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770A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770A
KR20090005770A KR1020070069069A KR20070069069A KR20090005770A KR 20090005770 A KR20090005770 A KR 20090005770A KR 1020070069069 A KR1020070069069 A KR 1020070069069A KR 20070069069 A KR20070069069 A KR 20070069069A KR 20090005770 A KR20090005770 A KR 20090005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s
adhesive layer
film
substr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587B1 (ko
Inventor
최홍석
유수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58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필름,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름들 및 상기 광학필름들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에서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의 투과율은 50 내지 95%인 편광판을 제공한다.
편광판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R, G, B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색좌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편광판 210 : 이형 필름
220 : 점착층 230 : 제1기재층
240 : 편광 필름 250 : 제2기재층
260 : 위상차 필름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OLED)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디스플레이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들 중, 액정표시장치는 음극선관에 비하여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 및 발열량이 작으며, 또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응답속도가 1ms 이하로서 고속의 응답속도를 가지며, 소비 전력이 낮고, 자체 발광이므로 시야각에 문제가 없어서, 차세대 평판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화상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시장치의 외부면에 편광판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편광판의 역할로는 외광의 수평성분을 흡수하고 수직성분을 λ/4 위상차 필름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외광의 투과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 편광판을 구비한 표시장치에서 편광판은 편광 기능만을 하여 외광의 투과를 방지하는 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색재현율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형필름,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름들 및 상기 광학필름들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에서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의 투과율은 50 내지 95%인 편광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제 1 전극, 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밀봉하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 또는 제 2 기판의 바깥면에 위치하는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판은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름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필름들 사이 또는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편광판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에서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의 투과율은 50 내지 95%인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표시장치의 일 예로 개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반도체층(110)이 위치한다. 반도체층(110)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게이트 절연막인 제 1 절연막(115)이 위치하고, 제 1 절연막(115) 상에 상기 반도체층(110)의 일정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게이트 전극(120)이 위치한다.
게이트 전극(120)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층간 절연막인 제 2 절연막(125)이 위치한다. 제 2 절연막(125) 상에 반도체층(110)의 일정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오스 전극(130a) 및 드레인 전극(130b)이 위치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
소오스 전극(130a) 및 드레인 전극(130b)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평탄화막 또는 패시베이션막일 수 있는 제 3 절연막(135)이 위치한다. 제 3 절연막(135) 상에 소오스 전극(130a) 및 드레인 전극(130b)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140)이 위치한다.
제 1 전극(140)의 일정 영역을 개구시키며, 화소정의막인 제 4 절연막(145)이 위치한다. 제 4 절연막(145)에 의해 노출된 제 1 전극(140) 상에 발광층(150)이 위치하고, 발광층(150) 상에 제 2 전극(155)이 위치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성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 1 기판(100)과 대향하도록 제 2 기판(160)이 위치하고,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160)은 봉지재(170)에 의해 합착되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성한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빛이 나아가는 방향쪽인 제 2 기판(160)의 바깥면에 편광판(200)이 위치한다. 편광판(200)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점착층에 의해서 제 2 기판(160)과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2 기판(160)의 바깥면에 편광판(200)이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빛이 배면으로 나아가는 배면 발광의 경우에는 제 1 기판(100)의 바깥면에 편광판(200)이 위치할 수 있고, 양면 발광의 경우에는 제 1 기판(100) 및 제 2 기판(160)의 바깥면에 편광판(200)이 위치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200)은 표시장치의 빛이 나아가는 방향의 기판 바깥면에 위치한다. 편광판(200)은 표시장치 내부에서 외부로 나아가는 빛을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투과시키고, 그 외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편광판(200)의 구조를 살펴보면, 편광판(200)은 이형 필름(210) 상에 위치하 는 점착층(220), 점착층(220) 상에 위치하는 제1기재층(230), 제1기재층(230) 상에 위치하는 편광 필름(240), 편광 필름(240) 상에 위치하는 제2기재층(250) 및 제2기재층(250) 상에 위치하는 위상차 필름(260)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위상차 필름(260) 상에 편광판(200)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이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이형 필름(210)은 편광판(200)을 지지하는 기판일 수 있으며, 폴리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형 필름(210)은 표시장치에 편광판을 부착할 시에 제거될 수 있다.
