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914A -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914A
KR20230038914A KR1020210121590A KR20210121590A KR20230038914A KR 20230038914 A KR20230038914 A KR 20230038914A KR 1020210121590 A KR1020210121590 A KR 1020210121590A KR 20210121590 A KR20210121590 A KR 20210121590A KR 20230038914 A KR20230038914 A KR 20230038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core
core
upper mold
resin
low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석
김진영
임종구
이재식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8914A/ko
Publication of KR20230038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H02K1/276Magnets embedded in the magnetic core, e.g. interior permanent magnets [IP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l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형성된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주입하여 자석을 고정하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과 함께 상기 적층코어를 가압하는 하부금형과, 상기 적층코어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공급부,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코어가 가열될 때 상기 적층코어의 접착층이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서 상기 적층코어가 접촉되는 면에 복수의 미세돌기가 형성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경화하는 과정에서 접착층이 적층코어를 가압하는 구성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착층의 영향 없이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코어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MOTOR CORE}
본 발명은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충진하고, 충진된 수지와 적층코어의 접착층을 경화하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전기 에너지로부터 회전력을 얻는 기계 장치로서,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or)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는 고정자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며, 자기장과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작용하는 힘으로 회전한다.
상기 고정자는 모터 등과 같은 회전기기에서 정지한 부분 즉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부분을 말한다. 일 예로, 유도기의 경우에 상기 고정자는 고정자 코어와 고정자 권선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자와 고정자는 금속 박판인 라미나(Lamina) 부재를 여러 겹으로 적층한 후 일체화하여 제작된 적층코어(Laminated Cor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으로는 여러 겹으로 적층된 라미나 부재를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웰딩 고정법 또는 리벳 고정법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웰딩 고정법에 의해 적층된 라미나 부재를 일체화할 경우에는 용접 열에 의해 라미나 부재가 열변형을 일으켜 물성을 변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근래에는 상기 적층코어의 단위 박판인 라미나 부재들을 접착제로 상호 접착해서 일체화하는 접착 고정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3021호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304037호에 상기 접착 고정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중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304037호를 참조하면, 모터 코어 제조용 소재인 강판은 이송 롤러에 의해 제1 프레스 성형기와 제2 프레스 성형기로 공급되며, 상기 제1프레스 성형기를 통과하기 전에 도포 롤러와 노즐에 의해 상기 강판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그리고, 소재의 블랭킹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스 성형기와 제2 프레스 성형기의 내부 공간에 순차적으로 쌓이는 라미나 부재는, 상기 접착제에 의해 일체화되고 이를 통해 접착식 적층 코어가 제조된다. 이러한 종래의 접착식 적층코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레이저 용접에 비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강판이 박판화에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접착식 적층코어 제조방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라미나 부재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제에 의해 적층코어의 층간 분할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적층코어를 후속 공정인 경화 공정에서 적층코어를 가압하여 가열하는 경우에 적층코어의 최외측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층이 가압장치에 부착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접착식 적층코어 제조방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라미나 부재를 적층한 후 가열하여 접착제를 1차적으로 경화해야 하고, 이후 적층코어에 자석을 고정하기 위하여 수지를 주입한 후 2차적으로 다시 경화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복잡해지고 다수의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적층코어에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3021호(1996.01.26)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304037호(1993.11.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경화하는 과정에서 접착층이 적층코어를 가압하는 구성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과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할 수 있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코어의 제조장치는,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형성된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주입하여 자석을 고정하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과 함께 상기 적층코어를 가압하는 하부금형; 상기 적층코어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공급부; 및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적층코어가 가열될 때 상기 적층코어의 접착층이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서 상기 적층코어가 접촉되는 면에 복수의 미세돌기가 형성되게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미세돌기는,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서 상기 자석 삽입홀과 마주보는 면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는, 수지가 충진된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상기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을 경화시켜 적층코어를 일체화하면서 상기 적층코어에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된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과 마주보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된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되고, 상측면이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금형과 접촉하고, 하측면이 선택적으로 상기 하부금형과 접촉하는 중심베이스; 복수의 자석 삽입홀에 자석이 삽입된 적층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중심베이스에 안착되며, 상기 자석 삽입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이동 플레이트; 상기 하부금형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가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공급부; 및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적층코어는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층코어가 가열될 때 상기 접착층이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서 상기 적층코어가 접촉되는 면에 복수의 미세돌기가 형성되게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미세돌기는,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서 상기 자석 삽입홀과 마주보는 