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115A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115A
KR20080101115A KR1020070047418A KR20070047418A KR20080101115A KR 20080101115 A KR20080101115 A KR 20080101115A KR 1020070047418 A KR1020070047418 A KR 1020070047418A KR 20070047418 A KR20070047418 A KR 20070047418A KR 20080101115 A KR20080101115 A KR 20080101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substrate
polarizing
glar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1115A/ko
Publication of KR2008010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3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 및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은 직경이 1 내지 2㎛인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편광판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눈부심 방지층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편광판 210: 위상차 필름
220: 제 1 기재층 230: 편광 필름
240: 제 2 기재층 250: 눈부심 방지층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디스플레이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들 중, 액정표시장치는 음극선관에 비하여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 및 발열량이 작으며, 또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응답속도가 1ms 이하로서 고속의 응답속도를 가지며, 소비 전력이 낮고, 자체 발광이므로 시야각에 문제가 없어서, 차세대 평판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관측자가 외부에서 표시장치를 볼 때, 외부광, 예를 들어 태양광이나 형광등의 직접적인 반사광을 받게 되면, 관측자는 눈부심 현상을 느끼게 되고, 제대로 화면을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표시장치 상부에 반사 방지 필름(Anti-Reflection film,AG film) 및/또는 눈부심 방지 필름(Anti-Glare film, AG film) 등의 광학 필름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학 필름은 난반사가 심하여 화상의 해상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 및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은 직경이 1 내지 2㎛인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제 1 전극, 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밀봉하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판의 바깥면에 위치하는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판은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 및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눈부심 방지층은 직경이 1 내지 2㎛인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표시장치의 일 예로 개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반도체층(110)이 위치한다. 반도체층(110)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게이트 절연막인 제 1 절연막(115)이 위치하고, 제 1 절연막(115) 상에 상기 반도체층(110)의 일 정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게이트 전극(120)이 위치한다.
게이트 전극(120)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층간 절연막인 제 2 절연막(125)이 위치한다. 제 2 절연막(125) 상에 반도체층(110)의 일정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오스 전극(130a) 및 드레인 전극(130b)이 위치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
소오스 전극(130a) 및 드레인 전극(130b)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평탄화막 또는 패시베이션막일 수 있는 제 3 절연막(135)이 위치한다. 제 3 절연막(135) 상에 소오스 전극(130a) 및 드레인 전극(130b)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140)이 위치한다.
제 1 전극(140)의 일정 영역을 개구시키며, 화소정의막인 제 4 절연막(145)이 위치한다. 제 4 절연막(145)에 의해 노출된 제 1 전극(140) 상에 발광층(150)이 위치하고, 발광층(150) 상에 제 2 전극(155)이 위치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성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 1 기판(100)과 대향하도록 제 2 기판(160)이 위치하고,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160)은 봉지재(170)에 의해 합착되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성한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빛이 나아가는 방향쪽인 봉지기판(160)의 바깥면에 편광판(200)이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2 기판(160)의 바깥면에 편광판(200)이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빛이 배면으로 나아가는 배면 발광의 경우에는 제 1 기판(100)의 바깥면에 편광판(200)이 위치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200)은 표시장치의 빛이 나아가는 방향의 기판 바깥면에 위치한다. 편광판(200)은 표시장치 내부에서 외부로 나아가는 빛을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투과시키고, 그 외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흡수하거나 반사한다.
편광판(200)의 구조를 살펴보면, 기판 상에 위치하는 위상차 필름(210), 제 1 기재층(220), 편광 필름(230), 제 2 기재층(240) 및 눈부심 방지층(250)을 포함한다.
