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828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828B1
KR101243828B1 KR1020110117351A KR20110117351A KR101243828B1 KR 101243828 B1 KR101243828 B1 KR 101243828B1 KR 1020110117351 A KR1020110117351 A KR 1020110117351A KR 20110117351 A KR20110117351 A KR 20110117351A KR 101243828 B1 KR101243828 B1 KR 101243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liquid crystal
reactive liqui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310A (ko
Inventor
일 전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DE102011056836.0A priority Critical patent/DE102011056836B4/de
Priority to TW100148010A priority patent/TWI468793B/zh
Priority to US13/339,075 priority patent/US9159958B2/en
Priority to CN201110449978.2A priority patent/CN102842271B/zh
Publication of KR2013000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외부광이 반사되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색 전이를 방지함과 동시에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기 발광 표시 소자;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소자 상에 형성된 배향막과 상기 배향막 상에 코팅된 반응성 액정을 포함하는 반응성 액정층 및 상기 반응성 액정층 상에 형성된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반사방지부를 포함하며,상기 반응성 액정층은 상기 편광필름의 편광축과 λ/4 위상차를 갖는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외부광이 반사되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측면에서의 색 전이를 방지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하는 영상 표시 장치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공간성, 편리성의 추구로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면서 평판 표시 장치로 유기 발광층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유기 발광 장치가 근래에 각광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 하부 기판 사이에 제 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이 차례로 적층된 유기 발광 표시 소자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표시 소자는 유기 발광층 양단의 제 1, 제 2 전극에 전계가 형성되어, 유기 발광층 내에 전자와 정공을 주입 및 전달시켜 서로 결합할 때의 결합 에너지에 의해 발광되는 전계 발광 현상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가볍고 두께가 얇다. 또한,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가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투과 방향에 따라 상부 발광형(Top Emission Type)과 하부 발광형(Bottom Emission Type)으로 나뉜다. 하부 발광형은 안정성 및 공정의 자유도가 높은 반면 개구율의 제한이 있어 고해상도 제품이 적용하기 어려우므로, 최근에는 고개구율 및 고해상도를 갖는 상부 발광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부광의 세기에 따라 콘트라스트가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소자 상에 반사방지부를 구비하여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부로 입사된 외부광의 진행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면 불량이 발생한 사진이다.
도 1과 같이,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 하부 기판(100a, 100c)과 상, 하부 기판(100a, 100c) 사이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100b)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소자(100)와 유기 발광 표시 소자(100) 상에 형성된 반사방지부(200)를 포함한다.
반사방지부(200)는 위상차필름(Quarter Wave Plate; QWP)(220)과 위상차필름(220) 상에 형성된 편광필름(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외부광이 다시 반사되어 방출되지 못한다. 이 때, 편광필름(240)은 편광축을 가져, 편광필름(240)으로 입사하는 외부광 중 편광축과 평행한 선편광만을 투과시키며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광은 흡수한다.
그리고, 위상차필름(220)은 광의 편광상태를 바꾸는 것으로, 편광필름(240)의 편광축에서 λ/4(±45°) 정도 틀어진 광축을 가진다. 위상차필름(220)은 편광필름(240)을 통과하며 선편광된 광을 원편광으로 바꾸거나, 원편광된 광을 선편광으로 바꾼다.
편광필름(240)의 상, 하부에는 편광필름(240)을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해 각각 상, 하부 보호필름(230a, 230b)이 부착된다. 그리고, 위상차필름(220)은 하부 점착층(210b)을 통해 유기 발광 표시 소자(100) 상에 부착되며, 하부 보호필름(230b)은 상부 점착층(210a)을 통해 위상차필름(220) 상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외부광은 편광필름(240)을 통해 입사된다. 이 때, 편광필름(240)은 편광축과 일치하는 외부광은 통과시키고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외부광은 흡수하므로, 외부광은 편광축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선편광된 외부광이 위상차필름(220)을 통과하며, 외부광의 진동 방향이 회전운동을 하도록 원편광된다.
