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078B1 -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078B1
KR102568078B1 KR1020160041576A KR20160041576A KR102568078B1 KR 102568078 B1 KR102568078 B1 KR 102568078B1 KR 1020160041576 A KR1020160041576 A KR 1020160041576A KR 20160041576 A KR20160041576 A KR 20160041576A KR 102568078 B1 KR102568078 B1 KR 102568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ness
drying
drying drum
set tim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518A (ko
Inventor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078B1/ko
Priority to US16/091,025 priority patent/US10718083B2/en
Priority to PCT/KR2017/001731 priority patent/WO2017175969A1/ko
Publication of KR2017011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건조 시작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건조 드럼 및 건조 팬이 정회전하는 단계; 건조 드럼 내부로 열풍이 공급되는 단계; 타이머가 작동하여 건조 시간이 적산되는 단계; 및 건조도 센서가 작동하여 세탁물의 건조도가 감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건조 시작 후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건조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건조도 센싱값(K)이 제 1 설정값(k1) 이상이면, 포말림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제어부에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건조 드럼이 제 2 설정 시간(T2) 동안 역회전하는 1차 포풀기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건조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럼 방식의 건조기는 세탁물 건조를 위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드럼 내부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한다. 드럼 내부에 침대 시트와 같은 면적이 넓고 가벼운 세탁물이 포함된 경우, 건조 과정에서 면적이 큰 세탁물이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세탁물을 감싸는 포말림 현상, 일명 산타백(Santa Bag)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산타백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드럼 내부에 장착된 건조도 감지 센서에서 세탁물의 건조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다시 말하면, 건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산타백 현상에 의하여, 부피가 작은 세탁물을 감싸고 있는 세탁물의 건조도만 감지될 수 있다. 그러면, 세탁물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건조기의 제어부에서 건조 완료 시점에 가까워졌다고 오판할 수 있다.
한편, 아래 선행 기술 문헌을 포함하는 종래의 세탁물 처리 장치는, 상기와 같은 포말림 현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건조 드럼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도록 제어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조 과정에서 건조 드럼이 주기적으로 정역회전을 반복하면, 특정 부하 조건에서 높은 확률로 발생하는 포말림 현상을 막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포말림 현상이 일단 발생하면, 기존의 역회전 시간으로는 포말림 현상이 개선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조 드럼의 빈번한 역회전은 건도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풍량이 감소하여 건조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야기한다. 예컨대, 건조 드럼이 구동 모터의 일측 회전축에 풀리와 벨트에 의하여 연결되고, 구동 모터의 타측 회전축에 건조 팬이 장착된 건조기의 경우, 구동 모터가 역회전할 때 건조팬이 역회전하여 열풍이 건조 드럼 내부로 공급되지 못하거나, 공급되는 열풍의 양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31865호(2010년3월2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건조 시작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건조 드럼 및 건조 팬이 정회전하는 단계; 건조 드럼 내부로 열풍이 공급되는 단계; 타이머가 작동하여 건조 시간이 적산되는 단계; 및 건조도 센서가 작동하여 세탁물의 건조도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세탁물의 건조도 센싱값에 기초하여 포말림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건조 드럼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포풀기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고, 건조 시작 후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하기 전에, 제 1 판단 요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1차 포말림 감지 및 포풀기 단계; 및 상기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제 1 판단 요건과 다른 제 2 판단 요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2차 포말림 감지 및 포풀기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1차 포풀기 단계는, 상기 건조 드럼이 제 2 설정 시간(T2) 동안 역회전하는 단계이고, 상기 2차 포풀기 단계는, 상기 건조 드럼이 제 3 설정 시간(T3) 동안 역회전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 1 판단 요건은, 건조 시작 후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건조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건조도 센싱값(K)이 제 1 설정값(k1) 이상인지 여부이고, 상기 제 2 판단 요건은, 특정 구간에서의 건조도 센싱값 변화율(H)이 설정값(h)보다 큰지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세탁물 건조를 위하여 건조 드럼을 주기적으로 정역회전 하지 않고, 세탁물 말림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만 역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건조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포말림 현상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이 두 번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포말림 초기에 포말림 해제를 위한 건조 드럼 역회전 동작이 수행되므로, 포말림으로 인한 건조 효율 저하 및 옷감 손상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잇다.
