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8251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8251A
KR20090108251A KR1020080033579A KR20080033579A KR20090108251A KR 20090108251 A KR20090108251 A KR 20090108251A KR 1020080033579 A KR1020080033579 A KR 1020080033579A KR 20080033579 A KR20080033579 A KR 20080033579A KR 20090108251 A KR20090108251 A KR 20090108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received
additional
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3686B1 (ko
Inventor
조보욱
정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3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68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8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68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사용중인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 전달 시, 메시지의 착신 번호가 해당 이동통신 단말에 부여된 복수의 전화번호 중 어느 전화번호에 해당하는지 인지하고, 추가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메시지 내 사용자 데이터의 특정 위치에 이를 나타내는 소정의 값을 기록한다. 이에 따라,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사용중인 이동통신 단말은 메시지 수신 시마다,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메시지가 부여 받은 복수의 전화번호 중 어느 전화번호에 해당하는지 인지하고, 해당하는 전화번호의 메모리에 수신한 메시지를 저장한다.
다중 전화번호, SMS, MMS, 단문 메시지, 이동통신 시스템, TP-UD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ssage ser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로 복수개의 전화번호를 부여 받아 사용하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개발되어 사용자들에게 이동통신 단말을 통한 다양한 삶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 중에는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로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가 있다. 대부분의 이동통신 가입자는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에 하나의 전화번호를 부여 받아 사용하는데, 최근 사생활 보 호 측면에서 또는 업무상의 필요에 의해 일부 사용자들은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을 두 개 이상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여러 개의 이동통신 단말은 휴대하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단말을 구입해야 하고 이용 요금도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최초 가입 시 부여 받은 기본 전화번호 외에 변경이나 해지가 용이한 추가 전화번호를 부여 받아 발신 및 착신을 수행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로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부여 받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소록, 전화번호 목록, 착/발신 통화기록, 메시지 보관함 등의 부가 기능을 전화번호 별로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 서비스 이용 시, 수신된 메시지가 기본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 중 어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수신된 것인지 효과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에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부여 받아 사용하는 경우, 수신되는 메시지를 각 전화번호 별로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시용중인 단말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로 메시지 전달이 요청되면, 상기 단말에 부여된 복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착신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착신 번호가 상기 단말에 추가로 부여된 추가 전화번호인 경우, 전달할 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에 기 설정된 값을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값이 기록된 메시지를 상기 단말의 기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시용중인 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은,
수신된 메시지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기 설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이 부여 받은 복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착신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번호에 대응하는 저장 영역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시용중인 단말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상기 단말에 부여된 기본 전화번호에 하나 이상의 추가 전화번호를 매칭하여 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 및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이 요청되면, 전달할 메시지 내의 사용자 데이터에 기 설정된 값을 기록하고, 상기 기 설정된 값이 기록된 메시지를 상기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홈 위치등록기로부터 읽어온 기본 전화번호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달하는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은,
기본 전화번호로 수신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영역; 상기 기본 전화번호 외에 추가로 부여 받은 추가 전화번호로 수신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영역; 및 수신된 메시지 내의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착신 번호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착신 번호에 기초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제1 메모리 영역 또는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메모리 분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이용중인 이동통신 단말은 수신된 메시지가 기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수신된 것인지 추가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수신된 것인지 쉽게 인지하고, 수신되는 메시지를 전화번호 별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아래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서비스에 최초 가입 시 부여 받은 전화번호를 '기본 전화번호'라 명명하여 사용하고, 기본 전화번호 외에 추가로 부여 받아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추가 전화번호'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보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이하 '발신 단말'이라 칭함)(110), 착신 이동통신 단말(이하 '착신 단말'이라 칭함)(120), 무선 접속망(130),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140),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150),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서버(160) 및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170)를 포함한다.
발신 단말(110) 및 착신 단말(120)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세션 설정 요청에 따라, 자동적으로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비롯하여 각종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착신 단말(120)은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로서, 기본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를 부여 받아 각 전화번호 별로 독립된 인터페이스 화면 및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발신 단말(110)로부터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메시지가 어느 전화번호로 수신되는 것인지 인지한다. 그리고, 해당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의 메모리 영역에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고, 해당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메시지 수신 아이콘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린다.
