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659B1 -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 Google Patents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659B1
KR102570659B1 KR1020210073458A KR20210073458A KR102570659B1 KR 102570659 B1 KR102570659 B1 KR 102570659B1 KR 1020210073458 A KR1020210073458 A KR 1020210073458A KR 20210073458 A KR20210073458 A KR 20210073458A KR 102570659 B1 KR102570659 B1 KR 102570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s
lithium difluorophosphate
purity
lithium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0030A (ko
Inventor
이상율
김경철
김경환
박수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보
Priority to KR1020210073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6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0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6Oxyacids of phosphorus; Salts thereof
    • C01B25/26Phosphates
    • C01B25/455Phosphates containing hal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1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1Powder tap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높은 수율 및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고순도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Manufacturing method for high-purity crystallization of lithium difluorophosphate with excellet solubility and Non-aqueous electrolyte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에 관한 것이다.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은 목재의 보존제(특허문헌 1 참조), 칫솔 살균제, 폴리머 안정화제 등 산업적으로 유용한 화합물이다.
그런데, 최근의 전기 제품의 경량화, 소형화에 수반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2 차 전지, 예를 들어 리튬 이온 2 차 전지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 이 리튬 이온 2 차 전지의 적용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전지 특성의 개선이 보다 더욱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온 2 차 전지의 부하 특성, 사이클 특성, 보존 특성, 저온 특성 등의 전지 특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비수계 용매나 전해질에 대해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비닐탄산에틸렌 화합물을 함유하는 전해액을 사용함으로써, 전해액의 분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보존 특성,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전지를 제조하고 있으며, 기존 리튬 이온 2차 전지에는 프로판술톤을 함유한 전해액을 사용하여 보존 후의 회복 용량을 증가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 리튬 이온 2차 전지 전해액은 보존 특성이나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어느 정도 발휘되지만, 부극(負極)측에서 저항이 높은 피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저온 방전 특성이나 대전류 방전 특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저온 방전 특성, 대전류 방전 특성, 고온 보존 특성,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안전성이 우수한 첨가제로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을 2차 전지 전해액 성분으로 적용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제조시 제조 효율 및 순도 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2002-501034호(공개일 2002.01.15.)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2001-006729호(공개일 2001.01.1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 제시하고, 이렇게 제조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2차 전지 등의 전해질로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무용매 하에서 리튬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LiPF6), 염화물, 실리콘계 화합물 및 물과 반응시켜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LiPO2F2)를 합성하는 1단계; 및 상기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정제시켜서 재결정시키는 2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1에서, 상기 R1 내지 R3 각각은 독립적인 것으로서,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C6 ~ C8의 사이클로알킬기, C1 ~ C10의 알콕시기,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아릴(aryl)기 또는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아릴기를 포함하며, 상기 R4 내지 R7 각각은 독립적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C1 ~ C10의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를 포함하고, 상기 X는 0 ~ 1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방법 1의 1단계는 리튬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 염화물 및 실리콘계 화합물을 분쇄 혼합하여 혼합 분쇄물을 제조하는 1-1단계; 상기 혼합 분쇄물을 반응기로 투입한 후, 반응기에 질소 가스를 통기시켜 반응기 내부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시키는 1-2단계; 증기를 상기 반응기에 투입 및 버블링(bubbling)시켜서 반응을 수행한 후, 여과하여 반응생성물을 얻는 1-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리튬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 염화물 및 실리콘 화합물은 1 : 2.8 ~ 4.5 : 0.2 ~ 0.7 몰비로 분쇄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방법 1의 1-2단계는 질소 가스를 40 ~ 55℃ 하에서 20분 ~ 50분 동안 투입하여 반응기 내부를 질소 가스로 치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방법 1의 1-3단계의 증기의 온도는 50 ~ 8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1-3단계의 증기 투입량은 1-1단계의 리튬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 1몰에 대하여, 3.5 ~ 4.5 몰비로 도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기의 몰비는 증기 내 함유하고 있는 물 기준의 몰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1단계에서 합성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수율은 85 ~ 99.9%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2단계는 반응기에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 및 정제 용매를 투입 및 교반하여 정제공정을 수행하는 2-1단계; 정제된 반응물을 1차 진공농축시키는 2-2단계; 1차 진공농축물을 2차 진공농축시키는 2-3단계; 및 2차 진공농축물을 건조 공정을 수행한 후, 냉각시켜서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수득하는 2-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2-1단계의 상기 반응기는 반응기 자켓(jacket), 진공펌프, 콘덴서(condenser) 및 리시버(receiver)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2-1단계의 상기 정제 용매는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0 ~ 50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2-1단계의 상기 정제 용매는 탄소수 2 ~ 4의 알코올 수용액 및 알킬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2-1단계의 상기 정제 용매는 상기 알코올 수용액 및 알킬아세테이트를 1 : 1.5 ~ 2.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2-1단계의 정제공정은 질소 분위기 및 23℃ ~ 30℃ 하에서 수행하고, 2-2단계의 상기 1차 진공농축은 40℃ ~ 45℃ 및 25 ~ 30 torr 압력 하에서 수행하며, 2-3단계의 상기 2차 진공농축은 40℃ ~ 45℃ 및 2 torr 이하의 압력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2-4단계의 건조 공정은 로터리 증류건조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2 torr 이하의 진공 분위기 및 70℃ ~ 90℃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2-4단계의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수율은 80 ~ 9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2-4단계의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하기 방정식 1의 순도 증가율을 만족할 수 있다.