먼저, 위상차 필름(210)을 살펴보면, 위상차 필름(210)은 λ/4 위상차 필름일 수 있다. λ/4 위상차 필름은 위상차 필름의 광축에 평행하며, 서로 수직인 두 편광 성분에 λ/4 만큼의 위상차를 부여하여 선편광을 원편광으로 바꾸거나 원편광을 선평광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다음, 제 1 기재층(220)은 편광 필름을 지지하고,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편광 필름을 보호하며, 편광 필름의 내구성, 내습성 및 기계적 강도 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1 기재층(220)으로는 광투과율이 높고, 복굴절성이 비교적 낮으며, 표면 개질에 의한 친수화가 용이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기재층(220)의 두께는 충분한 강도를 얻기 위해 50 내지 100㎛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 편광 필름(230)은 편광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배향된 이색성 물질 또는 배향된 고분자 사슬 자체의 공액 구조에 의하여 비편광 상태인 백색광의 어느 한 성분은 흡수하고, 그와 직각인 다른 성분은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편광 필름(230)으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계 편광 필름, 염료계 편광 필름 및 폴리엔계 편광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요오드계 편광 필름은 요오드 이온 사슬이 연신 배향된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내며, 염료계 편광 필름도 역시 이색성 염료가 연신 배향된 PVA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내게 된다. 반면, 폴리엔계 편광 필름은 PVA 필름의 탈수반응 또는 PVC필름의 탈염산 반응에 의해 폴리엔을 형성시켜 편광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편광 필름으로 요오드계 편광 필름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편광 필름은 염료계 편광 필름일 수도 있다.
편광 필름(230)은 흡수축과 편광축을 구비하는데, 흡수축은 요오드 이온 사슬이 연신 배향된 축으로서, 임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의 수직한 두개의 성분 중 한쪽 성분이 편광 필름의 전자와 상호 작용하여 빛의 전기적 에너지가 전자의 에너지로 바뀌는 과정에서 빛의 성분을 소멸시키는 축이다. 편광축은 이러한 흡수축에 수직인 축으로서, 편광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투과시킨다. 이러한 편광 필름(230)의 두께는 15 내지 30㎛일 수 있다.
편광 필름(23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PVA 필름을 연신한 후 요오드를 합착시키는 방법, 요오드를 PVA 필름에 흡착시킨 후 연신하는 방법, 염착과 연신을 동시에 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 제 2 기재층(240)은 상기 제 1 기재층(240)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눈부심 방지층(250)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눈부심 방지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눈부심 방지(Anti-Glare)층(250)은 발광 이미지에 내부 산란 효과를 주어 저계조 표현이 어려운 부분을 부드럽게 표현함으로써 화상의 해상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눈부심 방지층(250)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100g에 대하여 실리카(silica) 입자 20g 정도의 비율을 분산 혼합하여 롤(roll) 코팅(coating) 방법으로 코팅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눈부심 방지층(250)은 아크릴계 수지(251) 내부에 실리카 입자(252)가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눈부심 방지층(250)은 아크릴계 수지와 실리카 입자를 5: 1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크릴계 수지 대비 실리카 입자의 비율이 감소하게 되면 투과율 은 향상되나 내부 산란 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실리카 입자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면 내부 산란 효과는 향상되나 투과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눈부심 방지층(250)은 아크릴계 수지와 실리카 입자를 5:1의 비율로 포함하여, 효율적으로 투과율과 내부 산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눈부심 방지층(250)의 두께는 3 내지 5㎛일 수 있다. 눈부심 방지층(250)의 두께가 3㎛ 이상이면, 내부 산란이 지나쳐 화상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5㎛ 이하이면, 난반사가 심하여 화상의 해상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눈부심 방지층(250)의 실리카 입자(252)의 직경은 1 내지 2㎛일 수 있다. 실리카 입자의 직경이 1㎛ 이상이면, 화상이 도트 형상으로 나타나 저계조표현이 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2㎛ 이하이면, 내부 산란이 지나쳐 화상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251) 내부의 실리카 입자(252)간의 간격은 3 내지 5㎛일 수 있다. 실리카 입자(252)간의 간격이 3㎛ 이상이면, 내부 산란이 지나쳐 화상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5㎛ 이하이면, 난반사가 심하여 화상의 해상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눈부심 방지층(251)은 아크릴계 수지(251) 내부의 실리카 입자(252)간의 간격이 3 내지 5㎛인 범위 내에서, 도 3과 같이 실리카 입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도 4와 같이 실리카 입자들이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200)을 표시장치의 기판에 접착시키기 위해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로는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성률과 접착 특성이 좋고, 기판과 점착제층 사이에서 미세한 기포의 발생을 줄여 점착제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점착제는 광학 필름을 기판에 부착시킬 뿐만 아니라 광학 필름의 내습성을 보강하며, 일정한 탄성을 가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점착제의 두께는 15 내지 30㎛일 수 있다.