면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의 상측면을 가압하는 코어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어 가압부에서 상기 적층코어가 접촉되는 면에 복수의 미세돌기가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가열부는, 수지가 충진된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상기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을 경화시켜 적층코어를 일체화하면서 상기 적층코어에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는, 110~210℃의 온도범위에서 120~230초 동안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적층코어를 1~15MPa의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 따르면,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경화하는 과정에서 접착층이 적층코어를 가압하는 구성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착층의 영향 없이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가 충진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상기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을 경화시켜 적층코어를 일체화하면서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적층코어가 접촉되는 면에 복수의 미세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중심베이스에 이동 플레이트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중심베이스에 하부금형이 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중심베이스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수지 공급부가 동작하여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주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수지 공급 후 중심베이스에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코어 가압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리턴 가압부가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적층코어가 접촉되는 면에 복수의 미세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는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형성된 적층코어(10)의 자석 삽입홀(11)에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자석 삽입홀(11)에 삽입된 자석(20)을 고정하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코어의 제조장치는 상부금형(200)과, 상기 상부금형(200)과 함께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압하는 하부금형(400)과, 상기 적층코어(10)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자석 삽입홀(11)에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공급부(410),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10)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열하는 가열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적층코어(10)가 가열될 때 상기 적층코어(10)의 접착층이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에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에서 상기 적층코어(10)가 접촉되는 면(200a, 400a)에 복수의 미세돌기를 형성하였다.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적층코어를 제조하는 종래의 적층코어 제조방법은 코어금형에서 라미나 부재를 제작한 후 적층하여 적층코어를 형성하고, 코어금형에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접착층을 경화시켜서 라미나 부재를 일체화하여 적층코어를 형성하였다.
이때, 적층코어의 양면에 있는 접착제가 가압하는 장치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층코어의 양면에 있는 접착층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적층코어의 접착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사용할 경우 적층코어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적층코어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에서 상기 적층코어(10)가 접촉되는 면(200a, 400a)에 복수의 미세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적층코어(10)의 접착층이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에서 별도의 접착제 제거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접착층 제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적층코어(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세돌기는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에서 상기 자석 삽입홀(11)과 마주보는 면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된다.
일 예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금형(200)에서 상기 적층코어(10)가 접촉되는 면(200a)에서 상기 자석 삽입홀(11)과 마주보는 면(200c)에는 미세돌기(200b)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2에는 상부금형에 형성되는 미세돌기만 예로 나타내었고, 하부금형에도 상부금형과 동일하게 미세돌기가 형성된다.
만약, 상기 적층코어(10)가 접촉되는 면(200a)에서 상기 자석 삽입홀(11)과 마주보는 면(200c)에 미세돌기를 형성하게 되면, 미세돌기들 사이로 홈이 형성되므로, 상기 자석 삽입홀(11)에 충진되는 수지가 미세돌기들 사이의 홈으로 스며들면서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수지가 외부로 누출되면 적층코어의 표면에 수지층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적층코어의 품질 저하를 야기한다. 또한, 수지층을 제거하는 공정을 추가하게 되면 공정 비용이 상승하고, 수지층 제거시 적층코어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에서 상기 적층코어(10)가 접촉되는 면에 복수의 미세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자석 삽입홀(11)과 마주보는 면에는 미세돌기를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수지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러한, 상기 미세돌기는 에칭(etching)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미세돌기는 에칭 공정을 통하여 상기 자석 삽입홀(11)과 마주보는 면을 부식시켜 일정 이상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가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표면 거칠기는 접착층의 점착력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적층코어 제조방법은 코어금형에서 라미나 부재를 제작한 후 적층하여 적층코어를 형성하고, 코어금형에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접착층을 경화시켜서 라미나 부재를 일체화하여 적층코어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자석을 삽입한 후 자석을 고정하기 위하여 수지를 충진하고, 다시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수지를 경화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적층코어 제조방법은 경화를 두 번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복잡해지고, 다수의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적층코어에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코어금형에 가열부와 냉각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코어금형의 제조비용과 유지 및 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코어금형에서 경화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적층코어(10)에 수지를 충진한 이후에 적층코어(10)를 가열부(500)로 가열하여,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을 경화시켜 적층코어(10)를 일체화하면서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 배치되는 적층코어(10)는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라미나 부재가 단순히 적층된 상태, 즉 접착층을 용융 및 경화시켜 복수의 라미나 부재를 일체화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의 적층코어(10)를 가압하여 자석 삽입홀(11)에 수지를 충진하고,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열하여 접착층을 용융 및 경화시켜 복수의 라미나 부재를 일체화하면서 상기 적층코어(10)에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부(500)는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10)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열하는 구성이다.