점착층(220)은 상기 각 광학 필름들을 접착하거나, 편광판과 표시장치를 접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점착층(220)은 아크릴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에스테르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아미드계 고분자, 에테르계 고분자, 플루오르계 고분자 및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220)은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층(220)에 포함되는 염료는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안트라 퀴논계 염료, 메틴계 염료, 아조메틴계 염료, 옥사딘계 염료, 아조계 염료, 스치릴계 염료, 크마린계 염료, 포르피린계 염료, 디벤조후라논계 염료, 티케토필로로필로르계 염료, 로다민계 염료, 키산텐계 염료 및 필로메텐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층(220)에 포함되는 염료의 종류 및 농도는 점착층의 두께 또는 흡수되는 빛의 피크 파장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층(220) 내에 포함되는 염료는 570 내지 610nm의 피크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데, 이때 점착층(220)에서 상기 피크 파장 범위의 빛의 흡수율이 50 내지 95%일 수 있다. 여기서, 점착층(220)의 570 내지 610nm의 피크 파장의 빛의 흡수율이 50% 이상이면,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이 너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점착층(220)의 570 내지 610nm의 피크 파장의 빛의 흡수율이 95% 이하이면, 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층(220)은 570 내지 610nm의 피크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고, 상기 피크 파장의 흡수율이 50 내지 95%로 형성함으로써, R, G, B 발광 스펙트럼에서 G와 R의 피크 파장이 교차되는 점의 감도(intensity)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G 및 R의 색순도 및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형 필름 상에 점착층이 하나만 형성된 것을 개시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각 광학 필름 사이에 복수개의 점착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제1기재층(230)은 편광 필름을 지지하고,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편광 필름을 보호하며, 편광 필름의 내구성, 내습성 및 기계적 강도 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기재층(230)으로는 광투과율이 높고, 복굴절성이 비교적 낮으며, 표면 개질에 의한 친수화가 용이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사용할 수 있다. 제1기재층(230)의 두께는 충분한 강도를 얻기 위해 50 내지 100㎛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 편광 필름(240)은 편광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배향된 이색성 물질 또는 배향된 고분자 사슬 자체의 공액 구조에 의하여 비편광 상태인 백색광의 어느 한 성분은 흡수하고, 그와 직각인 다른 성분은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편광 필름(240)으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계 편광 필름, 염료계 편광 필름 및 폴리엔계 편광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요오드계 편광 필름은 요오드 이온 사슬이 연신 배향된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내며, 염료계 편광 필름도 역시 이색성 염료가 연신 배향된 PVA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내게 된다. 반면, 폴리엔계 편광 필름은 PVA 필름의 탈수반응 또는 PVC필름의 탈염산 반응에 의해 폴리엔을 형성시켜 편광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편광 필름으로 요오드계 편광 필름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편광 필름은 염료계 편광 필름일 수도 있다.
편광 필름(240)은 흡수축과 편광축을 구비하는데, 흡수축은 요오드 이온 사슬이 연신 배향된 축으로서, 임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의 수직한 두개의 성분 중 한쪽 성분이 편광 필름의 전자와 상호 작용하여 빛의 전기적 에너지가 전자의 에너지로 바뀌는 과정에서 빛의 성분을 소멸시키는 축이다. 편광축은 이러한 흡수축에 수직인 축으로서, 편광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투과시킨다. 이러한 편광 필름(240)의 두께는 15 내지 30㎛일 수 있다.
편광 필름(24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PVA 필름을 연신한 후 요오드를 합착시키는 방법, 요오드를 PVA 필름에 흡착시킨 후 연신하는 방법, 염착과 연신을 동시에 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 제2기재층(250)은 상기 제 1 기재층(230)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위상차 필름(260)을 살펴보면, 위상차 필름(260)은 λ/4 위상차 필름일 수 있다. λ/4 위상차 필름은 위상차 필름의 광축에 평행하며, 서로 수직인 두 편광 성분에 λ/4 만큼의 위상차를 부여하여 선편광을 원편광으로 바꾸거나 원편광을 선평광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이하, 이하, 본 발명의 편광판에 따른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1 : 점착층의 투과율에 따른 R, G, B 발광 스펙트럼 측정
<실험예 1>
이형 필름 상에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을 흡수하는 안트라 퀴논계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물질을 10㎛의 두께로 형성하여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92%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층 상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5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제1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기재층 상에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을 20㎛의 두께로 형성하여 편광 필름을 형성하였고, 상기 편광 필름 상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5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제2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 2 기재층 상에 λ/4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여 편광판을 완성하였다.
