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683B1 - 차량 용 도어 트림 - Google Patents

차량 용 도어 트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683B1
KR102559683B1 KR1020160173703A KR20160173703A KR102559683B1 KR 102559683 B1 KR102559683 B1 KR 102559683B1 KR 1020160173703 A KR1020160173703 A KR 1020160173703A KR 20160173703 A KR20160173703 A KR 20160173703A KR 102559683 B1 KR102559683 B1 KR 102559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door trim
vehicle
flang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014A (ko
Inventor
조완동
이준호
전동민
남용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3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6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5/048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29C2045/14057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feeding inserts wrapped on a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도어 트림 코어와 별도의 상부 레일 구조 없이 플랜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 있는 차량 용 도어 트림을 제공한다.
차량 용 도어 트림의 측 벽을 구성하는 제 1 코어 및 제 1 코어로부터 절곡되어 상부 벽을 구성하는 제 2 코어를 포함하고,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트림 코어, 제 2 코어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고,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랜지, 플랜지를 접을 수 있도록 제 2 코어와 플랜지 사이에 마련되는 노치 부 및 노치 부를 중심으로 접힌 플랜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용 도어 트림{DOOR TRIM FOR VEHICLE}
본 발명은 도어 트림 코어와 별도의 상부 레일 구조 없이 플랜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 있는 차량 용 도어 트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차량에는 탑승자가 차량에 승, 하차할 수 있는 도어가 필연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차량 용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 및 도어 아우터 패널과 대향되는 도어 인너 패널을 포함하는 도어 패널로 구성된다.
차량 용 도어에는 파워 윈도우,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 장치 및 후방을 감시하기 위한 사이드 미러 등이 마련되고, 차량 용 도어 상부에는 승강 작동되어 개폐되는 도어 글라스가 구비되어 있다. 도어 글라스는 도어 아우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 사이의 공간에 마련된다.
도어 인너 패널의 내 측에는 실내를 장식할 수 있는 내장 품인 도어 트림이 결합된다. 도어 트림은 실내 장식뿐만 아니라, 차음, 흡음, 충돌 시 승객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어 트림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어 제작되며, 도어 트림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도어 트림의 내부 구조를 볼 수 없도록, 플랜지가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는 기역자(ㄱ)의 단면 모양을 갖도록 절곡되어 마련되므로, 도어 트림의 사출 성형 시에는 플랜지에 의한 언더컷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언더컷이란 금형 사출물의 취출 과정에서 금형으로부터 금형 사출물의 분리를 어렵게 하는 턱이나 돌기 등의 장애 요소로 정의될 수 있다.
금형 사출물에 언더컷이 있거나 중간 구멍이 있어 단순히 양쪽 열림 금형으로는 사출물의 취출이 불가능한 경우에, 슬라이드 코어나 회전 코어 등 가동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를 사용하는 경우, 슬라이드 코어가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도어 트림의 디자인적인 요구에 의해 도어 트림의 모델이 다양해지면서 불가피하게 슬라이드 코어가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우, 도어 트림과 플랜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상부 레일 구조를 각각 사출 성형한 후, 초음파 융착 등을 통해 서로 결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제조 방법은 비용적인 측면과 제조 시간을 고려하여 볼 때 비 합리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용 도어 트림의 플랜지를 구성하기 위한 별도의 상부 레일 구조를 생략하도록 개선된 차량 용 도어 트림을 제공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용 도어 트림의 디자인적 제한에도 불구하고, 플랜지의 사출 성형 시 언더컷 발생 부분을 삭제할 수 있도록 접을 수 있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차량 용 도어 트림을 제공 한다.