[방정식 1]
3.8% ≤ (B-A)/Aⅹ100% ≤ 10%
방정식 1에서 A는 1단계의 합성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순도(%)이고, B는 2단계의 재결정된 디플루오로인삼리늄염 결체의 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2단계의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건조시키는 3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고순도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는 평균입자지름이 D10이 2.500 ~ 6.000㎛, D50이 21.000 ~ 26.000㎛ 및 D90이 67.500 ~ 88.000㎛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는 결정체의 겉보기 밀도 및 탭밀도는 하기 방정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방정식 2]
0.580 ≤ (겉보기 밀도)/(탭 밀도) ≤ 0.610
방정식 2에서 상기 겉보기밀도는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겉보기 밀도(g/cm3)이고, 탭 밀도는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탭 밀도(g/cm3)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순도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의 전해질로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전해질로 포함하는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 제조방법은 무용매 합성법으로서, 고순도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높은 수율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제조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의 전해질로 도입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 제조시, 정제 공정에서 특정 정제 용매를 사용하여 정제 및 재결정화시키면 특정 범위의 입자 크기 및 밀도 특성을 가지며, 이와 같이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툼염 결정체는 2차 전지 전해액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디플루오로인산리툼염 결정체 입자분포도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는 무용매 하에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용매 하에서 리튬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LiPF6), 염화물, 실리콘계 화합물 및 물과 반응시켜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LiPO2F2)를 합성하는 1단계; 및 상기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정제시켜서 재결정시키는 2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1단계는 반제품화된, 비정제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 합성하는 공정으로서, 리튬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 염화물 및 실리콘계 화합물을 분쇄 혼합하여 혼합 분쇄물을 제조하는 1-1단계; 상기 혼합 분쇄물을 반응기로 투입한 후, 반응기에 질소 가스를 통기시켜 반응기 내부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시키는 1-2단계; 및 상기 반응기 내 증기(기체 형태의 물)를 상기 반응기에 투입 및 버블링(bubbling)시키면서 반응을 수행한 후, 여과하여 반응생성물을 얻는 1-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1-1단계에서 상기 리튬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 염화물 및 실리콘계 화합물은 1 : 2.8 ~ 4.5 : 0.2 ~ 1.0 몰비로, 바람직하게는 1 : 3.0 ~ 4.0 : 0.4 ~ 0.8 몰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4 ~ 3.8 : 0.5 ~ 0.7 몰비로 분쇄 혼합할 수 있다. 이때, 염화물 몰비가 2.8 몰비 미만이면 수율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염화물 몰비가 4.5 몰비를 초과하면 부생물의 증가뿐만 아니라 가격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최종 제품인 정제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평균 입자가 커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의 사용량이 0.2 몰비 미만이면 상기 정제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입자 분포도 넓게 형성되고, D90 값이 너무 커져서, 결정체가 균질하지 못한 문제 및 수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 몰비를 초과하면 오히려 수율 증대가 없으면서 오히려, 정제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순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염화물로는 염화리튬,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세슘 등의 알칼리 금속염,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염화스트론튬, 염화바륨, 염화알루미늄, 염화암모늄, 4염화 규소, 염화철(II), 염화철(III), 염화니켈, 사염화티타늄, 염화 크롬(III), 염화망간 및 염화구리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화리튬,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세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염화스트론튬, 염화바륨 및 염화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화리튬을 사용하는 것이 불순물로서의 양이온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하다.
그리고,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 내지 R3 각각은 독립적인 것으로서,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C6 ~ C8의 사이클로알킬기, C1 ~ C10의 알콕시기,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아릴(aryl)기 또는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아릴기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C1 ~ C5의 알콕시기,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C1 ~ C3의 직쇄형 알킬기,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페닐기를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1 ~ C3의 직쇄형 알킬기,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또는 C1 ~ C3의 알콕시기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1의 상기 R4 내지 R7 각각은 독립적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C1 ~ C10의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1 ~ C3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화학식 1의 상기 X는 0 ~ 1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0 ~ 5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의 정수이다.