<실험예 2>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90%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3>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88%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제거하여,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100%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상기 각 실험예 및 비교예에 따라 완성된 편광판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부착한 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동하여 R, G, B 각각의 발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험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 따른 R, G, B 각각의 발광 스펙트럼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3에 따른 편광판을 구비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R, G, B 발광 스펙트럼은 비교예 1과 비교하면, R의 발광 스펙트럼이 오른쪽으로 이동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G의 발광 스펙트럼과 R의 발광 스펙트럼이 교차되는 점의 감도(세로축)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G의 발광 스펙트럼과 R의 발광 스펙트럼이 교차되는 점의 감도가 낮아진다는 것은 G와 R이 혼색되는 비율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는 G와 R이 혼색되는 비율을 낮춰 색순도 및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험 2 : 점착층의 투과율에 따른 R, G, B의 색좌표 측정
<실험예 4>
이형 필름 상에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을 흡수하는 안트라 퀴논계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물질을 10㎛의 두께로 형성하여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92%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층 상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 TAC)를 5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제1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기재층 상에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을 20㎛의 두께로 형성하여 편광 필름을 형성하였고, 상기 편광 필름 상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5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제2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 2 기재층 상에 λ/4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여 편광판을 완성하였다.
<실험예 5>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90%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6>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88%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제거하여,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100%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상기 각 실험예 4 내지 6 및 비교예 2에 따라 완성된 편광판을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부착한 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동하여 R, G, B의 색좌표를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실험예 4 내지 6 및 비교예 2에 따른 R, G, B의 색좌표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 4 내지 6에 따른 편광판을 구비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R, G, B의 색좌표는 비교예 2에 비해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색좌표에 더 근접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종래 염료를 구비하지 않은 편광판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구비한 표시장치의 색좌표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3 : 점착층의 투과율에 따른 색재현율 측정
<실험예 7>
이형 필름 상에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을 흡수하는 안트라 퀴논계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물질을 10㎛의 두께로 형성하여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95%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층 상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5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제1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기재층 상에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을 20㎛의 두께로 형성하여 편광 필름을 형성하였고, 상기 편광 필름 상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5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제2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 2 기재층 상에 λ/4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여 편광판을 완성하였다.
<실험예 8>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92%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9>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90%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10>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88%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11>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78%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12>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67%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13>
점착층의 투과율이 56%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14>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50%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제거하여,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100%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상기 각 실험예 7 내지 14 및 비교예 3에 따라 완성된 편광판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부착한 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동하여 색재현율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착층의 투과율(%) 색재현율(%)
비교예 3 100 75.37
실험예 7 95 76.87
실험예 8 92 78.77
실험예 9 90 79.56
실험예 10 88 80.58
실험예 11 78 85.01
실험예 12 67 90.01
실험예 13 56 94.58
실험예 14 50 96.55
상기 표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험예 7 내지 14에 따른 편광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은 비교예 3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피크 파장 570 내지 61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층에서 상기 피크 파장 범위의 빛의 투과율이 50 내지 95%인 편광판을 사용함으로써, R 및 G의 피크 파장이 교차되는 점의 감도를 낮출 수 있어 표시장치의 색순도 및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편광판의 점착층 내에 570 내지 610nm의 피크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첨가하여 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화상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색재현율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이형필름,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름들 및 상기 광학필름들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에서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의 투과율은 50 내지 95%인 편광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안트라 퀴논계 염료, 메틴계 염료, 아조메틴계 염료, 옥사딘계 염료, 아조계 염료, 스치릴계 염료, 크마린계 염료, 포르피린계 염료, 디벤조후라논계 염료, 티케토필로로필로르계 염료, 로다민계 염료, 키산텐계 염료 및 필로메텐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편광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위상차 필름과 편광 필름 사이 또는 편광 필름과 점착층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층들을 포함하는 편광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이형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에 위치하는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기재층, 상기 제2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에스테르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아미드계 고분자, 에테르계 고분자, 플루오르계 고분자 및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편광판.
