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344B1 -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344B1
KR102570344B1 KR1020210096117A KR20210096117A KR102570344B1 KR 102570344 B1 KR102570344 B1 KR 102570344B1 KR 1020210096117 A KR1020210096117 A KR 1020210096117A KR 20210096117 A KR20210096117 A KR 20210096117A KR 102570344 B1 KR102570344 B1 KR 102570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ing
anchorage
guide member
guid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4941A (ko
Inventor
원용석
정준
김세윤
이상윤
박영수
Original Assignee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6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34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4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66C1/6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for connection to anchor inserts embedded in concret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크레인에 결속되어 피인양물이 거치되는 가이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더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적어도 한 쌍의 정착구가 걸림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되어 가이드 부재에 구비된 정착구가 정위치에 구비되도록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더의 하단에는 피인양물을 거치한 후 정착구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가이더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피인양물에는 상부로 걸림헤드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한 쌍의 앵커가 매입 고정되고, 상기 정착구는 연결부재의 연결몸체 하방에 연결축이 형성되고, 걸이부재의 걸이몸체에 회전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결축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몸체의 일측에는 피인양물의 걸림머리가 삽입되도록 개방부가 마련되며, 상기 걸이몸체의 회전으로 개방부에 구비된 걸림머리가 걸려지도록 걸림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와이어의 이동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에 걸림 구비되는 한 쌍의 정착구는 걸림머리가 삽입되는 걸이부재의 개방부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걸이부재의 회전을 유도하는 각 와이어는 구동부에 함께 결속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와이어가 이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한 쌍의 걸림헤드에 동시에 걸림 결합되거나 걸림이 해제된다.
이로써, 작업자가 중량물의 결속 해제를 위하여 구조물의 상부로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소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낙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Clamping System using Clamp for Remote Lifting}
본 발명은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재의 하방에 연결축이 형성되고, 걸이부재에 회전 안내공이 형성되어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걸이부재에는 개방부의 일측에 피인양물의 걸림헤드가 걸리도록 걸림 슬릿이 형성되어 가동부재에 의하여 회전되어 걸림이 해제되는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는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부재를 미리 제작하고, 이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시공하는 PC 모듈을 활용한 공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PC 모듈은 중량물이므로 운반이나 시공과정에서 이를 이동시키는 과정이 동반될 수밖에 없다.
특히, 교량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교각을 직립 설치하고, 거더를 교각 사이에 거치하며, 거더의 상부에 데크나 상판 구조물을 추가적으로 배치하는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서 중량의 PC 모듈을 높은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는 리프트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거푸집이나 철근과 같은 경량의 건설 자재를 상부로 운반하게 된다. 이러한 리프트 장치는 설치 높이에 한계가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타워 크레인을 이용하여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게 되나, 타워 크레인도 구성부재를 상부로 옮기는 과정이 동반되므로 설치 높이의 한계가 있고, 무엇보다 거더와 같은 콘크리트 중량물을 이동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다.
이러한 이유로 교량과 같은 대형 토목 구조물의 건설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원격시공이 가능한 대형 크레인을 이용한 공법이 활발하게 제안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032048호의 "교량가설용 지브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교량가설방법"(2009. 03. 27. 공개,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크레인(1)을 구비하고, 대형 크레인(1)의 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권상기(2)를 구비하며, 상기 권상기(2)는 트롤리(2a)에 권취 구비된 케이블(2b)의 단부에 후크(2c)가 고정되어 상기 후크(2c)에 PC 모듈과 같은 각종 콘크리트 중량물을 결속하여 상부로 인양하게 된다.
그런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4)을 결속하는 과정에서 후크(2c)에는 추가적인 와이어(3a)와 정착구(3b)로 구성된 정착장치(3)가 추가적으로 체결되며, 상기 정착장치(3)의 정착구(3b)를 중량물(4)에 결속하는 과정과 인양 이후에 결속을 해제하는 과정이 모두 인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결국, 중량물의 운반을 위한 인양장치 자체는 자동화를 구현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하지만, 여전히 현장에서는 중량물과 크레인을 상호 연결하는 과정이 사람의 수작업에 의존함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중량물의 결속을 해제하는 과정은 구조물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낙하사고의 원인이 되었다.
