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934B1 - 차량용 도어가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934B1
KR101856934B1 KR1020170028050A KR20170028050A KR101856934B1 KR 101856934 B1 KR101856934 B1 KR 101856934B1 KR 1020170028050 A KR1020170028050 A KR 1020170028050A KR 20170028050 A KR20170028050 A KR 20170028050A KR 101856934 B1 KR101856934 B1 KR 101856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gnet
vehicle
link
mo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현
김대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8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Abstract

차량의 도어를 여닫을 때, 인접한 타 차량의 차체와 부딪힘에 의해 자, 타 차량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도어가드를 제공한다.
차량의 외관을 구성하는 차체, 차체와 힌지 결합하도록 차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도어, 도어를 열 때, 상호 접촉될 수 있는 다른 차량의 도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도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보호부재, 보호부재를 도어가 닫혀 있을 때 도어와 차체 사이에 위치시키고, 도어가 열리면 도어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이동장치 및 이동장치가 보호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자력에 의해 이동장치를 조절하는 자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가드{DOOR GUAR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여닫을 때, 인접한 타 차량의 차체와 부딪힘에 의해 자, 타 차량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도어가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차량에는 탑승자가 차량에 승, 하차할 수 있는 도어가 필연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차량의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패널로 구성된다.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고 나면 주차를 하게 된다. 주차를 하고 나서 차량의 도어를 열 때 무의식적으로 도어를 강하게 열어 좌우 다른 차량의 도어를 찍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갈수록 차량의 크기는 다양해지는 것에 반하여, 주차 공간의 크기는 오래전부터 변화가 없어 주차 시 차량의 도어에 찍힌 자국인 문콕이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차량이 도어의 가장자리 부분에 스펀지나 기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감쇠 역할을 하는 패드를 부착하고 주행 및 주차를 하게 된다.
패드는 작게는 스펀지를 도어의 가장자리의 일단부에 일부분만을 부착하기도 하고, 크게는 고무패드를 도어 전체에 도포하여 주행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패드들은 주행 및 주차 시 심미적으로 좋지 못하고, 세차나 불의의 사고 발생 시 떨어지기 쉽다.
그래서 일부의 운전자들은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운전을 하고 있기도 하여 본인의 차량은 도어찍힘 방지패드를 부착하여도, 상대방의 차량이 패드를 부착하지 않아 본인의 차량의 도어에 찍힘이 지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니즈에 따라 차량의 도어의 외면에 그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차량의 도어를 오픈 시 패드가 외부로 나와 도어 찍힘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생기기 쉬운 도어의 흠집을 보호부재에 의해서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도어가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의 보호를 위한 도어가드가 도어가 닫혀 있을 때는 외관상 외부로 돌출되어 않고 도어의 내부에 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가 열리면 외부로 회전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도어가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어가드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엑츄에어터, 센서 등의 전기장치를 이용하지 않아 결선의 필요가 없고, 자석 및 기구학적인 구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도어가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용 도어가드는 차량의 외관을 구성하는 차체, 상기 차체와 힌지 결합하도록 상기 차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열 때, 상호 접촉될 수 있는 다른 차량의 도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보호부재, 상기 보호부재를 상기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상기 도어와 상기 차체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도어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보호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자력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를 조절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도어자석 및 상기 제1도어자석을 척력에 의해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제1도어자석과 서로 같은 극을 마주하고 고정되는 제2도어자석을 가지는 도어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상기 도어자석을 인력에 의해 끌어당길 수 있도록, 상기 도어자석과 서로 다른 극을 마주하고 상기 차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차체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제1도어자석과 연결되어 상기 제1도어자석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보호부재를 연결하는 제1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보호부재 및 상기 보호부재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도어의 내부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도록 하 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지지핀을 지지 삼아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다른 차량의 도어와의 접촉 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마련되는 보호바디 및 상기 보호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링크가이드홈 및 상기 제2링크부재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2링크가이드홈을 가지는 가이드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가이드홈은 상기 제1링크부재가 상기 보호부재를 회전할 수 있도록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2링크가이드홈은 상기 제2링크부재가 상기 보호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직선을 이룰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용 도어가드는 차량용 도어, 상기 도어를 열 때 상호 접촉될 수 있는 다른 차량의 도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보호부재, 상기 보호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를 자력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도어자석 및 상기 제1도어자석과 상호 작용하도록 고정되는 제2도어자석을 포함하는 도어자석 및 상기 도어자석과 상호 작용하도록 상기 