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840B1 -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840B1
KR102573840B1 KR1020210187032A KR20210187032A KR102573840B1 KR 102573840 B1 KR102573840 B1 KR 102573840B1 KR 1020210187032 A KR1020210187032 A KR 1020210187032A KR 20210187032 A KR20210187032 A KR 20210187032A KR 102573840 B1 KR102573840 B1 KR 102573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core
carrier tray
resin
wash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7490A (ko
Inventor
김재석
김진영
이재식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7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8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97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3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6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 B08B7/0071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by hea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Abstract

본 발명은 라미나 부재들을 접착시켜서 적층코어를 제조하는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적층코어를 형성하는 적층코어 형성단계와, 캐리어 트레이에 적층코어를 안착하는 적층코어 안착단계와, 상기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자석을 삽입하는 자석 삽입단계와, 상기 자석이 삽입된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충진하는 수지 충진단계와, 수지가 충진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충진된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그리고 상기 캐리어 트레이에서 상기 적층코어를 분리시킨 후 상기 캐리어 트레이를 세척하는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으로,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충진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캐리어 트레이를 세척하는 공정을 추가하여 적층코어의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코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LAMINATED CORE}
본 발명은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미나 부재들을 접착시켜서 적층코어를 제조하는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전기 에너지로부터 회전력을 얻는 기계 장치로서,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or)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는 고정자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며, 자기장과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작용하는 힘으로 회전한다.
상기 고정자는 모터 등과 같은 회전기기에서 정지한 부분 즉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부분을 말한다. 일 예로, 유도기의 경우에 상기 고정자는 고정자 코어와 고정자 권선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자와 고정자는 금속 박판인 라미나(Lamina) 부재를 여러 겹으로 적층한 후 일체화하여 제작된 적층코어(Laminated Cor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으로는 여러 겹으로 적층된 라미나 부재를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웰딩 고정법 또는 리벳 고정법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웰딩 고정법에 의해 적층된 라미나 부재를 일체화할 경우에는 용접 열에 의해 라미나 부재가 열변형을 일으켜 물성을 변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근래에는 상기 적층코어의 단위 박판인 라미나 부재들을 접착제로 상호 접착해서 일체화하는 접착 고정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3021호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304037호에 상기 접착 고정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중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304037호를 참조하면, 모터 코어 제조용 소재인 강판은 이송 롤러에 의해 제1 프레스 성형기와 제2 프레스 성형기로 공급되며, 상기 제1프레스 성형기를 통과하기 전에 도포 롤러와 노즐에 의해 상기 강판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그리고, 소재의 블랭킹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스 성형기와 제2 프레스 성형기의 내부 공간에 순차적으로 쌓이는 라미나 부재는, 상기 접착제에 의해 일체화되고 이를 통해 접착식 적층 코어가 제조된다. 이러한 종래의 접착식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레이저 용접에 비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강판이 박판화에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접착식 적층코어 제조방법을 적요할 경우에는 라미나 부재를 적층한 후 가열하여 접착제를 1차적으로 경화해야 하고, 이후 적층코어에 자석을 고정하기 위하여 수지를 주입한 후 2차적으로 다시 경화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복잡해지고 다수의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적층코어에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충진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캐리어 트레이는 일정 횟수 이상 사용하게 되면 상기 캐리어 트레이에 잔류 수지가 발생하여 적층코어의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3021호(1996.01.26)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304037호(1993.11.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충진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캐리어 트레이를 세척하는 공정을 추가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과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할 수 있는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은,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적층코어를 형성하는 적층코어 형성단계; 캐리어 트레이에 적층코어를 안착하는 적층코어 안착단계; 상기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자석을 삽입하는 자석 삽입단계; 상기 자석이 삽입된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충진하는 수지 충진단계; 수지가 충진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충진된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및 상기 캐리어 트레이에서 상기 적층코어를 분리시킨 후 상기 캐리어 트레이를 세척하는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는, 하부 세척지그의 상부에 세척제를 배치하는 제1 세척제 배치단계; 상기 캐리어 트레이를 세척제가 배치된 상기 하부 세척지그의 상부에 배치하는 