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067B1 -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067B1
KR102527067B1 KR1020220031294A KR20220031294A KR102527067B1 KR 102527067 B1 KR102527067 B1 KR 102527067B1 KR 1020220031294 A KR1020220031294 A KR 1020220031294A KR 20220031294 A KR20220031294 A KR 20220031294A KR 102527067 B1 KR102527067 B1 KR 102527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nnel
server
online platform
cal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1759A (ko
Inventor
이치문
조남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르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르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르미
Priority to KR102022003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06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위한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HTML5 기반의 통합형 옴니채널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system that provides an integrated call connection service using multiple channels}
본 발명은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위한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HTML5 기반의 통합형 옴니채널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고객 응대를 위한 상담 시스템에서 많은 회사가 필수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대화식 음성 응답 서비스(IVR: Interactive Voice Response)는 음성전화 입력과 터치톤 전화기의 단추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조합을 받아들여 음성, 팩스, 콜백, 전자우편, 기타 매체의 형태로 적절한 응답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IVR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를 포함하는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로서, 예를 들면 은행 및 주식 계좌 잔고 조회, 또는 이체, 여론 조사를 포함한 각종 조사, 콜센터의 통화 전달, 단순한 주문입력 거래, 선택적인 정보 조회(영화 상영일정 등)를 음성으로 자동 서비스한다.
IVR 애플리케이션은 적절한 상황, 키패드 신호 논리, 적절한 데이터의 액세스 등을 위해 미리 녹음된 음성 응답과 추후 처리 절차를 위한 음성 녹음 기능 등을 제공한다. 또한, IVR 애플리케이션들은 CTI를 사용하여 송화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볼 수 있는 담당 직원에게 통화를 넘겨줄 수도 있다.
최근의 상담 시스템은 여기서 더욱 발전하여 사용자(즉 상담 요청자)와 상담자 간에 음성 상담 뿐만 아니라 화면을 전환하여 화면 내용을 상대 측에 보여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특허공보 제10-2013-0131951호 (2013.12.04) 국내특허공보 제10-2016-0045189호 (2016.04.27)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 기반의 실시간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HTML5 기반의 통합형 옴니채널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WebRTC (Web Real-Time Communication)는 웹 어플리케이션 및 사이트 간에 별도의 플러그인이나 소프트웨어의 도움을 받지 않고 음성, 영상 미디어 혹은 텍스트, 파일 같은 데이터를 브라우저끼리 주고받을 수 있게 만든 기술이다. WebRTC 기술은 실시간 통신을 지원하며, 구체적으로는 음성채팅, 화상채팅, 음성통화, 영상통화, 화상회의, 및 데이터 송수신 (예를 들어, P2P 파일 공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간 통신이 복수의 참여자에 의하여 수행되고, 실시간 통신의 결과물인 영상 또는 음성 파일을 생성함에 있어서, 보편적으로 복수의 참여자 각각에 의하여 스트리밍되는 영상 또는 음성을 믹싱(mixing)하여 녹화함으로써 하나의 영상 또는 음성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이 경우, 믹싱 과정은 시스템 리소스를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믹싱 과정 없이 복수의 참여자가 참여한 영상 또는 음성 파일을 동기화하여 재생하는 경우 시스템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단말; 중앙 서버; 및 제2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고,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을 전달받고,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을 중개(및/또는 중계)하되, 상기 제1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재설정된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중앙 서버는: 소정의 기준이 만족되면 상기 재설정된 전화번호를 생성하되, 상기 소정의 기준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재설정된 전화번호의 생성을 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반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제1 단말을 통하여 입력되는 SMS 발송 요청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음성 호 또는 영상 호를 연결을 위한 제1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신규 채널인 제2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채널의 연결을 