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878B1 -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878B1
KR102567878B1 KR1020220126009A KR20220126009A KR102567878B1 KR 102567878 B1 KR102567878 B1 KR 102567878B1 KR 1020220126009 A KR1020220126009 A KR 1020220126009A KR 20220126009 A KR20220126009 A KR 20220126009A KR 102567878 B1 KR102567878 B1 KR 102567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ed product
primary molded
molding
mold
pressur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태
Original Assignee
윤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태 filed Critical 윤영태
Priority to KR1020220126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33Deforming tubular bodies
    • B21D26/047Mould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33Deforming tubular bodies
    • B21D26/037Forming branched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33Deforming tubular bodies
    • B21D26/049Deforming bodies having a clos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각 관체 형상으로 되고 상하부에 천공부가 형성된 1차성형품에서 몸체부와 플랜지부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성형부가 형성된 금형부(1); 금형부(1)의 일측에 설치되어 금형부(1)에 고정된 1차성형품의 일단부를 통해 1차성형품 내부에 고압의 액체를 주입하는 액압주입부(2); 금형부(1)의 타측에 설치되어 금형부(1)에 고정된 1차성형품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액압지지부(3);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와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EGR 쿨러 하우징을 용접 없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접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며, 가공정밀성이 향상됨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 및 품질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Hydroforming molding device for EGR cooler housing molding}
본 발명은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와 플랜지부를 한 번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접 없이도 복잡한 형상의 EGR 쿨러 하우징의 제조가 가능케 하여 제조원가 절감, 생산성 향상 및 품질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산되는 내연기관 자동차에는 엔진의 흡기 계통으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연소 시 최고 온도를 낮춰 질소화합물의 발생을 억제하는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xhaust Gas Recirculation: EGR)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는 자동차의 ECU(전자제어장치)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EGR 밸브, 흡기관과 배기관 사이의 EGR 통로, 연소실로 재순환되는 배기가스 온도를 낮추기 위한 EGR 쿨러로 구성된다.
EGR 쿨러(Exhaust Gas Recirculation Cooler)는 자동차 배기가스를 흡기 계통으로 재순환시키는 과정에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수행하며, EGR 쿨러를 거쳐서 엔진의 흡기 매니폴트를 거쳐 실린더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재연소를 거치게 되면서 배기가스 내부에 있던 질소 산화물(NOx)이 연소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EGR 쿨러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면,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냉각수 유로와 격리되는 방열핀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방열핀 유닛으로 고온의 배기가스가 유동하고, 하우징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게 되며 이 과정에서 냉각수와 배기가스가 열교환을 하여 배기가스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EGR 쿨러의 작동 환경 특성상 EGR 쿨러 하우징은 소형이면서도, 우수한 냉각 성능을 필요로 하며, 배기가스 및 냉각수의 낮은 압력강하, 고온 부식 및 진동과 열충격에 강한 내구성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EGR 쿨러 하우징은 주조 공법에 의한 성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의 특성상 EGR 쿨러는 자동차의 흡기라인과 배기라인에 연결하기 위하여 양측에 플랜지가 필요한데, 주조 공법을 이용한 EGR 쿨러 하우징의 제조 시, 몸체부와 플랜지부를 각각 제조한 후 이를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공정 수 및 공정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주조 공법의 특성상 완성품의 균일한 두께나 치수 정밀도 등을 통한 고강도 및 경량화의 실현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도 있다.