캐리어 트레이 배치단계; 상기 캐리어 트레이의 상부에 세척제를 배치하는 제2 세척제 배치단계; 상기 캐리어 트레이의 상부에 상부 세척지그를 배치하는 상부 세척지그 배치단계; 및 상기 상부 세척지그와 상기 하부 세척지그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면서 일정 시간 이상 가압하여 세척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는, 상기 세척단계에서의 가열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상기 하부 세척지그를 예열하면서 상기 제1 세척제 배치단계에서 상부 세척지그 배치단계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 제조방법은 상기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 후 상기 캐리어 트레이를 왁싱하는 캐리어 트레이 왁싱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 트레이 왁싱단계는, 하부 세척지그의 상부에 왁스를 배치하는 제1 왁스 배치단계; 상기 캐리어 트레이를 왁스가 배치된 상기 하부 세척지그의 상부에 배치하는 캐리어 트레이 배치단계; 상기 캐리어 트레이의 상부에 왁스를 배치하는 제2 왁스 배치단계; 상기 캐리어 트레이의 상부에 상부 세척지그를 배치하는 상부 세척지그 배치단계; 및 상기 상부 세척지그와 상기 하부 세척지그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면서 일정 시간 이상 가압하여 왁싱하는 왁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트레이 왁싱단계는, 상기 왁싱단계에서의 가열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상기 하부 세척지그를 예열하면서 상기 제1 왁스 배치단계에서 상부 세척지그 배치단계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층코어 형성단계는,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박판을 통과시키면서 블랭킹하여 소정 형상의 라미나 부재를 순차적으로 형성 후 적층하되, 상기 접착층을 가열 경화하지 않고 상기 라미나 부재를 적층한 적층코어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경화단계는, 수지가 충진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상기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을 경화시켜 적층코어를 일체화하면서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지 충진단계는, 상기 적층코어가 안착되고, 상기 자석 삽입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상기 캐리어 트레이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하는 캐리어 트레이 안착단계;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으로 상기 적층코어를 가압하는 코어 가압단계; 및 상기 하부금형에 구비된 수지 공급부로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충진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캐리어 트레이를 세척하는 공정을 추가하여 적층코어의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 트레이를 세척하는 공정을 추가하여 적층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가 충진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상기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을 경화시켜 적층코어를 일체화하면서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서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서 캐리어 트레이 왁싱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서 수지 충진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서 경화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서 적층코어 형성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 형성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코어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코어금형에서 제작된 적층코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어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코어금형에서 제작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와 캐리어 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수지충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수지충진장치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수지충진장치에서 중심베이스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수지충진장치에서 수지 공급부가 동작하여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주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서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에서 사용되는 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서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에서 사용되는 지그를 가압하는 프레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상기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서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 및 캐리어 트레이 왁싱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상기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서 수지 충진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은 상기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서 경화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6는 상기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서 적층코어 형성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7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 형성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코어금형과 그에 의해 제작된 적층코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어금형과 그에 의해 제작된 적층코어와 캐리어 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5은 상기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수지충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에서 사용되는 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17은 상기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에서 사용되는 지그를 가압하는 프레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은 라미나 부재(L)를 적층하여 적층코어(C)를 형성하는 적층코어 형성단계(S100)와, 캐리어 트레이(120)에 적층코어(C)를 안착하는 적층코어 안착단계(S200)와, 적층코어(C)의 자석 삽입홀(C1)에 자석(M)을 삽입하는 자석 삽입단계(S200)와, 상기 자석 삽입홀(C1)에 수지를 충진하는 수지 충진단계(S400)와, 충진된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S500)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에서 적층코어(C)를 분리시킨 후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를 세척하는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S600), 그리고 세척된 캐리어 트레이(120)를 왁싱하는 캐리어 트레이 왁싱단계(S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층코어 형성단계(S100)는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박판(S)을 통과시키면서 블랭킹하여 소정 형상의 라미나 부재(L)를 순차적으로 형성 후 적층하되, 상기 접착층을 가열 경화하지 않고 상기 라미나 부재(L)를 적층한 적층코어(C)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화단계(S500)는 수지가 충진된 적층코어(C)를 가열하여, 상기 라미나 부재(L)의 접착층을 경화시켜 적층코어(C)를 일체화하면서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하도록 이루어진다.