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294B1 -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294B1
KR102570294B1 KR1020160172239A KR20160172239A KR102570294B1 KR 102570294 B1 KR102570294 B1 KR 102570294B1 KR 1020160172239 A KR1020160172239 A KR 1020160172239A KR 20160172239 A KR20160172239 A KR 20160172239A KR 102570294 B1 KR102570294 B1 KR 102570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vehicle
folding
door trim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735A (ko
Inventor
이재승
이선구
오세훈
정훈섭
김승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2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조립성 및 탈거성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를 제공한다.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는 폐 루프 형태로 마련되는 와이어, 차량의 도어 트림에 설치되고,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감거나 풀도록 마련되는 락킹 유닛, 도어 트림에 설치되고,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차량의 도어 패널과 결합 또는 결합 해제 되도록 마련되는 마운팅 유닛을 포함하고, 마운팅 유닛은, 도어 트림에 장착되는 케이스,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 부를 형성하는 커버와 수용 부에서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락킹 로드 및 락킹 로드를 둘러싸고, 락킹 로드에 연동되어 접히거나 펴지는 폴딩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APPARATUS FOR COUPLING DOOR TRI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조립성 및 탈거성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차량에는 탑승자가 차량에 승, 하차할 수 있는 도어가 필연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차량의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 및 도어 아우터 패널과 대향되는 도어 인너 패널을 포함하는 도어 패널로 구성된다.
도어 인너 패널의 내 측에는 실내를 장식할 수 있는 내장 품인 도어 트림이 결합된다. 도어 트림은 실내 장식뿐만 아니라, 차음, 흡음, 충돌 시 승객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패스너를 이용하여 도어 트림을 도어 인너 패널에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스너를 도어 트림에 장착하고, 이러한 패스너를 도어 인너 패널에 마련되는 패스너 마운팅 홀에 삽입함으로써, 도어 트림을 도어 인너 패널에 결합할 수 있다.
패스너를 패스너 마운팅 홀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하중을 가해야 하며, 이러한 물리적 하중에 의해 패스너가 패스터 마운팅 홀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패스너를 패스터 마운팅 홀에 삽입하기 위해 요구되는 삽입력이 클 수 있어, 도어 트림과 도어 인너 패널의 조립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어 트림을 도어 인너 패널로부터 탈거하기 위해서는 억지 끼움하였던 패스너를 다시 반대 방향으로 물리적 하중을 가해 패스너 마운팅 홀로부터 빼내야 하며, 이 때 요구되는 물리적 하중, 즉, 탈거력은 삽입력보다 훨씬 크므로 도어 인너 패널로부터 도어 트림을 분리하기 위한 탈거성은 더욱 떨어질 수 있다.
한편, 도어 트림을 탈거하는 과정에서 패스너 및 도어 인너 패널의 변형이 발생하여 패스너의 교체가 필요할 수 있고, 심한 경우 도어 인너 패널의 재 가공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 트림과 도어 인너 패널과의 결합 시, 조립성과 탈거성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도어 인너 패널로부터 도어 트림을 탈거 시, 도어 인너 패널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된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는 폐 루프 형태로 마련되는 와이어, 차량의 도어 트림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감거나 풀도록 마련되는 락킹 유닛, 상기 도어 트림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차량의 도어 패널과 결합 또는 결합 해제 되도록 마련되는 마운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도어 트림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 부를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수용 부에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락킹 로드 및 상기 락킹 로드를 둘러싸고 상기 락킹 로드에 연동되어 접히거나 펴지는 폴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수용 부에 마련되는 와이어 고정 부재에 배치되고, 폐 루프를 형성하는 제 1 와이어 및 상기 제 1 와이어와 별개의 폐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와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유닛이 상기 제 1 와이어를 감으면, 상기 제 1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기 락킹 로드가 하강하고, 상기 하강되는 락킹 로드에 연동되어 상기 폴딩 부재가 접히어, 상기 도어 트림이 상기 도어 패널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락킹 유닛이 상기 제 2 와이어를 감으면, 상기 제 2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하강된 상기 락킹 로드가 상승하고, 상기 상승되는 락킹 로드에 연동되어 상기 접힌 폴딩 부재가 펴지어, 상기 도어 트림이 상기 도어 패널과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유닛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락킹 유닛은 폐 루프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와이어를 통해 상기 복수의 마운팅 유닛을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마운팅 유닛이 삽입되는 마운팅 홀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마운팅 유닛이 상기 마운팅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홀의 크기보다 작은 헤드 부재 및 상기 마운팅 유닛이 상기 마운팅 홀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 홀의 크기보다 큰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 부재는 상기 헤드 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블록 및 상기 결합 부재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 블록과, 상기 제 1 연결 블록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폴딩 블록 및 상기 제 1 폴딩 블록과 상기 제 2 연결 블록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폴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 