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430B1 -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430B1
KR102572430B1 KR1020220076136A KR20220076136A KR102572430B1 KR 102572430 B1 KR102572430 B1 KR 102572430B1 KR 1020220076136 A KR1020220076136 A KR 1020220076136A KR 20220076136 A KR20220076136 A KR 20220076136A KR 102572430 B1 KR102572430 B1 KR 102572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outbound
unit
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형석
Original Assignee
(주)와이즈에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즈에이아이 filed Critical (주)와이즈에이아이
Priority to KR1020220076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6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58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in combination with automated outdial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Bio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OIP(Serv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활용한 통신방식의 전화를 AI 시스템이 아웃바운드로 전화를 발신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약 시각, 전화번호, 시나리오 ID 포함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시각이 도래하면 아웃바운드 콜개시를 위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를 추출하는 콜 스케줄러, 상기 콜 스케줄러에서 추출된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 발신을 수행하고, 음성데이터 및 영상 이미지를 위한 음성 버퍼와 영상버퍼를 제어하되, 영상 통화 중 음성 버퍼의 음성 데이터와 영상 버퍼의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발신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SOIP 클라이언트부 및 상기 콜 스케줄러에서 추출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에 따라 질문 텍스트와 영상 이미지를 전달받아 질문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화번호와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정보를 상기 SOIP 클라이언트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에 의해 SOIP가 제공하는 기본적인 영상통화 기능을 활용하여 대화내용에 관련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System for outbound AI call using Video Call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OIP(Serv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활용한 통신방식의 전화를 AI 시스템이 아웃바운드로 전화를 발신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를 이용해 마케팅을 펼치는 행위를 텔레마케팅(Tele Marketing)이라 하며, 상담원과 관련 설비를 갖춘 곳을 콜센터(Call Center)라 한다. 전화뿐 아니라 이메일과 인터넷 등을 통해 상담한다는 차원에서 컨택센터(Contact Center)라고도 한다.
이러한 콜센터에서의 업무는 인바운드(in-bound) 업무와 아웃바운드(out-bound) 업무로 분류된다. 이중 인바운드 업무는 콜 센터의 상담원이 외부에서 걸려온 전화, 팩스, 이메일 등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이고, 아웃바운드 업무는 정보 제공이나 상품 판매를 위해 직접 전화를 걸어 마케팅을 하는 형태이다. 즉 아웃바운드는 홍보나 정보 제공 등 프로모션 목적을 위해 기업이 고객에게 먼저 발신을 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영업을 위주로 하는 아웃바운드 콜센터 환경은 콜센터 사무실에서 다수의 텔레마케터가 근무하며, 모든 업무가 이루어지고 있어, 업무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콜센터의 경우에는 영업자의 영업 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핵심으로, 이를 위해서는 타깃화된 고객을 미리 확보하고 구매 의사가 높은 연락처를 영업자에게 제공해야 하지만, 그러한 타깃화된 고객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이 미흡한 상태이다.
KR 10-2009-0087938 A KR 10-2203893 B1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SOIP가 제공하는 기본적인 영상통화 기능을 활용하여 대화내용에 관련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통화하는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 컨텐츠를 통화하는 상대방의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 함으로서 통화하는 상대방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이 가능한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은 예약 시각, 전화번호, 시나리오 ID 포함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시각이 도래하면 아웃바운드 콜개시를 위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를 추출하는 콜 스케줄러, 상기 콜 스케줄러에서 추출된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 발신을 수행하고, 음성데이터 및 영상 이미지를 위한 음성 버퍼와 영상버퍼를 제어하되, 영상 통화 중 음성 버퍼의 음성 데이터와 영상 버퍼의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발신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SOIP 클라이언트부 및 상기 콜 스케줄러에서 추출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에 따라 질문 텍스트와 영상 이미지를 전달받아 질문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화번호와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정보를 상기 SOIP 클라이언트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콜 스케줄러가 예약 시각, 전화번호, 시나리오 ID 포함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시각이 도래하면 아웃바운드 콜개시를 위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를 추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콜 스케줄러에서 추출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에 따라 질문 텍스트와 영상 이미지를 전달받아 질문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화번호와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정보를 SOIP 클라이언트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영상 통화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정보를 전달받은 SOIP 클라이언트부가 상기 콜 스케줄러에서 추출된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 발신을 수행하고, 음성데이터 및 영상 이미지를 위한 음성 버퍼와 영상 버퍼를 제어하되, 영상 통화 중 음성 버퍼의 음성 데이터와 영상 버퍼의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SOIP 클라이언트부가 발신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SOIP가 제공하는 기본적인 영상통화 기능을 활용하여 대화내용에 관련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통화하는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 컨텐츠를 통화하는 상대방의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 함으로서 통화하는 상대방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이 가능한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에서 구성간 데이터 흐름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에서 구성간 데이터 흐름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이다.