또한 용접 접합된 부분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냉각수가 유동하는 영역과,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영역이 연통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냉각수가 배기가스 유동 영역으로 침투하여 엔진 내부로 유입되면 엔진의 치명적인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특허 제10-1641786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부와 플랜지부를 한 번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접 없이도 복잡한 형상의 EGR 쿨러 하우징의 제조가 가능케 한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는,
다각 관체 형상으로 되고 상하부에 천공부가 형성된 1차성형품에서 몸체부와 플랜지부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성형부가 형성된 금형부(1);
상기 금형부(1)의 일측에 설치되어 금형부(1)에 고정된 1차성형품의 일단부를 통해 1차성형품 내부에 고압의 액체를 주입하는 액압주입부(2);
상기 금형부(1)의 타측에 설치되어 금형부(1)에 고정된 1차성형품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액압지지부(3);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금형부(1)는,
다각 관체 형상으로 되고 상하부에 천공부가 형성된 1차성형품에 대한 2차 성형을 위한 상부성형부(111)가 형성된 상부금형(11);
상기 상부금형(11)과 함께 1차성형품에 대한 2차 성형을 위한 하부성형부(121)가 형성되어 베드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금형(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성형부(111)는,
상기 상부금형(11)의 중앙에 형성되어 액압주입부(2)에서 주입되는 고압의 액체에 의해 1차성형품이 팽창되어 몸체부가 성형되게 하는 제1성형부(111a);
상기 제1성형부(111a)의 양측 단부와 이어지게 형성되어 고압의 액체에 의해 1차성형품이 팽창되어 연결부가 성형되게 하는 제2성형부(111b);
상기 제2성형부(111b)와 이어지게 형성되어 고압의 액체에 의해 1차성형품이 팽창되어 플랜지부가 성형되게 하는 제3성형부(111c);
상기 제3성형부(111c)와 이어지게 형성되어 고압의 액체에 의해 1차성형품이 팽창되어 절단제거부가 성형되게 하는 제4성형부(111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금형부(1)는,
상기 상부금형(11)과 하부금형(12)에 각각 설치되어 1차성형품의 성형을 위한 가열을 수행하는 가열수단(13);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수단(13)은,
상기 상부금형(11)과 하부금형(12)의 내부에 각각 매립 설치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부금형(11)의 상부성형부(111) 주변과, 하부금형(12)의 하부성형부(121) 주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는 가열부재(131);
상기 상부금형(11)과 하부금형(12)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가열부재(131)가 동일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제어부(1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액압주입부(2)는,
1차성형품의 일단부를 통해 1차성형품 내부로 고압의 액체를 공급하도록 액체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액체토출구(211)가 일단부에 형성된 주입모듈(21);
상기 주입모듈(21)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주입모듈(21)이 직선 이동하게 하는 제1유압실린더(22);
상기 베드 상부에 횡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주입모듈(21)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동부(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가동부(23)는,
소정의 형상으로 되어 주입모듈(21)을 지지하면서 베드 상부에서 직선 이동하는 가동체(231);
상기 베드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32);
상기 가동체(231)의 저면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232)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블록(23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가동부(23)는,
상기 가동체(231)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동체(231)가 직선 이동한 거리와 방향을 감지하는 이동감지수단(234); 을 더 구비하여 이동감지수단(234)에서 감지된 감지값에 따라 제1유압실린더(22)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액압지지부(3)는,
상기 금형부(1)의 타측에 밀착되어 액압주입부(2)에 의해 1차성형품 내부로 주입되는 고압의 액체 압력을 지지하는 지지모듈(31);
상기 지지모듈(31)의 외측에 결합되어 지지모듈(31)이 직선 이동하게 하는 제2유압실린더(32);
상기 베드 상부에 횡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지지모듈(31)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동부(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액압지지부(3)는,
상기 지지모듈(31)의 일측에 설치되어 1차성형품 내부로 주입되는 고압의 액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34);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와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EGR 쿨러 하우징을 용접 없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접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며, 가공정밀성이 향상됨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 및 품질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합형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금형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2차 성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2차 성형 후 절단제거부의 절단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합형 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금형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2차 성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2차 성형 후 절단제거부의 절단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는 EGR 쿨러 하우징의 몸체부와 플랜지부를 한 번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금형부, 액압주입부, 액압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금형부(1)는 다각 관체 형상으로 되고 상하부에 천공부가 형성된 1차성형품에서 몸체부와 플랜지부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상부금형(11), 하부금형(1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금형(11)은 다각 관체 형상으로 되고 상하부에 천공부가 형성된 1차성형품에 대한 2차 성형을 위한 음각 형태의 상부성형부(111)가 형성되어 상하로 승강 가능케 설치된다.
