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775B1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775B1
KR102568775B1 KR1020150148825A KR20150148825A KR102568775B1 KR 102568775 B1 KR102568775 B1 KR 102568775B1 KR 1020150148825 A KR1020150148825 A KR 1020150148825A KR 20150148825 A KR20150148825 A KR 20150148825A KR 102568775 B1 KR102568775 B1 KR 102568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quid crystal
thin film
reactive liqui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656A (ko
Inventor
최석
이희영
권오정
홍성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775B1/ko
Priority to US15/249,055 priority patent/US9772435B2/en
Priority to CN201610940591.XA priority patent/CN106611774B/zh
Publication of KR20170048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02F1/133723Polyimide, polyamide-imi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상의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밀봉하는 박막 봉지층, 상기 박막 봉지층 상의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위상 지연층 상의 편광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층은, 제1 배향막과 상기 제1 배향막 상에 위치하고 액정과 반응성 액정을 구비한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 내의 상기 반응성 액정의 미경화량은 100ppm/inch2 내지 220ppm/inch2일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므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가 가능하고 야외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경량이면서 박형으로 제조한다. 이때, 야외에서 화상을 볼 때 햇빛 등과 같은 강한 외광에 의하여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구현되는 콘트라스트 및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물론 실내에서 사용할 경우에도 실내의 형광등을 비롯한 각종 외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외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全面)에 필름 타입의 원형 편광 필름을 부착하였다. 이를 통하여 외광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사한 후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사된 외광의 휘도를 낮춤으로써 외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원형 편광 필름은 여러 층의 필름을 접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가 복잡하고 원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두께가 두꺼워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상의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밀봉하는 박막 봉지층, 상기 박막 봉지층 상의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위상 지연층 상의 편광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층은, 제1 배향막과 상기 제1 배향막 상에 위치하고 액정과 반응성 액정을 구비한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 내의 상기 반응성 액정의 미경화량은 100ppm/inch2 내지 220ppm/inch2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액정은 상기 액정층에 3wt% 내지 30wt%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액정은 아크릴기 또는 메타크릴기의 말단기를 포함하는 네마틱 액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액정은 모노아크릴레이트(Mono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과 디아크릴레이트(Di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을 포함하고, 상기 모노아크릴레이트(Mono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과 상기 디아크릴레이트(Diacrylate) 타입의 함량비는 1:1.5 내지 1:4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액정층 상의 제2 배향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과 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부는 상기 전원 배선의 적어도 외측 가장자리와 중첩하여 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발광소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유기발광소자 사이의 평탄화막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을 포함하고, 상기 댐부는 상기 평탄화막 및 상기 화소 정의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은 상기 댐부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은 상기 댐부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위치하고,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밀봉하는 박막 봉지층 및 상기 상기 박막 봉지층 상의 편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층은, 제1 배향막, 제2 배향막 및 상기 제1 배향막과 상기 제2 배향막 사이의 액정층을 구비한 위상 지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비반응성 액정과 반응성 액정을 포함하며, 상기 반응성 액정은 상기 액정층에 3wt% 내지 30wt%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 내의 상기 반응성 액정의 미경화량은 100ppm/inch2 내지 220ppm/inch2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액정은 아크릴기 또는 메타크릴기의 말단기를 포함하는 네마틱 액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액정은 모노아크릴레이트(Mono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과 디아크릴레이트(Di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을 포함하고, 상기 모노아크릴레이트(Mono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과 상기 디아크릴레이트(Diacrylate) 타입의 함량비는 1:1.5 내지 1:4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상기 위상 지연층 상의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과 댐부가 위치하고, 상기 댐부는 상기 전원 배선의 적어도 외측 가장자리와 중첩하여 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발광소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유기발광소자 사이의 평탄화막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을 포함하고, 상기 댐부는 상기 평탄화막 및 상기 화소 정의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복수의 무기막들 및 상기 복수의 무기막들과 교번적으로 적층된 복수의 유기막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기막들은 상기 댐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무기막들은 상기 댐부를 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부의 외측에서 상기 복수의 무기막들은 서로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하도록 편광층은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고온, 고습 환경에서도 위상지연층을 통과한 편광 성분들 간의 위상차이가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단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와 박막 