기존의 영상통화는 통화 양방의 카메라를 통하여 얼굴을 보면서 통화를 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은 발신자가 AI로 구성된 시스템에 의한 것으로 카메라를 통해서 발신자의 얼굴 영상이 나가는 대신 통화하는 내용을 이해하는 도움이 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 컨텐츠를 제공한다.
발신자인 AI가 SOIP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발신용 영상 버퍼를 직접 제어하여통화하는 상대방의 스마트폰 화면에 통화하는 내용을 이해하는 도움이 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서 통화하는 상대방이 이해하기 편리한 아웃바운드 AI 기반의 영상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10)은 발신자인 AI가 수신자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상에 발신자측 촬영 영상 대신 임의의 콘텐츠로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바운드 AI콜 시스템(10)은 통신부(110), 콜 스케줄러(120), SOIP 클라이언트부(130), 제어부(140), TTS부(150), STT부(155), 인텐츠 추론부(160), 머신러닝부(165), 아웃바운드 DB(170), 시나리오 DB(172), 학습콘텐츠 DB(174)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바운드 AI콜 시스템(10)이 제공하는 영상통화를 수신하여 호 연결을 가능케 하는 기술적 구성을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콜 스케줄러(120)는 예약 시각, 전화번호, 시나리오 ID 포함한 데이터베이스부 즉 아웃바운드 DB(170)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시각이 도래하면 아웃바운드 콜 개시를 위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를 추출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시나리오 ID는 해당 시나리오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할 질문 텍스트와 질문 텍스트에 매칭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 형식의 영상 데이터, 답변의 추론 결과에 따른 내용 분기 정보를 포함한다.
시나리오 ID에 포함되는 내용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을 통해 아웃바운드 홍보 또는 정보 수집을 수행하기 원하는 기업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설정, 편집, 삭제가 가능하다.
아웃바운드 DB(170)는 아웃바운드 홍보 또는 정보 수집을 수행하기 원하는 기업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아웃바운드를 위한 예약시각, 전화번호, 시나리오ID 등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예약시각은 아웃바운드를 실행시키고자 하는 시각 정보이거나 반복 수행을 위한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콜 스케줄러(120)는 아웃바운드 DB(170)에 등록된 시나리오에 따라 예약 시각이 도래한 경우에 시나리오 제어부(142)로 아웃바운드 개시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시나리오 제어부(142)로 아웃바운드 개시를 요청함과 동시에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SOIP 클라이언트부(130)는 콜 스케줄러(120)에서 추출된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 발신을 수행하고, 음성데이터 및 영상 이미지를 위한 발신용 음성 버퍼와 발신용 영상 버퍼를 제어하되, 영상 통화 중 음성 버퍼의 음성 데이터와 영상 버퍼의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발신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SOIP 클라이언트부(130)는 콜 스케줄러(120)에서 추출된 전화번호 즉 후술할 콘텐츠 제어부(144)로부터 수신한 전화번호로 콜이 개시되기 전이면 영상통화 발신을 수행한다.