상기 상부성형부(111)는 몸체부와 플랜지부를 한 번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제1성형부(111a), 제2성형부(111b), 제3성형부(111c), 제4성형부(111d)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성형부(111a)는 상부금형(11)의 중앙에 형성되어 액압주입부(2)에서 주입되는 고압의 액체에 의해 1차성형품이 팽창되어 몸체부가 성형되게 한다.
이때, 몸체부에는 1차성형품의 상부에 형성된 천공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관 형상으로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제2성형부(111b)는 제1성형부(111a)의 양측 단부와 이어지게 형성되어 고압의 액체에 의해 1차성형품이 팽창되어 연결부가 성형되게 한다.
상기 제3성형부(111c)는 제2성형부(111b)와 이어지게 형성되어 고압의 액체에 의해 1차성형품이 팽창되어 플랜지부가 성형되게 한다.
이때 플랜지부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성형부(111d)는 제3성형부(111c)와 이어지게 형성되어 고압의 액체에 의해 1차성형품이 팽창되어 절단제거부가 성형되게 한다.
즉, 2차 성형 완료 후 금형에서 배출된 성형품에서 절단제거부를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성형품의 양측 단부에는 플랜지부만 남은 형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금형(12)은 상부금형(11)과 함께 1차성형품에 대한 2차 성형을 위한 하부성형부(121)가 형성되어 베드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성형부(121)는 상부금형(11)의 상부성형부(111)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하부성형부(121)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금형부(1)는 상부금형(11)과 하부금형(12)에 각각 설치되어 1차성형품의 2차 성형을 위한 가열을 수행하는 가열수단(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13)은 상부금형(11)과 하부금형(12)에 각각 설치되어 1차성형품의 2차 성형을 위한 가열을 수행하도록 가열부재(131), 온도제어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재(131)는 상부금형(11)과 하부금형(12)의 내부에 각각 매립 설치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부금형(11)의 상부성형부(111) 주변과 하부금형(12)의 하부성형부(121) 주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제어부(132)는 상부금형(11)과 하부금형(12)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가열부재(131)가 동일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가열부재(131)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액압주입부(2)는 금형부(1)의 일측에 설치되어 금형부(1)에 고정된 1차성형품의 일단부를 통해 1차성형품 내부에 고압의 액체를 주입하도록 주입모듈(21), 제1유압실린더(22), 제1가동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모듈(21)은 일측의 밀착면이 금형부(1)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1차성형품의 일단부를 통해 1차성형품 내부로 고압의 액체를 공급하도록 액체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액체토출구(211)가 일단부에 형성된다.
즉, 주입모듈(21) 일측의 밀착면 중심에는 1차성형품의 일단부를 통해 1차성형품 내부로 고압의 액체를 공급하도록 액체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액체토출구(211)가 형성됨으로써 고압의 액체 공급에 의해 1차성형품이 팽창하면서 상부금형(11)의 상부성형부(111)와 하부금형(12)의 하부성형부(121) 형상대로 포밍 성형된다.
한편, 고압의 액체 공급 시 금형부(1)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주입모듈(21)의 밀착면과 금형부(1)의 일측면 간에는 누액 방지를 위한 기밀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밀 유지를 위하여 패킹류와 같은 기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22)는 주입모듈(21)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주입모듈(21)이 직선 이동하게 한다.
즉, 제1유압실린더(22)는 베드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1유압실린더(22)의 피스톤로드에 주입모듈(21)의 타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피스톤로드의 스트로크에 의해 주입모듈(21)이 직선 이동하여 주입모듈(21)의 액체토출구(211)가 1차성형품의 일단부 내측으로 투입되도록 주입모듈(21)이 금형부(1)의 측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며, 그로 인해 금형부(1)에 고정된 1차성형품의 내부에 고압의 액체 주입이 가능케 된다.