부재는 상기 폴딩 부재가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제 1 연결 블록과 상기 제 1 폴딩 블록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폴딩 부, 상기 제 1 폴딩 블록과 상기 제 2 폴딩 블록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폴딩 부 및 상기 제 2 폴딩 블록과 상기 제 2 연결 블록 사이에 마련되는 제 3 폴딩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접힌 폴딩 부재의 상기 제 2 폴딩 블록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폴딩 부재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도어 트림에 고정된 상기 도어 패널의 하중이 상기 마운팅 유닛에 고르게 작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폴딩 부재는 서로 동일하게 소정의 각도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폴딩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는 제 1 폴딩 부재 및 상기 커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폴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락킹 로드가 상기 수용 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제 1 이탈 방지 부재 및 상기 제 1 이탈 방지 부재와 간섭되고, 상기 락킹 로드에 마련되는 제 2 이탈 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도어 트림과 결합되는 장착 부재 및 상기 락킹 로드가 상기 수용 부에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 부재에 하부가 개구되도록 마련되는 로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제 1 와이어가 통과하는 제 1 와이어 관통부 및 상기 제 1 와이어 관통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와이어가 통과하는 제 2 와이어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는 도어의 내측을 구성하는 도어 인너 패널, 상기 도어 인너 패널에 마련되는 마운트 홀을 통해 상기 도어 인너 패널과 조립되는 도어 트림, 상기 도어 트림이 상기 도어 인너 패널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마운트 홀에 삽입되어 상기 마운트 홀의 크기보다 커지도록 접히는 폴딩 부재를 가지고, 상기 도어 트림에 설치되는 복수의 마운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 트림과 도어 인너 패널과의 결합 시, 조립성과 탈거성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 인너 패널로부터 도어 트림을 탈거 시, 도어 인너 패널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된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결합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결합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결합 장치를 포함하는 도어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와 결합하는 도어 인너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가 차량의 도어 트림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에 있어서, 마운팅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마운팅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에 있어서, 마운팅 유닛의 락킹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에 있어서, 마운팅 유닛의 언 락킹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에 있어서, 이탈 방지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설명에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 운송 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 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 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결합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12)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10)는 엔진 등과 같이 차량(1)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후드(11a),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11b), 수납 공간이 마련되는 트렁크 리드(11c), 차량(1)의 측 면에 마련되는 프런트 휀더(11d) 및 쿼터 패널(11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체(10)의 측 면에는 차체(10)와 힌지 결합된 복수의 차량 용 도어(100)가 마련될 수 있다. 후드(11a)와 루프 패널(11b) 사이에는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우(16a)가 마련될 수 있고, 루프 패널(11b)과 트렁크 리드(11c) 사이에는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우(16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용 도어(100)의 상 측에는 측 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측 면 윈도우(16c)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의 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헤드 램프(13, Headlamp)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의 전방, 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방향 지시 램프(14, Turn Signal Lamp)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은 방향 지시 램프(14)를 점멸하여 그 진행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1)의 후방에는 테일 램프(15)가 마련될 수 있다. 테일 램프(15)는 차량(1)의 후방에 마련되어 차량(1)의 기어 변속 상태, 브레이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제어 부(20)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 제어 부(20)는 차량(1)의 동작과 관련된 전자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제어 부(20)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1) 내부의 임의적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 제어 부(20)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한 후 출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은, 차량(1) 내부에 설치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결합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실내에는 운전 석(30)과 보조 석(31)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의 실내에는 대시 보드(40)와 운전 대(50)와 계기 판(60)이 마련될 수 있다.