셋째, 주기적으로 건조 드럼을 정역회전 하는 것이 아니라, 포말림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만 역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건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의 역회전을 위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건조 드럼의 역회전 횟수가 현저히 감소하므로, 건조 드럼의 회전 방향 전환을 위하여 필요한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건조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포말림 현상을 감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감지 수단이 장착될 필요없이, 건조 드럼 내부에 장착된 건조도 감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추가 비용이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어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5는 건조 초기에 1차 포말림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건조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2차 포말림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와 정상 건조 상태에서의 건조도 변화를 케이스 별로 보여주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되었을 때의 건조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 이하에서는 히트펌프식 의류 건조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히트펌프식 의류 건조기 뿐만 아니라 건조 드럼을 이용하는 모든 건조기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 즉 의류 건조기(10)는, 내부에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건조 드럼(11)과, 상기 건조 드럼(11)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건조도 감지 센서(116)와, 상기 건조 드럼(11)의 전면부를 지지하는 프런트 캐비닛(12)과, 상기 프런트 캐비닛(12)의 바닥부에 장착되는 차단 부재(blocking member)(14)와, 상기 건조 드럼(11)의 후면부를 지지하는 리어 캐비닛(13)과, 상기 건조 드럼(11)의 하측에 제공되는 린트 필터 세척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건조도 감지 센서(116)는 건조 드럼(11) 내부에서 회전하는 세탁물과 접촉하여 발생하는 전위값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건조도를 감지하는 전극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도 감지 센서(116)는 세탁물과 접촉이 가능한 상기 건조 드럼(11)의 내주면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도 감지 센서(116)는 드럼의 전단부, 후면부, 전단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는 몸체부의 내주면 중 어느 위치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의류 건조기(10)는, 상기 건조 드럼(11)으로 공급될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덕트(21)와, 상기 흡입 덕트(21)와 상기 건조 드럼(11)의 배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홀을 연결하는 리어 덕트(19)와, 상기 프런트 캐비닛(12)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 드럼(11)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덕트(15)와, 상기 가이드 상기 가이드 덕트(15)의 출구단에 연결되는 송풍 장치(16)와, 상기 송풍 장치(16)의 출구단에 연결되는 배기 덕트(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 필터 세척 장치(30)는 상기 배기 덕트(20)의 어느 지점에 장착되어, 상기 배기 덕트(20)를 따라 흐르는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가 상기 린트 필터 세척 장치(30)에 구비된 린트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하면서 걸러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프런트 캐비닛(12)과 리어 캐비닛(13) 사이에는 미들 캐비닛(미도시)이 제공되어, 상기 건조 드럼(11) 및 상기 건조 드럼(11)의 하측에 배치되는 각종 부품을 덮어서 보호한다. 상기 미들 캐비닛은 상기 의류 건조기(10)의 양 측면과 상면을 정의하며, 상기 미들 캐비닛의 저면에는 상기 의류 건조기(10)의 바닥부를 정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1)가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 상에 상기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부재(14)는, 건조 과정에서 건조 대상물에 들어 있던 이물질, 예를 들어 동전, 볼펜 등과 같이 부피가 크고 딱딱한 형태의 이물질이 상기 가이드 덕트(15)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은 상기 가이드 덕트(15)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린트 필터 세척 장치(30)에 장착된 린트 필터 어셈블리(후술함)에서 걸러지고, 그 외의 이물질, 즉 부피가 있는 경질의 이물질은 상기 차단 부재(14)에서 차단되어 상기 건조 드럼(11)에 남게 된다. 