 제 2보강결속브라켓;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을 상기 교량에 결속하는 제 1보강앵커부재; 및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을 상기 교량에 결속하는 제 2보강앵커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는 종래 기술과 달리 발판조립체를 지지하는 메인포스트를 교량의 외측면에 앵커링 고정하는 메인브라켓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접하는 보강결속브라켓을 각각 교량에 앵커링 고정하면서 메인브라켓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접하는 보강결속브라켓을 스크류로써 결속함에 따라 메인브라켓을 복합적 방향에서 교량 측으로 견고하게 결속함에 따른 점검설비의 낙하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향하는 보강결속브라켓 사이에 해당되는 스크류에 인장스프링을 구비하여 보강결속브라켓 각각을 외측으로 탄성 지지함에 따라 스크류의 죄임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강결속브라켓과 교량 사이에 노출되는 앵커볼트에 인장스프링을 구비하여 보강결속브라켓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보강결속브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강결속브라켓의 양측에 완충블록을 덧된 후 각각의 완충블록에 보강결속브라켓을 이탈 방지되도록 완충 지지한 채, 보강결속브라켓 각각을 교량에 체결 고정함으로써 메인브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량(10)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100)는 발판조립체(110), 메인포스트(120), 메인브라켓(130) 및 보강결속부(200)를 포함한다.
발판조립체(110)는 교량(10) 특히 방호벽(30)의 외측에 구비되어 교량(10)의 하부의 점검을 위해 점검자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한다. 발판조립체(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교량(10)은 차도 또는 인도 등의 역할을 하는 상판(20), 및 차량의 주행 방향을 따라 상판(20)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방호벽(30)을 포함한다.
그리고, 발판조립체(110)는 방호벽(30)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어야 한다.
그래서, 메인포스트(120)와 메인브라켓(130)이 구비된다.
메인포스트(120)는 발판조립체(11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발판조립체(110)는 메인포스트(120)에 놓인 채 볼팅 등에 의해 메인포스트(120)에 고정 처리된다.
이때, 메인포스트(120)는 하나의 발판조립체(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 구비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메인포스트(120)는 하나의 발판조립체(110)를 지지하도록 한 개 구비될 수도 있다.
메인포스트(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경질의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점검자가 발판조립체(110)에서 낙하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메인포스트(120) 또는 발판조립체(110)는 복수 개의 서포트빔(122)을 세워지게 구비한다. 그리고, 이웃한 서포트빔(122)끼리는 가이드빔(124)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서포트빔(122)과 가이드빔(124)에 의해 안전난간이 형성된다.
한편, 하나의 발판조립체(110)를 지지 고정하는 복수 개의 메인포스트(120)는 전부 또는 일부가 메인브라켓(130)에 의해 교량(10) 중 상판(20)의 외측면(테두리) 또는 방호벽(30)의 외측면에 고정 연결된다.
편의상, 모든 메인포스트(120)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서포트빔(122)을 지지 고정하고, 타측에 메인브라켓(130)을 고정 연결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서포트빔(122)과 메인브라켓(130)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메인포스트(120)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도 3을 참조하여, 메인브라켓(13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로 적용되는 메인브라켓(130)은 메인플레이트(131), 제 1서포트윙(133) 및 제 2서포트윙(135)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메인플레이트(131)는 메인앵커(132)에 의해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제 1서포트윙(133)과 제 2서포트윙(135)은 메인플레이트(131)의 전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때, 제 1서포트윙(133)과 제 2서포트윙(135)은 메인플레이트(131)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고, 보강결속부(200)의 일부 구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제 1서포트윙(133)과 제 2서포트윙(135)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메인플레이트(131)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포스트(120)는 일차적으로 메인브라켓(130)에 의해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고정 설치된다. 그래서, 발판조립체(110)는 메인포스트(120)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교량(10)을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메인브라켓(130)이 메인앵커(132)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보강결속부(200)가 구비되어 메인브라켓(130)을 이차적으로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고정한다.