이때 SOIP 클라이언트부(130)는 콘텐츠 제어부(144)로부터 영상 통화 발신을 위한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발신용 버퍼에 저장하고, 발신용 버퍼에서 추출하여 영상 통화 발신시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데이터는 발신용 음성 버퍼에, 영상 데이터는 발신용 영상 버퍼에 저장한다.
SOIP 클라이언트부(130)는 영상통화가 개시된 이후에 발신용 음성 버퍼와 발신용 영상 버퍼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SOIP 클라이언트부(130)는 발신용 영상 버퍼에 일정 기간 단위로 정해진 영상프레임을 인입한다.
예를들어 SOIP 클라이언트부(130)는 1초당 정해진 기준 이상의 영상 프레임을 발신용 영상버퍼에 넣어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발신용 영상 버퍼에는 동영상과 같이 매순간 상이한 영상 프레임을 넣을 수도 있고, 계속 동일한 영상을 발신용 영상버퍼에 인입하여 정지 영상을 보내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매순간 영상 프레임을 넣을지, 동일한 영상을 인입하여 정지영상을 보낼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10)을 통해 아웃바운드 홍보 또는 정보 수집을 수행하기 원하는 기업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내용의 영상 프레임이나 정지영상을 인입할지 여부 역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10)을 통해 아웃바운드 홍보 또는 정보 수집을 수행하기 원하는 기업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SOIP 클라이언트부(130)는 발신된 영상 통화의 수신자인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STT부(155)로 전달한다. 즉, 사용자 단말(20)로 제공된 화상통화 방식의 광고나 보고 내용, 다양한 형태의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SOIP 클라이언트부(130)는, 수신용 음성버퍼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답변이 종료된 것으로 파악되면, STT부(155)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도록 전달한다. 예를들어 음성 신호가 입력되고 무음 상태가 소정의 기간이상 지속될 경우에 답변이 종료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일예로 "이상"과 같은 기 설정된 단어의 음성 데이터가 인식되면 답변이 종료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으로 답변 종료를 인식할 수 있는 경우를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제어부(140)는 콜 스케줄러(120)에서 추출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에 따라 질문 텍스트와 영상 이미지를 전달받아 질문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화번호와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정보를 SOIP 클라이언트부(13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40)는 시나리오 제어부(142) 및 콘텐츠 제어부(144)를 포함한다.
시나리오 제어부(142)는 콜 스케줄러(120)로부터 전화번호와 시나리오ID를 받아서 해당하는 시나리오의 질문 텍스트와 영상이미지, 영상통화 콜 연결을 위한 전화번호를 콘텐츠 제어부(144)로 전달한다.
즉, 시나리오 제어부(142)는 콜 스케줄러(120)로부터 전달받은 시나리오ID에 해당하는 정보를 시나리오 DB(172)로부터 수신하고, 발신 시작부터 전화 종료까지 해당하는 텍스트와 영상 데이터와 전화번호를 콘텐츠 제어부(144)로 송신한다.
콘텐츠 제어부(144)는 시나리오 제어부(142)로부터 전달받은 질문 텍스트 등을 TTS(Text to Speech)부로 송신하여 변환된 음성을 수신하고 전화번호와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SOIP 클라이언트부(130)로 전달한다.
TTS부(150)는 콘텐츠 제어부(144)의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TTS부(150)는 변환된 음성신호를 콘텐츠 제공부(144)로 제공한다.
STT부(155)는 SOIP 클라이언트부(130)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인텐츠 추론부(160)로 전달한다. 이때 STT부(15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이 제공하는 영상 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를 제공받는 영상통화 수신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한다.
인텐츠 추론부(16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답변 텍스트를 분석하여 발화자 답변의 의도를 파악한 후 추론 결과를 시나리오 제어부(142)로 전달한다.
시나리오 제어부(142)는 인텐츠 추론부(160)로부터 수신한 추론 결과에 따라 사전에 지정된 텍스트 및 영상 정보를 판단하여 콘텐츠 제어부(144)로 전달한다.