그리고, 원편광된 외부광이 유기 발광 표시 소자(100) 표면에서 반사되어 외부광의 회전방향이 역전되고, 다시 위상차필름(220)을 통과하며 선편광된다. 이 때, 위상차필름(220)을 통과하여 다시 선편광된 외부광의 편광면과 위상차필름(220)을 통과하지 않은 선편광의 편광면은 수직이므로, 다시 선편광된 외부광은 편광필름(240)의 편광축과 90°를 이룬다. 따라서, 결국 외부광은 편광필름(240)을 통과하지 못하고 편광필름(240)에서 흡수되어 차단되므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입사된 광은 다시 외부로 방출되지 못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위상차필름(220)의 두께로 인해, 반사방지부(200)의 두께가 약 200㎛정도로 두꺼워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달성하기 어렵다. 특히,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상에 패턴드 리타더를 부착한 필름 패턴드 리타더(Film Patterned Retarder: FPR) 방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두께가 두꺼운 반사방지부(200)로 인해 시야각이 매우 좁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외부광은 단일 파장이 아니고 가시광선 파장 영역 전체에 걸쳐 입사되기 때문에, 파장대별로 위상차필름(220)의 투과율이 상이하여 선편광에서 원편광 또는 원편광에서 선편광으로 변환될 때 불완전하다. 더욱이, 편광필름(240)과 위상차필름(220) 사이의 하부 보호필름(230b)이 위상차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레드 파장대와 블루 파장대의 투과율이 높아 도 3과 같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블랙 모드에서 레드와 블루가 투과됨으로써 블랙이 아닌 바이올렛 컬러가 구현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 발광 표시 소자 상에 두께가 얇은 반사방지부를 형성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위상차가 없는 NRT 필름을 이용하여 측면에서의 색 전이를 방지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소자;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소자 상에 부착되며, 반응성 액정층과 편광필름이 차례로 적층된 반사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성 액정층은 상기 편광필름의 편광축과 λ/4 위상차를 갖는다.
상기 반응성 액정층은 배향막; 상기 배향막 상에 코팅된 반응성 액정을 포함한다.
상기 반응성 액정층은 상기 편광필름의 편광축과 선편광된 광을 원편광 시키거나, 원편광된 광을 선편광 시킨다.
상기 편광필름의 상, 하부에는 각각 상, 하부 보호필름이 부착된다.
상기 하부 보호필름은 위상차가 없는 NRT(No Retardation TAC) 필름이다.
상기 반응성 액정층은 역분산 파장과 정분산 파장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유기 발광 소자 상에 부착된 반사방지부의 두께가 얇아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적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매우 넓은 시야각을 가진다.
둘째, 반사방지부의 두께가 얇아져, 반사 방지 성능이 향상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위상차필름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반응성 액정층을 이용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넷째, 편광필름과 반응성 액정층 사이에 위상차가 없는 NRT 필름을 구비하여 측면에서 색 전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부로 입사된 외부광의 진행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면 불량이 발생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각각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측면에서의 외부광의 진행을 푸앵카레 구(Poincare Sphere) 상에 나타낸 도면.
도 6a와 도 6b는 각각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색 전이를 나타낸 도면.
도 7a와 도 7b는 각각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투과율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a와 도 5b는 각각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측면에서의 외부광의 진행을 푸앵카레 구(Poincare Sphere) 상에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a와 도 6b는 각각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색 전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a와 도 7b는 각각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투과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소자(300), 유기 발광 표시 소자(300) 상에 부착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외부광이 다시 반사되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방지부(400)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표시 소자(300)는 상부 기판(300a)과 하부 기판(300c) 사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서브 픽셀을 포함한다. 이 때, 서브 픽셀들 사이에는 뱅크(300b)가 형성되며, 뱅크(300b)를 경계부로 하여 각 서브 픽셀들이 분리된다. 그리고, 각 서브 픽셀들은 레드(Rde), 그린(Green), 블루(Blue) 컬러를 발광하기 위한 별도의 유기물질이 사용된다.