즉, 보강결속부(200)는 교량(10) 특히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대한 메인브라켓(130)의 구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메인브라켓(130)을 감싸거나 지지한 채 교량(10)에 결속된다.
본 실시예로, 보강결속부(200)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결속스크류부재(250), 제 1보강앵커부재(260) 및 제 2보강앵커부재(270)를 포함한다.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은 메인브라켓(130)의 일측에 일부가 접하게 구비된다. 아울러,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은 제 1서포트윙(133)의 일측(외측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은 대략 기역('ㄱ')자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은 메인플레이트(131)와 제 1서포트윙(133)에 동시에 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은 메인브라켓(130)의 타측에 일부가 접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은 제 2서포트윙(135)의 일측(외측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은 대략 기역('ㄱ')자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은 메인플레이트(131)와 제 2서포트윙(135)에 동시에 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결속스크류부재(250)는 제 1서포트윙(133)의 외측(상측)으로 돌출된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서포트윙(135)의 외측(상측)으로 돌출된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을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1보강앵커부재(260)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을 교량(10)의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은 제 1보강앵커부재(260)에 의해 메인브라켓(130)의 메인플레이트(131)를 교량(10)의 해당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아울러, 제 2보강앵커부재(270)는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을 교량(10)의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은 제 2보강앵커부재(270)에 의해 메인브라켓(130)의 메인플레이트(131)를 교량(10)의 해당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특히, 결속스크류부재(250)가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을 결속하는 바, 제 1서포트윙(133)은 제 2서포트윙(135) 측으로 변형되려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을 지지 고정하고, 제 2서포트윙(135)은 제 1서포트윙(133) 측으로 변형되려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을 지지 고정한다.
아울러,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은 제 1보강앵커부재(260)의 제 1앵커볼트(262)의 결속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1서포트윙(133)과 제 2서포트윙(135)을 가압함으로써, 메인브라켓(130)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벡터 방향으로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결속되는 힘이 작용한다.
즉, 메인브라켓(130)은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에 의해 복합 방향으로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다수 번 결속되는 힘이 작용함에 따라, 기존에 결속밴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다리(bridge) 측으로 수직한 방향으로만 결속력이 작용하는 것 대비 더욱 견고하게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결속된다.
그리고,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이 개별적으로 구비됨에 따라, 다양한 크기(너비)의 메인브라켓(130)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은 결속스크류부재(250)의 결속력이 집중 작용하는 부위가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려는 힘이 작용하는 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은 결속력이 작용하는 부위에 제 1보강엣지(222)를 구비하여 변형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되도록 하고,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은 결속력이 작용하는 부위에 제 2보강엣지(242)를 구비하여 변형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1보강엣지(222)와 제 2보강엣지(24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결속스크류부재(250)는 나사스크류(252) 및 죄임부재(254)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스크류(252)는 둘레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향하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에 걸쳐 삽입되고,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나사스크류(252)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헤드(253)를 형성하여, 헤드(253)가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의 일측 또는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의 일측에 접할 때까지 대향하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에 걸쳐 삽입된다.
이 후, 대향하는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의 일측 또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나사스크류(252)의 해당 부위는 죄임부재(254)가 나사 결합된다. 그래서, 헤드(253)와 죄임부재(254)가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을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결속한다.
물론, 나사스크류(252)가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 제 1서포트윙(133), 제 2서포트윙(135) 및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에 걸쳐 축 삽입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 1보강앵커부재(260)는 제 1앵커볼트(262) 및 제 1너트(2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앵커볼트(262)는 교량(10)의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고정 설치된 채 대응되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의 해당 부위에 축 삽입된다.
제 1너트(264)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의 외측(전측)으로 돌출된 제 1앵커볼트(262)의 해당 부위에 나사 결합된다. 그래서,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은 제 1앵커볼트(262)에 결속된다.