상기 가열부(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금형(200) 또는 상기 하부금형(400)에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부(500)는 상기 적층코어(10)에 원하는 온도를 인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500)는 유도가열장치로 구성되어 유도가열 방식으로 상기 적층코어(10)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열부(500)는 가열코일로 구성되어 간접가열 방식으로 상기 적층코어(10)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부(500)는 상기 적층코어(10)를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9는 상기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 의해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주입하여 자석을 고정하는 동작 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상기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중심베이스에 이동 플레이트가 배치된 상태이고, 도 6은 상기 중심베이스에 하부금형이 접촉된 상태이고, 도 7은 상기 중심베이스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의해 가압된 상태이고, 도 8은 수지 공급부가 동작하여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주입하는 상태이며, 도 9는 수지 공급 후 중심베이스에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코어 가압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상기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서 리턴 가압부가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 상부금형(200)과, 상기 상부금형(200)과 마주보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 하부금형(400)과,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 사이에 배치되는 중심베이스(300)와, 적층코어(10)가 배치되고 상기 중심베이스(300)에 안착되는 이동 플레이트(120)와, 상기 적층코어(10)의 자석 삽입홀(11)에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공급부(410),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10)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열하는 가열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층코어(10)는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형성된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적층코어(10)가 가열될 때 상기 접착층이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에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에서 상기 적층코어(10)가 접촉되는 면에 복수의 미세돌기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미세돌기는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에서 상기 자석 삽입홀(11)과 마주보는 면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미세돌기의 형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기 모터코어의 제조장치(10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이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프레스 장비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금형(200)와 상기 하부금형(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금형(2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200)은 상기 적층코어(10)의 자석 삽입홀(11)에 수지를 주입하는 동안 상기 적층코어(10)의 상측면을 가압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하부금형(400)은 상기 상부금형(200)과 마주보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400)은 상기 적층코어(10)의 자석 삽입홀(11)에 수지를 주입하는 동안 상기 적층코어(10)의 상측면이 상기 상부금형(200)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를 가압하도록 제공된다.
즉,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 상에 배치된 적층코어(10)를 양면에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자석 삽입홀(11)에 수지를 주입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중심베이스(300)는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중심베이스(300)는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가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둘레를 따라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금형(20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복수의 가이드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하측면이 상기 하부금형(400)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200)이 하측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하부금형(40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부(320)가 상기 상부금형(200)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측면이 상기 상부금형(200)에 접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심베이스(300)는 상측면이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금형(200)과 접촉하고, 하측면이 선택적으로 상기 하부금형(4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에 배치된 적층코어(10)가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중심이 관통되는 관통홀(311)이 형성되어, 상기 수지 공급부(410)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홀(311)을 통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의 하측면이 노출되고, 상기 관통홀(311)에 삽입된 상기 수지 공급부(410)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의 하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수지 공급부(410)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의 연통홀(123)을 관통하여서 상기 적층코어(10)의 자석 삽입홀(11)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를 위치 고정하는 클램프(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3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안착된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를 상기 관통홀(311)의 상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의 연통홀(123)이 상기 수지 공급부(4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의 체결 위치도 상기 