대시 보드(40)는 차량(1)의 실내와 엔진 룸(미 도시)을 구획하고, 운전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대시 보드(40)는 운전 석(30) 및 보조 석(31)의 전면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대시 보드(40)는 상부 패널, 센터 페시아(41) 및 기어 박스(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 보드(40)의 상부 패널에는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차량(1)의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화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지도, 날씨, 뉴스, 각종 동영상이나 정지 화상, 차량(1)의 상태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일례로 공조 장치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위험도에 따른 경고를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이 차로를 변경하는 경우, 위험도에 따라 상이한 경고를 운전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과속 방지 턱의 위치 정보와 경고 신호를 출력 할 수 있다.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통상 사용되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대시 보드(4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만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센터 페시아(41)의 중단이나 하단에 설치될 수도 있고, 대시 보드(40)의 상부 면에 별도의 지지대(미 도시)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가 설치될 수 있다.
대시 보드(40)의 내 측에는 프로세서, 통신 모듈, 위성 항법 장치 수신 모듈, 저장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프로세서는 차량(1)에 설치된 각종 전자 장치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부(2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장치들은 반도체 칩, 스위치, 집적 회로, 저항기,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인쇄 회로 기판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센터 페시아(41)는 대시 보드(40)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1)과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44)이 마련될 수 있다.
입력 수단(44)은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 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 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운전자는 입력 수단(44)을 조작함으로써 차량(1)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어 박스(42)는 센터 페시아(41)의 하단에 위치하고, 운전 석(30) 및 보조 석(31)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기어 박스(42)에는 기어(45), 수납 함(46) 및 각종 입력 수단(44)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수납 함(46) 및 입력 수단(44)은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대시 보드(40)의 운전 석 방향에는 운전 대(50)와 계기 판(60, instrument panel)이 마련될 수 있다. 운전 대(5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운전 대(5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차량(1)의 차륜(12)이 회전함으로써, 차량(1)이 조향될 수 있다.
계기 판(60)은 차량(1)의 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 잔량, 엔진 오일의 온도, 방향 지시 램프(14)의 점멸 여부, 차량(1)의 이동 거리 등 차량(1)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계기 판(60)은 조명 등이나 눈금 판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계기 판(60)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된 경우, 계기 판(60)은 상술한 정보 이외에도, 연비나 차량(1)에 탑재된 각종 기능의 수행 여부 등과 같이 보다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룸 미러(70)는 차량(1) 내부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운전자는 룸 미러(70)를 통해 차량(1)의 후방 또는 차량(1)의 실내를 볼 수 있다.
차량(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부(80)가 마련될 수 있다. 촬영 부(80)는 차량(1)의 주행 중 또는 정차 중에 차량(1)의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차량(1)의 전방에 위치한 선행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 부(8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camera)를 포함할 수 있고, 좀 더 정확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3차원 공간 인식 센서 및 레이더 센서 및 초음파 센서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는 촬영 부(80)가 룸 미러(70)의 주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촬영 부(80)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며, 차량(1)의 내부 또는 외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한도 내에서, 어디든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결합 장치를 포함하는 도어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용 도어(100)는 차량(1)의 내부 공간에 출입할 수 있도록 차량(1)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 용 도어(100)는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110)과 도어 패널(110)의 내 측에 장착되는 도어 트림(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트림(120)의 내측 면에는 차량 용 도어(100)를 개방할 수 있는 인사이드 핸들(121)과 차량 용 도어(100)를 당겨서 닫을 수 있는 풀 핸들(12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 트림(120)에는 암 레스트(123)와 도어 포켓(124)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 용 도어(100)에는 측 면 윈도우(16c), 후방을 감시하기 위한 사이드 미러(미 도시) 및 차량 용 도어(100)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 장치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 용 도어(100)의 도어 트림(120)에는 윈도우 개폐 스위치, 도어 잠금-해제 스위치, 사이드 미러 조정 스위치 등 각종 스위치(125)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 트림(120)에는 차량 용 도어(100)에 장착된 각종 장치들뿐만 아니라, 트렁크 개방 스위치, 시트 조정 스위치 등 다양한 스위치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의 외 측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도어 패널(110)의 강성을 보강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가니시(130) 또는 몰딩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어 트림(120)에도 차량의 실내 장식을 위한 가니시(130) 또는 몰딩 등이 부착될 수 있다.