마찬가지로, 제 2보강앵커부재(270)는 제 2앵커볼트(272) 및 제 2너트(2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앵커볼트(272)는 교량(10)의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고정 설치된 채 대응되는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의 해당 부위에 축 삽입된다.
제 2너트(274)는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의 외측(전측)으로 돌출된 제 2앵커볼트(272)의 해당 부위에 나사 결합된다. 그래서,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은 제 2앵커볼트(272)에 결속된다.
결과적으로, 메인브라켓(130)이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앵커링 고정 설치된 후,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이 메인브라켓(130)을 설정 방향으로 가압한 채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앵커링 고정되며,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이 결속스크류부재(250)에 의해 서로 결속된다.
이로써, 메인브라켓(130)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벡터 방향으로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결속되는 힘이 작용하여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결속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교량(10)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100)는 발판조립체(110), 메인포스트(120), 메인브라켓(130) 및 보강결속부(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판조립체(110), 메인포스트(120) 및 메인브라켓(130)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그래서, 발판조립체(110), 메인포스트(120) 및 메인브라켓(13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아울러, 보강결속부(200)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결속스크류부재(250), 제 1보강앵커부재(260) 및 제 2보강앵커부재(270)를 포함한다.
이때,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결속스크류부재(250), 제 1보강앵커부재(260) 및 제 2보강앵커부재(270)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그래서,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결속스크류부재(250), 제 1보강앵커부재(260) 및 제 2보강앵커부재(27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보강결속부(200)는 제 1일측요철부(224), 제 1타측요철부(134), 제 2일측요철부(246), 제 2타측요철부(136), 상부인장탄성부재(256), 제 1하부인장탄성부재(266) 및 제 2하부인장탄성부재(276)를 포함한다.
제 1일측요철부(224)는 제 1서포트윙(133)을 향하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의 표면에 형성되고, 제 1타측요철부(134)는 제 1일측요철부(224)와 암수 걸림 결합되도록 제 1서포트윙(133)에 형성된다.
아울러, 제 2일측요철부(246)는 제 2서포트윙(135)을 향하는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의 표면에 형성되고, 제 2타측요철부(136)는 제 2일측요철부(246)와 암수 걸림 결합되도록 제 2서포트윙(135)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속스크류부재(250)가 대응되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이 서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결속된 상태에서,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은 제 1서포트윙(133)에 대한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호 결속력을 증가시키며 제 1서포트윙(133)에 대한 슬립의 발생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결속스크류부재(250)가 대응되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이 서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결속된 상태에서,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은 제 2서포트윙(135)에 대한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호 결속력을 증가시키며 제 2서포트윙(135)에 대한 슬립의 발생을 방지한다.
물론, 제 1일측요철부(224), 제 1타측요철부(134), 제 2일측요철부(246) 및 제 2타측요철부(13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부인장탄성부재(256)는 대향하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사이, 또는 대향하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사이에 해당되는 나사스크류(252)의 해당 부위에 구비되고, 인장력이 발생된다.
편의상, 상부인장탄성부재(256)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적용하여 나사스크류(252)를 축 삽입한다. 그리고, 상부인장탄성부재(256)는 대향하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인장탄성부재(256)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을 헤드(253)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을 죄임부재(254)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에 따라, 죄임부재(254)가 나사스크류(252)에서 임의적으로 나사 풀림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로써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이 메인브라켓(130)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하부인장탄성부재(266)는 교량(10) 특히 상판(20) 또는 방호벽(30)과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 사이에 노출되는 제 1앵커볼트(262)에 축 삽입되고, 인장력이 발생된다. 아울러, 제 2하부인장탄성부재(276)는 상판(20) 또는 방호벽(3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사이에 노출되는 제 2앵커볼트(272)에 축 삽입되고, 인장력이 발생된다.