다음으로, 1-2단계는 회수된 혼합 분쇄물을 반응기에 투입한 뒤, 40 ~ 55℃ 하에서 반응기 내부에 질소 가스를 20분 ~ 5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45 ~ 52℃ 하에서 20분 ~ 50분 동안 통기시켜서, 반응기 내부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시키는 공정이다.
다음으로, 1-3단계는 상기 증기의 온도는 50 ~ 80℃, 바람직하게는 65℃ ~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 80℃로 상기 반응기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증기의 온도가 50℃ 미만이면 반응생성물의 수율 및 순도가 떨어질 수 있고, 80℃를 초과하면 반응기 내 온도가 너무 높아져서 급격히 반응이 진행되어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1-3단계의 증기는 1-1단계의 리튬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 1몰에 대하여, 3.5 ~ 5.0 몰비로, 바람직하게는 3.8 ~ 5.0 몰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4.2 ~ 5.0 몰비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증기 공급량이 3.5 몰비 미만이면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 몰비를 초과하면 가수분해 반응이 진행하여 모노플루오로 인산염이 추가로 가수분해 반응이 진행되어 인산염이 각각 부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기의 몰비는 증기 내 포함하고 있는 물의 양을 기준으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1-3단계는 45 ~ 60℃, 바람직하게는 45 ~ 60℃ 하에서 약 7 ~ 12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8 ~ 10 시간 정도 혼합 분쇄물 내 리튬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 염화물, 실리콘계 화합물 및 물을 반응 및 합성시킨 반응생성물인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당업계의 일반적인 여과방법으로 여과를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합성 반응이 종료된 합성된 반응액을 10℃ ~ 15℃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브라인 냉각을 수행하여 냉각시킨 후, 냉각된 합성된 반응액으로부터 고체 및 액체를 분리하도록 여과하여(또는 필터링시켜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1-1 ~ 1-3단계를 거쳐서 수득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수율은 바람직하게는 85.0% ~ 99.9%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1.0% ~ 99.0%일 수 있다.
상기 2단계는 상기 1단계에서 제조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정제시켜서 재결정시키는 2단계;를 수행하는 공정이다.
상기 2단계는 반응기에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 및 정제 용매를 투입 및 교반하여 정제공정을 수행하는 2-1단계; 정제된 반응물을 1차 진공농축시키는 2-2단계; 1차 진공농축물을 2차 진공농축시키는 2-3단계; 및 2차 진공농축물을 건조 공정을 수행한 후, 냉각시켜서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수득하는 2-4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2단계의 상기 반응기는 반응기 자켓(jacket), 진공펌프(vaccum pump), 콘덴서(condenser), 스크러버(scrubber) 및/또는 리시버(receiver)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2-1 단계의 정제 용매는 알코올 수용액 및 알킬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알킬아세테이트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알코올 수용액 단독으로 사용할 때 보다 정제 용매 사용량을 줄이면서 알킬아세테이트 사용양 조절을 통해 재결정화된 디플로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입자 크기를 조절 및 특정 크기 범위의 디플로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균질한 결정체를 높은 수율로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제 용매는 알코올 수용액 및 알킬아세테이트를 1 : 1.5 ~ 2.5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 1.8 ~ 2.5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8 ~ 2.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제 용매 내 알킬아세테이트 사용량이 1.5 중량비 미만이면 재결정화된 디플로오로인산리튬염의 결정체 평균 크기(D50)가 너무 작아져서 제조하고자 하는 적정 크기 범위의 결정체를 높은 수율로 수득하지 못할 수 있고, 탭 밀도가 감소하며, 알킬아세테이트 사용량이 2.5 중량비를 초과하면 수득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의 순도가 오히려 낮아지는 문제 및 탭 밀도가 너무 높은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정제 용매의 사용량은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0 ~ 500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420 ~ 500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440 ~ 48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정제 용매의 사용량이 400 중량부 미만이면 용해도가 떨어져 정제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비경제적이다.