본 발명은 플랜지가 용이하게 접히고,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어 트림 코어 및 플랜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노치 부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용 도어 트림을 제공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 용 도어 트림은 차량 용 도어 트림의 측 벽을 구성하는 제1 코어 및 상기 제1 코어로부터 절곡되어 상부 벽을 구성하는 제2 코어를 포함하고,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도어 트림 코어, 상기 제2 코어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고,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를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제2 코어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마련되는 노치 부 및 상기 노치 부를 중심으로 상기 접힌 플랜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상기 도어 트림 코어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플라스틱 소재로 상기 도어 트림 코어 및 상기 플랜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2 코어의 하부에 마련되는 걸림 부재 및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 부재에 결합하는 후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부재 및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노치 부는 상기 도어 트림 코어 및 상기 플랜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때, 상기 도어 트림 코어 및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트림 코어는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를 포함하는 도어 트림 상부 코어 및 상기 제1 코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트림 하부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트림 하부 코어와 결합되는 상기 제1 코어의 단 부는 상기 차량 용 도어 트림의 내 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 용 도어 트림은 차체를 구성하는 도어 패널의 내 측에 장착되고,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차랑 용 도어 트림에 있어서, 상부를 구성하는 도어 트림 상부 코어 및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를 구성하는 도어 트림 하부 코어를 포함하는 도어 트림 코어,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를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로부터 접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마련되는 노치 부 및 상기 노치 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접힌 플랜지를 고정하는 후크 부재 및 상기 후크 부재에 간섭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치 부는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 및 상기 플랜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 및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부재 및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 및 상기 플랜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용 도어 트림의 플랜지를 구성하기 위한 별도의 상부 레일 구조를 생략함으로써, 생산 원가 및 차량의 전체적인 중량을 절감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용 도어 트림의 디자인적 제한에도 불구하고, 플랜지의 사출 성형 시 언더컷 발생 부분을 삭제함으로써, 슬라이딩 코어가 아닌 단순한 금형 코어로 차량 용 도어트림을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랜지가 용이하게 접히고,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노치 부 및 고정 부재를 도어 트림 코어 및 플랜지와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생산 원가 및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을 포함하는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을 포함하는 차량의 실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을 포함하는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을 사출 성형하는 금형 코어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에 있어서, 노치 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에 있어서, 플랜지가 접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에 있어서, 접힌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 운송 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자동차,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 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 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을 포함하는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12)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10)는 엔진(미 도시) 등과 같이 차량(1)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후드(11a),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11b), 수납 공간이 마련되는 트렁크 리드(11c), 차량(1)의 측면에 마련되는 프런트 휀더(11d) 및 쿼터 패널(11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체(10)의 측면에는 차체(10)와 힌지 결합된 복수의 차량 용 도어(100)가 마련될 수 있다.
후드(11a)와 루프 패널(11b) 사이에는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우(16a)가 마련될 수 있고, 루프 패널(11b)과 트렁크 리드(11c) 사이에는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우(16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용 도어(100)의 상 측에는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측면 윈도우(16c)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의 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헤드 램프(13, Head lamp)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의 전방, 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방향 지시 램프(14, Turn Signal Lamp)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은 방향 지시 램프(14)를 점멸하여 그 진행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1)의 후방에는 테일 램프(15)가 마련될 수 있다. 테일 램프(15)는 차량(1)의 후방에 마련되어 차량(1)의 기어 변속 상태, 브레이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제어 부(20)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 제어 부(20)는 차량(1)의 동작과 관련된 전자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제어 부(20)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1) 내부의 임의적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 제어 부(20)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한 후 출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은 차량(1) 내부에 설치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을 포함하는 차량의 실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실내에는 운전 석(30)과 보조 석(31)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의 실내에는 대시 보드(40)와 운전 대(50)와 계기 판(60)이 마련될 수 있다.