추가적으로 학습 콘텐츠 등록부가 머신러닝부(165)의 학습을 위한 다양한 답변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학습 콘텐츠 DB(174)에 저장한다.
머신러닝부(165)는 머신러닝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학습을 위한 답변인 학습 콘텐츠를 학습콘텐츠 DB(174)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학습콘텐츠 등록부로부터 전달받은 학습 콘텐츠를 머신러닝하여 추론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학습콘텐츠 DB(174)는 인텐츠 추론부(160)가 정확하게 추론할 수 있도록 머신러닝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한다.
시나리오 DB(172)는 사전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을 통해 아웃바운드 홍보 또는 정보 수집을 수행하기 원하는 기업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의해 작성된 다양한 내용의 시나리오들을 저장한다. 시나리오 제어부(142)는 필요에 따라 시나리오 DB(172)에 저장된 시나리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여 데이터 흐름을 살펴보면 콜 스케줄러(120)가 아웃바운드 DB(170)로부터 전화번호, 예약시각정보, 시나리오 ID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한다(①⑪). 시나리오 제어부(142)는 콜 스케줄러(120)로부터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 정보를 획득한다(②). 그리고 시나리오 제어부(142)는 콘텐츠 제어부(144)로 전화번호, 텍스트, 영상 이미지를 제공한다(③).
콘텐츠 제어부(144)는 시나리오 제어부(142)로부터 획득한 텍스트를 TTS부(150)를 통해 음성 형태로 변환한다(④⑤). 그리고 콘텐츠 제어부(144)는 TTS부(150)에서 제공받은 변환된 음성 데이터와 영상 이미지를 SOIP 클라이언트부(130)로 제공한다(⑥).
SOIP 클라이언트부(130)는 사용자 단말(20)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이미지를 제공하고(⑦), 사용자 단말(20)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으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⑧). STT부(155)는 SOIP 클라이언트부(130)가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전달받아 텍스트 형태로 변환할수 있다(⑨).
인텐츠 추론부(160)는 STT부(155)로부터 변환된 텍스트를 수신한다(⑩). 그리고 답변 추론 결과를 도출하여 시나리오 제어부(142)로 제공한다(⑪).
학습 콘텐츠 등록부가 머신러닝부의 학습을 위한 다양한 답변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학습 콘텐츠 DB(174)에 저장한다.
머신러닝부는 머신러닝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학습을 위한 답변인 학습 콘텐츠를 학습콘텐츠 DB(174)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학습콘텐츠 등록부로부터 전달받은 학습 콘텐츠를 머신러닝 결과물을 추론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한다(b).
즉 학습 콘텐츠 DB(174)는 인텐츠 추론부(160)가 정확하게 추론할 수 있도록 머신러닝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시나리오 DB(172)는 사전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을 통해 아웃바운드 홍보 또는 정보 수집을 수행하기 원하는 기업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의해 작성된 다양한 내용의 시나리오들을 저장한다. 시나리오는 텍스트 및 영상 이미지를 포함한다. 시나리오 제어부(142)는 필요에 따라 시나리오 DB(172)에 저장된 시나리오를 제공받을 수 있다(a).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콜 스케줄러가 예약 시각, 전화번호, 시나리오 ID 포함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시각이 도래하면 아웃바운드 콜개시를 위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를 추출한다(S300).
본 발명의 일양상에 있어서, 시나리오 ID는 해당 시나리오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할 질문 텍스트와 질문 텍스트에 매칭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 형식의 영상 데이터, 답변의 추론 결과에 따른 내용 분기 정보를 포함한다.
시나리오 ID에 포함되는 내용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을 통해 아웃바운드 홍보 또는 정보 수집을 수행하기 원하는 기업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설정, 편집, 삭제가 가능하다.