봉지층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단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광층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편광층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상차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각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상(on)에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며, 상(on) 및 하(under)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단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와 박막 봉지층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I-II'단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광층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편광층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상차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기판(100), 기판(100) 상의 표시부(200), 표시부(200)를 밀봉하는 박막 봉지층(300), 박막 봉지층(300) 상의 편광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편광층(400) 상에는 커버층(50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0)은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0)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화상이 기판(100) 방향으로 구현되는 배면 발광형인 경우에 기판(1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화상이 박막 봉지층(300) 방향으로 구현되는 전면 발광형인 경우는, 기판(1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기판(100)은 가요성을 갖는 불투명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으로 기판(100)을 형성할 경우 기판(100)은 철, 크롬, 망간, 니켈, 티타늄, 몰리브덴, 스테인레스 스틸(SUS), Invar 합금, Inconel 합금 및 Kovar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100)은 금속 포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판(100) 상에는 표시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 표시부(200)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2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영역에는 전원 공급장치(미도시) 또는 신호 생성장치(미도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표시 영역(DA)으로 전달하는 패드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200)는 일 예로, 박막 트랜지스터(200a)와 유기발광소자(200b)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부(200)는 다양한 종류의 표시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표시부(20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기판(100) 상에는 버퍼층(212)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212)은 기판(100)을 통한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하며 기판(100) 상부에 평탄한 면을 제공한다. 버퍼층(212)은 예를 들어,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알루미늄나이트라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티타늄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이나,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의 유기물을 함유할 수 있고, 예시한 재료들 중 복수의 적층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200a)가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200a)는 활성층(221), 게이트 전극(222), 소스 전극(223) 및 드레인 전극(224)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221)은 실리콘과 같은 무기질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활성층(221)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과 이들 사이의 채널 영역을 갖는다. 예를 들어, 비정질 실리콘을 사용하여 활성층(221)을 형성하는 경우 비정질 실리콘층을 기판(100) 전면에 형성한 후 이를 결정화하여 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고, 패터닝한 후 가장자리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불순물을 도핑하여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그 사이의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활성층(221)을 형성할 수 있다.
활성층(221)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213)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213)은 활성층(221)과 게이트 전극(222)을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 SiNx, SiO2 등과 같은 무기물로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13) 상부의 소정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222)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222)은 박막 트랜지스터(200a)의 온/오프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222)은 Au, Ag, Cu, Ni, Pt, Pd, Al, Mo를 함유할 수 있고, Al:Nd, Mo:W 합금 등과 같은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22) 상에 형성되는 층간 절연막(214)은 게이트 전극(222)과 소스 전극(223) 및 게이트 전극(222)과 드레인 전극(224) 사이의 절연을 위한 것으로, SiNx, SiO2 등과 같은 무기물로 형성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214)상에는 소스 전극(223) 및 드레인 전극(224)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층간 절연막(214) 및 게이트 절연막(213)은 활성층(221)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활성층(221)의 노출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접하도록 소스 전극(223) 및 드레인 전극(224)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223)과 드레인 전극(224)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활성층(221)과, 게이트 전극(222)과, 소스 전극(223) 및 드레인 전극(224)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탑 게이트 방식(top gate type)의 박막 트랜지스터(200a)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게이트 전극(222)이 활성층(221)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200a)는 유기발광소자(20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기발광소자(200b)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유기발광소자(200b)에 인가한다. 박막 트랜지스터(200a)는 평탄화막(215)으로 덮여 보호될 수 있다.
평탄화막(215)은 무기 절연막 및/또는 유기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절연막으로는 SiO2, SiNx, SiON, Al2O3, TiO2, Ta2O5, HfO2, ZrO2, BST, PZT 등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고, 유기 절연막으로는 일반 범용고분자(PMMA, PS), 페놀계 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 등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평탄화막(215)은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의 복합 적층체로도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215) 상에는 유기발광소자(200b)가 형성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200b)는 화소 전극(231), 중간층(232) 및 대향 전극(233)을 구비할 수 있다.