상기 2-1 단계의 알코올 수용액은 탄소수 2 ~ 4의 알코올 수용액을,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3의 알코올 수용액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99.5% ~ 99.8%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1 단계의 상기 알킬아세테이트는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및 프로필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아세테이트 및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1 단계의 정제 공정은 질소 분위기 및 23℃ ~ 30℃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게는 질소 분위기 및 23℃ ~ 27℃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2-2단계는 2-1단계에서 정제공정을 수행한 반응물을 1차적으로 진공 농축시키는 공정으로서, 1차 진공농축은 40℃ ~ 45℃로 반응기 내부 온도를 상승시킨 후, 25 ~ 30 torr 압력을 유지하면서 진공 농축을 실시할 수 있으며, 반응기로부터 증류된 알코올 증기가 콘덴서에서 응축되어 리시버에 액체가 수거 되지 않을 때까지 수행할 수 있다. 이때, 1차 진공농축을 40℃ 미만에서 수행시 용매가 증류되지 않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45℃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하면 결정이 석출되어 2차 건조기로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진공 농축 압력이 25 torr 미만이면 펌프로 용매가 넘어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0 torr를 초과하면 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2-3단계는 1차 진공농축물을 2차적으로 진공농축시키는 공정으로서, 40℃ ~ 45℃ 및 2 torr 이하의 압력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게는 40℃ ~ 45℃ 및 1 torr 이하의 압력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다. 2-3단계는 적정 양의 진공농축물이 발생하면 질소로 진공을 파기시켜서 2차 진공농축 공정을 종결시키면 된다. 이때, 2차 진공농축 압력이 2 torr를 초과하면 농축 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2-4단계에서 2차 진공농축물을 건조시키는데, 이때 건조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건조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구현예를 들면, 로터리 증류건조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2 torr 이하의 진공 분위기 및 70℃ ~ 90℃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1 torr 이하의 진공 분위기 및 80℃ ~ 90℃ 하에서 10 ~ 14시간 정도 로터리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 좋다.
건조 공정이 완료되면 건조물을 25℃ 이하로 냉각시켜서 최종적으로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수득할 수 있다.
이렇게 1단계 및 2단계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는 수율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 95%,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율이 85.0 ~ 95.0%일 수 있다.
그리고,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는 순도가 하기 방정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방정식 1]
3.8% ≤ (B-A)/A×100% ≤ 10%, 바람직하게는 4.4% ≤ (B-A)/A×100% ≤ 8.8%, 더욱 바람직하게는 4.8% ≤ (B-A)/A×100% ≤ 8.0%
상기 방정식 1에서 A는 1단계의 합성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순도(%)이고, B는 2단계의 재결정된 디플루오로인삼리늄염 결체의 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는 입자분포도 측정시, 평균입자지름 D10이 2.500 ~ 6.000㎛, D50이 21.000 ~ 26.000㎛ 및 D90이 67.500 ~ 88.000㎛ 만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D10이 2.800 ~ 6.000㎛, D50이 21.000 ~ 25.900㎛ 및 D90이 68.000 ~ 88.000㎛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는 결정체의 겉보기 밀도 및 탭밀도는 하기 방정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방정식 2]
0.5800 ≤ (겉보기 밀도)/(탭 밀도) ≤ 0.6100, 바람직하게는 0.5820 ≤ (겉보기 밀도)/(탭 밀도) ≤ 0.6050
방정식 2에서 상기 겉보기밀도는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겉보기 밀도(g/cm3)이고, 탭 밀도는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탭 밀도(g/cm3)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클로로에틸렌 폴리머의 안정화제, 반응 윤활유의 촉매, 칫솔의 살균제 및 목재의 보존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의 전해질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는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한 바,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의 전해질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여 해석해서는 안되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1 :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제조
(1)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LiPO2F2)을 합성(1단계)
노점(dew point temperature) 50℃ 미만의 온도에서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PFA) 소재의 반응기에 리튬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 염화물인 염화리튬 및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1 : 3.43 : 0.52 중량비로 분쇄 혼합한 후, 반응기 내부를 50℃로 승온시킨 다음, 질소 가스를 30분간 통기시켜 반응기 내부를 질소 분위기로 치환하여 준 뒤, 50℃로 승온하여 30분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교반을 수행하면서, 반응기에 70℃의 증기 28g를 투입 및 버블링(bubbling)시키면서, 50℃에서 9 시간 반응을 수행한 다음, 반응기 내부를 12 ~ 13℃로 냉각시켰다. 이때, 상기 증기는 70℃의 온수에 질소 가스를 버블링시켜서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냉각된 합성된 반응액을 여과시켜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 수득하였다(수율 94.7%, 순도 95.50%).
(2)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제조(2단계)
반응기 자켓, 진공펌프, 콘덴서, 스크러버 및/또는 리시버 등이 설치되어 있는 반응기 내부에 상기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 100 중량부 및 정제 용매 478 중량부를 투입 및 교반하고, 반응기 온도를 24℃ ~ 25℃를 유지시켰으며, 부생된 플루오르화 리튬을 탈 여과 분리하였다.
이때, 상기 정제 용매는 99.5% ~ 99.8%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1 : 2.1 중량비로 포함한다.