아웃바운드 DB는 아웃바운드를 실행하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아웃바운드를 위한 예약시각, 전화번호, 시나리오ID 등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예약시각은 아웃바운드를 실행시키고자 하는 시각 정보이거나 반복 수행을 위한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가 콜 스케줄러에서 추출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에 따라 질문 텍스트와 영상 이미지를 전달받아 질문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화번호와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정보를 SOIP 클라이언트부로 전달한다(S310).
그리고 SOIP 클라이언트부가 콜 스케줄러에서 추출된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 발신을 수행하고(S320), 음성데이터 및 영상 이미지를 위한 음성 버퍼와 영상 버퍼를 제어하되, 영상 통화 중 음성 버퍼의 음성 데이터와 영상 버퍼의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발신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S330).
SOIP 클라이언트부는 콜 스케줄러에서 추출된 전화번호 즉 콘텐츠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전화번호로 콜이 개시되기 전이면 영상통화 발신을 수행한다.
이때 SOIP 클라이언트부는 콘텐츠 제어부로부터 영상 통화 발신을 위한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발신용 버퍼에 저장하고, 발신용 버퍼에서 추출하여 영상 통화 발신시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데이터는 음성 버퍼에, 영상 데이터는 영상 버퍼에 저장한다.
SOIP 클라이언트부는 영상통화가 개시된 이후에 발신용 음성버퍼와 영상버퍼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SOIP 클라이언트부는 발신용 영상버퍼에 일정 기간 단위로 정해진 영상프레임을 인입한다.
예를들어 SOIP 클라이언트부는 1초당 정해진 기준 이상의 영상 프레임을 발신용 영상버퍼에 넣어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발신용 영상 버퍼에는 동영상과 같이 매순간 상이한 영상 프레임을 넣을 수도 있고, 계속 동일한 영상을 발신용 영상버퍼에 인입하여 정지 영상을 보내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매순간 영상 프레임을 넣을지, 동일한 영상을 인입하여 정지영상을 보낼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을 통해 아웃바운드 홍보 또는 정보 수집을 수행하기 원하는 기업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내용의 영상 프레임이나 정지영상을 인입할지 여부 역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10)을 통해 아웃바운드 홍보 또는 정보 수집을 수행하기 원하는 기업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SOIP 클라이언트부는 발신된 영상 통화의 수신자인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STT부로 전달한다.
이때 SOIP 클라이언트부는, 수신용 음성버퍼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답변이 종료된 것으로 파악되면, SST부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도록 전달한다. 예를들어 음성 신호가 입력되고 무음 상태가 소정의 기간이상 지속될 경우에 답변이 종료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일예로 "이상"과 같은 기 설정된 단어의 음성 데이터가 인식되면 답변이 종료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으로 답변 종료를 인식할 수 있는 경우를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제어부가 콜 스케줄러에서 추출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에 따라 질문 텍스트와 영상 이미지를 전달받아 질문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화번호와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정보를 SOIP 클라이언트부로 전달한다.
그리고 SOIP 클라이언트부가 발신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TTS부가 제어부의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STT부는 SOIP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인텐츠 추론부로 전달한다.
그러면 인텐츠 추론부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답변 텍스트를 분석하여 발화자 답변의 의도를 파악한 후 이 추론 결과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이후에 머신러닝부가 머신러닝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학습을 위한 답변인 학습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학습 콘텐츠를 머신러닝하여 추론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또한, SOIP 클라이언트부는 발신용 영상버퍼에 일정 기간 단위로 정해진 영상 프레임을 인입한다.