대시 보드(40)는 차량(1)의 실내와 엔진 룸(미 도시)을 구획하고, 운전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실내 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대시 보드(40)는 운전 석(30) 및 보조 석(31)의 전면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대시 보드(40)는 상부 패널, 센터 페시아(41) 및 기어 박스(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 보드(40)의 상부 패널에는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차량(1)의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화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지도, 날씨, 뉴스, 각종 동영상이나 정지 화상, 차량(1)의 상태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일례로 공조 장치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위험도에 따른 경고를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이 차로를 변경하는 경우, 위험도에 따라 상이한 경고를 운전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과속 방지 턱의 위치 정보와 경고 신호를 출력 할 수 있다.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통상 사용되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대시 보드(4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만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는 센터 페시아(41)의 중단이나 하단에 설치될 수도 있고, 대시 보드(40)의 상부 면에 별도의 지지대(미 도시)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43)가 설치될 수 있다.
대시 보드(40)의 내 측에는 프로세서, 통신 모듈, 위성 항법 장치 수신 모듈, 저장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프로세서는 차량(1)에 설치된 각종 전자 장치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부(2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장치들은 반도체 칩, 스위치, 집적 회로, 저항기,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인쇄 회로 기판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센터 페시아(41)는 대시 보드(40)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1)과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44)이 마련될 수 있다.
입력 수단(44)은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 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 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운전자는 입력 수단(44)을 조작함으로써 차량(1)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어 박스(42)는 센터 페시아(41)의 하단에 위치하고, 운전 석(30) 및 보조 석(31)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기어 박스(42)에는 기어(45), 수납 함(46) 및 각종 입력 수단(44)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수납 함(46) 및 입력 수단(44)은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대시 보드(40)의 운전 석 방향에는 운전 대(50)와 계기 판(instrument panel, 60)이 마련될 수 있다. 운전 대(5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운전 대(5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차량(1)의 차륜(12)이 회전함으로써 차량(1)이 조향될 수 있다.
계기 판(60)은 차량(1)의 속도, 엔진 회전 수, 연료 잔량, 엔진 오일의 온도, 방향 지시 램프(14)의 점멸 여부, 차량(1)의 이동 거리 등 차량(1)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계기 판(60)은 조명 등이나 눈금 판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계기 판(60)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된 경우, 계기 판(60)은 상술한 정보 이외에도, 연비나 차량(1)에 탑재된 각종 기능의 수행 여부 등과 같이 보다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룸 미러(70)는 차량(1) 내부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운전자는 룸 미러(70)를 통해 차량(1)의 후방 또는 차량(1)의 실내를 볼 수 있다.
차량(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부(80)가 마련될 수 있다. 촬영 부(80)는 차량(1)의 주행 중 또는 정차 중에 차량(1)의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차량(1)의 전방에 위치한 선행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 부(8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camera)를 포함할 수 있고, 좀 더 정확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3차원 공간 인식 센서 및 레이더 센서 및 초음파 센서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는 촬영 부(80)가 룸 미러(70)의 주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촬영 부(80)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며, 차량(1)의 내부 또는 외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한도 내에서 어디든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을 포함하는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용 도어(100)는 차량(1)의 내부 공간에 출입할 수 있도록 차량(1)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 용 도어(100)는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110)과 도어 패널(110)의 내 측에 장착되는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용 도어(100)는 차량(1)의 실내를 구성하는 도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차량 용 도어(100)를 구성하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가공한 판을 의미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111) 및 도어 아우터 패널(111)과 대향되도록 차량(1)의 내부를 향하는 도어 인너 패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차랑 용 도어 트림(200)의 내 측면에는 차량 용 도어(100)를 개방할 수 있는 인사이드 핸들(201)과 차량 용 도어(100)를 당겨서 닫을 수 있는 풀 핸들(20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용 도어 트림(200)에는 암 레스트(203)와 도어 포켓(204)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 용 도어(100)에는 측면 윈도우(16c), 후방을 감시하기 위한 사이드 미러(미 도시) 및 차량 용 도어(100)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 장치(미 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 용 도어(100)의 차량 용 도어 트림(200)에는 윈도우 개폐 스위치, 도어 잠금-해제 스위치, 사이드 미러 조정 스위치 등 각종 스위치(205)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용 도어 트림(200)에는 차량 용 도어(100)에 장착된 각종 장치들뿐만 아니라, 트렁크 개방 스위치, 시트 조정 스위치 등 다양한 스위치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의 외 측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도어 패널(110)의 강성을 보강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가니시(120) 또는 몰딩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용 도어 트림(200)에도 차량의 실내 장식을 위한 가니시(120) 또는 몰딩 등이 부착될 수 있다.