차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차체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제2도어자석 및 상기 제2도어자석과 서로 같은 극을 마주하고 배치되는 상기 제1도어자석 사이의 척력에 의해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제1도어자석 및 상기 제1도어자석과 서로 다른 극을 마주하고 배치되는 상기 차체자석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생기기 쉬운 도어의 흠집을 방지하는 보호부재를 차량의 도어에 설치함으로써, 문콕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의 보호를 위한 도어가드가 도어가 닫혀 있을 때는 외관상 외부로 돌출되어 않고 도어의 내부에 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가 열리면 외부로 회전하여 돌출됨으로써, 주행 시의 차량의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가드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엑츄에이터, 센서 등의 전기장치를 이용하지 않아 결선의 필요가 없고, 자석 및 기구학적인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및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를 포함하는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를 포함하는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에 있어서, 도어가 닫혀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에 있어서, 도어가 열릴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에 있어서, 도어가 열릴 때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에 있어서, 도어가 닫힐 때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를 포함하는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12)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차량(1)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자동차,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1)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12)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자동차, 원동기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10)는 엔진 등과 같이 차량(1)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장치를 보호하는 후드(11a),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루프패널(11b),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트렁크리드(11c), 차량(1)의 측면에 마련되는 프런트휀더(11d) 및 쿼터패널(11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체(10)의 측면에는 차체(10)와 힌지 결합된 복수의 도어(1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100)는 차량(1)의 실내를 구성하는 도어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패널(110)은 도어(100)를 구성하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가공한 판을 의미할 수 있다. 도어패널(110)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아우터패널(111)을 포함할 수 있다.
후드(11a)와 루프패널(11b) 사이에는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윈도우(16a)가 마련될 수 있고, 루프패널(11b)과 트렁크리드(11c) 사이에는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윈도우(16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100)의 상측에는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측면윈도우(16c)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의 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헤드램프(Head lamp, 13)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의 전방, 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방향지시램프(Turn Signal Lamp, 14)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은 방향지시램프(14)를 점멸하여 그 진행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1)의 후방에는 테일램프(15)가 마련될 수 있다. 테일램프(15)는 차량(1)의 후방에 마련되어 차량(1)의 기어 변속 상태, 브레이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차체(10)는 프런트범퍼(front bumper, 17) 및 라디에이터그릴(radiator grille, 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0)는 후방을 감시하기 위한 사이드미러(19)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제어부(20)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제어부(20)는 차량(1)의 동작과 관련된 전자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제어부(20)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1)의 내부의 임의적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제어부(20)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한 후 출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칩 및 관련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칩 및 관련부품은 차량(1)의 내부에 설치 가능한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실내에는 운전석(30)과 보조석(3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실내에는 대시보드(40)와 운전대(50)와 계기판(60)이 마련될 수 있다.
대시보드(40)는 차량(1)의 실내와 엔진룸(미 도시)을 구획하고, 운전에 필요한 각종부품이 설치되는 실내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대시 보드(40)는 운전석(30) 및 보조석(31)의 전면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대시보드(40)는 상부패널, 센터페시아(41) 및 기어박스(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보드(40)의 상부패널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43)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43)는 차량(1)의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화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43)는 지도, 날씨, 뉴스, 각종 동영상이나 정지화상, 차량(1)의 상태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일례로 공조장치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43)는 위험도에 따른 경고를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이 차로를 변경하는 경우, 위험도에 따라 상이한 경고를 운전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과속방지턱의 위치 정보와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43)는 통상 사용되는 내비게이션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43)는 대시보드(4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패널만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43)는 센터페시아(41)의 중단이나 하단에 설치될 수도 있고, 대시보드(40)의 상부면에 별도의 지지대(미 도시)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43)가 설치될 수 있다.