화소 전극(231)은 평탄화막(215)상에 형성되고, 평탄화막(215)에 형성된 컨택홀(230)을 통하여 드레인 전극(2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화소 전극(231)은 반사 전극일 수 있으며,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반사막 상에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층을 구비할 수 있다.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층은 인듐틴옥사이드(ITO; indium tin oxide), 인듐징크옥사이드(IZO; indium zinc oxide), 징크옥사이드(ZnO; zinc oxide), 인듐옥사이드(In2O3; indium oxide), 인듐갈륨옥사이드(IGO; indium gallium oxide)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aluminum zinc oxid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화소 전극(231)과 대향되도록 배치된 대향 전극(233)은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일 수 있으며,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일함수가 작은 금속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 박막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 전극 형성용 물질로 보조 전극층이나 버스 전극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대향 전극(233)은 중간층(232)에 포함된 유기 발광층(미도시)에서 방출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즉, 유기 발광층(미도시)에서 방출되는 광은 직접 또는 반사 전극으로 구성된 화소 전극(231)에 의해 반사되어, 대향 전극(233) 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표시부(200)는 전면 발광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유기 발광층(미도시)에서 방출된 광이 기판(100) 측으로 방출되는 배면 발광형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화소 전극(231)은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으로 구성되고, 대향 전극(233)은 반사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표시부(200)는 전면 및 배면 양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양면 발광형일 수도 있다.
한편, 화소 전극(231)상에는 절연물로 화소 정의막(216)이 형성된다. 화소 정의막(216)은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아크릴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 및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기 절연 물질로, 스핀 코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16)은 화소 전극(231)의 소정의 영역을 노출하며, 노출된 영역에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32)이 위치한다.
중간층(232)에 포함된 유기 발광층(미도시)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일 수 있으며, 중간층(232)은 유기 발광층(미도시) 이외에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과 같은 기능층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대향 전극(233) 상에는 박막 봉지층(300)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300)은 표시부(200)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되어, 외부의 습기 및 산소가 표시부(2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박막 봉지층(300)은 표시부(200)의 면적 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그 가장자리가 모두 기판(100)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외기의 침투를 더욱 견고히 차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300)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310, 330)과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320, 340)을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310, 330)과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320, 340)은 서로 교번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박막 봉지층(300)이 두 개의 무기층(320, 340)과 두 개의 유기층(310, 330)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즉, 박막 봉지층(300)은 교대로 배치된 복수 개의 추가적인 무기층 및 유기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무기층 및 유기층의 적층 횟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무기층(320, 340)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및 실리콘 산화질화물(SiO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310, 330)은 화소 정의막(216)에 의한 단차를 평탄화하며, 무기층(320)에 발생한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무기층(320) 상에 파티클 등이 파티클 등이 존재하더라도 이를 평탄하게 덮을 수 있다.
무기층(320, 340)은 유기층(310, 330)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기층(310, 330)의 가장자리 외측에서 무기층(320, 340)은 서로 접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외부의 산소 또는 수분의 침투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 외곽의 비표시 영역에는 댐부(1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외에,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220), 정전기 방지 패턴 등 기타 다양한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배선(220)은 공통전압(ELVSS)선과 구동전압(ELVDD)선을 포함하며, 소스 전극(223) 및 드레인 전극(224)과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전원 배선(220) 중 공통전압(ELVSS)선을 도시하고, 배선(116)을 통해 공통전압(ELVSS)선과 대향 전극(233)이 접속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즉, 공통전압(ELVSS)선과 대향 전극(233)은 직접 접할 수 있다.