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박판을 라미나 부재로 형성 후 적층하여 적층코어를 제조하는 종래의 적층코어 제조방법은 코어금형에서 라미나 부재를 제작한 후 적층하여 적층코어를 형성하고, 코어금형에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접착층을 경화시켜서 라미나 부재를 일체화하여 적층코어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자석을 삽입한 후 자석을 고정하기 위하여 수지를 충진하고, 다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수지를 경화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적층코어 제조방법은 경화를 두 번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복잡해지고, 다수의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적층코어에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코어금형에 가열장치와 냉각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코어금형의 제조비용과 유지 및 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코어금형에서 경화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적층코어에 수지를 충진한 이후에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을 경화시켜 적층코어를 일체화하면서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하는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화단계(S500) 이후에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에서 상기 적층코어(C)를 분리시킨 후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는 다시 상기 적층코어 안착단계(S200)에서 적층코어(C)를 안착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는 상기 수지 충진단계(S400)에서 상기 적층코어(C)에 수지를 충진하는 과정에서 수지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를 통과해 공급되므로,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에 수지가 잔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는 적어도 일회 이상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S600)에서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를 세척하고, 상기 캐리어 트레이 왁싱단계(S700)에서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를 왁싱한 후에 사용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적층코어 형성단계(S100)는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박판(S)을 통과시키면서 소정 형상의 라미나 부재(L)를 순차적으로 형성 후 적층하여 적층코어(C)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일 예로, 상기 적층코어 형성단계(S101)는 라미나 부재 제조단계(S111~S131)와, 라미나 부재 일체화단계(S141~S1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라미나 부재 제조단계(S111~S131)는 상기 박판(S)을 블랭킹(blanking)하여 공통의 천공과 엠보싱(L1)이 형성된 라미나 부재(L)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라미나 부재 일체화단계(S141~S151)는 상기 라미나 부재(L)를 적층 및 가압하여 상기 적층코어(C)를 이루도록 복수의 라미나 부재(L)를 체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예에 의한 상기 적층코어 형성단계(S101)는 코어금형(10)을 이용하여 상기 박판(S)에 공통의 천공을 형성(S111)하고, 상기 박판(S)에 엠보 관통홀(L2) 또는 엠보싱(L1)을 형성(S121)하고, 엠보 관통홀(L2) 또는 엠보싱(L1)이 형성된 박판(S)을 블랭킹하여 라미나 부재(L)를 제조(S131)하고,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L)를 적층(S141)한 후 적층된 라미나 부재(L)를 가압하여 상기 라미나 부재(L)에 형성된 엠보싱(L1)에 의해 복수의 라미나 부재(L)가 끼움 체결되면서 일체화(S151)되어 적층코어(C)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상기 코어금형(10)은, 슬롯 펀치(13)와, 엠보 관통홀 펀치(14)와, 샤프트홀 펀치(15)와, 엠보싱 펀치(16), 그리고 블랭킹부(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엠보 관통홀 펀치(14)는 상기 코어금형(10)에서 적층코어(C)들 간을 분할하는 유닛으로 기능한다.
상기 코어금형(10)은 프레스 기반의 장치로서, 상형(11)과 하형(12)으로 분할되며, 상기 상형(11)에는 상기 박판(S)를 가압해서 스탬핑이나 엠보싱 또는 블랭킹하는 펀치들(13, 14, 15, 16, 17)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형(12)에는 상기 펀치들에 대응되는 펀치 홀(13a, 14a, 15a, 16a, 17a)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라미나 부재(L)들의 적층 및 결합을 위한 적층배럴(180)이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롯 펀치(13)와 상기 샤프트홀 펀치(15)는 상기 박판(S)에 공통의 천공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엠보 관통홀 펀치(14)는 상기 박판(S)에 엠보 관통홀(L2)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엠보싱 펀치(16)는 상기 박판(S)에 엠보싱(L1)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블랭킹부(17)는 상기 상형(11)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12)에는 상기 블랭킹부(17)와 마주하는 블랭킹 홀(17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블랭킹부(17)에 의해 상기 박판(S)에서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L)는 상기 적층배럴(18)에 삽입되어 적층된다.
그리고, 일 예에 의한 상기 라미나 부재 제조단계(101)는 상기 적층코어(C)를 이루는 첫번째 라미나 부재(L)에는 상기 엠보싱(L1)이 형성되는 위치에 상기 엠보싱(L1)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엠보싱(L1)이 삽입되는 엠보 관통홀(L2)을 형성한다. 이는, 상기 적층배럴(18)에서 적층되는 복수의 적층코어(C)를 서로 분할하기 위해 공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엠보 관통홀(L2)은 모든 라미나 부재(L)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적층코어(C)를 이루기 위한 첫번째 라미나 부재에 상기 엠보싱(L1)이 형성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엠보 관통홀(L2)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후 적층되는 라미나 부재에는 엠보 관통홀(L2)을 형성하지 않고, 그 위치에 엠보싱(L1)을 형성하고, 첫번째 라미나 부재의 상기 엠보 관통홀(L2)에 상기 엠보싱(L1)이 끼움 체결된다. 이후 적층되는 라미나 부재는 각각의 엠보싱(L1)에 끼움 체결되어 일체화된다.