대시보드(40)의 내측에는 프로세서, 통신모듈, 위성항법장치 수신모듈, 저장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프로세서는 차량(1)에 설치된 각종 전자장치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제어부(2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장치들은 반도체칩, 스위치, 집적회로, 저항기,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41)는 대시보드(40)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1)과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44)이 마련될 수 있다.
입력수단(44)은 물리버튼, 노브,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스틱형 조작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운전자는 입력수단(44)을 조작함으로써 차량(1)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어박스(42)는 센터페시아(41)의 하단에 위치하고, 운전석(30) 및 보조석(31)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기어박스(42)에는 기어(45), 수납함(46) 및 각종 입력수단(44)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수납함(46) 및 입력수단(44)은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대시보드(40)의 운전석 방향에는 운전대(50)와 계기판(instrument panel, 60)이 마련될 수 있다. 운전대(5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운전대(5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차량(1)의 차륜(12)이 회전함으로써 차량(1)이 조향될 수 있다.
계기판(60)은 차량(1)의 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 잔량, 엔진오일의 온도, 방향지시램프(14)의 점멸 여부, 차량(1)의 이동거리 등 차량(1)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계기판(60)은 조명 등이나 눈금판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계기판(60)이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된 경우, 계기판(60)은 상술한 정보 이외에도, 연비나 차량(1)에 탑재된 각종 기능의 수행 여부 등과 같이, 보다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룸미러(70)는 차량(1)의 내부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운전자는 룸미러(70)를 통해 차량(1)의 후방 또는 차량(1)의 실내를 볼 수 있다.
차량(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부(80)가 마련될 수 있다. 촬영부(80)는 차량(1)의 주행 중 또는 정차 중에 차량(1)의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차량(1)의 전방에 위치한 선행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부(8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camera)를 포함할 수 있고, 좀 더 정확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3차원공간인식센서 및 레이더센서 및 초음파센서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는 촬영부(80)가 룸미러(70)의 주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촬영부(80)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며, 차량(1)의 내부 또는 외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한도 내에서 어디든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를 포함하는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0)는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패널(110)과 도어패널(110)의 내측에 장착되는 도어트림(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패널(110)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아우터패널(111) 및 도어아우터패널(111)과 대향되도록 차량(1)의 내부를 향하는 도어인너패널(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트림(120)은 실내 장식뿐만 아니라, 차음, 흡음, 충돌 시 승객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어트림(120)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도어트림(120)의 내측면에는 도어(100)를 개방할 수 있는 인사이드핸들(121)과 도어(100)를 당겨서 닫을 수 있는 풀핸들(12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트림(120)에는 암레스트(123)와 도어포켓(124)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100)에는 측면윈도우(16c) 및 도어(100)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도어잠금장치(미 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트림(120)에는 윈도우개폐스위치, 도어잠금-해제스위치, 사이드미러 조정스위치 등 각종 스위치(125)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트림(120)에는 도어(100)에 장착된 각종 장치들뿐만 아니라, 트렁크 개방스위치, 시트 조정스위치 등 다양한 스위치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어패널(110)의 외측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도어패널(110)의 강성을 보강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가니시(130) 또는 몰딩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어트림(120)에도 차량의 실내 장식을 위한 가니시(130) 또는 몰딩 등이 부착될 수 있다.