가니시(130)는 차체(10)에 붙여진 여러 가지 장식물을 말하며, 차체(10)의 장식뿐만 아니라, 차체(10)의 외면을 보호하고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몰딩 또한 차체(10)에 붙여지는 장식물의 일종으로, 주로 가로, 세로, 사선, 곡선이 연속된 띠 모양의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몰딩은 표면에 요철을 주어 차량(1)의 외관 또는 인테리어의 밋밋한 곳에 미감을 주고, 다른 부품과의 시각적인 균형을 이루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몰딩은 가니시(130)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가니시(130)의 이음매를 보이지 않게 하거나, 이음매를 미려하게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가니시(130)와 몰딩은 명확한 구분이 없을 수 있다. 즉, 몰딩은 가니시(130)의 일종으로 해석될 수 있고, 가니시(130)는 몰딩을 포함하는 명칭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와 결합하는 도어 인너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용 도어(100)는 차량(1)의 외관 및 실내를 구성하는 도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차량 용 도어(100)를 구성하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가공한 판을 의미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111) 및 도어 아우터 패널(111)과 대향되고, 차량(1)의 내부를 향하는 도어 인너 패널(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인너 패널(112)은 도어 모듈(미 도시)이 수용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는 모듈 수용 부(113)와 도어 트림(120)에 설치되는 마운팅 유닛(300)이 삽입될수 있는 마운팅 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수용 부(113)는 도어 모듈(미 도시)이 수용 및 장착될 수 있도록, 도어 모듈(미 도시)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마운팅 홀(114)은 도어 인너 패널(112)의 가장자리 부근에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가 차량의 도어 트림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200)는 폐 루프 형태로 마련되는 와이어(210)와 도어 트림(120)에 설치되고 와이어(210)를 감거나 풀도록 마련되는 락킹 유닛(220)과 도어 트림(120)에 설치되고 와이어(210)의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차량의 도어 패널(110)과 결합 또는 결합 해제 되도록 마련되는 마운팅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210)는 각각 별개의 폐 루프를 형성하는 제 1 와이어(211)와 제 2 와이어(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와이어(211)와 제 2 와이어(212)는 락킹 유닛(220)과 마운팅 유닛(3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락킹 유닛(220)과 마운팅 유닛(300)은 와이어(2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락킹 유닛(220)은 도어 트림(120)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락킹 유닛(220)은 제 1 와이어(211) 또는 제 2 와이어(212)를 감거나 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락킹 유닛(220)은 제 1 와이어(211)와 제 2 와이어(212)가 각각 형성하는 폐 루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킹 유닛(220)이 제 1 와이어(211)를 감는 경우, 제 1 와이어(211)가 락킹 유닛(220)에 마련되는 풀리(pulley)에 권취되고, 이에 따라 제 1 와이어(211)의 폐 루프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반대로, 락킹 유닛(220)이 제 2 와이어(212)를 감는 경우, 제 2 와이어(212)가 락킹 유닛(220)에 마련되는 풀리(pulley)에 권취되고, 이에 따라 제 2 와이어(212)의 폐 루프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 때, 제 1 와이어(211)가 락킹 유닛(220)의 풀리에 권취되면, 제 2 와이어(212)는 풀리로부터 풀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와이어(212)가 락킹 유닛(220)의 풀리에 권취되면, 제 1 와이어(211)는 풀리로부터 풀릴 수 있다.