이때, 제 1앵커볼트(262)는 메인플레이트(131)의 두께만큼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상판(20) 또는 방호벽(30) 사이로 노출되고, 제 2앵커볼트(272)는 메인플레이트(131)의 두께만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과 상판(20) 또는 방호벽(30) 사이로 노출된다.
따라서,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은 상부인장탄성부재(256)의 인장 탄성력이 작용하는 일측과 제 1하부인장탄성부재(266)의 인장 탄성력이 작용하는 타측이 수직되게 형성됨으로써 메인브라켓(1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은 상부인장탄성부재(256)의 인장 탄성력이 작용하는 일측과 제 2하부인장탄성부재(276)의 인장 탄성력이 작용하는 타측이 수직되게 형성됨으로써 메인브라켓(1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제 1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교량(10)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100)는 발판조립체(110), 메인포스트(120), 메인브라켓(130) 및 보강결속부(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판조립체(110), 메인포스트(120) 및 메인브라켓(130)은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그래서, 발판조립체(110), 메인포스트(120) 및 메인브라켓(13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아울러, 보강결속부(200)는 제 1완충블록(210),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 제 2완충블록(230),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제 1보강앵커부재(260) 및 제 2보강앵커부재(270)를 포함한다.
제 1완충블록(210)은 메인브라켓(130)의 일측에 포개져서 단순 면접하고, 제 1수용홈(212)을 형성하며, 완충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완충블록(230)은 메인브라켓(130)의 타측에 포개져서 단순 면접하고, 제 2수용홈(232)을 형성하며, 완충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은 제 1수용홈(212)에 일부가 수용되어, 제 1완충블록(210)에 완충 지지된다. 이때, 제 1완충블록(210)은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의 삽입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둘레면에 제 1절개홈(214)을 형성하여 제 1수용홈(212)을 일부 개방되게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은 제 2수용홈(232)에 일부가 수용되어, 제 2완충블록(230)에 완충 지지된다. 이때, 제 2완충블록(230)은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의 삽입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둘레면에 제 2절개홈(234)을 형성하여 제 2수용홈(232)을 일부 개방되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제 1완충블록(210)과 제 2완충블록(23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1보강앵커부재(260)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을 교량(10) 특히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결속하는 역할을 하고, 제 2보강앵커부재(270)는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을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1보강앵커부재(260)와 제 2보강앵커부재(270)는 제 1실시예에 기재된 구성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제 1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 1보강앵커부재(260)는 제 1하부인장탄성부재(266)를 구비할 수 있고, 제 2보강앵커부재(270)는 제 2하부인장탄성부재(276)를 구비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교량(10)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100)는 계단조립체(115), 메인포스트(120), 메인브라켓(130) 및 보강결속부(200)를 포함한다.
계단조립체(115)는 점검자가 교량(10)의 하부나 교각을 점검하기 위해 점검 위치로 걸어 내려갈 수 있도록 구비된다. 특히, 점검자가 교량(10) 위에서 계단조립체(115)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방호벽(30)은 계단조립체(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점검개방구(40)를 형성할 수 있다. 편의상, 계단조립체(115)는 개략적으로 일부만 도시한다.
그리고, 메인포스트(120)는 계단조립체(11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메인브라켓(130)은 메인포스트(120) 각각을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고정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메인브라켓(130)은 축 방향을 따라 메인포스트(120)의 일측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보강결속부(200)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결속스크류부재(250), 제 1보강앵커부재(260) 및 제 2보강앵커부재(270)를 포함한다.
이때,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결속스크류부재(250), 제 1보강앵커부재(260) 및 제 2보강앵커부재(270)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그래서,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결속스크류부재(250), 제 1보강앵커부재(260) 및 제 2보강앵커부재(27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보강결속부(200)는 제 1일측요철부(224) 및 제 2일측요철부(246)를 포함할 수 있다. 1일측요철부(224) 및 제 2일측요철부(246)는 제 2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교량(10)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100)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발판조립체(110), 메인포스트(120), 메인브라켓(130) 및 보강결속부(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판조립체(110), 메인포스트(120) 및 메인브라켓(130)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아울러, 보강결속부(200)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결속스크류부재(250), 제 1보강앵커부재(260) 및 제 2보강앵커부재(270)를 포함한다.