가니시(130)는 차체(10)에 붙여진 여러 가지 장식물을 말하며, 차체(10)의 장식뿐만 아니라, 차체(10)의 외면을 보호하고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몰딩 또한 차체(10)에 붙여지는 장식물의 일종으로, 주로 가로, 세로, 사선, 곡선이 연속된 띠 모양의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몰딩은 표면에 요철을 주어 차량(1)의 외관 또는 인테리어의 밋밋한 곳에 미감을 주고, 다른 부품과의 시각적인 균형을 이루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몰딩은 가니시(130)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가니시(130)의 이음매를 보이지 않게 하거나, 이음매를 미려하게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가니시(130)와 몰딩은 명확한 구분이 없을 수 있다. 즉, 몰딩은 가니시(130)의 일종으로 해석될 수 있고, 가니시(130)는 몰딩을 포함하는 명칭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어(100)는 도어(100)를 열 때, 상호 접촉될 수 있는 다른 차량의 도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도어(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보호부재(210)를 가지는 차량용 도어가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차량용 도어가드(200)가 도어(100)의 가장자리 중간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200)는 도어(100)의 개폐 시 상호 접촉될 수 있는 다른 차량의 도어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 내에서 도어(10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가드(200)는 다른 차량이 본인의 차량(1)의 도어(100)의 모서리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하려고, 도어(100)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도어(100)를 보호하고, 자신의 차량(1)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차량의 긁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도어가드(200)는 다양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어, 차량(1)의 장식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도어가드(200)로는 일반적으로 패드를 많이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패드는 EVA 발포 수지를 스펀지 형태의 패드로 제조한 다음, 패드를 재단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단위 면적으로 절단 가공함에 따라 직사각 형태의 패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패드의 종류로는 패드의 완충부재에 절개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또는 도어(100)에 가이드홀더를 클립 식으로 끼워 부착시키는 것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차량용 도어가드(200)는 모두 도어(100)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서, 주행 중이거나 주차 중에 차량용 도어가드(200)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못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에 있어서, 도어가 닫혀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에 있어서, 도어가 열릴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200)는 보호부재(210)를 도어(100)가 닫혀 있을 때, 도어(100)와 차체(10) 사이에 위치시키고, 도어(100)가 열리면 도어(100)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도어(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이동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장치(220)는 도어(100)의 내부, 즉, 도어패널(110)과 도어트림(12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도어아우터패널(111)과 도어인너패널(112) 사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차량용 도어가드(200)는 이동장치(220)가 보호부재(2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자력에 의해 이동장치(220)를 조절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은 도어(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도어자석(231) 및 제1도어자석(231)을 척력에 의해 밀어낼 수 있도록 제1도어자석(231)과 서로 같은 극을 마주하고 고정되는 제2도어자석(232)을 가지는 도어자석(2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자석(231) 및 제2도어자석(232)의 빗금친 부분은 N극 또는 S극 일 수 있으나, 제1도어자석(231)과 제2도어자석(232)은 서로 같은 극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석은 도어자석(230)을 인력에 의해 끌어당길 수 있도록, 도어자석(230)과 서로 다른 극을 마주하고 차체(10)의 내부에 고정되는 차체자석(2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차체자석(240)의 빗금친 부분은 N극 또는 S극 일 수 있으나, 차체자석(240)은 도어자석(230)과 서로 다른 극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어자석(230) 간에 미치는 자력에 비해 차체자석(240)의 자력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즉, 제1도어자석(231)과 제2도어자석(232)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에 비해, 도어자석(230)과 차체자석(24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가 클로즈되어 있는 경우, 제2도어자석(232)과 제1도어자석(231) 간에 척력이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체자석(240)이 제1도어자석(231)에 작용하는 인력이 더 크므로, 이동장치(22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동장치(220)는 제1도어자석(231)과 연결되어 제1도어자석(231)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부재(221) 및 이동부재(221)와 보호부재(210)를 연결하는 제1링크부재(2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장치(220)는 보호부재(210) 및 보호부재(210)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227)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225) 및 이동부재(221)와 지지부재(225)를 도어(100)의 내부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링크부재는 이동부재(221)와 보호부재(210)를 연결하는 제1링크부재(226) 및 지지부재(225)와 보호부재(210)를 연결하는 제2링크부재(227)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23)는 이동부재(221) 및 지지부재(225)를 도어(100)의 내부에 배치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223)는 이동부재(221)를 지지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핀(224)을 포함하고, 이동부재(221)는 이동부재(221)가 지지핀(224)을 지지 삼아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자석의 자력에 의해 보호부재(210)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220)는 지지부재(225) 및 지지핀(224)를 포함하는 고정부재(223)는 움직이지 않고, 이동부재(221)만이 지지핀(224) 및 지지홈(222)을 통해 움직임으로써, 이동할 수 있다.