그리고, 하나의 적층코어(C)가 일체화되면, 다시 라미나 부재에 엠보 관통홀(L2)을 형성하여 새로운 적층코어(C)를 일체화할 수 있다. 이때, 라미나 부재에 엠보 관통홀(L2)이 형성되면 하측에 배치되는 라미나 부재와는 끼움 체결되지 않으므로, 일체화된 어느 하나의 적층코어(C)와 이후 적층되는 다른 적층코어(C)를 분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라미나 부재를 일체화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적층배럴(18)에서 라미나 부재를 가열하지 않고 일체화시킬 수 있다면 종래의 어떠한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예로, 적층코어 형성단계(S102)는 상기 박판(S)에 공통의 천공을 형성(S112)한 후, 공통의 천공이 형성된 박판(S)을 블랭킹하여 라미나 부재(L)를 순차적으로 형성(S122)하는 라미나 부재 제조단계와, 적층코어(C)를 이루도록 캐리어 트레이(120)에 상기 라미나 부재(L)를 적층하는 라미나 부재 적층단계(S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다른 예에 의한 적층코어 형성단계(S102)는 적층배럴(18)에 구비된 적층코어 이송부(19)에 캐리어 트레이(120)를 미리 배치한 후 상기 블랭킹부(17)를 통하여 블랭킹되는 라미나 부재(L)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에 바로 적층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캐리어 트레이에 하나의 적층코어를 이루도록 라미나 부재(L)가 적층되면, 새로운 캐리어 트레이를 배치하여 다시 하나의 적층코어를 적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캐리어 트레이(120)에 복수의 라미나 부재(L)가 적층된 상태 그대로 수지충진장치(100)에 배치하여 수지를 충진하고, 수지가 충진된 적층코어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에 그대로 배치된 상태로 경화장치(미도시)에 배치되어 경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별도의 엠보싱을 제조하는 공정과 적층배럴(18)에서 적층된 라미나 부재(L)를 가압하여 일체화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자석 삽입단계(S200)는 캐리어 트레이(120)에 적층코어(C)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코어(C)의 자석 삽입홀(C1)에 자석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수지 충진단계(S400)는 상기 자석(M)이 삽입된 적층코어(C)의 자석 삽입홀(C1)에 수지를 충진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충진단계(S400)는 상기 적층코어(C)가 안착되고 상기 자석 삽입홀(C1)과 연통되는 연통홀(123)이 형성된 캐리어 트레이(120)를 상부금형(200)과 하부금형(400) 사이에 배치하는 캐리어 트레이 안착단계(S410)와,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으로 상기 적층코어(C)를 가압하는 코어 가압단계(S420),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400)에 구비된 수지 공급부(410)로 상기 연통홀(123)을 통하여 상기 자석 삽입홀(C1)에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단계(S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지 충진단계(S400)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수지충진장치(10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을 참조하면 상기 수지충진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수지충진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 상부금형(200)과, 상기 상부금형(200)과 마주보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 하부금형(400)과,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 사이에 배치되는 중심베이스(300), 그리고 상기 적층코어(C)의 자석 삽입홀(C1)에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공급부(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기 수지충진장치(10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이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프레스 장비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금형(200)와 상기 하부금형(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금형(2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200)은 상기 적층코어(C)의 자석 삽입홀(C1)에 수지를 주입하는 동안 상기 적층코어(C)의 상측면을 가압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하부금형(400)은 상기 상부금형(200)과 마주보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400)은 상기 적층코어(C)의 자석 삽입홀(C1)에 수지를 주입하는 동안 상기 적층코어(C)의 상측면이 상기 상부금형(200)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를 가압하도록 제공된다.
즉,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 상에 배치된 적층코어(C)를 양면에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자석 삽입홀(C1)에 수지를 주입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중심베이스(300)는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중심베이스(300)는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가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둘레를 따라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금형(20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복수의 가이드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하측면이 상기 하부금형(400)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200)이 하측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하부금형(40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부(320)가 상기 상부금형(200)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측면이 상기 상부금형(200)에 접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심베이스(300)는 상측면이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금형(200)과 접촉하고, 하측면이 선택적으로 상기 하부금형(4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에 배치된 적층코어(C)가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중심이 관통되는 관통홀(311)이 형성되어, 상기 수지 공급부(410)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홀(311)을 통하여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의 하측면이 노출되고, 상기 관통홀(311)에 삽입된 상기 수지 공급부(410)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의 하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수지 공급부(410)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의 연통홀(123)을 관통하여서 상기 적층코어(C)의 자석 삽입홀(C1)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는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를 위치 고정하는 클램프(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3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안착된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를 