만일, 보푸라기 이외의 물질이 상기 가이드 덕트(15)로 빨려들어갈 경우, 상기 송풍 장치(16)가 파손되거나, 배기 덕트(20) 내부에서 달그락거리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차단 부재(14)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이 상기 건조 드럼(11)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 부재(14)는 상기 프런트 캐비닛(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린트 필터 세척 장치(30)에는 세척수 공급관(17)과 세척수 배수관(18)이 연결된다. 상기 세척수 공급관(17)의 입구단은 상기 리어 캐비닛(13)에 장착되고, 외부 급수원(1)으로부터 연결되는 물공급 관(2)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공급관(17)의 출구단은 상기 린트 필터 세척 장치(30)의 제어 밸브(35)의 유입 포트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배수관(18)의 입구단은 상기 린트 필터 세척 장치(30)의 배수 펌프 어셈블리(미도시)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송풍 장치(16)는, 팬모터(161)와, 상기 팬모터(16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송풍팬(162)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162)은 상기 가이드 덕트(15)의 출구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 드럼(11)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 덕트(15)로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 덕트(20)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조 드럼(11)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미도시)가 상기 팬모터(161)와 별도로 제공되는 구조로 제시되었으나, 하나의 구동 모터가 상기 건조 드럼과 상기 송풍팬(162)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한편, 배기식 건조기의 경우 상기 흡입 덕트(21) 입구부에 가스 연소 장치가 구비되어, 흡입 덕트(21)로 흡입되는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한다. 그리고, 전기식 건조기의 경우 상기 리어 덕트(19) 내부에 전기 히터가 장착되어, 상기 흡입 덕트(21)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건조 드럼(11) 내부로 유입되기 전에 고온으로 가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의류 건조기(10)의 건조 과정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프런트 캐비닛(12)에 구비된 투입홀(121)을 통하여 상기 건조 드럼(11) 내부로 건조 대상물을 투입한다. 그리고, 건조 시작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송풍 장치(16)가 작동하고, 상기 건조 드럼(11)이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덕트(21)로 유입되는 공기가 가스 연소 장치 또는 전기 히터에 의하여 고온으로 가열된다. 그리고,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는 상기 리어 덕트(19)를 따라 상기 건조 드럼(11)의 후면을 통하여 건조 드럼(11)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 드럼(11) 내부로 유입되는 고온 건조한 공기는 상기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면서 고온 다습한 상태로 변한다. 그리고, 고온 다습한 공기는 건조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보푸라기를 함유한 상태로 상기 차단 부재(14)를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 덕트(15)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덕트(15)로 안내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송풍 장치(16)에 의하여 상기 배기 덕트(20)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덕트(20)로 안내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린트 필터 세척 장치(30)를 통과하면서 린트 필터 어셈블리에 의하여 부푸라기가 걸러진다. 그리고, 상기 린트 필터 세척 장치(30)가 작동하여 상기 린트 필터 어셈블리에 부착된 보푸라기가 떨어져서 세척수와 함께 배수 펌프 어셈블리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린트 필터 세척 장치(30)는, 히트 펌프를 이용한 순환식 건조기에도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히트 펌프를 이용한 순환식 건조기는, 캐비닛 내부에 히트 펌프 사이클이 장착되고, 상기 건조 드럼(11)을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상기 히트 펌프 사이클의 증발기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저온 건조한 상태로 변한 공기가 상기 히트 펌프 사이클의 응축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고온 건조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고온 건조한 공기는 공기 덕트를 따라 상기 건조 드럼(11)의 배면을 통하여 상기 건조 드럼(1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로 연결되는 습공기 유로의 어느 지점에 상기 린트 필터 세척 장치(30)가 장착되어, 상기 건조 드럼(11)을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기 전에 상기 린트 필터 세척 장치(30)를 통과하면서 보푸라기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상기 린트 필터 어셈블리에서 걸러진다. 