보호부재(210)는 다른 차량의 도어와의 접촉 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마련되는 보호바디(211) 및 보호바디(211)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바디(2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보호바디(211)는 실제적으로 도어(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부분으로 도어(100)가 열리면 도어(100)의 가장자리부가 다른 차량의 도어와의 접촉 시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바디(212)는 제1링크부재(226)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링크가이드홈(213) 및 제2링크부재(227)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2링크가이드홈(214)을 가지는 가이드바디(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가이드홈(213)은 제1링크부재(226)가 보호부재(210)를 회전할 수 있도록 곡선을 이루고, 제2링크가이드홈(214)은 제2링크부재(227)가 보호부재(2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직선을 이룰 수 있다.
즉, 제1링크부재(226) 및 제1링크가이드홈(213)은 보호부재(210)를 회전 시켜 도어(100)의 개폐 시 다른 차량의 도어와의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부재(227) 및 제2링크가이드홈(214)은 보호부재(210)를 이동장치(220)에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에 있어서, 도어가 열릴 때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210)는 도어(100)가 열릴 때, 제2도어자석(232) 및 제2도어자석(232)과 서로 같은 극을 마주하고 배치되는 제1도어자석(231) 사이의 척력에 의해 도어(1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차량(1)의 외관을 해치지 않기 위해, 차량용 도어가드(2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엑츄에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200)와같이 엑츄에이터 등의 전기장치가 아닌 자석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전기장치를 이용하는 도어가드는 차량(1)의 도어(100)의 열림 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도어각도센서가 도어(100)와 차체(10)의 결합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차량(1)의 도어(100)가 열리면 도어가드 엑츄에이터가 도어각도센서에 의해 인식된 신호를 통해 도어 가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량(1)의 도어(100)가 다시 닫히는 경우, 도어각도센서가 이를 인식하고, 액츄에이터가 도어각도센서에 의해 인식된 신호를 통해 도어가드를 동작 시켜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전기장치를 이용하는 도어가드는 도어각도센서와 액츄에이터를 장착하고, 이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연결선을 설치하기 위한 전기적 부품들이 필요하고, 이로인해 차량(1)의 중량도 증가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200)는 추가적인 전기부품을 제거할 수 있어 외부 환경 요건에 강건할 수 있고, 자석 및 기구학적인 구조로 설계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수리가 용이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200)가 도어(100)의 오픈 시에 작동하는 원리 및 순서를 살펴 보면, 먼저 도어(100)가 오픈 되면(S1) 물리적으로 차체자석(240)과 도어자석(230)의 위치가 멀어질 수 있다.(S2)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던 차체자석(240)과 도어자석(230)은 물리적으로 멀어짐으로 인해, 상호 간의 인력이 줄어들게 되고, 차체자석(240)의 큰 자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은 자력의 도어자석(230)의 내부에서 상호 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서로 같은 극을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던 제2도어자석(232)과 제1도어자석(231) 상호 간에 척력이 작용하게 되어 제2도어자석(232)이 제1도어자석(231)을 밀어낼 수 있다.(S3)
제2도어자석(232)의 척력에 의해, 제1도어자석(231) 및 제1도어자석(231)과 연결되어 있는 이동부재(221)도 함께 밀려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221)와 연결되어 있는 제1링크부재(226) 및 제1링크가이드홈(213)에 의해 보호부재(210)가 회전하며 돌출하여 도어(100)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S4)
이를 통해, 도어(100)의 오픈 시에 상호 접촉할 수 있는 다른 차량의 도어와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에 있어서, 도어가 닫힐 때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210)는 도어(100)가 닫힐 때, 제1도어자석(231) 및 제1도어자석(231)과 서로 다른 극을 마주하고 배치되는 차체자석(240) 사이의 인력에 의해 도어(100)의 내측으로 은폐될 수 있다.
