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158B1 -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및 서버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및 서버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158B1
KR101535158B1 KR1020140006172A KR20140006172A KR101535158B1 KR 101535158 B1 KR101535158 B1 KR 101535158B1 KR 1020140006172 A KR1020140006172 A KR 1020140006172A KR 20140006172 A KR20140006172 A KR 20140006172A KR 101535158 B1 KR101535158 B1 KR 101535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user
smart devic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김상민
최원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티스
Priority to KR102014000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및 서버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스마트 기기는 전화 통화의 시작과 동시에 상기 전화 통화의 녹취를 수행하여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는 녹취 제어부; 및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녹취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및 서버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Smart device capable of recording phone call,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mart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과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 통화와 동시에 녹취를 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과 서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의 발전은 기존 통화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PC 상에서 동작하는 것처럼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실행 가능한 서비스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런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게임, 쇼핑, 소셜 네트워크가 새로운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개인 대 개인, 개인 대 기업, 기업 대 기업으로서 서비스 범위가 광범위해지고 있다.
이처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급격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기본 통화기능을 응용한 시장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보이스 피싱 같은 법적 피해 상황이 증가함에 따라 누구나 통화 내용을 쉽게 녹취할 수 있는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녹취 시스템은 은행, 보험사, 증권사, 신용 정보사 등 기업을 대상으로, 법적 효력을 위해 PSTN 망을 통한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방식이었다. 즉, 기존의 통화를 녹취하는 기술들은 대부분 유선 상에서의 전화 통화일 경우에만 가능했었고, 콜 센터의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와 연동하여 상담원과 고객과의 통화 내용을 기록, 저장, 검색, 청취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고가의 구축비용, 운영비용 및 설치 공간 등의 하드웨어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콜 센터에서 녹음된 통화 녹음 데이터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유용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인터넷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인터넷 음성 전화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다. VoIP는 기존의 PSTN 시스템에 IP를 추가하여 영상 통화와 같은 인터넷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포함하는 음성 전화 서비스를 지원한다.
VoI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신규약 및 패킷 전송 방법, 코덱 등이 필요하다. 이중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는 전화를 걸고 받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토콜로써 전화식별번호, 전화걸기, 통화대기 등 초기의 호를 설정하기 위한 텍스트 기반 프로토콜이다. SIP에 의해 고객과 상담원의 호가 설정되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를 이용하여 실제 음성 데이터를 특정 시간 단위로 분리하여 패킷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RTP 데이터를 분석하면 음성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하고 통화 내용을 녹음할 수 있다.
또한, mVoIP(Mobile VoIP)는 3G,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Fi(Wireless Fidelity)등의 무선 네트워크, 즉 모바일 환경에서 인터넷 전화가 가능한 서비스이다. mVoI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기기에 모바일 인터넷 전화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다른 mVoIP폰, 유선 VoIP폰, 일반전화 및 핸드폰 사용자와 통화 가능한 서비스이다. 즉, mVoIP는 VoIP를 기반으로 표준 SIP 클라이언트를 스마트폰에 적합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따라서 SIP는 IP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 즉, EVDO(Evolution-Data Optimized),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등에서 동작 가능하다.
최근 모바일 클라이언트 요청증가로 인하여 스트리밍 미디어 객체를 관리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새로운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안드로이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중 통화내용을 로컬(사용자) 스마트폰에 녹취하고 각 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인 컴퓨터에 업로드/다운로드가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전화 통화와 동시에 녹취 기능이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녹음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해야 녹취가 가능한 단점이 있으며, 녹취 데이터를 로컬(사용자) 스마트폰에 저장하는 기능은 있으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웹 서버에 저장, 열람, 재생, 관리하는 방식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동 중에 스마트 기기로 통화 내용을 자동 녹취할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녹취 데이터를 웹 상에 업로드/다운로드 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과 서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화 통화의 시작과 동시에 상기 전화 통화의 녹취를 수행하여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는 녹취 제어부; 및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녹취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전화 통화는 공중 전화망(PSTN) 통화 및 음성패킷망(VoIP) 통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취 제어부는, 상기 녹취의 시작 시점, 상기 녹취의 종료 시점, 녹취 데이터의 용량, 녹취 날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1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전화 통화의 상대방인 제2 사용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데이터를 더 생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부가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더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녹취 데이터 및 상기 부가 데이터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주소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녹취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주소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주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주소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녹취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녹취 제어부는, 상기 녹취의 종료 시점에서 상기 녹취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팝업 메뉴를 이용하여 녹취를 취소시킬 수 있다.