다음으로, 반응기 자켓에 온수를 투입하여, 반응기 내부 온도 43 ~ 44℃를 유지시키면서 진공펌프를 작동하여 반응기 내부의 초기 압력 약 28 torr를 유지시키면서 1차 진공농축을 수행하였다. 1차 진공농축은 반응기로부터 증류된 알코올 증기가 콘덴서에서 응축되어 리시버에 액체가 수거되지 않을 때까지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내부 온도 43℃ ~ 44℃를 유지시키면서 압력을 1 torr로 감압시켜서 1차 진공농축시킨 진공농축물을 잔존한 알코올 수용액이 콘덴서에서 응축되어 리시버에 액체가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2차 진공농축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로터리 증류건조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1 torr 진공도를 가진 펌프로 증류하면서 및 85℃ 하에서 12시간 동안 완전 건조시킨 다음, 건조물을 25℃로 냉각시켜서 최종적으로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수득하였다(수율 91.8%, 순도 99.95%).
실시예 2 ~ 실시예 7 및 비교예 1 ~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성분의 사용량을 달리하여 실시예2 ~ 실시예 7 및 비교예 1 ~ 비교예 6을 각각 실시하였다. 그리고, 결정화된 LiPO2F2 합성(1단계) 및 재결정화된 LiPO2F2 결정체(2단계)를 하기 방정식 1에 의거하여 순도 증가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결정화된 LiPO2F2 합성 (1단계) 재결정화된 LiPO2F2 결정체 제조
(2단계-정제공정)
LiPF6
(몰)
염화물
(몰)
실란계
화합물
(몰)

(증기압분수, 몰)
1단계의
LiPO2F2
(중량부)
정제
용매
(중량부)
알코올 수용액 :
알킬아세테이트
(중량비)
실시예1 1 3.42 0.52 3.93 100 478 1 : 2.1
실시예2 1 3.42 0.40 3.93 100 478 1 : 2.1
실시예3 1 3.42 0.80 3.93 100 478 1 : 2.1
실시예4 1 3.42 0.52 4.75 100 478 1 : 2.1
실시예5 1 3.42 0.52 3.65 100 478 1 : 2.1
실시예6 1 3.42 0.52 3.93 100 420 1 : 2.1
실시예7 1 3.42 0.52 3.93 100 478 1 : 1.8
실시예8 1 3.42 0.52 3.93 100 478 1 : 2.3
비교예1 1 4.22 - 3.93 100 604 1 : 0
비교예2 1 5.60 - 3.93 100 604 1 : 0
비교예3 1 3.42 0.18 3.93 100 478 1 : 2.1
비교예4 1 3.42 1.20 3.93 100 478 1 : 2.1
비교예5 1 3.42 0.52 5.10 100 478 1 : 2.1
비교예6 1 3.42 0.52 3.31 100 478 1 : 2.1
비교예7 1 3.42 0.52 3.93 100 540 1 : 2.1
비교예8 1 3.42 0.52 3.93 100 375 1 : 2.1
비교예9 1 3.42 0.52 3.93 100 478 1 : 1.0
비교예10 1 3.42 0.52 3.93 100 478 1 : 2.8
구분 1단계
수율(%)/순도(%)
2단계
수율(%)/순도(%)
순도 증가율(%)
실시예 1 94.7 / 95.5 91.8 / 99.94 4.65
실시예 2 95.2 / 95.3 90.3 / 99.91 4.83
실시예 3 92.8 / 95.0 90.2 / 99.63 4.87
실시예 4 87.3 / 94.8 85.4 / 99.72 5.19
실시예 5 90.4 / 95.0 87.1 / 99.85 5.10
실시예 6 94.7 / 95.5 88.8 / 99.80 4.50
실시예 7 94.7 / 95.5 92.3 / 99.93 4.64
실시예 8 94.7 / 95.5 90.5 / 99.82 4.52
비교예 1 95.5 / 95.2 93.2 / 99.90 4.94
비교예 2 80.2 / 94.2 77.5 / 99.53 5.66
비교예 3 95.3 / 95.2 91.3 / 99.93 4.97
비교예 4 92.8 / 93.4 88.9 / 96.54 3.36
비교예 5 85.0 / 94.0 82.2 / 98.23 4.50
비교예 6 87.2 / 95.2 84.0 / 99.92 4.96
비교예 7 94.7 / 95.5 91.8 / 99.92 4.63
비교예 8 94.7 / 95.5 83.4 / 98.10 2.72
비교예 9 94.7 / 95.5 92.8 / 99.91 4.62
비교예 10 94.7 / 95.5 90.7 / 99.63 4.32
상기 표 1 및 표 2를 살펴보면, 1단계에서 실란계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 2와 실시예 1을 비교할 때, 1단계에서 염화물과 함께 실란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을 합성하는 것이, 수율은 다소 떨어지나, 순도는 오히려 다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1단계에서 LiPF6 1몰에 대하여, 실란계 화합물을 0.2 몰비 미만인 0.18 몰비로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비교할 때, 순도 증가가 없으면서 오히려 수율이 다소 떨어졌다. 