상기 관통홀(311)의 상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의 연통홀(123)이 상기 수지 공급부(4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의 체결 위치도 상기 클램프(33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는 복수의 자석 삽입홀(C1)에 자석(M)이 삽입된 적층코어(C)가 배치되고, 상기 중심베이스(300)에 안착되며, 상기 자석 삽입홀(C1)과 연통되는 연통홀(123)이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는 상기 적층코어(C)가 안착되는 플레이트부(121)와, 상기 플레이트부(121)의 중심에서 돌출되고 상기 적층코어(C)의 중심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기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121)에는 상기 수지 공급부(410)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유동하도록 연통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통홀(123)은 상기 적층코어(C)에 형성된 복수의 자석 삽입홀(C1)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상기 연통홀(123)을 통하여 주입되는 수지는 하나의 자석 삽입홀(C1)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통홀(123)은 두께 방향으로 갈 수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통홀(123)에서 직경이 큰 부분이 상기 수지 공급부(410)와 연결되고, 상기 연통홀(123)에서 직경이 작은 부분이 상기 자석 삽입홀(C1)과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122)와 상기 적층코어(C)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돌기(미도시), 다른 하나에는 슬릿(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122)에 삽입되는 상기 적층코어(C)의 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층코어(C)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에 배치될 때, 상기 적층코어(C)에 형성된 자석 삽입홀(C1)이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에 형성된 연통홀(123) 상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122)와 상기 적층코어(C)의 관통홀에 가이드돌기와 슬릿을 형성하여 상기 연통홀(123) 상에 상기 자석 삽입홀(C1)이 위치하도록 상기 적층코어(C)를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에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지 공급부(410)는 상기 하부금형(400)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C)가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홀(123)을 통하여 상기 자석 삽입홀(C1)에 수지를 주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지 공급부(410)는 수지가 배치되는 수지공급 포트(411)와, 상기 수지공급 포트(411)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용융된 수지를 가압하여 상기 자석 삽입홀(C1)에 주입하는 수지공급 피스톤(412), 그리고 상기 수지공급 피스톤(41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지공급 액추에이터(4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지는 일 예로, EMC(Epoxy Molding Compound)를 사용할 수 있고, 블록 형태의 EMC를 상기 수지공급 포트(411)에 삽입한 후 가열하여 용융 시킨 후 주입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수지공급 포트(411)에 블록 형태의 수지(BS)를 삽입하고, 상기 중심베이스(300)의 양측에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을 접촉시켜 상기 적층코어(C)를 가압한 후 상기 수지공급 포트(411)를 가열하여 수지를 용융 시킨 후 상기 수지공급 액추에이터(413)가 상기 수지공급 피스톤(412)을 이동시켜 용융된 수지를 상기 자석 삽입홀(C1)에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용융된 수지가 응고되지 않고 상기 적층코어(C)의 자석 삽입홀(C1)에 완전히 충진될 수 있도록 수지가 충진되는 동안 상기 상부금형(200)과 하부금형(400)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유지하는 가열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지 공급부(410)는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의 연통홀(123)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지 공급부(410)는 복수로 마련되고, 하나의 수지 공급부(410)가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의 연통홀(123)에 수지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지충진장치(100)에 의해 적층코어(C)의 자석 삽입홀(C1)에 수지를 주입하여 자석(M)을 고정하는 동작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캐리어 트레이(120)에 적층코어(C)를 배치하고, 상기 적층코어(C)의 자석 삽입홀(C1)에 자석(M)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자석 삽입홀(C1)은 캐리어 트레이(120)의 연통홀(123)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에 자석(M)이 삽입된 적층코어(C)가 배치된 상태에서 함께 예열된 후 상기 적층코어가 배치된 캐리어 트레이(120)를 중심베이스(300)에 안착한다.
그리고, 상부금형(200)과 하부금형(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중심베이스(300)의 양면에 밀착하여 상기 적층코어(C)를 가압한다.
일 예로, 하부금형(40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심베이스(300)의 하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수지 공급부(410)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금형(400)과 상기 중심베이스(300)의 결합 위치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금형(400)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돌기(401)가 상기 중심베이스(300)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312)에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의 연통홀(123)과 상기 수지 공급부(410)의 위치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금형(400)에 형성된 제2 가이드 돌기(402)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에 형성된 제2 가이드 홈(124)에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금형(200) 또는 하부금형(400)이 추가로 이동하여 상기 중심베이스(300)의 상측면에 상부금형(200)이 접촉한다.
이때,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중심베이스(300)의 결합 위치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금형(400)에 형성된 제3 가이드 돌기(403)가 상기 상부금형(200)에 형성된 제3 가이드 홈(201)에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지 공급부(410)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의 하측면에 밀착하여 상기 연통홀(123)과 연통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코어 가압부(210)가 상기 적층코어(C)의 상측면에 밀착되어 일정 압력으로 적층코어(C)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지 공급부(410)를 동작시켜 용융된 수지를 상기 연통홀(123)을 통하여 상기 자석 삽입홀(C1)에 주입한다.