중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달하고,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통화 연결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에서 중개(및/또는 중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화 연결을 위한 플랫폼이 상이한 경우에도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Web 기반의 통화를 수행하는 단말과 통신사 기반의 통화를 수행하는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을 중개(및/또는 중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1000)은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 방식으로 통신사 음성 통화 연결 요청, 통화시 실시간 STT(Speech-to-Text) 시스템 연계를 통한 실시간 음성 TEXT 화,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 방식으로 통화하는 상담사와 통신사 번호 가입자 고객 간의 음성 통화 및 실시간 TEXT 화, 고객측 통신사 음성 채널에서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 방식 기반의 음성 채널(및/또는 영상 채널)로 전환하는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1000)은 Call 서버(10), STT 엔진 서버(20), VoIP 서버(30), 통신사 서버(40), 및/또는 네트워크(50)를 포함하고, Call 서버(10)는 '제1 서버'로 호칭되고, STT 엔진 서버(20)는 '제2 서버'로 호칭되고, VoIP 서버(30)는 '제3 서버'로 호칭되고, 통신사 서버(40)는 '제4 서버' 또는 '외부 서버'로 호칭될 수 있다. 또한 Call 서버(10), STT 엔진 서버(20), VoIP 서버(30), 및 통신사 서버(40)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중앙 서버'라고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음성 통화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1000)은 제1 단말(60) 및/또는 제2 단말(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1000)은 중앙 서버(110), 제1 단말(60), 및/또는 제2 단말(7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때 중앙 서버(110)는 Call 서버(10), STT 엔진 서버(20), VoIP 서버(30), 통신사 서버(40), 및/또는 네트워크(50)를 포함하거나, Call 서버(10), STT 엔진 서버(20), VoIP 서버(30), 통신사 서버(40), 및/또는 네트워크(50) 각각의 역할, 기능, 구성(구성요소) 등이 구현되는 단일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단말(60)은 도 1의 제1 단말(60)에 상응하고, 제2 단말(70)은 도 1의 제1 단말(70)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60)은 본원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담사가 사용하는 단말(및/또는 장치)에 상응하고, 제2 단말(70)은 상기 고객이 사용하는 단말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Call 서버(10), STT 엔진 서버(20), VoIP 서버(30), 통신사 서버(40), 네트워크(50), 제1 단말(60) 및/또는 제2 단말(70) 각각은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로 호칭되거나 네트워크 장치(network apparatus)로 호칭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Call 서버(10), STT 엔진 서버(20), VoIP 서버(30), 및/또는 통신사 서버(40)는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제1 단말(60) 및/또는 제2 단말(7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Call 서버(10), STT 엔진 서버(20), VoIP 서버(30), 및/또는 통신사 서버(40)는 제1 단말(60) 및/또는 제2 단말(70)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소정의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Call 서버(10)는 상호 콜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을 구현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Call 서버(10)는 주소 변환 제어, 부가 서비스 제공, 콜 테이블 관리, 다지점 회의관리, 사용자 레벨에 따른 서비스 운영관리, 존(zone) 관리 및/또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터널링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Call 서버(10) 자신의 관리하에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등록과 음성 서비스 요청에 따른 허가 여부에 대한 요청, 그리고 시스템의 상태에 대한 정보 메시지를 받아서 다른 서버 및/또는 단말에게 전달하고, 그 결과를 받아 메시지를 생성하여 다시 요청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TT 엔진 서버(20)는 STT(Speech-to-Text) 기술에 기반하여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을 수행하고, 상기 STT 엔진 서버(20)에 입력되는 음성 언어를 해석함으로써 그 내용을 문자 데이터로 변환(및/또는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Call 서버(10)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 시, STT 엔진 서버(20)와 연동하여 통화 내용을 STT 기술에 기반하여 문자 데이터(또는 TEXT)로 변환(및/또는 전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Call 서버(10)와 STT 엔진 서버(20)는 소정의 제1 기준에 따라 연동될 수 있으며, 상기 문자 데이터는 상기 STT 엔진 서버(20)(및/또는 상기 Call 서버(10))에 저장될 수 있다.
VoIP 서버(30)는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ce over IP, IP telephony)은 인터넷과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통신과 멀티미디어 세션의 전달을 위한 기술을 구현하는 장치일 수 있다.