이때,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결속스크류부재(250), 제 1보강앵커부재(260) 및 제 2보강앵커부재(270)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그래서,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결속스크류부재(250), 제 1보강앵커부재(260) 및 제 2보강앵커부재(27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보강결속부(200)는 제 1하부인장탄성부재(266) 및 제 2하부인장탄성부재(27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하부인장탄성부재(266)는 교량(10) 특히 상판(20) 또는 방호벽(30)과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 사이에 노출되는 제 1앵커볼트(262)에 축 삽입되고, 인장력이 발생된다. 아울러, 제 2하부인장탄성부재(276)는 상판(20) 또는 방호벽(3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 사이에 노출되는 제 2앵커볼트(272)에 축 삽입되고, 인장력이 발생된다.
이때, 제 1앵커볼트(262)는 메인플레이트(131)의 두께만큼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상판(20) 또는 방호벽(30) 사이로 노출되고, 제 2앵커볼트(272)는 메인플레이트(131)의 두께만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과 상판(20) 또는 방호벽(30) 사이로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메인브라켓(130)이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앵커링 고정 설치된 후,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이 메인브라켓(130)을 설정 방향으로 가압한 채 상판(20) 또는 방호벽(30)에 앵커링 고정되며,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이 결속스크류부재(250)에 의해 서로 결속된다.
아울러, 제 1보강결속브라켓(220)은 제 1하부인장탄성부재(266)의 인장 탄성력이 작용함으로써 메인브라켓(1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제 2보강결속브라켓(240)은 제 2하부인장탄성부재(276)의 인장 탄성력이 작용함으로써 메인브라켓(1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교량 20: 상판
30: 방호벽 40: 점검개방구
100: 점검설비 110: 발판조립체
115: 계단조립체 120: 메인포스트
122: 서포트빔 124: 가이드빔
130: 메인브라켓 131: 메인플레이트
132: 메인앵커 133: 제 1서포트윙
124: 제 1타측요철부 135: 제 2서포트윙
136: 제 2타측요철부 200: 보강결속부
210: 제 1완충블록 212: 제 1수용홈
214: 제 1절개홈 220: 제 1보강결속브라켓
222: 제 1보강엣지 224: 제 1일측요철부
230: 제 2완충블록 232: 제 1수용홈
234: 제 2절개홈 240: 제 2보강결속브라켓
242: 제 2보강엣지 250: 결속스크류부재
252: 나사스크류 253: 헤드
254: 죄임부재 256: 상부인장탄성부재
260: 제 1보강앵커부재 262: 제 1앵커볼트
264: 제 1너트 266: 제 1하부인장탄성부재
270: 제 2보강앵커부재 272: 제 2앵커볼트
274: 제 2너트 276: 제 2하부인장탄성부재

Claims (7)

  1. 하나 이상의 메인포스트;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포스트의 일측에 고정되고, 교량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브라켓; 및 상기 교량에 대한 상기 메인브라켓의 구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브라켓을 감싸거나 지지한 채 상기 교량에 결속되는 보강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결속부는, 상기 메인브라켓의 일측에 접하는 제 1보강결속브라켓; 상기 메인브라켓의 타측에 접하는 제 2보강결속브라켓;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과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을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스크류부재;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을 상기 교량에 결속하는 제 1보강앵커부재; 및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을 상기 교량에 결속하는 제 2보강앵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보강앵커부재는 상기 교량과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을 연결하는 제 1앵커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보강앵커부재는 상기 교량과 제 2보강결속브라켓을 연결하는 제 2앵커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과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 사이에 노출되는 상기 제 1앵커볼트는 인장력이 발생되는 제 1하부인장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교량과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 사이에 노출되는 상기 제 2앵커볼트는 인장력이 발생되는 제 2하부인장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브라켓은, 상기 교량의 외측면에 결속되고,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와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을 지지하는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이 상기 결속스크류부재의 결속력에 의해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 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서포트윙;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이 상기 결속스크류부재의 결속력에 의해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 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서포트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은 상기 제 1서포트윙을 향하는 측면에 제 1일측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서포트윙은 상기 제 1일측요철부와 암수 결합되는 제 1타측요철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은 상기 제 2서포트윙을 향하는 측면에 제 2일측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서포트윙은 상기 제 2일측요철부와 암수 결합되는 제 2타측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