그리고, 1단계에서 LiPF6 1몰에 대하여, 실란계 화합물을 1.0 몰비를 초과하여 사용한 1.20 몰비로 사용한 비교예 4의 경우, 실시예 3과 비교할 때 오히려 순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1단계에서 LiPF6몰에 대하여, 증기압분 수, 즉 증기인 물을 5.0 몰비 초과하여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 실시예 4와 비교할 때, 부반응이 발생하여 수율 및 순도 모두 다소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증기를 3.5 몰비 미만으로 투입한 비교예 6의 경우, 실시예 5와 비교할 때, 수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2단계 반응에서 정제 용매 사용량이 500 중량부 초과한 비교예 7의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2단계 공정에서 정제 용매 과다 사용으로 수율 증대가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정제 용매 사용량이 400 중량부 미만인 비교예 8의 경우, 1단계에서의 수율 94.7% 보다 2단계서의 수율이 83.4%로 너무 크게 낮아지는 문제 및 순도가 상대적으로 너무 크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정제 공정시, 정제 용매를 알코올 수용액에 대해 알킬아세테이트를 1.5 중량비 미만인 1.0 중량비로 사용한 비교예 9의 경우, 실시예 7(1.8 중량비)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정제 공정시, 정제 용매를 알코올 수용액에 대해 알킬아세테이트를 2.5 중량비를 초과한 2.8 중량비로 사용한 비교예 10의 경우, 실시예 8(2.3 중량비)와 비교할 때,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순도가 오히려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 9 및 비교예 11 ~ 1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제조하되, 하기 표 3과 같이 제조 조건에 변화를 주어 실시예9 및 비교예 11 ~ 비교예 15를 각각 실시하였다. 이때, 2단계의 진공압축 조건을 달리하였다. 그리고, 결정화된 LiPO2F2 합성(1단계) 및 재결정화된 LiPO2F2 결정체(2단계)를 상기 방정식 1에 의거하여 순도 증가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중량부)
재결정화된 LiPO2F2 결정체 제조(2단계)
1차 진공농축시
압력
1차 진공농축시 온도 2차 진공농축시
압력
수율(%)/
순도(%)
실시예 1 28 torr 43 ~ 44℃ 1 torr 93%/99.9%
실시예 9 28 torr 40 ~ 41℃ 1 torr 92%/99.9%
비교예 11 28 torr 35 ~ 36℃ 1 torr 92%/96.9%
비교예 12 28 torr 48 ~ 49℃ 1 torr 92%/99.8%
비교예 13 35 torr 43 ~ 44℃ 1 torr 88%/99.8%
비교예 14 1 torr 43 ~ 44℃ 1 torr 83%/97.0%
비교예 15 21 torr 43 ~ 44℃ 1 torr 85%/97.1%
구분 1단계
수율(%)/순도(%)
2단계
수율(%)/순도(%)
순도 증가율(%)
실시예 1 94.7 / 95.5 91.8 / 99.94 4.61
실시예 9 94.7 / 95.5 91.0 / 99.97 4.68
비교예 11 94.7 / 95.5 89.7 / 96.29 0.83
비교예 12 94.7 / 95.5 91.9 / 99.90 4.61
비교예 13 94.7 / 95.5 85.4 / 99.77 4.47
비교예 14 94.7 / 95.5 84.2 / 99.81 4.51
비교예 15 94.7 / 95.5 85.1 / 97.04 1.62
상기 표 2의 1단계 및 2단계의 수율/순도를 살펴보면, 실시예 1, 실시예 10의 경우, 재결정화된 LiPO2F2 결정체 85% 이상의 높은 수율 및 4.5% 이상의 높은 순도 증가율을 보였다.또한, 1차 진공농축 온도가 40℃ 미만인 비교예 11의 경우, 실시예 10 과 비교할 때, 1차 수율 보다 2차 수율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를 보였고, 1차 진공농축 온도가 45℃를 초과한 비교예 12의 경우 수율 변화는 없으나, 순도가 오히려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2단계 반응의 1차 진공농축시, 30 torr 초과한 압력 하에서 1차 진공농축을 수행한 비교예 13의 경우, 1단계에서 합성된 결정화된 LiPO2F2와 비교하여 재결정화된 LiPO2F2 결정체의 수율이 낮아지고, 순도 증가율도 낮은 문제가 있었으며, 25 torr 미만 압력 하에서 1차 진공농축을 수행한 비교예 15의 경우, 실시예 1와 비교할 때, 순도 증가율 향상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1차 및 2차 진공농축을 동일한 압력(1 torr) 및 온도(43 ~ 44℃) 하에서 실시하여 실질적으로 다단 진공농축이 아닌 단일 단계의 진공농축을 수행한 비교예 14의 경우, 수율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실험예 1 :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입자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7 ~ 8 및 비교예 9 ~ 10 에서 제조한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입자 분포도, 겉보기 밀도, 탭 밀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실시예 1의 입자 분포도 측정 그래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분 결정체 입자 분포도
D10(㎛) D50(㎛) D90(㎛)
실시예 1 2.875 25.13 85.70
실시예 2 5.530 21.11 68.68
실시예 3 4.274 25.89 87.52
비교예 1 2.452 31.07 95.24
비교예 3 2.652 29.85 92.31
비교예 4 7.213 26.02 80.88
구분 겉보기 밀도
(g/cm3)
탭 밀도
(g/cm3)
겉보기 밀도/탭 밀도
실시예 1 0.5288 0.8937 0.5917
실시예 2 0.5276 0.8735 0.6040
실시예 3 0.5297 0.9095 0.5824
비교예 1 0.5134 0.8142 0.6306
비교예 3 0.5251 0.8371 0.6273
비교예 4 0.5302 0.9344 0.5674