클램프(33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는 복수의 자석 삽입홀(11)에 자석(20)이 삽입된 적층코어(10)가 배치되고, 상기 중심베이스(300)에 안착되며, 상기 자석 삽입홀(11)과 연통되는 연통홀(123)이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는 상기 적층코어(10)가 안착되는 플레이트부(121)와, 상기 플레이트부(121)의 중심에서 돌출되고 상기 적층코어(10)의 중심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기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121)에는 상기 수지 공급부(410)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유동하도록 연통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통홀(123)은 상기 적층코어(10)에 형성된 복수의 자석 삽입홀(11)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상기 연통홀(123)을 통하여 주입되는 수지는 하나의 자석 삽입홀(11)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통홀(123)은 두께 방향으로 갈 수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통홀(123)에서 직경이 큰 부분이 상기 수지 공급부(410)와 연결되고, 상기 연통홀(123)에서 직경이 작은 부분이 상기 자석 삽입홀(11)과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122)와 상기 적층코어(10)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돌기(미도시), 다른 하나에는 슬릿(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122)에 삽입되는 상기 적층코어(10)의 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층코어(10)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에 배치될 때, 상기 적층코어(10)에 형성된 자석 삽입홀(11)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연통홀(123) 상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122)와 상기 적층코어(10)의 관통홀에 가이드돌기와 슬릿을 형성하여 상기 연통홀(123) 상에 상기 자석 삽입홀(11)이 위치하도록 상기 적층코어(10)를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에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지 공급부(410)는 상기 하부금형(400)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10)가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홀(123)을 통하여 상기 자석 삽입홀(11)에 수지를 주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지 공급부(410)는 수지가 배치되는 수지공급 포트(411)와, 상기 수지공급 포트(411)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용융된 수지를 가압하여 상기 자석 삽입홀(11)에 주입하는 수지공급 피스톤(412), 그리고 상기 수지공급 피스톤(41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지공급 액추에이터(4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지는 일 예로, EMC(Epoxy Molding Compound)를 사용할 수 있고, 블록 형태의 EMC를 상기 수지공급 포트(411)에 삽입한 후 가열하여 용융 시킨 후 주입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수지공급 포트(411)에 블록 형태의 수지(BS)를 삽입하고, 상기 중심베이스(300)의 양측에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을 접촉시켜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압한 후 상기 수지공급 포트(411)를 가열하여 수지를 용융 시킨 후 상기 수지공급 액추에이터(413)가 상기 수지공급 피스톤(412)을 이동시켜 용융된 수지를 상기 자석 삽입홀(11)에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지 공급부(41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의 연통홀(123)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지 공급부(410)는 복수로 마련되고, 하나의 수지 공급부(410)가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의 연통홀(123)에 수지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100)에 의해 적층코어(10)의 자석 삽입홀(11)에 수지를 주입하여 자석(20)을 고정하는 동작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이동 플레이트(120)에 적층코어(10)를 배치하고, 상기 적층코어(10)의 자석 삽입홀(11)에 자석(2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자석 삽입홀(11)은 이동 플레이트(120)의 연통홀(123)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에 자석(20)이 삽입된 적층코어(10)가 배치된 상태에서 함께 예열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코어(10)가 배치된 이동 플레이트(120)를 중심베이스(300)에 안착한다.
그리고, 상부금형(200)과 하부금형(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중심베이스(300)의 양면에 밀착하여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압한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40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심베이스(300)의 하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수지 공급부(410)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금형(400)과 상기 중심베이스(300)의 결합 위치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금형(400)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돌기(401)가 상기 중심베이스(300)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312)에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의 연통홀(123)과 상기 수지 공급부(410)의 위치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금형(400)에 형성된 제2 가이드 돌기(402)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제2 가이드 홈(124)에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금형(200) 또는 하부금형(400)이 추가로 이동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베이스(300)의 상측면에 상부금형(200)이 접촉한다.
이때,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중심베이스(300)의 결합 위치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금형(400)에 형성된 제3 가이드 돌기(403)가 상기 상부금형(200)에 형성된 제3 가이드 홈(201)에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지 공급부(410)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의 하측면에 밀착하여 상기 연통홀(123)과 연통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코어 가압부(210)가 상기 적층코어(10)의 상측면에 밀착되어 일정 압력으로 적층코어(10)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지 공급부(410)를 동작시켜 용융된 수지를 상기 연통홀(123)을 통하여 상기 자석 삽입홀(11)에 주입한다.
