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090A -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090A
KR20130120090A KR1020120043081A KR20120043081A KR20130120090A KR 20130120090 A KR20130120090 A KR 20130120090A KR 1020120043081 A KR1020120043081 A KR 1020120043081A KR 20120043081 A KR20120043081 A KR 20120043081A KR 20130120090 A KR20130120090 A KR 20130120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mage
mobile terminal
modul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령
Original Assignee
(주)헤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헤리트 filed Critical (주)헤리트
Priority to KR102012004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0090A/ko
Publication of KR20130120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0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converged personal network application service interworking, e.g. OMA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s [CP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5Selective call encoders for paging networks, e.g. paging centre devices
    • H04W88/188Selective call encoders for paging networks, e.g. paging centre devices using frequency address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및 영상 콜센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영상 전송 모듈을 포함하여 영상 통합 고객 센터에 음성 통화와 함께 영상을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음성 및 영상을 제공받는 영상 통합 고객 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통합 고객 센터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음성 통화를 수신하는 전화 수신 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영상 수신 모듈; 상기 전송받은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모듈; 및 모바일 단말이 영상 전송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영상 수신 모듈로 영상을 전송케 하는 영상 전송 프로그램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영상 전송 프로그램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콜센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이 영상 통합 고객 센터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음성 통화 단계; 및 상기 영상 통합 고객 센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담 내용 정황 파악에 사용되는 저화질 동영상을 요청하는 제 1단계; 상기 상담 내용의 세부적인 확인에 사용되는 고화질 정지 영상을 요청하는 제 2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콜센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ALL-CENTER SERVICE WITH VOICE AND IMAGE}
본 발명은 음성 및 영상 콜센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음성 콜센터 상담에 영상을 이용한 상담까지 가능하게 하는 음성 및 영상 콜센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용되어 오던 전국대표번호 서비스는 지역별로 번호가 다르게 부여되던 전화번호 체계를 080, 1588,1577 등의 특수한 번호로 시작하는 대표번호로 통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로서, 전국 어디에서나 하나의 전화번호로 해당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예컨대 보험 상담, 금융 상담, 대리운전 등)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국대표번호 서비스에 가입한 기업으로 전화를 걸면, 전국대표번호에 대한 호는 지능망에 의하여 연결되어 통화가 이루어지며, 예컨대 대리운전 콜센터는 전국 각지에서 걸려오는 대리운전 이용자의 전화를 해당 전국대표 번호로 접수한 뒤 복수의 콜센터 상담원으로 하여금 대리운전 서비스를 상담해 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콜센터 서비스는 주로 기계가 소정의 녹음된 안내 멘트를 제공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와 인간이 직접 육성으로 고객과 상담해 주는 음성 콜센터 서비스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고객은 음성 콜센터나 ARS와 음성으로만 상담 내용을 주고받을 수밖에 없었다. 최근 휴대폰, PDA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고 그 성능이 강화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수단이 아니라 게임, 포털 검색, 금융 거래, 카메라, 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강력한 기능과 활용성이 콜센터 분야에서는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고객이 음성 외에 영상으로도 상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면 상담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상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므로, 이러한 콜센터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기술문헌]
1. 음성 및 영상 콜센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공개번호 10-2011-0050888)
2. 세션 설정 프로토콜 기반 영상 콜센터 시스템 및 미디어 스트림 제어 방법(공개번호 10-2010-0053041)
3. 영상 자동 응답 시스템 및 영상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공개번호 10-2010-0020728)
4. 모바일 단말기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출원번호 10-2007-0021202)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의 음성 콜센터 상담에 영상을 이용한 상담까지 가능하게 하는 음성 및 영상 콜센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영상 전송 모듈을 포함하여 영상 통합 고객 센터에 음성 통화와 함께 영상을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음성 및 영상을 제공받는 영상 통합 고객 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통합 고객 센터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음성 통화를 수신하는 전화 수신 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영상 수신 모듈; 상기 전송받은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모듈; 및 모바일 단말이 영상 전송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영상 수신 모듈로 영상을 전송케 하는 영상 전송 프로그램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영상 전송 프로그램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콜센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모바일 단말이 영상 통합 고객 센터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음성 통화 단계; 및 상기 영상 통합 고객 센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담 내용 정황 파악에 사용되는 저화질 동영상을 요청하는 제 1단계; 상기 상담 내용의 세부적인 확인에 사용되는 고화질 정지 영상을 요청하는 제 2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콜센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콜센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콜센터의 상담원(음성 제공자)으로 부터 음성 콜센터 서비스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자신이 상담받는 내용을 영상 전송을 통해 콜센터 상담원에 제공하므로, 상담 시간을 단축 시킴과 동시에 정확하고 효율적인 콜센터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 통합 고객 센터는 필요한 상황에서만 고화질의 영상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 내지 영상 통합 고객 센터의 네트워크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케 한다.