  5.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스크류부재는, 대향하는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과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에 걸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스크류; 및
    대향하는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과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 각각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나사스크류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나사 결합되는 죄임부재를 포함하고,
    대향하는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과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 사이, 또는 대향하는 상기 제 1보강결속브라켓과 상기 제 2보강결속브라켓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나사스크류의 해당 부위는 인장력이 발생되는 상부인장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
  6. 삭제
  7. 삭제
KR1020230059187A 2023-05-08 2023-05-08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 KR10257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187A KR102575490B1 (ko) 2023-05-08 2023-05-08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187A KR102575490B1 (ko) 2023-05-08 2023-05-08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490B1 true KR102575490B1 (ko) 2023-09-07

Family

ID=8797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187A KR102575490B1 (ko) 2023-05-08 2023-05-08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4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216A (ko) * 2016-09-08 2018-03-16 김종희 절곡빔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KR101967278B1 (ko) * 2018-05-31 2019-06-04 다산기업 주식회사 교량 점검 시설의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 시설 시공 방법
KR200491809Y1 (ko) * 2019-02-14 2020-06-09 진효순 교량 점검통로
KR102168881B1 (ko) * 2019-08-29 2020-10-22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KR102310827B1 (ko) * 2020-08-26 2021-10-12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응력 분산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 점검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216A (ko) * 2016-09-08 2018-03-16 김종희 절곡빔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KR101967278B1 (ko) * 2018-05-31 2019-06-04 다산기업 주식회사 교량 점검 시설의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 시설 시공 방법
KR200491809Y1 (ko) * 2019-02-14 2020-06-09 진효순 교량 점검통로
KR102168881B1 (ko) * 2019-08-29 2020-10-22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KR102310827B1 (ko) * 2020-08-26 2021-10-12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응력 분산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 점검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0041B1 (en) Hold down bracket
US6931804B2 (en) Prefabricated shearwall having improv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KR100888941B1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US5809713A (en) Structural elements
KR101353753B1 (ko) 교량 및 도로의 가설인도
KR102080492B1 (ko)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KR102168881B1 (ko)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KR101692488B1 (ko) 거더 하면에 보강재가 형성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시공방법
CA2280974C (en) Pre-cast concrete decking for load supporting structures
JP4669464B2 (ja) 歩道用上部構造および歩道用上部構造の構築方法
KR102575490B1 (ko) 교량용 보강결속형 점검설비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102347886B1 (ko) 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KR10056665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중간 지점부 연속화구조 및 연속화 방법
KR102405028B1 (ko) 강합성 연속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712430B1 (ko) 빔-슬래브패널 결합구조
KR100903442B1 (ko) 안전 난간의 지지 구조물
KR20090054511A (ko)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101989007B1 (ko) 비부착 듀얼 텐던을 이용한 단부 절취형 거더
KR20230017687A (ko)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KR20060003972A (ko)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을 이용한 보 및 거더 보강방법 및그에 사용되는 장치
JP3843413B2 (ja) 溝蓋とその固定構造、横架基材、及び受け枠
JP2528435B2 (ja) 平行に架設した桁材を有する構造物におけるプレストレス導入補強構造
JP2615842B2 (ja) 合成床板
JP7010709B2 (ja) プレハブ構造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