무선 접속망(130)은 이동통신 단말(110, 12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기지국 (BTS/RTS), 기지국 및 링크(Link)를 관리하고 호 설정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SC/RNC)를 포함한다.
MSC(140)는 무선 접속망(130)에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110, 120)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처리, 다른 네크워크, 즉 공중망 등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MSC(140)는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한 가입자의 위치 및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 및 관리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를 포함한다.
HLR(150)는 가입자 정보, 가입자 별 부가 서비스 정보 및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특히, HLR(150)은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서버(160)로부터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기본 전화번호에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매칭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서버(160)는, 가입자에게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를 HLR(150)로 전달한다.
따라서, 발신 단말(110)이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받는 착신 단말(120)의 추가 전화번호를 통해 음성 통화 또는 메시지 전송을 시도할 경우, HLR(150)은 우선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120)의 기본 전화번호를 조회하고, MSC(140)는 착신 단말(120)의 기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20)의 호를 연결한다. 이때, 착신 단말(120)로 유입되는 호에는 착신 단말의 추가 전화번호와 발신 단말(110)의 전화번호가 포함된다. 따라서, 착신 단말(120)은 발신 단말(110)의 전화번호를 발신자 정보로 표시하되, 해당 착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로 유입된 호임을 인지하여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대응하는 메모리에 통화기록 또는 수신한 메시지를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HLR(150)이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기본 전화번호에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매칭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에서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서버(160)가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를 기본 전화번호에 매칭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방법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서버(160)는 발신 단말(110)이 착신 단말(120)의 추가 전화번호를 통해 음성 통화 또는 메시지 전송을 시도할 경우, 착신 단말(120)의 기본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이를 HLR(15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시지 서비스 센터(17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110, 120)과 다양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미도시) 간에 숫자, 문자, 멀티미디어 등을 양방향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메시지 서비스 센터(170)는 전달할 메시지가 수신되면, 우선 착신 번호가 추가 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착신 번호가 추가 전화번호일 경우 메시지 내 사용자 데이터의 특정 위치에 이를 알리는 소정의 값을 기록하고,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기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한다. 여기서, 메시지 서비스 센터(170)는 실시 형태에 따라 수신되는 메시지가 기본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 중 어느 전화번호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HLR(150) 또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서버(16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번호가 추가 전화번호인 경우, 대응하는 기본 전화번호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HLR(150) 또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서버(160)로부터 가져올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서 수신하는 메시지 데이터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이 수신하는 단문 메시지를 예로 든 것이다.
표 1. 메시지 포맷
Figure 112008025900840-PAT00001
표 1을 보면, TP-PID(TP-Protocol Identifier), TP-DCS(TP-Data Coding Scheme), TP-UD(TP-User Data)는 각각 메시지 속성, 사용자 데이터(User Data)의 데이터 코딩 방법, 사용자 데이터 등이 포함되는 필드이다. 착신 단말(120)은 단문 메시지 수신 시, TP-PID에 따라 메시지 속성을 구분하고, TP-DCS와 TP-UD 데이터의 시작부분을 분석하여 해당 메시지가 기본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 중 어느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지 인지한다. 예를 들어, TP-DCS 필드가 '0x0C'이고, TP-UD 필드의 시작부분이 '0x0F'이면 해당 메시지가 추가 전화번호로 수신된 메시지임을 인지한다. 반면에, TP-DCS 필드가 '0x0C'이고, TP-UD 필드의 시작부분이 '0x0F'이외의 값인 경우에는 해당 메시지가 기본 전화번호로 수신된 메시지임을 인지한다.