즉, 제 1 와이어(211)와 제 2 와이어(212)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폐 루프는 락킹 유닛(220)을 기준으로 한 제 1 와이어(211)와 제 2 와이어(212)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마운팅 유닛(300)은 도어 트림(120)에 설치될 수 있다. 마운팅 유닛(300)은 도어 트림(12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마운팅 유닛(300)의 개수가 많아지게 되면, 도어 트림(120)과 도어 패널(110)과의 결합력이 커질 수 있다.
마운팅 유닛(300)은 와이어(210)의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차량(1)의 도어 패널(110)과 결합 또는 결합 해제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와이어(211)가 락킹 유닛(220)에 감기면, 마운팅 유닛(300)은 도어 패널(110)에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제 2 와이어(212)가 락킹 유닛(220)에 감기면, 마운팅 유닛(300)은 도어 패널(11)과 결합 해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락킹 유닛(220)을 통해 제 1 와이어(211)와 제 2 와이어(212)를 감거나 풀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와이어(211)의 폐 루프 길이와 제 2 와이어(212)의 폐 루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와이어(211) 또는 제 2 와이어(212)의 폐 루프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마운팅 유닛(300)을 도어 패널(110)과 결합 또는 결합 해제 시킬 수 있다.
즉, 락킹 유닛(220)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손 쉽게 동시에 복수의 마운팅 유닛(300)을 도어 패널(110)과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마운팅 유닛(300)과 도어 패널(11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패스너를 통한 도어 트림(120)과 도어 패널(110)과의 결합 방법에 비해, 삽입성과 탈거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마운팅 유닛(300)과 도어 패널(110)의 결합 또는 결합 해제 과정에서 도어 패널(110)이 파손될 염려가 없어, 기존 구조에 따른 문제점이었던 도어 패널(110)로부터 도어 트림(120)의 탈거 시, 도어 패널(110)의 파손 발생 및 이로 인한 리워크(rework) 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에 있어서, 마운팅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200)는 도어 트림(120)에 설치되고, 와이어(210)의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차량(1)의 도어 패널(110)과 결합 또는 결합 해제 되도록 마련되는 마운팅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 유닛(300)은 도어 트림(120)에 장착되는 케이스(310), 케이스(31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 부(320)를 형성하는 커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 유닛(300)은 케이스(310)에 커버(3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 부가 마련될 수 있다.
마운팅 유닛(300)은 수용 부(320)에 와이어(210)의 장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락킹 로드(340) 및 락킹 로드(340)를 둘러싸고, 락킹 로드(340)에 연동되어 접히거나 펴지는 폴딩 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 유닛(300)은 마운팅 유닛(300)이 마운팅 홀(1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운팅 홀(114)의 크기보다 작은 헤드 부재(370) 및 마운팅 유닛(300)이 마운팅 홀(114)에 간섭될 수 있도록 헤드 부재(370)의 하부에 배치되고, 마운팅 홀(114)의 크기보다 큰 결합 부재(380)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 부재(350)는 헤드 부재(370)와 결합 부재(3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 부재(370)와 결합 부재(380)는 케이스(310)와 커버(330)가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폴딩 부재(350)는 헤드 부재(37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블록(351) 및 결합 부재(380)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 블록(352)과, 제 1 연결 블록(351)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폴딩 블록(353) 및 제 1 폴딩 블록(353)과 제 2 연결 블록(352)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폴딩 블록(354)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부재(350)는 폴딩 부재(350)가 접힐 수 있도록, 제 1 연결 블록(351)과 제 1 폴딩 블록(353)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폴딩 부(355), 제 1 폴딩 블록(353)과 제 2 폴딩 블록(354)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폴딩 부(356) 및 제 2 폴딩 블록(354)과 제 2 연결 블록(352) 사이에 마련되는 제 3 폴딩 부(357)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 유닛(200)은 도어 트림(1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케이스(310)에 마련되는 장착 부재(390) 및 락킹 로드(340)가 수용 부(320)에서 하강할 수 있도록, 장착 부재(390)에 하부가 개구되도록 마련되는 로드 가이드 부재(39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마운팅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유닛(300)은 헤드 부재(370)와 연결되고, 수용 부(320)에 배치되는 락킹 로드(340)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 로드(340)를 동작시키는 와이어(210)는 수용 부(320)에 위치되는 와이어 고정 부재(3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와이어 고정 부재(360)는 락킹 로드(3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210)는 폐 루프를 형성하는 제 1 와이어(211) 및 제 1 와이어(211)와 별개의 폐 루프를 형성하고, 제 1 와이어(21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와이어(21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고정 부재(360)는 제 1 와이어(211)와 제 2 와이어(212)를 모두 수용하고,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폴딩 부재(350)는 복수로 마련되고, 도어 트림(120)에 고정된 도어 패널(110)의 하중이 마운팅 유닛(300)에 고르게 작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폴딩 부재(350)는 동일하게 소정의 각도로 이격될 수 있다.