가니시(120)는 차체(10)에 붙여진 여러 가지 장식물을 말하며, 차체(10)의 장식뿐만 아니라, 차체(10)의 외면을 보호하고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몰딩 또한 차체(10)에 붙여지는 장식물의 일종으로, 주로 가로, 세로, 사선, 곡선이 연속된 띠 모양의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몰딩은 표면에 요철을 주어 차량(1)의 외관 또는 인테리어의 밋밋한 곳에 미감을 주고, 다른 부품과의 시각적인 균형을 이루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몰딩은 가니시(120)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가니시(120)의 이음매를 보이지 않게 하거나, 이음매를 미려하게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가니시(120)와 몰딩은 명확한 구분이 없을 수 있다. 즉, 몰딩은 가니시(120)의 일종으로 해석될 수 있고, 가니시(120)는 몰딩을 포함하는 명칭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은 사출 성형되는 도어 트림 코어(210) 및 도어 트림 코어(210)를 감싸는 인조 가죽 등으로 구성되는 도어 트림 스킨(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트림 코어(210)는 측 벽을 구성하는 제1 코어(221) 및 제1 코어(221)로부터 절곡되어 상부 벽을 구성하는 제2 코어(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트림 코어(210)는 제2 코어(222)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고,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랜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300)는 인사이드 벨트 웨더 스트립(400)을 차량 용 도어 트림(200)에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1)의 연결 부위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웨더 스트립이 다수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차량 용 도어 트림(200)에는 인사이드 웨더 스트립(400)이 마련될 수 있다.
인사이드 웨더 스트립(400)은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플랜지(300)에 취부됨으로써, 승강 및 하강 하는 측면 윈도우(16c)의 도어 글라스와 접촉할 수 있다.
인사이드 웨더 스트립(400)은 그 내부 일 측에 철심이 위치하도록 인사이드 웨더 스트립(400)을 우선 사출 성형한 후,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플랜지(300)에 취부될 수 있다.
인사이드 웨더 스트립(400)은 SECC라는 스틸 재질의 철심이 일체로 성형되어 인사이드 웨더 스트립(400) 자체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철심을 절곡 하여 플랜지(300)에 취부 시킬 수 있도록, 레그와 같은 부재(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용 도어(100)에는 차량 용 도어 트림(200) 및 인사이드 웨더 스트립(400)과 대향되도록 측 면 윈도우(16c)의 도어 글라스를 사이에 두고, 아웃사이드 웨더 스트립(500) 및 도어 패널(100)이 마련될 수 있다.
아웃 사이드 웨더 스트립(500)은 인사이드 웨더 스트립(400)과 함께 승강 및 하강하는 측 면 윈도우(16c)의 도어 글라스와 접촉할 수 있다.
