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653B1 -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솜사탕 - Google Patents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솜사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653B1
KR102568653B1 KR1020230011365A KR20230011365A KR102568653B1 KR 102568653 B1 KR102568653 B1 KR 102568653B1 KR 1020230011365 A KR1020230011365 A KR 1020230011365A KR 20230011365 A KR20230011365 A KR 20230011365A KR 102568653 B1 KR102568653 B1 KR 102568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candy
citric acid
weight
suga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중
Original Assignee
김은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중 filed Critical 김은중
Priority to KR1020230011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51Candy-pulling processes; processes for making cotton candy or candy f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fats us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4Colou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02Alo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4Non-sugar sweete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솜사탕의 맛과 향이 극대화된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1) 솜사탕 제조장치를 예열하는 단계; (S2) 상기 예열된 솜사탕 제조장치의 헤드에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S3) 상기 헤드를 회전시켜 솜사탕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은, 설탕 100 중량부, 가공유지 10 내지 20 중량부, 향료 0.3 내지 1.5 중량부 및 구연산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솜사탕{PREPARING METHOD OF COTTON CANDY CONTAINING CITRIC ACID AND COTTON CANDY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솜사탕에 관한 것이다.
솜사탕은 단맛, 즉 당류를 이용한 솜사탕으로서 이는 단맛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즐길 수 있도록 만든 간식이다. 최근까지 소비자들은 설탕으로만 이루어진 솜사탕을 구매 및 섭취하였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기존의 솜사탕의 원리는 솜사탕 제조장치의 중앙부에 위치한 작은 구멍(예: 헤드)에 설탕을 투여하고 이후 솜사탕 제조장치의 페달을 밟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자동방식으로 원심기를 가동하면 솜사탕 제조장치의 아래의 가열판에 의해 녹은 설탕 입자가 액체 상태로 변환되어 원심력에 의해 미세구멍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상태의 설탕이 외기와 만나면 순간적으로 굳어져 결정 형태가 형성되고, 원심기의 빠른 회전 속도로 인하여 결정 형태가 실처럼 길게 이어지게 된다. 실 형태의 설탕을 나무젓가락이나 막대를 이용하여 크게 원을 그리며 감아주면 마치 어린아이 머리만큼 부풀어 솜 모양이 되는 것이다.
그동안 솜사탕은 흰 색상으로만 만들어졌으나, 최근 솜사탕을 좋아하는 어린이들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하여 합성 착향료와 합성색소를 사용한 다양한 색상의 솜사탕을 만들고 있다. 또한, 정제당에 색소, 물엿, 코팅제, 광택제 및 점성제가 포함되어 점성 및 광택효과가 있고 맛과 색상이 우수한 솜사탕이 제조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색상의 솜사탕을 제조하기 위해 합성첨가물을 사용할 경우 그로 인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병으로는 아토피, 가려움증, 염증 등의 각종 피부질환, ADHD (과잉행동 장애) 등이 제시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솜사탕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솜사탕은 높은 가격 대비 조직감이 치밀하지 못하고 너무 빠르게 녹아버리거나 끈적임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솜사탕의 맛과 향이 극대화된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직감과 광택이 우수한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솜사탕의 제조시간이 단축되며 솜사탕 제조장치의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솜사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1) 솜사탕 제조장치를 예열하는 단계; (S2) 상기 예열된 솜사탕 제조장치의 헤드에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S3) 상기 헤드를 회전시켜 솜사탕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은, 설탕 100 중량부, 가공유지 10 내지 20 중량부, 향료 0.3 내지 1.5 중량부 및 구연산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S1) 단계는 상기 솜사탕 제조장치를 120 내지 180℃로 예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설탕은 쌍백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설탕의 평균 직경은 0.4 내지 0.6mm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가공유지는 식물성 유지, 동물성 유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향료는 우유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향료 용매, 천연감미료, 식용색소 및 알로에 발효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알로에 발효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솜사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Aspect)에 따르면, 솜사탕의 맛 성능이 우수하며, 끈적임이 적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직감과 광택이 우수한 솜사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솜사탕의 제조시간이 단축되며 솜사탕 제조장치의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솜사탕의 제조방법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의 범위는, 상기 용어의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 값과 상한 값으로 포함하는 수치의 범위를 나타낸다. 