즉,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드(200)가 도어(100)의 클로즈 시에 작동하는 원리 및 순서를 살펴 보면, 먼저 도어(100)가 클로즈 되면(S5) 물리적으로 차체자석(240)과 도어자석(230)의 위치가 가까워질 수 있다.(S6)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던 차체자석(240)과 도어자석(230)은 물리적으로 가까워짐으로 인해, 상호 간의 인력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1도어자석(231)과 제2도어자석(232)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이 비해, 상대적으로 큰 자력인 차체자석(240)과 도어자석(230) 간의 인력에 의해 차체자석(240)이 제1도어자석(231)을 끌어당길 수 있다.(S7)
차체자석(240)의 인력에 의해, 제1도어자석(231) 및 제1도어자석(231)과 연결되어 있는 이동부재(221)도 함께 끌어 당겨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221)와 연결되어 있는 제1링크부재(226) 및 제1링크가이드홈(213)에 의해 보호부재(210)가 회전하며 도어(100)의 내측면, 즉 도어(100)와 차체(10) 사이로 은폐될 수 있다.(S8)
이를 통해, 도어(100)의 클로즈 시에 차량용 도어가드(200)가 은폐될 수 있으므로, 차량(1)의 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차량 10 : 차체
11a : 후드 11b : 루프패널
11c : 트렁크리드 11d : 프런트휀더
11e : 쿼터패널 12 : 차륜
13 : 헤드램프 14 : 방향지시램프
15 : 테일램프 16a : 프런트윈도우
16b : 리어윈도우 16c : 측면윈도우
17 : 프런트범퍼 18 : 라이에이터그릴
19 : 사이드미러 20 : 차량제어부
30 : 운전석 31 : 보조석
40 : 대시보드 41 : 센터페시아
42 : 기어박스 43 :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
44 : 입력수단 45 : 기어
46 : 수납함 50 : 운전대
60 : 계기판 70 : 룸미러
80 : 촬영부 100 : 도어
110 : 도어패널 111 : 도어아우터패널
112 : 도어인너패널 120 : 도어트림
121 : 인사이드핸들 122 : 풀핸들
123 : 암레스트 124 : 도어포켓
125 : 각종 스위치 130 : 가니시
200 : 차량용 도어가드 210 : 보호부재
211 : 보호바디 212 : 가이드바디
213 : 제1링크가이드홈 214 : 제2링크가이드홈
220 : 이동장치 221 : 이동부재
222 : 지지홈 223 : 고정부재
224 : 지지핀 225 : 지지부재
226 : 제1링크부재 227 : 제2링크부재
230 : 도어자석 231 : 제1도어자석
232 : 제2도어자석 240 : 차체자석

Claims (11)

  1. 차량의 외관을 구성하는 차체;
    상기 차체와 힌지 결합하도록 상기 차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열 때, 상호 접촉될 수 있는 다른 차량의 도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보호부재;
    상기 보호부재를 상기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상기 도어와 상기 차체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도어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보호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자력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를 조절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도어자석 및 상기 제1도어자석을 척력에 의해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제1도어자석과 서로 같은 극을 마주하고 고정되는 제2도어자석을 가지는 도어자석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도어자석을 인력에 의해 끌어당길 수 있도록, 상기 도어자석과 서로 다른 극을 마주하고 상기 차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차체자석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제1도어자석과 연결되어 상기 제1도어자석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보호부재를 연결하는 제1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보호부재 및 상기 보호부재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도어의 내부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도록 하 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지지핀을 지지 삼아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다른 차량의 도어와의 접촉 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마련되는 보호바디 및
    상기 보호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링크가이드홈 및 상기 제2링크부재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2링크가이드홈을 가지는 가이드바디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가이드홈은 상기 제1링크부재가 상기 보호부재를 회전할 수 있도록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2링크가이드홈은 상기 제2링크부재가 상기 보호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직선을 이루는 차량용 도어가드.