즉, 폴딩 부재(350)는 중심에 락킹 로드(340)를 둘러싸고 있으며, 전 방향으로 고르게 외력을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360도 원의 방사 방향에 따라, 폴딩 부재(350)가 세 개로 구성되면 각각 120도로 이격될 수 있고, 폴딩 부재(350)가 네 개로 구성되면 각각 90도로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폴딩 부재(350)의 수는 도어 트림(120)에 고정된 도어 패널(110)에 의한 하중이 마운팅 유닛(300)에 고르게 작용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폴딩 부재(350)는 케이스(310)에 배치되는 제 1 폴딩 부재(350a) 및 커버(330)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폴딩 부재(350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폴딩 부재(350)가 서로 90도 이격되어 네 개로 마련되는 경우, 제 1 폴딩 부재(350a)는 하나로 마련될 수 있고, 제 2 폴딩 부재(350b)는 세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폴딩 부재(350a)와 제 2 폴딩 부재(350b)의 개수는 서로의 합이 총 폴딩 부재(350)의 개수를 만족하는 한도 내에서, 제한 없이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에 있어서, 마운팅 유닛의 락킹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유닛(200)은 제 1 와이어(211)가 통과하는 제 1 와이어 관통 부(301) 및 제 1 와이어 관통 부(301)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 2 와이어(212)가 통과하는 제 2 와이어 관통 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 유닛(300)의 락킹 동작을 살펴 보면, 먼저 도어 트림(120)에 설치된 락킹 유닛(220)이 제 1 와이어(211)를 감으면, 제 1 와이어(211)의 장력에 의해 락킹 로드(340)가 수용 부(320)에서 하강하고, 하강되는 락킹 로드(340)에 연동되어 폴딩 부재(350)가 접히게 되어, 마운팅 유닛(300)이 마운팅 홀(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 트림(120)이 도어 패널(110)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운팅 유닛(300)은 헤드 부재(370)부터 결합 부재(380)가 마련된 위치까지 마운팅 홀(114)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헤드 부재(370)와 제 2 연결 블록(352)를 제외한 폴딩 부재(350)는 마운팅 홀(114)에 모두 완전하게 삽입될 수 있다.
마운팅 유닛(300)이 마운팅 홀(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운팅 유닛(300)이 락킹 동작을 수행하면 도어 트림(120)과 결합된 도어 인너 패널(112)은 결합 부재(380)와 접힌 폴딩 부재(350)의 제 2 폴딩 블록(354)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트림(120)과 도어 인너 패널(112)간의 밀착을 강화할 수 있고, 밀착 불량에 의해 발생하는 이음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에 있어서, 마운팅 유닛의 언 락킹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트림(120)은 도어 패널(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마운팅 유닛(300)의 언 락킹 동작을 살펴 보면, 락킹되어 있는 마운팅 유닛(300)은 도어 트림(120)에 설치된 락킹 유닛(220)이 제 2 와이어(212)를 감으면서, 제 2 와이어(212)의 장력에 의해 수용 부(320)에서 하강되어 있던 락킹 로드(340)가 상승할 수 있다.