통신사 서버(40)는, 예를 들면, SKTTM, KTTM, LGU+TM 등과 같은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서버로써, 통신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구현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단말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컴퓨터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VoIP 서버(30)는, ① 발화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수신부; ② 상기 음성 신호의 분석에 따라 스피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오디오 분석 모듈; ③ 스피치 종료 타이머 윈도우가 지속되는 동안의 스피치 데이터를 로컬 색인 모듈에 의해 자동 인식 처리하여, 상기 스피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제공하는 매칭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화자라 함은, 상기 음성 신호가 제1 단말을 통하여 입력되어 전달된 경우에는 제1 단말의 사용자인 '상담사'일 수 있으며, 상기 음성 신호가 제2 단말을 통하여 입력되어 전달된 경우에는 제2 단말의 사용자인 '고객'일 수 있다.
이때 매칭 모듈은 상기 음성 신호 분석에 따라 검출된 상기 스피치 데이터의 가치 정보, 상기 스피치 데이터의 분류 정보 및 상기 스피치 데이터의 비-유창성(disfluency)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스피치 종료 타이머 윈도우를 적응적으로 가변하여 스피치 종료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치 종료 타이머 윈도우는 상기 원격지의 자동 음성 인식 시스템과 구분되는 상기 단말 장치(예; 제1 단말(60) 또는 제2 단말(70)) 내부의 별도의 로컬 프로세스에 의해 구동된 상기 매칭 모듈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 모듈은 상기 스피치 종료 타이머 윈도우가 지속되는 동안의 스피치 데이터를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분류하고, 상기 로컬 색인 모듈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된 상기 스피치 데이터에 매칭되는 응답 정보를 출력하며, 매칭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스피치 데이터의 자동 인식에 의해 매칭된 응답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로 수신되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 모듈은 상기 스피치 종료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로컬 자동 스피치 인식 프로세스의 강제 스피치 인식 종료를 결정하거나, 강제 스피치 종료 신호를 상기 원격지의 자동 음성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응답 정보의 출력 처리가 조기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 모듈은 상기 로컬 색인 모듈을 이용한 로컬 자동 스피치 인식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분류된 스피치 데이터로부터 비-유창성 구간이 확인된 경우, 상기 스피치 종료 타이머 윈도우를 확장하고, 다음 인식될 단어의 중요도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분석 모듈은 상기 음성 신호의 연속적 레벨 지속 검출에 따른 노이즈 레벨(noise level)을 결정하고, 상기 음성 신호 샘플 대비 비-침묵 구간(non-silent section) 및 비-노이즈 구간(non-noise section)의 비율에 따라, 상기 스피치 데이터의 유효성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 20, 30, 40, 110)는 제어 모듈(210), 통신 모듈(220), 입력 모듈(230), 출력 모듈(240), 및/또는 저장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10, 20, 30, 40, 110)는 본 발명의 음성 통화 플랫폼을 제공하거나 지원하는 웹사이트(및/또는 모바일앱)를 운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서버(10, 20, 30, 40, 110)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매킨토시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 모듈(2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서버(10, 20, 30, 40, 110) 및/또는 단말(60, 70)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Internet of Things),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예; 명령어) 등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서버(10, 20, 30, 40, 110) 및/또는 단말(60, 7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모듈(230)은 서버(10, 20, 30, 40, 110) 및/또는 단말(60, 7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210)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서버(10, 20, 30, 40, 110) 및/또는 단말(60, 70)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230)은 서버(10, 20, 30, 40, 110) 및/또는 단말(60, 7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 모듈(240)은 서버(10, 20, 30, 40, 110) 및/또는 단말(60, 70)의 제어부 및/또는 제어 모듈(210)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220)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24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250)은 서버(10, 20, 30, 40, 110) 및/또는 단말(60, 7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250)은 서버(10, 20, 30, 40, 110) 및/또는 단말(60, 70)을 사용하는 사용자(및/또는 고객)의 개인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주민등록번호,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또는 관리 서버(110)에 의해 생성되는 리워드(reward)(예; 포인트 등)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은 상기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각종 이미지,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서비스 제공 서버는 Call 서버(10) 및/또는 STT 엔진 서버(20)에 상응하거나, Call 서버(10) 및 STT 엔진 서버(20)의 기능 및/또는 구성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1 단말(60)이 통화 연결 요청을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10).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본 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의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application)을 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에 대한 정보(및/또는 신호)를 제1 단말(60) 및/또는 제2 단말(70)과 송수신할 수 있다.