인사이드 웨더 스트립(400) 및 아웃사이드 웨더 스트립(500)은 각각 차량 용 도어 트림(200) 및 도어 패널(100)과 결합되어, 측 면 윈도우(16c)의 도어 글라스의 원활한 이동 및 측 면 윈도우(16c)의 도어 글라스와 차량 용 도어 트림(200)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와 소음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 트림 코어(210)는 제 1 코어(221)가 측 벽을 모두 구성하도록, 단 일의 코어로 사출 성형될 수 있지만,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디자인 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복수의 도어 트림 코어들이 결합되어 도어 트림 코어(2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어 트림 코어가 결합되어 도어 트림 코어(210)를 구성하는 경우, 도어 트림 코어(210)는 제 1 코어(221) 및 제 2 코어(222)를 포함하는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와 제 1 코어(221)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어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트림 하부 코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은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와 도어 트림 하부 코어(23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트림 하부 코어(230) 및 도어 트림 하부 코어(230)과 결합하는 제 1 코어(221)의 결합 단 부는 결합 부재(240)의 결합에 의해 차량 용 도어(100)의 내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내 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디자인 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제 1 코어(221) 및 도어 트림 하부 코어(230)는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내 측으로 절곡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을 사출 성형하는 금형 코어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은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사출 성형은 열 가소성 플라스틱 성형 재료 또는 열 경화성 플라스틱 성형 재료를 가열 용융하여, 사출 성형 금형의 캐비티 내로 성형 재료를 가압 및 충전시키고, 성형 재료를 고화 또는 경화하여 사출물을 생산할 수 있다.
플랜지(300)는 기역자(ㄱ)의 단면 모양을 갖도록 절곡되어 마련되므로,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사출 성형 시 플랜지(300)에 의한 언더컷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형 사출물에 언더컷 부분이 있어 단순히 양 쪽 열림 금형 코어(600)로는 사출물의 추출이 불가능한 경우에, 슬라이드 코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를 사용하는 경우, 슬라이드 코어가 작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이동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도어 트림 코어(210)가 제 1 코어(221)로 측 벽을 모두 구성하도록, 단 일의 코어로 사출 성형되는 경우는, 슬라이드 코어가 작동할 수 있는 이동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하지만,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디자인 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복수의 도어 트림 코어가 결합되어 도어 트림 코어(210)를 구성하는 경우는,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모델이 다양해지면서 불가피하게 슬라이드 코어가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도어 트림 하부 코어(230)와 결합하는 제 1 코어(221)는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디자인 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내 측으로 절곡될 수 있고, 플랜지(300)를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와 일체로 사출 성형하기 위한 슬라이드 코어의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을 간섭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차량 용 도어 트림(200)과 플랜지(3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추가적인 상부 레일 구조(미 도시)를 각각 별도로 사출 성형한 후, 초음파 융착 등을 통해 서로 결합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조 방법은 비용적인 측 면과 제조 시간을 고려하여 볼 때 비 합리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은 플랜지(300)가 상부 트림 코어(220)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된 상태로서 일체로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사출 금형 코어(600)의 작동 시 플랜지(300)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플랜지(300)에 의해 사출 성형 시 언더컷 부분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은 플랜지(300)의 사출 성형을 위해 슬라이드 코어를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양 쪽 열림의 사출 금형 코어(600)를 작동시켜 성형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 코어의 작동 공간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 코어의 이동 방향이 아래 방향이 아닌 우 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금형 코어는 플랜지(300) 및 도어 트림 하부 코어(230)와 연결되도록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내 측으로 절곡된 제 1 코어(221)와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은 플랜지(300)를 포함하고도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아울러 비용 절감 및 제조 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에 있어서, 노치 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은 플랜지(300)를 접을 수 있도록, 제 2 코어(222)와 플랜지(300) 사이에 마련되는 노치 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 부(310)는 플라스틱 등의 부재에 마련된 삼각 흔적 또는 작은 흠집을 뜻하며, 결집이나 결합이 있는 부분을 가리킬 수 있다. 노치 부(310)는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 및 플랜지(30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때, 동시에 마련될 수 있다.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된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 및 플랜지(300)는 탄성력을 가지므로, 외력에 의해 접힐 수 있고, 노치 부(310)는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와 플랜지(300)의 접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 및 플랜지(30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노치 부(310)는 플랜지(300)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면서 플랜지(300)의 회전 시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로부터 플랜지(300)의 끊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는 노치 부(310)의 형상이 사다리꼴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와 플랜지(300)가 파손되지 않고 탄성력을 유지한 상태로 접힐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와 깊이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에 있어서, 플랜지가 접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플랜지(300)는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로부터 접힐 수 있다.