유기 발광 표시 소자(300)의 상, 하부 기판(300a, 300c)은 투명한 유리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부 기판(300c) 상에는 다수의 신호 라인과 박막 트랜지스터 및 보호막을 포함하는 셀 구동부가 형성되고, 상부 기판(300a)은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기판이다.
셀 구동부는 스위치용 트랜지스터와 구동용 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스위치용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고, 구동용 트랜지스터는 스위치용 트랜지스터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연결 전극을 통해 유기 발광 표시 소자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스토리지 커패시터는 스위치용 트랜지스터가 턴-오프 되더라도 구동용 트랜지스터를 통해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용 트랜지스터는 연결 전극을 통해 유기 발광 표시 소자(3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유기 발광층은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에서 각각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형성된 엑시톤(Exciton)이 기저상태로 떨어지면서 광이 발광되는 층이다. 제 1 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에 형성된 정공 수송층은 유기 발광층으로 정공이 잘 주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정공 주입층을 더 포함한다. 또한, 유기 발광층과 제 2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자 수송층은 유기 발광층으로 전자가 잘 주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한다.
그런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부광의 세기에 따라 콘트라스트가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소자(300) 상에 반사방지부(400)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사방지부는 편광필름과 위상차필름을 포함한다. 편광필름은 편광필름으로 입사하는 외부광 중 편광필름의 편광축과 평행한 선편광만을 투과시키며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광은 흡수한다. 그리고, 위상차필름은 선편광된 광을 원편광으로 바꾸거나, 원편광된 광을 선편광으로 바꾼다.
그런데,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편광필름과 위상차필름 사이의 하부 보호필름이 위상차를 가져, 외부로 방출되는 외부광의 파장대별로 투과율이 상이하고, 위상차필름을 통과하는 외부광 및 유기발광층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광 중 위상차필름의 최적조건에 해당하는 파장에서 벗어난 영역의 광은 측면에서 색 전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위상차필름의 두께가 두꺼워, 반사방지부의 두께가 약 200㎛ 정도이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달성하기 어려우며, 반사 방지 성능이 저하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적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반사방지부의 두께로 인해 시야각이 매우 좁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두께가 두껍고 가격이 비싼 위상차필름 대신 반응성 액정층(420)을 사용하며, 편광필름(440) 하부에 위상차가 없는 NRT 필름(430b)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사방지부(4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사방지부(400)는 편광필름(440), 편광필름(440) 상에 부착된 보호필름(430a), 편광필름(440) 하부에 부착된 NRT(No Retardation TAC) 필름(430b) 및 유기 발광 표시 소자(300)와 NRT 필름(430b)의 하부에 구비되며, 편광필름(440)의 편광축과 λ/4(±45°) 위상차를 갖는 반응성 액정층(Reactive Mesogen; RM)(420)을 포함한다.
먼저, 편광필름(440)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선편광으로 변환시킨다. 편광필름(440)은 폴리 비닐 알코올(Poly Vinyl Alcohol; PV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편광필름(440)은 편광축과 일치하는 외부광은 통과시키고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외부광은 흡수한다.