  9. 차체;
    상기 차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열 때, 상호 접촉될 수 있는 다른 차량의 도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보호부재;
    상기 보호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를 자력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도어자석 및 상기 제1도어자석과 상호 작용하도록 고정되는 제2도어자석을 포함하는 도어자석; 및
    상기 도어자석과 상호 작용하도록 상기 차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차체자석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가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제2도어자석 및 상기 제2도어자석과 서로 같은 극을 마주하고 배치되는 상기 제1도어자석 사이의 척력에 의해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차량용 도어가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제1도어자석 및 상기 제1도어자석과 서로 다른 극을 마주하고 배치되는 상기 차체자석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은폐되는 차량용 도어가드.
KR1020170028050A 2017-03-06 2017-03-06 차량용 도어가드 KR101856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050A KR101856934B1 (ko) 2017-03-06 2017-03-06 차량용 도어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050A KR101856934B1 (ko) 2017-03-06 2017-03-06 차량용 도어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934B1 true KR101856934B1 (ko) 2018-05-11

Family

ID=6218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050A KR101856934B1 (ko) 2017-03-06 2017-03-06 차량용 도어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448B1 (ko) 2019-01-09 2020-03-18 김선홍 차량 도어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848A (ja) 2002-05-01 2003-11-11 Sony Corp 車両用ドアの保護装置
KR20130047191A (ko)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능동형 전자식 차량 도어 가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848A (ja) 2002-05-01 2003-11-11 Sony Corp 車両用ドアの保護装置
KR20130047191A (ko)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능동형 전자식 차량 도어 가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448B1 (ko) 2019-01-09 2020-03-18 김선홍 차량 도어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3003B1 (en) Vehicle control device provided i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US20150194082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ccessories and information from a vehicle
KR101954199B1 (ko) 차량용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장치, 운행 제어 장치 및 차량
US10919456B2 (en) Display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method for operating a display apparatus, and motor vehicle having a display apparatus
EP1579412B1 (en) Accessory system for vehicle
US7513560B2 (en) Clear-view sun visor
US20030122929A1 (en) Vehicular camera system
US7686372B2 (en) Spot sun visor
US20090013922A1 (en) Automobile projected light for life safety
JP6886106B2 (ja) 電子ミラーシステム、自動車用ドア及び自動車
US20170246989A1 (en) Vehicle trim assembly comprising a storage compartment and a shutter
JP6929688B2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856934B1 (ko) 차량용 도어가드
JP5012014B2 (ja) 車両用通信装置の設置構造
US10688921B2 (en) Vehicular door safety warning system
WO2005039926A2 (en) Rear view device for vehicles
CN218489642U (zh) 能够在地面上操作的车辆、在道路上操作的车辆和车辆
CN106291927B (zh) 操作机动车辆的投影装置的方法和机动车辆的投影装置
KR102570294B1 (ko)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US20220396216A1 (en) Systems With Sensor Deployment Mechanisms
KR102559683B1 (ko) 차량 용 도어 트림
EP4230407A1 (en) Laminated polymer windows
CN117480074A (zh) 具有传感器部署机构的系统
WO2024054731A1 (en) Reflective structures
KR20240009982A (ko) 이동가능한 디스플레이들을 갖는 시스템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