그리고, 수지 주입 완료 후 수지가 경화되는 시간이 경과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베이스(300)로부터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을 이격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자석 삽입홀(11)에 공급되고 남은 잔류 수지(RS)는 상기 수지 공급부(410) 상에 잔존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금형(400)과 상기 중심베이스(30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잔류 수지(RS)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 측에 잔류하지 않고, 모두 상기 수지 공급부(410) 상에 잔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에서 적층코어(10)를 분리하면 별도의 잔류 수지 제거 작업 없이 자석 삽입홀(11)에 자석이 고정된 상태의 적층코어(10)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100)는 상기 상부금형(200)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10)의 상측면을 가압하는 코어 가압부(2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중심베이스(300)의 하측면이 상기 하부금형(400)에 접촉하여 지지되고, 상측면이 상부금형(200)에 접촉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가압부(210)는 상기 적층코어(10)의 상측면에 밀착되어 적층코어(10)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코어 가압부(210)에서 상기 적층코어(10)가 접촉되는 면에 복수의 미세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자석 삽입홀(11)과 마주보는 면에는 미세돌기를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일 예로, 상기 코어 가압부(210)는 상기 적층코어(10)의 상측면과 접촉하는 가압 플레이트(211)와, 상기 상부금형(200)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를 이동시켜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압하는 가압 액추에이터(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는 복수로 마련되고, 적어도 같거나 서로 다르게 동작하여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적층코어(10)는 복수의 판재가 적층되어 제작된 것으로 제작 과정 또는 판재의 두께 편차 등에 의해 상기 적층코어(10)의 높이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 가압부(210)가 접촉하는 상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어 가압부(210)가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적층코어(10)의 경사진 상측면의 높은 부분이 우선적으로 상기 코어 가압부(210)와 접촉하여 가압되므로, 상기 적층코어(10)에 전체적으로 다른 가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적층코어(10)의 경사진 상측면의 높은 부분은 우선적으로 가압되면서 상대적으로 큰 가압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적층코어(10)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적층코어(10)의 경사진 상측면에서 낮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작은 가압력이 인가되어, 상기 적층코어(10)는 전체적으로 불균일한 가압력이 인가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100)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복수의 가압 액추에이터(212)를 구비하였고, 적어도 같거나 서로 다른 가압력으로 가압 플레이트(211)를 가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는 4개로 마련되어 상기 적층코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적층코어(10)의 상측면을 4 포인트에서 서로 다르게 동작하여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는 4개로 마련되고, 상기 적층코어(10)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는 4개가 동일한 변위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는 부분적으로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 각각은 압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 각각이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를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가 상기 적층코어(10)를 전체적으로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 가압부(210)는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가압부 탄성부재(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가 가압력만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가 가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가압부 탄성부재(213)가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를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는 가압력을 인가 및 제거하는 방향 모두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 탄성부재(213)는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212)가 가압력을 제거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 추가적인 복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00)는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10)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열하는 구성이다.
상기 가열부(5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금형(200) 또는 상기 하부금형(400)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가열부(50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20)에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열부(500)는 상기 적층코어(10)에 원하는 온도를 인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열부(500)는 유도가열장치로 구성되어 유도가열 방식으로 상기 적층코어(10)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열부(500)는 가열코일로 구성되어 간접가열 방식으로 상기 적층코어(10)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부(500)는 상기 적층코어(10)를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500)는 110~210℃의 온도범위에서 120~230초 동안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적층코어(10)의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은 일 예에 해당하고, 접착층의 소재와 충진 수지의 소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500)가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열할 때, 상기 상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400)은 상기 적층코어(10)를 1~15MPa의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압하는 압력은 일 예에 해당하고, 적층코어의 적층 두께, 크기, 라미나 부재의 두께 등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100)는 리턴 가압부(2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턴 가압부(220)는 상기 상부금형(200)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금형(400)과 분리 시에 상기 적층코어(10)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리턴 가압부(220)는 상기 상부금형(200)에 구비되는 상기 코어 가압부(2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턴 가압부(220)는 상기 코어 가압부(210)의 가압 플레이트(211)에 구비되는 리턴 가압핀(221)과, 상기 리턴 가압핀(221)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리턴 탄성부재(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턴 가압핀(221)은 일측단은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측단은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턴 가압핀(221)은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측단이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에 배치되는 상기 리턴 가압핀(221)의 일측단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타측단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리턴 가압핀(221)이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에서 이탈하지 않고,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 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턴 탄성부재(222)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와 상기 리턴 가압핀(221)의 일측단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리턴 가압핀(221)의 타측단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코어 가압부(210)가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압하여 수지를 충진 후 상기 코어 가압부(210)가 상기 