댐부(120)는 박막 봉지층(300)의 유기막들(310,330)의 형성시, 유기막들(310,330)을 형성하기 위한 유기물이 기판(10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유기막들(310,330)의 에지 테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댐부(120)는 표시 영역(DA)을 에워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댐부(120)는 평탄화막(215) 및 화소 정의막(2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댐부(120)는 평탄화막(215)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제1 층(121)과, 제1 층(121) 상에 화소 정의막(216)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제2 층(1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댐부(120)는 한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댐부(120)는 두 개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댐부(120)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기판(101)의 외곽으로 갈수록 댐부(120)의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댐부(120)는 전원 배선(22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여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부(120)는 전원 배선(220)의 적어도 외측 가장자리와 중첩하여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215) 및 화소 정의막(2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댐부(120)는 무기재질보다 금속과의 접합력이 우수할 수 있다. 따라서, 댐부(12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전원 배선(220)과 접하도록 형성되면, 댐부(120)가 우수한 접합력을 가지고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댐부(120)가 전원 배선(220)의 외측 가장자리와 중첩하여 형성된 예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댐부(120)는 전원 배선(220) 상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전원 배선(220)을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댐부(120)는 유기막들(310,330)의 형성시, 유기물이 기판(10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므로, 유기막들(310,330)은 댐부(1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반해, 무기막들(320,340)은 댐부(12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댐부(120)의 외측에서 무기막들(320,340)은 서로 접할 수 있다. 또한, 무기막들(320,340) 중 적어도 하나는 댐부(120)의 외측에서 층간 절연막(214)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을 통한 외부 투습을 방지하고, 박막 봉지층(300)의 접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무기막들(320,340) 중 적어도 하나는 층간 절연막(214)의 단부를 지나쳐 기판(100)의 상면과 접할 수 있고, 또한, 게이트 절연막(213) 및 층간 절연막(214)의 측면과도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무기막들(320,340)의 가장자리가 박리되어 박막 봉지층(300)의 봉지 특성이 약화 및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광층(400)은 표시부(200)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투과시키고, 그 외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흡수하거나 반사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편광층(400) 및 이의 제조 방법을 함께 설명한다.
편광층(400)은 서로 수직인 두 편광 성분에 λ/4만큼의 위상차를 부여하여 선편광을 원편광으로 바꾸거나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바꾸는 위상지연층(410)과, 위상지연층(410)을 통과한 빛의 방향을 정렬하며, 서로 직교하는 두 가지 편광 성분으로 나누고 그 한 성분만을 통과시키고 다른 성분은 흡수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편광 필름(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층(410)은 제1 배향막(412), 제1 배향막(412)상의 액정층(416) 및 액정층(416) 상의 제2 배향막(4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향막(412)은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450) 상에 도포하고 이를 건조하고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배향막(412)은 0.1㎛ 내지 0.5㎛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재(450)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일 수 있다.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중합체, 커플링제 등이 유기 용제에 용해된 용액의 형태로써, 스핀 코팅이나, 그라비아 코팅 등에 의해 기재(450) 상에 코팅된다. 코팅 후에는 편광된 광을 조사함으로써 제1 배향막(412)에는 편광된 광의 편광 방향으로 배향력이 부여될 수 있다.
배향막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체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젤라틴, 스티렌-비닐 톨루엔 공중합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염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아세트산 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중합체등 일 수 있다. 또한, 커플링제는 실란 커플링제 등일 수 있다.
액정층(416)은 액정과 반응성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은 일 예로, 네마틱 액정일 수 있으며 반응기를 포함하지 않는 비반응성이다. 반응성 액정은 일 예로, 네마틱 액정상을 발현하는 메조겐(Mesogen)으로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말단기를 포함한다. 중합 가능한 말단기로는 아크릴기, 메타크릴기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반응성 액정은 모노아크릴레이트(Mono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과 디아크릴레이트(Di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노아크릴레이트(Mono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과 디아크릴레이트(Di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의 함량비는 1:1.5 내지 1:4일 수 있다.
액정층(416)은 액정과 반응성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1 배향막(412) 상에 도포한 후, 이를 건조하고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은 액정과 반응성 액정 외에 중합 개시제, 경화제 등의 첨가제가 유기 용제에 용해된 용액의 형태로써, 스핀 코팅이나, 그라비아 코팅 등에 의해 제1 배향막(412) 상에 코팅된 후, 경화된다.