상기 녹취 제어부는, 기본 그룹, 화이트리스트 그룹 및 블랙리스트 그룹으로 구분하여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기본 그룹은 자동으로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화이트리스트 그룹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으로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블랙리스트 그룹은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화 통화의 녹취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있어서, 다수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화 통화의 녹취와 관련된 녹취 데이터 및 상기 녹취 데이터와 관련된 부가 데이터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다수의 스마트 기기에 대한 상기 녹취 데이터와 상기 부가 데이터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화 통화가 시작과 동시에 상기 전화 통화의 녹취를 수행하여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녹취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 중에 스마트 기기로 통화 내용을 자동 녹취할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녹취 데이터를 웹 상에 업로드/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저장부에 저장된 부가 데이터의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관리 서버에 로그인한 장치가 업로드한 녹취 데이터를 검색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기기(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110)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시스템(100)은 스마트 기기(110), 상대방 기기(120) 및 관리 서버(130)를 포함한다.
스마트 기기(11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이 전화 통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전화 통화의 녹취" 역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대방 기기(120)는 스마트 기기(110)와 서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일반적인 PC 등과 같은 VoIP 통화/mVoIP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내지 일반적인 전화기 같은 공중 전화망(PSTN)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30)는 전화 통화의 녹취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관리 서버(130)는 스마트 기기(110), 상대방 기기(120) 및 기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일례로, 일반적인 PC)와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스마트 기기(110)의 사용자(이하, "제1 사용자"라 함)가 이동 중인 상태에서 상대방 기기(120)를 소지하는 다른 사용자(이하, "제2 사용자"라 함)의 전화 통화 내용을 녹취하고, 녹취 내용을 보관하기 위하여 어떻게 서버 전송하고, 저장된 녹취 내용을 검색, 열람 및 재생하며, 녹취 내용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1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110)는 녹취 제어부(111) 및 무선 통신부(112)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녹취 제어부(111)는 전화 통화의 시작과 동시에 전화 통화의 녹취를 수행하여 녹취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화 통화는 공중 전화망(PSTN) 통화 및 음성패킷망(VoIP) 통화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110)의 제1 사용자는, 전화 통화 도중에 녹음 기능을 따로 선택할 필요가 없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실행 특징을 이용하여, 상대방 기기(120)의 제2 사용자와의 전화 통화를 녹취할 수 있다.
녹취 준비를 위해, 녹취 제어부(111)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온(on)시키고, 녹취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버퍼를 준비하며, 기타 스마트 기기(110)의 하드웨어 상태를 체크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녹취 제어부(111)는 녹취 데이터와 함께 부가 데이터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데이터는 녹취 데이터와 대응되어 상기 녹취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가 데이터는 녹취의 시작 시점, 녹취의 종료 시점, 녹취 데이터의 용량, 녹취 날짜, 스마트 기기(110)의 제1 사용자의 정보 및 상대방 기기(120)의 제2 사용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의 정보는 스마트 기기(110)의 주소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110)의 주소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녹취 제어부(111)는 주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주소 데이터베이스에는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회사, 직책,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 메모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반대로, 제2 사용자가 주소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녹취 제어부(111)는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만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는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제2 사용자가 녹취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녹취 제어부(110)는 녹취의 종료 시점에서 녹취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110)가 전화 통화의 시작과 동시에 전화 통화의 녹취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제2 사용자에게 녹취의 동의를 구하지 못하면, 녹취 제어부(111)는 녹취의 종료 시점에서 녹취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팝업 메뉴를 이용하여 녹취를 취소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녹취 제어부(111)는, 기본 그룹, 화이트리스트 그룹 및 블랙리스트 그룹으로 구분하여 녹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기본 그룹은 자동으로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룹으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자동 녹취 기능이 기본 그룹에 적용된다. 그리고, 화이트리스트 그룹은 스마트 기기(110)의 제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으로 녹취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화이트리스트 그룹은 녹취 시작 시점에서 녹취를 수행할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팝업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블랙리스트 그룹은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 그룹으로서, 팝업 메뉴의 출력없이 녹취가 수행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무선 통신부(112)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녹취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녹취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관리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서, 녹취 데이터는 AES128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즉, 전송 중에 녹취 데이터가 훼손되거나 손실 위험이 있으므로, 통화 내용이 녹취되는 동시에 데이터에 대한 인코딩 기술을 적용하여 녹취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녹취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외부 유출시에도 고객의 정보 확인 및 청취가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녹취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압축되어 전송될 수 있다.
계속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녹취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수신한 관리 서버(130)는 상기 데이터들을 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는 통신부(131) 및 저장부(132)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신부(131)는 다수의 스마트 기기(110)로부터 전화 통화의 녹취와 관련된 녹취 데이터 및 상기 녹취 데이터와 관련된 부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때, 통신부(131)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2)는 다수의 스마트 기기에 대한 녹취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대응시켜 저장한다. 도 4는 저장부(132)에 저장된 부가 데이터의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31)는 일반적인 PC 같은 유선 네트워크 통신 장치 및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들을 다운로드(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PC 또는 스마트 기기에서 녹취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검색, 열람, 재생 및 관리할 수 있다.