통화 연결 요청은 상기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이 실행되는 제1 단말(60)의 입력 모듈(예;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단말(60)이 통화 연결 요청에 기반하여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전달하고, 상기 제1 단말(60)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사이의 통화 연결을 중개(및/또는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20).
상기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60)로부터 전달되는 Web 음성을 통신사 음성으로 전환 및/또는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30).
이때 Web 음성(및/또는 상기 Web 음성에 대한 정보)은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단말(60)이 통화 연결 요청에 기반하여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전달하고, 상기 제1 단말(60)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사이의 통화 연결을 중개(및/또는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40).
상기 방법은 VoIP 서버(30)가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50).
예를 들면, VoIP 서버(30)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제1 단말(60)에 상응하는 전화번호를 소정의 제2 기준에 따라 다른 번호의 전화번호로 변경(및/또는 재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VoIP 서버(30)는 제1 단말(60)에 상응하는 070 번호를 통신사 서버(40) 및/또는 제2 단말(70)에 상응하는 010 번호로 변경(및/또는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VoIP 서버(30)는 상기 소정의 제2 기준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단말(60)에 상응하는 전화번호의 변경(및/또는 재설정) 없이 다음 S360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VoIP 서버(30)가 통화 연결 요청에 기반하여 요청 메시지를 통신사 서버에게 전달하고, 상기 VoIP 서버(30)와 상기 통신사 서버(40) 사이의 통화 연결을 중개(및/또는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60).
상기 방법은 통신사 서버(40)가 통화 연결 요청에 기반하여 요청 메시지를 제2 단말(70)에게 전달하고, 상기 통신사 서버(40)와 상기 제2 단말(70) 사이의 통화 연결을 중개(및/또는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70).
상기 방법은 제1 단말(60)과 제2 단말(70) 사이의 통화 연결이 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80).
이때 제1 단말(60)과 제2 단말(70) 사이의 통화 연결은, 상기 제1 단말(60)에서는 Web 기반의 인터페이스(예; 본원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에서 구현되고, 상기 제2 단말(70)에서는 통신사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2 단말이 통화 연결 요청을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410).
예를 들면, 중앙 서버는 본 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의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application)을 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에 대한 정보(및/또는 신호)를 제1 단말 및/또는 제2 단말과 송수신할 수 있다.
통화 연결 요청은 상기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이 실행되는 제2 단말의 입력 모듈(예;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2 단말이 통화 연결 요청에 기반하여 요청 메시지를 통신사 서버에게 전달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통신사 서버 사이의 통화 연결을 중개(및/또는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420).
상기 방법은 통신사 서버가 요청 메시지를 VoIP 서버에게 전달하고, 상기 통신사 서버와 상기 VoIP 서버 사이의 통화 연결을 중개(및/또는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430).
상기 방법은 VoIP 서버가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전달하고, 상기 VoIP 서버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사이의 통화 연결을 중개(및/또는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440).
상기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통신사 음성을 Web 음성으로 전환(및/또는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450).
서비스 제공 서버는, 예를 들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통화 연결 요청 및/또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제2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사 음성을 Web 음성으로 전환(및/또는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요청 메시지를 제1 단말에게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을 중개(및/또는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460).
상기 방법은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의 통화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470).
일 예로, 서비스 제공 서버, VoIP 서버 및 통신사 서버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을 중개(및/또는 중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의 흐름도에 상응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8에서 도시되는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에 의해 구현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과 중앙 서버 사이에는 Web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Web 통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Web 통신 채널은 상기 Web 기반의 통신을 위한 신호(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제1 주파수, 제1 대역폭, 제1 세기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와 제2 단말 사이에는 통신사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사 기반의 통신 채널('통신사 통신 채널'이라고 칭할 수 있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사 통신 채널은 상기 통신사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을 위한 신호(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제2 주파수, 제2 대역폭, 제2 세기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통신사 채널은 3GPP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3G, LTE 또는 5G 통신을 위한 채널(channel)에 해당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특징을 갖는 채널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1 단말이 SMS 발송 연결 요청을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10).