임의의 수치범위의 상한과 하한으로의 수치 값이 각각 복수 개로 개시된 경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치의 범위는 복수의 하한 값 중 임의의 하나의 값 및 복수의 상한 값 중 임의의 하나의 값을 각각 하한 값 및 상한 값으로 하는 임의의 수치의 범위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1) 솜사탕 제조장치를 예열하는 단계; (S2) 상기 예열된 솜사탕 제조장치의 헤드에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S3) 상기 헤드를 회전시켜 솜사탕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은, 설탕 100 중량부, 가공유지 10 내지 20 중량부, 향료 0.3 내지 1.5 중량부 및 구연산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만약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에 구연산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솜사탕의 맛 성능이 떨어지며 끈적임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연산의 함량이 0.5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솜사탕의 맛이 떨어지며, 광택과 끈적임 성능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에 구연산이 포함됨으로써, 솜사탕의 맛 성능이 우수하며, 끈적임이 적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설탕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구연산의 함량이 0.5 내지 1.5 중량부일 때, 솜사탕의 맛과 조직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광택이 우수하며 끈적임이 적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가공유지와 구연산의 조합 관점과 관련하여,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이 구연산을 포함하되 가공유지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솜사탕의 조직감이 매우 현저히 저하되며, 광택과 끈적임 성능도 모두 떨어질 수 있고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이 가공유지를 포함하되 구연산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솜사탕의 맛 성능이 떨어지고 끈적임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가공유지와 구연산이 조합된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솜사탕은 맛 성능이 우수하며 끈적임이 적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
(S1) 솜사탕 제조장치를 예열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은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을 녹이기 위해 (S1) 솜사탕 제조장치를 예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솜사탕 제조장치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상용되는 솜사탕 제조장치, 또는 직접 제조된 솜사탕 제조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솜사탕 제조장치는 금강월드시스템社의 솜사탕 제조장치일 수 있다.
상기 솜사탕 제조장치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솜사탕 제조장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된 헤드 및 상기 헤드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헤드는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이 투입되는 부분일 수 있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헤드를 통해 투입된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을 녹여 액상으로 만드는 가열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는 상기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이 투입된 헤드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는 전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가 회전할 경우 원심력이 발생하여 용융된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이 상기 헤드의 표면에 구비된 미세기공으로 이동됨으로써, 가는 실 형태의 솜사탕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1) 단계는 상기 솜사탕 제조장치를 120 내지 180℃로 예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솜사탕 제조장치의 예열 온도는 130 내지 180℃ 140 내지 170℃, 150 내지 160℃ 또는 150 내지 155℃일 수 있다.
(S2) 상기 예열된 솜사탕 제조장치의 헤드에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은 솜사탕을 제조하기 위해 (S2) 상기 예열된 솜사탕 제조장치의 헤드에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은 설탕, 가공유지, 향료 및 구연산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설탕은 빛깔이나 입자의 모양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입자가 작은 고순도의 설탕으로서 뒷맛이 남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서 요리를 할 때 주로 사용되는 정백당(백설탕, White sugar); 원당의 독특한 풍미가 살아 있지만 분리된 당밀을 재결정 및 분리하는 과정을 몇 차례 거치면서 열로 인해 색이 변화된 노란 설탕인 중백당(White brown sugar); 정제도가 낮은 편이고 당도가 정백당의 90% 정도이며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는 흑설탕인 삼온당(Dark brown sugar); 흔히 콜라당으로 불리며 순도가 가장 높아서 음료용으로 쓰이는 그래뉴당(Granulated sugar); 또는 그래뉴당보다는 덜하지만 당도도 매우 높은 쌍백당(Large crystal sugar)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탕은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의 원료로, 쌍백당, 정백당, 및 사탕수수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쌍백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탕으로 쌍백당을 사용함으로써, 솜사탕 제조장치의 고장이 일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솜사탕의 모양을 잘 형성할 수 있으며, 솜사탕의 제조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탕의 평균 직경은 0.1 내지 0.9mm, 0.2 내지 0.8mm, 0.3 내지 0.7mm, 0.4 내지 0.7mm, 또는 0.4 내지 0.6mm일 수 있다. 