그리고, 상기 건조 드럼(11)을 통과한 습증기에 포함된 증기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된다. 그리고, 응축되는 물은 상기 린트 필터 세척 장치(30)의 배수 펌프 어셈블리로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린트 필터 어셈블리 세척을 위하여 제공되는 물 뿐만 아니라,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되는 물도 상기 배수 펌프 어셈블리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린트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공기 중에는 미세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이물질은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붙을 수 있다. 즉, 증발기의 배관 및 냉각 핀에 미세한 보푸라기가 묻을 수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증발기 세척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증발기 표면에 부착된 보푸라기를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세척에 사용되는 물도 상기 린트 필터 어셈블리의 배수 펌프 어셈블리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어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 즉 의류 건조기(10)는, 제어부(100), 입력부(110), 표시부(111), 음향 출력부(112), 구동 제어부(113), 건조도 감지 센서(116), 포량 감지 센서(117), 타이머(118), 메모리(1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건조기(10)는, 상기 구동 제어부(113)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는 구동 모터(114) 및 건조팬(1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14)는 상기 건조 드럼(11)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건조팬(162)을 회전시키는 팬모터(1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입력부(110)는 건조 조건 및 건조 시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누름 버튼, 터치 버튼, 또는 조그 셔틀과 같은 회전식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11)는, 운전 조건 또는 건조 상태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12)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출력부(112)를 통하여 건조 시작, 건조 완료를 알리는 알림음 또는 건조 도중 에러 발생을 알리는 경고음이 출력된다.
상기 구동 제어부(113)는 상기 구동 모터(114)의 동작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I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량 감지 센서(117)는, 상기 건조 드럼(11)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 감지 센서로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포말림 현상 감지및 포풀기을 위한 제어 방법에 대하여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포말림 감지 및 포풀기을 위한 제어 방법은, 두 번에 걸쳐서 포말림 현상을 감지 및 포풀기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건조 시작 이후 설정 시간 이내에 포말림 현상이 발생하는지를 감지하는 1차 감지 행정(A)과, 1차 감지 행정(A) 이후부터 건조 완료 시점 사이에 포말림 현상이 발생하는지를 감지하는 2차 감지 행정(B)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1차 감지 행정(A)과 2차 감지 행정(B)은 각각 한 번씩만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정 시간 내에 감지 조건을 만족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포풀기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경우, 건조 시간이 지연되거나 건조 효율이 오히려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먼저, 탈수 과정을 마친 덜마른 세탁물이 상기 건조 드럼(11) 내부로 투입된다. 그리고, 건조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구동 모터(114)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구동 모터(114)가 제 1 방향으로 정회전한다(S10). 상기 구동 모터(114)의 회전에 의하여 건조 드럼(11) 및 건조팬(162)이 회전하고(S20), 건조 드럼(11) 내부로 열풍이 공급된다(S30). 그리고, 건조 시간 측정을 위하여 타이머가 작동하고, 세탁물의 건조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건조도 감지 센서가 작동한다(S40).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에서는 상기 건조 드럼(11)의 역회전 회수를 0으로 세팅한다(S50). 건조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구동 모터가 정회전하는 과정부터 상기 건조 드럼의 역회전 회수가 0으로 세팅되는 일련의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 시작 시점으로부터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되고(S60),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 1차 포말림 감지 조건이 발생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서, 포말림 조건이 발생하면 포풀기을 위하여 건조 드럼(11)이 설정 시간동안 역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포말림 감지 과정은 1회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포말림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전에 건조 드럼이 역회전하는 포풀기 과정이 이전에 수행된 적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한다. 