일례로, PC 또는 스마트 기기가 관리 서버(130)에 저장된 녹취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우, 관리 서버(130)는 다운로드를 요청한 장치(PC 또는 스마트 기기)의 정보를 가장 먼저 분석한다. 또한, 다운로드를 요청한 장치에서 요청한 날짜를 이용하여 녹취 데이터(음성파일 데이터베이스) 및 부가 데이터(통화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이를 패키지화하여 모바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다운로드를 요청한 장치는 패키지를 분석하여 녹취 데이터를 분리하고 파일에 저장한다. 만약 다운로드 받은 암호화된 녹취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 암호화된 녹취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압축을 해제하여 오디오 형식으로 변환하여 재생한다.
도 5는 관리 서버(130)에 로그인한 장치가 업로드한 녹취 데이터를 검색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검색 대상으로는 "기간 및 수신/발신 전화번호"를 이용하였고, 검색된 리스트에서 파일이나 메모를 클릭하면 통화내용을 듣거나 작성된 텍스트 메모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기기(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통화 도중 녹취에 대한 상대방의 동의가 이루어지면, 통화 종료 후 실행되는 팝업 메뉴에 의해 저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녹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도 6의 왼쪽 그림과 같이 녹취된 통화 리스트가 화면에 출력된다.
녹취된 통화 리스트에는 상대방(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통화 시간, 파일명이 표시된다. 또한, 녹취된 통화 리스트는 임시 저장된 음성 파일들로서 사용자가 설정 옵션에서 설정된 기간이 되면 자동 삭제된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110)에 장기간 저장하기 위해서는 해당 녹취 데이터를 클릭하여 도 6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보관"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파일 관리를 위한 상단의 녹음자료 메뉴에는 도 6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9개의 서브 메뉴가 있다. 이 메뉴를 통하여 녹취 데이터를 재생, 삭제, 영구 보관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메모를 작성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전화 연결 및 주소록 관리가 가능하며 지금까지 통화 이력을 조회할 수도 있다. 관리 서버(130)가 아닌 일반적인 PC, 메일 서버 등에 통화 이력을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WiFi 또는 이메일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특정인의 통화 내용이 중요한 경우에는 관리 서버(130) 상에 영구 저장해야 하며, 이 경우에는 상단의 "보관자료" 메뉴를 클릭하면, 도 7의 왼쪽 그림과 같은 업로드 메뉴와 다운로드 메뉴가 출력된다. 여기서 업로드 메뉴를 클릭하면 관리 서버(130)에 있는 개인 리스트 중 어느 곳에 저장할지 선택하는 창이 출력된다. 여기서 원하는 리스트를 선택하여 하단의 업로드 메뉴를 클릭하면 웹 서버상에 업로드된다.
관리 서버(130)에 있는 녹취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해서는 도 7의 왼쪽 그림의 "다운로드"를 클릭한다. 그러면 도 8과 같은 다운로드 가능한 리스트가 표시된다. 리스트에서 저장할 통화 대상을 선택한 후 날짜별로 다운로드할 항목을 선택하여 다운로드를 실행한다.