상기 설탕의 평균 직경이 상기 수치 범위 미만일 경우 설탕이 솜사탕 제조장치의 내부에 붙어 고장이 발생하며 솜사탕의 모양이 잘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수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솜사탕의 제조시간이 길어져 제조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탕의 평균 직경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유지는 솜사탕의 조직감을 개선하며, 솜사탕의 광택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유지는 식물성유지 또는 동물성유지에 수소첨가, 분별 또는 에스테르 교환방법에 의하여 유지의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킨 것으로 식용에 적합하도록 정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공유지는 식물성 유지, 동물성 유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공유지는 팜유, 팜핵유(Palm kernel oil), 대두유, 야자유, 옥수수기름 및 면실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료가 경화된 유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공유지는 저지방 마가린 또는 쇼트닝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쇼트닝일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유지의 함량은 상기 설탕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부, 11 내지 19 중량부, 12 내지 18 중량부, 13 내지 17 중량부, 14 내지 16 중량부, 또는 14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가공유지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 미만일 경우 솜사탕의 조직 치밀감이 충분히 개선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수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설탕의 함량이 감소하여 솜사탕의 단맛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는 솜사탕에 향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료는 딸기 향료, 우유 향료, 초코 향료, 사과 향료, 메론 향료, 포도 향료 또는 소다 향료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우유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의 함량은 상기 설탕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3 내지 1.5 중량부, 0.4 내지 1.4 중량부, 0.5 내지 1.3 중량부, 0.6 내지 1.2 중량부 또는 0.9 내지 1.1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향료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 미만일 경우 솜사탕의 향 성능이 충분히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수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설탕의 함량이 감소하여 솜사탕의 단맛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공유지 및 향료는 혼합물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향료와 가공유지의 중량비(향료:가공유지)는 1:5 내지 1:30, 1:6 내지 1:20, 1:10 내지 1:15, 또는 1:12 내지 1:15일 수 있다. 상기 향료와 가공유지의 중량비가 상기 수치 범위 내를 만족할 때 솜사탕의 향과 조직감이 가장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연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감귤류 과일, 특히 레몬과 라임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신맛을 유발하는 유기산의 일종이다. 구연산은 식품, 세정제 및 영양 보충제의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며, 감귤류 과일 또는 곰팡이류를 이용하여 추출된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연산은 솜사탕의 산도를 높여 풍미를 향상시켜주며, 방부효과가 있기 때문에 해당 솜사탕의 장기간 보존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연산의 함량은 상기 설탕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부, 0.6 내지 1.4 중량부, 0.7 내지 1.3 중량부, 0.8 내지 1.2 중량부, 0.9 내지 1.1 중량부, 또는 0.9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구연산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 미만일 경우 솜사탕의 산도가 충분히 높아지지 못하여 솜사탕의 풍미가 향상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수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솜사탕의 맛이 떨어지며, 광택과 끈적임 성능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는 향료 용매, 천연감미료, 식용색소 및 알로에 발효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알로에 발효액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향료 용매는 향료를 용해하는 용매로, 예를 들어 트리아세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천연감미료는 솜사탕의 단맛을 유지하면서 열량 및 당도를 낮추는 것으로, 자일리톨, 스테비아, 알룰로스 및 아스파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용색소는 솜사탕에 색상을 부여하는 것으로, 적색 색소, 황색 색소, 녹색 색소 또는 청색 색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로에 발효액은 솜사탕의 맛, 색, 조직감, 광택 및 끈적임 성능을 모두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첨가제로 알로에 발효액을 사용함으로써, 솜사탕의 맛, 색, 조직감, 광택 및 끈적임 성능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S3) 상기 헤드를 회전시켜 솜사탕을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은 원심력을 제공하여 용융된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을 헤드의 외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S3) 상기 헤드를 회전시켜 솜사탕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헤드의 회전속도는 1,000 내지 2,000 rpm, 1,200 내지 1,800rpm, 1,300 내지 1,800rpm, 1,400 내지 1,700rpm, 또는 1,500 내지 1,600rpm일 수 있다.