편광필름(440)의 상, 하부에는 편광필름(440)을 물리적으로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해 각각 보호필름(430a)과 NRT 필름(430b)이 부착된다. 편광필름(440) 상에 부착되는 보호필름(430a)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와 같은 아세테이트계(Acetate) 수지, 폴리에스테르계(Polyester)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Polycarbonate) 수지, 폴리아미드계(Polyamide) 수지, 폴리이미드계(Polyimide) 수지, 폴리올레핀계(polyolefin) 수지, 아크릴계(Acrylic) 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특히, 편광필름(440)은 두께가 얇고 강도가 낮으므로, 투명하고 강도가 높은 물질로 보호필름(430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호필름(430a)은 편광 특성이나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표면을 알칼리 등으로 비누화 처리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보호필름(430a)이 트리아세틸셀롤로오스 필름인 경우에는 편광필름(440)에 보호필름(430a)을 접착시키기 위해 추가적으로 점착층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편광필름(440) 하부에는 NRT(No Retardation TAC) 필름(430b)이 부착되어, NRT 필름(430b)을 통해 편광필름(440)이 반응성 액정층(420) 상에 부착된다. NRT 필름(430b)은 위상차가 없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다.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편광필름을 통과하여 선편광으로 변환된 외부광이 하부 보호필름을 통과하면서 하부 보호필름의 위상차로 인해 파장대별로 외부광의 투과율이 상이하여 색 전이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편광필름(440) 하부에 위상차가 없는 NRT 필름(430b)이 보호필름의 기능을 하여 색 전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NRT 필름(430b)과 반응성 액정층(420)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제를 제거할 수 있다.
특히, NRT 필름(430b)을 적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시인성과 투과율이 향상되어 광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편광필름(440) 상에도 보호필름(430a) 대신 NRT 필름(430b)을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반응성 액정층(420)은 유기 발광 표시 소자(300)의 상부 기판(300a) 상에 점착층(410)을 통해 부착되며, 반응성 액정층(420)은 상부 기판(300a) 상에 바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점착층(410)은 일반적으로 광의 투과를 제한하지 않는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점착성 수지로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폴리이소부틸렌계, SBR(Styrenebutadienerubber)계, 고무계, 폴리비닐에테르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폴리에스테르계, 페놀계 또는 실리콘계 수지 또는 이들의 공정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점착층(410)은 유기 발광 표시 소자(200)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열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반응성 액정층(420)은 배향막과, 배향막 상에 코팅된 반응성 액정을 포함한다. 반응성 액정은 액정 분자의 양끝단에 광중합 반응기를 포함한 유기물로써, 자외선을 조사하면 광중합 반응기들끼리 연결된다. 특히, 반응성 액정은 자기 정렬(Self Alignment)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향막의 배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며, 배향막의 배향 방향에 따라 광 축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반응성 액정층(420)은 위상차필름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편광필름(440)에 의해 선편광된 광을 원편광으로 바꾸거나 원편광된 광을 선편광으로 바꾼다. 반응성 액정층(420)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점착층(410) 표면 또는 상부 기판(300a) 상에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막을 배향하고, 배향막 상에 반응성 액정을 코팅한다. 반응성 액정은 배향막의 배향 방향에 따라 광 축이 형성되므로, 배향막의 배향 방향은 편광필름(440)의 편광축과 λ/4(±45°)정도 틀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자외선을 조사하여 코팅된 반응성 액정을 경화하여 반응성 액정층(420)이 형성된다.
반응성 액정층(420)은 점착층(410) 또는 상부 기판(300a) 상에 배향막을 도포하고 반응성 액정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반응성 액정층(42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외부광은 편광필름(440)의 편광축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그리고, 선편광된 외부광은 편광필름(440) 하부에 부착된 반응성 액정층(420)을 통과한다. 반응성 액정층(420)은 편광필름(440)의 편광축에서 λ/4(±45°)정도 틀어진 광축을 가지므로, 외부광은 진동 방향이 회전운동을 하도록 원편광된다.
그리고, 원편광된 외부광이 유기 발광 표시 소자(300) 표면에서 반사되어 외부광의 회전방향이 역전되고, 다시 반응성 액정층(420)을 통과하며 선편광된다. 이 때, 반응성 액정층(420)을 통과하여 다시 선편광된 외부광의 편광면과 반응성 액정층(420)을 통과하지 않은 선편광의 편광면이 수직이므로, 선편광된 외부광은 편광필름(440)의 편광축과 90°를 이룬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입사된 외부광은 편광필름(440)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편광필름(440)에서 흡수되어 차단된다.
즉,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입사된 외부광이 다시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므로 반사방지부(400)를 이용하여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위상차필름 대신 반응성 액정층(420)을 이용한다.