또한, 영상 전송 프로그램이 음성 통화 내용을 듣고 있다가, 영상 전송 모듈 구동 명령에 의해 영상 전송 모듈을 활성화 시키고 영상 수신모듈의 주소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수행중인 음성 통화에 영상 전송 모듈 활성화 명령을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대기중인 영상 전송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3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송 프로그램 다운로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콜센터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 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이용자는 서비스 운영자에게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서비스 운영자는 콜센터를 통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화 상담을 제공하고, 서비스 운영자는 음성 통화를 통한 전화 상담시 필요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전화 상담에 참조한다. 따라서, 음성만으로 서비스 이용자의 상황을 듣는 것보다 서비스 이용자에게 보다 양질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이용자는 콜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콜센터에 전화를 거는 행위 주체인 '사용자'를 의미하나, 본 발명에 의한 콜센터 상담은 영상 전송 모듈이 구비되어 있고, 영상 전송 프로그램이 동작 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구현되므로, 이하, '서비스 이용자'는 모바일 단말로 호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서비스 운영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동작의 주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서비스 운영자는 이하 '영상 통합 고객센터'로 호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영상 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10)은 영상 전송 모듈(110)을 포함하여 영상 통합 고객 센터에 음성 통화와 함께 영상을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100) 및 모바일 단말로부터 음성 및 영상을 제공받는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를 포함한다.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음성 통화를 수신하는 전화 수신 모듈(210),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영상 수신 모듈(220), 전송받은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모듈(230), 및 영상 전송 프로그램 관리 모듈(240)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에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100)은 기존의 전화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는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종래 사용하던 콜센터 번호를 제공하고, 또한, 익숙한 형태인 음성 통화를 제공하여 사용자에 대해 새로운 서비스 이용에 대해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다.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는 전화 수신 모듈(210)을 통하여 종래 음성 제공 방법으로 모바일 단말(100) 사용자와 전화 상담을 수행한다. 전화 상담 도중 모바일 단말(100) 사용자 측의 영상이 필요한 경우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는 영상 수신 모듈(210)로부터 영상 전송 모듈 구동 명령을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한다.
영상 전송 모듈 구동 명령을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영상 전송 모듈(110)을 구동하여 영상 수신모듈(220)로 영상을 전송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100)은 영상 전송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영상 전송 모듈(110)을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 전송 프로그램은 영상 전송 프로그램 관리 모듈(240)로부터 다운로드 되거나, 앱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영상 전송 프로그램 다운로드에 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모바일 단말(100)에서 구동되는 영상 전송 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100)의 백그라운드 상태로 실행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이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로 음성 통화를 수행할 때 영상 전송 프로그램이 같이 구동되어 비활성 상태로 대기하다가, 영상 수신 모듈(220)로부터 영상 전송 모듈 구동 명령을 수신하여 활성화 될 수 있다. 이때, 영상 전송 모듈 구동 명령은 음성 신호로 변조되어 음성통화를 통해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전송 모듈 구동 명령에 영상 수신모듈(220)의 주소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영상 전송 프로그램이 음성 통화 내용을 듣고 있다가, 영상 전송 모듈 구동 명령에 의해 영상 전송 모듈을 활성화 시키고 영상 수신모듈(220)의 주소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 수행중인 음성 통화에 영상 전송 모듈 활성화 명령을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대기중인 영상 전송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활성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로 전송되는 영상은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포함한다.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은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의 요청에 의해 선택된다. 이때,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의 화질 또한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의 요청에 의해 선택된다.