즉, 건조 드럼 역회전수(N)가 1회 이상인지 여부가 제어부에서 판단된다(S61). 여기서, 건조 드럼의 역회전수는, 건조 드럼의 분당 역회전수(rpm)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건조 드럼이 정회전 상태에서 역회전 상태로 회전 조건이 변경되는 횟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다시 말하면, 건조 드럼의 역회전 수가 1이라는 것은, 건조 드럼이 정회전 상태에서 역회전 상태로 바뀌는 상황이 1회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포말림 현상이 감지되어 포풀기 과정이 1회 수행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건조 드럼의 역회전수(N)가 1 이상인 경우는,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할 때가지 더이상 포말림 현상 발생 여부를 위한 감지 과정이 수행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제 1 설정 시간(T1) 내에 포말림 감지 및 포풀기 과정이 한 번 수행된 이후에는,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 건조 드럼(11)은 정회전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건도 드럼의 역회전수(N)가 0인 경우, 즉 포풀기 과정이 한번도 수행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건조도 센서(116)에서 감지된 건조도 값을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에서는 수신된 건조도 센싱값(K)이 설정값(k1)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62). 상기 제 1 설정 시간(T1)은 1500초(25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도 센싱값(K)이 설정값(k1)을 넘어서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1차 포말림 감지 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도 센싱값은 상기 건조도 센서(116)가 세탁물과 접촉하였을 때 발생하는 전극 전압(V)값을 무차원값(Non-dimensional value)으로 환산한 값으로 정의된다. 옷감의 잔여 수분 함량(RMC:Remaining Moisture Contents) 또는 최종 수분 함량(FMC:Final Moisture Contents)이 적을수록 상기 건조도 센서(116)에서 감지되는 전극 전압은 높다. 그리고, 상기 전극 전압값에 대응하는 건조도 센싱 값도 높다. 따라서, 아래 표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건조 완료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건조도 센싱값은 점점 증가하게 된다.
건조도 센싱값(K) 전극 전압(V) 옷감 잔여수분 함량(RMC)(%)
57 1.12 60
75 1.47 53.5
100 1.96 44.5
150 2.94 26.4
210 4.12 4.7
223 4.37 0
또한, 상기 설정값(k1)은, 일례로서 80 ~ 110 범위 내의 값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90 ~ 100일 수 있다.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설정값(k1)은 90일 수 있다.
따라서, 건조 시작 후 제 1 설정 시간(T1)(25분) 내에 건조도 센싱값이 90이상으로 감지되면, 포말림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세히, 침대 시트와 같은 포가 다른 세탁물을 감싸고 있는 포말림(Santa Bag) 상태에서는, 상기 건조도 센서(116)는 상기 침대 시트와 접촉하여 상기 침대 시트의 건조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침대 시트와 같은 두께가 얇은 옷감의 경우 건조가 상대적으로 빨리 이루어져서 건조도값이 높게 감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침대 시트 속에 있는 다른 세탁물들은 건조가 전혀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설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건조도 값이 높게 감지되는 경우에는 포말림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제어부에서 판단하게 된다.
한편, 1차 포말림 감지 단계(S62)에서 건조도 센싱값(K)이 설정값(k1) 이상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1차 푸풀기 과정이 수행된다. 즉, 상기 건조 드럼(11)이 제 2 설정 시간(T2) 동안 역회전하고, 제 2 설정 시간(T2)이 경과하면 다시 정회전 상태로 전환된다(S63 ~ S65). 이와 함께 상기 건조 드럼의 역회전수(N)는 1이 된다(S66).
한편,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하면, 상기 건조 드럼의 역회전 회수(N)는 0으로 리셋된다(S70). 만일, 상기 제 1 설정시간(T1) 내에 포풀기 과정이 수행되었으면 상기 건조 드럼의 역회전 회수(N)는 1에서 0으로 리셋되고, 상기 제 1 설정 시간(T1) 내에 포풀기 과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건조 드럼의 역회전 회수(N)는 0으로 유지된다.
또한,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하면 상기 건조도 센서(116)에서 감지되는 건조도 값을 이용하여 건조가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80).