한편, 본 발명은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시행하고 한국도로공사가 총괄하는 "스마트건설기술개발 국가R&D사업(과제번호 21SMIP-A158708-02)”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 부재와 같은 중량물의 인양이 완료된 이후에 원격으로 결속 해제가 가능하며, 작업자의 고소 작업을 생략하여 낙하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체결력 유지가 가능하며, 작업의 용이성이 확보되는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구(C)는, 인양을 위하여 피인양물(T)의 걸림헤드(H)가 걸려지는 것으로 연결몸체(11)의 하방에 연결축(12)이 형성되는 연결부재(10); 걸이몸체(21)에 회전 안내공(22)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결축(1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몸체(11)의 일측에는 피인양물(T)의 걸림머리(H)가 삽입되도록 개방부(23)가 마련되며, 상기 걸이몸체(21)의 회전으로 개방부(23)에 구비된 걸림머리(H)가 걸려지도록 걸림 슬릿(24)이 형성되는 걸이부재(20); 및 상기 걸이부재(2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가동하는 가동부재(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20)의 회전 안내공(22)은 걸이몸체(21)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자중에 의하여 하방에 위치하는 타측에 걸림 슬릿(2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30)는 와이어(31)의 일단이 걸이몸체(21)에 결속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20)는 걸이몸체(21)에 형성된 삽입부(23)를 중심으로 회전 방향의 일측에 걸림 슬릿(24)이 형성되고, 타측에 와이어(31)의 단부가 결속되는 돌출편(2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0)의 연결몸체(11)의 상부에는 걸이공(13)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공(13)의 하방에는 와이어(31)가 관통되도록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30)는 연결부재(10)의 일측에 안내 롤러(32)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31)의 상하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S)은, 크레인에 결속되어 피인양물(T)이 거치되는 가이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더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10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100)에는 적어도 한 쌍의 정착구(C)가 걸림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100)에는 높이 조절수단(250)이 구비되어 가이드 부재(100)에 구비된 정착구(C)가 정위치에 구비되도록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100)에는 구동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더의 하단에는 피인양물(T)을 거치한 후 정착구(C)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가이더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200)이 구비되며, 상기 피인양물(T)에는 상부로 걸림헤드(H)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한 쌍의 앵커(A)가 매입 고정되고, 상기 정착구(C)는 연결부재(10)의 연결몸체(11) 하방에 연결축(12)이 형성되고, 걸이부재(20)의 걸이몸체(21)에 회전 안내공(22)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결축(1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몸체(11)의 일측에는 피인양물(T)의 걸림머리(H)가 삽입되도록 개방부(23)가 마련되며, 상기 걸이몸체(21)의 회전으로 개방부(23)에 구비된 걸림머리(H)가 걸려지도록 걸림 슬릿(24)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20)는 와이어(31)의 이동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되, 연결부재(10)의 일측에 안내 롤러(32)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31)의 상하 이동이 안내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100)에 걸림 구비되는 한 쌍의 정착구(C)는 걸림머리(H)가 삽입되는 걸이부재(20)의 개방부(23)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걸이부재(20)의 회전을 유도하는 각 와이어(31)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안내 롤러(32)를 거쳐 구동부(300)에 함께 결속되어 상기 구동부(300)의 작동에 의하여 와이어(31)가 이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한 쌍의 걸림헤드(H)에 동시에 걸림 결합되거나 동시에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구(C) 및 이를 이용한 정착 시스템(S)에 의하면, 걸이부재의 개방부 일측에는 걸림 슬릿이 형성되어 피인양물의 걸림헤드가 걸려진 상태에서 원격으로 가동부재를 가동하면 걸이부재가 회전하여 걸림머리가 걸림 슬릿에서 개방부로 이동하므로 원격으로 결속 해제가 가능해진다.