그리고, 수지 주입 완료 후 수지가 경화되는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중심베이스(300)로부터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을 이격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자석 삽입홀(C1)에 공급되고 남은 잔류 수지는 상기 수지 공급부(410) 상에 잔존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금형(400)과 상기 중심베이스(30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잔류 수지는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 측에 잔류하지 않고, 모두 상기 수지 공급부(410) 상에 잔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에서 적층코어(C)를 분리하면 별도의 잔류 수지 제거 작업 없이 자석 삽입홀(C1)에 자석이 고정된 상태의 적층코어(C)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코어 가압단계(S420)는 상기 적층코어의 상측면을 전체적으로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지충진장치(100)는 상기 상부금형(200)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C)의 상측면을 가압하는 코어 가압부(2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중심베이스(300)의 하측면이 상기 하부금형(400)에 접촉하여 지지되고, 상측면이 상부금형(200)에 접촉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가압부(210)는 상기 적층코어(C)의 상측면에 밀착되어 적층코어(C)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일 예로, 상기 코어 가압부(210)는 상기 적층코어(C)의 상측면과 접촉하는 가압 플레이트(211)와, 상기 상부금형(200)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를 이동시켜 상기 적층코어(C)를 가압하는 가압 액추에이터(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는 복수로 마련되고, 적어도 같거나 서로 다르게 동작하여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적층코어(C)는 복수의 판재가 적층되어 제작된 것으로 제작 과정 또는 판재의 두께 편차 등에 의해 상기 적층코어(C)의 높이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 가압부(210)가 접촉하는 상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어 가압부(210)가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적층코어(C)의 경사진 상측면의 높은 부분이 우선적으로 상기 코어 가압부(210)와 접촉하여 가압되므로, 상기 적층코어(C)에 전체적으로 다른 가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적층코어(C)의 경사진 상측면의 높은 부분은 우선적으로 가압되면서 상대적으로 큰 가압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적층코어(C)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적층코어(C)의 경사진 상측면에서 낮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작은 가압력이 인가되어, 상기 적층코어(C)는 전체적으로 불균일한 가압력이 인가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지충진장치(100)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복수의 가압 액추에이터(212)를 구비하였고, 적어도 같거나 서로 다른 가압력으로 가압 플레이트(211)를 가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는 4개로 마련되어 상기 적층코어(C)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적층코어(C)의 상측면을 4 포인트에서 서로 다르게 동작하여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는 4개로 마련되고, 상기 적층코어(C)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는 4개가 동일한 변위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는 부분적으로 상기 적층코어(C)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 각각은 압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 각각이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를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가 상기 적층코어(C)를 전체적으로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경화단계(S500)는 수지가 충진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상기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을 경화시켜 적층코어를 일체화하면서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코어금형에서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적층코어에 수지를 충진한 이후에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을 경화시켜 적층코어를 일체화하면서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단계(S500)는 수지가 충진된 적층코어를 가압하는 가압단계(S510)와, 가압된 적층코어를 가열하는 가열단계(S520), 그리고 가열된 적층코어를 냉각하는 냉각단계(S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단계(S510)는 수지가 충진된 적층코어를 프레스 장치 또는 별도의 지그 장치 등에 배치하여, 상기 적층코어를 1~15MPa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적층코어를 가압하는 압력은 일 예에 해당하고, 적층코어의 적층 두께, 크기, 라미나 부재의 두께 등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압단계(S510)는 라미나 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이 이후 가열단계(S520)에서 녹는 경우에 라미나 부재 간에 공극이 없이 밀착시키는 공정이다.
그리고, 상기 가압단계(S510)에서는 적층코어의 양측면 또는 상기 적층코어를 가압하는 장치에서 상기 적층코어의 양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이형제를 도포하여 상기 적층코어가 접착제에 의해 가압하는 장치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층코어의 양측면에 이형필름을 배치하거나, 상기 적층코어의 양측면에 있는 접착층을 제거한 후 가압하는 장치에 의해 가압될 수도 있다.
상기 가열단계(S520)는 가압된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로(미도시)에 장입하여 110~210℃의 온도범위에서 120~230초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적층코어의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은 일 예에 해당하고, 접착층의 소재와 충진 수지의 소재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로는 유도가열 방식으로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하거나 히터 등을 통하여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할 수 있다. 즉, 가열로는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할 수 있다면 어떠한 가열장치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S530)는 가열된 상기 적층코어를 냉각하는 단계이다.