그리고, 도 9는 녹취 설정을 통하여, "녹음 설정", "녹음 친구 관리", "녹음 공간", "암호 설정"을 설정 및 변경하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녹음 설정"은 통화 종료 후 녹음 내용의 저장 유무를 위한 팝업 메뉴를 실행없이 자동 저장하거나, 특정 요일 및 시간 대의 저장 유무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녹음 친구 관리"는 녹취 허용리스트를 설정하는 부분으로서 화이트리스트 및 블랙리스트가 설정된다. "녹음 공간"은 스마트 기기(110)의 저장 공간을 확인하는 부분이며, "암호 설정"은 어플리케이션을 수행 시 암호를 설정하여 타인이 녹취 내용을 열람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함 부분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스마트 기기(110)에서 녹취된 내용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30)에 저장 및 관리하며, 이에 따라 녹취된 내용을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직원 편의를 도모하는데 중점을 두고 직원들 개개인이 범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업무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으며, 따라서 모바일 스마트 오피스 또는 모바일 스마트 상담센터로의 전환을 위한 스마트폰 레코딩 시스템 인프라 확보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화재 보험사, 주식 매매 주문, 채권 추심 업무의 경우, 사내 전화가 아닌 이동 중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고객과의 상담이 이루어짐으로써 해당 업무를 원활히 수행하고 추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통화내용 증거자료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110)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단계(1010)에서는 전화 통화가 시작과 동시에 전화 통화의 녹취를 수행하여 녹취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계(1020)에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녹취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스마트 기기(110)에 관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스마트 기기에 있어서,
    전화 통화의 시작과 동시에 상기 전화 통화의 녹취를 수행하여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되, 기본 그룹, 화이트리스트 그룹 및 블랙리스트 그룹으로 구분하여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는 녹취 제어부; 및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녹취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녹취 제어부는, 상기 기본 그룹은 자동으로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화이트리스트 그룹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으로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블랙리스트 그룹은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통화는 공중 전화망(PSTN) 통화 및 음성패킷망(VoIP) 통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 제어부는, 상기 녹취의 시작 시점, 상기 녹취의 종료 시점, 녹취 데이터의 용량, 녹취 날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1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전화 통화의 상대방인 제2 사용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데이터를 더 생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부가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더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녹취 데이터 및 상기 부가 데이터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주소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녹취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주소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주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주소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 제어부는, 상기 녹취의 종료 시점에서 상기 녹취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팝업 메뉴를 이용하여 녹취를 취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7. 삭제
  8. 전화 통화의 녹취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있어서,
    다수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화 통화의 녹취와 관련된 녹취 데이터 및 상기 녹취 데이터와 관련된 부가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다수의 스마트 기기에 대한 상기 녹취 데이터와 상기 부가 데이터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스마트 기기 각각은 기본 그룹, 화이트리스트 그룹 및 블랙리스트 그룹으로 구분하여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기본 그룹은 자동으로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화이트리스트 그룹은 상기 다수의 스마트 기기 각각의 제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으로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블랙리스트 그룹은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9.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화 통화가 시작과 동시에 상기 전화 통화의 녹취를 수행하여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녹취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본 그룹, 화이트리스트 그룹 및 블랙리스트 그룹으로 구분하여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기본 그룹은 자동으로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화이트리스트 그룹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으로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블랙리스트 그룹은 상기 녹취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140006172A 2014-01-17 2014-01-17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및 서버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535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172A KR101535158B1 (ko) 2014-01-17 2014-01-17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및 서버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172A KR101535158B1 (ko) 2014-01-17 2014-01-17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및 서버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158B1 true KR101535158B1 (ko) 2015-07-14

Family

ID=5379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172A KR101535158B1 (ko) 2014-01-17 2014-01-17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및 서버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350A (ko) 2018-11-02 2020-05-20 (주)구름연구소 클라우드 기반의 음성정보 서비스 운용방법 및 음성정보 서비스 운용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7716A (ko) * 2008-11-11 2010-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피 멀티미디어 부시스템에서 녹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60656B1 (ko) * 2009-07-16 2010-06-07 한덕환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용 외부제어장치
KR101051271B1 (ko) * 2009-07-08 2011-07-22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KR101433179B1 (ko) * 2012-09-20 2014-08-27 김성수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7716A (ko) * 2008-11-11 2010-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피 멀티미디어 부시스템에서 녹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51271B1 (ko) * 2009-07-08 2011-07-22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KR100960656B1 (ko) * 2009-07-16 2010-06-07 한덕환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용 외부제어장치
KR101433179B1 (ko) * 2012-09-20 2014-08-27 김성수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350A (ko) 2018-11-02 2020-05-20 (주)구름연구소 클라우드 기반의 음성정보 서비스 운용방법 및 음성정보 서비스 운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952E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olidating wireline and wireless voicemail boxes
US9955003B2 (en) Computing device and system for rendering contact information that is retrieved from a network service
US20100054148A1 (en) Data association system, data association method and data association program
US20140133481A1 (en) Web Telephone with Integrated Voice and Data
US201902588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Masking and Managing Communications
US10257350B2 (en) Playing back portions of a recorded conversation based on keywords
US8526919B2 (en) Message injection system and method
US10536989B2 (en) Communications path selection in user equipment
US105420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internet call service
WO2018192367A1 (zh) 与目标客户的通话方法、业务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535158B1 (ko)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및 서버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
US200902140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voice messaging services
US820405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etwork services for recording
US9256882B2 (en) Methods, communication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lecting an advertisement to initiat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9042528B2 (en) Data communication
US201402701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oud VoiceMail and Two Way Communication
KR20100000656A (ko) 통화 상대방과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40614B1 (ko) 모바일 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모바일 인터넷 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US8787537B2 (en) IVR communication session routing and recording
JP6040107B2 (ja) データ管理サーバ
Talevski et al. Secure and Mobile Multimedia Convergence
KR20040074011A (ko)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저장 및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