상세히, 상기 건조도 센서(116)에서 감지되는 건조도 센싱 값이 제 2 설정값(k2)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80). 상기 제 2 설정값(k2)은 건조 완료로 판단되는 건조도 값으로서 220 이상의 값일 수 있다.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건조도 센싱 값이 220을 넘어서면 세탁물에 남아 있는 수분 함량이 0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설정값(k2)은 220보다 큰 값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센서(116)에서 감지된 전극 전압을 무차원수로 환산한 건조도 센싱 값이 제 2 설정값(k2)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건조 과정이 종료된다. 즉, 상기 구동 모터, 건조 드럼, 및 건조팬의 동작이 정지하고, 열풍 공급이 중단된다.
반면, 상기 건조도 센싱값(K1)이 제 2 설정값(k2)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2차 포말림 감지 과정이 수행된다.
상세히, 2차 포말림 감지 과정이 수행되기 전에, 건조 드럼 역회전 수(N)가 1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81). 이는, 1차 포말림 감지 과정이 수행되는 제 1 설정 시간 (T1) 경과 이후에, 건조 드럼이 역회전하는 2차 포풀기 과정이 이미 수행된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즉, 2차 포말림 감지 및 포풀기 과정도 1회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욱 상세히, 건조 드럼의 역회전 횟수(N)가 1인 경우는, 2차 포말림 감지 과정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건조도 센싱값이 건조 완료에 해당하는 제 2 설정값(k2)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 드럼(11)의 정회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반면, 건조 드럼의 역회전 회수(N)가 1 미만인 경우, 즉 2차 포말림 감지 과정이 이전에 수행된 적이 없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건조도 센서(116)로부터 건조도값을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건조도 센싱값을 이용하여 건조도 센싱값 변화율(H)을 산출한다.
상기 건조도 센싱값 변화율(H)은, 단위 시간당 건조도 값의 변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례로서 150초 동안 건조도 센싱값이 100에서 150으로 증가하는 경우의 변화율이 설정값(h)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설정값(h)은 건조도 그래프의 기울기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도 센싱값 변화율(H)이 설정값(h)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되고(S82), 설정값(h) 이상인 경우, 포말림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건조도 센싱값 변화율(H)이 설정값(h)보다 크다는 것은, 단시간에 건조도 값이 급격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곧 면적이 넓고 가벼운 포가 다른 세탁물을 감싸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는, 건조 드럼이(11)이 제 3 설정 시간(T3) 동안 역회전한 뒤 정회전 상태로 변환되는 2차 포풀기 과정(S83 ~ S85)이 수행된다. 그리고, 2차 포풀기 과정이 완료되면 건조 드럼의 역회전수(N)는 1로 증가하고, 건조 완료 시점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0)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상기 제 2 및 제 3 설정 시간(T2,T3)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고, 동일하게 설정될 경우 120초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2 설정 시간(T2)과 제 3 설정 시간(T3)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건조 중반 이전에 1차 포말림 감지 과정이 1회 수행되고, 건조 후반에 2차 포말림 감지 과정이 1회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드럼의 정역회전이 주기적으로 반복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도 5는 건조 초기에 1차 포말림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건조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건조 시작 이후 1500초가 경과되기 전, 구체적으로 800초와 1000초 사이에 건조도 센싱값이 갑자기 90을 초과하는 현상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 초중반에 포말림 현상이 발생하여, 건조도 센싱값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1차 포풀기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6은 2차 포말림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와 정상 건조 상태에서의 건조도 변화를 케이스 별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건조 중반 이후에 케이스 1과 케이스 4의 건조도 그래프를 보면, 건조도 센싱 값이 100에서 150으로 증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150초가 걸리지 않는 구간, 즉 건조도 그래프의 기울기가 가파르게 형성되는 구간이 발생하였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 중반 이후에 포말림 현상이 재차 발생하여, 건조도 센싱값이 급격히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2차 포풀기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케이스 2와 케이스 3의 그래프를 보면, 건조도값이 100에서 150으로 증가하는 구간에서는 건조도 센싱값 변화율(기울기)이 급격히 증가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건조도 값이 100에서 150으로 증가하는데 150초 보다 더 긴 시간이 걸린 것으로 해석되므로, 포풀기 과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되었을 때의 건조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의 (a)는, 개선 전과 개선 후,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되기 전과 후의 세탁물의 최종 수분 함량(FMC)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개선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하여 설정된 건조 조건은 아래 표와 같다.