예를 들면, 중앙 서버는 본 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의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application)을 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에 대한 정보(및/또는 신호)를 제1 단말 및/또는 제2 단말과 송수신할 수 있다.
SMS 발송 연결 요청은 상기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이 실행되는 제1 단말의 입력 모듈(예;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단말이 중앙 서버에게 SMS 발송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20).
이때 SMS 발송 요청 메시지는 고객인 제2 사용자의 제2 단말에게 Web 기반의 통신으로의 전환을 위한 SMS 링크를 전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중앙 서버가 제2 단말에게 SMS 발송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30).
다만 제2 단말의 상황에 따라, 중앙 서버는 상기 SMS 발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에게 전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예로, 제2 단말이 다른 단말과 음성 호 및/또는 영상 호에 기반하는 통신 및/또는 연결을 구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SMS 발송 요청 메시지가 상기 제2 단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중앙 서버가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제2 단말이 SMS 링크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40).
한편 SMS 링크는 ①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달되거나, 및/또는 ② 상기 상기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2 단말이 SMS 링크를 나타내는 정보에 상응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50).
예를 들면, 제2 단말에서는 본 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의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application)이 실행될 수 있으며, 제2 단말의 제2 사용자는 상기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을 통하여 상기 SMS 발송 연결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또는 상기 SMS 발송 연결 요청을 위한 버튼, 페이지, 객체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중앙 서버와 제2 단말 사이의 음성 호 및/또는 영상 호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60).
중앙 서버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단말을 통하여 입력되는 SMS 발송 요청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음성 호 또는 영상 호를 연결을 위한 신규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중앙 서버는, 예를 들면, 상기 중앙 서버와 상기 제2 단말 사이에서 Web 기반의 음성 호 또는 영상 호를 연결을 위한 신규 채널인 제2 Web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중앙 서버는, 예를 들면, 신규 채널인 제2 Web 통신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통신사 통신 채널의 연결을 중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Web 통신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달하고, 상기 제2 Web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통화 연결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에서 중개할 수 있다.
상기 제2 Web 통신 채널은 상기 Web 기반의 통신을 위한 신호(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제3 주파수, 제3 대역폭, 제3 세기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주파수는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상기 제3 대역폭은 상기 제1 대역폭과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상기 제3 세기와 상기 제1 세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서버(20)는 소정의 제3 기준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3 주파수를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하고, 상기 제3 대역폭을 상기 제1 대역폭과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하고, 상기 제3 세기와 상기 제1 세기를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중앙 서버가 신규 채널의 연결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1 단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70).
상기 방법은 제1 단말이 신규 채널, 즉 제2 Web 통신 채널의 연결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80).
상기 방법은 제1 단말이 기존의 음성 호의 연결 중단을 요청하는 정보를 중앙 서버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90).
상기 방법은 중앙 서버가 기존의 음성 호의 연결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700).
중앙 서버(20)는, 예를 들면, 상기 통신사 통신 채널의 연결을 중단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통신사 통신 채널을 제2 Web 통신 채널로 변경 및/또는 재설정할 수 있다. 또는 중앙 서버(20)는, 상기 통신사 통신 채널의 연결을 중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사 통신 채널을 제2 Web 통신 채널을 생성(및/또는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의 Web 기반의 통화 연결이 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710).