즉,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에서 모바일 단말(100)에 영상을 요청하는 영상 전송모듈 구동 명령을 전송한 경우, 모바일 단말(100)은 영상 전송 모듈(110)을 구동하여 영상을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전송되는 영상은 처음부터 고화질일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에서 자동차 사고를 접수받는 경우 사고 차량의 위치 관계와 같이 전반적인 현장 분위기를 전송하는 경우 저화질의 영상만으로도 충분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사고 부분의 세밀한 영상이 필요한 경우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는 저 화질의 영상을 수신하다가, 고화질일 필요가 있는 부분에서 모바일 단말(100)로 고화질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간 접촉 사고인 경우 접촉 사고 부분의 페인트 밀림 방향을 참고하여 가해 차량과 피해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데,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이 접촉사고 부분을 전송할 때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는 고화질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범퍼 부분의 고화질 정지 영상 또는 고화질의 동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는 필요한 상황에서만 고화질의 영상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100) 내지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의 네트워크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케 한다.
도 3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송 프로그램 다운로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로부터 직접 영상 전송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 흐름도이다. S30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0)이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에 전화 통화를 수행하면 영상 전송 프로그램 관리 모듈(240)이 모바일 단말(100) 영상 전송 프로그램 다운로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전송 프로그램 다운로드 안내 메시지는 영상 전송 프로그램 관리 모듈(240)의 프로그램 다운로드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0)이 영상 전송 프로그램 관리 모듈(240)로 프로그램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이어서, S30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0)이 영상 전송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다.
도 4는 앱스토어를 통하여 영상 전송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 흐름도이다.
S40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0)이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에 전화 통화를 수행하면 영상 전송 프로그램 관리 모듈(240)이 모바일 단말(100) 영상 전송 프로그램 다운로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전송 프로그램 다운로드 안내 메시지는 앱스토어의 영상 전송 프로그램 다운로드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430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0)이 앱스토어로 영상 전송 프로그램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이어서, S40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0)이 영상 전송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콜센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2의 영상 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을 시계열 적으로 구현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모바일 단말(100), 영상 전송 모듈(110), 영상 통합 고객 센타(200), 전화 수신 모듈(210), 영상 수신 모듈(220), 영상 저장 모듈(230) 및 영상 전송 프로그램 관리 모듈(240)에 대하여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콜센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음성 통화 단계(S501), 영상 전송 요청 제1 단계(S502) 및 영상 전송 요청 제2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에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100)은 기존의 전화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영상 통합 고객 센터(200)는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종래 사용하던 콜센터 번호를 제공하고, 또한, 익숙한 형태인 음성 통화를 제공하여 사용자에 대해 새로운 서비스 이용에 대해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다.
S501 단계에서 영상 통합 고객 센터는 전화 수신 모듈을 통하여 종래 음성 제공 방법으로 모바일 단말 사용자와 전화 상담을 수행한다. 전화 상담 도중 모바일 단말 사용자 측의 영상이 필요한 경우 영상 통합 고객 센터는 영상 수신 모듈로부터 영상 전송 모듈 구동 명령을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
S502 단계에서, 영상 전송 모듈 구동 명령을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은 영상 전송 모듈을 구동하여 영상 수신모듈로 영상을 전송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은 영상 전송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영상 전송 모듈을 제어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로부터 영상 통합 고객 센터로 전송되는 영상은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포함한다.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은 영상 통합 고객 센터의 요청에 의해 선택된다. 이때,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의 화질 또한 영상 통합 고객 센터의 요청에 의해 선택된다.