한편, 수신되는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메시지인 경우, 착신 단말(120)은 TP-DCS 필드가 '0x0C'이고, TP-UD 필드 내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제목 사이에 '0x20(space)0x0F'가 삽입되어 있으면 해당 메시지가 추가 전화번호로 수신된 메시지임을 인지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풀(PULL) 장문 메시지(Long Message Service)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되는 메시지 내 사용자 데이터의 특정 위치에 해당 메시지가 추가 전화번호와 가상 전화번호 중 어느 전화번호에 해당하는지 기록하는 방법은, 착신 단말(120)에서 메시지 내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 만으로 해당 메시지가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것인지 기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것인지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종류로 풀 장문 메시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종류가 푸쉬(PUSH) 장문 메시지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 내에 착신 번호를 알리는 소정의 값이 삽입되는 대신, HTTP 헤더 필드 중 특정 필드(m_Twonumindicator 필드)에 착신 번호가 추가 전화번호인지 아니면 기본 전화번호인지를 가리키는 값이 삽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동통 신 단말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를 보면,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은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10), 통화 호의 착/발신을 처리하는 제어부(220),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받기 위한 입력부(230),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40), 사용자에게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250) 및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26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무선 접속망(130)을 통해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220)는 이동통신 단말을 구동하고, 이동통신 단말의 전체적인 작업 처리를 제어한다. 특히 통신부(210)를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통화 호 착/발신 작업을 처리하고, 또한 인터페이스부(250)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단말 내부의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 등을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하며, 마이크, 키패드 등의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표시부(240)는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단말에서 처리된 정보를 제공하며, 이동통신 단말의 처리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액정 표시장치, 발광 소자의 발광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발광램프, 진동 모터의 진동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진동장치, 벨소리나 사운드를 통하여 소리로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제1 인터페이스(251), 제2 인터페이스(252), 메시지 분석부(253) 및 전환부(254)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의 기본 기능과 다양한 부가 기능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인터페이스(251)는 이동통신 단말에 부여된 기본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로서, 후술할 메모리(260)에 독립된 저장 영역을 할당 받아 기본 전화번호에 관련된 단말 기능과 부가 기능을 이 영역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제2 인터페이스(252)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에 추가로 부여된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로서, 제1 인터페이스(251)와 마찬가지로 독립된 저장영역을 할당 받아 추가 전화번호에 관련된 단말 기능과 부가 기능을 이 영역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상기 각 인터페이스(251, 252)에는 배경화면, 벨소리, 진동/발광 여부 등의 단말기 설정 값들이 독립적으로 설정하며,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서로 다르게 표시한다. 이는 기본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에 따라 배경화면, 벨소리, 진동/발광 여부가 각각 서로 독립되어 적용되고,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 등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기본 전화번호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추가 전화번호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은 모양이나 색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메시지 분석부(253)는 이동통신 단말이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이용 중인 경우, 수신되는 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의 특정 위치를 참조하여 해당 메시지가 기본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 중 어느 전화번호로 수신되는 것인지 인지하고, 해당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메모리 영역에 수신된 메시지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또한, 메시지 수신 시 활성화 상태인 인터페이스(제1 인터페이스(251) 또는 제2 인터페이스(252))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린다. 이에 따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통보 받은 인터페이스(제1 인터페이스(251) 또는 제2 인터페이스(252))는 메시지가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메시지 수신 아이콘 등을 이용하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한다. 이때,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인터페이스(251)와 제2 인터페이스(252)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터페이스(25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추가 전화번호로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 분석부(253)는 수신된 메시지를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제2 인터페이스(252)로 알린다. 이에 따라, 제2 인터페이스(252)는 추가 전화번호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이때, 아이콘은 기본 전화번호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표시되는 아이콘과는 모양 또는 색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전환부(254)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모드(기본 전화번호 모드 또는 추가 전화번호 모드) 선택에 기초해 제1 인터페이스(251)와 제2 인터페이스(252)를 서로 전환시키고,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 모드에 따라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제1 인터페이스(251) 또는 제2 인터페이스(252))를 활성화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환부(254)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조작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두 인터페이스의 전환을 실시한다.