2. 솜사탕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솜사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솜사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솜사탕은 솜사탕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지지부재와 연결됨으로써, 판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는 용기 또는 막대기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조준비예 1: 알로에 발효액의 제조]
채취한 알로에 생잎을 물로 세척한 후, 제피 및 마쇄 단계를 거쳐 알로에 겔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알로에 겔 20 중량% 및 정제수 80 중량%로 이루어진 알로에 현탁액을 배양조에 투입한 후, 120℃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였다. 이후 온도를 25℃까지 냉각(급랭)하여 알로에 배지를 제조하였다. Sigma-Aldrich社의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을 종균(전배양액)으로 사용하기 위해, 온도 30℃, Shaking Rate=120RPM에서 4일간 배양하여 종균(전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알로에 배지에 대하여, 상기 전배양액(종균)을 8 중량%를 접종하였다. 영지버섯균이 접종된 알로에 배지를 최적조건(온도: 30℃, Shaking Rate=120 RPM)에서 8일 동안 배양 및 발효시켜 알로에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솜사탕의 제조]
<실시예 1: 구연산이 함유된 솜사탕의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솜사탕의 제조방법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솜사탕의 제조방법은 하기 a 내지 c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단계: 솜사탕 제조장치 예열단계;
금강월드시스템社의 솜사탕 제조장치를 150℃가 될 때까지 예열하였다.
b 단계: 상기 예열된 솜사탕 제조장치의 헤드에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
평균 직경이 0.4mm 내지 0.6mm인 쌍백당 100 중량부(100g), 가공유지(쇼트닝) 15 중량부(15g), 우유 향료 1 중량부(1g) 및 구연산 1 중량부(1g)로 이루어진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을 상기 예열된 솜사탕 제조장치의 헤드에 첨가하였다. 여기서 상기 쌍백당의 평균 직경은 체를 이용하여 조절되었다.
c 단계: 상기 헤드를 회전하여 솜사탕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헤드를 1,500rpm의 속도로 회전시켜 솜사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달리 설탕의 종류가 상이한 경우>
평균 직경이 0.4 내지 0.6mm인 쌍백당 대신, 평균 직경이 0.1 내지 0.3mm인 정백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솜사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달리 설탕의 종류가 상이한 경우>
평균 직경이 0.4 내지 0.6mm인 쌍백당 대신, 평균 직경이 0.7 내지 0.9mm인 사탕수수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솜사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알로에 발효액이 추가적으로 첨가된 경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솜사탕을 제조하되, 상기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에 알로에 발효액 0.5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첨가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달리 구연산이 제외된 경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솜사탕을 제조하되, 상기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에서 구연산을 제외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달리 구연산이 최적의 함량보다 적게 함유된 솜사탕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솜사탕을 제조하되, 상기 구연산의 함량을 0.3 중량부로 변경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달리 구연산이 최적의 함량보다 과량 함유된 솜사탕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솜사탕을 제조하되, 상기 구연산의 함량을 2.0 중량부로 변경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달리 가공유지가 제외된 경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솜사탕을 제조하되, 상기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에서 가공유지를 제외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달리 우유 향료가 제외된 경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솜사탕을 제조하되, 상기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에서 우유 향료를 제외하였다.
단위: 중량부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의 함량 설탕의 평균 직경(mm)
설탕 가공유지 우유 향료 구연산 첨가제
실시예 1 100(쌍백당) 15 1 1 - 0.4 내지 0.6
실시예 2 100(정백당) 15 1 1 - 0.1 내지 0.3
실시예 3 100(사탕수수당) 15 1 1 - 0.7 내지 0.9
실시예 4 100(쌍백당) 15 1 1 0.5(제조준비예1) 0.4 내지 0.6
비교예 1 100(쌍백당) 15 1 - - 0.4 내지 0.6
비교예 2 100(쌍백당) 15 1 0.3 - 0.4 내지 0.6
비교예 3 100(쌍백당) 15 1 2.0 - 0.4 내지 0.6
비교예 4 100(쌍백당) - 1 1 - 0.4 내지 0.6
비교예 5 100(쌍백당) 15 - 1 - 0.4 내지 0.6
[실험예 1: 솜사탕의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5의 방법을 이용하여 동일한 부피로 제조된 솜사탕을 관능평가하였다. 훈련된 패널요원 18명을 선발하여 솜사탕의 맛, 색, 조직감, 광택, 끈적임,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관능평가로는 10점 척도법을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관능평가 항목에 대한 수치는 패널요원들의 점수의 총합을 요원 수로 나눈 후 소수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며, 그 수치가 높을수록 성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한편, 끈적임의 경우 수치가 높을수록 끈적임이 적음을 의미한다.