구성 무게(g)
cotton cup 2.5kg 시트 1070
베게 157
아동용 청바지 342
성인용 청바지 767
타월 1 77
타월 2 77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최종 수분 ?t량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의 (b)는 개선 전과 개선 후의 건조 소비 에너지량을 비교한 그래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에너지 소비량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의 (c)는 개선 전과 개선 후의 건조 시간을 비교한 그래프로서, 본 발며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건조 시간이 단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건조 시작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건조 드럼 및 건조 팬이 정회전하는 단계;
    건조 드럼 내부로 열풍이 공급되는 단계;
    타이머가 작동하여 건조 시간이 적산되는 단계; 및
    건조도 센서가 작동하여 세탁물의 건조도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세탁물의 건조도 센싱값에 기초하여 포말림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건조 드럼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포풀기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건조 시작 후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하기 전에, 제 1 판단 요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1차 포말림 감지 및 포풀기 단계; 및
    상기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제 1 판단 요건과 다른 제 2 판단 요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2차 포말림 감지 및 포풀기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1차 포풀기 단계는,
    상기 건조 드럼이 제 2 설정 시간(T2) 동안 역회전하는 단계이고,
    상기 2차 포풀기 단계는,
    상기 건조 드럼이 제 3 설정 시간(T3) 동안 역회전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 1 판단 요건은,
    건조 시작 후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건조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건조도 센싱값(K)이 제 1 설정값(k1) 이상인지 여부이고,
    상기 제 2 판단 요건은,
    특정 구간에서의 건조도 센싱값 변화율(H)이 설정값(h)보다 큰지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정 시간(T2)이 경과하면 상기 건조 드럼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어, 상기 건조 드럼이 정회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포풀기 단계에서, 상기 건조 드럼의 회전 방향 전환은 1회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한 이후에는,
    상기 건조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건조도 센싱값이 제 2 설정값(k2)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건조 완료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건조도 센싱값이 상기 제 2 설정값(k2)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2차 포말림 감지 및 포풀기 단계의 수행을 위하여, 제어부에서는, 상기 건조도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건조도 센싱값을 이용하여 특정 구간에서의 건조도 센싱값 변화율(H)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도 센싱값 변화율(H)은,
    Figure 112022064477017-pat00001
    이고,
    상기 제2센싱값이 제1센싱값보다 큰 플러스 변화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포말림 감지 단계에서, 상기 건조도 센싱값 변화율(H)이 설정값(h)보다 큰 플러스 변화율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2차 포풀기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포말림 감지 단계에서, 상기 제1센싱값에서 상기 제2센싱값으로 증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설정 시간(t)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2차 포풀기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설정 시간(T3)이 경과하면, 상기 건조 드럼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어, 상기 건조 드럼이 정회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포풀기 단계에서, 상기 건조 드럼의 회전 방향 전환은 1회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정 시간(T2)과 상기 제 3 설정 시간(T3)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정 시간(T2)과 상기 제 3 설정 시간(T3)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 시간(T1)이 경과 후, 상기 건조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건조도 센싱 값이 상기 제 2 설정값(k2)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건조 과정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설정 시간(T3)이 경과하여 상기 건조 드럼의 회전 방향이 정회전으로 전환되면, 상기 건조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건조도 센싱값이 상기 제 2 설정값 이상이 될 때까지 건조 과정은 중단하지 않고 계속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0041576A 2016-04-05 2016-04-05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56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576A KR102568078B1 (ko) 2016-04-05 2016-04-05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US16/091,025 US10718083B2 (en) 2016-04-05 2017-02-16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PCT/KR2017/001731 WO2017175969A1 (ko) 2016-04-05 2017-02-16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576A KR102568078B1 (ko) 2016-04-05 2016-04-05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518A KR20170114518A (ko) 2017-10-16