이로써, 작업자가 중량물의 결속 해제를 위하여 구조물의 상부로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소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낙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의 자중에 의하여 하방에 위치하는 타측에 걸림 슬릿이 형성되므로, 가동부재의 원격 제어가 없는 경우에는 걸림 슬릿이 걸림헤드가 있는 하방을 향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체결력의 유지가 가능해진다.
나아가, 상기 가동부재로서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작의 편의성을 확보하면서도 작업 용이성을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부재의 걸이공 하방에 와이어가 관통되도록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을 형성하거나, 연결부재의 일측에 안내 롤러를 형성함으로써 간섭의 발생됨이 없이 와이어의 상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작업용 크레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구를 도시한 (a)사시도와 (b)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구의 걸이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구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착구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단계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S)이 구현된 크레인의 후크에 결속된 가이더를 도시한 개념 단면도로, 콘크리트 부재와 같은 중량물인 피인양물(T)을 인양하기 위한 정착구(C)와 상기 정착구(C)에 결속되도록 피인양물(T)에 매입 고정되는 앵커(A)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더에는 가이드 부재(100)가 형성되어 정착구(C)가 적어도 하나 이상 걸림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재(100)의 위치가 높이 조절수단(250)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정착구(C)의 가동부재(30)를 가동시키는 구동부(300)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S)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피인양물(T)은 교각의 상부에 거치되는 PC 거더일 수 있으며, 상기 PC 거더에 앵커(A)가 매입되어 상부로 걸림헤드(H)가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앵커(A)의 걸림헤드(H) 주위에는 정착구(C)와의 체결 용이성이 확보되도록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헤드(H)는 앵커(A)의 몸체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후술할 정착구(C)를 구성하는 걸이부재(20)의 걸림 슬릿(24)이 걸림 체결되도록 기능한다.
상기 정착구(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인양물(T)의 인양을 위하여 앵커(A)의 걸림헤드(H)를 걸어 결속하는 부재로 연결부재(10), 걸이부재(20) 및 가동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0)는 연결몸체(11)의 하방에 연결축(1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걸이공(13)이 형성되어 가이더의 가이드 부재(100)에 직간접적으로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12)은 후술할 걸이부재(20)의 회전축으로 기능하며, 직선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회전 안내공(22)의 상대적 형상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지니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재(20)는 전체적으로 외주면을 지니는 원통형의 걸이몸체(21)에 회전 안내공(2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회전 안내공(22)에 연결축(1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 안내공(22)은 연결축(12)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연결 부위이므로 걸이몸체(21)는 회전 안내공(22)을 중심으로 충분한 두께가 확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20)의 걸이몸체(21) 일측 외주부에는 피인양물(T)의 걸림머리(H)가 삽입되도록 개방부(23)가 마련된다. 즉, 피인양물(T)은 상기 개방부(23)에 의하여 걸림머리(H)가 삽입되어 추가적인 회전으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속 해제시에는 걸림머리(H)가 개방부(23)에 구비되도록 하여 역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23)에 피인양물(T)의 걸림머리(H)가 구비되면 상기 걸이몸체(21)를 회전함으로써 개방부(23)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걸림 슬릿(24)이 걸림머리(H)의 하방으로 위치하여 걸림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걸이몸체(2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머리(H)가 재차 개방부(23)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개방부(23)를 통하여 결속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부재(20)의 회전 방향은 상기 가동부재(30)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상기 가동부재(30)의 가동에 따라 걸이부재(20)가 회전 안내공(22)에 삽입된 연결축(12)을 중심으로 특정한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 만큼 회전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가동부재(30)는 원격으로 가동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중량물의 결속 해제를 위하여 구조물의 상부로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소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자의 낙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이부재(20)의 회전 안내공(22)은 걸이몸체(21)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자중에 의하여 하방에 위치하는 타측에 걸림 슬릿(2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안내공(22)은 회전의 중심축인 연결축(12)이 구비되므로 걸이몸체(21)의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타측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자중에 의하여 걸이몸체(21)의 하방에 위치하는 타측에 걸림 슬릿(24)이 형성되므로 상기 가동부재(30)의 가동을 해제하면 자연스럽게 걸림 슬릿(24)이 자중에 의하여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피인양물(T)의 걸림헤드(H)에 결속된다.