구분
(단위:점)
조직감 광택 끈적임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 1 8 8 8 8 8 8
실시예 2 6 6 9 9 8 7
실시예 3 6 6 9 9 8 7
실시예 4 10 10 10 9 10 10
비교예 1 5 8 7 7 6 6
비교예 2 6 8 6 6 5 6
비교예 3 6 8 6 6 5 6
비교예 4 8 8 5 5 5 6
비교예 5 5 6 8 8 8 5
상기 표 2에서 구연산의 첨가 유무 관점에서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비교하면,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실시예 1은 구연산이 포함되지 않는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비교예 1 대비, 솜사탕의 맛 성능이 우수하며, 끈적임이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연산의 함량 관점에서 실시예 1과 비교예 2 및 3을 비교하면, 설탕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구연산의 함량이 0.5 내지 1.5 중량부일 때, 솜사탕의 맛과 조직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광택과 끈적임 성능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만약 구연산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솜사탕의 맛이 떨어지며, 광택과 끈적임 성능도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가공유지와 구연산의 조합 관점에서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4를 비교하면, 가공유지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는 조직감이 매우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광택과 끈적임 성능도 떨어졌고, 구연산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솜사탕의 맛 성능이 떨어졌고 끈적임도 컸다. 반면에, 실시예 1은 구연산과 가공유지의 조합으로 인해 솜사탕의 맛 성능이 우수함과 동시에 끈적임이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알로에 발효액의 첨가 유무 관점에서 실시예 1 및 4를 서로 비교하면, 알로에 발효액이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에 첨가됨으로써, 솜사탕의 맛, 색, 조직감, 광택 및 끈적임 성능이 모두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솜사탕의 밀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의 방법으로 제조된 솜사탕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솜사탕의 부피는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솜사탕을 압축하였다. 압축된 솜사탕에 동일한 압력으로 나이프를 가하여, 나이프가 압축된 솜사탕을 쉽게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각 솜사탕의 밀도를 비교하였다. 밀도는 솜사탕의 부피와 질량을 측정한 후 계산되었으며, 하기 표 3에서 실시예 1로 제조된 솜사탕의 밀도를 기준으로 각 솜사탕의 밀도를 상대 값으로 나타냈다.
구분 밀도(Index)
실시예 1 1(기준)
실시예 2 0.91
실시예 3 0.95
실시예 4 0.99
비교예 1 0.78
비교예 2 0.81
비교예 3 0.83
비교예 4 0.60
비교예 5 0.80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 내지 5 대비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직감이 보다 치밀한 솜사탕이 구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설탕의 종류에 따른 솜사탕의 제조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방법으로 솜사탕을 제조하는 과정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훈련된 솜사탕 제조요원을 선발하여 제조 과정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솜사탕 제조장치의 내부에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이 눌러 붙는지 여부 등 솜사탕 제조장치의 오염 정도 및 솜사탕의 제조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예열 온도, 제조장치, 제조 시 주변 환경의 온도 및 습도 등의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1) 솜사탕 제조장치 오염 여부
솜사탕 제조장치가 오염되지 않을 경우 X, 오염물이 헤드에 눌러 붙지는 않지만 오염의 정도가 미세할 경우 △, 오염물이 헤드에 눌러 붙는 경우 O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2) 제조 용이성
하나의 솜사탕을 제조하는 시간이 1분 이하일 경우 O, 1분 초과 3분 이하일 경우 △로, 3분을 초과할 경우 X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구분 솜사탕 제조장치 오염 여부 제조 용이성
실시예 1 X O
실시예 2 O
실시예 3 X
실시예 4 X O
상기 표 4에서 설탕의 종류 관점에서 실시예 1 내지 4를 서로 비교하면, 설탕으로 쌍백당을 사용한 실시예 1 및 4는, 정백당 또는 사탕수수당을 이용한 실시예 2 및 3보다 솜사탕 제조장치의 오염 여부가 없고 솜사탕의 제조시간이 매우 짧아지는 효과를 구현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설탕의 평균 직경이 0.4 내지 0.6mm이거나 쌍백당을 사용할 때, 솜사탕 제조장치의 내부에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이 눌러 붙지 않으며, 솜사탕의 제조시간이 더욱 짧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솜사탕 제조장치를 에열하는 단계
b: 예열된 솜사탕 제조장치의 헤드에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헤드를 회전하여 솜사탕을 제조하는 단계

Claims (10)

  1. (S1) 솜사탕 제조장치를 120 내지 180℃로 예열하는 단계;
    (S2) 상기 예열된 솜사탕 제조장치의 헤드에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S3) 상기 헤드를 회전시켜 솜사탕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솜사탕 제조용 조성물은,
    평균 직경 0.4 내지 0.6mm인 쌍백당 100 중량부,
    식물성 유지, 동물성 유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가공유지 15 중량부
    우유 향료 1 중량부 및
    구연산 1 중량부 및
    알로에 발효액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따른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솜사탕.