KR102568078B1 true KR102568078B1 (ko) 2023-08-21

Family

ID=6000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576A KR102568078B1 (ko) 2016-04-05 2016-04-05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18083B2 (ko)
KR (1) KR102568078B1 (ko)
WO (1) WO2017175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078B1 (ko) * 2016-04-05 2023-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200A (ja) * 1999-02-09 2000-08-22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1776A (en) * 1958-09-26 1960-11-29 Gen Electric Clothes dryer with reversible blower
US3309783A (en) * 1964-03-09 1967-03-21 Gen Electric Clothes drying machine having reversing drum drive means
US5555645A (en) * 1993-03-31 1996-09-17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Reversing clothes dryer and method therefor
KR0146928B1 (ko) * 1993-04-30 1998-10-01 김광호 전자동세탁기의 세탁물 건조장치 및 그 방법
JP3093548B2 (ja) * 1993-12-28 2000-10-03 株式会社東芝 衣類乾燥機
JP3159599B2 (ja) * 1994-04-26 2001-04-23 株式会社東芝 乾燥機
JPH10235092A (ja) * 1997-02-21 1998-09-08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KR20060061974A (ko) * 2004-12-0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구김제거장치 및 그 방법
US8104191B2 (en) * 2008-07-31 2012-01-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Laundry dryer providing moisture application during tumbling and reduced airflow
KR101565379B1 (ko) 2008-09-16 201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US8528229B2 (en) * 2009-02-19 2013-09-1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imaging control
KR20120005867A (ko) * 2010-07-09 201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운전방법
KR20120088034A (ko) * 2010-10-19 2012-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세탁장치 및 건조완료 판단방법
EP2540907A1 (en) * 2011-06-29 2013-01-0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Method for operating a tumble dryer
JP2013128632A (ja) * 2011-12-21 2013-07-04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KR20150039630A (ko) * 2013-10-02 201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와 이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1602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696284B (zh) * 2014-12-09 2018-06-05 Lg电子株式会社 烘干机及其控制方法
KR102568078B1 (ko) * 2016-04-05 2023-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200A (ja) * 1999-02-09 2000-08-22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18083B2 (en) 2020-07-21
US20190112753A1 (en) 2019-04-18
KR20170114518A (ko) 2017-10-16
WO2017175969A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789B1 (ko) 의류건조기
JP4439417B2 (ja) 乾燥機
EP2336419B1 (en) Clothes dryer
KR101253151B1 (ko) 건조기의 화재감지 방법
CN106917221B (zh) 衣物烘干机
US20130145642A1 (en) Clothing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752568B2 (ja) 衣類乾燥機
WO2013011606A1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290164B1 (ko)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US8468717B2 (en) Method to detect an end of cycle in a clothes dryer
US1109843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2568078B1 (ko)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208208B1 (ko) 건조기의 히터 제어 방법
KR102127386B1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90844B1 (ko) 건조기의 제어 방법
JP2014033839A (ja) 衣類乾燥機
JP6910771B2 (ja) 衣類乾燥機
JP6466093B2 (ja) 衣類乾燥機
JP7129596B2 (ja) 衣類乾燥機
KR20160070042A (ko) 건조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60069891A (ko) 건조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1169273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자동 건조 제어방법
KR20050041658A (ko) 응축식 의류건조기 및 그 만수위 감지방법
KR101208265B1 (ko) 건조기의 필터 막힘 감지 제어 방법
KR101016817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