이를 통해, 제1 단말(60)과 제2 단말(70)은 통신사의 통신 채널(또는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상호 간에 (Web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앙 서버(20)는 상기 제2 Web 통신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2 단말 및/또는 제1 단말에게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제2 Web 통신 채널에 대한 정보는 제3 주파수, 제3 대역폭, 제3 세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서버(20)는, 예를 들면, 소정의 제4 기준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Web 기반의 통신을 중단하고, 다시 통신사 기반의 통신을 요청하거나 권유하는 내용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단말 및/또는 제2 단말에게 전달(및/또는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제1 단말 및/또는 제2 단말이 다시 통신사 기반의 통신을 요청하거나 응답하는 내용의 응답 메시지가 상기 제1 단말 및/또는 제2 단말을 통하여 상기 중앙 서버(20)에게 전달되면, 상기 중앙 서버(20)는 제2 Web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및/또는 중단)하고, 기존의 통신사 통신 채널을 다시 생성하거나, 상기 기존의 통신사 통신 채널과는 상이한 성질(예; 제4 주파수, 제4 대역폭, 제4 세기)을 갖는 신규 통신사 통신 채널을 생성(및/또는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서버(20)는 소정의 제5 기준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3 주파수를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하고, 상기 제3 대역폭을 상기 제1 대역폭과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하고, 상기 제3 세기와 상기 제1 세기를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및/또는 재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4 기준 또는 상기 제5 기준은,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에 등록된(또는 실시간으로 접속된) 상담사들의 수,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등록된(또는 실시간으로 접속된) (상기 상담사들에 상응하는) 제1 단말들의 수, 온라인 플랫폼에 등록된(또는 실시간으로 접속된) 고객들의 수,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등록된(또는 실시간으로 접속된) (상기 고객들에 상응하는) 제2 단말들의 수,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진행 중인 비대면 상담 건의 수,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진행 중인 비대면 상담 건들 중에서 전체 건 수 대비 Web 기반의 통신을 이용하는 건수의 비율, 상기 중앙 서버(20)와 상기 제2 단말(70)들 사이에 연결된 채널들 중 Web 기반의 채널(예; 제2 Web 통신 채널)의 비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4 기준은 본 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에 실시간으로 접속된 상담사들의 수 대비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실시간으로 접속된 고객들의 수가 소정의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만족되는 기준일 수 있다. 이는 상담사 대비 고객들의 수가 너무 많을 경우, 고객들의 관리가 어느 정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고객들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통신사 서버에 의한 통신사 통신 (채널) 기반의 비대면 상담 서비스 제공보다는 Web 기반의 통신 (채널) 기반의 비대면 상담 서비스가 더 효율적이라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통신사 서버는 본 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예; 서비스 제공 서버, 중앙 서버)에 의해 직접 관리되는 서버가 아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상기 제5 기준은 본 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진행 중인 비대면 상담 건들 중에서 전체 건 수 대비 Web 기반의 통신을 이용하는 건수의 비율이 제1 임계 비율을 초과하거나, 상기 중앙 서버(20)와 상기 제2 단말(70)들 사이에 연결된 채널들 중 Web 기반의 채널(예; 제2 Web 통신 채널)의 비율이 제2 임계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에 만족되는 기준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Web 기반의 통신을 위한 채널이 너무 많을 경우, Web 기반의 채널들 마다 그 성질을 달리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즉 채널들을 분산시켜 다수의 상담사 및/또는 고객들이 본 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지연 또는 통신의 충돌을 방지하고, 원활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시스템(1000), 서버(10, 20, 30, 40, 110, 서비스 제공 서버, 중앙 서버) 및/또는 단말(60, 70)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0), 서버(10, 20, 30, 40, 110, 서비스 제공 서버, 중앙 서버) 및/또는 단말(60, 70) 등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및/또는 제어 모듈(210))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온라인 플랫폼을 운용하는 중앙 서버;
    상기 온라인 플랫폼의 상담사가 사용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온라인 플랫폼의 고객이 사용하는 제2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고,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을 전달받고,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을 중개하되, 상기 제1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재설정된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게 전달하되,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반하는 기준이 만족되면 상기 재설정된 전화번호를 생성하되, 상기 기준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재설정된 전화번호의 생성을 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제1 단말을 통하여 입력되는 SMS 발송 요청을 포함하는 SMS 발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과의 음성 호 또는 영상 호를 연결을 위한 제1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SMS 발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에게 전달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입력된 상기 SMS 발송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입력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웹(Web) 통신을 위한 신규 채널인 제2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채널의 연결을 중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달하고,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통화 연결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에서 중개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실시간으로 접속된 상담사들의 수 대비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실시간으로 