즉, 플랜지(300)는 사출 성형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외력에 의해 그 형태 및 위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노치 부(310)는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와 플랜지(300)가 접히는 기준 점에 마련될 수 있고,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와 플랜지(300)가 접히는 방향에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와 플랜지(300)가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내 측 방향으로 접히는 경우, 노치 부(310)는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외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300)는 별도의 상부 레일 구조(미 도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언더컷 부분의 발생 없이 트림 코어(2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사출 성형된 후에 접어서 실외에서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의 내부 구조를 볼 수 없도록 하는 플랜지(3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에 있어서, 접힌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용 도어 트림(200)은 노치 부(310)를 중심으로 상기 접힌 플랜지(30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로부터 노치 부(310)를 기준으로 접힌 플랜지(300)는 플라스틱 소재이므로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외력이 없으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3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플랜지(300)를 접힌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 부재(320)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부재(320)는 플라스틱 소재로 도어 트림 상부 코어(220) 및 플랜지(30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320)가 별도로 사출 성형되어 융착되는 구조가 아닌,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고정 부재(320)는 제 2 코어(222)의 하부에 마련되는 걸림 부재(322) 및 플랜지(300)의 하부에 마련되고, 걸림 부재(322)에 결합하는 후크 부재(3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고정 부재(320)가 후크 부재(321) 및 걸림 부재(322)로 도시되어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 부재(320)는 플랜지(30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후크 부재(321)와 걸림 부재(322)의 위치도 변경되는 등 다양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후크 부재(321)가 제 2 코어(222)의 하부에 마련되고, 반대로 걸림 부재(322)가 플랜지(300)의 하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후크 부재(321) 및 걸림 부재(322)는 각각 플랜지(300) 및 제 2 코어(222)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플랜지(300)가 노치 부(310)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접히면, 후크 부재(321)가 걸림 부재(322)에 의해 간섭되어 플랜지(300)를 접힌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후크 부재(321)는 클립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걸림 부재(322)는 후크 부재(321)에 간섭하는 막대 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후크 부재(321) 및 걸림 부재(322)는 플랜지(300)가 제 2 코어(222)로부터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320)는 플랜지(3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부재(320)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네 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 부재(320)는 플랜지(300)의 강성 보강 및 제조 원가를 비교 형량하여 적절한 개수로 선택될 수 있다. 고정 부재(320)는 노치 부(310)에 대향하도록, 노치 부(3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차량 10 : 차체
11a : 후드 11b : 루프 패널
11c : 트렁크 리드 11d : 프런트 휀더
11e : 쿼터 패널 12 : 차륜
13 : 헤드 램프 14 : 방향 지시 램프
15 : 테일 램프 16a : 프런트 윈도우
16b : 리어 윈도우 16c : 측면 윈도우
20 : 차량 제어 부 30 : 운전 석
31 : 보조 석 40 : 대시 보드
41 : 센터 페시아 42 : 기어 박스
43 : 차량 용 디스플레이 장치 44 : 입력 수단
45 : 기어 46 : 수납 함
50 ; 운전 대 60 : 계기 판
70 : 룸 미러 80 : 촬영 부
100 ; 차량 용 도어 110 : 도어 패널
111 : 도어 아우터 패널 112 : 도어 인너 패널
120 : 가니시 200 : 차량 용 도어 트림
201 : 인사이드 핸들 202 : 풀 핸들
203 : 암 레스트 204 : 도어 포켓
205 : 각종 스위치 210 : 도어 트림 코어
220 : 도어 트림 상부 코어 221 : 제 1 코어
222 : 제 2 코어 230 : 도어 트림 하부 코어
240 : 결합 부재 250 : 도어 트림 스킨
300 : 플랜지 310 : 노치 부
320 : 고정 부재 321 : 후크 부재
322 : 걸림 부재 400 : 인사이드 웨더 스트립
500 : 아웃사이드 웨더 스트립 600 : 양 쪽 열림 금형 코어

Claims (10)

  1. 차량 용 도어 트림의 측 벽을 구성하는 제 1 코어 및 상기 제 1 코어로부터 절곡되어 상부 벽을 구성하는 제 2 코어를 포함하고,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도어 트림 코어;
    상기 제 2 코어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고,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를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제 2 코어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마련되는 노치 부; 및
    상기 노치 부를 중심으로 상기 접힌 플랜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플라스틱 소재로 상기 도어 트림 코어 및 상기 플랜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 2 코어의 하부에 마련되는 걸림 부재 및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 부재에 결합하는 후크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용 도어 트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 및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차량 용 도어 트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부는 상기 도어 트림 코어 및 상기 플랜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때, 상기 도어 트림 코어 및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 마련되는 차량 용 도어 트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트림 코어는 상기 제 1 코어와 상기 제 2 코어를 포함하는 도어 트림 상부 코어 및 상기 제 1 코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트림 하부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트림 하부 코어와 결합되는 상기 제 1 코어의 단 부는 상기 차량 용 도어 트림의 내 측으로 절곡되는 차량 용 도어 트림.