상기 제1가동부(23)는 베드 상부에 횡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주입모듈(21)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도록 가동체(231), 가이드레일(232), 레일블록(233)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체(231)는 소정의 형상으로 되어 주입모듈(21)을 지지하면서 베드 상부에 직선 이동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32)은 베드 상부에 설치되어 가동체(231)의 정밀한 직선 이동이 가능케 안내한다.
상기 레일블록(233)은 가동체(231)의 저면에 설치되어 가동체(231)가 가이드레일(232)을 따라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에 의한 주입모듈(21)의 직선 이동에 따른 1차성형품의 2차 성형 시 주입모듈(21)의 정밀한 직선이 가능케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동부는 이동감지수단(23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감지수단(234)은 가동체(231)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동체(231)가 직선 이동한 거리와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감지된 감지값에 따라 제1유압실린더(22)의 동작을 정밀 제어하여 유압실린더에 의한 과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액압지지부(3)는 금형부(1)의 타측에 설치되어 금형부(1)에 고정된 1차성형품의 타단부를 지지하도록 지지모듈(31), 제2유압실린더(32), 제2가동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모듈(31)은 일측의 밀착면이 금형부(1)의 타측면에 밀착되어 액압주입부(2)에 의해 1차성형품 내부로 고압의 액체가 주입될 때, 1차성형품과 고압의 액체 압력을 지지함으로써 고압의 액체 공급에 의해 1차성형품이 팽창하면서 상부금형(11)의 상부성형부(111)와 하부금형(12)의 하부성형부(121) 형상대로 포밍 성형된다.
한편, 지지모듈(31)이 금형부(1)의 타측면에 밀착되어 고압의 액체 압력을 지지할 때, 금형부(1)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모듈(31)의 밀착면과 금형부(1)의 타측면 간에는 누액 방지를 위한 기밀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밀 유지를 위하여 패킹류와 같은 기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유압실린더(32)는 지지모듈(31)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지지모듈(31)이 직선 이동하게 한다.
즉, 제2유압실린더(32)는 베드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2유압실린더(32)의 피스톤로드에 지지모듈(31)의 타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피스톤로드의 스트로크에 의해 지지모듈(31)이 직선 이동하여 지지모듈(31)이 금형부(1)의 타측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며, 그로 인해 금형부(1)에 고정된 1차성형품의 내부에 고압의 액체 주입이 가능케 되고, 그로 인한 1차성형품의 2차 성형이 가능케 된다.
상기 제2가동부(33)는 베드 상부에 횡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지지모듈(31)의 직선 이동을 안내한다.