제1 배향막(412) 상에 도포된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반응성 액정은 제1 배향막(412)의 배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중합하여 정렬되며, 제1 배향막(412)의 배향 방향에 따라 광 축이 형성된다. 또한,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된 반응기가 없는 액정은 광 축을 형성한 반응성 액정과 π-π 상호작용을 통하여 반응성 액정이 배열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액정층(416)은 λ/4 위상필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정층(416)은 코팅 공정에 의해 형성되고, 두께도 0.5㎛ 내지 1.5㎛로 얇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종래 λ/4 위상필름을 편광소자에 부착하는 것에 비해 편광층(400)의 제조가 단순화할 수 있고, 편광층(400)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반응성 액정은 액정층(416)에 3wt% 내지 30wt%로 포함될 수 있다. 반응성 액정의 함량이 3wt% 보다 작으면, 액정층(416)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방향성을 가지고 배향되기 어려우며, 반면에 반응성 액정의 함량이 30wt% 보다 큰 경우는, 액정층(416) 내에 미경화된 반응성 액정의 잔존량이 증가할 수 있다. 액정층(416) 내에 미경화 반응성 액정의 량이 많아지면 액정층(416)의 경화도가 감소하고, 고온, 고습 환경에서 액정층(416)의 위상차가 감소하여 색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층(416)이 안정적으로 균일한 방향성을 유지하기 위해 반응성 액정은 액정층(416)에 3wt% 내지 30wt%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미경화된 반응성 액정은 액정층(416) 내에 100ppm/inch2 내지 220ppm/inch2 로 포함될 수 있다. 미경화된 반응성 액정의 함량이 220ppm/inch2 보다 많으면, 고온, 고습 환경에서 액정층(416)의 위상차가 감소하여 색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미경화된 반응성 액정이 액정층(416) 내에 100ppm/inch2 보다 적게 포함되면, 액정층(416)의 경도가 너무 커져 위상지연층(410) 또는 편광층(400)의 취급시 액정층(416)에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액정층(416) 내에 잔존하는 반응성 액정의 양에 따른 액정층(416)의 위상차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며, 도 7은 반응성 액정의 양에 따른 편광층(400)을 통과한 광의 색감 변화를 색좌표 상에 도시한 결과이다. 액정층(416)은 네마틱 액정과 미경화 액정을 포함하며, 미경화 액정은 모노아크릴레이트(Monoacrylate) 타입의 네마틱 반응성 액정과 디아크릴레이트(Diacrylate) 타입의 네마틱 반응성 액정을 1:4로 포함한다.
하기 표 1에서 미경화 액정의 함량은 액정층(416) 내에 최초 포함된 미경화 액정의 포함량을 의미하고, 잔류 미경화 액정의 량은 경화 후에 액정층(416)에 잔존하는 미경화 액정의 량을 의미하며, 위상차 변화는 고온 고습 조건(60℃, 93%)에서 편광층(400)을 24시간 동안 방치하였을 때, 550㎚ 파장을 가지는 광의 투과시 위상차 변화 값을 나타낸다.
미경화 액정의 함량
(wt%)
잔류 미경화 액정의 량
(ppm/inch2)
위상차 변화량
(㎚)
실시예 1 5 217 4
실시예 2 10 212 3
실시예 3 10 107 2
비교예 1 1 107 2
비교예 2 10 332 7
잔류 미경화 액정의 량은 경화 조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정층(416) 내에 잔류 미경화 액정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위상차 변화량이 커짐을 알 수 있다. 특히 잔류 미경화 액정의 양이 220 ppm/inch2 보다 크면, 위상차 변화량이 4nm 보다 커지게 되어 색감 변화가 시인될 수 있다. 도 7의 (a)는 잔류 미경화 액정의 양이 153 ppm/inch2 인 경우이고, 도 7의 (b)는 잔류 미경화 액정의 양이 350 ppm/inch2 인 경우로써, 도 7의 (b)는 붉은색쪽으로 색감이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온 고습 환경에서 액정층(416)의 위상차변화를 최소화 하기 위해, 액정층(416) 내에 잔류 미경화 액정의 양은 220 ppm/inch2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반면에, 미경화된 반응성 액정이 액정층(416) 내에 100ppm/inch2 보다 적게 포함되면, 액정층(416)의 경도가 너무 커져 위상지연층(410) 또는 편광층(400)의 취급시 액정층(416)에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액정층(416) 내에 잔류 미경화 액정의 양은 100ppm/inch2 내지 220 ppm/inch2 일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의 경우는 잔류 미경화 액정의 양이 107 ppm/inch2이고, 위상차 변화량이 2㎚로 색감 변화가 인지되지 않았다. 그러나, 비교예 1의 경우는 최초 포함된 미경화 액정의 양이 1wt%로써, 액정층(416)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방향성을 가지고 배향되기 어려웠다. 즉, 액정층(416)이 안정적으로 균일한 방향성을 유지하기 위해 반응성 액정은 액정층(416)에 3wt% 내지 30wt%로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배향막(414)은 액정층(416) 상에 형성된다. 일 예로, 제2 배향막(414)은 제1 배향막(412)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배향막(414)은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액정층(416) 상에 도포하고 이를 건조하고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배향막(414)은 폴리이미드(polymide)나 폴리아미드(polyamide) 등을 액정층(416) 상에 도포하고 소성한 후, 러빙롤 등에 의해 러빙하여 배향방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정층(416) 상에 제2 배향막(414)을 형성함으로써, 액정층(416)의 배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2 배향막(414)은 액정층(416) 내의 액정이 위상지연층(410)과 편광필름(440)을 부착하는 접착층으로 이동(migration)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편광필름(440)과 위상지연층(410)은 접착층에 위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접착층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폴리이소부틸렌계, SBR(Styrenebutadienerubber)계, 고무계, 폴리비닐에테르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폴리에스테르계, 페놀계 또는 실리콘계 수지 또는 이들의 공정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편광필름(440)과 위상지연층(410)을 부착한 후에는, 기재(450)를 제거함으로써 편광층(400)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편광층(400)은 λ/2 위상지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λ/2 위상지연층은 상술한 위상지연층(41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λ/2 위상필름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액정이 배향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커버층(500)은 편광층(400) 상에 위치하여 외부 충격과 사용 중 발생하는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보호한다. 커버층(500)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폴리이미드(Polyimide), 아크릴레이트(Acry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 naphthalat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층(500)은 금속재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스테인레스 스틸(SUS)과 같은 얇은 금속 포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상의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밀봉하는 박막 봉지층;