일 예로, 상기 냉각단계(S530)는 가열된 상기 적층코어에 에어, 냉각가스 또는 냉각수 등을 분사하여 고속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열로에 냉각유로를 구비하여 상기 가열로 내에서 냉각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경화단계(S500)는 별도의 가압 장치와 가열장치, 냉각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수지충진장치(100)에서 수지를 충진함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단계(S510)는 상기 수지 충진단계(S400)에서 적층 코어를 가압하는 코어 가압단계(S420)와 동일하게 상부금형(200)과 하부금형(40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단계(S520)는 상기 상부금형(200)과 하부금형(400)에 구비되어 금형을 가열하는 가열장치에 의해 가압된 적층코어를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단계(S530)는 상기 상부금형(200)과 하부금형(400)을 냉각하여 간접적으로 가열된 적층코어를 냉각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별도의 가압 장치와 가열장치, 냉각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수지충진장치(100)에서 수지 충진 후 연속적으로 경화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수지충진 후 경화를 위하여 적층코어를 이동해야 하는 별도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S600)는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에서 상기 적층코어(C)를 분리시킨 후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를 세척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S600)는, 도 2,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하부 세척지그(510)의 상부에 세척제(551)를 배치하는 제1 세척제 배치단계(S610)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를 세척제(551)가 배치된 상기 하부 세척지그(510)의 상부에 배치하는 캐리어 트레이 배치단계(S620)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의 상부에 세척제(551)를 배치하는 제2 세척제 배치단계(S630)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의 상부에 상부 세척지그(520)를 배치하는 상부 세척지그 배치단계(S640), 그리고 상기 상부 세척지그(520)와 상기 하부 세척지그(510)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면서 일정 시간 이상 가압하여 세척하는 세척단계(S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척단계(S650)는 상기 세척제(551)가 용융될 수 있도록 가열하면서, 8~12분 동안 프레스 장치(540)에서 가압하여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를 세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스 장치(540)에 가열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가열하면서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S600)는 상기 세척단계(S650)에서의 가열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상기 하부 세척지그(510)를 예열하면서 상기 제1 세척제 배치단계(S610)에서 상부 세척지그 배치단계(S640)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 세척지그 배치단계(S640)를 완료한 이후에 상기 상부 세척지그(520)와 상기 하부 세척지그(510)가 함께 예열장치(5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예열된 후 상기 세척단계(S650)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캐리어 트레이 왁싱단계(S700)는 상기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S600) 이후에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를 왁싱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리어 트레이 왁싱단계(S700)는, 도 3,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하부 세척지그(510)의 상부에 왁스(552)를 배치하는 제1 왁스 배치단계(S710)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를 왁스(552)가 배치된 상기 하부 세척지그(510)의 상부에 배치하는 캐리어 트레이 배치단계(S720)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의 상부에 왁스(552)를 배치하는 제2 왁스 배치단계(S730)와,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의 상부에 상부 세척지그(520)를 배치하는 상부 세척지그 배치단계(S740), 그리고 상기 상부 세척지그(520)와 상기 하부 세척지그(510)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면서 일정 시간 이상 가압하여 왁싱하는 왁싱단계(S7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왁싱단계(S750)는 상기 왁스(552)가 용융될 수 있도록 가열하면서, 8~12분 동안 프레스 장치(540)에서 가압하여 상기 캐리어 트레이(120)를 왁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스 장치(540)에 가열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가열하면서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트레이 왁싱단계(S700)는 상기 왁싱단계(S750)에서의 가열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상기 하부 세척지그(510)를 예열하면서 상기 제1 왁스 배치단계(S710)에서 상부 세척지그 배치단계(S740)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 세척지그 배치단계(S740)를 완료한 이후에 상기 상부 세척지그(520)와 상기 하부 세척지그(510)가 함께 예열장치(5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예열된 후 상기 왁싱단계(S750)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코어금형에서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적층코어에 수지 충진을 완료한 후에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을 경화시켜 적층코어를 일체화하면서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경화단계 이후에 캐리어 트레이에 잔류 수지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리어 트레이를 세척한 후 왁싱하는 공정을 추가여 적층코어의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적층코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S : 박판 L : 라미나 부재
C : 적층코어 M : 자석
10 : 코어금형 13 : 슬롯 펀치
14 : 엠보 관통홀 펀치 15 : 샤프트홀 펀치
16 : 엠보싱 펀치 17 : 블랭킹부
18 : 적층배럴 19 : 적층코어 이송부
100 : 수지충진장치 110 : 베이스 프레임
120 : 캐리어 트레이 200 : 상부금형
210 : 코어 가압부 300 : 중심베이스
310 : 베이스 플레이트 320 : 가이드부
330 : 클램프 400 : 하부금형
410 : 수지 공급부 510 : 하부 세척지그
520 : 상부 세척지그 530 : 예열장치
540 : 프레스 장치 551 : 세척제
552 : 왁스

Claims (9)

  1.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적층코어를 형성하는 적층코어 형성단계;
    캐리어 트레이에 적층코어를 안착하는 적층코어 안착단계;
    상기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자석을 삽입하는 자석 삽입단계;
    상기 자석이 삽입된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충진하는 수지 충진단계;
    수지가 충진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충진된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및
    상기 캐리어 트레이에서 상기 적층코어를 분리시킨 후 상기 캐리어 트레이를 세척하는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는,
    하부 세척지그의 상부에 세척제를 배치하는 제1 세척제 배치단계;
    상기 캐리어 트레이를 세척제가 배치된 상기 하부 세척지그의 상부에 배치하는 캐리어 트레이 배치단계;
    상기 캐리어 트레이의 상부에 세척제를 배치하는 제2 세척제 배치단계;
    상기 캐리어 트레이의 상부에 상부 세척지그를 배치하는 상부 세척지그 배치단계; 및
    상기 상부 세척지그와 상기 하부 세척지그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면서 일정 시간 이상 가압하여 세척하는 세척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는,