이 때, 반응성 액정층(420)은 파장이 장파장측에 가까워질수록 위상차가 커지는 역분산 파장부터 파장이 단파장측에 가까워질수록 위상차가 커지는 정분산 파장까지 모든 파장 분산성을 갖는다. 특히, 반응성 액정층(420)은 위상차필름보다 값이 저렴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색 전이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하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외부광 반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외부광이 차례로 S1, S2, S3으로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런데,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도 5a와 같이, 편광필름을 통과하여 1에 위치하는 외부광이 위상차를 갖는 하부 보호필름을 통과하면서 2로 변경된다. 그리고, 위상차필름을 통과하면서 2에서 3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외부광은 유기 발광 표시 소자 표면 구체적으로는 상부 기판에서 반사되어 다시 위상차필름을 통과하면서 4로 변경되고, 다시 하부 보호필름을 통과하며 5에 위치한다. 즉,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위상차를 갖는 하부 보호필름으로 인해, 도 6a와 같이, 측면에서 색 전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화면 불량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도 5b와 같이, 편광필름을 통과하여 1에 위치하는 외부광이 위상차가 없는 NRT 필름(430b)을 통과하므로 그대로 1에 위치하며, 반응성 액정층(420)을 통과하면서 1에서 2로 변경된다. 그리고, 외부광은 유기 발광 표시 소자(300) 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반응성 액정층(420)을 통과하면서 3으로 변경되고, 다시 NRT 필름을 통과하며 그대로 3에 위치한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위상차가 없는 NRT 필름(430b)을 통과할 때, 도 6b와 같이, 측면에서 외부광의 색 전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반응성 액정층(420)은 점착층(410) 또는 상부 기판(300a) 상에 배향막을 도포하고 반응성 액정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반응성 액정층(42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방지부(400)의 두께가 얇아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사방지부는 위상차필름, 위상차필름의 상, 하부에 각각 부착된 상, 하부 점착층, 편광필름 및 편광필름의 상, 하부에 각각 부착된 상, 하부 보호필름으로 이루어져, 약 200㎛의 두께를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사방지부(400)는 반응성 액정층(420), 반응성 액정층(420) 하부의 점착층(410), 편광필름(440) 및 편광필름(440) 상, 하부에 각각 부착된 보호필름(430a)과 NRT 필름(430b)으로 이루어져, 약 115㎛의 두께를 가지므로,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사방지부 두께의 약 1/2에 불과하다.
또한,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반사방지부의 두께가 두꺼울 뿐만 아니라 색 전이로 인해 외부광의 반사 방지 성능이 저하되어, 도 7a와 같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입사된 외부광의 약 8.5%가 투과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반사방지부(400)의 두께가 얇고 외부광의 반사 방지 성능이 향상되므로 도 7b와 같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입사된 외부광의 약 5.3%가 투과되며, 반사 방지 성능이 향상되어 시인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편광필름(440)과 반응성 액정층(420) 사이의 NRT 필름(430b)으로 인해 측면 시인성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 성능이 향상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300: 유기 발광 표시 소자 300a: 상부 기판
300b: 뱅크 300c: 하부 기판
400: 반사방지부 410: 점착층
420: 반응성 액정층 430a: 보호필름
430b: NRT 필름 440: 편광필름

Claims (6)

  1. 유기 발광 표시 소자;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소자 상에 형성된 배향막과 상기 배향막 상에 코팅된 반응성 액정을 포함하는 반응성 액정층 및 상기 반응성 액정층 상에 형성된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반사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성 액정층은 상기 편광필름의 편광축과 λ/4 위상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액정층은 상기 편광필름의 편광축과 선편광된 광을 원편광 시키거나, 원편광된 광을 선편광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의 상, 하부에는 각각 상, 하부 보호필름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호필름은 위상차가 없는 NRT(No Retardation TAC)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액정층은 역분산 파장과 정분산 파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10117351A 2011-06-22 2011-11-1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243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56836.0A DE102011056836B4 (de) 2011-06-22 2011-12-21 Organische lichtemittierende Anzeigevorrichtung
TW100148010A TWI468793B (zh) 2011-06-22 2011-12-22 有機發光顯示裝置
US13/339,075 US9159958B2 (en) 2011-06-22 2011-12-28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201110449978.2A CN102842271B (zh) 2011-06-22 2011-12-29 有机发光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760 2011-06-22
KR20110060760 2011-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10A KR20130000310A (ko) 2013-01-02
KR101243828B1 true KR101243828B1 (ko) 2013-03-18

Family

ID=4783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351A KR101243828B1 (ko) 2011-06-22 2011-11-1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3828B1 (ko)
TW (1) TWI46879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8165B2 (en) 2016-01-28 2018-09-18 Samsung Display Co., Ltd. Polarizing un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082B1 (ko) * 2013-11-11 2020-03-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9309114B (zh) * 2013-11-12 2023-05-26 宸鸿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触控显示设备