제2가동부(33)는 금형부(1)를 기준으로 제1가동부(23)와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제2가동부(3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액압지지부(3)는, 상기 지지모듈(31)의 일측에 설치되어 1차성형품 내부로 주입되는 고압의 액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3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압력감지수단(34)은 1차성형품 내부로 주입되는 고압의 액체 압력을 감지하고, 그 감지값에 따라 주입모듈(21)을 통해 고압의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수단의 동작이 제어되게 함으로써 고압 액체의 정밀한 공급 제어가 가능케 되어 액압을 이용한 1차성형품의 2차 성형 시 성형 품질을 보다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의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다양한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A: 1차성형품 B: 몸체부
C: 연결부 D: 플랜지부
E: 절단제거부 P: 2차성형품
1: 금형부 11: 상부금형
111: 상부성형부 111a: 제1성형부
111b: 제2성형부 111c: 제3성형부
111d: 제4성형부 12: 하부금형
121: 하부성형부 13: 가열수단
131: 가열부재 132: 온도제어부
2: 액압주입부 21: 주입모듈
211: 액체토출구 22: 제1유압실린더
23: 제1가동부 231: 가동체
232: 가이드레일 233: 레일블록
234: 이동감지수단 3: 액압지지부
31: 지지모듈 32: 제2유압실린더
33: 제2가동부 34: 압력감지수단

Claims (5)

  1. 다각 관체 형상으로 되고 상하부에 천공부가 형성된 1차성형품에서 몸체부와 플랜지부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성형부가 형성된 금형부(1);
    상기 금형부(1)의 일측에 설치되어 금형부(1)에 고정된 1차성형품의 일단부를 통해 1차성형품 내부에 고압의 액체를 주입하는 액압주입부(2);
    상기 금형부(1)의 타측에 설치되어 금형부(1)에 고정된 1차성형품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액압지지부(3); 를 포함하고,
    상기 금형부(1)는,
    다각 관체 형상으로 되고 상하부에 천공부가 형성된 1차성형품에 대한 2차 성형을 위한 상부성형부(111)가 형성된 상부금형(11);
    상기 상부금형(11)과 함께 1차성형품에 대한 2차 성형을 위한 하부성형부(121)가 형성되어 베드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금형(12); 을 포함하고,
    상기 액압주입부(2)는,
    1차성형품의 일단부를 통해 1차성형품 내부로 고압의 액체를 공급하도록 액체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액체토출구(211)가 일단부에 형성된 주입모듈(21);
    상기 주입모듈(21)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주입모듈(21)이 직선 이동하게 하는 제1유압실린더(22);
    상기 베드 상부에 횡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주입모듈(21)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동부(23); 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동부(23)는,
    소정의 형상으로 되어 주입모듈(21)을 지지하면서 베드 상부에서 직선 이동하는 가동체(231);
    상기 베드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32);
    상기 가동체(231)의 저면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232)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블록(233);
    상기 가동체(231)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동체(231)가 직선 이동한 거리와 방향을 감지하는 이동감지수단(234); 을 더 구비하여 이동감지수단(234)에서 감지된 감지값에 따라 제1유압실린더(22)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액압지지부(3)는,
    상기 금형부(1)의 타측에 밀착되어 액압주입부(2)에 의해 1차성형품 내부로 주입되는 고압의 액체 압력을 지지하는 지지모듈(31);
    상기 지지모듈(31)의 외측에 결합되어 지지모듈(31)이 직선 이동하게 하는 제2유압실린더(32);
    상기 베드 상부에 횡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지지모듈(31)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동부(33); 및,
    상기 지지모듈(31)의 일측에 설치되어 1차성형품 내부로 주입되는 고압의 액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34); 을 더 구비하여 그 감지값에 따라 주입모듈(21)을 통해 고압의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수단의 동작이 제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성형부(111)는,
    상기 상부금형(11)의 중앙에 형성되어 액압주입부(2)에서 주입되는 고압의 액체에 의해 1차성형품이 팽창되어 몸체부가 성형되게 하는 제1성형부(111a);
    상기 제1성형부(111a)의 양측 단부와 이어지게 형성되어 고압의 액체에 의해 1차성형품이 팽창되어 연결부가 성형되게 하는 제2성형부(111b);
    상기 제2성형부(111b)와 이어지게 형성되어 고압의 액체에 의해 1차성형품이 팽창되어 플랜지부가 성형되게 하는 제3성형부(111c);
    상기 제3성형부(111c)와 이어지게 형성되어 고압의 액체에 의해 1차성형품이 팽창되어 절단제거부가 성형되게 하는 제4성형부(111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26009A 2022-10-04 2022-10-04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 KR102567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009A KR102567878B1 (ko) 2022-10-04 2022-10-04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009A KR102567878B1 (ko) 2022-10-04 2022-10-04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878B1 true KR102567878B1 (ko) 2023-08-16