적층코어(10)와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적층코어(10)가 상기 코어 가압부(210)에 교착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 가압부(210)가 상기 적층코어(10)를 일정 압력 이상으로 일정 시간 동안 가압하게 되고, 이때 상기 수지 공급부(410)가 가열되어서 상기 적층코어(10)도 가열되어 교착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턴 가압부(220)의 상기 리턴 가압핀(221)은 상기 코어 가압부(210)가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압하는 동안에는 상기 적층코어(1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가압 플레이트(211)의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 가압부(210)가 상기 적층코어(1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리턴 탄성부재(22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리턴 가압핀(221)이 돌출되면서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압하여 상기 코어 가압부(210)에서 상기 적층코어(10)가 분리되는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적층코어(10)를 가압하여 수지를 주입 후 상기 코어 가압부(210)에서 상기 적층코어(1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적층코어 20 : 자석
100 :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110 : 베이스 프레임
120 : 이동 플레이트 121 : 플레이트부
122 : 돌기부 123 : 연통홀
200 : 상부금형 210 : 코어 가압부
211 : 가압 플레이트 212 : 가압 액추에이터
213 : 가압부 탄성부재 220 : 리턴 가압부
221 : 리턴 가압핀 222 : 리턴 탄성부재
300 : 중심베이스 310 : 베이스 플레이트
320 : 가이드부 330 : 클램프
400 : 하부금형 410 : 수지 공급부
411 : 수지공급 포트 412 : 수지공급 피스톤
413 : 수지공급 액추에이터 500 : 가열부

Claims (10)

  1.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형성된 적층코어의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주입하여 자석을 고정하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과 함께 상기 적층코어를 가압하는 하부금형;
    상기 적층코어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공급부; 및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코어가 가열될 때 상기 적층코어의 접착층이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서 상기 적층코어가 접촉되는 면에 복수의 미세돌기가 형성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돌기는,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서 상기 자석 삽입홀과 마주보는 면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수지가 충진된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상기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을 경화시켜 적층코어를 일체화하면서 상기 적층코어에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4.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된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과 마주보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된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되고, 상측면이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금형과 접촉하고, 하측면이 선택적으로 상기 하부금형과 접촉하는 중심베이스;
    복수의 자석 삽입홀에 자석이 삽입된 적층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중심베이스에 안착되며, 상기 자석 삽입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이동 플레이트;
    상기 하부금형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가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자석 삽입홀에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공급부; 및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하는 가열부;
    를 포함하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코어는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적층코어가 가열될 때 상기 접착층이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서 상기 적층코어가 접촉되는 면에 복수의 미세돌기가 형성된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돌기는,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서 상기 자석 삽입홀과 마주보는 면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에 구비되고, 상기 적층코어의 상측면을 가압하는 코어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어 가압부에서 상기 적층코어가 접촉되는 면에 복수의 미세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수지가 충진된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하여, 상기 라미나 부재의 접착층을 경화시켜 적층코어를 일체화하면서 상기 적층코어에 충진된 수지를 동시에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110~210℃의 온도범위에서 120~230초 동안 상기 적층코어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적층코어를 1~15MPa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KR1020210121590A 2021-09-13 2021-09-13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KR20230038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590A KR20230038914A (ko) 2021-09-13 2021-09-13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590A KR20230038914A (ko) 2021-09-13 2021-09-13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914A true KR20230038914A (ko) 2023-03-21

Family

ID=8580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590A KR20230038914A (ko) 2021-09-13 2021-09-13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891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4037A (ja) 1992-04-28 1993-11-16 Aida Eng Ltd 積層コアの製造方法
KR960003021A (ko) 1994-06-09 1996-01-26 이헌조 모터 코어의 적층 접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4037A (ja) 1992-04-28 1993-11-16 Aida Eng Ltd 積層コアの製造方法
KR960003021A (ko) 1994-06-09 1996-01-26 이헌조 모터 코어의 적층 접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6736B2 (ja) 磁石埋込み型コアの樹脂封止装置及び樹脂封止方法
KR101030482B1 (ko) 회전자 적층 코어에 영구 자석을 수지 밀봉하는 방법
JP2014036486A (ja) 回転電機用ロータの樹脂充填装置
CN105365153A (zh) 电机磁芯的树脂密封方法和用于电机磁芯的树脂密封方法的设备
KR102377641B1 (ko)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JP2000152570A (ja) 磁石鉄心の製造方法
CN107919770B (zh) 转子制造方法
KR20230038914A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KR20230038915A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KR20220049224A (ko) 로터 코어의 마그네트를 수지로 몰딩하기 위한 장치
KR102664501B1 (ko)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KR102573840B1 (ko)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KR102623079B1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US20220247289A1 (en) Core part manufacturing method and core part manufacturing apparatus of rotary electric machine
KR102623081B1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JP2017022886A (ja) 永久磁石固定方法、金型、及び電機子
KR102623080B1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KR20220160886A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JP5996934B2 (ja) 回転子積層鉄心の樹脂封止方法及び回転子積層鉄心の製造装置
KR20230024736A (ko)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KR102674855B1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JP2000166195A (ja) モールドモータの製造方法、この方法に用いるモールドモータ用金型、およびこ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したモールドモータ、並びに硬化樹脂ランナ部
KR20230024735A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KR20230038916A (ko)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JP2023151289A (ja) 樹脂付永久磁石の製造方法及びロー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