예를 들어 SOIP 클라이언트부는 1초당 정해진 기준 이상의 영상 프레임을 발신용 영상버퍼에 넣어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발신용 영상 버퍼에는 동영상과 같이 매순간 상이한 영상 프레임을 넣을 수도 있고, 계속 동일한 영상을 발신용 영상버퍼에 인입하여 정지 영상을 보내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매순간 영상 프레임을 넣을지, 동일한 영상을 인입하여 정지영상을 보낼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을 통해 아웃바운드 홍보 또는 정보 수집을 수행하기 원하는 기업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내용의 영상 프레임이나 정지영상을 인입할지 여부 역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을 통해 아웃바운드 홍보 또는 정보 수집을 수행하기 원하는 기업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110 : 통신부
120 : 콜스케줄러 130 : SOIP 클라이언트부
140 : 제어부 150 : TTS부
155 : STT부 160 : 인텐츠 추론부
165 : 머신러닝부 170 : 아웃바운드 DB
172 : 시나리오 DB 174 : 학습콘텐츠 DB

Claims (10)

  1. 예약 시각, 전화번호, 시나리오 ID 포함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시각이 도래하면 아웃바운드 콜개시를 위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를 추출하는 콜 스케줄러;
    상기 콜 스케줄러에서 추출된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 발신을 수행하고, 음성데이터 및 영상 이미지를 위한 음성 버퍼와 영상버퍼를 제어하되, 영상 통화 중 음성 버퍼의 음성 데이터와 영상 버퍼의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발신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SOIP 클라이언트부; 및
    상기 콜 스케줄러에서 추출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에 따라 질문 텍스트와 영상 이미지를 전달받아 질문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화번호와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정보를 상기 SOIP 클라이언트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TTS부;
    상기 SOIP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인텐츠 추론부로 전달하는 STT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답변 텍스트를 분석하여 발화자 답변의 의도를 파악한 후 이 추론 결과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텐츠 추론부; 및
    머신러닝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학습을 위한 답변인 학습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학습 콘텐츠를 머신러닝하여 추론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머신러닝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 ID는,
    해당 시나리오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할 질문 텍스트와 질문 텍스트에 매칭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 형식의 영상 데이터, 답변의 추론 결과에 따른 내용 분기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SOIP 클라이언트부는,
    수신용 음성버퍼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답변이 종료된 것으로 파악되면, SST부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도록 전달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SOIP 클라이언트부는,
    발신용 영상버퍼에 일정 기간 단위로 정해진 영상프레임을 인입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6.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콜 스케줄러가 예약 시각, 전화번호, 시나리오 ID 포함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시각이 도래하면 아웃바운드 콜개시를 위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를 추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콜 스케줄러에서 추출된 전화번호와 시나리오 ID에 따라 질문 텍스트와 영상 이미지를 전달받아 질문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화번호와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정보를 SOIP 클라이언트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영상 통화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정보를 전달받은 SOIP 클라이언트부가 상기 콜 스케줄러에서 추출된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 발신을 수행하고, 음성데이터 및 영상 이미지를 위한 음성 버퍼와 영상 버퍼를 제어하되, 영상 통화 중 음성 버퍼의 음성 데이터와 영상 버퍼의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SOIP 클라이언트부가 발신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의 구동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OIP 클라이언트부가 발신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TTS부가 상기 제어부의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STT부가 상기 SOIP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인텐츠 추론부로 전달하는 단계;
    인텐츠 추론부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답변 텍스트를 분석하여 발화자 답변의 의도를 파악한 후 이 추론 결과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머신러닝부가 머신러닝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학습을 위한 답변인 학습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학습 콘텐츠를 머신러닝하여 추론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의 구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 ID는,
    해당 시나리오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할 질문 텍스트와 질문 텍스트에 매칭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 형식의 영상 데이터, 답변의 추론 결과에 따른 내용 분기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의 구동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SOIP 클라이언트부는,
    수신용 음성버퍼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답변이 종료된 것으로 파악되면, SST부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도록 전달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의 구동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SOIP 클라이언트부는,