    상기 세척단계에서의 가열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상기 하부 세척지그를 예열하면서 상기 제1 세척제 배치단계에서 상부 세척지그 배치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4.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적층코어를 형성하는 적층코어 형성단계;
    캐리어 트레이에 적층코어를 안착하는 적층코어 안착단계;
    상기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자석을 삽입하는 자석 삽입단계;
    상기 자석이 삽입된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충진하는 수지 충진단계;
    수지가 충진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충진된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상기 캐리어 트레이에서 상기 적층코어를 분리시킨 후 상기 캐리어 트레이를 세척하는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 및
    상기 캐리어 트레이 세척단계 후 상기 캐리어 트레이를 왁싱하는 캐리어 트레이 왁싱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트레이 왁싱단계는,
    하부 세척지그의 상부에 왁스를 배치하는 제1 왁스 배치단계;
    상기 캐리어 트레이를 왁스가 배치된 상기 하부 세척지그의 상부에 배치하는 캐리어 트레이 배치단계;
    상기 캐리어 트레이의 상부에 왁스를 배치하는 제2 왁스 배치단계;
    상기 캐리어 트레이의 상부에 상부 세척지그를 배치하는 상부 세척지그 배치단계; 및
    상기 상부 세척지그와 상기 하부 세척지그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면서 일정 시간 이상 가압하여 왁싱하는 왁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트레이 왁싱단계는,
    상기 왁싱단계에서의 가열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상기 하부 세척지그를 예열하면서 상기 제1 왁스 배치단계에서 상부 세척지그 배치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코어 형성단계는,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박판을 통과시키면서 블랭킹하여 소정 형상의 라미나 부재를 순차적으로 형성 후 적층하되, 상기 접착층을 가열 경화하지 않고 상기 라미나 부재를 적층한 적층코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단계는,
    수지가 충진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상기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을 경화시켜 적층코어를 일체화하면서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충진단계는,
    상기 적층코어가 안착되고, 상기 자석 삽입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상기 캐리어 트레이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하는 캐리어 트레이 안착단계;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으로 상기 적층코어를 가압하는 코어 가압단계; 및
    상기 하부금형에 구비된 수지 공급부로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KR1020210187032A 2021-12-24 2021-12-24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KR102573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032A KR102573840B1 (ko) 2021-12-24 2021-12-24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032A KR102573840B1 (ko) 2021-12-24 2021-12-24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490A KR20230097490A (ko) 2023-07-03
KR102573840B1 true KR102573840B1 (ko) 2023-09-01

Family

ID=8715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032A KR102573840B1 (ko) 2021-12-24 2021-12-24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8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5399A1 (ja) * 2010-05-18 2011-11-24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回転子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2013212012A (ja) * 2012-03-30 2013-10-10 Mitsui High Tec Inc 回転子積層鉄心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4037A (ja) 1992-04-28 1993-11-16 Aida Eng Ltd 積層コアの製造方法
KR0119014B1 (ko) 1994-06-09 1997-09-30 구자홍 모터 코어의 적층 접착장치
WO2007080661A1 (en) * 2006-01-11 2007-07-19 Mitsui High-Tec, Inc. Method of resin sealing permanent magnets in laminated rotor co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5399A1 (ja) * 2010-05-18 2011-11-24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回転子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2013212012A (ja) * 2012-03-30 2013-10-10 Mitsui High Tec Inc 回転子積層鉄心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490A (ko)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5691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minated core block
EP3444928B1 (en) Resin sealing device and resin sealing method for interior magnet-type core
US11201526B2 (en) Resin sealing device and resin sealing method for manufacturing magnet embedded core
EP3664263B1 (en) Rotor core holding jig, and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magnet-embedded core
KR102377641B1 (ko)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US11271462B2 (en) Heat sealing-type rotational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enabling automatic separation of laminated core
CN105365153A (zh) 电机磁芯的树脂密封方法和用于电机磁芯的树脂密封方法的设备
JP2000152570A (ja) 磁石鉄心の製造方法
EP3503360B1 (en)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heating inner diameter of laminated core
EP3503359B1 (en) Heat sealing-type rotational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KR20180023471A (ko) 적층 코어의 자동 분리가 가능한 회전 가열 접착식 회전자 코어 및 고정자 코어 동시 제조 장치
KR102573840B1 (ko)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KR20180023758A (ko) 적층 코어의 자동 분리가 가능한 회전 가열 접착식 회전자 코어 및 고정자 코어 동시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230024736A (ko)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KR102664501B1 (ko)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KR101566492B1 (ko) 접착식 적층 코어부재 제조장치 및 접착제 도포유닛
KR20230038915A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KR20230135915A (ko)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JP5996934B2 (ja) 回転子積層鉄心の樹脂封止方法及び回転子積層鉄心の製造装置
KR20230038914A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KR20230038916A (ko)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KR20220160883A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KR20220160886A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KR102623080B1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KR102623081B1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