이하, 이하,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따른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1 :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 직경에 따른 편광판의 내부 산란도 및 외부 산란도 측정
<실험예 1>
λ/4 위상차 필름 상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5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제 1 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 1 기재층 상에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을 20㎛의 두께로 형성하여 편광 필름을 형성 하였고, 상기 편광 필름 상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5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제 2 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 2 기재층 상에 아크릴 수지와 실리카 입자를 교반하여 5㎛의 두께로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실리카 입자의 직경은 0.5㎛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2>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의 직경이 1㎛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3>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의 직경이 2㎛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의 직경이 3㎛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의 직경이 4㎛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3>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의 직경이 5㎛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4>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의 직경이 6㎛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상기 실험예 1~3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과 비교예 1~4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의 내부 산란도 및 외부 산란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1 실험예2 실험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리카 입자 직경(㎛) 0.5 1 2 3 4 5 6
외부 산란도(%) 1 1.5 2.5 13 15 25 30
내부 산란도(%) 35 22 18 10 9 7 6
상기 표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험예 1~ 3에 따른 편광판은 비교예 1~4와 비교하여, 외부 산란도가 낮고 외부 산란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의 직경이 0.5 내지 2㎛인 경우에는 외부 산란도보다 내부 산란도를 높일 수 있어 화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실험예 1의 실리카 입자의 직경이 0.5㎛인 경우에는 내부 산란도가 너무 높아 저계조표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 직경은 1 내지 2㎛일 수 있다.
실험 2 : 눈부심 방지층의 두께에 따른 편광판의 빛의 투과율 측정
<실험예 4>
직경이 2㎛인 실리카 입자를 사용하여 두께가 3㎛인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5>
눈부심 방지층의 두께를 4㎛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4와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6>
눈부심 방지층의 두께를 5㎛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4와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5>
눈부심 방지층의 두께를 6㎛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6>
눈부심 방지층의 두께를 7㎛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상기 실험예 4~6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과 비교예 5 및 6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4 실험예5 실험예6 비교예5 비교예6
눈부심 방지층의 두께(㎛) 3 4 5 6 7
투과율(%) 99 99 98 96 95
상기 표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험예 4~6에 따른 편광판은 비교예 5 및 6과 비교하여, 투과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눈부심 방지층의 두께가 3 내지 5㎛인 경우에, 편광판의 투과율을 98% 이상으로 높일 수 있어 화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눈부심 방지층의 두께가 3㎛미만일 경우에는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의 직경이 최대 2㎛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마진 상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층의 두께는 3 내지 5㎛일 수 있다.
실험 3 :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 간의 간격에 따른 편광판의 내부 산란도 및 외부 산란도 측정
<실험예 7>
직경이 2㎛인 실리카 입자를 사용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 간의 간격이 2㎛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8>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 간의 간격이 3㎛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9>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 간의 간격이 4㎛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0>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 간의 간격이 5㎛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7>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 간의 간격이 6㎛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6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8>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 간의 간격이 7㎛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6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9>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 간의 간격이 8㎛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6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상기 실험예 7~10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과 비교예 7~9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의 내부 산란도 및 외부 산란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7 실험예8 실험예9 실험예10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실리카 입자 간격(㎛) 2 3 4 5 6 7 8
외부 산란도(%) 0.5 1.5 2.5 3 15 25 30
내부 산란도(%) 30 21 19 18 9 7 6
상기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험예 7~10에 따른 편광판은 비교예 7~9와 비교하여, 외부 산란도가 낮고 외부 산란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 간의 간격이 2 내지 5㎛인 경우에는 외부 산란도보다 내부 산란도를 높일 수 있어 화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실험예 7의 실리카 입자 간의 간격이 2㎛인 경우에는 내부 산란도가 너무 높아 저계조표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 간의 간격은 3 내지 5㎛일 수 있다.