    발신용 영상버퍼에 일정 기간 단위로 정해진 영상프레임을 인입하는,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220076136A 2022-06-22 2022-06-22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572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136A KR102572430B1 (ko) 2022-06-22 2022-06-22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136A KR102572430B1 (ko) 2022-06-22 2022-06-22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430B1 true KR102572430B1 (ko) 2023-08-30

Family

ID=8784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136A KR102572430B1 (ko) 2022-06-22 2022-06-22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859B1 (ko) * 2023-10-31 2024-03-21 (주)와이즈에이아이 Ars 기반의 콜센터가 가능한 ai를 활용한 아웃바운드 통화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7938A (ko) 2006-12-29 2009-08-18 제네시스 텔레커뮤니케이션즈 래버러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콜 센터로부터 콘택트들과의 아웃바운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시스템
KR20110050888A (ko) * 2009-11-09 2011-05-17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및 영상 콜센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20090A (ko) * 2012-04-25 2013-11-04 (주)헤리트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
KR20160132317A (ko) * 2015-10-13 2016-11-17 (주)다드림아이앤에스 콜센터 네트워크 시스템 및 콜센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영상통화 전환 방법
KR101772093B1 (ko) * 2016-08-03 2017-08-28 주식회사 제이딘 지능망 콜센터의 영상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27320B1 (ko) * 2017-06-08 2018-02-09 윤준호 인공지능 콜센터 서버
KR101975320B1 (ko) * 2018-08-10 2019-05-07 씨에스쉐어링 주식회사 빅데이터 및 인공 지능 기반 콜 센터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03893B1 (ko) 2020-06-30 2021-01-15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인공지능 기반의 오토콜을 통한 고객 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7938A (ko) 2006-12-29 2009-08-18 제네시스 텔레커뮤니케이션즈 래버러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콜 센터로부터 콘택트들과의 아웃바운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시스템
KR20110050888A (ko) * 2009-11-09 2011-05-17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및 영상 콜센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20090A (ko) * 2012-04-25 2013-11-04 (주)헤리트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
KR20160132317A (ko) * 2015-10-13 2016-11-17 (주)다드림아이앤에스 콜센터 네트워크 시스템 및 콜센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영상통화 전환 방법
KR101772093B1 (ko) * 2016-08-03 2017-08-28 주식회사 제이딘 지능망 콜센터의 영상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27320B1 (ko) * 2017-06-08 2018-02-09 윤준호 인공지능 콜센터 서버
KR101975320B1 (ko) * 2018-08-10 2019-05-07 씨에스쉐어링 주식회사 빅데이터 및 인공 지능 기반 콜 센터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03893B1 (ko) 2020-06-30 2021-01-15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인공지능 기반의 오토콜을 통한 고객 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859B1 (ko) * 2023-10-31 2024-03-21 (주)와이즈에이아이 Ars 기반의 콜센터가 가능한 ai를 활용한 아웃바운드 통화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68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utbound telephone calls via a set-top box
WO2006025461A1 (ja) 通話を伴うプッシュ型情報通信システム
US201602860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ing a user that a call is no longer on hold
KR102572430B1 (ko)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03379229A (zh) 一种用于专家座席的数据传送方法及系统
WO2017113581A1 (zh) 一种通话控制方法以及装置、系统
US201702709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voice message visualization service
US8526919B2 (en) Message inj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70073417A (ko) 지능형 자동 문자 응대 시스템
US2021027398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context-to-call communications between communication points in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CN108322429B (zh) 实时通信中录制控制方法、实时通信系统及通信终端
KR20150047150A (ko)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채팅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채팅 서비스 시스템
KR20150088532A (ko) 통화 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667657B1 (ko) 모바일 폰과 고객관계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고객통신 서비스 방법
KR10092953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무선 환경에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170671B1 (ko) 전화 용건 미리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2738A (ko) 인터넷 영상전화기의 단문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2599828B1 (ko) 웹 콘텐츠 제공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CN115426337B (zh) 一种基于5G消息和VoLTE的在线客户服务系统及方法
KR20070041157A (ko) Sms 전송 시 레터링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동통신교환시스템
KR20130120090A (ko)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
US9088815B2 (en) Message injection system and method
WO2017219796A1 (zh) 一种视频业务控制方法、移动终端及业务服务器
KR102527067B1 (ko)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1535158B1 (ko)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및 서버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