메모리(260)는 이동통신 단말의 구동에 관련된 데이터와 단말의 기본 기능 및 부가 기능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260)는 제1 영역(261) 및 제2 영역(262)으로 저장 영역이 구분되는데, 제1 영역(261)은 제1 인터페이스(251)가 관리하고, 제2 영역(262)은 제2 인터페이스(252)가 관리한다. 여기서, 각 영역(261, 262)으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기본 기능과 부가 기능 관련 데이터는, 주소록 데이터, 전화번호 목록 데이터, 메시지 보관함, 데이터 및 통화기록 데이터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기본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다양한 데이터(예로서, 카메라 앨범 데이터)가 각 영역에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은 기본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에 각각 대응되는 인터페이스와 이에 따른 독립된 저장영역을 구비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에게 마치 두 개의 기기를 사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 메모리(260)는 세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즉, 제1 인터페이스(251)에 의해 관리되는 제 1 영역, 제2 인터페이스(252)에 의해 관리되는 제 2 영역, 그리고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251, 252)가 공유하는 공유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통화 기록(음성 통화 및 메시지에 대한 수신, 발신 기록), 수신/발신 메시지, 주소록,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동영상 등 전화번호 별로 구분되어 별도로 저장되는 데이터들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각각 분리 저장되고, 벨소리/효과음/그림/다운로드 파일 등의 컨텐츠와 모닝콜/알람/일정관리 등 전화번호 별로 구분될 필요가 없는 데이터는 공유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공유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는 어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도 접근 및 관리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보면, 우선, 발신 단말(110)이 무선 접속망(130)을 통해 메시지 전송 을 요청하면(S101), 메시지 서비스 센터(170)는 해당 메시지의 착신 번호가 착신 단말(120)의 추가 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S102). 이때, 메시지 서비스 센터(170)는 착신 번호가 착신 단말(120)의 기본 전화번호인지 추가 전화번호인지에 대한 정보를 실시 형태에 따라 HLR(150) 또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서버(16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번호가 추가 전화번호인 경우, 메시지 전달을 위해 대응하는 기본 전화번호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HLR(150) 또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서버(160)로부터 가져올 수 있다.
이후, 메시지 서비스 센터(170)는 착신 번호가 착신 단말(120)의 기본 전화번호인 경우, 착신 단말(120)의 기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착신 단말(120)로 전달한다(S103).
반면에, 착신 번호가 착신 단말(120)의 추가 전화번호인 경우, 메시지 서비스 센터(17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내 사용자 데이터의 특정 위치에 이를 알리는 소정의 값을 기록하고(S104), 착신 단말(120)의 기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메시지를 착신 단말(120)로 전달한다(S105). 예를 들어, 전달하는 메시지가 단문 메시지이고, 착신 번호가 추가 전화번호인 경우, TP-UD 필드의 시작 부분에 0x0F를 기록한다.
한편, 메시지 서비스 센터(170)로부터 메시지를 전달 받은 착신 단말(120)은 해당 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신된 메시지의 착신 번호가 기본 전화번호인지 추가 전화번호인지 판별한다(S106). 예를 들어, 수신한 메시지가 단문 메시지이고, 메시지 내 TP-DCS 필드가 0x0C이고, TP-UD 필드의 시작 부분이 0x0F이 면, 해당 메시지는 추가 전화번호로 수신된 것임을 인지한다.
착신 번화가 판별되면, 착신 단말(120)은 해당 전화번호의 저장 영역에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고,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표시 방법으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S107).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7)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시용중인 단말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메시지 전달이 요청되면, 상기 단말에 부여된 복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착신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착신 번호가 상기 단말에 추가로 부여된 추가 전화번호인 경우, 전달할 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에 기 설정된 값을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값이 기록된 메시지를 상기 단말의 기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전달할 메시지 내의 사용자 데이터의 시작부분에 상기 기 설정된 값을 기록하는 단계인 메시지 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전달할 메시지 내의 사용자 데이터의 유알엘과 제목 사이에 상기 기 설 정된 값을 기록하는 단계인 메시지 서비스 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부여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상기 착신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인 메시지 서비스 방법.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부여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착신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인 메시지 서비스 방법.
  6.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시용중인 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메시지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기 설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이 부여 받은 복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착신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번호에 대응하는 저장 영역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번호가 기본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제1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번호가 추가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제1 저장 영역과 분리된 제2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번호에 대응하는 메시지 표시 방법으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모드로 동작 중에 상기 추가 전화번호로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메시지 표시 방법으로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단계인 메시지 수신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위치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시작 부분 또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내의 유알엘과 제목 사이에 해당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인 메시지 수신 방법.