  6.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제 1 전극, 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밀봉하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 또는 제 2 기판의 바깥면에 위치하는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판은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름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필름들 사이 또는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편광판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에서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의 투과율은 50 내지 95%인 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안트라 퀴논계 염료, 메틴계 염료, 아조메틴계 염료, 옥사딘계 염료, 아조계 염료, 스치릴계 염료, 크마린계 염료, 포르피린계 염료, 디벤조후라논계 염료, 티케토필로로필로르계 염료, 로다민계 염료, 키산텐계 염료 및 필로메텐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위상차 필름과 편광 필름 사이 또는 편광 필름과 점착층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층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이형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에 위치하는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기재층, 상기 제2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에스테르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아미드계 고분자, 에테르계 고분자, 플루오르계 고분자 및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표시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반도체층, 게이트 전극,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070069069A 2007-07-10 2007-07-10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424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069A KR101424587B1 (ko) 2007-07-10 2007-07-10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069A KR101424587B1 (ko) 2007-07-10 2007-07-10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770A true KR20090005770A (ko) 2009-01-14
KR101424587B1 KR101424587B1 (ko) 2014-07-31

Family

ID=4048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069A KR101424587B1 (ko) 2007-07-10 2007-07-10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5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16A1 (ko) * 2014-10-06 2016-04-14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액정표시장치용 색순도 향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7007236A1 (ko) * 2015-07-06 2017-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색재현 필름, 이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03681A (ko) *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상 표시 장치
CN107167859A (zh) * 2016-12-21 2017-09-15 住华科技股份有限公司 偏光板组件以及显示设备
US9853236B2 (en) 2015-03-02 2017-12-26 Samsung Display Co., Ltd.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1077698A (zh) * 2019-12-17 2020-04-28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3195A (ja) 2004-08-27 2006-03-09 Mitsui Chemicals Inc 粘着シート
KR100635501B1 (ko) * 2005-01-24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20060110127A (ko) * 2005-04-19 2006-10-24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편광필름용 접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접착층을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편광필름, 및 이를 이용한디스플레이 장치용 편광필름의 제조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16A1 (ko) * 2014-10-06 2016-04-14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액정표시장치용 색순도 향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60040782A (ko) * 2014-10-06 2016-04-15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액정표시장치용 색순도 향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10133110B2 (en) 2014-10-06 2018-11-20 Skc Hi-Tech & Marketing Co., Ltd. Colour purity improvement film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ame
US9853236B2 (en) 2015-03-02 2017-12-26 Samsung Display Co., Ltd.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17007236A1 (ko) * 2015-07-06 2017-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색재현 필름, 이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N107849372A (zh) * 2015-07-06 2018-03-27 株式会社Lg化学 宽色域膜、用于制备其的组合物、包括其的偏光板和包括所述偏光板的液晶显示器
US10871677B2 (en) 2015-07-06 2020-12-22 Lg Chem, Ltd. Wide color gamut film, composition for prepar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polarizer plate
KR20170103681A (ko) *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상 표시 장치
CN107167859A (zh) * 2016-12-21 2017-09-15 住华科技股份有限公司 偏光板组件以及显示设备
CN107167859B (zh) * 2016-12-21 2020-02-28 住华科技股份有限公司 偏光板组件以及显示设备
CN111077698A (zh) * 2019-12-17 2020-04-28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587B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294B1 (ko) 유기발광소자용 휘도 향상 편광판
JP5599740B2 (ja) 偏光板及びこれを備える有機発光装置
KR102055004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468793B (zh) 有機發光顯示裝置
US8975812B2 (en) Polarization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ation structur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polarization structure
KR102028053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57671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0486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549725B1 (ko)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KR101840539B1 (ko) Oled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4587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80047513A (ko) 액정표시장치
WO2017038927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20060079241A (ko) 액정 패널, 그 제조 방법, 및 그 액정 패널을 사용한 전자디바이스
KR20180062295A (ko) 광학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950813B1 (ko) 코팅형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KR101868476B1 (ko)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디스플레이
JP4651054B2 (ja) 偏光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湿式延伸装置
US11476447B2 (en) Foldable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WO2009142450A1 (ko) 유기발광소자용 휘도 향상 편광판
KR10194685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20291436A1 (en) Polarizing plate
KR20080101115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23017199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594067B (en) High transmittance polarization film for improving OLED interfering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