상기 표 5 및 표 6을 살펴보면, 1단계 반응시, 실리콘계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실리콘계 화합물을 0.2 몰비 미만인 0.18 몰비로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 입자 분포가 매우 넓게 형성되어 결정체가 균질하지 못하며, 재결정화된 결정체의 밀도가 전반적으로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에 반해, 실시예 1 ~ 3의 경우, D10과 D90의 차가 비교예 1 ~ 2에 비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균질한 크기의 결정체를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고순도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는 클로로에틸렌 폴리머의 안정화제, 반응 윤활유의 촉매, 칫솔의 살균제 및 목재의 보존제 등의 조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의 전해질로 도입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무용매 하에서 리튬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LiPF6), 염화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리콘계 화합물 및 물과 반응시켜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LiPO2F2)를 합성하는 1단계; 및
    상기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정제시켜서 재결정시키는 2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며,
    상기 1단계는,
    리튬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 염화물 및 상기 실리콘 화합물을 1 : 2.8 ~ 4.5 : 0.2 ~ 0.7 몰비로 분쇄 혼합하여 혼합 분쇄물을 제조하는 1-1단계;
    상기 혼합 분쇄물을 반응기로 투입한 후, 반응기에 질소 가스를 통기시켜 반응기 내부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시키는 1-2단계;
    증기를 상기 반응기에 투입 및 버블링(bubbling)시켜서 반응을 수행한 후, 여과하여 반응생성물을 얻는 1-3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고,
    2단계의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는 입자분포도 측정시, 평균입자지름이 D10 값은 2.500 ~ 6.000㎛, D50 값은 21.000 ~ 26.000㎛ 및 D90 값은 67.500 ~ 88.000㎛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

    화학식 1에서, 상기 R1 내지 R3 각각은 독립적인 것으로서,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C6 ~ C8의 사이클로알킬기, C1 ~ C10의 알콕시기,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아릴(aryl)기 또는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아릴기를 포함하며,
    상기 R4 내지 R7 각각은 독립적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C1 ~ C10의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를 포함하고, 상기 X는 0 ~ 10의 정수이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1-3단계의 증기의 온도는 50 ~ 80℃이며,
    1-1단계의 리튬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 1몰에 대하여, 3.5 ~ 4.5 몰비로 증기를 도입하며, 이때, 상기 증기의 몰비는 증기 내 함유하고 있는 물 함량 기준의 몰비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반응기에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 및 정제 용매를 투입 및 교반하여 정제공정을 수행하는 2-1단계;
    정제된 반응물을 1차 진공농축시키는 2-2단계;
    1차 진공농축물을 2차 진공농축시키는 2-3단계; 및
    2차 진공농축물을 건조 공정을 수행한 후, 냉각시켜서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수득하는 2-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2-1단계는 상기 정제 용매는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0 ~ 500 중량부로 사용하며,
    상기 정제 용매는 탄소수 2 ~ 4의 알코올 수용액 및 알킬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용매는 탄소수 2 ~ 4의 알코올 수용액 및 알킬아세테이트를 1 : 1.5 ~ 2.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2단계의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수율은 80 ~ 95%이고, 하기 방정식 1의 순도 증가율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방정식 1]
    3.8% ≤ (B-A)/A × 100% ≤ 10%
    방정식 1에서 A는 1단계의 합성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순도(%)이고, B는2단계의 재결정된 디플루오로인삼리늄염 결체의 순도(%)이다.