Family

ID=8784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009A KR102567878B1 (ko) 2022-10-04 2022-10-04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87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863A (ja) * 1996-11-07 1998-05-26 Sumitomo Metal Ind Ltd 液圧バルジ加工用表面処理鋼管
JP2001018016A (ja) * 1999-07-07 2001-01-23 Sumitomo Metal Ind Ltd 金属管の液圧バルジ加工時のピアシング加工方法
JP2001239330A (ja) * 2000-02-24 2001-09-04 Sumitomo Metal Ind Ltd 金属管の液圧バルジ加工方法
JP2003071528A (ja) * 2001-09-04 2003-03-11 Sankei Giken Kogyo Co Ltd 金属管のハイドロフォーム加工方法
KR20130105010A (ko) * 2012-03-16 2013-09-25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가공장치
KR101641786B1 (ko) 2014-11-06 2016-07-22 주식회사 포스코 하이드로포밍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강관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KR20160149349A (ko) * 2015-06-17 2016-12-28 삼원동관 주식회사 하이드로포밍 장치를 이용한 분기형 파이프의 성형방법
JP2018187685A (ja) * 2018-09-06 2018-11-2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成形システム及び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863A (ja) * 1996-11-07 1998-05-26 Sumitomo Metal Ind Ltd 液圧バルジ加工用表面処理鋼管
JP2001018016A (ja) * 1999-07-07 2001-01-23 Sumitomo Metal Ind Ltd 金属管の液圧バルジ加工時のピアシング加工方法
JP2001239330A (ja) * 2000-02-24 2001-09-04 Sumitomo Metal Ind Ltd 金属管の液圧バルジ加工方法
JP2003071528A (ja) * 2001-09-04 2003-03-11 Sankei Giken Kogyo Co Ltd 金属管のハイドロフォーム加工方法
KR20130105010A (ko) * 2012-03-16 2013-09-25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가공장치
KR101641786B1 (ko) 2014-11-06 2016-07-22 주식회사 포스코 하이드로포밍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강관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KR20160149349A (ko) * 2015-06-17 2016-12-28 삼원동관 주식회사 하이드로포밍 장치를 이용한 분기형 파이프의 성형방법
JP2018187685A (ja) * 2018-09-06 2018-11-2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成形システム及び成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3981B2 (ja) 配量モジュール
EP2268905B1 (en) Vehicle exhaust treatment systems
US20060288694A1 (en) Heat exchange apparatus for exhaust gas
KR20170052619A (ko) 도관형 연료 주입
JP2007162556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egr方法及びegr装置
KR20170056356A (ko) 차량용 엔진의 냉각 장치
KR102567878B1 (ko) Egr 쿨러 하우징 성형용 하이드로 포밍 성형장치
JP2015152007A (ja) 排気ガス再循環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70145948A1 (en) Cylinder head integrated with exhaust manifold and egr cooler
US11859583B2 (en) Fuel injector having dual solenoid control valves
US10801450B2 (en) Intake system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ssembly
WO2013188995A1 (zh) 一种设有内置组件的中空体成型方法
CN105257378A (zh) 喷嘴组件
US20180298858A1 (en) High pressure fuel pump and fuel supply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particular of a motor vehicle
US20050212176A1 (en) Heated medium supplying method and structure for secondary molding of resin molding component
KR20200045380A (ko) 헬리컬 egr 유동 경로와 단계적 유동 통로를 가지는 수동적 egr 믹서
US20020139873A1 (en) Fuel injection valve
JP4281590B2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二次成形時における加熱媒体と樹脂材との切替装置
KR100828832B1 (ko) 엔진의 이지알(egr) 장치
KR100832033B1 (ko) 주조용 냉각금형
KR20170090289A (ko) 다이캐스팅 부품 성형을 위한 고진공 시스템
US20190360387A1 (en) Diesel engine
JP6996463B2 (ja) 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及び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の製造方法
KR101819801B1 (ko) 연료레일 누설 검사용 멀티지그
JP6036580B2 (ja) 燃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