상승되는 락킹 로드(340)에 연동되어 접혀져있던 폴딩 부재(350)가 락킹 로드(34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펴지어, 마운팅 유닛(300)이 마운팅 홀(114)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즉, 마운팅 홀(114)로부터 마운팅 유닛(300)의 헤드 부재(370) 및 제 2 연결 블록(352)을 제외한 폴딩 부재(350)가 모두 완전하게 빠져 나옴으로써, 도어 트림(120)은 도어 패널(110)과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따른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에 있어서, 이탈 방지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유닛(300)은 락킹 로드(340)가 수용 부(3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 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운팅 유닛(300)은 케이스(310)에 마련되는 제 1 이탈 방지 부재(311) 및 제 1 이탈 방지 부재(311)와 간섭되고, 락킹 로드(340)에 마련되는 제 2 이탈 방지 부재(3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이탈 방지 부재(341)는 외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 1 이탈 방지 부재(311)는 제 2 이탈 방지 부재(341)가 수용되어 제한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이탈 방지 부재(311)는 수용 부(320)에서 락킹 부재(340)의 상 하 방향으로의 상승 또는 하강을 제한할 수 있다. 제 1 이탈 방지 부재(311)는 제 2 이탈 방지 부재(341)와 락킹 로드(340)의 운동 방향에 따른 상 측과 하 측에서 제 2 이탈 방지 부재(341)와 간섭되어 락킹 로드(340)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락킹 로드(340)의 지나친 상 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락킹 로드(340)의 상 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폴딩 부재(350)에 가해질 수 있는 외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차량 10 : 차체
100 ; 차량 용 도어 110 : 도어 패널
111 : 도어 아우터 패널 112 : 도어 인너 패널
113 : 모듈 수용 부 114 : 마운팅 홀
120 : 도어 트림 200 : 도어 트림 결합 장치
210 : 와이어 211 : 제 1 와이어
212 : 제 2 와이어 220 : 락킹 유닛
300 : 마운팅 유닛 301 : 제 1 와이어 관통 부
302 : 제 2 와이어 관통 부 310 : 케이스
311 : 제 1 이탈 방지 부재 320 : 수용 부
330 : 커버 340 : 락킹 로드
341 : 제 1 이탈 방지 부재 350 : 폴딩 부재
350a : 제 1 폴딩 부재 350b : 제 2 폴딩 부재
351 : 제 1 연결 블록 352 : 제 2 연결 블록
353 : 제 1 폴딩 블록 354 : 제 2 폴딩 블록
355 : 제 1 폴딩 부 356 : 제 2 폴딩 부
357 : 제 3 폴딩 부 360 : 와이어 고정 부재
370 : 헤드 부재 380 : 결합 부재
390 : 장착 부재 391 : 로드 가이드 부재

Claims (15)

  1. 폐 루프 형태로 마련되는 와이어;
    차량의 도어 트림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감거나 풀도록 마련되는 락킹 유닛;
    상기 도어 트림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차량의 도어 패널과 결합 또는 결합 해제 되도록 마련되는 마운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도어 트림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 부를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수용 부에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락킹 로드 및 상기 락킹 로드를 둘러싸고, 상기 락킹 로드에 연동되어 접히거나 펴지는 폴딩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수용 부에 마련되는 와이어 고정 부재에 배치되고, 폐 루프를 형성하는 제 1 와이어 및 상기 제 1 와이어와 별개의 폐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와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와이어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유닛이 상기 제 1 와이어를 감으면, 상기 제 1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기 락킹 로드가 하강하고, 상기 하강되는 락킹 로드에 연동되어 상기 폴딩 부재가 접히어, 상기 도어 트림이 상기 도어 패널과 결합되는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유닛이 상기 제 2 와이어를 감으면, 상기 제 2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하강된 상기 락킹 로드가 상승하고, 상기 상승되는 락킹 로드에 연동되어 상기 접힌 폴딩 부재가 펴지어, 상기 도어 트림이 상기 도어 패널과 결합 해제되는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락킹 유닛은 폐 루프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와이어를 통해, 상기 복수의 마운팅 유닛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마운팅 유닛이 삽입되는 마운팅 홀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마운팅 유닛이 상기 마운팅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홀의 크기보다 작은 헤드 부재 및 상기 마운팅 유닛이 상기 마운팅 홀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 홀의 크기보다 큰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부재는 상기 헤드 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블록 및 상기 결합 부재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 블록과, 상기 제 1 연결 블록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폴딩 블록 및 상기 제 1 폴딩 블록과 상기 제 2 연결 블록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폴딩 