즉, 영상 통합 고객 센터에서 모바일 단말에 영상을 요청하는 영상 전송모듈 구동 명령을 전송한 경우, 모바일 단말은 영상 전송 모듈을 구동하여 영상을 영상 통합 고객 센터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전송되는 영상은 처음부터 고화질일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통합 고객 센터에서 자동차 사고를 접수받는 경우 사고 차량의 위치 관계와 같이 전반적인 현장 분위기를 전송하는 경우 저화질의 영상만으로도 충분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사고 부분의 세밀한 영상이 필요한 경우 영상 통합 고객 센터는 저 화질의 영상을 수신하다가,
S503 단계에서, 고화질일 필요가 있는 부분에서 모바일 단말로 고화질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간 접촉 사고인 경우 접촉 사고 부분의 페인트 밀림 방향을 참고하여 가해 차량과 피해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이 범퍼 부분을 전송할 때 영상 통합 고객 센터는 고화질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접촉 하고 부분의 고화질 정지 영상 또는 고화질의 동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통합 고객 센터는 필요한 상황에서만 고화질의 영상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 내지 영상 통합 고객 센터의 네트워크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모바일 단말
110 : 영상 전송 모듈
200 : 영상 통합 고객센터
210 : 전화 수신 모듈
220 : 영상 수신 모듈
230 : 영상 저장 모듈
240 : 영상 전송 프로그램 관리 모듈

Claims (8)

  1. 영상 전송 모듈을 포함하여 영상 통합 고객 센터에 음성 통화와 함께 영상을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음성 및 영상을 제공받는 영상 통합 고객 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통합 고객 센터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음성 통화를 수신하는 전화 수신 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영상 수신 모듈;
    상기 전송받은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모듈; 및
    모바일 단말이 영상 전송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영상 수신 모듈로 영상을 전송케 하는 영상 전송 프로그램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영상 전송 프로그램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콜센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영상 수신 모듈로부터 영상 전송 모듈 구동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 전송 모듈을 구동하는 콜센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 통합 고객 센터로 전송되는 영상은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영상 통합 고객 센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정지화상 또는 상기 동영상 중에서 선택되어 전송되는 콜센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상기 영상 통합 콜센터로부터 수신된 고화질 요청 신호에 의해 상기 영상의 해상도 내지 화질이 결정되는 콜센터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송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백그라운드(back ground)상태로 실행되고, 상기 영상 전송 모듈 구동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을 영상 수신 모듈로 전송하는 콜센터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송 모듈 구동 명령은 음성 신호로 변조되어 상기 음성 통화를 통해 전송되는 콜센터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송 프로그램은 상기 영상 전송 프로그램 관리모듈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영상통합 고객센터에 음성 통화 발신시 다운로드 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이 앱스토어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 전송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 콜센터 시스템.
  8. 모바일 단말이 영상 통합 고객 센터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음성 통화 단계; 및
    상기 영상 통합 고객 센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담 내용 정황 파악에 사용되는 저화질 동영상을 요청하는 제 1단계;
    상기 상담 내용의 세부적인 확인에 사용되는 고화질 정지 영상을 요청하는 제 2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콜센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043081A 2012-04-25 2012-04-25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 KR20130120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081A KR20130120090A (ko) 2012-04-25 2012-04-25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081A KR20130120090A (ko) 2012-04-25 2012-04-25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090A true KR20130120090A (ko) 2013-11-04

Family

ID=4985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081A KR20130120090A (ko) 2012-04-25 2012-04-25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00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864B1 (ko) 2021-09-16 2022-10-28 주식회사 나로수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디바이스
KR102572430B1 (ko) * 2022-06-22 2023-08-30 (주)와이즈에이아이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864B1 (ko) 2021-09-16 2022-10-28 주식회사 나로수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디바이스
KR102572430B1 (ko) * 2022-06-22 2023-08-30 (주)와이즈에이아이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4548B2 (en) Method for closing a communication link
Ferzli et al. Mobile cloud computing educational tool for image/video processing algorithms
CN101789997A (zh) 蓝牙链接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1044690A (zh) 用于在即按即说系统中传输图形数据的系统和方法
CN107608647A (zh) 一种投屏方法、系统、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1363425A3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possibility to notifying an incommunicable state, device and method therefore
CN101227490B (zh) 网络存储方法及系统
CN106254468B (zh) 一种用于智能后视镜的控制系统及方法
CN103379229A (zh) 一种用于专家座席的数据传送方法及系统
CN114285816B (zh) 语音通话过程中唤起即时消息交互的方法及系统
CN110366160B (zh) 一种基于云服务器的多sim卡集群读卡通话方法及系统
KR20130120090A (ko) 영상통화 지원 콜센터 시스템
KR102572430B1 (ko) 영상통화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14301789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US20150085813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internet call service
CN110213730A (zh) 通话连接的建立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01800933A (zh) 一种ptt通话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11556208B (zh) 一种客服在线转接的方法及装置
JP2015036871A (ja) 車両管理システム
US10602412B2 (en) Management of voice conversations with switching among different communication techniques
KR101667657B1 (ko) 모바일 폰과 고객관계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고객통신 서비스 방법
KR101169062B1 (ko)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N111355853A (zh) 呼叫中心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2011010850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10825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