이로써, 특별히 가동부재(30)의 원격 제어가 없는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걸림 슬릿(24)이 걸림헤드(H)가 있는 하방을 향하여 결속이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인 체결력의 유지가 가능하며, 작업이 진행되지 않는 평시에도 잠금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동부재(30)는 와이어(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31)의 일단이 걸이몸체(21)에 결속되어 와이어(31)의 이동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걸이몸체(21)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30)로서 와이어(31)를 이용하게 되면, 제작의 편의성을 확보하면서도 작업 용이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20)는 걸이몸체(21)의 외주부에 형성된 삽입부(23)를 중심으로 일측 회전방향에 걸림 슬릿(24)이 형성되고, 타측에 와이어(31)의 단부가 결속되는 돌출편(2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25)은 걸이몸체(2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므로 가동부재(30)의 와이어(31)에 의하여 쉽게 회전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31)의 간섭을 방지하여 작업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결부재(10)의 연결몸체(11)의 상부에는 걸이공(13)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공(13)의 하방에는 와이어(31)가 관통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1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공(13)은 가이더의 가이드 부재(100)에 직간접적으로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31)가 상기 걸이공(13)을 관통되도록 하여 간섭 없는 이동이 구현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31)와 걸이공(13)의 내주면 사이에서 과도한 마찰력이 발생되거나 좌우로 유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안내공(14)을 형성함으로써 와이어(31)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30)는 연결부재(10)의 일측에 안내 롤러(32)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31)의 상하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롤러(32)에 의하여 와이어(3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른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안내공(14)과의 연속적인 거치를 바탕으로 소정의 장력이 확보된 상태로 와이어(31)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작업 정확도와 안정적인 걸이부재(20)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구를 이용한 피인양물(T)의 인양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로, 우선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인양물(T)에 앵커(A)의 걸림헤드(H)가 노출되도록 매입한다. 상기 앵커(A)를 피인양물(T)에 매입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있다. 예컨데, 피인양물(T)의 제작단게에서 일체로 매입될 수 있으며, 인서트 부재를 구비한 상태로 앵커(A)를 결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인양물(T)에 걸림헤드(H)가 노출되도록 매입되면, 이후 크레인에 결속된 가이더를 피인양물(T)에 거치하고 가이드 부재(100)에 구비된 정착구(C)가 정위치에 구비되도록 높이 조절수단(250)을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한다.
이후에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지상에서 걸림헤드(H)와 정착구(C)의 걸이부재(20)를 상호 결속한다. 이때, 상기 걸이부재(20)의 무게 중심은 하방을 향하므로 자연스럽게 하방에 위치한 걸림 슬릿(24)를 걸림헤드(H)에 결속할 수 있다.
피인양물(T)과 정착구(C)의 결속이 완료되면, 크레인의 권상기를 작동시켜 상부로 인양하게 되고, 정위치로 인양이 완료되면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인양물(T)을 거치한 후 높이 조절수단(200)으로 정착구(C)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가이더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후에는 구동부(300)를 작동시켜 본 발명의 정착구(C)에 구비된 가동부재(30)를 가동시키고 가동부재(30)의 가동에 의하여 걸이부재(20)가 회전하여 걸림헤드(H)가 개방부(23)에 위치하게 된다. 동시에 크레인의 권상기를 작동시키면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피인양물(T)은 분리된 상태로 가이더가 인양되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구(C) 및 이를 이용한 정착 시스템(S)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 기술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정착 시스템
T:피인양물 A:앵커
H:걸림헤드 C:정착구
10:연결부재
11:연결몸체 12:연결축
13:걸이공 14:안내공
20:걸이부재
21:걸이몸체 22:회전 안내공
23:개방부 24:걸림 슬릿
25:돌출편
30:가동부재