블록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부재는 상기 폴딩 부재가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제 1 연결 블록과 상기 제 1 폴딩 블록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폴딩 부, 상기 제 1 폴딩 블록과 상기 제 2 폴딩 블록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폴딩 부 및 상기 제 2 폴딩 블록과 상기 제 2 연결 블록 사이에 마련되는 제 3 폴딩 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접힌 폴딩 부재의 상기 제 2 폴딩 블록 사이에 고정되는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부재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도어 트림에 고정된 상기 도어 패널의 하중이 상기 마운팅 유닛에 고르게 작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폴딩 부재는 서로 동일하게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는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는 제 1 폴딩 부재 및 상기 커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폴딩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락킹 로드가 상기 수용 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제 1 이탈 방지 부재 및 상기 제 1 이탈 방지 부재와 간섭되고 상기 락킹 로드에 마련되는 제 2 이탈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도어 트림과 결합되는 장착 부재 및 상기 락킹 로드가 상기 수용 부에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 부재에 하부가 개구되도록 마련되는 로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제 1 와이어가 통과하는 제 1 와이어 관통 부 및 상기 제 1 와이어 관통 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와이어가 통과하는 제 2 와이어 관통 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15. 삭제
KR1020160172239A 2016-12-16 2016-12-16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KR102570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239A KR102570294B1 (ko) 2016-12-16 2016-12-16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239A KR102570294B1 (ko) 2016-12-16 2016-12-16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735A KR20180070735A (ko) 2018-06-27
KR102570294B1 true KR102570294B1 (ko) 2023-08-25

Family

ID=6278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239A KR102570294B1 (ko) 2016-12-16 2016-12-16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29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165U (ko) * 1998-01-15 1999-08-25 정몽규 자동차 내부 트림 장착용 가변식 클립
KR100351760B1 (ko) * 2000-07-28 2002-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의 도어 트림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735A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1861B (zh) 车辆用门控制装置以及车辆
EP3333003B1 (en) Vehicle control device provided i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US11292418B1 (en) Deployable passenger enclosure
EP3409525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EP3333018A1 (en) Around view monitoring apparatus for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EP3372437B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method of manufacturing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vehicle
EP3409565B1 (en) Parking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US20180364479A1 (en) 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head-up display for vehicle
JP6886106B2 (ja) 電子ミラーシステム、自動車用ドア及び自動車
CN108263181A (zh) 带有可移动内部门板的车辆
JP2019014464A (ja)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3434524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570294B1 (ko)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KR101856934B1 (ko) 차량용 도어가드
KR101856931B1 (ko) 오버슬램 범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0613553B1 (ko) 퍼들 램프와 방향지시램프를 구비한 아웃사이드 미러
KR102559683B1 (ko) 차량 용 도어 트림
JP7211292B2 (ja) 車両構造
KR101906166B1 (ko) 차량 용 루프
KR102297411B1 (ko) 차량용 페달
US9802488B2 (en) Board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80070026A (ko) 차량 용 도어
WO2017190598A1 (zh) 车载装置、机动车辆以及安装车载装置的方法
US20230114204A1 (en) Liftgate rear camera system and method thereof
JP7218040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