  8. 차체를 구성하는 도어 패널의 내 측에 장착되고,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차랑 용 도어 트림에 있어서,
    상부를 구성하는 도어 트림 상부 코어 및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를 구성하는 도어 트림 하부 코어를 포함하는 도어 트림 코어;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를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로부터 접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마련되는 노치 부; 및
    상기 노치 부의 하부 양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접힌 플랜지를 고정하는 후크 부재 및 상기 후크 부재에 간섭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용 도어 트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부는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 및 상기 플랜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 및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차량 용 도어 트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 및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도어 트림 상부 코어 및 상기 플랜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복수로 마련되는 차량 용 도어 트림.
KR1020160173703A 2016-12-19 2016-12-19 차량 용 도어 트림 KR102559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703A KR102559683B1 (ko) 2016-12-19 2016-12-19 차량 용 도어 트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703A KR102559683B1 (ko) 2016-12-19 2016-12-19 차량 용 도어 트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14A KR20180071014A (ko) 2018-06-27
KR102559683B1 true KR102559683B1 (ko) 2023-07-27

Family

ID=6278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703A KR102559683B1 (ko) 2016-12-19 2016-12-19 차량 용 도어 트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6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021A (ja) * 2001-09-12 2003-03-19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内装部品におけるクッションパッドの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085B1 (ko) * 2009-08-31 2011-12-07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웨더스트립 취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021A (ja) * 2001-09-12 2003-03-19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内装部品におけるクッションパッドの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14A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2040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method of manufacturing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vehicle
US10406979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JP5172260B2 (ja) 車両用ドア
US20180164831A1 (en) Around view monitoring apparatus for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US10793143B2 (en) Parking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KR20180064664A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7131155A (ja) 車両外装装飾品
US8777299B2 (en) 3 stage hood roof
US20180364479A1 (en) 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head-up display for vehicle
CN106240318A (zh) 用于车辆的滑动车门模块结构
CN105813703A (zh) 汽车模型
JP2014210529A (ja)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CN113561774A (zh) 车辆的显示装置、控制方法、控制器及存储介质
KR102559683B1 (ko) 차량 용 도어 트림
KR101856931B1 (ko) 오버슬램 범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56934B1 (ko) 차량용 도어가드
KR102570294B1 (ko)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 장치
BR102015016165A2 (pt) redução de folga de airbag de condutor para volante
CN106291927B (zh) 操作机动车辆的投影装置的方法和机动车辆的投影装置
CN1955435B (zh) 经济型轿车门内饰板
KR102297411B1 (ko) 차량용 페달
JP5632707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1507753B1 (ko) 비대칭형 승용 자동차
KR20180080447A (ko) 차량 용 루프
CN205651983U (zh) 一种电车仪表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