31:와이어 32;안내 롤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크레인에 결속되어 피인양물(T)이 거치되는 가이더를 이용하는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이더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10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100)에는 적어도 한 쌍의 정착구(C)가 걸림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100)에는 높이 조절수단(250)이 구비되어 가이드 부재(100)에 구비된 정착구(C)가 정위치에 구비되도록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100)에는 구동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더의 하단에는 피인양물(T)을 거치한 후 정착구(C)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가이더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200)이 구비되며,
    상기 피인양물(T)에는 상부로 걸림헤드(H)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한 쌍의 앵커(A)가 매입 고정되고,
    상기 정착구(C)는 연결부재(10)의 연결몸체(11) 하방에 연결축(12)이 형성되고, 걸이부재(20)의 걸이몸체(21)에 회전 안내공(22)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결축(1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몸체(11)의 일측에는 피인양물(T)의 걸림헤드(H)가 삽입되도록 개방부(23)가 마련되며, 상기 걸이몸체(21)의 회전으로 개방부(23)에 구비된 걸림헤드(H)가 걸려지도록 걸림 슬릿(24)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20)는 와이어(31)의 이동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되, 연결부재(10)의 일측에 안내 롤러(32)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31)의 상하 이동이 안내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100)에 걸림 구비되는 한 쌍의 정착구(C)는 걸림헤드(H)가 삽입되는 걸이부재(20)의 개방부(23)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걸이부재(20)의 회전을 유도하는 각 와이어(31)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안내 롤러(32)를 거쳐 구동부(300)에 함께 결속되어 상기 구동부(300)의 작동에 의하여 와이어(31)가 이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한 쌍의 걸림헤드(H)에 동시에 걸림 결합되거나 동시에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
KR1020210096117A 2021-07-22 2021-07-22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 KR102570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117A KR102570344B1 (ko) 2021-07-22 2021-07-22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117A KR102570344B1 (ko) 2021-07-22 2021-07-22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941A KR20230014941A (ko) 2023-01-31
KR102570344B1 true KR102570344B1 (ko) 2023-08-25

Family

ID=8510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117A KR102570344B1 (ko) 2021-07-22 2021-07-22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34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79573C (nl) * 1980-03-29 1986-10-01 Haeussler Ernst Inrichting voor het ophangen van een betonvormstuk aan een hijswerktuig.
CH668250A5 (de) * 1984-11-30 1988-12-15 Deha Ankersysteme Vorrichtung zum anhaengen eines betonfertigteils an ein hebe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941A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11887T3 (es) Sistema y método para instalar un tendón de tensado en una torre de turbina eólica
US9346656B2 (en) Stabilization and control of a crane load
CN207792533U (zh) 应用于山地施工的索道
CN109183629A (zh) 一种大悬臂盖梁预制拼装方法
CN108708542A (zh) 用于防撞墙施工的可行走高空作业悬吊平台及施工方法
US6375242B1 (en) Load clipping device for crane
US20160096532A1 (en) Integrated bollard, anchor, and tower (ibat) apparatus and method
KR102570344B1 (ko) 원격 인양을 위한 정착 시스템
JP7045936B2 (ja) 床版架設機における吊具ユニット
JP6344879B1 (ja) 橋梁構造物における吊足場の架設方法及び吊足場
CA2459854A1 (en) Orientation apparatus
CN209039991U (zh) 一种大悬臂盖梁预制拼装结构
JPH09302919A (ja) 柱状体用移動足場
DK202200622A1 (en) A lifting yoke for lifting a heavy element
KR20100097863A (ko)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RU2020230C1 (ru) Рабочая площадка и способ ее подвески
JP4101232B2 (ja) 昇降可能な仮設足場を用いた建設物の施工方法
JP2516844Y2 (ja) 長尺材料の吊荷用治具
CN219908584U (zh) 一种便于安装的盖梁高空作业安全带吊点母绳装置
CN109477508A (zh) 一种可旋转的锚固组件
JP2017043458A (ja) 移動式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スタンション
JPH1135283A (ja) クレーン吊荷の揺動及び旋回の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3765102B2 (ja) 傾斜地における工事の施工方法
JPS61267686A (ja) クレ−ン装置
KR20170048663A (ko) 리그선 무어링 체인 탑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