    상기 박막 봉지층 상의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위상 지연층 상의 편광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층은, 제1 배향막과 상기 제1 배향막 상에 위치하고 액정과 반응성 액정을 구비한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 내의 상기 반응성 액정의 미경화량은 100ppm/inch2 내지 220ppm/inch2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액정은 상기 액정층에 3wt% 내지 30wt%로 포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액정은 아크릴기 또는 메타크릴기의 말단기를 포함하는 네마틱 액정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액정은 모노아크릴레이트(Mono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과 디아크릴레이트(Di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을 포함하고,
    상기 모노아크릴레이트(Mono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과 상기 디아크릴레이트(Diacrylate) 타입의 함량비는 1:1.5 내지 1:4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액정층 상의 제2 배향막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과 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부는 상기 전원 배선의 적어도 외측 가장자리와 중첩하여 접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발광소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유기발광소자 사이의 평탄화막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을 포함하고,
    상기 댐부는 상기 평탄화막 및 상기 화소 정의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은 상기 댐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은 상기 댐부를 덮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위치하고,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밀봉하는 박막 봉지층; 및
    상기 박막 봉지층 상의 편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층은, 제1 배향막, 제2 배향막 및 상기 제1 배향막과 상기 제2 배향막 사이의 액정층을 구비한 위상 지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비반응성 액정과 반응성 액정을 포함하며, 상기 반응성 액정은 상기 액정층에 3wt% 내지 30wt%로 포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 내의 상기 반응성 액정의 미경화량은 100ppm/inch2 내지 220ppm/inch2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액정은 아크릴기 또는 메타크릴기의 말단기를 포함하는 네마틱 액정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액정은 모노아크릴레이트(Mono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과 디아크릴레이트(Di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을 포함하고,
    상기 모노아크릴레이트(Monoacrylate) 타입의 반응성 액정과 상기 디아크릴레이트(Diacrylate) 타입의 함량비는 1:1.5 내지 1:4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상기 위상 지연층 상의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과 댐부가 위치하고,
    상기 댐부는 상기 전원 배선의 적어도 외측 가장자리와 중첩하여 접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발광소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유기발광소자 사이의 평탄화막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을 포함하고,
    상기 댐부는 상기 평탄화막 및 상기 화소 정의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복수의 무기막들 및 상기 복수의 무기막들과 교번적으로 적층된 복수의 유기막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기막들은 상기 댐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무기막들은 상기 댐부를 덮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의 외측에서 상기 복수의 무기막들은 서로 접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48825A 2015-10-26 2015-10-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8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825A KR102568775B1 (ko) 2015-10-26 2015-10-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5/249,055 US9772435B2 (en) 2015-10-26 2016-08-26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201610940591.XA CN106611774B (zh) 2015-10-26 2016-10-25 柔性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825A KR102568775B1 (ko) 2015-10-26 2015-10-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656A KR20170048656A (ko) 2017-05-10
KR102568775B1 true KR102568775B1 (ko) 2023-08-22

Family

ID=5856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825A KR102568775B1 (ko) 2015-10-26 2015-10-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72435B2 (ko)
KR (1) KR102568775B1 (ko)
CN (1) CN1066117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2256A (ja) * 2016-02-25 2017-08-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TWI759462B (zh) * 2017-05-01 2022-04-01 日商東京威力科創股份有限公司 有機電致發光顯示器之製造方法
KR102166478B1 (ko) 2017-12-22 2020-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셀