  9. 제1항에 있어서, 2단계의 재결정화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겉보기 밀도 및 탭 밀도는 하기 방정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방정식 2]
    0.5800 ≤ (겉보기 밀도)/(탭 밀도) ≤ 0.6100
    방정식 2에서 상기 겉보기밀도는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겉보기 밀도(g/cm3)이고, 탭 밀도는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탭 밀도(g/cm3)이다.
KR1020210073458A 2021-01-29 2021-06-07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2570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458A KR102570659B1 (ko) 2021-01-29 2021-06-07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965A KR102300438B1 (ko) 2021-01-29 2021-01-29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20210073458A KR102570659B1 (ko) 2021-01-29 2021-06-07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965A Division KR102300438B1 (ko) 2021-01-29 2021-01-29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030A KR20220110030A (ko) 2022-08-05
KR102570659B1 true KR102570659B1 (ko) 2023-08-25

Family

ID=777775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965A KR102300438B1 (ko) 2021-01-29 2021-01-29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20210073458A KR102570659B1 (ko) 2021-01-29 2021-06-07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965A KR102300438B1 (ko) 2021-01-29 2021-01-29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0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075A (ko) * 2022-03-17 2023-09-26 솔브레인 주식회사 디플루오로인산염의 제조방법
KR20230166926A (ko) 2022-05-31 2023-12-07 이피캠텍 주식회사 리튬이차전지용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의 제조방법
KR102596525B1 (ko) * 2023-02-28 2023-10-31 이피캠텍 주식회사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044B1 (ko) * 2018-06-21 2018-12-04 주식회사 천보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1925047B1 (ko) * 2018-08-01 2018-12-04 주식회사 천보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1925053B1 (ko) 2018-06-22 2018-12-04 주식회사 천보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JP2021004145A (ja) 2019-06-25 2021-01-14 関東電化工業株式会社 ジフルオロリン酸リチウム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2699A1 (de) 1998-01-24 1999-07-29 Bayer Ag Holzschutzmittel
JP2001006729A (ja) 1999-06-18 2001-01-12 Mitsubishi Chemicals Corp 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US20090286155A1 (en) * 2006-08-22 2009-11-1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Lithium difluorophosphate, electrolyte containing lithium difluorophosphate, process for producing lithium difluorophosphate, process for producing nonaqueous electrolyte, nonaqueous electrolyt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JP6428222B2 (ja) * 2014-12-09 2018-11-28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ジフルオロリン酸リチウム粉体の製造方法およびジフルオロリン酸リチウ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044B1 (ko) * 2018-06-21 2018-12-04 주식회사 천보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1925053B1 (ko) 2018-06-22 2018-12-04 주식회사 천보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1925047B1 (ko) * 2018-08-01 2018-12-04 주식회사 천보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JP2021004145A (ja) 2019-06-25 2021-01-14 関東電化工業株式会社 ジフルオロリン酸リチウム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030A (ko) 2022-08-05
KR102300438B1 (ko)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0659B1 (ko)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1925053B1 (ko)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1925051B1 (ko)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1925044B1 (ko)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1887488B1 (ko)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1925049B1 (ko)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2036924B1 (ko) 육불화인산알칼리금속염 제조방법, 육불화인산알칼리금속염, 육불화인산알칼리금속염 함유 전해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1925047B1 (ko)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2396069B1 (ko) 리튬 비스옥살레이트 보레이트 및 이를 리튬 비스옥살레이트 보레이트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US9343774B2 (en) Method for producing a lithium hexafluorophosphate concentrated liquid
CN116239130B (zh) 一锅法联产六氟磷酸盐和二氟磷酸盐的方法
KR102218938B1 (ko)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1982601B1 (ko) 알콕시트리알킬실란을 이용한 불소음이온의 함유량이 저감된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리튬염(LiFSI)의 제조 방법
CN109678694A (zh) 一种四氟草酸磷酸锂的制备方法
CN113929711A (zh) 一种二氟草酸硼酸锂的制备方法
KR102300441B1 (ko) 비수계 전해액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2300440B1 (ko) 비수계 전해액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2219684B1 (ko) 리튬디플루오로포스페이트의 제조방법
KR102231049B1 (ko) 용해성이 우수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KR102267470B1 (ko)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고순도의 디플루오로인산리튬의 제조방법
JP5151121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解液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20220082421A (ko) 디플루오로비스(옥살라토)인산리튬의 제조방법
KR102596525B1 (ko)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KR102596526B1 (ko)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
KR102596524B1 (ko)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한 디플루오로인산리튬염 결정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