  12.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시용중인 단말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부여된 기본 전화번호에 하나 이상의 추가 전화번호를 매칭하여 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 및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이 요청되면, 전달할 메시지 내의 사용자 데이터에 기 설정된 값을 기록하고, 상기 기 설정된 값이 기록된 메시지를 상기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홈 위치등록기로부터 읽어온 기본 전화번호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달하는 메시지 서비스 센터
    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13. 기본 전화번호로 수신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영역;
    상기 기본 전화번호 외에 추가로 부여 받은 추가 전화번호로 수신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영역; 및
    수신된 메시지 내의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착신 번호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착신 번호에 기초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제1 메모리 영역 또는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메모리 분석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시작부분 또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내의 유알엘과 제목 사이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착신번호를 판별하는 이동통신 단말.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기본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모드에서 활성화되며, 상기 기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모드에서 활성화되며, 상기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 인터페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분석부는 상기 판별된 착신 번호에 기초해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중 하나에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것이 특징인 이동통신 단말.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표시 방법으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추가 전화번호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
KR1020080033579A 2008-04-11 2008-04-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 KR101033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579A KR101033686B1 (ko) 2008-04-11 2008-04-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579A KR101033686B1 (ko) 2008-04-11 2008-04-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251A true KR20090108251A (ko) 2009-10-15
KR101033686B1 KR101033686B1 (ko) 2011-05-12

Family

ID=4155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579A KR101033686B1 (ko) 2008-04-11 2008-04-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6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848A (ko) * 2009-12-15 2011-06-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 기반한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이동통신 단말기
WO2016208929A1 (ko) * 2015-06-25 2016-12-29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번호 서비스를 위한 통신 단말 및 그 통신 단말의 정보 구분 표시 방법
CN107810628A (zh) * 2015-06-25 2018-03-16 株式会社 Kt 用于多个号码服务的通信终端及该通信终端的信息区分显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429B1 (ko) * 2002-09-26 2005-10-11 인포뱅크 주식회사 이동통신 복수전화번호서비스에서 단문메시지 전송
KR100784264B1 (ko) * 2006-08-16 2007-12-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부여받은 이동통신 단말기의메시지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848A (ko) * 2009-12-15 2011-06-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 기반한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이동통신 단말기
WO2016208929A1 (ko) * 2015-06-25 2016-12-29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번호 서비스를 위한 통신 단말 및 그 통신 단말의 정보 구분 표시 방법
CN107810628A (zh) * 2015-06-25 2018-03-16 株式会社 Kt 用于多个号码服务的通信终端及该通信终端的信息区分显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686B1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655B1 (ko) 이동 호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호출영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6757533B2 (en) Rich calling line handling in call setup signalling
US8346222B2 (en) Alternate voicemail deposit notification for roaming mobile devices
US20090022301A1 (en) Mobile services
EP24322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access customer service
KR20040053341A (ko) 다수의 사용자에게 음성메일 메시지 송신
US8032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101903450B1 (ko) 통신 기반 서비스 기능 운용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단말기
US10453160B2 (en) Embeddable communications software module
CN104811562A (zh) 被叫来电时所要呈现内容的传输方法、发送和接收方法
KR100779369B1 (ko)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가입, 변경 및 해지 방법
KR20080077897A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103368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
WO2010143784A1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944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면 제어 사진 송신 방법
KR100727096B1 (ko) 모바일 단말에서의 콜 발신/수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426290B1 (ko)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장치 및 모바일 장치의 자동 응답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893204B1 (ko) 컨텐츠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28440A (ko) 다중 매체간의 착신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10137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 내용 전송 방법
KR20050091247A (ko) 이동단말기에서의 음성메시지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과,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음성메시지 전송서비스시스템 및그 방법
KR20050020320A (ko) 통화중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685870B1 (ko) 음성 사서함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메시지 운용 시스템 및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