KR102184391B1 (ko) * 2017-12-22 2020-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셀
JP2019125551A (ja) * 2018-01-19 2019-07-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603869B1 (ko) * 2018-02-08 2023-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511503B (zh) * 2018-05-28 2020-1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致发光显示面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09686862A (zh) * 2019-01-10 2019-04-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KR20210052636A (ko) * 2019-10-29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0728A (ja) 2013-10-31 2015-06-18 Jnc株式会社 重合性液晶組成物およびツイスト配向を有する光学異方体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95201B (en) * 2002-09-24 2006-10-04 Merck Patent Gmbh Broadband reflective film
US7527836B2 (en) 2004-12-28 2009-05-05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209098A (ja) 2004-12-28 2006-08-10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911562B2 (en) * 2005-05-19 2011-03-22 Dai Nippon Printing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00063292A (ko) * 2008-12-03 2010-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상부 발광방식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3490B1 (ko) 2009-11-18 2012-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148762A (ja) * 2009-12-22 2011-08-04 Jnc Corp 重合性液晶化合物、重合性液晶組成物および異方性ポリマー
JP2011221177A (ja) * 2010-04-07 2011-11-04 Sony Corp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JP2012003003A (ja) * 2010-06-16 2012-01-05 Sony Corp 立体映像観察用光学素子、立体映像観察用眼鏡、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
DE102011056836B4 (de) * 2011-06-22 2020-12-24 Lg Display Co., Ltd. Organische lichtemittierende Anzeigevorrichtung
KR101243828B1 (ko) 2011-06-22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358662B1 (ko) 2011-12-22 2014-02-1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3d 디스플레이용 필름 타입의 패턴 리타더의 제조방법
CN102634348B (zh) * 2012-03-21 2014-06-25 广东东邦科技有限公司 混合液晶溶液、液晶视角扩大膜及其制备、液晶显示器件
KR102117890B1 (ko) * 2012-12-28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57611B1 (ko) * 2013-05-27 2019-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역파장 분산 위상 지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092714B2 (ja) * 2013-05-29 2017-03-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464574B2 (ja) * 2013-07-29 2019-02-06 Jnc株式会社 重合性液晶組成物および光学異方体
KR102279921B1 (ko) * 2014-02-12 2021-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4348B1 (ko) * 2014-02-27 2017-04-07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0728A (ja) 2013-10-31 2015-06-18 Jnc株式会社 重合性液晶組成物およびツイスト配向を有する光学異方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몽룡 외, "광경화성 액정과 비반응성 네마틱 액정 혼합 필름의 분자 배향 및 광학 특성", 2011, Polymer, Vol. 35, No. 5, pp. 493~49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11774A (zh) 2017-05-03
US20170115438A1 (en) 2017-04-27
US9772435B2 (en) 2017-09-26
KR20170048656A (ko) 2017-05-10
CN106611774B (zh)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877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8678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0390389B2 (en)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7836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342609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有機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21010757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65380B1 (ko)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US10090478B2 (en)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60038143A (ko) 편광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42909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03224B1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547693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7978621B (zh) 显示装置
US20130140982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0321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41901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0424B1 (ko) 가요성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071661A (ko)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12655A (ko)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
US20230371347A1 (en) Display apparatus
KR20230160678A (ko) 표시 장치
US20160285033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20230165984A (ko)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
CN117082906A (zh) 显示装置
CN113658977A (zh) 光学膜及包括光学膜的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