접속된 고객들의 수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채널에 기반하는 웹 통신을 중단하는 것을 요청하거나 권유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게 전송하고,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2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고 통신사 기반의 신규 채널인 제3 채널을 생성하며,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실시간으로 접속된 상담사들의 수,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진행 중인 비대면 상담 건의 수,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진행 중인 비대면 상담 건들 중에서 전체 건 수 대비 Web 기반의 통신을 이용하는 건수의 비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는 소정의 기준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채널의 주파수, 대역폭, 및 세기와 동일 또는 상이한 성질의 주파수, 대역폭, 및 세기를 갖도록 구분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220031294A 2021-08-27 2022-03-14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527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294A KR102527067B1 (ko) 2021-08-27 2022-03-14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167A KR102375628B1 (ko) 2021-08-27 2021-08-27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위한 서버 및 시스템
KR1020220031294A KR102527067B1 (ko) 2021-08-27 2022-03-14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167A Division KR102375628B1 (ko) 2021-08-27 2021-08-27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위한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759A KR20230031759A (ko) 2023-03-07
KR102527067B1 true KR102527067B1 (ko) 2023-05-02

Family

ID=809367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167A KR102375628B1 (ko) 2021-08-27 2021-08-27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위한 서버 및 시스템
KR1020220031294A KR102527067B1 (ko) 2021-08-27 2022-03-14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167A KR102375628B1 (ko) 2021-08-27 2021-08-27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위한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56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468B1 (ko) * 2013-11-19 2015-05-12 (주)수풀콜매니저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308A (ko) * 2002-04-17 200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교환기의 발신번호 선택적 전송 방법
KR100830823B1 (ko) * 2006-07-25 2008-05-2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KR20130131951A (ko)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지뉴소프트 콜센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05259B1 (ko) * 2014-09-10 2016-04-01 (주)브릿지모바일 일반 통화 모드 및 인터넷 통화 모드를 스위칭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5189A (ko) 2014-10-16 2016-04-27 (주) 콜게이트 채팅을 이용한 상담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468B1 (ko) * 2013-11-19 2015-05-12 (주)수풀콜매니저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628B1 (ko) 2022-03-18
KR20230031759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81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web-based real time communication with optimized transcoding
US103135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web-based real time and out-of-band communications with contact centers
US20140333713A1 (en) Video Calling and Conferencing Addressing
US10320980B2 (en) User device detection and integration for an IVR system
US20170288942A1 (en) Portal for Provisioning Autonomous Software Agents
CN101917586B (zh) 一种会议的加入方法和设备
US20170289070A1 (en) Making a Dialogue Available To an Autonomous Software Agent
US20170288943A1 (en) Supplying Context Data to a Servicing Entity
US20170289069A1 (en) Selecting an Autonomous Software Agent
KR102085383B1 (ko) 그룹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 및 이의 운용 방법
EP30282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web-based real time communication with optimized transcoding
CN109586929B (zh) 会议内容的传输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10453160B2 (en) Embeddable communications software module
KR102527067B1 (ko)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US9374465B1 (en) Multi-channel and multi-modal language interpretation system utilizing a gated or non-gated configuration
KR20150047150A (ko)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채팅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채팅 서비스 시스템
US11729227B1 (en) Concurrent secondary electronic communication session
CN112019791A (zh) 基于教育考试的多方音视频通话方法及系统
KR102128107B1 (ko) WebRTC 기반의 음성정보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602328B (zh) 处理方法及处理装置
US20160127430A1 (en) Broadcasting and managing broadcasts using a telephony conference platform
KR102279576B1 (ko) 컨퍼런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컨퍼런스 접속 처리 방법
EP3697069A1 (en)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assistant in a communication session and associated communication network
KR20150106615A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화 대기 중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CN116319692A (zh) Rcs业务的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