KR102122524B1 (ko) * 2013-11-14 2020-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39168B1 (ko) 2014-08-22 2021-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광학 유닛,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
KR102380155B1 (ko) 2015-03-25 2022-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18436A (ko) 2015-04-01 2016-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68775B1 (ko) 2015-10-26 2023-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2607B1 (ko) 2016-02-03 2022-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33171B1 (ko) 2016-03-11 2023-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51055B1 (ko) 2016-03-24 202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8299B1 (ko) 2016-05-25 2023-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위상차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324244B2 (en) 2016-09-30 2019-06-18 Samsung Display Co., Ltd.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45108A (ko) 2016-10-24 2018-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574495B (zh) * 2017-05-01 2022-04-19 东京毅力科创株式会社 有机el显示器的制造方法
KR102290145B1 (ko) * 2018-09-19 2021-08-19 주식회사 케이티 하프 미러를 이용한 원통형 공간 영상 투영 장치
TWI757076B (zh) * 2020-12-04 2022-03-01 中強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7322A (ja) * 2005-07-29 2008-05-2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単純化された構造を有する面上スイッチング液晶表示装置
JP2010243769A (ja) * 2009-04-06 2010-10-28 Toppan Printing Co Ltd 円偏光板及び有機el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94852B (en) * 1998-08-26 2000-06-21 Merck Patent Gmbh Reflective film
KR100714016B1 (ko) * 2005-12-13 2007-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CN101796164B (zh) * 2007-09-03 2014-08-20 默克专利股份有限公司 芴衍生物
JP4609529B2 (ja) * 2008-06-11 2011-01-12 ソニー株式会社 偏光板、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00080058A (ko) * 2008-12-31 201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KR20100082557A (ko) * 2009-01-09 2010-07-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95067B1 (ko) * 2009-01-21 2010-11-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7322A (ja) * 2005-07-29 2008-05-2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単純化された構造を有する面上スイッチング液晶表示装置
JP2010243769A (ja) * 2009-04-06 2010-10-28 Toppan Printing Co Ltd 円偏光板及び有機el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8165B2 (en) 2016-01-28 2018-09-18 Samsung Display Co., Ltd. Polarizing un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10A (ko) 2013-01-02
TW201300888A (zh) 2013-01-01
TWI468793B (zh) 2015-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82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15995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P287168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290636B (en) Optical memb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dhesive optical member and image viewing display
KR101970569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9720280B2 (en) Compensation film and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KR102055004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5870148B (zh) 有机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US975320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0175534B2 (en) Compensation film and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JP2016110153A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有機発光装置
KR20180079095A (ko)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05101107A1 (ja) 液晶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パネルを搭載した電子機器
KR101950813B1 (ko) 코팅형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US20210124103A1 (en) Viewing angle adjusting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90005770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476447B2 (en) Foldable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KR2013011437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8843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80149784A1 (en) Compensation film and antireflective film and display device
KR20170089669A (ko) 보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45775B1 (ko)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122524B1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3017199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81104B1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