KR1020230011365A 2023-01-30 2023-01-30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솜사탕 KR102568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365A KR102568653B1 (ko) 2023-01-30 2023-01-30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솜사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365A KR102568653B1 (ko) 2023-01-30 2023-01-30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솜사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653B1 true KR102568653B1 (ko) 2023-08-18

Family

ID=8780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1365A KR102568653B1 (ko) 2023-01-30 2023-01-30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솜사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6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3448A (ja) * 1983-04-08 1984-11-17 Meiji Seika Kaisha Ltd 綿菓子製造装置
KR20030012209A (ko) * 2001-07-31 2003-02-12 김성종 솜사탕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10025517A (ko) * 2009-09-04 2011-03-10 이진모 탄산캔디가 함유된 솜사탕의 제조방법
KR20190000741A (ko) * 2017-06-24 2019-01-03 김도희 과일과 채소를 활용한 솜사탕
KR20220118257A (ko) * 2021-02-18 2022-08-25 이충열 기능성 식품 분말이 함유된 솜사탕 제조용 분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3448A (ja) * 1983-04-08 1984-11-17 Meiji Seika Kaisha Ltd 綿菓子製造装置
KR20030012209A (ko) * 2001-07-31 2003-02-12 김성종 솜사탕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10025517A (ko) * 2009-09-04 2011-03-10 이진모 탄산캔디가 함유된 솜사탕의 제조방법
KR20190000741A (ko) * 2017-06-24 2019-01-03 김도희 과일과 채소를 활용한 솜사탕
KR20220118257A (ko) * 2021-02-18 2022-08-25 이충열 기능성 식품 분말이 함유된 솜사탕 제조용 분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4056A (zh) 三层充气凝胶软糖
CN102224878A (zh) 一种刺梨果糕及其制备方法
CN108719555A (zh) 一种蓝莓凝胶夹心糖果及其制备方法
KR100888918B1 (ko) 딸기의 폴리페놀물질 함량이 증대된 농축액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CN105647760B (zh) 蓝莓果酒的制备方法
CN106381252A (zh) 一种补血野草莓葡萄起泡酒及其制备方法
KR102269917B1 (ko) 단감잎차 및 단감 착즙액을 포함하는 2차 발효에 의한 감잎 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2568653B1 (ko) 구연산을 포함하는 솜사탕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솜사탕
CN110004011B (zh) 一种固液发酵结合的桑葚酒配方及制作方法
CN106434093A (zh) 一种养胃野草莓葡萄起泡酒及其制备方法
KR101905032B1 (ko) 밀크 딸기잼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782012B1 (ko) 블랙 초크베리를 이용한 빙수의 제조방법
KR101725991B1 (ko) 딸기와인의 제조방법
CN107836494A (zh) 一种百香果发酵果酱冰皮月饼及其制备方法
KR102226819B1 (ko) 겔형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403319A (zh) 一种无糖气泡水的制备方法
CN106381249A (zh) 一种滋阴野草莓葡萄起泡酒及其制备方法
KR100526393B1 (ko) 감 과실주의 제조방법
CN106417760A (zh) 一种发酵水果味茶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379099B1 (ko) 쌀물엿을 함유한 토마토쨈의 제조방법
RU2464811C1 (ru) Мармелад ягодный пластовый
KR100500437B1 (ko) 차엿 제조방법
CN114982940B (zh) 一种高益生活性的柿果胶、软糖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776794B1 (ko) 무당 발효 초콜릿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5927B1 (ko) 조청이 첨가된 막걸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