실험 4 : 눈부심 방지층의 위치에 따른 편광판의 내부 산란 및 외부 산란 여부 측정
<실험예 11>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2>
눈부심 방지층이 위상차 필름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0>
눈부심 방지층이 위상차 필름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상기 실험예 11 및 12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과 비교예 10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의 내부 산란 및 외부 산란 효과의 여부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11 실험예12 비교예10
외부 산란 유무
내부 산란 유무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빛이 나아가는 편광판의 최상부 및 위상차 필름의 상부에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한 실험예 11 및 12에서는 내부 산란 효과가 발생되나, 편광판의 최하부에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한 비교예 10은 산란 효과가 발생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편광판의 최상부인 빛이 나아가는 최외곽에 눈부심 방지층이 위치하게 되면, 빛의 외부 산란 및 내부 산란이 모두 일어나 화상 품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광학 필름 최상부의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를 미세하게 형성함으로써, 종래 빛을 난반사 시키기보다는 내부 산란을 시켜 화상을 부드럽게 표시하고,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화상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화상을 부드럽게 표시할 수 있어, 화상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9)

  1.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 및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은 직경이 1 내지 2㎛인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편광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은 λ/4 위상차 필름인 편광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위상차 필름과 편광 필름 사이 또는 편광 필름과 눈부심 방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기재층, 상기 제2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위상차 필름 상에 위치하는 눈부심 방지층, 상기 눈부심 방지층 상에 위치하는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기재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두께는 3 내지 5㎛인 편광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입자 간의 간격은 3 내지 5㎛인 편광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PVA(Poly-vinyl Alcohol)인 편광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는 불규칙적인 배열을 갖는 편광판.
  10.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제 1 전극, 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밀봉하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판의 바깥면에 위치하는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판은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 및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눈부심 방지층은 직경이 1 내지 2㎛인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은 λ/4 위상차 필름인 표시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위상차 필름과 편광 필름 사이 또는 편광 필름과 눈부심 방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기재층, 상기 제2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위상차 필름 상에 위치하는 눈부심 방지층, 상기 눈부심 방지층 상에 위치하는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기재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두께는 3 내지 5㎛인 표시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입자 간의 간격은 3 내지 5㎛인 표시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PVA(Poly-vinyl Alcohol)인 표시장치.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실리카 입자는 불규칙적인 배열을 갖는 표시장치.
  1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반도체층, 게이트 전극,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070047418A 2007-05-16 2007-05-16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080101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418A KR20080101115A (ko) 2007-05-16 2007-05-16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418A KR20080101115A (ko) 2007-05-16 2007-05-16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115A true KR20080101115A (ko) 2008-11-21

Family

ID=40287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418A KR20080101115A (ko) 2007-05-16 2007-05-16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11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5494A (zh) * 2016-05-26 2016-07-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偏光片及显示面板
EP3207411A4 (en) * 2014-10-17 2018-09-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optical film having overlapping harmonic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07411A4 (en) * 2014-10-17 2018-09-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optical film having overlapping harmonics
CN105785494A (zh) * 2016-05-26 2016-07-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偏光片及显示面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0603B (zh) 具改善亮度之oled用偏光板
US10217964B2 (en) Optical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same
US9395471B2 (en) Display device
US20120307191A1 (en) Display Device
TWI556021B (zh) 偏光板、畫像顯示裝置、及畫像顯示裝置之亮處對比之改善方法
KR102055004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4004417A (ja) 光拡散性シート、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042762A (ja) ディスプレイ装置用色補償フィル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用光学フィルタ
US10135034B1 (en) Display device with pixel-integrated black matrix and elliptical polarizer
KR101840539B1 (ko) Oled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09104414A1 (ja) 表示装置
JP6263860B2 (ja) 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の表示品質改善方法
KR20180062295A (ko) 광학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950813B1 (ko) 코팅형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KR20130008096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05770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20133084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68476B1 (ko)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디스플레이
KR20080101115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456444B2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JP2004061601A (ja) 被膜シートの製造方法、反射防止シートの製造方法、反射防止シート、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577329B1 (ko) 편광판 및 편광판의 용도
KR101718864B1 (ko) 눈부심방지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장치
JP3743624B2 (ja) 光拡散層、光拡散性シート、光学素子及び表示装置
KR101094406B1 (ko) 색보상 편광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